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764B1 -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764B1
KR100273764B1 KR1019980060793A KR19980060793A KR100273764B1 KR 100273764 B1 KR100273764 B1 KR 100273764B1 KR 1019980060793 A KR1019980060793 A KR 1019980060793A KR 19980060793 A KR19980060793 A KR 19980060793A KR 100273764 B1 KR100273764 B1 KR 10027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rack
gear
load
cl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025A (ko
Inventor
도시아끼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1999008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Abstract

로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드 기어(9)에 맞물려 수납 동작을 행함으로써, 트레이(T)에 걸어 돌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트레이(T)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트레이(T)가 수납 위치가 되면 상기 걸림을 해제하여 단독으로 동작하며, 그 단독 동작후 로드 기어(9)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트레이 랙(1)과, 상기 트레이 랙(1)의 수납 동작에 따라 트레이 랙(1)에 맞물려 회전하는 릴레이 기어(3)와, 상기 릴레이 기어(3)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여 클램퍼를 해제 위치로부터 클램프 위치로 위치시키는 슬라이드 랙(2)과, 트레이 랙(1)의 수납 동작에 따라 동작하며 트레이 랙(1) 및 로드 기어(9)의 맞물림이 어긋나면 로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드 기어(6)에 픽업 구동용 픽업 랙(4)을 맞물리게 하는 토글 레버(5)를 구비함으로써, 로드와 피드 모터를 하나의 모터로 만듦으로써 비용 절감을 꾀한 로드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본 발명은 CD-ROM 드라이브나 DVD-ROM 드라이브로 대표되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이의 출입에 따른 디스크 로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CD-ROM 드라이브 등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로드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돌출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트레이를 이용하여 디스크 로드를 행한다. 이 경우, 돌출 위치에서 트레이에 재치된 다음 트레이 수납 위치로 수용된 디스크는 스핀들 모터나 픽업 등을 부착한 베이스의 상승으로 트레이로부터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상부 위치의 클램퍼로 끼워져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턴테이블)에 지지된다. 그 다음에 피드 모터에 의해 픽업이 동작 위치로 피드됨으로써 데이터의 독출이 개시된다.
종래,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를 이용한 디스크 장치에서는 트레이를 출입시키는 로드 모터와 픽업을 구동하는 피드 모터를 모두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이 점에 착안하여 로드와 피드 모터를 하나의 모터로 만듦으로써 비용 절감을 꾀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를 트레이 돌출 위치에서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를 트레이 수납 위치 바로 앞에서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를 트레이 수납 위치에서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를 트레이 랙 단독 동작 상태에서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를 픽업 피드의 개시 상태에서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를 디스크 로드 및 픽업 피드의 종료 상태에서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의 트레이 및 클램퍼 홀더에 대해 나타낸 설명도.
〈부호 설명〉
1.. 트레이 랙
1a.. 접동(摺動) 기구
1c.. 탄성 후크
2.. 슬라이드 랙
2a.. 캠 홈
3.. 릴레이 기어
4.. 픽업 랙
4a.. 걸림턱
5.. 토글 레버
5a.. 제 1 보스부
5b.. 제 2 보스부
5c.. 축
6.. 피드 기어
7.. 모터 기어
8.. 아이들 기어
9.. 로드 기어
10.. 탄성 바이어스 수단
11.. 턴테이블
B.. 베이스
C.. 클램퍼
Ca.. 캠 돌기
Cb.. 힌지 접속
Cd.. 돌기부
CH.. 클램퍼 홀더
D.. 디스크
P.. 픽업
T.. 트레이
Ta.. 걸림턱
Tb.. 가이드 트레이
Tc.. 트레이 본체
TS.. 트레이 스토퍼
본 발명에 의하면, 랙 및 피니언 구조를 이용하여 로드 및 피드 모터를 하나의 모터로 만들었다. 즉, 트레이의 출입에 따라 디스크 로드를 행하는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에 있어서, 로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드 기어에 맞물려 수납 동작을 행함으로써 트레이에 걸어 돌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트레이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트레이가 수납 위치가 되면 상기 걸림을 해제하여 단독으로 동작하며, 그 단독 동작후 상기 로드 기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트레이 랙과, 상기 트레이 랙의 수납 동작에 따라 그 트레이 랙에 맞물려 회전하는 릴레이 기어와, 상기 릴레이 기어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여 클램퍼를 해제 위치로부터 클램프 위치로 위치시키는 슬라이드 랙과, 상기 트레이 랙의 수납 동작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트레이 랙 및 상기 로드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로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드 기어에 픽업 구동용 픽업 랙을 맞물리게 하는 토글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트레이 랙을 동작시키는 하나의 로드 모터만으로 디스크 로드와 픽업 구동 모두를 처리하는 것이다. 이 모터를 하나로 만드는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트레이가 정확하게 수납 위치에 위치한 다음 트레이 랙 단독 동작으로 클램퍼가 클램프 위치로 내려오는 타이밍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클램프 타이밍을 확실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클램퍼를 동작시키는 슬라이드 랙은, 클램퍼 홀더의 캠 돌기와 연관된 캠 홈을 갖는 캠 구조로 만들면 된다. 즉, 슬라이드 랙의 동작에 의해 캠 홈 내부를 캠 돌기가 접동(摺動)함으로써 클램퍼 홀더에 지지된 클램퍼가 클램프/해제를 행한다.
또한, 슬라이드 랙이 클램퍼를 클램프 위치로 위치시키는 동작에 따라 장치 외부로 돌출된 돌출 수단을 설치해 두면, 그 돌출 수단을 밀어 넣음으로써 간단하게 이머젼시 이젝트를 행할 수 있다. 즉, 장치로부터 돌출된 돌출 수단을 밀어 넣으면 클램퍼를 움직여 클램프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릴레이 기어를 역회전시켜 트레이 랙을 움직여 트레이를 돌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출 수단은 슬라이드 랙 자체의 단부가 장치 외부로 돌출되게 하면 된다. 이 경우, 클램퍼 홀더를 일측 지지 구조로 만들면 클램프 위치로부터의 해제력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의 주요 구조의 일 예를 그 동작 상황과 함께 도시한다. 도 1은 트레이가 돌출 위치에 있는 상태, 도 2는 트레이가 수납 위치 바로 앞에 있는 상태, 도 3은 트레이가 수납 위치가 된 직후의 상태, 도 4 내지 도 6은 트레이와 트레이 랙의 걸림이 해제되어 트레이 랙 단독으로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의 트레이 랙(1)은, 접동 기구(1a)에 의해 트레이(T)에 대해 접동이 가능하게 트레이(T)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후크(1b)가 트레이(T)에 설치한 걸림턱(Ta)에 걸림으로써 수납 방향으로의 접동이 멈추게 되어 있다. 탄성 후크(1b)는 랙(1)의 일부를 잘라 형성한 발톱 모양의 것이면 된다. 트레이 후크(1)와 트레이(T)는 예를 들면 트레이 랙(1)에 레일 형태의 홈을 형성하는 한편, 이에 따른 발톱 모양 부분을 트레이(T)의 하면에 형성된 접동 기구(1a)에 의해 부착한다.
한편, 슬라이드 랙(2)은 릴레이 기어(3)에 맞물려 장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릴레이 기어(3)는 장치 안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랙(2)은 상기 릴레이 기어(3)의 위치로부터 장치 바로 앞 단부까지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슬라이드 랙(2)의 중심 부근에는 측면부에 캠 홈(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퍼를 지지하는 클램퍼 홀더(미도시)에 형성된 캠 돌기(Ca)와 걸리게 되어 있다. 여기서, 캠 홈(2a)의 상측 평탄부에 캠 돌기(Ca)가 위치하여 클램퍼 홀더를 해제 위치로 만든다.
또한, 스핀들 모터를 탑재한 베이스(B)에 픽업(P)이 부착되어 있으며, 픽업 랙(4)에 의해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픽업 랙(4)은 걸림턱(4a)과의 사이의 홈에서 토글 레버(5)의 제 1 보스부(5a)를 끼워 넣도록 되어 있으며, 트레이(T)의 출입시에는 픽업 랙(4)과 피드 기어(6)가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걸려있다.
도 1에서는, 로드 모터(미도시)에 의한 모터 기어(7)의 구동으로 아이들 기어(8)를 통해 로드 기어(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레이 랙(1)이 돌출 방향으로 전진하며, 이에 따라 트레이(T)가 돌출 위치로 밀어낸 상태가 된다. 여기서 트레이(T)에 디스크가 재치되면, 로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로드 기어(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레이 랙(1)이 수납 방향으로 후퇴한다. 그러면, 걸림턱(Ta) 및 탄성 후크(1b)가 걸려있어 트레이 랙(1)의 동작에 따라 트레이(T)도 수납 위치로 수납되어 가게 된다.
이제까지 릴레이 기어(3)를 구동한 것이 아니므로 슬라이드 랙(2)은 장치 내부로 들어간 가장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클램퍼 홀더를 해제 위치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모터 기어(7)의 구동에 따라 피드 기어(6)도 회전하는데, 이 경우에는 픽업 랙(4)과의 맞물림이 어긋나기 때문에 공회전하며 픽업(P)은 걸림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납 위치 직전까지 트레이(T)가 들어가 트레이 랙(1)과 릴레이 기어(3)가 맞물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2이다. 도 2의 상태에서 트레이(T)는 손으로 집어낼 수 있을 정도로 장치 전면에서 약간 돌출되어 있다(본 예에서는 트레이(T)가 트레이 스토퍼(TS) 앞쪽 10mm까지 들어간 상태). 그리고, 트레이 랙(1)과 릴레이 기어(3)가 맞물리기 시작하므로, 슬라이드 랙(2)은 가장 후퇴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클램퍼는 아직 해제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토글 레버(5) 및 픽업 랙(4)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피드 기어(6)는 공회전한 상태이며, 픽업(P)도 걸림 위치를 유지한다.
도 2의 상태로부터 로드 모터가 회전하게 되면, 트레이(T)는 스토퍼(TS)에 접하여 완전하게 수납 위치가 되며, 그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것이 도 3의 상태이다. 도 2의 상태로부터 도 3의 상태까지의 트레이(T)가 10mm 움직이는 동안, 마찬가지로 10mm 정도 움직이는 트레이 랙(1)과의 맞물림에 의해 릴레이 기어(3)가 회전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랙(2)도 10mm 전진하게 된다. 그러나, 슬라이드 랙(2)의 캠 홈(2a) 상측 평탄부 길이가 10mm 이상이 되므로 클램퍼는 아직 해제 위치를 유지한다.
이 상태로부터 로드 모터가 회전을 계속하면, 탄성 후크(1b)에 의한 트레이 랙(1)과 트레이(T)의 걸림이 모터 회전력을 견디지 못해 해제되며, 트레이 랙(1)만이 단독으로 장치 안쪽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 상태를 도 4에 도시한다. 이와 같이 걸림 해제후의 트레이 랙 단독 동작에 따른 릴레이 기어(3)의 회전으로 슬라이드 랙(2)이 장치 바로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 때에는 슬라이드 랙(2)의 캠 홈(2a) 경사부에 캠 돌기(Ca)가 들어가게 되며, 클램퍼가 클램프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트레이 랙(1)의 돌기(1c)가 토글 레버(5)의 제 2 보스부(5b)에 접하는 상태가 되어 토글 레버(5)가 축(5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도 4로부터 로드 모터가 회전하고,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트레이 랙(1)과 로드 기어(9)의 맞물림이 어긋나는 위치까지 오게 되면, 슬라이드 랙(2)의 전진에 의해 클램퍼 홀더의 캠 돌기(Ca)가 캠 홈(2a)의 하측 평탄부로 들어가게 되어 클램퍼가 클램프 위치가 되어 턴테이블 상의 디스크를 클램프한다. 한편, 트레이 랙(1)의 후퇴에 의해 토글 레버(5)가 회동하게 되므로 토글 레버(5)의 제 1 보스부(5a)에 눌려 픽업 랙(4)이 걸림 위치로부터 전진하여 피드 기어(6)와 맞물리기 시작한다.
여기서 다시 로드 모터가 회전하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랙(1)과 로드 기어(9)의 맞물림이 없어지는 한편 픽업 랙(4)과 피드 기어(6)가 맞물리며, 로드 모터가 그대로 피드 모터가 되어 피드 기어(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턱(4a)에 의한 로크를 완전히 벗어나 픽업(P)을 동작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트레이 랙(1)이 가장 안쪽까지 후퇴하면 트레이 랙(1)의 톱니가 없는 부분이 로드 기어(9)에 대해 위치하게 되므로 로드 모터에 의해 로드 기어(9)가 회전해도 공회전이 되며, 마찬가지로 로드 모터의 구동 피드 기어(6)에 의한 픽업(P)의 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있다.
이상의 트레이 랙(1)의 수납 동작에 따른 디스크 로드 및 픽업 피드 동작의 역순이 이젝트 동작이 된다. 즉, 이젝트 버튼(미도시)이 조작되면, 로드 모터에 의해 피드 기어(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픽업 랙(4)이 장치 안쪽의 걸림 위치로 후퇴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보스부(5a)가 눌려 토클 레버(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 2 보스부(5b)가 트레이 랙(1)을 눌러 전진시키기 때문에, 트레이 랙(1)과 로드 기어(9)가 맞물리기 시작한다(도 5의 상태).
로드 기어(9)가 맞물려 트레이 랙(1)이 전진하기 시작하면, 릴레이 기어(3)가 구동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랙(2)이 후퇴하여 클램프 해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레이 랙(1)과 트레이(T)가 걸림과 동시에 트레이(T)가 전진하기 시작하고, 로드 모터에 의한 로드 기어(9)의 구동으로 트레이(T)는 돌출 위치로 밀어내게 된다.
만약, 디스크 로드시 어떤 이유로 인해 클램프에 실패한 경우, 수동으로 디스크를 취출하는 이머젼시 이젝트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본 예의 이머젼시 이젝트는 슬라이드 랙(2)을 강제로 후퇴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슬라이드 랙(2)을 강제로 후퇴시키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랙(2)의 전진에 따라 장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 모양의 돌출 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두고 이것을 수동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이머젼시 이젝트로 슬라이드 랙(2)이 밀어 넣어지면 우선 그 캠 홈(2a)에 따라 캠 돌기(Ca)가 동작되므로, 클램퍼 홀더가 클램프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강제로 이동하게 된다. 클램프 해제와 동시에 릴레이 기어(3)의 강제 역회전에 의해 트레이 랙(1)은 전진하며, 트레이(T)와 걸린 다음에 도 2의 릴레이 기어(3)와 트레이 랙(1)의 맞물림이 어긋나는 지점까지 움직이게 된다. 도 2의 상태가 되면, 트레이(T)의 전단 부분이 장치 전면으로부터 10mm 정도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나중에 그 돌출 부분을 잡아당기면 된다.
상기 트레이(T)를 잡아당길 때에는, 트레이 랙(1)의 전진 이동에 의해 로드 기어(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아이들 기어(8)로부터 모터 기어(7)를 거쳐 피드 기어(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픽업 랙(4)은 걸림 위치로 후퇴하게 되며 자동적으로 토글 레버(5)에 의한 걸림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이머젼시 이젝트나 통상의 이젝트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클램퍼 홀더(CH)를 장치 안쪽에서 힌지 접속(Cb)으로 하고, 그 힌지 접속(Cb)을 축으로 하여 상하 회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프의 해제력이 작다. 또한, 본 예에서는 트레이(T)를, 디스크를 재치하는 가이드 트레이(Tb)와 트레이 본체(Tc)로 된 2층 구조로 만들어 가이드 트레이(Tb)를 탄성 바이어스 수단(10)으로 탄성 바이어스시켜 트레이 본체(Tc)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돌출 위치에서는 가이드 트레이(Tb)가 상승한 위치에서 디스크(D)를 재치하는 한편, 수납 위치가 되어 클램퍼 홀더(CH)가 하강하게 되면 클램퍼 홀더(CH)의 돌기부(Cd)에 의해 가이드 트레이(Tb)가 눌러져 내려가 이에 따라 디스크(D)가 턴테이블(11)에 지지됨과 동시에 클램퍼(C)에 의해 클램프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가이드 트레이(Tb)의 탄성력이 클램퍼 홀더(CH)의 클램프 해제를 보조하도록 작용하며, 클램프 해제력을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드 기구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로 디스크 로드부터 픽업 피드까지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절감과 공간 축소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로드시의 클램프 타이밍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디스크 장치의 안정 동작과 파손 방지에 기여한다. 또한, 만약 로드에 이상이 발생해도 간단한 조작으로 이머젼시 이젝트를 행할 수 있고, 복구도 용이하다.

Claims (4)

  1. 트레이의 출입에 따라 디스크 로드를 행하는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에 있어서,
    로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드 기어에 맞물려 수납 동작을 행함으로써 트레이에 걸어 돌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트레이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트레이가 수납 위치가 되면 상기 걸림을 해제하여 단독으로 동작하며, 그 단독 동작후 상기 로드 기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트레이 랙과, 상기 트레이 랙의 수납 동작에 따라 그 트레이 랙에 맞물려 회전하는 릴레이 기어와, 상기 릴레이 기어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여 클램퍼를 해제 위치로부터 클램프 위치로 위치시키는 슬라이드 랙과, 상기 트레이 랙의 수납 동작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트레이 랙 및 상기 로드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로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드 기어에 픽업 구동용 픽업 랙을 맞물리게 하는 토글 레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랙은 클램퍼 홀더의 캠 돌기와 연관된 캠 홈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랙이 클램퍼를 클램프 위치로 위치시키는 동작에 따라 장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수단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 홀더는 일측 지지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KR1019980060793A 1998-05-28 1998-12-30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KR100273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46863 1998-05-28
JP14686398A JP4087502B2 (ja) 1998-05-28 1998-05-28 ディスク装置のロード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025A KR19990087025A (ko) 1999-12-15
KR100273764B1 true KR100273764B1 (ko) 2000-12-15

Family

ID=1541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793A KR100273764B1 (ko) 1998-05-28 1998-12-30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39575B1 (ko)
JP (1) JP4087502B2 (ko)
KR (1) KR100273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3168B2 (en) 2010-12-31 2013-05-28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Disk drive having a tray lock releasing unit and a method of releasing a tray lock using the tray lock releasing unit
KR20200077158A (ko) 2018-12-20 2020-06-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중하중 분산을 위한 기초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07U (ja) * 1992-08-04 1994-03-01 オーツタイヤ株式会社 タイヤ滑止具用締付具
JP2000285560A (ja) * 1999-03-31 2000-10-13 Hitachi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JP4054133B2 (ja) * 1999-05-25 2008-02-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TW526989U (en) * 2001-06-29 2003-04-01 Wistron Corp Machine core of optical disk drive having manual disk-ejecting mechanism
KR100427175B1 (ko) * 2001-08-29 2004-04-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차량용 씨디플레이어의 구동장치
KR100772362B1 (ko) * 2001-09-27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카트리지 잠금장치
JP2003173600A (ja) * 2001-12-04 2003-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媒体イジェクト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3792643B2 (ja) * 2002-12-06 2006-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3095682U (ja) * 2003-02-03 2003-08-15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752689B2 (ja) * 2003-03-25 2006-03-08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のトレイ駆動機構
EP1503374A3 (en) * 2003-07-30 2005-02-09 ORION ELECTRIC CO., Ltd. Pickup shift device
CN1842849A (zh) * 2003-08-26 2006-10-0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盘形光学数据载体的驱动器
ATE383643T1 (de) * 2003-08-26 2008-01-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aufwerk für einen scheibenförmigen optischen datenträger
KR100680814B1 (ko) * 2006-05-24 200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CN103426446A (zh) * 2012-05-17 2013-12-04 广明光电股份有限公司 吸入式光盘机紧急退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980B1 (en) * 1985-01-23 1990-05-03 Sanyo Electric Co Disc player
US5142523A (en) * 1987-07-31 1992-08-25 Yamaha Corporation Disc playback device
JP3064720B2 (ja) * 1992-04-22 2000-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EP0614178A3 (en) * 1993-03-05 1994-10-12 Nakamichi Corp Disc player with compact disc transport device.
CN1111859C (zh) * 1995-07-13 2003-06-18 索尼公司 盘弹出装置及盒式盘的装入装置
JPH1031854A (ja) * 1996-07-18 1998-02-03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US6208606B1 (en) * 1996-10-08 2001-03-27 Kabushiki Kaisha Toshiba Disc reproduc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3168B2 (en) 2010-12-31 2013-05-28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Disk drive having a tray lock releasing unit and a method of releasing a tray lock using the tray lock releasing unit
KR20200077158A (ko) 2018-12-20 2020-06-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중하중 분산을 위한 기초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53751A (ja) 1999-12-24
KR19990087025A (ko) 1999-12-15
JP4087502B2 (ja) 2008-05-21
US6339575B1 (en) 2002-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3764B1 (ko)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KR920004756Y1 (ko)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
JPH07110981A (ja) 磁気テープレコーダ
US6654334B1 (en) Disk loading device having a manual drive member for moving a drive mechanism in an eject direction
JP3045223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4310813A (ja) ディスク装置
US6058090A (en) Loading mechanism for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JP3506598B2 (ja) ディスク移送機構
JP3915918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ディスクプレーヤ
US5600508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hich utilizes the driving force of motor installed in tape driving mechanism
US6188542B1 (en) Apparatus for loading a disk cartridge
US20040218481A1 (en) Slot-in type reproducing/recording apparatus
JP2006179078A (ja) ディスク装置
JP4136968B2 (ja) ディスク装置
JP3395945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US5055954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in which cassette is loaded short side first
JPH0430694Y2 (ko)
KR930008495Y1 (ko) 테이프 카세트 장착장치
JP3156424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4039193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ディスクリリース機構
JPH051004Y2 (ko)
KR200142820Y1 (ko) 자동차용 카세트데크의 테이프카세트 이젝트장치
JP3746118B2 (ja) カートリッジのローディング機構
KR0113202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삽입 안전장치
JPH031238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