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240A -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240A
KR20070012240A KR1020060068081A KR20060068081A KR20070012240A KR 20070012240 A KR20070012240 A KR 20070012240A KR 1020060068081 A KR1020060068081 A KR 1020060068081A KR 20060068081 A KR20060068081 A KR 20060068081A KR 20070012240 A KR20070012240 A KR 20070012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outlet
ai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4587B1 (ko
Inventor
기츠오 다케모토
히로시 요코야마
마사토시 다나카
아이 다나카
마이 마츠노
야스시 다카이
요시히로 츠치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는 분리 장치 케이스(21), 모터 구동식 블로워(4) 및 분리 장치(25)를 포함한다. 분리 장치(25)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분리 장치 케이스(21) 내로 흡인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분리 챔버(28)를 갖는다. 집진부(13)는 분리 장치(25)에 의해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수집한다. 필터(53)는 분리 장치(25)를 통과한 먼지를 포획한다. 필터(53)에 의해 포획된 먼지는 먼지 낙하 기구(71)에 의해 떨어진다. 분리 장치 케이스(21)는 필터(53)로부터 떨어진 먼지를 분리 챔버(28) 내로 안내하는 먼지 배출구(77)를 갖는다. 진공 청소기는 또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실드 부재(80)를 갖는다. 제1 위치에서, 실드 부재(80)는 먼지 배출구(77)를 분리 챔버(28)에 연결한다. 제2 위치에서, 실드 부재(80)는 먼지 배출구(77)를 분리 챔버(28)로부터 분리한다.

Description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HAVING A SEPARATOR FOR SEPARATING DUST BY VIRTUE OF INERTIAL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진공 청소기의 메인 유닛에 통합되는 먼지 분리 장치를 공기 유입구에서 보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먼지 분리 장치를 공기 유출구에서 보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먼지 분리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F5-F5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먼지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케이스를 공기 유출구에서 보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1 케이스를 공기 유출구에서 보아 도시하는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주름형 필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주름형 필터와 제진 돌기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진공 청소기 2: 메인 유닛
3: 흡인 유닛 4: 모터 구동식 블로워
5: 흡인 호스 6: 연장 파이프
7: 흡인 헤드 8: 조작 패널
13: 집진 케이스 16: 먼지 회수 챔버
본 발명은 관성력을 이용하는 분리 장치와, 이 분리 장치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필터가 모터 구동식 블로워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협동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필터로부터의 먼지를 분리 장치 내로 복귀시킨 다음, 그 먼지를 집진 유닛으로 보내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관성력이 모터 구동식 블로워에 의해 흡인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이에 따라 주머니형 팩 필터가 불필요해지는 진공 청소기는 공지되어 있다. 이 타입의 진공 청소기는, 예컨대 일본 특허 제3490081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명세서에 개시된 진공 청소기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를 수용하는 메인 유닛을 구비한다. 메인 유닛은 분리 가능한 집진 용기를 지지한다. 이 집진 용기는 제1 집진 챔버와, 부압 챔버와, 분리 유닛과, 안내 파이프를 구비한다. 부압 챔버는 제1 집진 챔버 위에 배치된다. 분리 유닛은 부압 챔버 내에 마련된다. 안내 파이프는 분리 유닛과 제1 집진 챔버를 연결한다.
모터 구동식 블로워가 작동하면, 부압 챔버에 부압이 발생된다. 부압 챔버 는 네트형 필터를 통해 제1 집진 챔버와 연통된다. 분리 유닛은 중공 실린더와 같이 형성되는 공기 통로를 갖는다. 공기 통로의 상류 단부는 먼지를 흡인하는 호스에 연결된다. 공기 통로의 하류 단부는 안내 파이프에 연결된다. 공기 통로는 네트형 필터를 통해 부압 챔버와 연통된다.
호스로부터 분리 유닛의 공기 통로 내로 흡인되는 먼지를 함유한 공기는 네트형 필터를 통해 부압 챔버에 도달된다. 비교적 큰 질량의 먼지 입자는 관성력에 의해 공기 통로를 통과하여 안내 파이프를 통해 제1 집진 챔버 내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먼지는 분리 유닛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특허 문헌의 명세서에 개시된 진공 청소기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와 집진 용기 사이에 마련된 주름형 필터(pleat filter)를 갖는다. 주름형 필터는 분리 유닛을 통과한 미세한 먼지 입자를 포획하도록 구성된다. 이 필터는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에 관하여 분리 유닛보다 더 하류에 위치된다. 집진 용기는 주름형 필터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집진 챔버를 구비한다. 이 집진 챔버는 집진 용기의 후방벽에 의해 제1 집진 챔버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후방벽은 주름형 필터의 전방부 근처에 위치된다. 후방벽과 주름형 필터의 전방부 사이에는 집진 용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이 간극은 상단부가 부압 챔버로 개방되고, 하단부가 제2 집진 챔버로 개방되어 있다.
주름형 필터에서 포획된 먼지는 먼지 낙하 기구에 의해 주름형 필터로부터 제거된다. 먼지 낙하 기구는 주름형 필터를 진동시켜, 주름형 필터로부터 미세한 먼지 입자를 낙하시킨다. 주름형 필터로부터 낙하된 먼지 입자는 후방벽과 주름형 필터 사이의 작은 간극을 통해 제2 집진 챔버로 안내된다.
전술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제1 집진 챔버는 분리 유닛에 의해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고, 제2 집진 챔버는 주름형 필터로부터 낙하된 먼지를 수집한다. 따라서,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는 2개의 집진 챔버로 분배되어 제1 집진 챔버, 즉 메인 집진 챔버 내에만 수집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집진 용기로부터 먼지를 폐기하는 데에 있어서 성가시다.
종래의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모터 구동식 블로워가 공기를 흡인하는 부압 챔버는 주름형 필터로부터 먼지를 수집하는 제2 집진 챔버와 간극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이 간극은 확실히 좁지만, 제2 집진 챔버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가 작동을 개시할 때마다 부압 챔버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
제2 집진 챔버에 의해 수집된 먼지는 불가피하게 간극을 통해 흡인되어 주름형 필터에 다시 부착될 수도 있다. 먼지가 주름형 필터에 부착되면, 주름형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진공 청소기의 흡진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주름형 필터는 짧은 시간 사용한 후에라도 폐색된다. 따라서, 주름형 필터를 자주 청소해야 한다. 진공 청소기의 유지 보수에 많은 시간과 노동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를 집진부 내에 효율적으로 축적하고, 필터에 먼지가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진 성능을 오랜 시간 동안 높게 유지하는 진공 청 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먼지 배출구가 있는 분리 장치 케이스와, 이 분리 장치 케이스 내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와, 상기 분리 장치 케이스 내에 마련되고, 먼지 배출구와 연통하는 분리 챔버를 구비하며, 관성력을 이용하여 분리 장치 케이스 내로 흡인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 장치와, 이 분리 장치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분리 장치를 통과한 먼지를 포획하는 필터와, 이 필터에 의해 포획된 먼지를 떨어뜨리는 먼지 낙하 기구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실드 부재를 구비한다. 실드 부재는, 제1 위치에서 먼지 배출구를 분리 챔버에 연결한다. 실드 부재는, 제2 위치에서 분리 챔버로부터 먼지 배출구를 분리한다. 실드 부재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가 작동하는 한 제2 위치에서 유지된다. 실드 부재는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먼지 낙하 기구에 의해 떨어진 먼지가 먼지 배출구를 통해 분리 챔버 내로 이동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필터로부터 떨어진 먼지는 분리 챔버 내로 이동된 다음 집진부에 수집될 수 있다. 이는 집진부에서 먼지를 축적하는 효율을 증대시킨다. 또한, 필터로부터 떨어진 먼지는 필터에 다시 고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는 그 집진 성능을 오랫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고, 그 일부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 점은 이하에 특히 기재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구현 및 달성될 수 있다.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전술한 전반적인 설명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예컨대 청소해야 하는 바닥에서 이동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1)를 도시하고 있다. 진공 청소기(1)는 메인 유닛(2)과 흡인 유닛(3)을 구비한다. 메인 유닛(2)은 바퀴(2a)와 연결 마우스(2b)를 구비한다. 바퀴(2a)는 바닥과 접촉한다. 연결 마우스(2b)는 메인 유닛(2)의 전방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메인 유닛(2)은 그 후반부에 모터 구동식 블로워(4)를 통합하고 있다. 블로워(4)는 메인 유닛(2)의 전방부로 개방되는 공기 유입구(4)를 갖는다.
흡인 유닛(3)은 흡인 호스(5), 연장 파이프(6) 및 흡인 헤드(7)를 구비한다. 흡인 호스(5)는 일단부에 원통형 연결부(5a)와 타단부에 제어 유닛(5b)을 갖는다. 연결부(5a)는 연결 마우스(2b)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어 유닛(5b)은 핸들(5c)과 조작 패널(8)을 구비한다. 조작 패널(8)은 눌러서 메인 유닛(2)에 통합된 제어 유닛(9)을 작동시킬 수 있는 버튼을 갖는다. 제어 유닛(9)은 다양한 회로 구성요소가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9)은 예컨대 조작 패널(8)로부터 제공된 지시에 따라 모터 구동식 블로워(4)를 제어한다.
연장 파이프(6)는, 예컨대 상류 파이프(6a)와 하류 파이프(6b)를 구비한다. 상류 파이프(6a)와 하류 파이프(6b)는 함께 결합되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하류 파이프(6b)는 제어 유닛(5b)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흡인 헤드(7)는 상류 파이프(6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메인 유닛(2)은 먼지 분리 장치(11)를 보유한다. 먼지 분리 장치(11)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4)의 공기 유입구(4a)와 메인 유닛(2)의 연결 마우스(2b) 사이에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분리 장치(11)는 본체(12)와 집진 케이스(13)를 구비한다.
집진 케이스(13)는 진공 청소기(1)가 흡인한 먼지를 수집하는 집진부의 일례이다. 집진 케이스(13)는 메인 유닛(2)의 전방부에서 위쪽으로부터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집진 케이스(13)에 축적된 먼지를 쉽게 폐기할 수 있다.
집진 케이스(13)는 상부면에 핸들(14)을 갖는다. 사용자는 핸들(14)을 파지하고 집진 케이스(13)를 본체(12)로부터 제거하거나 집진 케이스(13)를 본체(12)에 세팅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케이스(13)는 먼지 통로(15)와, 먼지 회수 챔버(16)와, 커버(17)를 구비한다. 먼지 통로(15)는 메인 유닛(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먼지 회수 챔버(16)는 먼지 통로(15)의 하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커버(17)는 먼지 회수 챔버(16)의 일측부를 덮는다. 커버(17)는 하부 가장자리가 힌지(18)에 고정된다. 커버는 힌지(18)를 중심으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커버(17)는 집진 케이스(13)의 일측으로 늘어져 있어 먼지 회수 챔버(16) 내에 축적된 먼지를 내다 버릴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커버(17)는 먼지 회수 챔버(16)를 따라 연장되어 먼지 회수 챔버(16)를 폐쇄하도록 서 있는 상태로 있다.
유지 부재(19)는 커버(17)를 폐쇄 위치에 유지한다. 유지 부재(19)는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잠금 위치에서, 유지 부재(19)는 커버(17)의 상부 가장자리를 유지한다. 해제 위치에서, 유지 부재(19)는 커버(17)의 상부 가장자리를 더 이상 유지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는 합성 수지제의 분리 장치 케이스(21)를 구비한다. 분리 장치 케이스(21)는 제1 케이스 부재(22)와 제2 케이스 부재(23)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22, 23)는 서로 결합된다. 제1 케이스 부재(22)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공기 유입구(24)가 있다. 공기 유입구(24)는 메인 유닛(2)의 연결 마우스(2b)에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부재(22)는 분리 장치(25)를 수용한다. 분리 장치(25)는 분리 장치 케이스(21) 내의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데에 관성력을 이용한다. 분리 장치(25)는 공기 흡입 실린더(26)와, 안내벽(27)과, 분리 챔버(28)를 구비한다.
공기 흡입 실린더(26)는 제1 실린더부(26a)와 제2 실린더부(26b)를 구비한다. 제1 실린더부(26a)는 제1 케이스 부재(22)에 마련된다. 제2 실린더부(26b)는 제1 실린더부(26a)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제1 실린더부(26a)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제2 실린더부(26b)는 커버 부재(29)와 일체로 형성된다. 커버 부재(29)는 공기 흡입 실린더(26)의 일단부를 폐쇄하고 제1 케이스 부재(22)의 개방 단부를 덮는 다.
안내벽(27)은 공기 흡입 실린더(26)를 둘러싸고 공기 흡입 실린더(26)와 동축에 위치되는 중공 실린더이다. 안내벽(27)은 제1 케이스 부재(22)에 배치된다. 분리 챔버(28)는 공기 흡입 실린더(26)와 안내벽(27) 사이에 마련된다. 분리 챔버(28)를 구획하는 공기 흡입 실린더(26)의 제2 실린더부(26b)는 분리 챔버(28)로 개방되는 복수 개의 작은 관통 구멍(30)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29)는 분리 챔버(28)의 일단부를 폐쇄하고 투명한 재료로 제조되어 분리 챔버(28)의 내측을 분리 장치 케이스(21) 외측에서 볼 수 있다.
제1 케이스 부재(22)는 제1 가장자리벽(32)을 갖는다. 제1 가장자리벽(32)은 커버 부재(29)와 대향하고 분리 챔버(28)의 타단부를 폐쇄한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장자리벽(32)은 커버 부재(29)에 근접하는 나선형 벽이다. 나선형 벽의 제1 단부는 커버 부재(29) 근처에 위치되고, 제2 단부는 커버 부재(29)로부터 멀리 위치되며, 중간부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장자리벽(3)의 중간부에는 유입구(33)가 형성된다. 유입구(33)는 공기 유입구(24)와 연통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부재(22)는 제2 가장자리벽(34)을 갖는다. 제2 가장자리벽(34)은 공기 흡입 실린더(26)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제1 가장자리벽(32)에 접한다. 제2 가장자리벽(34)은 공기 통로(35)를 갖는다. 공기 통로(35)는 공기 흡입 실린더(26)의 내측과 연통되고 제1 케이스 부재(22)의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1 가장자리벽(32)의 제2 단부는 복수 개의 통기구(36)를 갖는다. 통기구(36)는 분리 챔버(28)를 공기 통로(35)에 연결시킨다. 통기구(36)에는 네트형 필터(36a)가 덮여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부재(22)의 상부에는 유출구(37)와 통기구(38)가 있다. 유출구(37)는 제1 케이스 부재(2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통기구(38)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상부면에서 개방되고, 유출구(37)와 접하며, 공기 통로(35)와 연통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케이스(13)는 제1 케이스 부재(2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위쪽에서 유출구(37)와 통기구(38)를 덮는다. 집진 케이스(13)는 입구(40)와 배출구(41)를 갖는다. 먼지 통로(15)로 개방되어 있는 입구(40)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유출구(37)에 연결된다. 배출구(41)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통기구(38)에 연결되고, 네트형 필터(41a)로 덮여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부재(22)에는 위치 결정부(42)가 있다. 위치 결정부(42)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42)의 상단에는 잠금 부재(43)가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다.
집진 케이스(13)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상부에서 연장된다. 집진 케이스(13)는 위치 결정부(42)가 끼워지는 홈(44)을 포함한다. 위치 결정부(42)가 홈(44)에 끼워지면, 제1 케이스 부재(22)와 집진 케이스(13)는 특정한 위치 관계를 취한다. 위치 결정부(42)에 부착된 잠금 부재(43)는 손으로 조작될 때에 잠금 위 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잠금 위치에서, 잠금 부재(43)는 집진 케이스(13)의 상부면에 포획되어, 집진 케이스(13)가 제1 케이스 부재(22)를 보유한다. 해제 위치에서, 잠금 부재(43)는 집진 케이스(13)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있어, 집진 케이스(13)를 제1 케이스 부재(22)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도 6 및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부재(22)는 집진 케이스(13)의 후방에 후방부(46)를 갖는다. 후방부(46)는 중공 실린더와 같이 형성되고, 집진 케이스(13)의 후방을 향해 나팔꽃 모양으로 벌어져 있다. 집진 케이스(13)의 후방부(46)에는 원통형 안내벽(47)이 마련되어 있다. 안내벽(47)은 후방부(46)보다 큰 직경을 갖고 후방부(46)와 동축에 위치된다. 안내벽(47)은 제1 케이스 부재(22)의 후방 단부에 배치된다. 연결 돌기(48)는 안내벽(47)의 원주면으로부터 그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6 및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부재(22)와 일체로 중공 샤프트(49)가 형성되어 있다. 중공 샤프트(49)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안내벽(47)과 동축에 위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 부재(23)는 디스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케이스 부재는 후방으로부터 제1 케이스 부재(22)의 후방 단부를 덮는다. 제2 케이스 부재(23)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안내벽(47)과 유사한 직경을 갖는다. 연결 돌기(50)는 제2 케이스 부재(23)의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각 연결 돌기(50)는 제2 케이스 부재(23)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케이스 부재(23)의 연결 돌기(50)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연결 돌기(48)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스 부재(22)와 제2 케이스 부재(23)는 서로 결합된다. 제1 케이스 부재(22)의 제1 안내벽(47)은 제2 케이스 부재(23)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돌기(48, 50)는 스페이서로서 기능하여, 안내벽(47)을 제2 케이스 부재(23)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지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 부재(23)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공기 유출구(52)를 갖는다. 공기 유출구(52)는 제2 케이스 부재(23)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출구는 공기 통로(35)에 대해 하방 및 경사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다. 공기 유출구(52)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4)의 공기 유입구(4a)와 연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부재(22)의 안내벽(47) 내측에는 필터(53)가 마련되어 있다. 도 8은 그 필터(53)가 가질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필터(53)는 롤러 지지벽(54), 롤러(55), 종동 기어(56), 필터 프레임(57) 및 필터 요소(58)를 구비한다.
롤러 지지벽(54)은 안내벽(47)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중공 실린더이다. 롤러(55)는 롤러 지지벽(54)의 원주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들은 롤러 지지벽(54)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있다. 종동 기어(56)는 롤러 지지벽(54)과 일체로 형성되어 롤러 지지벽(54)의 후방 가장자리에 위치된다. 그 치형부(56a)는 롤러 지지벽(5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바꿔 말하 면, 종동 기어(56)는 롤러 지지벽(54)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필터 프레임(57)은 안내벽(47)의 전방 가장자리와 일체로 형성된다. 필터 프레임(57)은 안내벽(47)의 내측에 배치된다. 필터 요소(58)는 필터 프레임(57)에 고정된다. 필터 요소(58)는 필터 프레임(57)에 고정된 주름부(58a)를 갖는다. 필터 프레임(57)과 필터 요소(58)는 소위, 주름형 필터(pleat filter)를 구성한다. 주름형 필터는 본 실시예에서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직경은 제1 케이스 부재(22)를 향해 점차 감소된다. 필터 프레임(57)의 전방 단부는 필터(53) 전방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필터 프레임(57)은 전방 단부의 중앙부에 베어링 구멍(59)을 갖는다.
필터(53)를 안내벽의 내측에 수용하기 위하여, 제1 케이스 부재(22)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49)는 필터 프레임(57)의 베어링 구멍(59)을 통해 안내되고, 롤러(55)는 안내벽(47)의 내피부와 접촉하도록 설정된다. 이에 의해, 필터(53)는 제1 케이스 부재(22) 내로 자유롭게 통합되어 샤프트(49) 둘레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필터(53)가 제1 케이스 부재(22) 내에 통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에서, 필터 요소(58)의 주름부(58a)는 필터(53)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진다. 필터(53)의 종동 기어(56)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안내벽(47)과 제2 케이스 부재(23) 사이의 간극을 통해 분리 장치 케이스(2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필터(53)와 제1 케이스 부재(22)의 안내벽 사이 및 필터(53)와 제2 케이스 부재(23) 사이에는 각각 링형의 2개의 밀봉 부재(도시 생략)가 개재되어 있다. 밀봉 부재는 분리 장치 케이스(21)와 필터(53) 사이의 기밀 결합을 유지한다.
필터(53)는 분리 장치(25)와 모터 구동식 블로워(4) 사이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53)가 분리 장치 케이스(21)의 후방에서 유지되는 한 필터(53)와 제1 케이스 부재(22) 사이에 상류 챔버(61)가 마련된다. 유사하게, 필터(53)와 제2 케이스 부재(23) 사이에 하류 챔버(62)가 마련된다.
제1 케이스 부재(22)의 공기 통로(35)는 상류 챔버(61)에 노출되어 주름형 필터의 전방에 대해 대향된다. 제2 케이스 부재(23)의 공기 유출구(52)는 하류 챔버(62)에 노출되어 주름형 필터의 후방면에 대해 대향된다. 따라서, 공기는 공기 유입구(4a)를 통해 분리 장치 케이스(21) 내측으로부터 흡인되어, 모터 구동식 블로워(4)가 제어 유닛(9)에서 제공된 지시에 응답하여 작동을 개시할 때에 분리 장치 케이스(21) 내에 부압을 발생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 부재(23)에는 필터 구동 장치(63)가 고정된다. 필터 구동 장치(63)는 전동 모터(64)와 구동 기어(65)를 갖는다. 전동 모터(64)는 구동 기어(65)를 회전시킨다. 전동 모터(64)는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스테핑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기어(65)는 필터(53)의 종동 기어(56)와 맞물린다. 따라서, 전동 모터(64)의 토크는 필터(53)에 전달되고, 필터는 밀봉 부재의 마찰 저항에 대항하여 회전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부재(22)의 후방부(46)는 바닥벽(70)을 갖는다. 바닥벽(70)은 안내벽(47) 앞에, 필터 요소(58)의 아래에 위치된다. 먼지를 긁어내는 돌기(71)가 바닥벽(7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71)는 먼지를 주름형 필터로부터 떨어뜨리는 먼지 낙하 기구의 예이다. 돌기는 바닥벽(7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기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폭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길고 가는 플레이트로서, 상류 챔버(61) 내에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71)는 필터 요소(58)의 저부에서 2개의 주름부(58a) 사이의 간극 내로 연장된다. 바꿔 말하면, 돌기(71)는 인접한 주름부(58a) 사이에 위치되어 필터 요소(58)의 원주부의 회전 궤적과 교차한다.
따라서, 필터(53)가 전동 모터(64)로부터의 토크를 받아 회전하면, 필터 요소(58)의 주름부(58a)는 순차적으로 돌기(71) 위에서 이동된다. 돌기(71)는 주름부(58a)를 튀겨 진동시킨다. 그 결과, [필터 요소(58) 상에 있다면] 먼지가 필터 요소(58)로부터 떨어진다.
먼지는 제어 유닛(9)이 모터 구동식 블로워(4)를 제어함에 따라 필터(53)로부터 떨어진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 유닛(9)은 블로워(4)가 조작 패널(8)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정지된 때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라도 블로워(4)가 작동하지 않으면 필터 구동 장치(63)에 작동 지시를 내린다. 별법으로서, 제어 유닛(9)은 모터 구동식 블로워(4)가 정지되어 청소를 종료하면 필터 구동 장치(63)에 작동 지시를 내린다. 양자의 경우에, 진공 청소기(1)는 자동 먼지 낙하 모드로 설정되고, 이 모드에서 필터(53)는, 예컨대 360°이상 회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장치(25)의 분리 챔버(28)는 먼지 회수부(73)를 갖는다. 먼지 회수부(73)는 안내벽(27)의 저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벽(74)에 의해 형성된다. 연장벽(74)의 후방 단부는 제1 케이스 부재(22)의 후방부(46)와 바닥벽(70)에 연속된다. 먼지 회수부(73)의 바닥은 아치형으로 만곡되어 바닥벽(70) 아래에서 연장된다.
먼지 회수부(73)는 유입구(75)와 유출구(76)를 갖는다. 유입구(75)는 공기 흡입 실린더(26)의 후방에 위치되어 분리 챔버(28)로 개방되어 있다. 유출구(76)는 공기 흡입 실린더(26)의 아래에 위치되어 분리 챔버(28)로 개방되어 있다. 유출구(76)는 공기가 분리 챔버(28)에서 유동하는 방향으로 유입구(75)의 하류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먼지 회수부(73)는 2개의 단부, 즉 분리 챔버(28)로부터 분기되는 단부와, 분리 챔버(28)에 연결되는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공기 챔버(28)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 흐름의 일부는 유입구(75)를 통해 먼지 회수부(73)로 유동하여 유출구(76)를 통해 분리 챔버(28)로 복귀된다. 따라서, 분리 챔버(28) 내로 유동되는 공기 흐름의 일부는 먼지 회수부(73)를 통과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회수부(73)의 연장벽(74)은 바닥벽(70) 위에 위치하는 구획부(74a)를 갖는다. 구획부(74a)는 먼지 회수부(73)와 상류 챔버(61)의 저부 사이에 개재된다. 구획부(74a)는 먼지 배출구(77)를 갖는다. 먼지 배출구(77)는 바닥벽(7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먼지 배출구(77)는 상류 챔버(61)의 저부를 먼지 회수부(73)에 연결한다. 이 실시예에서, 바닥벽(70)은 먼지 배출구(77)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회수부(73)에는 실드 부재(80)가 마련된다. 실드 부재(80)는 합성 수지제의 박판이다. 실드 부재는 연장벽(74)의 구획부(74a)를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실드 부재(80)의 상단부는 피봇 샤프트(81)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케이스 부재(22)에 고정된다.
실드 부재(8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실드 부재(80)는 먼지 배출구(77)를 개방한다. 제2 위치에서, 실드 부재는 먼지 배출구(77)를 폐쇄한다. 실드 부재(80)가 먼지 배출구(77)를 개방하면, 상류 챔버(61)의 저부와 먼지 회수부(73)는 서로 연통된다. 실드 부재(80)가 먼지 배출구(77)를 폐쇄하면, 상류 챔버(61)의 저부와 먼지 회수부(73)는 더 이상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도 4는 실드 부재(80)가 제2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실드 부재(80)는 보통은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제1 위치에 유지된다. 실드 부재(80)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4)가 작동함에 따라 분리 장치 케이스(21)의 상류 챔버(61) 내에 부압이 발생되면 먼지 배출구(77)로 끌어당겨진다. 이어서, 실드 부재(80)는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된다. 따라서, 실드 부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배출구(77)를 폐쇄한다.
진공 청소기(1)가 어떻게 작동하는 지를 설명한다.
모터 구동식 블루워(4)는 사용자가 조작 패널(8)을 조작하면 작동을 개시한다. 분리 장치 케이스(21)로부터 필터(53)를 통해 공기가 흡인된다. 분리 장치(25)의 분리 챔버 내에 부압이 발생된다. 그 결과, 흡입 헤드(7)로부터 흡입 유닛(3)을 통해 메인 유닛(2)의 연결 마우스(2b) 내로 먼지(바닥에 있다면)가 공기와 함께 흡인된다.
필터(53)에 접촉되는 먼지를 함유하는 공기는 먼지 분리 장치(11)를 통과할 때에 분리 장치(25)에서 관성력을 이용하여 먼지와 공기가 분리된다. 이어서, 공기는 필터(53)를 통과할 때에 여과된다. 따라서, 먼지가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이제 먼지를 함유하지 않은 깨끗한 공기는 분리 장치 케이스(21)로부터 공기 유출구(52)를 통해 유동한 다음 메인 유닛(2)으로부터 모터 구동식 블로워(4)에 의해 배출된다.
분리 장치(25)는 먼지를 이하와 같이 공기로부터 분리한다. 먼지를 함유한 공기는 공기 유입구(24)로부터 유입구(33)를 통해 분리 챔버(28) 내로 유동한다. 분리 챔버(28)에서, 공기는 제1 나선형 가장자리벽(32)을 따라 유동하여 소용돌이를 만든다. 이에 따라, 공기에 함유된 먼지에 원심력이 작용한다. 큰 질량을 각각 갖는 큰 먼지 입자는 안내벽(27)으로 끌어당겨져 안내벽(27)의 내표면을 따라 유출구(37)를 향해 이동한다. 이어서, 큰 질량의 먼지 입자는 유출구(37)로부터 케이스 입구(40)를 통해 집진 케이스(13)의 먼지 통로(15) 내로 이동한다.
한편, 작은 먼지 입자와 공기의 일부는 분리 챔버(28)로부터 관통 구멍(30)을 통해 공기 흡입 실린더(26) 내로 흡인된다. 큰 질량의 먼지 입자는 분리 장치(25)에서 먼지로부터 분리된다.
분리 챔버(28) 내의 공기 소용돌이의 일부는 유입구(75)를 통해 먼지 회수부(73) 내로 유동한다. 먼지는 먼지 회수부(73)로부터 유출구(76)를 통해 다시 분리 챔버(28) 내로 유동한다. 분리 챔버(28)에서, 공기는 분리 챔버(28) 내에서 유동 한 공기 흐름과 함께 흐른다.
공기 흡입 실린더(26) 내로 흡인된 공기는 공기 통로(35) 내로 유동한다. 그런데, 분리 챔버(28)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통기구(36)에 마련된 필터(36a)를 통해 공기 통로(35) 내로 유동하여 공기 흡입 실린더(26)로부터 유동하는 공기와 결합된다. 집진 케이스(13)의 먼지 통로(15) 내로 유동된 먼지는 큰 질량의 먼지 입자와 함께 배출구(41)와 통기구(38)에 마련된 필터(41a)를 통해 공기 통로(35) 내로 흡인된다. 이어서, 공기는 전술한 공기 흡입 실린더(26)로부터 유동하는 공기와 결합된다.
그 결과, 집진 케이스(13)의 먼지 통로(15) 내로 안내되는 큰 질량의 먼지 입자는 기류에 의해 먼지 회수 챔버(16)를 향해 이동한다. 먼지 입자의 이동은 먼지 통로(15)에서 촉진된다. 이들 먼지 입자는 먼지 회수 챔버(16) 내로 빠르게 안내된다.
공기는 공기 통로(35)로부터 필터(53)를 향해 유동한다. 이 작은 먼지 입자를 함유한 공기는 필터 요소(58)에서 여과된다. 필터 요소(58)는 작은 먼지 입자를 포획한다. 먼지를 함유하지 않는 깨끗한 공기는 분리 장치 케이스(21)로부터 공기 유출구(52)를 통해 유동하여 모터 구동식 블로워(4) 내로 흡인된다.
모터 구동식 블로워(4)가 작동을 유지하는 한, 필터(53)와 제1 케이스 부재(22) 사이에 마련된 상류 챔버(61) 내에는 높은 부압이 발생된다. 이 부압은 먼지 배출구(77)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실드 부재(80)가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먼지 배출구(77)를 향해 끌어당겨져 최종적으로 제1 위치에 유지된다. 제1 위치에서, 실드 부재(80)는 먼지 배출구(77)를 폐쇄한다. 분리 챔버(28) 내에서 소용돌이치는 공기는 상류 챔버(61) 내로 흡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분리 장치(25)는 높은 효율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의 작동 모드가 자동 먼지 낙하 모드로 변경되면, 제어 유닛(9)은 필터 구동 장치(63)에 지시를 내린다. 이 지시를 수령하면, 필터 구동 장치(63)는 규정된 수의 구동 펄스를 발생시킨다. 구동 펄스는 전동 모터(64)를 구동시킨다. 전동 모터(64)의 토크는 구동 기어(65) 및 종동 기어(56)를 통해 필터(53)로 전달된다. 필터(53)는 이 필터에 규정된 각도에 걸쳐 회전된다.
필터 요소(58)가 회전함에 따라, 필터 요소(58)의 주름부(58a)의 원주부는 돌기(71) 위에서 차례로 이동된다. 바꿔 말하면, 주름부(58a)가 돌기(71)를 통과함에 따라, 돌기(71)는 각 주름부(58a)를 튀긴다. 주로 필터 요소(58)의 전방에 포획된 작은 먼지 입자는 바닥벽(70) 상으로 떨어진다. 필터 요소(58)에 의해 포획된 작은 먼지 입자는 굳어져서 큰 먼지 입자를 형성한다. 큰 먼지 입자는 필터(53)로부터 바닥벽(70) 상으로 떨어진다.
돌기(71)는 이 돌기가 주름부(58a)를 튀길 때에 필터 요소(58)의 저부를 진동시킨다. 먼지는 필터(58)의 전방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즉시 낙하한다. 먼지는 필터 요소(58)의 전방에서 거의 축적되지 않는다.
먼지 낙하 모드에서, 돌기(71)는 필터 요소(58)의 주름부(58a)를 반복하여 튀길 때 반복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돌기의 탄성 변형을 수반하는 진동은 제1 케이스 부재(22)의 바닥벽(70)으로 쉽게 전달된다. 또한, 바닥벽(70)은 먼지 배출구 (77)에 근접함에 따라 점차 하방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바닥벽(70) 상에 떨어져 굳어진 먼지는 이렇게 경사진 바닥벽(70)을 따라 필터 요소(58)로부터 먼지 배출구(77)를 향해 신속하게 이동된다.
자동 먼지 낙하 모드에서, 모터 구동식 블로워(4)는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실드 부재(80)는 제1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먼지 배출구(77)가 개방된다. 먼지는 바닥벽(70)으로부터 먼지 배출구(77)를 통해 먼지 회수부(73)로 이송된다.
청소를 계속하거나 청소를 새로이 개시하기 위하여 진공 청소기(1)에 의한 청소를 동작하면, 모터 구동식 블로워(4)가 구동될 때에 부압이 먼지 배출구(77)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실드 부재(8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먼지 배출구(77)를 폐쇄한다. 동시에, 분리 챔버(28) 내에서 소용돌이치는 공기의 일부는 먼지 회수부(73)를 통과한다. 먼지 배출구(77)로부터 먼지 회수부(73)로 이동된 먼지는 먼지 회수부(73) 내에서의 기류 때문에 분리 챔버(28)로 복귀된다.
분리 챔버(28)로 복귀된 먼지 입자는 안내벽(27)의 내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큰 질량의 큰 먼지 입자에 들러붙는다. 따라서, 먼지 입자는 유출구(37)로부터 케이스 입구(40)를 통해 집진 케이스(13)의 먼지 통로(15)로 안내된다. 즉, 필터 요소(58)로부터 떨어진 먼지는 큰 먼지 입자와 함께 먼지 회수 챔버(16) 내에 수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1)에 있어서, 먼지 분리 장치(11)는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와 필터 요소(58)로부터 떨어진 먼지를 집진 케이스(13)의 먼지 회수 챔버(16) 내로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집진 케이스(13)에서 먼지를 수집하는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필터 요소(58)로부터 떨어진 먼지를 수집하는 데에 집진 유닛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먼지 분리 장치(11)는 집진 유닛을 이용한 것보다 콤팩트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요소(58)로부터 떨어진 먼지를 포획하는 바닥벽(70)이 먼지 배출구(77)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먼지가 떨어질 때에 발생되는 진동을 수용한다. 따라서, 필터 요소(58)로부터 떨어진 먼지가 바닥벽(70) 상에 머물거나 축적되지 않는다.
또한, 필터 요소(58)로부터 떨어진 먼지는 상류 챔버(61)에서 축적되지 않는다. 이는 먼지가 먼지 배출구(77)를 통해 먼지 회수부(73) 내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또한, 먼지가 먼지 회수부(73)로부터 상류 챔버(61)로 다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그 이유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4)가 작동을 개시할 때마다 실드 부재(80)가 자동적으로 먼지 배출구(77)를 폐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터 구동식 블로워(4)가 작동을 개시하면, 필터 요소(58)로부터 자동적으로 떨어진 먼지는 부압으로 인해 상류 챔버(61) 내로 흡인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필터 요소(58)에 다시 고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필터 요소(58)를 통과하는 기류에 대한 저항이 저감됨으로써, 먼지를 흡인하는 효율이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요소(58)의 폐색이 방지되어, 필터(53)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그렇게 자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필터(53)의 취급이 쉬워진다.
이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1)에 있어서, 필터 요소(58)로부터 바닥벽(70) 상에 떨어진 먼지는 먼지를 떨어뜨리도록 필터(53)에 가해지는 진동을 이용함으로써 먼지 회수부(73)로 이동된다. 따라서, 바닥벽(70)으로부터 먼지 회수부(73)로 먼지를 이동시키는 수단이 불필요하다. 특별한 노력없이 먼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1)의 구성 및 작동이 간소하다.
이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모터 구동식 블로워(4)가 작동을 개시할 때에 발생되는 부압은 실드 부재(80)를 제2 위치에 유지한다. 실드 부재(80)를 제2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 또한 진공 청소기(1)를 간소화하는 데에 일조한다.
이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1)에 있어서, 먼지 회수부(73)는 분리 장치(25)의 저부에 고정되어 먼지 배출구(77)와 연통된다. 따라서, 분리 장치(25)의 안내벽(27)은 먼지 배출구(77)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먼지 배출구(77)가 제1 케이스 부재(22)의 저부로 개방되어 있더라도 필터(53)에 대해 적절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진공 청소기(1)는 높은 설계 자유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분리 챔버의 먼지 회수부는 없어도 좋다. 이 경우에, 먼지 배출구는 분리 장치의 안내벽에 형성된다.
실드 부재(80)는 먼지 배출구(80)를 개폐하지 않아도 좋다. 대신에, 유출구(76)를 개폐할 수도 있다.
또한, 먼지 낙하 기구로서 진동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에 추가하여, 전력 코드를 청소기의 메인 유닛으로부터 빼내고 메인 유닛으로 다시 감을 때에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필터를 진동시키는 부재를 마련할 수도 있다.
먼지 낙하 기구로서 사용되는 돌기를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를 향해 돌출하도록 제2 케이스 부재에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돌기는 필터가 회전할 때에 그 내주면에서 튀긴다. 따라서, 돌기는 필터로부터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낙하 기구는 필터 요소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필요가 없다. 예컨대, 먼지 낙하 기구는 필터 요소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튀기고, 이에 따라 필터를 진동시켜 결국에 필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먼지 낙하 기구는 필터 요소와 빈번하게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필터 요소가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하나의 돌기 대신에, 필터의 원주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돌기가 배치되어도 좋다. 필터는 어느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다.
먼지 낙하 기구는 먼지를 필터로부터 떨어뜨리도록 필터를 진동시키지 않아도 좋다. 대신에, 먼지를 필터로부터 떨어뜨리도록 공기를 가하고 다른 무엇인가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는 디스크형으로 형성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부를 가질 수도 있다. 더욱이, 필터는 주름형 필터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필터는 적소에 고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먼지를 떨어뜨리는 돌기가 필터의 원주면에서 회전된다. 돌기가 회전되지 않으면, 대신에 필터가 회전되고, 필터를 회전시키는 장 치를 분리 장치 케이스로부터 제거하고 청소기의 메인 유닛에 부착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이점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보다 광범위한 양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도시 및 설명된 특별한 상세 내용 및 대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전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를 집진부 내에 효율적으로 축적하고, 필터에 먼지가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진 성능을 오랜 시간 동안 높게 유지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먼지 배출구가 있는 분리 장치 케이스와,
    이 분리 장치 케이스 내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와,
    상기 분리 장치 케이스 내에 마련되고, 먼지 배출구와 연통하는 분리 챔버를 구비하며, 관성력을 이용하여 분리 장치 케이스 내로 흡인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 장치와,
    이 분리 장치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분리 장치를 통과한 먼지를 포획하는 필터와,
    이 필터에 의해 포획된 먼지를 떨어뜨리는 먼지 낙하 기구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여, 제1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에 먼지 배출구를 분리 챔버에 연결하고, 제2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에 분리 챔버로부터 먼지 배출구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실드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실드 부재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가 작동하는 한 제2 위치에서 유지되며,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먼지 낙하 기구에 의해 떨어진 먼지가 먼지 배출구를 통해 분리 챔버 내로 이동되게 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일단부가 분리 챔버로부터 연장되고 타단부가 분리 챔버에 연결된 먼지 회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먼지 배출구는 먼지 회수부로 개방되어 있는 것인 진공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낙하 기구에 의해 필터로부터 떨어진 먼지는 실드 부재가 제1 위치로 이동될 때에 먼지 배출구로부터 먼지 회수부로 안내되고, 이 먼지 회수부로 안내된 먼지는 분리 챔버로부터 먼지 회수부를 통해 분리 챔버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분리 챔버로 복귀되는 것인 진공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 케이스는 필터로부터 떨어진 먼지를 수용하고 먼지 배출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바닥벽을 갖는 것인 진공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낙하 기구는 필터를 진동시킴으로써, 필터로부터 먼지를 떨어뜨리고, 먼지 낙하 기구의 진동은 분리 장치 케이스의 바닥벽으로 전달되어 바닥벽 상의 먼지를 먼지 배출구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인 진공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부재는 분리 장치 케이스 내에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제2 위치에 유지되는 것인 진공 청소기.
  7. 부압을 발생시키는 공기 유입구가 있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와,
    이 모터 구동식 블로워의 공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먼지 배출구가 있는 분리 장치 케이스와,
    이 분리 장치 케이스 내에 마련되고, 모터 구동식 블로워에 의해 분리 장치 케이스 내로 흡인된 공기로부터 관성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챔버와, 분리 챔버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흐르고 먼지 배출구가 개방되어 있는 먼지 회수부를 포함하는 분리 장치와,
    이 분리 장치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 지지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에 대해 분리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며, 분리 장치를 통과한 먼지를 포획하는 필터와,
    이 필터에 의해 포획된 먼지를 떨어뜨리는 먼지 낙하 기구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제1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에 먼지 배출구를 개방하며 제2 위치에서 유지되는 동안에 먼지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실드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실드 부재는 모터 구동식 블로워가 작동하는 한 제2 위치에서 유지되며,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먼지 낙하 기구에 의해 떨어진 먼지가 먼지 배출구를 통해 먼지 회수부로 이동되게 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 케이스는 필터로부터 떨어진 먼지를 수용하고 먼지 배출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바닥벽을 갖는 것인 진공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낙하 기구는 필터를 진동시킴으로써, 필터로부터 먼지를 떨어뜨리고, 먼지 낙하 기구의 진동은 분리 장치 케이스의 바닥벽으로 전달되어 바닥벽 상의 먼지를 먼지 배출구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인 진공 청소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회수부는 분리 챔버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흡인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가 분리 챔버로 복귀되고 공기가 분리 챔버 내에서 유동하는 방향에 대해 공기 유입구의 하류에 배치되는 공기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
KR1020060068081A 2005-07-21 2006-07-20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764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1395A JP3999791B2 (ja) 2005-07-21 2005-07-21 電気掃除機
JPJP-P-2005-00211395 2005-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240A true KR20070012240A (ko) 2007-01-25
KR100764587B1 KR100764587B1 (ko) 2007-10-09

Family

ID=3710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081A KR100764587B1 (ko) 2005-07-21 2006-07-20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17190A1 (ko)
EP (1) EP1745734A3 (ko)
JP (1) JP3999791B2 (ko)
KR (1) KR100764587B1 (ko)
CN (1) CN100544659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1902A2 (ko) * 2008-10-10 2010-04-15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60371B1 (ko) * 2008-08-08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71671B1 (ko) * 2008-08-08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9791B2 (ja) 2005-07-21 2007-10-31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US20070289444A1 (en) * 2006-06-14 2007-12-2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Vacuum cleaner having a filter capable of collecting dust
JP4550028B2 (ja) * 2006-08-07 2010-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20080264014A1 (en) * 2007-04-30 2008-10-3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mpress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US7785381B2 (en) * 2007-04-30 2010-08-3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with combined compacting and filter cleaning for a vacuum cleaner
KR101164335B1 (ko) 2007-12-26 2012-07-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청소기
JP5086859B2 (ja) * 2008-03-26 2012-11-28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KR101306739B1 (ko) * 2010-08-09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DE102013007183A1 (de) * 2013-04-25 2014-10-30 Nilfisk-Advance A/S Schmutzsauger mit Abreinigungssteuerung für den oder die Filter
JP6445023B2 (ja) * 2014-03-12 2018-12-26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フィルタ清掃部材を備えるバッグレス真空掃除機
CN111110107A (zh) * 2019-12-18 2020-05-08 南京视莱尔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工业生产车间用吸尘机器人及使用方法
JP2022139137A (ja) * 2021-03-11 2022-09-2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及び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333A (en) * 1991-03-28 1992-06-09 Davis Henry J Recycling system for industrial vacuum machine
SE512295C2 (sv) * 1999-04-08 2000-02-28 Electrolux Ab Tömningssystem för en cyklondammsugare
DE20102723U1 (de) * 2001-02-15 2001-05-03 Schoettle Kg Electrostar Staubsauger
JP2003319896A (ja) 2002-04-26 2003-11-11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4187496B2 (ja) * 2002-10-04 2008-11-2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0633355B1 (ko) * 2002-10-31 2006-10-16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청소기
JP3490081B1 (ja) * 2003-01-17 2004-01-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0456167B1 (ko) * 2002-11-22 2004-11-0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3999791B2 (ja) 2005-07-21 2007-10-31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371B1 (ko) * 2008-08-08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71671B1 (ko) * 2008-08-08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WO2010041902A2 (ko) * 2008-10-10 2010-04-15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WO2010041902A3 (ko) * 2008-10-10 2010-07-01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9187A (zh) 2007-01-24
EP1745734A3 (en) 2008-12-24
US20070017190A1 (en) 2007-01-25
KR100764587B1 (ko) 2007-10-09
EP1745734A2 (en) 2007-01-24
JP2007021083A (ja) 2007-02-01
CN100544659C (zh) 2009-09-30
JP3999791B2 (ja)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587B1 (ko) 관성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633355B1 (ko) 진공 청소기
KR10117829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882548B1 (ko) 전기 청소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356519B1 (ko) 진공 청소기
JP4798637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4212608B2 (ja) 電気掃除機
KR100729716B1 (ko) 진공청소기
JP2006110321A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2005305114A (ja) 掃除機用集塵装置
JP3949615B2 (ja) 電気掃除機
JP3831708B2 (ja) 電気掃除機
JP4277728B2 (ja) 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そのフィルタユニット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3889364B2 (ja) 電気掃除機
KR100849777B1 (ko) 전기청소기
RU2433778C1 (ru) Пыле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ылесос
JP4256368B2 (ja) 電気掃除機
JP2005021469A (ja) 電気掃除機
JP2004135994A (ja) 電気掃除機
JP2004194977A (ja) 電気掃除機
KR20070024355A (ko) 집진 용기 및 전기 청소기
JP2004180760A (ja) 電気掃除機
JP3488878B1 (ja) 電気掃除機
JP2004283345A (ja) 電気掃除機
JP2004216009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