KR20170094629A -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 Google Patents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629A
KR20170094629A KR1020160015622A KR20160015622A KR20170094629A KR 20170094629 A KR20170094629 A KR 20170094629A KR 1020160015622 A KR1020160015622 A KR 1020160015622A KR 20160015622 A KR20160015622 A KR 20160015622A KR 20170094629 A KR20170094629 A KR 20170094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ozzle
space
plate
flow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760B1 (ko
Inventor
김연창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7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전면이 개방된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에 결합된 커버,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송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내부는 상기 송풍부가 위치한 송풍공간과 진동유닛이 배치된 진동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바디 내부에는 입구와 출구를 가지며 상기 송풍공간과 구획된 순환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구는 상기 송풍부와 마주하는 상기 바디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air-flow passage with electronic towel}
본 발명은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에 관한 것이다.
해수욕을 하면 몸에 물, 모래 등의 이물질이 묻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을 무명실이 보풀보풀하게 나오도록 짠 천(이하, 타월이라 함)으로 닦을 경우 몸에 물은 잘 닦이나 모래는 털리지 않는다. 이에 반복해서 모래를 털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바람과 진동으로 이물질을 닦을 수 있는 전자타월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타월은 바디 내부에서 공기 순환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였다.
또한 바디 내부에 분사되는 공기는 바디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의 구동으로 바디 외부 공기가 바디 내부로 유입되어 분사된다. 외부 공기가 바디 내부로 유입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물, 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이 바디 내부로 유입되어 분사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419507호. (2004.02.09.) 공개특허 제10-2009-0010754호. (2009.01.30)
본 발명은 전자타월 사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고 이물질이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전면이 개방된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에 결합된 커버,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송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내부는 상기 송풍부가 위치한 송풍공간과 상기 진동유닛이 배치된 진동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바디 내부에는 입구와 출구를 가지며 상기 송풍공간과 구획된 순환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구는 상기 송풍부와 마주하는 상기 바디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바디의 외부와 상기 송풍공간을 연결하는 송풍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유로 중에는 회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은 상기 송풍유로의 입구에 배치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은 상기 회수홀에 배치되어 있는 흡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팬 회전 시 송풍공간의 공기는 순환유로의 입구를 통해 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노즐을 통해 분사되지 못한 공기가 순환유로로 순환되므로 송풍공간에서 공기가 적체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팬 회전 시 외부공기가 송풍유로를 통해 송풍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회수홀의 흡착부재에 공기중에 포함된 물, 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어 정화된 공기만 노즐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정화된 공기만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에 묻은 물, 모래 등의 이물은 진동유닛의 떨림과 송풍팬의 바람에 의해 몸에서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이에 여러 번 샤워를 하거나 수건으로 여러 번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도.
도 4는 도 1를 IV-I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순환유로 및 송풍유로 개략도.
도 6은 도 4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4의 순환유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타월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타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2를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를 V-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1)(이하, 전자타월이라 함.)은 바디부(10), 커버부(50), 진동부(60), 노즐부(70) 및 송풍부(80)를 포함하며 진동부(60) 진동과 송풍부(80)의 바람을 이용하여 피부에 묻은 물,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바디부(10)는 헤드(11) 및 손잡이(12)를 포함하며 전자타월(1)의 외형을 형성한다. 바디부(10)는 수지계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외부 표면에는 스크래치 발생 등을 예방하기 위한 코팅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11)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다. 헤드(11)의 개방된 전면에는 커버부(50)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커버부(50)와 헤드(11)의 분리 결합구조는 공지의 락킹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부(50)에는 헤드(11) 내부를 외부와 연결하는 복수의 노즐홀(51)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11)의 내부에는 진공공간(111), 송풍공간(113), 순환유로(114), 송풍유로(115)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11) 및 커버부(50)의 외부 모서리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진공공간(111)과 송풍공간(113)은 단(112)을 두고 구획되어 있으며 진공공간(111)을 이루는 내부 제1 둘레면(11a)은 헤드(11) 전면과 연결되어 있다. 내부 제1 둘레면(11a)에는 장착홈(11b)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단(112)에는 탄성 삽입홈(112a)이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삽입홈(112a)은 단(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송풍공간(113)는 진공공간(111)과 연결되어 있다. 송풍공간(113)을 이루는 내부 제2 둘레면(11c)에는 순환유로(114)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공간(113)은 송풍공간(113)과 연결된 입구(114a)와 송풍공간(113)과 연결된 출구(114b)를 갖는다.
송풍유로(115)는 헤드(11) 내부에 형성되어 송풍공간(113)과 헤드(11) 후면을 연결한다. 송풍유로(115)는 후면과 연결된 입구(115a) 송풍공간(113)과 연결된 출구(115b)를 갖는다. 송풍유로(115)를 통해 전자타월(1) 외부 공기는 송풍공간(1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입구(115a)에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116)가 배치되어 있다. 필터(116)는 이물질이 송풍유로(11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116)는 격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116)는 조목 스크린(COARSE SCREEN) 또는 세목 스크린(FINE SCREEN)구조일 수 있다.
송풍유로(115) 중에는 회수홀(117)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수홀(117)에는 스펀지(SPONGE), 부직포(Non-Woven Fabric) 등으로 형성된 흡착부재(117a)가 배치되어 있다. 회수홀(117)은 송풍유로(115)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C)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회수홀(117)은 헤드(11)의 후면을 기준으로 송풍유로(115)의 가상의 중심선(C) 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송풍유로(115)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물, 이물질 등은 회수홀(117)로 유입될 수 있다. 물 이물질은 흡착부재(117a)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회수홀(117)에 유입된 물, 이물질은 송풍유로(115)를 따라 이동하지 못한다. 이에 정화된 공기만 송풍공간(1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손잡이(12)는 헤드(11) 후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2) 내부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장치(20), 전원부(30) 등이 배치되어 있다. 전원부(30)는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부(30)를 배터리로 한정하지 않는다.
전원부(30)는 충전 및 교체될 수 있다. 손잡이(12)의 외부 둘레면에는 회로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40)가 배치되어 있다. 회로장치(20), 전원부(30)는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음)로 보호되어 있다.
진동부(60)는 플레이트(61), 플레이트 실링재(62), 탄성부재(63), 탄성 실링재(631), 삽입핀(64) 및 진동발생부(65)를 포함한다.
플레이트(6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진공공간(111)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플레이트(61)를 평평한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플레이트(61)는 웨이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웨이브 형태의 플레이트(61)는 떨림이 향상될 수 있다.
플레이트(61)에는 폭 방향(X)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결합홀(61a)이 길이 방향(Y)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61a)은 노즐홀(51)과 일치한다. 도면 도 2에서 결합홀(61a)을 4개로 도시하였으나, 결합홀(61a)의 개수는 전자타월(1)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도 6을 더 참고하면, 플레이트 실링재(62)는 고무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플레이트(6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다. 플레이트 실링재(62)가 장착홈(11b)에 삽입되어 플레이트(61)는 바디부(10)에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61)는 바디부(10)에 고정된 상태로 떨릴 수 있다.
플레이트 실링재(62)에 의해 플레이트(61)의 떨림이 바디부(10)에 전달되지 않는다. 플레이트 실링재(62)가 바디부(10)와 접하고 있어 플레이트(61)가 떨릴 때 플레이트(61) 떨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탄성부재(63)는 단(112)과 마주하는 플레이트(61) 부분에 배치되어 탄성 삽입홈(112a)에 삽입되어 있다. 탄성부재(63)는 플레이트(61)를 바디부(10)에 고정하면 플레이트(61)의 떨림이 바디부(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탄성 실링재(631)는 탄성부재(63)의 외부 둘레면을 따라 결합되어 있고 탄성부재(63)가 바디부(10)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삽입핀(64)은 탄성부재(63)와 결합되어 있으며 탄성부재(63)와 플레이트(61)를 연결한다. 삽입핀(64)은 탄성 삽입홈(112a)에 삽입될 수 있다.
진동발생부(65)는 플레이트(61)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로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40) 조작으로 회로장치(20)는 진동발생부(65)에 신호를 인가하면, 진동발생부(65)는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다. 진동발생부(65)의 세부 구조는 널리 공지된 브러시리스 진동모터(Brushless vibration motor)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발생부(65)에 의해 플레이트(61)가 떨리게 되면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탄성부재(63)와 웨이브 형상에 의해 플레이트(61)의 진동력을 향상될 수 있다. 플레이트(61)의 진동은 플레이트 실링재(62), 탄성부재(63)에 의해 바디부(10)에 전달된다. 그리고 플레이트(61)가 바디부(1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플레이트(61)가 떨릴 때 플레이트(61)와 바디부(10)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한다.
노즐부(70)는 노즐패널(71), 노즐부재(72) 및 루프파일(724)을 포함하며 송풍공간(113)의 공기를 분사하고 피부를 떨리거나 또는 흔들 수 있다.
노즐패널(71)은 노즐부(70)의 베이스로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결합홀(61a) 마다 배치되어 플레이트(61)와 결합되어 있다. 노즐패널(71)은 플레이트(61)를 따라 떨릴 수 있다. 노즐패널(71)은 플레이트(6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노즐패널(7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노즐홀(51)과 일치하는 장착홀(71a)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재(72)는 내측노즐(721), 외측노즐(722) 및 주름관(723)을 포함하며 공기를 분사하고 피부를 두드릴 수 있다. 노즐부재(72)는 복수로 형성되어 결합홀(61a)에 결합되어 있다. 복수의 노즐부재(72)가 노즐패널(71)에 복수 결합되어 있어 복수의 노즐부재(72)를 진동부(60)에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
내측노즐(721)은 장착홀(71a) 마다 배치되어 노즐패널(71)과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다. 내측노즐(721) 내부는 송풍공간(113)과 연결되어 있다. 내측노즐(721)은 노즐패널(71)을 따라 떨릴 수 있다.
외측노즐(722)은 노즐홀(51) 마다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다. 외측노즐(722)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분사홀(722a) 형성되어 있다. 분사홀(722a)은 외측노즐(722) 내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분사홀(722a)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외측노즐(722)의 내부에는 내측노즐(7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있다. 내측노즐(721) 외부 둘레와 외측노즐(722) 외부 둘레는 떨어져 있다. 외측노즐(722)의 끝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노즐(722)의 끝의 단면 모양을 원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노즐부재(72)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주름관(723)은 내측노즐(721)과 외측노즐(722)을 연결한다. 주름관(723)은 내측노즐(721)이 떨릴 때 늘고 줄어들 수 있다. 외측노즐(722)와 내측노즐(721)이 주름관(723)으로 연결되어 플레이트(61)의 떨림은 노즐부재(72)와 간섭되지 않는다. 이에 플레이트(61)의 떨림이 용이해질 수 있다. 주름관(723)의 움직임으로 내측노즐(721)의 떨림이 외측노즐(722)에 전달되지 않는다. 다만, 외측노즐(722)은 커버부(50)에 의해 바디부(10)와 함께 떨릴 수 있다.
외측노즐(722)의 외부 둘레에는 복수의 접촉돌기(725)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돌기(725)의 단면 모양은 원형이다. 접촉돌기(725)는 피부에 접촉되어 물, 이물질 등을 털어낼 수 있다.
루프파일(724)은 외측노즐(722) 외부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루프파일(724)은 피부와 접할 수 있다. 루프파일(724)은 피부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루프파일(724)은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루프파일(724)을 실리콘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루프파일(724)이 피부에 접촉했을 때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외측노즐(722)의 외부 둘레에는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 복수의 접촉돌기(725)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돌기(725)의 단면 모양은 원형이다. 접촉돌기(725)는 루프파일(724)과 함께 피부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송풍부(80)는 모터(81) 및 송풍팬(82)을 포함하며 순환유로(114)의 출구(114b) 부분에 배치되어 헤드(11)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송풍부(80)는 노즐부(70)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를 형성한다.
모터(81)는 헤드(11) 내부에 고정되어 회로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40) 조작으로 모터(81)는 진동발생부(65)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모터(81) 또한 실링부재로 보호되어 있다.
송풍팬(82)은 송풍공간(113)에 배치되어 모터(81)와 연결되어 있다. 송풍팬(82)의 작동으로 분사홀(722a)에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전자타월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스위치(40)를 조작하면, 진동발생부(65)는 작동으로 플레이트(61)가 떨리면서 진동이 발생한다. 진동에 의해 외측노즐(722), 루프파일(724) 등이 떨리며 피부 접촉 시 피부를 흔들 수 있다. 피부에 묻은 물, 이물질 등은 피부에서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외측노즐(722)과 내측노즐(721)이 주름관(723)으로 연결되어 있어 내측노즐(721)에 전달된 진동부(60)의 진동이 외측노즐(722)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진동에 의해 피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된다. 또한 주름관(723)에 의해 내측노즐(721)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진동부(60)의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플레이트(61)가 외부로부터 받는 저항 없이 잘 떨릴 수 있다.
그리고 모터(81) 작동으로 송풍팬(82)이 회전되면 전자타월(1) 외부 공기는 입구(115a)를 통해 송풍유로(115)을 따라 이동하여 출구(115b)를 통해 송풍공간(1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필터(116)에서 1차 여과되고, 외부 공기가 송풍유로(115)를 따라 이동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회수홀(117)에 유입되어 흡착부재(117a)에 흡착될 수 있다. 이에 정화된 공기가 송풍공간(1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송풍공간(113)의 공기는 내측노즐(721), 주름관(723) 및 외측노즐(722)의 분사홀(722a)을 통해 바디부(10) 흔들리는 피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피부에 묻은 물, 이물질 등이 피부에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더 참고하면, 노즐부(7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지 못한 공기는 송풍부(80)가 순환유로(114)의 출구(114b) 부분에 위치하므로 입구(114a)를 통해 순환유로(114)로 유입되어 출구(114b)를 통해 다시 송풍공간(1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송풍공간(113)과 순환유로(114)의 공기는 순환할 수 있다. 송풍공간(113)의 공기 순환으로 공기가 송풍공간(113)에 적체되면서 발생한 소음과 바람을 강하게 송풍공간(113) 외부로 강하게 내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타월(1)은 물, 이물질 등이 묻은 피부를 흔들고 바람으로 불어내므로 피부에서 수비게 떨어질 수 있다. 이에 샤워를 여러 번 하거나 수건으로 여러 번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송풍부(80) 작동 시 외부로 분사되지 못한 공기는 순환유로(114)의 입구를 통해 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송풍공간(113)의 공기는 순환할 수 있으며 송풍공간(113)에서 공기가 적체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전자타월 10: 바디부
11: 헤드 11a: 내부 제1 둘레면
11b: 내부 제2 둘레면 111: 진공공간
112: 단 112a: 탄성 삽입홈
113: 송풍공간 114: 순환유로
115: 송풍유로 114a, 115a: 입구
114b, 115b: 출구 116: 필터
117: 회수홀 117a: 흡착부재
12: 손잡이 20: 회로장치
30: 전원부 40: 스위치
50: 커버부 51: 노즐홀
60: 진동부 61: 플레이트
61a: 결합홀 62: 플레이트 실링재
63: 탄성부재 631: 탄성 실링재
64: 삽입핀 65: 진동발생부
70: 노즐부 71: 노즐패널
71a: 장착홀 72: 노즐부재
72a: 내부 공간 721: 내측노즐
722: 외측노즐 722a: 분사홀
723: 주름관 724: 루프파일
80: 송풍부 81: 모터
82: 송풍팬

Claims (4)

  1. 내부가 비어 있고 전면이 개방된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에 결합된 커버,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송풍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내부는 상기 송풍부가 위치한 송풍공간과 진동유닛이 배치된 진동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바디 내부에는 입구와 출구를 가지며 상기 송풍공간과 구획된 순환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구는 상기 송풍팬과 마주하는 상기 바디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2. 제1항에서,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바디의 외부와 상기 송풍공간을 연결하는 송풍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유로 중에는 회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3. 제2항에서,
    상기 송풍유로의 입구에 배치된 필터를 더 포함하는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4. 제2항에서,
    상기 회수홀에 배치되어 있는 흡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KR1020160015622A 2016-02-11 2016-02-11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KR101783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22A KR101783760B1 (ko) 2016-02-11 2016-02-11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22A KR101783760B1 (ko) 2016-02-11 2016-02-11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629A true KR20170094629A (ko) 2017-08-21
KR101783760B1 KR101783760B1 (ko) 2017-10-10

Family

ID=5975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622A KR101783760B1 (ko) 2016-02-11 2016-02-11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7643A (zh) * 2018-09-30 2019-01-15 江苏唐邦机电有限公司 手持可移动喷洗装置
CN112157069A (zh) * 2020-09-10 2021-01-0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刀闸清洗装置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976Y1 (ko) * 2003-04-18 2003-07-22 예명해 마사지 브러시
JP4567792B2 (ja) * 2009-02-06 2010-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手乾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7643A (zh) * 2018-09-30 2019-01-15 江苏唐邦机电有限公司 手持可移动喷洗装置
CN112157069A (zh) * 2020-09-10 2021-01-0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刀闸清洗装置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760B1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2856B (zh) 用於吸塵器的吸嘴
US10117557B2 (en) Mop module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28233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20030082040A (ko) 로봇 청소기
JP5063811B2 (ja) 手乾燥装置
KR101783760B1 (ko) 유로를 구비한 전자타월
JP4207911B2 (ja) 手乾燥装置
JP3125539B2 (ja) 手乾燥装置
KR102072009B1 (ko) 진공청소기
KR101783782B1 (ko) 전자타월
US9326651B2 (en) Vacuum cleaner with blower and flexible head for improved particulate removal
KR100757383B1 (ko) 진공청소기의 노즐조립체
JP3960324B2 (ja) 手乾燥装置
KR100587098B1 (ko) 진공 청소기 집진 유니트의 실링 구조
KR10026738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불기겸용 흡입구의 구조
JP2007296206A (ja) スカート付きブラシ
JPH1034095A (ja) 洗浄器具、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水循環装置
KR10064789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메쉬 필터
KR200320422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필터와 흡입그릴의 취부구조
KR20040080093A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구조
JP2005160839A (ja) 手乾燥装置
JPH07136078A (ja) 手乾燥装置
KR20040075456A (ko) 공기청정기
JP4070456B2 (ja) 電気掃除機
KR100539751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블로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