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814B1 -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814B1
KR100680814B1 KR1020060046712A KR20060046712A KR100680814B1 KR 100680814 B1 KR100680814 B1 KR 100680814B1 KR 1020060046712 A KR1020060046712 A KR 1020060046712A KR 20060046712 A KR20060046712 A KR 20060046712A KR 100680814 B1 KR100680814 B1 KR 10068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turntable
optical pickup
tray
tra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4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having a toroidal or part-toroidal shape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베이스(40)에 설치된 광픽업베이스(42)의 일측에 턴테이블(46)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베이스(40)의 상면에 로딩 및 이젝트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트레이본체(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본체(50)에는 클램프홀더(60)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홀더(60)의 선단에는 통공(6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62)에는 클램프(64)가 삽입되고, 상기 턴테이블(46)과 결합하여 디스크를 턴테이블(46)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클램프홀더(60)는 상기 트레이본체(50)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본체(50)의 상면에는 디스크트레이(5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트레이(54)에는 디스크(D)가 안착될 수 있는 다수 개의 디스크안착부(5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에 의하면 디스크 처킹에러를 방지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클램핑, 디스크트레이, 메인베이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A disk clamping structure for disk driv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본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레이본체가 이젝트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메인베이스 42 : 광픽업베이스
43 : 광픽업 46 : 턴테이블
50 : 트레이본체 54 : 디스크트레이
56 : 디스크안착부 58 : 광픽업윈도우
60 : 클램프홀더 62 : 통공
64 : 클램프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를 턴테이블과 일체로 회전되게 고정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베이스(2)에는 광픽업베이스(4)가 설치된다. 상기 광픽업베이스(4)는 상기 메인베이스(2)의 안쪽의 개구된 공간에 설치되고, 디스크로 전달되는 광을 쏘아주는 광픽업(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광픽업에서 쏘는 광에 의해 디스크(D)에 기록된 신호를 읽거나 디스크(D)에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광픽업베이스(2)의 일측에는 스핀들 모터(6)가 구비되고, 상기 스핀들 모터(6)의 회전축에는 상기 스핀들 모터(6)의 구동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턴테이블(8)이 구비된다. 상기 턴테이블(8)은 디스크(D)가 안착되어 디스크(D)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베이스(2)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홈(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0)에는 트레이본체(12)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상기 트레이본체(12)는 상기 가이드홈(10)에 의해 안내되어 삽입되고, 상기 메인베이스(2)의 상면에서 로딩 및 이젝트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2)의 상면에는 디스크트레이(1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스크트레이(14)에는 디스크(D)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디스크안착부(16)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크안착부(16)는 상기 광픽업에서 쏘아지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절개된 광픽업윈도우(18)가 형성된다. 상기 광픽업윈도우(18)는 상기 광픽업이 디스크(D)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쏘아주는 광을 디스크(D)에 전달하기 위해 반지름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트레이(14)에 디스크(D)가 안착되어 오디오기기 내부로 삽입되면, 디스크(D)는 상기 디스크트레이(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8)의 위쪽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메인베이스(2)에는 상기 광픽업베이스(4)의 위쪽에 위치되게 클램프홀더(20)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홀더(20)는 로딩 및 이젝트되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베이스(2) 선단을 향해 소정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홀더(20)의 선단에는 클램프(24)를 삽입하기 위한 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24)는 상기 턴테이블(8)과 결합할 수 있도록 그 자체가 일정 중량을 가지거나 내부에 마그네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공(22)의 중심은 상기 디스크트레이(14)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D)가 상기 클램프홀더(20)의 아래쪽에 위치했을 때, 디스크(D)의 중심과 수직 방향으로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홀더(20)에는 상기 클램프(24)가 삽입되어 클램프홀더(20)는 디스크(D)를 상기 턴테이블(8) 상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트레이본체(12)가 이젝트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14)에 디스크(D)를 안착시키고 상기 트레이본체(12)를 오디오기기 내부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상기 트레이본체(12)는 상기 가이드홈(1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메인베이스(2)의 상면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된다. 그 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크(D)가 상기 턴테이블(8)의 위쪽으로 이동된다. 여기에서 디스크(D)는 디스크(D)의 중심, 상기 클램프홀더(20)의 중심, 상기 턴테이블(8)의 중심이 동축 상에서 일치하는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D)가 이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광픽업베이스(4)의 선단이 상승하여 상기 턴테이블(8)이 디스크(D)를 처킹(chucking)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4)는 상기 턴테이블(8)과 결합한다. 상기 클램프(24)는 자중에 의해 결합되거나 마그네트 자성에 의해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홀더(20)는 상기 메인베이스(2)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D)는 상기 트레이본체(12)에 결합된 상기 디스크트레이(14)의 디스크안착부(16)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홀더(20), 트레이본체(12), 디스크트레이(14)가 각각의 치수 공차 범위 내에서 제작이 되었다고 해도 이러한 공차들이 합쳐지면 누적 공차가 발생한다. 그리고, 조립시에는 조립 공차가 발생하여 공차가 더욱 누적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트레이본체(12)가 상기 메인베이스(2)에 삽입되었을 때 디스크(D)의 중심이 상기 턴테이블(8)과 상기 클램프홀더(20)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D)를 재생함에 있어서, 디스크(D)가 정위치에 있지 못해 디스크 처킹에러가 발생한다. 그 결과, 상기 클램프(24)에 의한 클램핑 또한 부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램프홀더(2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메인베이스(2)의 일측 상면에 복잡하고 불필요한 형상의 구조가 구비된다. 따라서, 복잡한 성형을 위한 공정이 추가되고, 상기 클램프홀더(20)를 형성하기 위해 불필요한 재료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크 클램핑구조에서 발생하는 누적 공차를 줄여서 디스크 처킹에러의 발생을 막고, 디스크를 정확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가진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베이스에 설치된 광픽업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메인베이스의 상면에 로딩 및 이젝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설치되고, 그 선단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클램프홀더와; 상기 통공 에 삽입되고, 상기 턴테이블에 디스크가 안착된 상태에서 턴테이블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크가 안착될 수 있는 다수개의 디스크안착부가 형성되는 디스크트레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홀더는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트레이본체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안착부에는 상기 광픽업베이스에 구비된 광픽업에서 쏘아지는 광을 통과시켜 디스크에 전달하는 광픽업윈도우가 형성된다.
상기 광픽업윈도우는 상기 디스크안착부의 중심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바깥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베이스에 설치된 광픽업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메인베이스의 상면에 로딩 및 이젝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가 로딩 및 이젝트될 때 트레이본체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클램프홀더와; 상기 턴테이블에 상기 디스크가 안착된 상태에서 턴테이블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홀더에는 상기 클램프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크가 안착될 수 있는 다수개의 디스크안착부가 형성되는 디스크트레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안착부에는 상기 광픽업베이스에 구비된 광픽업에서 쏘아지는 광 을 통과시켜 디스크에 전달하는 광픽업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광픽업윈도우는 상기 디스크안착부의 중심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바깥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가 정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디스크 처킹에러의 발생을 막고, 디스크의 정확한 클램핑이 가능하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실현을 통해 불필요한 재료비를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과 도 4에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본체와 메인베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 설명될 광픽업베이스(42), 광픽업(43), 스핀들모터(44), 턴테이블(46)의 구성은 도 2,4,5에서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크 드라이브의 골격을 구성하는 메인베이스(40)에는 광픽업베이스(42)가 설치된다. 상기 광픽업베이스(42)는 디스크(D)의 로딩 및 언로딩시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본체(5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그 선단이 승강된다. 상기 광픽업베이스(42)에는 디스크(D)에 광을 전달하여 디스크(D)에 저장된 신호를 읽거나 디스크(D)에 신호를 저장하는 광픽업(43)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광픽업베이스(42)의 일측에는 스핀들 모터(44)가 구비된다. 상기 스핀들 모터(44)의 회전축에는 턴테이블(46)이 구비된다. 상기 턴테이블(46)에는 디스 크(D)가 안착되는데, 상기 턴테이블(46)은 상기 스핀들 모터(4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디스크(D)도 함께 회전시킨다. 상기 메인베이스(40)의 측면에는 가이드홈(48)(도 4참조)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베이스(40)에는 트레이본체(50)가 상기 가이드홈(48)에 의해 안내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본체(50)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48)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52)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본체(50)는 디스크(D)를 안착시켜 오디오기기 내외부로 이송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트레이본체(50)의 상면에는 디스크트레이(5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트레이(54)는 전체적으로 얇은 디스크의 형상이고, 디스크(D)가 안착될 수 있는 다수개의 디스크안착부(5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안착부(56)에는 상기 광픽업(43)에서 쏘아지는 광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일부분이 절개된 광픽업윈도우(58)가 형성된다. 상기 광픽업윈도우(58)는 상기 디스크안착부(56)의 중심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54)의 바깥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디스크(D)의 반지름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상기 광픽업(43)의 광을 통과시켜 디스크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본체(50)에는 클램프홀더(60)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홀더(60)는 디스크(D)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디스크(D)보다 위쪽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홀더(60)는 상기 트레이본체(50)의 중심에서 로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통공(6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62)의 중심은 디스크(D)가 상기 클램프홀더(60)의 아래쪽에 위치했을 때, 디스크(D)의 중심과 수직 방향으로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홀더(60)는 상기 트레이본체(50)가 로딩 및 이젝트될 때, 트레이본체(50)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클램프홀더(60)가 상기 트레이본체(50)와 일체로 움직이기만 한다면 클램프홀더(60)가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본체(50)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홀더(60)가 상기 디스크트레이(56)에 별도의 부품과 같이 설치되어 디스크트레이(56)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상기 트레이본체(50)와 일체로 움직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상기 통공(62)에는 클램프(64)가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D)를 고정시킨다. 상기 클램프(64)의 내부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64)의 내부에 일정한 무게를 가진 중량물이 구비될 수도 있고, 클램프(64) 자체가 중량을 가지고 디스크(D)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트레이본체가 이젝트된 상태에서의 디스크 클램핑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우선 사용자는 오디오기기 외부로 상기 트레이본체(50)를 이젝트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크안착부(56)마다 디스크(D)를 안착시키고 상기 트레이본체(50)를 로딩한다. 이때 사용자는 외부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개의 디스크(D)중 재생하고 싶은 디스크(D)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로딩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디스크트레이(54)는 선택된 디스크(D)가 상기 턴테이블(46)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광픽업베이스(42)의 선단이 상승하면서 상기 턴테이블(46)이 디스크(D)를 처킹한다. 상기 광픽업(43)에서 쏘아지는 광은 상기 광픽업윈도우(58)를 통해 디스크(D)를 조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크(D)를 재생시켜 원하는 영화,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로딩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는 처음에 재생시킨 디스크(D)가 아닌 다른 디스크(D)를 재생시키기 위해 외부인터페이스를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광픽업베이스(42)의 선단이 하강하면서 처킹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트레이(54)는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디스크(D)가 상기 턴테이블(46)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회전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로딩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턴테이블(46)이 상승하여 처킹이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선택된 디스크(D)를 재생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디스크안착부(56)에 안착시킨 디스크(D)중 원하는 디스크(D)를 언제든지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클램핑홀더가 트레이본체의 회전 중심에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3부분(메인베이스, 트레이본체, 디스크트레이)에서 공차가 누적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본체와 디스크트레이에서 누적된 공차에 의한 오차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메인베이스에 설치된 클램핑홀더가 트레이본체 및 디스크트레이와 별개로 작동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본체 또는 디스크트레이에 직접 설치되고 트레이본체와 디스크트레이는 서로 결합되어 작동되므로 작동 오차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결국, 디스크의 중심과 턴테이블의 중심이 수직 방향으로 일치하게 되므로 턴테이블의 상승에 의한 디스크 처킹시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클램프에 의한 클램핑도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클랭핑홀더는 트레이본체에 구비되어 종래의 구조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 결과, 종래보다 간단한 성형 공정을 통해 제품을 생산하고, 재료비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메인베이스에 설치된 광픽업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메인베이스의 상면에 로딩 및 이젝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설치되고, 그 선단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클램프홀더와;
    상기 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턴테이블에 디스크가 안착된 상태에서 턴테이블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크가 안착될 수 있는 다수개의 디스크안착부가 형성되는 디스크트레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안착부에는 상기 광픽업베이스에 구비된 광픽업에서 쏘아지는 광을 통과시켜 디스크에 전달하는 광픽업윈도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윈도우는 상기 디스크안착부의 중심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바깥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홀더는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트레이본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6. 메인베이스에 설치된 광픽업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메인베이스의 상면에 로딩 및 이젝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가 로딩 및 이젝트될 때 트레이본체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클램프홀더와;
    상기 턴테이블에 상기 디스크가 안착된 상태에서 턴테이블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홀더에는 상기 클램프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크가 안착될 수 있는 다수개의 디스크안착부가 형성되는 디스크트레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안착부에는 상기 광픽업베이스에 구비된 광픽업에서 쏘아지는 광을 통과시켜 디스크에 전달하는 광픽업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광픽업윈도우는 상기 디스크안착부의 중심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바깥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KR1020060046712A 2006-05-24 2006-05-24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KR10068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712A KR100680814B1 (ko) 2006-05-24 2006-05-24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712A KR100680814B1 (ko) 2006-05-24 2006-05-24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814B1 true KR100680814B1 (ko) 2007-02-09

Family

ID=3810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712A KR100680814B1 (ko) 2006-05-24 2006-05-24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8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7025A (ko) * 1998-05-28 1999-12-15 윤종용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KR20020032139A (ko) * 2000-10-25 2002-05-03 구자홍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장치
KR20050010119A (ko) * 2003-07-18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클램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7025A (ko) * 1998-05-28 1999-12-15 윤종용 디스크 장치의 로드 기구
KR20020032139A (ko) * 2000-10-25 2002-05-03 구자홍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장치
KR20050010119A (ko) * 2003-07-18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클램프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87025
1020020032139
10200500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0698B2 (ja) 記録再生装置
US6918130B2 (en) Optical disk unit
EP1079384B1 (en) Disk device
JP4702005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4088327B2 (ja) 移動規制装置、その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0680814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핑구조
JP4395694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9786315B1 (en) Disc device
US6973660B2 (en) Disk driver
US6418090B1 (en) Biasing magnet positioning mechanism
KR100811822B1 (ko) 멀티디스크 플레이어
US20070234376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20050084756A (ko) 기록 재생 장치
US7650610B2 (en) Recording medium driver and recorder/reproducer
JP4490755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40087900A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2007080337A (ja) 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4260750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4283865B2 (ja) ディスク装置
JP4692474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H047026B2 (ko)
JP5573088B2 (ja) ドライブ装置
JP2003257167A (ja) ディスク装置のカートリッジ保持機構
JPH1040562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8146709A (ja) 記録媒体駆動装置、電子機器及び記録媒体押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