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548B1 - 전기 청소기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548B1
KR100882548B1 KR1020070050348A KR20070050348A KR100882548B1 KR 100882548 B1 KR100882548 B1 KR 100882548B1 KR 1020070050348 A KR1020070050348 A KR 1020070050348A KR 20070050348 A KR20070050348 A KR 20070050348A KR 100882548 B1 KR100882548 B1 KR 100882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air
electric blower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494A (ko
Inventor
요시히로 츠치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649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26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64947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2609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31Motor parameters, e.g. motor load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5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appliances, e.g.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1)는 공기를 흡입하는 전동 송풍기(4)와, 전동 송풍기(4)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포집 유닛(15)을 포함한다. 전동 송풍기(4)와 먼지 포집 유닛(15) 사이에 위치한 수용부(23)가 먼지 포집 유닛(15)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61)를 유지한다. 필터(61)와 전동 송풍기(4) 사이에는 기류 제어 장치(111)가 배치되어 있다. 기류 제어 장치(111)는, 먼지 포집 유닛(15)과 필터(61)를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4)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1 기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기류 제어 장치(111)는, 필터(61)를 우회하고, 먼지 포집 유닛(15)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4)를 향해 유동하는 제2 기류를 발생시킨다. 먼지 포집 유닛(15)의 일부는 제2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용부(23)의 하류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 및 그 구동 방법{VACUUM CLEAN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먼지 포집 유닛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먼지 포집 유닛, 기류 제어 장치 및 전동 송풍기 사이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먼지 포집 유닛, 기류 제어 장치 및 전동 송풍기 사이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제공되는 먼지 포집 유닛을 뒤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제공되는 먼지 포집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제공되는 먼지 포집 유닛을 앞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커버가 메인 유닛의 케이스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의, 먼지 포집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선 F10-F10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취한, 먼지 포집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분리부와 복귀 경로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먼지 포집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분리부와 복귀 경로가 서로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먼지 포집 유닛의 수집 케이스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필터가 케이스의 필터 커버부에 합체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먼지 포집 유닛의 제2 셔터와 흡기구 사이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필터를 케이스의 필터 커버부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먼지 포집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먼지 포집 유닛과 기류 제어 장치가 갖는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기류 제어 장치의 제어 부재와 덕트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가 제1 위치로 유지되는 동안 에 덕트의 제2 개방단과 제어 부재의 스위칭 통로가 갖는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가 제2 위치로 유지되는 동안에 덕트의 제2 개방단과 제어 부재의 스위칭 통로가 갖는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청소기
4 : 전동 송풍기
15 : 먼지 포집 유닛
23 : 수용부
61 : 필터
111 : 기류 제어 장치
본 발명은, 관성력을 활용하는 먼지 수집 유닛과 먼지 수집 유닛의 하류에 위치한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각각 관성력을 이용하여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이에 따라 백 형상의 팩 필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전기 청소기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전기 청소기는 예컨대 일본 특허 제34900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합체한 청소기 본체를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는 먼지 수집 용기를 지지한다.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먼지 수집 용기는 전동 송풍기의 전반에 위치한다. 먼지 수집 용기는 제1 먼지 수집 챔버와, 감압 챔버와, 분리부 및 안내 덕트를 구비한다. 감압 챔버는 전동 송풍기의 흡기구와 연통한다. 전동 송풍기가 동작하면, 감압 챔버 내에 부압이 발생한다. 감압 챔버는 제1 망형 필터를 통하여 제1 먼지 수집 챔버와 연통한다. 분리부는 감압 챔버 내에 마련되어 있다. 분리부는 중공 실린더 형상의 덕트를 구비한다. 덕트의 상류단은 공기와 함께 먼지가 흡입되는 호스에 접속되어 있다. 덕트의 일부는 제2 망형 필터를 통하여 감압 챔버와 연통한다. 안내 덕트는 덕트의 하류단을 제1 먼지 수집 챔버에 접속한다.
호스로부터 분리부의 덕트로 흡입되고 먼지를 함유하는 공기가 제2 망형 필터를 통하여 감압 챔버로 안내된다. 관성력에 의해 덕트 내로 흡입된, 비교적 질 량이 큰 먼지 입자는 덕트를 통과하고, 안내 덕트를 통하여 제1 먼지 수집 챔버 내로 안내된다. 덕트 내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안내 덕트를 통하여 제1 먼지 수집 챔버로 안내된다. 제1 먼지 수집 챔버내에는 소용돌이 기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기류는 제1 먼지 수집 챔버 내로 안내된 먼지 입자를 포함한다. 제1 먼지 수집 챔버 내의 공기는 제1 망형 필터를 통하여 감압 챔버로 안내된다. 감압 챔버 내에선, 공기는 제2 망형 필터를 통과한 공기와 만난다. 이로써, 덕트는 분리부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먼지 수집 용기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구에 인접한 단부에 개구를 구비한다. 먼지 수집 용기의 개구에는 주름 필터가 마련된다. 주름 필터는 분리부를 통과한 미세 먼지 입자를 포집할 수 있다. 주름 필터는 공기 유동 방향에 대하여 먼지 수집 용기의 하류에 위치하고, 전방에서 감압 챔버에 노출된다.
먼지 수집 용기는 제2 먼지 수집 챔버를 구비한다. 제2 먼지 수집 챔버는 주름 필터의 아래에 위치하고, 먼지 수용 용기의 후방벽에 의해 제1 먼지 수집 챔버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먼지 수집 용기의 후방벽은 주름 필터의 전방 하부 근처에 위치한다. 먼지 수집 용기의 후방벽과 주름 필터의 전방 사이에 갭이 마련된다. 이 갭의 상부 에지는 감압 챔버로 개방된다. 갭의 하부 에지는 제2 먼지 수집 챔버로 개방된다.
주름 필터가 포집한 먼지는 먼지 제거 기구에 의해 주름 필터로부터 강제 제거된다. 먼지 제거 기구는 전동 송풍기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에 주름 필터를 진동시킨다. 이로써, 미세 먼지 입자는 주름 필터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주름 필터로부터 분리된 먼지는 먼지 수집 용기의 후방벽과 주름 필터의 전방 사이의 협소한 갭을 통과하여, 제2 먼지 수집 챔버로 낙하한다. 갭으로 인하여, 전동 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이 제2 먼지 수집 챔버에 작용하기 어렵게 된다. 달리 말하면, 제2 먼지 수집 챔버에서 수집된 먼지는 감압 챔버 내로 수집되고, 이로써 주름 필터에 다시 고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먼지 제거 기구는 주름 필터로부터 미세 먼지 입자를 제거하고, 먼지는 제2 먼지 수집 챔버에 수집된다. 먼지 제거 기구는, 주름 필터가 노출되어 있는 감압 기구의 내면 또는 갭에 대향하는 먼지 수집 용기의 후방벽을 적극적으로 청소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따라서, 먼지 제거 기구에 의해 주름 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감압 챔버 또는 갭에서 부유하는 경우에, 이 먼지는 주름 필터가 노출되어 있는 감압 기구의 내면 또는 갭에 대향하는 먼지 수집 용기의 후방벽에 필연적으로 고착되게 된다. 또한, 주름 필터로부터 제거되어 감압 챔버에서 유동하는 먼지는, 먼지 제거 기구가 주름 필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동작을 정지한 후에 다시 주름 필터에 필연적으로 고착되게 된다.
따라서, 먼지가 제거된 후에 전기 청소기가 다시 동작하는 경우에, 예컨대 감압 챔버의 내면에 있는 먼지는 전동 송풍기가 동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부압에 기인하여 감압 챔버의 외부로 인출되고, 궁극적으로 주름 필터의 저면에 고착되게 된다. 먼지가 주름 필터에 부착됨에 따라, 주름 필터가 짧은 시간 내에 막힐 수 있다.
또한, 주름 필터가 먼지 수집 용기로부터 분리될 때에, 먼지가 감압 챔버의 내면 또는 먼지 수집 용기의 후방벽에 고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주름 필터뿐 아니라, 감압 챔버의 내부 또는 먼지 수집 용기의 후방벽을 청소해야만 한다. 이로 인하여, 전기 청소기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청소기를 일부 개선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 송풍기를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한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와 필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청소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전동 송풍기;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부와, 이 분리부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먼지 수집부를 구비하는 먼지 포집 유닛; 전동 송풍기와 먼지 포집 유닛 사이에 배치된 수용부; 수용부에 마련되고,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필터와 전동 송풍기 사이에 배치된 기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먼지 포집 유닛과 필터를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를 향해 흐르는 제1 기류를 형성하는 일 경로와,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수용부로부터 나온 후에 먼지 포집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를 향해 흐르는 제2 기류를 형성하는 타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포집 유닛의 부분은 제2 기류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수용부의 하류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2 기류를 활용함으로써,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한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와 필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청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지가 필터나 수용부에 고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 청소기는 깨끗하게 유지된다. 또한, 필터뿐 아니라 수용부도 때마다 수동으로 청소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및 이점을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하며, 부분적으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며,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이하에서 특정하게 설명하는 조합 및 수단에 의해 구현되고 얻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 예시적인 실시예, 전술한 개략적인 설명 및 후술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2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청소 대상 바닥에서 이동할 수 있는 캐니스터 타입의 전기 청소기(1)를 도시한다. 전기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2)와 흡입 유닛(3)을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2)는 복수의 휠(2a)과 접속구(2b)를 구비한다. 휠(2a)은 청소기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접속구(2b)는 청소기 본체(2)의 앞에서 개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는 전동 송풍기(4)를 수용한다. 전동 송풍기(4)는 청소기 본체(2)의 후반부에 마련되어 있고, 흡기구(4a) 및 지지 링(4b)을 구비한다. 흡기구(4a)를 통하여, 공기가 전동 송풍기(4) 내로 흡입될 수 있다. 고무로 제조된 지지 링(4b)이 흡기구(4a)를 에워싼다. 흡기구(4a)는 청소기 본체(2)의 전방을 향한다. 지지 링(4b)은 전동 송풍기(4)의 전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2)는 복수의 배기구(2c)를 구비한다. 배기구(2c)는 전동 송풍기(4)의 후방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유닛(3)은 흡입 호스(5)와, 복수의 연장관(6)과, 흡입 헤드(7)를 구비한다. 흡입 호스(5)는 가요성 호스 본체(5a)를 구비한다. 가요성 호스 본체(5a)는 일단에 접속부(5b)를 구비하고, 타단에 조작부(5c)를 구비한다. 중공 실린더와 유사한 형상의 접속부(5b)는 청소기 본체(2)의 접속구(2b)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5c)는 조작 패널(8)을 구비한다. 조작 패널(8)은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에어 퍼지 버튼(8a)을 포함한 복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한다. 조작 버튼을 누르면, 조작 버튼은 청소기 본체(2)에 마련되어 있는 제어 장치(9; 도 22에 도시됨)에 의해 전기 청소기(1)의 작동을 제어한다. 선단 연장관(6)이 조작부(5c)에 접속되고, 이 조작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흡입 헤드(7)가 말단 연장관(6)의 말단에 접속되고, 이 말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는 홀더부(2d)를 구비한다. 홀더부(2d)는 접속구(2b)와 전동 송풍기(4) 사이에 위치한다. 홀더부(2d)는 상향 개방되는 오목부이다. 홀더부(2d)의 후단에 케이스 홀더(11)가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홀더(11)는 청소기 본체(2)로부터 직립으로 연장되 어, 전동 송풍기(4)와 홀더부(2d)를 분할한다. 케이스 홀더(11)는 전동 송풍기(4)의 전방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11a)을 구비한다. 케이스 홀더(11)는 복수의 공기 구멍(12a)이 있는 직립 벽(12)을 더 구비한다. 직립 벽(12)은 청소기 본체(2)의 전방으로부터 케이스 홀더(11)의 관통 구멍(11a)을 덮고, 홀더부(2d)에 대해 노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포집 유닛(15)이 청소기 본체(2)의 홀더부(2d)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먼지 포집 유닛(15)은 본체(16)와 먼지 수집 케이스(17)를 구비한다. 본체(16)는 케이스(21)를 구비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커버부(22)가 케이스(21)의 후반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 커버부(22)는 원반형 전방벽(22a)과, 이 전방벽(22a)의 원주 방향 에지에 접속된 원주벽(22b)을 구비한다. 원주벽(22b)은 전방벽(22a)의 원주 방향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이에 따라, 필터 커버부(22)는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홀더부(2d)의 후방으로 개방된다. 먼지 포집 유닛(15)이 홀더부(2d)에 설치될 때, 필터 커버부(22)는 케이스 홀더(11)와 합체되어, 홀더부(2d) 내에 필터 수용부(23)를 구성한다. 필터 수용부(23)는 수용부의 하나의 예이다. 필터 수용부는 기류의 방향에 대하여 전동 송풍기(4)의 상류에 위치한다.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흡기 덕트(24)와 미세 먼지 덕트(25)를 구비한다. 흡기 덕트(24)는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의 중심부로부터 케이스(21)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케이스(21)의 전방으로 개방된다. 흡기 덕트(24)는, 먼지 포집 유닛(15)이 청소기 본 체(2)의 홀더부(2d)에 설치될 때 청소기 본체(2)의 접속구(2b)에 접속된다.
미세 먼지 덕트(25)는 흡기 덕트(24)의 아래에 위치한다. 미세 먼지 덕트(25)는 제1 출구(25a), 제1 입구(25b), 제2 출구(25c)를 구비한다. 제1 출구(25a)는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의 하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제1 입구(25b)는 케이스(21)의 전반부의 우측에서 개방되어 있다. 제1 입구(25b)의 개방 단부는 밀봉 부재(26)로 에워싸여 있다. 제2 출구(25c)는 케이스(21)의 전반부의 바닥에서 개방되어 있다.
제2 출구(25c)는 보조 필터(27)로 덮여 있다. 보조 필터(27)는 미세 먼지 덕트(25)에 노출되어 있다. 보조 필터(27)는 주름 필터(pleated filter), 즉 복수의 주름을 갖는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필터(27)의 주름은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스(21)의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의 아래에 덕트(28)가 마련되어 있다. 덕트(28)는 청소기 본체(2)에 고정되고, 청소기 본체(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덕트(28)는 제1 개방단(28a)과 제2 개방단(28b)을 구비한다. 제1 개방단(28a)은 덕트(28)의 전단에서 상향 개방되어 있다. 제1 개방단(28a)은, 먼지 포집 유닛(15)을 청소기 본체(2)의 홀더부(2d)에 설치할 때에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2 출구(25c)에 기밀하게 접속된다. 제2 개방단(28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28)의 후단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필터(27)는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2 출구(25c)를 덮는다. 보조 필터(27)는 제2 필터(25c)를 덮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에, 보조 필 터는 예컨대 덕트(28)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필터(27)는 덕트(28)의 제1 개방단(28a)을 양호하게 덮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보조 필터(27)는 청소기 본체(2)의 홀더부(2d)에 놓인다. 이에 따라, 홀더부(2d) 내에서 보조 필터(27)의 유지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지 포집 유닛(15)의 본체(16)는 분리부(31)를 구비한다. 분리부(31)는 관성력, 바람직하게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흡입 유닛(3)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설계된다. 분리부는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에 위치한다.
분리부(31)는 안내 벽(32), 흡입 실린더(33) 및 커버(34)를 구비한다. 안내 벽(32)은 중공 실린더와 유사한 형상이며, 케이스(21)와 일체로 형성되고, 흡기 덕트(24)와 미세 먼지 덕트(25)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안내 벽(32)은 미세 먼지 덕트(25)를 가로질러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1 입구(25b)와는 반대측에 있다. 격벽(35)이 안내 벽(32)을 미세 먼지 덕트(25)로부터, 또한 흡기 덕트(24)로부터 분리한다.
흡입 실린더(33)는 격벽(35)으로부터 돌출하고, 안내 벽(32)에 의해 둘러싸인다. 흡입 실린더(33)는 나일론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되는 메쉬 부재인 원통형 벽을 구비한다. 원통형 벽은 통기성이 있으므로,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한다. 흡입 실린더(33)의 직경은 격벽(35)으로부터 말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흡입 실린더(33)의 말단은 폐쇄되어 있다. 흡입 실린더(33)의 내부는 격벽(35)에 마련된 관통 구멍(35a)을 통하여 미세 먼지 덕트(25)의 내부와 연통한다. 관통 구멍(35a)은 미세 먼지 덕트(25)로 개방되는 제2 입구이다.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공간인 분리 챔버(31a)가 안내 벽(32)의 내면과 흡입 실린더(33)의 원주벽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분리 챔버(31a)의 상부는 흡기 덕트(24)와 연통한다. 흡기 덕트(24)를 구획하는 벽의 후방부는 분리 챔버(31a)를 향하여 경사진 표면을 구비한다. 흡기 덕트(24)의 후방부는 격벽(35)에 마련된 연통구(36)를 통하여 분리 챔버(31a)와 연통한다. 연통구(36)는 안내 벽(32)과 흡입 실린더(33) 사이에 위치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벽(32)은 먼지 통과구(37), 제1 먼지 수집 구멍(39) 및 제2 먼지 수집 구멍(40)을 구비한다. 먼지 통과구(37)는 안내 벽(32)의 상부에 위치하고, 안내 벽(32)으로부터 상향 개방되어 있다. 먼지 통과구(37)의 개방단은 환형 시일 부재(38)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1 먼지 수집 구멍(39)은 안내 벽(32)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고, 먼지 통과구(37)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제2 먼지 수집 구멍(40)은 안내 벽(32)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고, 먼지 통과구(37)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제2 먼지 수집 구멍(40)은 먼지 통과구(37) 및 제1 먼지 수집 구멍(39)보다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에 더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 7,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34)는 단부벽(41), 외벽(42) 및 제1 내지 제3 원주벽(43-45)을 구비한다. 단부벽(41)은 격벽(35)과 중첩되고, 격벽(35)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단부벽(41)은 연통구(36)와 대등한 크기의 스위칭 구멍(41a; switching hole)을 구비한다. 외벽(42)은 단부 벽(41)의 반대측에 있다. 제1 내지 제3 원주벽(43-45)은 예시적인 제3 셔터를 구성한다. 제1 내지 제3 원주벽(43-45)은 단부벽(41)의 외주 에지와 외벽(42)의 외주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고,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단부벽(41)과 외벽(42)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원주벽(43-45)이 안내 벽(32)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커버(34)가 안내 벽(3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커버(34)는 도 22에 도시된 구동 기구(46)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11은 제1 위치로 회전한 상태의 커버(34)를 도시한다. 제1 위치에서, 단부벽(41)에 마련된 스위칭 구멍(41a)은 격벽(35)에 마련된 연통구(36)와 정렬되고, 제1 원주벽(43)과 제2 원주벽(44) 사이의 간격은 먼지 통과구(37)와 정렬된다. 또한, 제1 원주벽(43)은 제1 먼지 수집 구멍(39)을 폐쇄하고, 제2 원주벽(44)과 제3 원주벽(45) 사이의 간격은 제2 먼지 수집 구멍(40)과 정렬된다.
도 12는 제2 위치로 회전한 상태의 커버(34)를 도시한다. 제2 위치에서, 단부벽(41)은 연통구(36)를 폐쇄하고, 격벽(35)은 단부벽(41)의 스위칭 구멍(41a)을 폐쇄한다. 또한, 제1 원주벽(43)과 제3 원주벽(45) 사이의 간격은 먼지 통과구(37)와 정렬된다. 아울러, 제1 원주벽(43)은 제2 먼지 수집 구멍(40)을 폐쇄하고, 제1 원주벽(43)과 제2 원주벽(44) 사이의 간격은 제1 먼지 수집 구멍(39)과 정렬된다. 안내 벽(32)은 제2 원주벽(44)과 제3 원주벽(45) 사이의 간격을 폐쇄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4)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46)는 복수의 톱니(42a), 제1 모터(46a) 및 기어(46b)를 구비한다. 톱니(42a)는 커버(34)의 외벽(42)의 외주 에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모터(46a)는 전후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기어(46b)는 제1 모터(46a)에 결합되어 있다. 기어(46b)는 외벽(42)에 마련된 톱니(42a)와 맞물린다. 기어(46b)가 톱니(42a)와 맞물려 있으므로, 커버(34)는 안내 벽(32)에 의해 안내되면서 소정 범위 내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먼지 포집 유닛(15)의 먼지 수집 케이스(17)는 단지 먼지 수집부의 하나의 예에 해당하는 것이다. 먼지 수집 케이스(17)는 분리부(31)가 공기로부터 분리한 먼지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먼지 수집 케이스(17)는 분리부(31)와 협력한다. 먼지 수집 케이스(17)와 분리부(31)는 먼지 분리-수집 수단(A)을 구성한다. 도 7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수집 케이스(17)는 먼지 이송부(51)와 먼지 축적부(52)를 구비한다. 먼지 이송부(51)와 먼지 축적부(52)는 서로 연통한다. 먼지 이송부(51)는 청소기 본체(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위로부터 흡기 덕트(24)와 분리부(31)를 덮는다. 먼지 이송부(51)는 일단에 접속구(53)를 구비한다. 접속구(53)는 먼지 통과구(37)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구(53)가 먼지 통과구(37)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먼지 축적부(52)는 먼지 이송부(51)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먼지 축적부(52)는 베이스(52a)와 커버(52b)를 구비한다. 베이스(52a)는 미세 먼지 덕트(25)와 흡기 덕트(24)를 가로질러 분리부(31)의 반대측에 있다. 베이스(52a)의 하단에 공기 덕트(55)와 한 쌍의 지지부(58)가 마련되어 있다. 공기 덕트(55)는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1 입구(25b)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공기 덕 트(55)는 먼지 축적부(52)의 내부로부터 메쉬 부재(56)로 덮여 있다. 메쉬 부재(56)는 예컨대 얇은 스테인리스 강판이다. 얇은 강판의 표면에는 복수의 작은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메쉬 부재(56)는 작은 구멍보다 큰 먼지 입자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커버(52b)는 일측으로부터 베이스(52a)를 덮는다. 커버(52b)의 하단은 힌지 샤프트(57)에 의해 베이스(52a)의 지지부(58)에 결합되어 있다. 커버(52b)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힌지 샤프트(57)의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커버(52b)는 베이스(52a)의 일측으로 경사지고, 그에 따라 먼지 축적부(52)를 개방한다. 폐쇄 위치에서, 커버(52b)는 베이스(52a)를 따라 직립 연장되고, 이에 따라 먼지 축적부(52)를 폐쇄한다. 커버(52b)는, 그 상단이 먼지 이송부(51)에 마련된 결합 부재(도시 생략)와 결합될 때에 폐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베이스(52a)와 커버(52b) 사이에 시일 부재(59)가 개재된다. 시일 부재(59)는 베이스(52a)와 커버(52b)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어, 베이스(52a)와 커버(52b) 사이의 접합부를 기밀 상태로 유지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 수용부(23)는 먼지 분리-수집 수단(A)에 의 후방에 위치한다. 필터 수용부(23)는 필터(61)를 유지한다. 필터(61)는 먼지 축적부(52)에 설치된 메쉬 부재(56)를 통과한 먼지를 포집하도록 제공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61)는 롤러 지지 벽(62), 필터 프레임(63), 지지부(64) 및 필터 요소(65)를 구비한다.
롤러 지지 벽(62)은 필터 커버부(22)보다 작은 직경의 중공 실린더이다. 필 터 프레임(63)은 롤러 지지 벽(62)과 일체로 형성되고, 롤러 지지 벽(62)의 내측에 위치한다. 지지부(64)는 필터 프레임(63)과 일체로 형성되고, 필터 프레임(63)의 중앙에 위치한다. 필터 요소(65)는 필터 프레임(63)에 지지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 요소(65)는 필터 프레임(63)이 형성하는 복수의 주름(65a)을 구비한다. 필터 요소(65)와 필터 프레임(63)은 주름 필터를 구성한다. 필터 요소(65)의 주름(65a)은 지지부(64)의 중앙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필터 요소(65)는 두 인접 주름(65a)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홈(65b)을 구비한다. 각각의 홈(65b)은 지지부(64)로부터 롤러 지지 벽(62)을 직선으로 연장된다. 홈(65b)은 지지부(64)로부터 롤러 지지 벽(62)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필터(61)는 전면과 후면을 구비한다. 전면은 필터 수용부(23)에 대해 노출되어 있다. 후면은 케이스 홀더(11)의 직립 벽(12)에 마주한다. 필터 요소(65)의 홈(65b)은 필터(61)의 전면 및 후면에서 노출되어 있다. 필터(61)의 전면에 있는 홈(65b)은 일단에서 지지부(64)의 외주면에 대해 개방되고, 타단에서 롤러 지지 벽(62)에 의해 폐쇄된다. 필터(61)의 후면에 있는 홈(65b)은 일단에서 지지부(64)에 의해 폐쇄되고, 타단에서 롤러 지지 벽(62)에 대해 개방된다.
복수의 롤러(66; 도 15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가 롤러 지지 벽(62)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있다. 롤러(66)는 롤러 지지 벽(62)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종동 기어(67)가 롤러 지지 벽(62)의 후방 에지와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부(64)의 후단에 손잡이(68)가 결합되어 있다. 손잡이(68)는 필터 프 레임(63)의 중앙에 위치하고, 필터(61)의 후방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61)는 케이스(21)의 후방으로부터 필터 커버부(2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필터 커버부(2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필터(61)의 롤러 지지 벽(62)은 필터 커버부(22)의 원주벽(22b)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롤러 지지 벽(62)에 지지된 롤러(66)는 원주벽(22b)의 내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필터(61)는 필터 커버부(22)에 지지되고, 가이드로서 사용된 원주벽(22b)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롤러 지지 벽(62)의 후단에 위치하는 종동 기어(67)는 필터 커버부(22)의 후단에서 필터 수용부(23)의 외측에 노출된다.
롤러 지지 벽(62)과 필터 커버부(22)의 원주벽(22b) 사이의 간격은 시일 부재(도시 생략)로 채워진다. 시일 부재는 롤러(66)보다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 시일 부재는 필터 수용부(23)를 기밀 상태로 유지한다. 달리 말하면, 필터(61)와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 사이에 기밀 챔버(23a)가 마련된다. 필터(61)의 전면은 기밀 챔버(23a)에 대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의 홀더부(2d)의 바닥에는 제2 모터(71)와 구동 기어(72)가 제공된다. 제2 모터(71)는 구동 유닛의 하나의 예에 해당한다. 구동 기어(72)는 제2 모터(71)로부터 토크를 받을 때 구동된다. 구동 기어(72)는 필터(61)의 종동 기어(67)와 맞물리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2 모터(71)가 구동되면, 구동 기어(72)는 제2 모터(71)의 토크를 종동 기어(67)에 전달한다. 그 결과, 필터는 일정 속도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6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필터 수용부(23)의 후방에서 보았을 때 도 14의 화살 표 F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은 분리부(31)와 기밀 챔버(23a)를 서로 분리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구(81)와 지지 샤프트(82)가 전방벽(22a)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흡기구(81)와 지지 샤프트(82)는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1 출구(25a)의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다. 흡기구(81)와 지지 샤프트(82)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지지 샤프트(82)는 전방벽(22a)으로부터 기밀 챔버(23a)를 향하여 돌출한다.
흡기구(81)는 장방형 횡단면을 갖는 구멍이며, 수직으로 연장된다. 흡기구(81)의 하단은 공기를 필터(61)의 전면의 중앙부로 안내하도록 필터(61)의 전면(前面)의 중앙부를 향한다. 흡기구(81)는 필터 요소(65)의 홈(65b)을 차례대로 향하고, 필터(6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홈(65b) 내로 공기를 불어 넣는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1 출구(25a)에는 제1 셔터(83)가 마련된다. 제1 셔터(83)는 각각 판형을 갖는 한 쌍의 셔터 부재(83a, 83b)를 구비한다. 셔터 부재(83a, 83b)는 각각 피벗 샤프트(84, 85)에 의해 전방벽(22a)에 지지되어 있다. 피벗 샤프트(84, 85)는 직립으로 연장된다. 피벗 샤프트(84, 85)는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결합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결합 기구는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제3 모터(86)에 의해 구동된다.
제3 모터(86)는 전후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모터(86)는 결합 기 구와 피벗 샤프트(84, 85)를 구동하고, 이로써 셔터 부재(83a, 83b)를 각각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90도로 회전시킨다. 도 17은 모두 폐쇄 위치로 회전된 상태의 셔터 부재(83a, 83b)를 도시한다. 폐쇄 위치에서, 셔터 부재(83a, 83b)는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1 출구(25a)에 연속해서 정렬 접속되어, 제1 출구(25a)를 폐쇄한다. 도 6 및 도 7은 개방 위치로 회전한 상태의 셔터 부재(83a, 83b)를 도시한다. 개방 위치에서, 셔터 부재(83a, 83b)는 제1 출구(25a)에서 서로 대향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있다. 따라서, 셔터 부재(83a, 83b)는 제1 출구(25a)를 개방한다. 셔터 부재(83a, 83b)가 개방 위치로 회전한 상태로 있는 중에, 이들 셔터 부재는 제1 출구(25a)로부터 기밀 챔버(23a) 내로 돌출한다.
제1 셔터가 단지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제1 셔터는 개방된 때에 긴 거리에 걸쳐 기밀 챔버(23a) 내로 돌출한다. 결과적으로, 제1 셔터는 필터(61)와 간섭하지 않기 위해서는 필터(61)로부터 긴 거리를 두고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셔터(83)는 2개의 셔터 부재(83a, 83b)로 분리된다. 셔터 부재(83a, 83b)는 물론 작다. 이에 따라, 셔터 부재(83a, 83b)는 셔터(83)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기밀 챔버(23a) 내로 짧은 거리에 걸쳐 돌출한다. 따라서, 필터(61)는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기밀 챔버(23a)가 컴팩트하고 소형으로 된다.
도 6 및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벗 샤프트(84)는 상단이 흡기구(81) 위에 놓이는 상태에서 연장된다. 피벗 샤프트(84)의 상단에 판형 캠(87)이 고정되어 있다. 판형 캠(87)은 피벗 샤프트(84)가 회전할 때에 회전한다. 판형 캠(87)은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과 먼지 포집 유닛(15)의 사이에 위치한다.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과 먼지 포집 유닛(15) 사이에 제2 셔터(88)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셔터(88)는 전방벽(22a) 상에 지지되어 있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제2 셔터(88)는 흡기구(81)를 폐쇄한다. 개방 위치에서, 제2 셔터(88)는 흡기구(81)를 개방한다. 코일 스프링(89)이 제2 셔터(88)를 항상 폐쇄 위치로 가압한다.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수용부(88a)가 제2 셔터(8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캠 수용부(88a)와 판형 캠(87)과 접촉한다. 판형 캠(87)은 캠 수용부(88a)를 가압하고, 제2 셔터(88)가 코일 스프링(89)의 편향력에 저항하여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한다.
피벗 샤프트(84)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셔터(88)와 제1 셔터(83)는 연동하여 동작한다. 제1 셔터(83)가 제1 출구(25a)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에, 판형 캠(87)은 도 16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캠 수용부(88a)를 가압한다. 따라서, 제2 셔터(88)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여, 흡기구(81)를 개방한다. 이와 반대로, 제1 셔터(83)가 제1 출구(25a)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에는, 판형 캠(87)은, 도 16에서 2점 쇄선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수용부(88a)로부터 멀리 떨어져 전방벽(22a)의 근처에 위치한다. 판형 캠(87)은 캠 수용부(88a)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셔터(88)는 폐쇄 위치로 회전하여, 흡기구(81)를 폐쇄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 챔버(31a), 즉 안내 벽(32)의 내면과 흡입 실린더(33)의 원주벽 사이의 간격은 복귀 경로(91)를 통하여 기밀 챔버(23a)와 연통한다. 복귀 경로(91)로 인하여, 공기가 기밀 챔버(23a)로부터 분리 챔버(31a)로 흐를 수 있다. 그러므로, 분리 챔버(31a)는 공기 유동 방향 및 복귀 경로(91)에 대하여 기밀 챔버(23a)의 하류에 위치한다. 복귀 경로(91)는 바닥판(92)과 이 바닥판(92)에 마주하는 안내 벽(3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복귀 경로(91)는 케이스(21)의 바닥의 전반부에 위치하고, 필터 커버부(22)의 하단과 안내 벽(32)의 전단 사이에서 연장된다. 복귀 경로(91)는 상류단에 입구(91a)를 구비한다. 입구(91a)는 전방벽(22a)의 하단으로 개방되고, 제1 출구(25a)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복귀 경로(91)의 하류 단부는 분리부(31)의 제1 먼지 수집 구멍(39)과 연통한다.
제1 먼지 수집 구멍(39)을 개폐하는 커버(34)와 제1 셔터(83)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한다. 제1 셔터(83)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위치로 회전한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에, 커버(34)는 복귀 경로(91)의 하류 단부와 연통하는 제1 먼지 수집 구멍(39)을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셔터(83)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로 회전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반면에, 커버(34)는 제1 먼지 수집 구멍(39)을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도 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에는 먼지 제거 부재(95)가 지지되어 있다. 먼지 제거 부재(95)는 필터(61)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수단의 하나의 예에 해당한다. 먼지 제거 부재(95)는 기밀 챔버(23a)에 노출되어 있다. 먼지 제거 부재(95)는 제1 출구(25a)를 가로질러 복귀 경로(91)의 입구(91a)의 반대측에 있다. 달리 말하면, 먼지 제거 부재(95)는 필터(6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복귀 경로(91)의 입구(91a)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다.
먼지 제거 부재(95)는 예컨대 판스프링을 구부림으로써 제조된다. 먼지 제거 부재(95)는 기밀 챔버(23a)를 향하여 돌출하는 말단부(95a)를 구비한다. 먼지 제거 부재(95)의 말단부(95a)는 필터(61)의 전방 하단부에 마주하고, 필터 요소(65)의 두 인접 주름(65a)의 사이에 개재된다. 달리 말하면, 먼지 제거 부재(95)의 말단부(95a)는 인접 주름(65a)에 의해 구획된 홈(65b) 내로 약간 돌출하여, 필터(61)의 회전 궤적과 교차한다.
필터(61)는 제2 모터(71)로부터 토크를 받으면 회전한다. 이 때에, 서로 접촉하는 필터 요소(65)의 주름(65a)은 차례대로 먼지 제거 부재(95)의 말단부(95a)를 지나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먼지 제거 부재(95)는 주름(65a)을 치고 지나가서, 주름(65a)을 진동시킨다. 그 결과, 필터(61)의 전면으로부터 먼지가 떨어진다.
또한, 먼지 제거 부재(95)의 말단부(95a)는, 주름(65a)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필터 요소(65)의 주름(65a)을 지나서 이동할 때에 주름을 치고 지나간다. 따라서 말단부(95a)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 소리는 필터(61)가 회전하는 한은 전기 청소기(1)의 외측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전기 청소기(1)의 사용자는 먼지가 필터(61)로부터 제거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 수용부(23)의 기밀 챔버(23a)에는 먼지 배출 부재(101)가 마련되어 있다. 먼지 배출 부재(101)는 보스부(101a)와 복수의 아암(102)을 구비한다. 보스부(101a)는 중공 실린더이며, 전방벽(22a)으로부터 기밀 챔버(23a)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 샤프트(8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아암(102)은 보스부(101a)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각 아암(102)의 말단에는 스크레이핑 부재(102a)가 고정되어 있다. 스크레이핑 부재(102a)는 기밀 챔버(23a)의 내측인 전방벽(22a)의 내면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들 스크레이핑 부재는 기밀 챔버(23a)의 바닥으로부터 먼지를 긁어내서, 이 먼지를 먼지 배출 부재(101)가 회전할 때에 전방벽(22a)의 내면을 따라 기밀 챔버(23a)의 상부로 운반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지 수용 벽(108)이 전방벽(22a)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먼지 수용 벽(108)은 지지 샤프트(82)의 둘레에서 아치 형태로 있다. 먼지 수용 벽(108)은 지지 샤프트(82), 흡기구(81) 및 제1 출구(25a)의 상반부를 에워싼다. 먼지 수용 벽(108)은 스크레이핑 부재(102a)의 궤적 내측에 위치하여, 먼지가 스크레이핑 부재(102a)로부터 제1 출구(25a)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61)의 지지부(64)는 먼지 배출 부재(101)의 보스부(101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부(64)는 아암(102)의 기부에 접촉한다. 따라서, 필터(61)가 회전할 때에 먼지 배출 부재(101)가 회전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벽(22a)은 상부에 먼지 출구(104)를 구비 한다. 먼지 출구(104)는 스크레이핑 부재(102a)가 이동하는 경로 위로 개방되고, 분리부(31)의 제2 먼지 수집 구멍(40) 위에 위치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벽(22a)의 외면에 홈통(105; trough)이 고정되어 잇다. 홈통(105)은 직립으로 설치되어, 먼지 출구(104)를 제2 먼지 수집 구멍(40)에 접속한다. 홈통(105)의 상단이 먼지 출구(104)를 덮는다. 홈통(105)의 하단은 제2 먼지 수집 구멍(40)을 덮는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지 출구(104)에 제3 셔터(106)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셔터(106)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이들 위치에서 먼지 출구(104)를 각각 개방 및 폐쇄한다. 제3 셔터(106)는 항상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폐쇄 위치를 향하여 압박된다. 코일 스프링은 제3 셔터(106)와 홈통(105)의 상단 사이에 개재된다.
제3 셔터(106)는 캠부(106a)를 구비한다. 캠부(106a)는 먼지 출구(104)로부터 기밀 챔버(23a) 내로 돌출하여, 아암(102)의 스크레이핑 부재(102a)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크레이핑 부재(102a)는 먼지 배출 부재(101)가 회전함에 따라 먼지 출구(104)를 가로질러 이동할 때에 캠부(106a)를 압박한다. 그 결과, 제3 셔터(106)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한다. 이로써 먼지 출구(104)가 개방된다. 스크레이핑 부재(102a)가 먼지 출구(104)를 통과한 때에, 스크레이핑 부재는 더 이상 캠부(106a)를 압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3 셔터(106)는 폐쇄 위치로 복귀하여, 먼지 출구(104)를 폐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의 후반부에 기류 제어 장 치(111)가 합체되어 있다. 기류 제어 장치(111)는 전동 송풍기(4)와 케이스 홀더(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111)는 케이스(112), 제어 부재(113) 및 구동 유닛(114)을 구비한다. 케이스(112)는 전방벽과 후방벽을 구비한다. 케이스(112)의 전방벽은 케이스 홀더(11)에 마주하고, 통기 입구(115)를 구비한다. 통기 입구(115)는 케이스 홀더(11)의 관통 구멍(11a)과 연통한다. 케이스(112)의 후방벽은 전동 송풍기(4)의 전단에 마련된 지지 링(4b)과 맞닿는다. 케이스(112)의 후방벽은 통기 출구(116)를 구비한다. 통기 출구(116)는 전동 송풍기(4)의 흡기구(4a) 및 통기 입구(115)에 대향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1a), 통기 입구(115), 통기 출구(116) 및 흡기구(4a)는 전동 송풍기(4)의 축 상에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다. 덕트(28)의 제2 개방단(28b)은 케이스(11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덕트(28)의 제2 개방단(28b)은 케이스(112)의 내부로 개방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부재(113)는 팬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어 부재(113)는 아치형의 외주 에지 상에 복수의 톱니(117)를 구비한다. 제어 부재(113)는 피벗부에 샤프트 구멍(118)을 구비한다. 제어 부재(113)는 톱니(117)를 제외하고는 케이스(112)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112)의 피벗 샤프트(도시 생략)가 제어 부재(113)의 샤프트 구멍(118)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부재(113)는 샤프트 구멍(118)의 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어 부재(113)는 통기 구멍(119)과 스위칭 통로(120)를 구비한다. 통기 구 멍(119)은 관통 구멍이다. 통기 구멍(119)은 제어 부재(113)의 전면에서 개방되는 제1 단부와, 제어 부재(113)의 후면에서 개방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한다. 통기 구멍(119)은 바람직하게는 테이퍼진 구멍이어야 하며, 그 직경은 제1 단부로부터 제2단부까지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제1 단부에서의 직경은 케이스(112)의 통기 입구(115)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약간 작다. 제2 단부에서의 직경은 케이스(112)의 통기 출구(116)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약간 크다.
스위칭 통로(120)는 입구(120a) 및 출구(120b)를 구비한다. 입구(120)는 케이스(112) 내에 마련되고, 덕트(28)의 제2 단부(28b)로 개방되어 있다. 출구(120b)는 제어 부재(113)의 후면에서 개방되고, 통기 구멍(119)의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출구(120b)와 통기 구멍(119)은 제어 부재(113)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구멍(119)의 제2 단부에 평활한 시일 링(121; smooth seal ring)이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출구(120b)에는 평활한 시일 링(120)이 부착되어 있다. 시일 링(121, 122)은 케이스(112)의 내면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설치되어, 케이스(112)와 통기 구멍(119)의 제2 단부 사이에 기밀 공간을 제공하고, 케이스(112)와 출구(120b) 사이에 기밀 공간을 제공한다.
구동 유닛(114)은 제4 모터(125)와 구동 기어(126)를 구비한다. 제4 모터(125)는 케이스(112) 상에 지지되어 있고, 전후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4 모터로부터 토크를 받으면 구동 기어(126)가 회전한다. 구동 기어(126)는 제어 부재(113)의 톱니(117)와 맞물리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4 모터(125)는 구 동 기어(126)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어 부재(113)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0은 제1 위치로 회전된 상태의 제어 부재(113)를 도시한다. 제어 부재(113)가 제1 위치에 있는 동안, 스위칭 통로(120)의 입구(120a)는 덕트(28)의 제2 단부(28b)로부터 분리되고, 통기 구멍(119)은 케이스(112)의 통기 입구(115)와 통기 출구(116)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4)의 입구(4a)는 필터 수용부(23)와 연통한다. 그 결과, 전동 송풍기(4)에 의해 발생한 부압이 필터(61)에 작용한다.
도 21은 제2 위치로 회전된 상태의 제어 부재(113)를 도시한다. 제어 부재(113)가 제2 위치에 있는 동안, 스위칭 통로(120)의 입구(120a)는 덕트(28)의 제2 단부(28b)에 접속되어 있어서, 덕트(28)와 스위칭 통로(120)는 서로 연통한다. 또한, 통기 구멍(119)은 케이스(112)의 통기 입구(115)와 통기 출구(116) 사이의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고, 스위칭 통로(120)의 출구(120b)는 통기 출구(116)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4)의 입구(4a)를 본체(16)의 미세 먼지 덕트(25)에 접속한다. 그 결과, 전동 송풍기(4)에 의해 발생한 부압이 미세 먼지 덕트(25)에 직접 작용하고, 필터(61)를 우회한다.
청소기 본체(2)는 제어 장치(9)를 채용한다. 제어 장치(9)는 전기 청소기(1)의 작동 모드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1)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모드는 통상의 청소 모드이고, 제2 모드는 내부 청소 모드이다. 제어 장치(9)는 CPU를 포함한 각종 회로 요소가 실장되어 있는 배 선 기판을 채용한다. 제어 장치(9)는 조작 패널(8)로부터 공급된 지시에 따라 전동 송풍기(4)와 제1 내지 제4 모터(46a, 71, 86, 12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9)는 통지 수단(131)을 제어하여, 이 통지 수단(131)은 조작 패널(8)의 에어 퍼지 버튼(8a)을 누를 때에 전기 청소기(1)가 내부 청소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통지 수단(131)은 깜박이는 램프,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저, 또는 구두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청소기(1)가 통상의 청소 모드로 유지되는 동안에, 제1 셔터(8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에 머무른다. 따라서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1 출구(25a)는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통상의 청소 모드에서, 제2 셔터(88)는 폐쇄 위치로 머무르고, 흡기구(81)는 폐쇄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34)는 분리부(31)의 제1 먼지 수집 구멍(39)을 폐쇄하고, 동시에 제2 먼지 수집 구멍(40)과 먼지 통과구(37)를 개방한다. 또한, 커버(34)의 스위칭 구멍(41a)은 격벽(35)에 마련된 연통구(36)와 연통한다.
전기 청소기(1)가 통상의 청소 모드로 유지되는 동안에, 기류 제어 장치(111)의 제어 부재(113)는 제1 위치에 머무른다. 따라서 필터 수용부(23)는 케이스 홀더(11)의 관통 구멍(11a)을 통하여 전동 송풍기(4)의 입구(4a)와 연통한다. 아울러, 스위칭 통로(120)의 입구(120a)는 덕트(28)의 제2 단부(28b)로부터 분리되고, 전동 송풍기(4)에 의해 발생한 부압이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2 출구(25c)에 작용하지 않는다. 전동 송풍기(4)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전동 송풍기는 부압을 발생시키고, 이 부압은 필터 수용부(23), 미세 먼지 덕트(25) 및 흡기 덕트(24)에 작 용한다. 이에 따라, 흡입 유닛(3)을 통하여 바닥으로부터 청소기 본체(2)의 접속구(2b) 내로 먼지가 공기와 함께 흡인된다. 먼지를 함유한 공기는 관성력에 의해 분리부(31) 내에서 분리되고, 먼지 포집 유닛(15)을 통과함에 따라 필터(61)에서 여과된다. 이로써, 공기로부터 먼지가 제거된다. 이제 먼지를 함유하지 않아서 깨끗한 공기의 일부는 관통 구멍(11a)으로부터 통기 구멍(119)을 통하여 전동 송풍기(4)로 흡입된다. 깨끗한 공기의 나머지 부분은, 먼저 전동 송풍기(4)를 통과한 후에, 청소기 본체(2)의 배출구(2c)를 통하여 전기 청소기(1)로부터 배출된다.
흡기 덕트(24)로부터 전동 송풍기(4)에 도달한 기류를 "제1 기류"로서 칭한다. 제1 기류는, 제1 상류 경로, 제2 상류 경로 및 하류 경로를 포함한 제1 공기 통로를 통과한다. 제1 상류 경로는 흡기 덕트(24), 분리 챔버(31a), 흡입 실린더(33) 및 미세 먼지 덕트(25)로 구성된다. 제2 상류 경로는 흡기 덕트(24), 분리 챔버(31a), 흡입 실린더(33), 먼지 수집 케이스(17) 및 미세 먼지 덕트(25)로 구성된다. 하류 경로는 필터 수용부(23), 관통 구멍(11a), 케이스(112)의 흡기구(115), 제어 부재(113)의 통기 구멍(119) 및 케이스(112)의 통기 출구(116)로 구성된다. 필터 수용부(23)는 미세 먼지 덕트(25)에 접속되어 있다.
먼지 포집 유닛(15)은 이하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한다. 흡입 유닛(3)에 의해 청소기 본체(2)의 접속구(2b) 내로 흡입되고 먼지를 함유하는 공기는 흡기 덕트(24)로부터 연통구(36)를 통하여 분리 챔버(31a)로 하향 경사지게 유동한다. 분리 챔버(31a)가 환형 통로이므로, 공기는 안내 벽(32)을 따라 소용돌이 기류로 된다. 소용돌이 공기는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에 원심 력을 가한다. 그 결과, 질량이 큰 먼지 입자는 자체의 관성에 의해 안내 벽(32)으로 이동한 후에, 안내 벽(32)의 내면을 따라 먼지 통과구(37)를 향하여 이동한다. 질량이 큰 먼지 입자는 공기와 함께 먼지 통과구(37)와 접속구(53)를 통하여 먼지 수집 케이스(17)의 먼지 이송부(51)로 통과한다.
분리 챔버(31a) 내로 유동하고 질량이 작은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공기의 일부는 관통 구멍(35a)으로부터 흡입 실린더(33)를 통하여 미세 먼지 덕트(25)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질량이 큰 먼지 입자는 분리 챔버(31a) 내의 제1 기류로부터 제거된다.
먼지 수집 케이스(17)의 먼지 이송부(51)로 유동하고 질량이 큰 먼지 입자를 함유하는 공기의 나머지 부분은 제2 상류 경로를 구성하는 먼지 축적부(52) 내로 유동한다. 이 공기는 메쉬 부재(56)를 통하여 미세 먼지 덕트(25)로 유동한다. 미세 먼지 덕트(25)에서, 공기는 흡입 실린더(33)를 통과한 공기와 만난다. 메쉬 부재(56)는 큰 질량을 갖는 큰 먼지 입자를 포집하고, 먼지 축적부(52)에 보유한다. 다른 한편으로, 작은 질량의 미세 먼지 입자는 공기와 함께 제1 입구(25b)와 관통 구멍(35a)을 통하여 미세 먼지 덕트(25) 내로 유동한다.
이에 따라, 공기가 제1 및 제2 상류 경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동안에, 제1 기류에 함유되고 큰 질량을 갖는 큰 먼지 입자가 공기로부터 제거되고, 궁극적으로 먼지 축적부(52)에 축적된다. 한편, 작은 질량을 갖는 작은 입자는 공기와 함께 제1 입구(25b)와 관통 구멍(35a)을 통과하고, 미세 먼지 덕트(25) 내로 유동한다.
작은 먼지 입자를 함유한 공기가 하류 경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동안에, 작은 먼지 입자가 여과된다. 즉, 미세 먼지 덕트(25) 내로 유동한 공기가 제1 출구(25a)를 통하여 필터 수용부(23)로 흡입된다. 이 공기는 필터(61)의 필터 요소(65)를 통과한다. 필터 요소(65)는 분리부(31)를 통과한 미세 먼지 입자를 포집한다. 이와 같이 포집된 미세 먼지 입자는 필터(61)의 전면에 고착될 수 있다.
깨끗한 공기, 즉 먼지를 함유하지 않는 공기는 케이스 홀더(11)의 관통 구멍(11a)으로부터 통기 입구(115), 통기 구멍(119) 및 통기 출구(116)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4)로 흡입된다.
전기 청소기(1)가 통상의 청소를 시작한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전기 청소기(1)가 통상의 청소를 종료하면, 전기 청소기(1)는 자동 먼지 제거 과정을 개시한다. 자동 먼지 제거 과정에서, 제2 모터(71)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34)가 제1 먼지 수집 구멍(39)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소정 시간에 걸쳐 구동된다. 제2 모터(71)의 토크는 구동 기어(72)와 종동 기어(67)를 통하여 필터(61)에 전달된다. 필터(61)는 360도를 넘는 각도로 회전한다. 필터(61)가 이와 같이 회전하므로, 필터 요소(65)의 주름(65a)은 순차적으로 먼지 제거 부재(95)를 지나서 이동한다. 달리 말하면, 먼지 제거 부재(95)가 주름(65a)을 차례대로 치고 지나간다. 이로써 미세 먼지 입자는 주로 필터(61)의 전면으로부터 기밀 챔버(23a) 내로 낙하하게 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지 제거 부재(95)는 전방벽(22a)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먼지 제거 부재(95)는 기밀 챔버(23a)의 바닥 근처의 위치에서 주름(65a)을 치고 지나간다. 이로 인하여, 먼지가 기밀 챔버(23a)의 상부에 있는 주름(65a)의 이들 부분에 남아 있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주름(65a)으로부터 떨어진 먼지가 필터 요소(65)에 다시 고착되는 일은 거의 없다.
필터 요소(65)로 떨어진 먼지는 기밀 챔버(23a)에 축적된다. 이와 같이 축적된 먼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리부(31)에 의해 수집된다.
기밀 챔버(23a)에 마련되어 있는 먼지 배출 부재(101)는 필터(6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한다. 스크레이핑 부재(102a)가 기밀 챔버(23a)의 바닥에 도달한 때에, 이 부재는 기밀 챔버(23a)의 바닥으로부터 기밀 챔버(23a)의 상부에 마련된 먼지 출구(104)를 향하여 먼지를 긁어낸다. 스크레이핑 부재(102a)는 먼지 배출 부재(101)가 회전함에 따라 먼지 출구(104)를 통과한다. 이 때에, 스크레이핑 부재(102a)는 이제 먼지 출구(104)를 폐쇄하는 제3 셔터(106)의 캠부(106a)를 압박한다. 캠부(106a)가 압박됨에 따라, 제3 셔터(106)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한다. 이로써 먼지 출구(104)가 개방된다.
그 결과, 스크레이핑 부재(102a)에 의해 긁어내어진 먼지는 스크레이핑 부재(102a)가 먼지 출구(104)를 통과함에 따라 먼지 출구(104)로부터 홈통(105)으로 안내된다. 홈통(105)에서, 먼지는 제2 먼지 수집 구멍(40)을 향하여 낙하한다. 그 후, 먼지는 제2 먼지 수집 구멍(40)으로부터 분리 챔버(31a)로 역으로 이동한다. 분리 챔버(31a)로 역으로 이동한 먼지의 많은 부분은, 전기 청소기(1)가 다음의 청소 작업을 시작한 때에 제2 상류 경로를 통하여 먼지 축적부(52)로 운반된다. 먼지의 나머지 부분은 제1 상류 경로를 통하여 미세 먼지 덕트(25)로 복귀한다.
전기 청소기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에, 사용자는 조작 패널(8)의 에어 퍼지 버튼(8a)을 조작할 수 있다. 그 후, 전기 청소기(1)의 조작 모드는 청소 모드로부터 내부 청소 모드로 변경된다. 내부 청소 모드에서, 먼지는 필터(61)로부터 제거되고, 기밀 챔버(23a)는 기류에 의해 청소된다. 즉, 소위 에어 퍼지는 제어 장치(9)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 실시된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먼지를 제거하고, 기밀 챔버(23a)를 청소한다. 먼저, 제3 모터(86)가 제1 셔터(83)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90도 회전시켜,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1 출구(25a)를 폐쇄한다. 동시에, 피벗 샤프트(84)에 고정된 판형 캠(87)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0도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2 셔터(88)는 코일 스프링(89)의 압박에 저항하여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한다. 이로써 흡기구(81)가 개방된다.
제3 모터(86)와 동기하여, 제1 모터(46a)가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된다. 제1 모터(46a)는 기어(46b)를 회전시키고, 이 기어는 커버(34)를 도 12에 도시된 제2 위치로 회전시킨다. 커버(34)가 제2 위치에 머무르는 동안, 제1 먼지 수집 구멍(39)과 먼지 통과구(37)는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에, 필터 수용부(23)의 기밀 챔버(23a)는 복귀 경로(91)를 통하여 분리 챔버(31a)와 연통하고, 먼지 수집 케이스(17)는 먼지 통과구(37)를 통하여 분리 챔버(31a)와 연통한다. 또한, 커버(34)의 제1 원주벽(43)은 제2 먼지 수집 구멍(40)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커버(34)의 단부벽은 분리 챔버(31a)의 상류단에 위치한 연통구(36)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커버(34)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46a)의 구동과 동기하여, 제4 모터(125)가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된다. 제4 모터(125)는 구동 기어(126)를 회전시키고, 이 구동 기어는 기류 제어 장치(111)의 제어 부재(113)를 도 21에 도시한 제2 위치로 회전시킨다. 제어 부재(113)가 제2 위치로 회전하는 때에, 제어 부재(113)의 통기 구멍(119)은 케이스(112)의 통기 입구(115) 및 통기 출구(116) 모두로부터 변위된다. 대신에, 제어 부재(113)의 스위칭 통로(120)의 출구(120b)는 케이스(112)의 통기 출구(116)에 접속되고, 케이스(112)의 통기 입구(115)는 제어 부재(113)의 전면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한, 제어 부재(113)의 스위칭 통로(120)의 입구(120a)는 덕트(28)의 제2 단부(28b)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덕트(28)는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2 출구(25c)를 제어 부재(113)의 스위칭 통로(120)에 접속한다.
그 후에, 전동 송풍기(4)가 작동하기 시작하고, 제2 모터(71)는 필터(71)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기 시작한다. 전동 송풍기(4)가 동작하기 전에 먼지의 제거가 개시될 수도 있다.
전동 송풍기(4)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기밀 챔버(23a)로 개방된 흡기구(81)에 부압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공기가 먼지 포집 유닛(15)의 외측으로부터 흡기구(81)를 통하여 기밀 챔버(23a) 내로 직접 흡입된다. 이 때에, 제1 셔터(83)는, 미세 먼지 덕트(25)와 기밀 챔버(23a)를 접속하는 제1 출구(25a)를 폐쇄하고, 커버(34)는 분리 챔버(31a)와 흡기 덕트(24)를 접속하는 연통구(36)를 폐쇄한다. 그러므로, 청소기 본체(2)의 접속구(2b)에는 결코 부압이 작용하지 않는다.
흡기구(8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기밀 챔버(23a)에서 복귀 경로(91)의 입구(91a)를 향해서 유동한다. 이와 같은 동작 중에, 공기는, 필터(61)의 전면으로 부터, 기밀 챔버(23a)에 대해 노출된 전방벽(22a)의 내면으로부터, 그리고 기밀 챔버(23a)에서 부유하는 먼지를 몰아내어 배출한다. 공기를 이용함으로써 실시하는 청소는 일반적으로 에어 퍼지로서 알려져 있다. 기밀 챔버(23a)를 통과하는 중에 먼지를 함유하게 되는 공기는 입구(91a)를 통하여 복귀 경로(91)로 흡입된다. 그 후, 공기 중의 먼지는 분리부(31)에 마련된 보조 필터(27)에 의해 여과된다. 이제 먼지를 함유하지 않아서 깨끗한 공기가 덕트(28)와 제어 부재(113)의 스위칭 통로(120)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4) 내로 흡입된다. 그 후, 공기는 전동 송풍기(4)를 통과하고, 청소기 본체(2)의 배기구(2c)를 통하여 전기 청소기(1)로부터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흡기구(81)로부터 전동 송풍기(4)로의 기류를 "제2 기류"로 칭하기로 한다. 제2 기류가 통과하는 제2 공기 통로는 유입 경로, 중간 경로 및 유출 경로를 포함한다. 제2 공기 통로에는, 흡기구(81)가 개방되어 있는 기밀 챔버(23a)와 보조 필터(27)가 마련되어 있다. 보조 필터(27)는 제2 기류의 방향에 대하여 기밀 챔버(23a)의 하류에 위치되어 있다.
유입 경로는 흡기구(81), 기밀 챔버(23a) 및 복귀 경로(91)로 구성된다. 중간 경로는 제1 공기 통로의 제1 및 제2 상류 경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제1 및 제2 상류 경로는 제2 공기 통로의 중간 경로로서 기능한다. 유출 경로는 덕트(28), 제어 부재(113)의 스위칭 통로(120) 및 케이스(112)의 통기 출구(116)로 구성된다.
유입 경로는 흡기구(8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기밀 챔버(23a) 및 복귀 경 로(91)를 통하여 분리부(31)의 분리 챔버(31a)로 안내한다. 이와 같이 분리부(31)로 안내된 공기는 흡입 실린더(33)를 포함한 제1 상류 경로와 먼지 수집 케이스(17)를 포함한 제2 상류 경로를 통하여 미세 먼지 덕트(25) 내로 흡입된다. 이 때에,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1 출구(25a)는 제2 셔터(83)에 의해 폐쇄된다. 그 후에, 미세 먼지 덕트(25) 내로 안내된 공기는 기밀 챔버(23a) 내로 결코 다시 흡입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61)가 노출되어 있는 기밀 챔버(23a)를 통하여 흐르는 제2 기류는,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기밀 챔버(23a)에서 부유하는 먼지를 먼지 수집 케이스(17)의 먼지 축적부(52)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기밀 챔버(23a)를 통과하는 제2 기류는 기밀 챔버(23a)에 마주하는 전방벽(22a)의 내면으로부터, 그리고 또한 필터(61)의 전면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고, 그와 같이 제거된 먼지를 먼지 수집 케이스(17)의 먼지 축적부(52)에 운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기구(81)는 필터(61)의 전면의 중앙부에 대향한다. 또한, 흡기구(81)에 마련된 제2 셔터(88)는, 흡기구(81)가 개방되는 때에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61)에 대해 하향 경사진다. 이에 따라, 제2 셔터(88)는 흡기구(81)를 통하여 기밀 챔버(23a) 내로 흡입된 공기를 회전하고 있는 필터(61)의 전면의 중앙부에 대해 하향 안내한다. 그러므로, 흡기구(81)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필터(61)의 전면의 중앙부에 대해 하향으로 유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기구(81)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필터(61)가 회전함에 따라 먼지 제거 부재(95)가 필터 요소(65)의 주름(65a)을 치고 지나간 직후에 인접 주름(65a)에 의해 형성된 홈(65b)에서 유동한다. 그 결과, 기류를 이용하여 홈(65b)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를 함유하는 공기가 필터(61)로부터 제거되는 위치인 복귀 경로(91)의 입구(91a)는 필터(6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먼지 제거 부재(95)의 하류에 위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입구(91a)는, 공기가 흡기구(81)로부터 필터(61)의 중앙부로 흐르는 때에 필터 요소(65)의 홈(65b)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필터 요소(65)의 홈(65b)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필터(61)가 회전함에 따라 기밀 챔버(23a) 내로 확산되지 않고 입구(91a)로 흡입된다.
먼지가 자동으로 제거되는 동안에, 필터(61)는 360도를 넘는 각도로 연속해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필터(61)의 전면(前面)을 공기에 의해 전체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61)를 먼지 포집 유닛(15)의 필터 커버부(22)로부터 제거하면 알 수 있듯이, 필터(61)의 전면 또는 필터 커버부(22)의 전방벽(22a)의 내면에는 먼지가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전기 청소기(1)가 내부 청소 모드로 동작한 후에, 필터(61)가 노출되는 위치인 기밀 챔버(23a)에는 먼지가 남아 있지 않다. 따라서, 기밀 챔버(23a)는 초기 상태, 즉 미사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필터(61)가 짧은 시간 안에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전기 청소기(1)가 내부 청소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먼지를 함유하고 기밀 챔버(23a)로부터 복귀 경로(91)로 유동하는 공기는 미세 먼지 덕트(25)를 통과하기 전에 먼지 수집 케이스(17)를 통과한다. 먼지 축적부(52)에 먼지가 축적되어 있으 면, 먼지를 여과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먼지 축적부(52)는 기밀 챔버(23a)로부터 먼지 수집 케이스(17) 내로 복귀한 먼지를 포집한다. 이에 따라, 기밀 챔버(23a)로부터 제공되고 먼지를 함유하는 공기가 청소되고, 그 후에 미세 먼지 덕트(25)로 유동한다.
분리 챔버(31a)로부터 나와서 미세 먼지 덕트(25)에 도달하는 제2 기류는 제2 출구(25c)를 통하여 덕트(28) 내로 흡입된다. 제2 출구(25c)가 보조 필터(27)로 덮여 있으므로, 보조 필터(27)는, 제2 기류가 보조 필터(27)를 통과하는 때에 분리 챔버(31a)를 통과한 미세 먼지 입자를 여과한다. 덕트(28) 내로 흡입된 공기는 기류 제어 장치(111)의 스위칭 통로(120)를 통과하고, 스위칭 통로의 출구(120b)로부터 전동 송풍기(4)의 입구(4a) 내로 흡입된다.
그러므로, 제2 공기 통로를 통과한 제2 기류는 필터(61)를 통과하지 않고 전동 송풍기(4) 내로 흡입되어, 필터(61)의 전면 및 기밀 챔버(23a)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소정 시간 경과 시에, 전기 청소기(1)는 내부 청소 모드에서의 동작을 중지한다.
내부 청소 모드에서, 통지 수단(131)은 제어 장치(9)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전기 청소기(1)가 내부 청소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알려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 청소기(1)가 보다 잘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내부 청소 모드에서는, 분리 챔버(31a)가 감압되고, 공기는 먼지가 내부 청소 모드에서 필터(61)로부터 자동으로 제거됨에 따라 먼지 출구(104)가 개방될 때마다 기밀 챔버(23a)로부터 홈통(105) 및 제2 먼지 수집 구멍(40)을 통하여 분리 챔버(31a)로 인출된다. 이에 따라, 스크레이핑 부재(102a)가 긁어낸 먼지는 기류를 이용함으로써 먼지 출구(104)로부터 분리 챔버(31a) 내로 수집될 수 있다.
내부 청소가 종료된 후에 전기 청소기(1)의 작동 모드가 내부 청소 모드로부터 통상의 청소 모드로 전환되는 때에, 제1 셔터(83)와 제2 셔터(88)는 제어 장치(9)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각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로 회전한다. 동시에, 기류 제어 장치(111)의 제어 부재(113)가 제1 위치로 회전한다. 이로써, 전기 청소기(1)에 제1 기류가 발생한다. 이 때에, 전기 청소기(1)는 통상의 청소를 시작한다.
통상의 청소 모드에서,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2 출구(25c)를 덮고 있는 보조 필터(27)는 미세 먼지 덕트(25)의 제1 출구(25a)를 향하여 진행하는 제1 기류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1 기류는 내부 청소 중에 보조 필터(27)가 포집한 먼지를 제거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필터(27)를 그다지 자주 청소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하여, 보조 필터(27)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기류가 먼지를 기밀 챔버(23a)로부터 분리 챔버(31a)로 운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대신에, 기밀 챔버(23a)가 전용 통로에 의해 먼지 수집 케이스(17)에 접속될 수 있고, 이로써 먼지를 함유하는 제2 기류가 기밀 챔버(23a)로부터 먼지 수 집 케이스(17)로 직접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먼지는 기밀 챔버(23a)로부터, 분리 챔버(31a)를 먼지 수집 케이스(17)에 접속하는 공기 통로로 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분리 챔버(31a)와 흡기 덕트(24)를 접속하는 연통구(36)가 커버(34)의 단부벽(41)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커버(34)는 단부벽(41)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고, 연통구(36)가 항상 개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동 송풍기(4)가 작동함에 따라 흡기 덕트(24)에서 부압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흡기 덕트(2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연통구(36)를 통하여 분리 챔버(31a) 내로 흡입된 후에, 분리 챔버(31a)에서 제2 기류와 만난다. 달리 말하면, 흡기 덕트(24)는 분리 챔버(31a)에 대하여 제2 기류의 상류에 위치한다. 따라서, 연통구(36)를 항상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기밀 챔버(23a)와 흡기 덕트(24)는 전용 통로에 의해 접속될 수 있고, 이로써 먼지를 함유하는 제2 기류를 기밀 챔버(23a)로부터 흡기 덕트(24) 및 연통구(36)를 통하여 분리 챔버(31a)로 안내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는 필터(61)가 막혀 있는 정도를 측정하는 수단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임의의 다른 구조적 관점에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필터(61)가 막혀 있는 정도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전류 센서(200)를 구비한다. 전류 센서(200)는 전동 송풍기(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에 마련되어 있다. 전류 회로(200)는 전동 송풍기(4)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을 검출한다. 전류 센서(200)가 검출한 전류 값은 제어 장치(9)에 합체된 필터 제어 유닛(201)에 공급된다.
필터 제어 유닛(201)은 전류 센서(200)가 검출한 전류 값으로부터 필터(61)가 막혀 있는 정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막혀 있는 정도에 따라, 필터 제어 유닛(201)은 중간 청소 모드에서 먼지를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제2 모터(7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즉, 필터 제어 유닛(201)은 막힘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2 모터(71)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필터(61)를 보다 느리게 회전시킨다. 이와 반대로, 필터 제어 유닛(201)은 막힘의 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제2 모터(71)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필터(61)를 보다 빠르게 회전시킨다.
필터 제어 유닛(201)은 또한 필터(61)가 내부 청소 모드에서 소정의 횟수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소정의 횟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횟수로 필터(6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제2 모터(71)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을 역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서, 전류 센서(200)는 전기 청소기(1)가 내부 청소 모드로의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전동 송풍기(4)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을 검출한다. 필터 제어 유닛(201)은 전류 센서(200)가 검출한 전류 값으로부터 필터(61)의 막힘 정도를 측정한다.
막힘의 정도가 소정 기준값을 초과하면, 필터 제어 유닛(201)은 제2 모터(71)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필터(61)가 보다 느리게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필터(61)가 내부 청소 모드에서 회전하는 횟수 때문에 필터(61)는 보다 느리게 회전한다. 그 결과, 흡기구(81)로부터 인출된 공기는 다른 상태보다 긴 시간 동안 필터 요소(65)의 홈(65b)에 송풍된다. 이에 따라, 흡기구(81)로부터 나오는 기류를 이용함으로써, 필터 요소(65)를 보다 철저하게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61)의 전면으로부터 먼지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막힘의 정도가 소정 기준값 미만으로 떨어지면, 필터 제어 유닛(201)은 제2 모터(71)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필터(61)가 보다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흡기구(81)로부터 인출된 공기는, 필터(61)가 평상시보다 짧은 시간 회전하는 동안에 필터 요소(65)의 각 홈(65b) 내로 송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짧은 시간 내에 필터(61)의 전면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필터(61)의 회전 속도는 필터(61)가 막혀 있는 정도에 따라 제어된다. 또한, 먼지 제거 부재(95)는 필터 요소(65)의 주름(65a)을 결코 너무 강하게 치고 지나가지 않는다.
필터(61)의 막힘 정도는 예정된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필터 제어 유닛(201)은 필터(61)가 기준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모터(71)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모터(71)의 회전 속도가 필터(71)의 막힘 정도에 따라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제2 모터(71)의 제어는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 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2 모터(71)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제2 모터(71)가 회전하는 횟수를 막힘 정도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내부 청소 모드에서, 제어 장치(9)는 제2 모터(71)를 제어하여, 제2 모터가 일정 속도로 회전하게 한다. 전류 센서(200)가 큰 전류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필터 제어 유닛(201)이 필터(61)의 막힘 정도가 예정된 소정의 범위의 상한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9)가 제2 모터(71)를 보다 긴 시간동안 또는 보다 많은 횟수에 걸쳐 회전시킨다. 이와 반대로, 전류 센서(200)가 작은 전류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필터 제어 유닛(201)이 필터(61)의 막힘 정도가 예정된 소정의 범위의 하한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9)는 제2 모터(71)를 보다 짧은 시간 동안, 또는 보다 적은 횟수에 걸쳐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에서는, 필터(61)의 막힘과 관련한 문제를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제거 부재(95)가 필터 요소(65)의 주름(65a)을 결코 너무 강하게 치고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 필터 요소(65)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예는, 내부 청소 모드에서 필터(61)에 공기를 송풍하는 속도를 변경시키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임의의 다른 구조적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1)는 제1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와 동일하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9)는 풍속 제어 유닛(300)을 구비한다. 풍속 제어 유닛(300)은 전류 센서(200)가 검출한 전류 값에 따라 전동 송풍기(4)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류 센서(200)가 검출한 전류 값은 필터(61)에서의 막힘 정도에 대응한다. 풍속 제어 유닛(300)은, 필터(61)의 막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많은 공기를 송풍하도록 전동 송풍기(4)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공기는 흡기구(81)를 통하여 고속으로 필터(61)의 전면에 송풍된다. 따라서, 필터 요소(65)의 홈(65b)으로부터 먼지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풍속 제어 유닛(300)은, 필터(61)에서의 막힘 정도가 낮을수록, 전동 송풍기(4)가 공기를 보다 느리게 송풍하도록 전동 송풍기(4)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공기는 흡기구(81)를 통하여 저속으로 필터(61)의 전면에 송풍된다. 이로 인하여, 기류가 필터 요소(65)의 홈(65b)에 가하는 영향이 감소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는, 필터(61)의 막힘과 관련한 문제를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흡기구(81)를 통하여 인출된 공기가 필터(61)에 과도한 압력으로 송풍되지 않기 때문에, 필터 요소(6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광의의 의미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하는 특정의 상세한 설명 및 대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일반적 발명의 개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를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한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와 필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청소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공기를 흡입하는 전동 송풍기;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부와, 이 분리부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먼지 수집부를 구비하는 먼지 포집 유닛;
    전동 송풍기와 먼지 포집 유닛 사이에 배치된 수용부;
    수용부에 마련되고,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필터와 전동 송풍기 사이에 배치된 기류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먼지 포집 유닛과 필터를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를 향해 흐르는 제1 기류를 형성하는 하나의 경로와,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수용부로부터 나온 후에 먼지 포집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를 향해 흐르는 제2 기류를 형성하는 다른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포집 유닛의 일부분은 제2 기류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수용부의 하류에 위치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수집부를 통과한 후의 공기가 도입되는 미세 먼지 덕트와, 미세 먼지 덕트로부터 수용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제1 셔터와, 공기를 수용부 내로 직접 도입하도록 흡기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제2 셔터와, 제2 기류를 수용부로부터 분리부로 안내하도록 복귀 경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제3 셔터를 더 포함하며,
    기류 제어 장치가 제1 기류를 발생시킬 때에, 제1 셔터는 출구를 개방하고, 제2 셔터는 흡기구를 폐쇄하고, 제3 셔터는 복귀 경로를 폐쇄하며, 기류 제어 장치가 제2 기류를 발생시킬 때에, 제1 셔터는 출구를 폐쇄하고, 제2 셔터는 흡기구를 개방하고, 제3 셔터는 복귀 경로를 개방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류가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한 후에 제2 기류를 기류 제어 장치로 안내하는 덕트와, 먼지 포집 유닛으로부터 덕트를 통하여 기류 제어 장치를 향해 흐르는 제2 기류를 여과하는 보조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발생 장치가 제1 기류를 발생시킬 때에, 상기 먼지 포집 유닛을 통하여 유동하는 제1 기류가 보조 필터와 접촉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공기 구멍과 스위칭 통로를 구비하는 제어 부재와, 이 제어 부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제1 위치에 머무르는 동안에는, 제1 기류가 필터를 통과한 후에 제1 기류를 공기 구멍으로부터 전동 송풍기로 안내하고, 제2 위치에 머무르는 동안에는, 스위칭 통로를 덕트에 접속하여, 제2 기류가 먼지 포집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한 후에 제2 기류를 스위칭 통로로부터 전동 송풍기로 안내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가 제2 기류를 발생시킬 때에 필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먼지 제거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포집 유닛은 필터에 마주하는 전방벽과 먼지 출구를 구비하는 필터 커버부와, 먼지 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된 셔터와, 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먼지 출구로 안내하도록 전방벽과 셔터 사이에 배치된 먼지 배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 부재는 필터로부터 먼지를 제거할 때에 필터와 함께 회전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기류 발생 장치가 제2 기류를 발생시킨 것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10. 공기를 흡입하는 전동 송풍기;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포집 유닛;
    전동 송풍기와 먼지 포집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기밀 챔버를 구비하는 수용부;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고, 기밀 챔버에 마련되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과 기밀 챔버에 대해 노출된 상류면(upstream surface)을 구비하는 원반형 필터;
    축을 중심으로 필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
    필터와 전동 송풍기 사이에 배치된 기류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먼지 포집 유닛과 필터를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를 향해 흐르는 제1 기류와, 기밀 챔버로부터 나온 후에, 필터를 우회하여 전동 송풍기를 향해 흐르는 제2 기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기밀 챔버는 필터의 홈을 향하여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기류는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하고, 상기 먼지 포집 유닛은 제2 기류 유동 방향에 대하여 기밀 챔버의 하류에 위치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주름(pleat)을 치고 지나가서 필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먼지 제거 수단과, 제2 기류를 기밀 챔버로부터 먼지 포집 유닛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복귀 경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귀 경로는 기밀 챔버로 개방되는 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먼지 제거 수단은 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전기 청소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송풍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기초로 필터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2 기류가 발생한 때에, 상기 제어 장치는, 필터의 막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필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필터의 막힘 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필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송풍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기초로 필터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2 기류가 발생한 때에, 상기 구동 유닛은 필터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제어 장치는, 필터의 막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필터가 회전하는 횟수를 증가시키고, 필터의 막힘 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필터가 회전하는 횟수를 감소시키도록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송풍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기초로 필터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전동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필터의 막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키고, 필터의 막힘 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공기의 흡입량을 감소시키도록 전동 송풍기를 제어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15. 공기를 흡입하는 전동 송풍기;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포집 유닛;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필터를 유지하고, 필터의 상류면이 노출되는 기밀 챔버를 구비하는 수용부;
    공기가 먼지 포집 유닛으로부터 필터를 통하여 유동한 후에 전동 송풍기를 향해 유동하는 제1 공기 통로;
    공기가 기밀 챔버로부터 유동하여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한 후에 전동 송풍기를 향해 유동하는 제2 공기 통로;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제2 공기 통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기류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수용부와 전동 송풍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부는 기밀 챔버로 개방되는 흡기구와, 이 흡기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셔터를 구비하며, 이 셔터는 기류 제어 장치가 제2 공기 통로를 선택한 때에 흡기구를 개방하는 것인 전기 청소기.
  17.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 포집 유닛과,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와, 필터를 유지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전기 청소기의 구동 방법으로서,
    제1 공기 통로를 사용하는 제1 작동 모드 및 제2 공기 통로를 사용하는 제2 작동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는, 제1 공기 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먼지 포집 유닛을 통과하여 필터에 의해 여과된 후에 전동 송풍기로 안내되고,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는, 제2 공기 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우선 수용부로 취입되어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먼지 포집 유닛으로 안내된 후, 수용부룰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로 안내되는 것인 전기 청소기의 구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전동 송풍기로 공급된 전류로부터 필터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고, 필터의 막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필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필터의 막힘 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필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인 전기 청소기의 구동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필터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고, 전동 송풍기에 공급된 전류로부터 필터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여, 필터의 막힘 정도가 증가하는 때에 필터가 회전하는 횟수를 증가시키고, 필터의 막힘 정도가 감소하는 때에 필터가 회전하는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인 전기 청소기의 구동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전동 송풍기에 공급된 전류로부터 필터의 막힘 정도를 검출하여, 필터의 막힘 정도가 증가함에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키고, 필터의 막힘 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공기의 흡입량을 감소시키도록 전동 송풍기를 제어하는 전기 청소기의 구동 방법.
KR1020070050348A 2006-06-14 2007-05-23 전기 청소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0882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4946A JP4212608B2 (ja) 2006-06-14 2006-06-14 電気掃除機
JPJP-P-2006-00164947 2006-06-14
JP2006164947A JP4212609B2 (ja) 2006-06-14 2006-06-14 電気掃除機
JPJP-P-2006-00164946 2006-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494A KR20070119494A (ko) 2007-12-20
KR100882548B1 true KR100882548B1 (ko) 2009-02-12

Family

ID=3825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348A KR100882548B1 (ko) 2006-06-14 2007-05-23 전기 청소기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289444A1 (ko)
EP (1) EP1867267B1 (ko)
KR (1) KR100882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71B1 (ko) * 2008-08-08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92633B1 (ko) * 2008-08-08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92631B1 (ko) * 2008-08-08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92632B1 (ko) * 2008-08-08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JP5531839B2 (ja) * 2010-07-21 2014-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102011015575B4 (de) * 2011-03-30 2023-05-17 Festool Gmbh Sauggerät mit einem Abreinigungssensor
DE102011015574B4 (de) * 2011-03-30 2022-11-24 Festool Gmbh Sauggerät mit einem Motorsensor
DE102013005306A1 (de) * 2013-03-25 2014-09-25 PROAIR GmbH Gerätebau Abscheider, Abscheideeinrichtung mit einem solchen Abscheider sowie Staubsauger, insbesondere Nasssauger, mit einem solchen Abscheider beziehungsweise einer solchen Abscheideeinrichtung
CN106170238B (zh) 2014-04-04 2020-06-02 创科实业有限公司 真空吸尘器
DE102014209925A1 (de) * 2014-05-23 2015-11-26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taubsaugers sowie Staubsauger
US11357369B2 (en) 2014-12-17 2022-06-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571097B2 (en) 2014-12-17 2023-02-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546543B (en) 2016-01-22 2019-01-02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GB2546542B (en) 2016-01-22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GB2546541B (en) 2016-01-22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ing apparatus
US11672395B2 (en) * 2021-01-06 2023-06-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6562329B1 (ja) * 2018-10-01 2019-08-21 Ftb研究所株式会社 真空配管トラップ装置、真空配管トラップシステム及び配管清掃方法
JP7340942B2 (ja) * 2019-03-26 2023-09-08 株式会社マキタ 動力工具の集塵システム
US20240260804A1 (en) * 2021-05-24 2024-08-08 Liang Cai Change-over valve and vacuum cleaner
CN115403220B (zh) * 2022-08-30 2023-11-03 河南商禹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型工业废水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924U (ja) 1984-06-26 1986-01-24 豊和工業株式会社 動力清掃車におけるフイルタ−の塵落し装置
JPH0731565A (ja) * 1993-07-26 1995-02-03 Asahi Eng Co Ltd オートクリーナ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1640A (en) * 1968-10-14 1971-1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vacuum cleaner
US5951746A (en) * 1995-11-30 1999-09-14 Alfred Karcher Gmbh & Co. Suction device for cleaning purposes
US6596044B1 (en) * 2000-03-06 2003-07-22 The Hoover Company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US6625845B2 (en) * 2000-03-24 2003-09-30 Sharp Kabushiki Kaisha Cyclonic vacuum cleaner
US7143469B2 (en) * 2001-02-06 2006-12-05 The Hoover Company Dirt collecting system
US6598263B2 (en) * 2001-05-09 2003-07-29 The Hoover Company Vacuum cleaner dirt collecting system with filter cleaning devices
EP1554965B1 (en) * 2002-10-31 2011-08-3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ic cleaner
US7343643B2 (en) * 2003-03-17 2008-03-18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Selective bag or bagless cleaning system
US6758874B1 (en) * 2003-05-09 2004-07-06 John P. Hunter, Jr. Rotating filter feature for wet/dry vacuum cleaner
US7208024B2 (en) * 2003-12-08 2007-04-24 The Hoover Company Floor care appliance with filter cleaning system
US7351269B2 (en) * 2003-12-22 2008-04-01 Lau Kwok Yau Self cleaning filter and vacuum incorporating same
JP2005218561A (ja) * 2004-02-04 2005-08-18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4241493B2 (ja) * 2004-04-28 2009-03-18 三洋電機株式会社 掃除機用集塵装置
KR100595564B1 (ko) * 2004-07-16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869000B1 (ko) * 2004-12-14 2008-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먼지압축방법 및 진공청소기의 먼지압축장치
US7318848B2 (en) * 2004-12-28 2008-01-15 Tsann Kuen Enterprise Co., Ltd.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DE102005017702A1 (de) * 2005-04-11 2006-10-1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Verfahren zum Abreinigen der Filter eines Staubsaugers sowie Staubsaug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0611067B1 (ko) * 2005-04-18 2006-08-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진공청소기
JP3999791B2 (ja) * 2005-07-21 2007-10-31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US7673369B2 (en) * 2005-07-22 2010-03-09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system
EP1813180B2 (en) * 2006-01-27 2013-05-01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filter cleaning mechanisms
JP4157140B2 (ja) * 2006-09-08 2008-09-24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924U (ja) 1984-06-26 1986-01-24 豊和工業株式会社 動力清掃車におけるフイルタ−の塵落し装置
JPH0731565A (ja) * 1993-07-26 1995-02-03 Asahi Eng Co Ltd オートクリ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89444A1 (en) 2007-12-20
EP1867267A2 (en) 2007-12-19
KR20070119494A (ko) 2007-12-20
EP1867267A3 (en) 2009-08-12
EP1867267B1 (en)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548B1 (ko) 전기 청소기 및 그 구동 방법
JP4212608B2 (ja) 電気掃除機
EP1743562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EP1745734A2 (en) Vacuum cleaner having a separator for separating dust by virtue of inertial force
KR101164335B1 (ko) 전기 청소기
KR101074541B1 (ko) 진공 청소기
JP2005305114A (ja) 掃除機用集塵装置
KR20190023212A (ko) 공기청정기
EP1734312A1 (en) Filter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JP4550922B2 (ja) 電気掃除機及び電気掃除機のフィルター清掃方法
JP2010082236A (ja) 電気掃除機
JP4011079B2 (ja) 電気掃除機
JP4212609B2 (ja) 電気掃除機
JP4844451B2 (ja) 電気掃除機
KR100390605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배기구조
KR100857491B1 (ko) 집진 용기 및 전기 청소기
JP4256368B2 (ja) 電気掃除機
JP2010236722A (ja) 空気清浄機
JP2007029111A (ja) 電気掃除機
JP4769049B2 (ja) 電気掃除機
JP2004194977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