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663B1 - 가라오께장치 - Google Patents

가라오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663B1
KR100267663B1 KR1019950037629A KR19950037629A KR100267663B1 KR 100267663 B1 KR100267663 B1 KR 100267663B1 KR 1019950037629 A KR1019950037629 A KR 1019950037629A KR 19950037629 A KR19950037629 A KR 19950037629A KR 100267663 B1 KR100267663 B1 KR 100267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title
data storage
key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522A (ko
Inventor
마사시 다시로
히로카즈 가토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Publication of KR96001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10H5/005Voice controlled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4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differentiation between music and non-music signal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musical parameters, e.g. based on tempo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31Library retrieval, i.e. searching a database or selecting a specific musical piece, segment, pattern, rule or parameter set
    • G10H2240/141Library retrieval matching, i.e. any of the steps of matching an inputted segment or phrase with musical database contents, e.g. query by humming, singing or playing; the steps may include, e.g. musical analysis of the input, musical feature extraction, query formulation, or details of the retrieval proc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45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541Details of musical waveform synthesis, i.e. audio waveshape processing from individual wavetable samples, independently of their origin or of the sound they represent
    • G10H2250/571Waveform compression, adapted for music synthesisers, sound banks or wavetables
    • G10H2250/591DPCM [delta pulse code modulation]
    • G10H2250/595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청메시지에 따라 표제악곡을 연주하는 가라오께장치에 관한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께장치는 다수의 표제악곡들을 표시하는 음악데이타를 기억하기위한 음악데이타기억수단과 표제악곡을 특정하는 다수의 키아이템을 표시하는 참조데이타를 기억하기위한 참조데이타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는 음성신청메시지를 수집하여 이것을 대응하는 음성신호로 변환하기위한 마이크로폰이 구비되어 있다. 음성신호는 분석되어 그로부터 원하는 표제악곡을 제시하는 키정보를 추출한다. 참조데이타기억수단은 키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키아이템 사이의 일치를 감지하기 위해 검색되어 원하는 표제악곡을 확인한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가라오께 장치는 음악데이타기억수단으로부터 원하는 표제악곡의 음악데이타를 불러내어 출력된 음악데이타에 따라 원하는 표제악곡을 연주하게 된다.

Description

가라오께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께장치의 블록도이다.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의 가라오께장치의 RAM과 HDD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가라오께장치에 설치된 참조데이타테이블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가라오께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가라오께장치의 다른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가라오께장치의 또다른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O : CPU 11 : ROM
12 : RAM 16 : ISDN 콘트롤러
17 :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19 : 음원장치
20 : D/A 컨버터 21 : 디지탈신호프로세서(DSP)
23 : 문자발생부 24 : 레이져디스크체인져
27 : 마이크로폰 29 : A/D컨버터
본 발명은 음성신청메시지의 음성입력으로 선곡동작이 가능한 가라오께장치(즉, 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가라오께장치에 원하는 표제악곡(entry song)을 지정하는 방법의 하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이전에는, 장치의 내부메모리 내에 보유되어 즉시 재생할 수 있는 가라오께표제악곡의 리스트북이 제공되었다. 준비된 리스트북을 참조하여 가라오께장치에 신청코맨드(command)를 입력하기위해 적외선 리모콘 등의 수동코맨더(commander)가 사용되었다. 동작에 있어서, 가창자는 가라오께음악의 리스트로부터 표제악곡의 제목 등으로 원하는 악곡을 선택한다. 이어, 가창자가 적외선리모콘을 동작하여, 선정된 악곡제목(song title)에 대응하는 악곡코드를 입력한다. 이 적외선 리모콘은 악곡코드를 가라오께장치로 송신한다.
그러나, 가창자는 여러가지 제어키를 동작하여 수자나 알파벳으로 구성된 대략 6 내지 8자리의 악곡코드를 입력해야 하므로, 동작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가창자가 원하는 표제악곡의 제목을 모르고 있다거나 잊었을 때에는 리스트북은 단지 악곡의 제목이 표시된 악곡코드만을 기재하고 있으므로 가창자는 원하는 표제악곡을 선택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악곡의 제목을 모르더라도 원하는 표제악곡을 단순한 음성동작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동명령동작을 제거할 수 있는 가라오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표제악곡을 연주하기 위해 신청메시지에 반응하는 가라오께장치가 제공된다. 이 가라오께장치는 다수의 표제악곡을 표시하는 음악데이타를 기억하는 음악데이타기억수단, 표제악곡을 특정하는 다수의 키아이템(key item)을 표시하는 참조데이타를 기억하는 참조기억수단, 음성신청메시지를 수집하고 그것을 대응하는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수집수단, 원하는 표제악곡을 제시하는 키정보(key information)를 추출하기위해 음성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추출수단, 키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키아이템사이의 일치를 감지하여 원하는 표제악곡을 확인하기 위해 참조데이타기억수단을 검색하는 검색수단, 및 음악데이타기억수단으로부터 원하는 표제악곡의 음악데이타를 재생시켜 재생된 음악데이타에 따라 원하는 표제악곡을 연주하는 연주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께장치는 음악데이타기억수단에 다수의 가라오께표제악곡을 기억하여, 참조데이타기억수단에 각 표제악곡에 대한 다수 종류의 키아이템을 기억한다. 가라오께장치에서, 원하는 표제악곡은 사용자에의해 입력된 키정보에 따라 참조기억수단을 검색하여 선택된다. 선곡은 가창음성을 픽업하기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키정보의 음성입력에의해 수행된다.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음성신청메시지가 입력되면, 키정보는 추출수단에 의해 음성신청메시지로부터 추출된다. 참조데이타기억수단은 음성신청메시지로 제시된 표제악곡을 확인하기위해 입력된 키정보에 따라 검색된다. 따라서, 음악데이타의 재생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행된다.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라오께장치의 블럭도이다. 이 가라오께장치는 통신형의 음원가라오께장치이다. 음원가라오께장치는 내부음원과 D/A컨버터를 동작하기 위한 악기음정(tone)데이타와 보컬(vocal)데이타를 포함하는 음악데이타를 기억한다. 음원은 음정데이타를 차례로 판독하여 가라오께 연주 음악을 발생한다. D/A컨버터는 보컬데이타에 따라 백코러스사운드 등을 발생한다. 또한, 통신형의 가라오께장치란 호스트스테이션으로부터 음정데이타를 포함하는 음악데이타를 다운로드(download)하기위해 ISDN라인 등의 통신라인을 통해 가라오께장치가 호스트(host)스테이션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라오께장치는 다운로드된 음악데이타가 HDD에 기억될 수 있도록 수백내지 수천의 표제악곡을 표시하는 음악데이타를 기억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17)를 가진다.
가라오께장치는 적외선리모콘(30) 등의 수동코맨더로부터의 선곡을 위한 신청코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가라오께장치는 가라오께연주중 가창음성을 수집하기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선곡을 위한 음성신청메시지를 수집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마이크로폰앞에서 악곡제목을 발성하면, 가라오께장치는 악곡제목의 발성을 인식하여 인식된 악곡제목에 대응하는 가라오께음악의 연주를 시작한다.
상세하게는, CPU(10)가 가라오께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CPU(10)는, 버스를 거쳐 ROM(11), RAM(12),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17), ISDN콘트롤러(16), 리모콘수신기(13), 표시판넬(14), 판넬스위치(15), 음원장치(19), D/A컨버터(20), 디지탈신호프로세서(DSP, 21), 문자발생부(23), 레이져디스크(LD)체인저(24), 표시구동부(25) 및 A/D컨버터(29)에 접속되어 있다.
ROM(11)에는, 시스템프로그램, 다양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로더(loader)프로그램 및 폰트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다. 시스템프로그램은, 장치의 기본동작과 주변기기와의 데이타송수신동작을 제어한다.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은 예컨데 시퀀스프로그램 및 음성인식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시퀀스프로그램은 메인시퀀스프로그램, 음악시퀀스프로그램, 문자시퀀스프로그램, 보컬시퀀스프로그램 및 DSP시퀀스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가라오께연주시에는 각 시퀀스프로그램이 CPU(10)에 의해 병렬처리되어, 음악데이타에 기한 가라오께연주의 청각 및 영상 부분이 재생된다. 로더프로그램은 호스트스테이션으로부터 음악데이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음성인식프로그램은, A/D컨버터(29)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음성신호로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데, 음성신호에 포함된 청각요소들이 감지되어 음성신청메시지로부터 키정보를 감지된 청각요소로 표현된 악곡제목 등의 키워드의 형태로 추출한다. 또한, 음성신호에 포함된 음정이 감지되어 음성신호메시지로부터 키정보를 원하는 표제악곡의 도입부 혹은 주요 멜로디를 표시하는 키멜로디패턴의 형태로 추출한다. 폰트데이타는 가사나 곡명을 폰트데이타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명조체나 둥근 고딕체 등의 복수종류의 문자폰트를 표시한다. RAM(12)은 CPU(10)를 위해 내부에 워크에리어를 제공하며, HDD(17)는 수백 내지 수천의 표제악곡을 보유하는 음악데이타파일을 기억한다. HDD(17)는 또한 이들의 표제악곡을 특정하기위한 다수의 키아이템을 대표하는 참조데이타를 기억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HDD(17)는 다수의 키아이템에 대응하는 다수의 참조데이타테이블을 기억한다.
호스트스테이션으로부터 음악데이타나 다른 데이타가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ISDN콘트롤러(16)는 ISDN회선을 거쳐 호스트스테이션과 교신하기위해 사용된다. ISDN콘트롤러(16)는 DMA회로를 내장하고 있고, 다운로드된 음악데이타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CPU(10)를 거치지 않고 직접 HDD(17)에 입력한다.
리모콘수신기(13)는 리모콘(30)으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여 신청코맨드 및 다른 코맨드와 데이타를 복원한다. 리모콘(30)은, 선곡 등을 위한 신청코맨드를 송신한다. 수동리모콘(30)은 가라오께장치에서는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청메시지를 보완하도록 사용된다. 리모콘(30)에는 선곡용 코맨드스위치나 전기스위치를 포함하는 키스위치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이 스위치들을 조작할 때,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곡코드 형태의 신청코맨드가 적외선신호로 발생된다. 표시판넬(14)은 가라오께장치의 전면에 설치되어, 현재연주중의 곡코드와 예약 혹은 신청 곡수 등을 표시한다. 판넬스위치(15)는 가라오께장치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곡코드입력스위치나 음정키(tone key)체인지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음원장치(19)는 음악데이타에 포함되어 있는 음정데이타를 수신하여 음악음정신호를 생성한다. D/A컨버터(20)는 동일한 음악데이타에 포함되어 있는 보컬데이타를 수신하여 음악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보컬데이타는 백코러스 등을 표시하는 아날로그 음악음성신호로 변환되는 ADPCM데이타의 형태이다. DSP(21)에는 마이크로폰(27)이 접속되어, 가창자로 부터의 가창음성신호를 수집한다. DSP(21)는 음원장치(19)로 부터 입력되는 음악음정신호, D/A컨버터(20)로 부터 입력되는 음악음성신호 및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 입력되는 가창음성신호에 대하여 리버브(reverb)와 에코 등의 음향효과를 부여한다. DSP(21)가 부여하는 효과의 종류나 정도는 음악데이타에 포함되는 DSP콘트롤데이타에 기하여 제어된다. 음향효과가 부여된 음정신호와 음성신호는 함께 믹싱되어 앰프/스피커(22)로 출력된다. 앰프/스피커(22)는 혼합된 음악신호들을 증폭하여 소리를 낸다.
또한, 마이크로폰(27)은 A/D컨버터(29)에 접속되어 있다. A/D컨버터(29)는 선곡모드시에 동작하여,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음성신호로 변환하여 CPU(10)로 입력한다. CPU(10)는 이어 음성인식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이 음성신호의 내용을 분석하여 인식한다.
문자표시부(23)는, CPU(1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데이타에 기하여, 문자패턴을 표시한다. CPU(10)로부터 문자표시부(23)로 입력된 문자데이타는 현재 재생중인 가라오께곡명과 가사는 물론 예정된 곡명이나 다음 곡명을 포함한다. 한편, LD체인저(24)는 CPU(10)로부터 입력된 문자수 등의 영상선택데이타에 기하여, LD로부터 배경영상신로를 재생한다. 영상선택데이타는 해당 가라오께곡의 쟝르(category)데이타 등에 기하여 결정된다. LD체인저(24)는 5매정도의 레이져디스크에 선택적으로 접근하여 전체 120 신(scene)의 배경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영상선택데이타에의해 배경영상중의 하나가 선택된다. 그후, 문자패턴과 배경영상이 표시구동부(25)로 입력된다. 표시구동부(25)는 문자패턴과 영상을 슈퍼임포즈수단으로 합성하여 모니터(26)에 혼합영상을 표시한다.
제 2A 도 및 제 2B 도는 RAM(12) 및 HDD(17)의 대표적인 내부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 2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RAM(12)은 내부에 키텀(key term)수레지스터DN, 일치레벨레지스터AL, 크로스계층레지스터CL, 및 키텀버퍼가 설정되어 있다. 레지스터DN은 선곡모드에서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 입력된 키텀수를 등록한다. 일치레벨은 입력된 키텀이 HDD(17)의 참조데이타테이블에서 원하는 표제악곡을 검색할 때 대응하는 키아이템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 지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1 내지 3의 세가지 일치레벨이 있다. 환언하면, 레벨1은 완전일치나 음성임력된 키텀과 기억된 키텀사이의 완전한 매칭을 표시한다. 레벨2는 1문자를 제의한 거의 완전한 일치를 지시한다. 레벨3은 키텀의 전방부와 키아이템의 부분적인 일치를 표시한다. 크로스계층레지스터CL은 2개이상의 키텀이 크로스서치되었는지를 표시한다. 키텀버퍼(buffer)는 FIFO버퍼로 구성되어, 마이크로폰(27)로부터 입력된 키텀을 선두로부터 마지막까지 차례로 CPU(10)가 판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제 2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D(17)는 내부에 음악데이타파일, 참조데이타테이블, 크로스서치테이블을 설정하고 있다. 음악데이타파일은 수백 내지 수천의 표제악곡을 기억하고 있다. 참조데이타테이블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백, 수천의 표제악곡을 특정하고 분별하기에 효과적인 키아이템을 기억하고 있다. 크로스서치테이블은, 선곡모드시에 검색동작의 결과에 따라 작성되는 것이다. 1개의 입력된 키텀으로 검색을 행한 결과, 2이상의 표제악곡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표제악곡에만 관련된 키아이템을 모아 새로이 크로스서치테이블이 작성된다. 이어서, 다음의 키텀에 따라 제한되는 신속한 방식으로 이 크로스서치테이블을 검색하여, 하나의 표제악곡을 특정하게 된다.
제 3 도는, HDD(17)에 설정된 참조데이타테이블을 도시한다. 참조데이타테이블은 음성코드테이블, 음조(pitch) 코드테이블 및 악곡코드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이 테이블들이서, 악곡코드, 악곡쟝르, 가수명, 악곡도입부가사 및 악곡도입부멜로디패턴 등 각 표제악곡을 특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키아이템들이 기억되어 있다.
악곡코드는 각 표제악곡에대해 1대 1 대응관계를 가진다. 악곡코드는 선곡시 리모콘(30)으로부터 입력된다. 악곡코드는 가라오께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목차책에 기재되어 있다. 악곡장르는, 팝스, 연가(애조의 대중음악) 등이나 듀엣 및 솔로 등으로 각 표제악곡의 장르를 지시한다. 가수명은 표제악곡을 부른 가수의 이름이다.
이러한 악곡제목, 악곡쟝르, 가수명 및 가사는 음성적으로 코드화되어 키워드를 형성한다. 이 키워드들은 표음코드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악곡코드는 표음코드테이블에 이 키워드들에 대응하여 기록되어 있다. 키워드나 표음코드는, 곡제목이나 가사 등의 발성을 가나(일본알파벳) 등의 발음기호로 심볼화한다. 한편, 표음코드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악곡코드는 통상의 수자와 알파벳 등으로 구성되는 코드데이타이다. 이 테이블에 있어서, 모든 참조데이타는 악곡제목과 곡의 장르 등의 데이타형태로 조직된 구조로 계층화되거나 기억되어 있지 않고, 예컨데 알파벳순서 혹은 오십음도순서의 발음 순서로 기억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는 표음코드로 처리되어, A/D컨버터(29)를 통해 음성인식프로그램의 도움으로 그로부터 음성요소를 추출하므로, 데이타의 종류나 의미는 단지 음성신호만으로는 판단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표음코드들을 테이블화하여 데이타의종류나 의미와는 상관없이 기계적으로 검색된다.
음조코드테이블에서, 각 표제악곡의 멜로디의 도입부가 음정음조로 코드화되어 키멜로디패턴이나 음조코드를 명성한다. 음조코드는 악곡코드에 대응하여 음조코드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다. 음조코드는 멜로디의 도입부에 대해 반음정마다 1씩 증가하거나 1씩 감소하는 값으로 표시되며, 예컨데 음정C3는 64로 표시된다. 한편, 악곡코드테이블은 표제악곡의 악곡코드와 이에 대응하는 악곡제목과 각 표제악곡의 음악데이타에 대한 어드레스를 함께 기억하고 있다. 악곡제목은 표시의 목적으로 문자코드로 표기되어 있다. 어드레스는 악곡코드에 따라 음악데이타기억장치로부터 각 표제악곡의 음악데이타를 찾는데 사용된다. 이 악곡코드테이블은 선택되거나 지정된 표제악곡의 악곡제목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이 테이블은 음성코드테이블과 음조코드테이블을 사용하는 검색의 결과나 리모콘(30)이나 판넬스위치(15)의 동작에 의한 악곡코드의 직접 혹은 수동입력으로 표제악곡이 지정되었을 때 표제악곡의 음악데이타의 기억위치를 지정하는데도 사용된다.
선곡모드에서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의 음성신호의 입력은 A/D컨버터(29)로 하여금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화하게 한다. 디지탈화된 음성신호가 CPU(10)에 입력되면, CPU(10)는 음성인식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언어로 인식되는 발음이 추출되어 키워드로 음성적으로 코드화된다. 또한, 그 음성신호중에 멜로디로 인식되는 주파수변위 는 추출되어 키멜로디패턴으로 코드화된다. 다수의 음성신호들은 차례로 혹은 연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다중검색 혹은 크로스서치가 입력된 2이상의 키텀에 대해 실행된다.
검색은 완전일치의 제 1 단계, 원하는 표제악곡이 발견될 때까지 일치조건이나 레벨이 단계방향으로 저하되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계들로 수행된다. 이 실시예에서, 3단계의 검색은 입력된 하나의 키텀마다 수행된다. 검색은 완전일치의 제 1 단계, 1문자정도의 불일치를 제의한 거의 완전한 일치의 제 2 단계, 및 전방부분일치의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신청된 표제악곡이 선행의 단계에서 발견된 경우, 검색의 다음단계들이 절약된다. 예컨데, 제 1 단계에서 입력된 키텀과 완전히 일치하는 키아이템에 따라 원하는 표제악곡이 발견되면, 제 2 단계의 검색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의 3단계의 검색를 행하여도 대응하는 표제악곡이 발견되지 않으면, 입력된 키텀은 부적당한 것으로 간주되어 취소된다. 검색의 결과로, 다수의 대응하는 표제악곡들이 추론되면, 대응하는 표제악곡들의 모든 키아이템들이 추출되어 새로운 선곡테이블이나 크로스서치테이블을 형성한다. 따라서, 검색은, 또 다른 입력 키텀이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크로스서치테이블에서 행해지고, 하나의 표제악곡이 완전히 특정될 때까지 반복된다.
또한, 추론된 혹은 제시된 표제악곡이 10이하 인 경우에는, 모니터(26)에 그 곡제목들의 리스트가 일련번호 1, 2, 3, ..과 해당 악곡코드와 함께 표시된다. 이용자는 이 표시를 보고, 특정한 일련번호를 음성지정이나 특정곡코드의 음성입력에의해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제 4 도 내지 제 6 도는 가라오께장치의 선곡모드에서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선곡모드의 설정은, 마이크로폰(27)로부터 음성으로 "선곡" 등의 코맨드메시지를 입력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27)의 3단계 손스위치(27a)를 0FF위치와 ON위치 사이의 선곡모드위치로 설정한다. 선곡모드의 위치에서, 마이크로폰(27)은 전기적으로 온되어 있고 음성신호는 A/D컨버터(29)에 입력되므로, CPU(10)는 제 4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된 선곡모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손스위치(27a)가 선곡모드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절환하면 선곡모드가 종료한다.
또한, 이 선곡모드동작은 상술한 시퀀스프로그램에 기한 다른 동작과 병행처리가 가능하다. 이것이 가라오께음악연주중에 가창자가 사용하지 않는 다른 마이크로폰으로 키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제 4 도는 선곡모드설정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선곡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크로스계층레지스터CL을 "1"로 설정하고(nl), 이어 키텀수레지스터DN을 "0"으로 설정한다(n2).
제 5 도는 음성인식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이용자는 마이크로폰(27)으로 음성으로 음성신청메시지를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마이크로폰(27)에 원하는 표제악곡제목이나 서두의 가사를 말하거나 멜로디의 시작부분을 흥얼거린다. 마이크로폰(27)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A/D컨버터(29)를 통해 디지탈음성신호를 변환된다. 이 디지탈음성신호는 이어 CPU(10)에 입력된다(n5). CPU(10)에서는, 이 디지탈음성신호의 발음효소가 분석되어(n6) 발음의 중에 언어로서 인식가능한 것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n7). YES인 경우에는, 이 언어가 표음코드화 되고(n8), 이렇게 코드화된 언어를 키워드로서 키텀버퍼에 입력된다(m9). 또한, 키텀수레지스터DN에 1이 가산된다(10). 다음으로, 음성신호의 주파수변화가 분석되어 멜로디의 음정요소가 입력되거나 수집된 음성신호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n11). 멜로디의 존재는 12반음 음조의 양자화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주파수변화가 있는지 여부와, 일정의 템포로 주파수변화가 반복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여 판정된다. YES인 경우에는(n12), 이 벨로디가 음조로 코드화된다(n13). 코드화된 키멜로디패턴은 키텀버퍼에 등록된다(n14). 키멜로디패턴은 MIDI규격에 준거하여 멜로디패턴의 음정요소C3를 음조코드 "64"로 표시하는 일련의 음조코드로 표시된다. 이 키텀버퍼는 FIFO로 구성된다. 그후, 키텀수레지스터DN에 "1"이 가산된다(n15).
제 6 도는 검색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동작은 상술한 음성인식동작과 병행하여 처리된다. 이 동작중, 먼저 키텀버퍼로부터 첫번째로 등록되어 있는 키텀을 읽어낸다(n20). 이어, 키텀수레지스터DN으로부터 "1"이 감산된다(n21). 일치레벨레지스터AL가 이어 완전일치를 지시하는 "1"로 설정되어(n21), 완전일치레벨로 키텀에 완전히 대응하는 키아이템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참조데이타테이블이 검색된다(n23). 이 때 선택되는 참조데이타테이블은 입력키텀이 표음코드의 경우에는 표음데이타테이블이고, 입력키텀이 음조코드이 경우에는 음조코드테이블이다. 이 완전일치검색후 대응하는 표제악곡의 수가 판단된다(n24). 악곡의 수가 0이라면, 이것은 대응하는 표제악곡이 없다는 것을 지시하므로, 일치레벨을 1레벨 다운된다. 즉, AL에 "1"이 가산되어(n27), 일치검색동작을 반복한다(n23). 이 때, 일치레벨이 이미 가장 낮은 레벨 3에 도달해 있으면, 검색을 계속한다 해도 이용자가 신청한 원하는 곡이 발견될 수 없다고 간주되므로, 그 키텀에 의한 검색은 취소된다(n25). 이 경우, 다음 키텀이 있으면(DN0) 루틴을 단계 n20으로 되돌려 다음의 키텀이 다음의 검색을 시행한다. 다른 키텀이 없다면(DN=0), 이 처리는 다음의 키텀의 입력을 대기한다.
한편, 단계 n23의 일치검색의 결과, 대응하는 표제악곡의 수가 1이라면, 모니터는 대응하는 표제악곡의 악곡제목 및 이 검색에 사용된 주요 키텀을 표시한다(n28). 이 표시에 대해 이용자가 OK사인을 입력하면(n29), 신청된 곡이 정확이 인식되어 확인된다. 이용자는 리턴키를 누름으로써 가라오께재생에 대한 신청악곡의 등록을 실행한다(n30). 사용자가 OK사인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청표제악곡의 등록없이 동작이 종료된다.
단계 n23에서의 일치검색의 결과, 대응하는 표제악곡의 수가 2이상의 경우에는, 대응하는 표제악곡의 키아이템들이 참조데이타테이블로부터 추출된 다음, 다음의 일치검색을 의해 크로스서치테이블이 작성된다(n31). 또한, 크로스계층레지스터CL에 "1"이 가산된다(n32). 이 때, DN≠0이면, 단계 n20으로부터의 동작이 반복된다(n33). DN=0이라면, 모든 대응하는 표제악곡의 수가 10 이하의 경우만(n34) 그 리스트가 표시된다(n35). 리스트는 지명된 표제악곡의 표제악곡의 제목, 악곡코드, 지명된 곡에 부여된 일련번호 및 이 지명에 사용된 키텀을 표시한다. 그러한 경우에 지명된 표제악곡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소정의 일련번호가 다음번에 입력될 수 있다. 지명된 악곡의 수가 10이상이면, 지명에 사용된 키텀만이 표시되어(n36), 다음의 다른 키텀의 입력을 기다린다. 위의 동작에 있어서, 선곡모드의 설정과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의 음성신호의 입력이 선곡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키텀을 수신한 경우, 그 참조데이타종별을 고려하지 않지만, 동일의 타입의 참조데이타를 2번 이상 사용하는 검색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가라오께장치는 완전일치의 이전의 키텀으로 원하는 표제악곡이 성공적으로 지정되면 같은 타입의 새로운 키텀은 받아들일 수 없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반면, 가라오께장치는 일치레벨 2, 3의 이전의 키텀에의해 가능한 표제악곡이 검색되면 동일 타입의 새로운 키텀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다음의 특징을 포함한다. 즉, 가라오께장치는 다수의 표제악곡들이 검색수단에의해 제시되었을 때 악곡제목들을 포함하는 악곡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표시수단은 검색수단이 하나이상의 표제악곡을 확인했을 때 확인된 표제악곡을 모두 표시하도록 동작되며 수집수단은 확인된 표제악곡중 하나를 선택하기는 데 유용한 다른 음성신청메시지를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라오께장치른 추출수단이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키텀을 추출하여, 검색수단이 다수의 모든 키텀들에 대응하는 표제악곡을 특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언하면, 신청된 표제악곡은 그 다수의 키텀들과 기억된 키아이템들사이에서 완전한 일치가 감지되었을 때 특정된다.
하나의 표제악곡이 단지 하나의 키텀만으로는 선택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는, 다수의 가능한, 추론된 표제악곡이 표시된다. 그러면, 가라오께장치는 다시 수집수단, 추출수단, 및 검색수단의 다음동작들을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제시되거나 추론된 표제악곡으로부터 하나의 표제악곡이 정확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추출수단은 음성으로부터 다수의 키텀들을 추출해내며 이용자가 동시에 다수의 키텀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참조데이타기억수단은 상이한 다수의 키텀들에 따라 검색되어 다수의 모든 커텀들에 대응하는 표제악곡을 추론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표제악곡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주요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음악데이타기억을 검색하여 하나의 표제악곡을 추론할 수 있으므로, 가라오께음악을 쉽고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키텀들이 입력되어 크로스서치되므로, 다수의 가능한 표제악곡이 잠정적으로 추출된다해도 하나의 표제악곡이 선택될 수 있다.

Claims (7)

  1. 신칭메시지에 따라 표제악곡을 연주하는 가라오께장치에 이어서,
    다수의 표제악곡을 대표하는 음악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음악데이타기억수단,
    표제악곡을 특정하는 다수의 키아이템을 표시하는 참조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참조데이타기억수단,
    음성신청메시지를 수집하고 이것을 대응하는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수집수단,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이로부터 원하는 표제곡을 제시하는 키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추출수단,
    참조데이타기억수단을 검색하여 키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키아이템 사이의 일치를 감지하여 원하는 표제악곡을 확인하기 위한 검색수단, 및
    음악데이타기억수단으로부터 원하는 표제악곡의 음악데이타를 불러내어 출력된 음악데이타에 따라 원하는 표제악곡을 연주하는 연주수단으로 구성되는 가라오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검색수단이 하나이상의 표제악곡울 확인했을 때, 수집수단이 확인된 표제악곡들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다른 음성신칭메시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모든 확인된 표제악곡들을 표시할 수 있도록 동작되는 표시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가라오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수단이 두개이상의 키텀들을 포함하는 키정보를 추출하기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검색수단은 키텀들과 키아이템들사이의 완전한 일치를 감지했을 때 원하는 표제악곡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데이타기억수단이 다수의 키아이템에 대응하는 다수의 참조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검색수단이 키정보에 따라 다수의 참조테이블을 크로스서치하여 원하는 표제악곡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데이타기억수단이 악곡제목, 악곡장르, 가수명, 가사 및 악곡멜로디패턴중 적어도 두개를 포함하는 키아이템을 표시하는 참조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수단이 음성신호에 포함된 표음요소를 감지하여 감지된 표음요소로 구성된 키워드의 형태로 키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수단이 음성신호에 포함된 음정요소를 감지하여 감지된 음정표소로 구성되는 키멜로디패턴의 형태로 키정보를 추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께장치.
KR1019950037629A 1994-10-31 1995-10-27 가라오께장치 KR100267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67259 1994-10-31
JP6267259A JP2897659B2 (ja) 1994-10-31 1994-10-31 カラオ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522A KR960015522A (ko) 1996-05-22
KR100267663B1 true KR100267663B1 (ko) 2000-10-16

Family

ID=1744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629A KR100267663B1 (ko) 1994-10-31 1995-10-27 가라오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03308A (ko)
JP (1) JP2897659B2 (ko)
KR (1) KR100267663B1 (ko)
GB (1) GB2294574B (ko)
HK (1) HK10083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186B1 (ko) * 2000-11-27 2010-04-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악곡들을 식별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8071A (ja) * 1996-01-24 1997-07-31 Sony Corp 遠隔操作装置
US20050169121A1 (en) * 1997-07-09 2005-08-04 Keller Peter J. Optical storage device
RU2214630C2 (ru) 1997-07-09 2003-10-20 ЭДВАНСД ОДИО ДИВАЙСИЗ ЭлЭлСи Оптическое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20060026048A1 (en) * 1997-08-08 2006-02-02 Kolawa Adam K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election, organization, and recommendation of items based on user preference topography
US5986200A (en) * 1997-12-15 1999-11-16 Lucent Technologies Inc. Solid state interactive music playback device
US6504089B1 (en) 1997-12-24 2003-01-07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and method of searching music data, and recording medium for use therewith
US6907189B2 (en) * 1998-03-06 2005-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playing back catalog information
KR100389853B1 (ko) * 1998-03-06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타로그정보의기록및재생방법
US6687455B1 (en) * 1998-03-06 2004-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medium storing catalog inform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playing back catalog information
US6121530A (en) * 1998-03-19 2000-09-19 Sonoda; Tomonari World Wide Web-based melody retrieval system with thresholds determined by using distribution of pitch and span of notes
CA2328353A1 (en) * 1998-04-14 1999-10-21 Hearing Enhancement Company, Llc User adjustable volume control that accommodates hearing
US6311155B1 (en) 2000-02-04 2001-10-30 Hearing Enhancement Company Llc Use of voice-to-remaining audio (VRA) in consumer applications
US7415120B1 (en) 1998-04-14 2008-08-19 Akiba Electronics Institute Llc User adjustable volume control that accommodates hearing
FR2786600B1 (fr) * 1998-11-16 2001-04-20 France Telecom Procede de recherche par le contenu de documents textuels utilisant la reconnaissance vocale
US6985594B1 (en) 1999-06-15 2006-01-10 Hearing Enhancement Co., Llc. Voice-to-remaining audio (VRA) interactive hearing aid and auxiliary equipment
US6442278B1 (en) 1999-06-15 2002-08-27 Hearing Enhancement Company, Llc Voice-to-remaining audio (VRA) interactive center channel downmix
US20050038819A1 (en) * 2000-04-21 2005-02-17 Hicken Wendell T. Music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US7013301B2 (en) * 2003-09-23 2006-03-14 Predixis Corporation Audio fingerprinting system and method
JP3983436B2 (ja) * 1999-11-15 2007-09-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Av情報処理装置及びav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り可能な情報記録媒体
EP1830552A1 (en) 1999-12-28 2007-09-05 Sony Corporation Image commercial transactions system and method
FR2803422B1 (fr) * 1999-12-30 2002-04-26 Jean Marc Fallot Appareil a libre-service pour le karaoke
US7444353B1 (en) 2000-01-31 2008-10-28 Chen Alexander C Apparatus for delivering music and information
US20020073098A1 (en) * 2000-02-28 2002-06-13 Lei Zhang Methodology and system for searching music over computer network and the internet based on melody and rhythm input
US6351733B1 (en) 2000-03-02 2002-02-26 Hearing Enhancement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primary content audio and secondary content remaining audio capability in the digital audio production process
US7266501B2 (en) 2000-03-02 2007-09-04 Akiba Electronics Institut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primary content audio and secondary content remaining audio capability in the digital audio production process
JP2001285759A (ja) * 2000-03-28 2001-10-12 Pioneer Electronic Corp Av情報処理装置及びav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がコンピュータで読取り可能に記録された情報記録媒体
JP2001282803A (ja) * 2000-03-28 2001-10-12 Pioneer Electronic Corp Av情報処理装置及びav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がコンピュータで読取り可能に記録された情報記録媒体
US6633845B1 (en) * 2000-04-07 2003-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sic summariza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217828A1 (en) * 2002-10-23 2006-09-28 Hicken Wendell T Music searching system and method
US20040096065A1 (en) * 2000-05-26 2004-05-20 Vaudrey Michael A. Voice-to-remaining audio (VRA) interactive center channel downmix
JP2002045567A (ja) * 2000-08-02 2002-02-12 Konami Co Ltd 携帯端末装置、ゲーム実行支援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6531973B2 (en) * 2000-09-11 2003-03-11 Broadcom Corporation Sigma-delta digital-to-analog converter
FI20002161A (fi) 2000-09-29 2002-03-30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järjestelmä melodian tunnistamiseksi
JP3879402B2 (ja) * 2000-12-28 2007-02-14 ヤマハ株式会社 歌唱合成方法と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2288217A (ja) * 2001-03-27 2002-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方法、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030072463A1 (en) * 2001-10-17 2003-04-17 E-Lead Electronic Co., Ltd. Sound-activated song selection broadcasting apparatus
JP2003316395A (ja) * 2002-04-26 2003-11-07 Toshiba Corp 情報再生装置とその信号処理モジュール及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2004163590A (ja) * 2002-11-12 2004-06-10 Denso Corp 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579343A1 (en) * 2002-12-20 2005-09-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Query by indefinite expressions
CA2539442C (en) 2003-09-17 2013-08-20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operate an audience metering device with voice commands
US20050123886A1 (en) * 2003-11-26 2005-06-09 Xian-Sheng Hua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karaoke
US20060212149A1 (en) * 2004-08-13 2006-09-21 Hicken Wendell T Distributed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data analysis
EP1869574A4 (en) * 2005-03-04 2009-11-11 Resonance Media Services Inc BROWSER TO CREATE MUSIC LISTINGS
US7613736B2 (en) 2005-05-23 2009-11-03 Resonance Media Services, Inc. Sharing music essence in a recommendation system
EP2005319B1 (en) 2006-04-04 2017-01-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on of meta data from a digital media storage device for media selection in a vehicle
US7870142B2 (en) * 2006-04-04 2011-01-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ext to grammar enhancements for media files
US20080026355A1 (en) * 2006-07-27 2008-01-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ong lyrics download for karaoke applications
CN201048042Y (zh) * 2007-04-11 2008-04-16 广州矽金塔电子有限公司 便携式影像歌曲伴奏装置
US9124769B2 (en) 2008-10-31 2015-09-01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verify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JP6794990B2 (ja) * 2015-09-30 2020-12-02 ヤマハ株式会社 楽曲検索方法および楽曲検索装置
FR3064794B1 (fr) * 2017-03-28 2019-11-0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Systeme et procede de transmission d’un message oral dans un vehicu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9599U (ja) * 1983-09-13 1985-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認識機能を備えたカラオケ装置
JPH02177186A (ja) * 1988-12-28 1990-07-10 Nec Home Electron Ltd 演奏・表示システム
JP2646745B2 (ja) * 1989-04-24 1997-08-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カラオケ装置
JPH0312890A (ja) * 1989-06-09 1991-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選曲機
JP2959473B2 (ja) * 1989-06-09 1999-10-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
JPH0535287A (ja) * 1991-07-31 1993-02-12 Ricos:Kk カラオケ音楽選択装置
JPH0689096A (ja) * 1992-09-08 1994-03-29 Clarion Co Ltd 音声制御機能付カラオケ装置
JPH06161482A (ja) * 1992-11-19 1994-06-07 Chuo Musen Kk カラオ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186B1 (ko) * 2000-11-27 2010-04-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악곡들을 식별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522262D0 (en) 1996-01-03
JP2897659B2 (ja) 1999-05-31
KR960015522A (ko) 1996-05-22
GB2294574B (en) 1998-10-28
GB2294574A (en) 1996-05-01
US5703308A (en) 1997-12-30
HK1008367A1 (en) 1999-05-07
JPH08129393A (ja) 1996-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663B1 (ko) 가라오께장치
US7368652B2 (en) Music search system and music search apparatus
US5739451A (en) Hand held electronic music encyclopedia with text and note structure search
KR100952186B1 (ko) 악곡들을 식별하는 방법
US5250745A (en) Karaoke music selection device
JP2007256617A (ja) 楽曲練習装置および楽曲練習システム
JPH09258729A (ja) 選曲装置
CN101551997A (zh) 一种乐曲辅助学习系统
JP3484719B2 (ja) 音声入力機能付き演奏ガイド装置および演奏ガイド方法
JP2002055695A (ja) 音楽検索システム
US5517892A (en) Elect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memory for storing tone waveform and its file name
JP200231198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491743B2 (ja) カラオケ装置
JP4171680B2 (ja) 音楽再生装置の情報設定装置、情報設定方法、及び情報設定プログラム
JP2003131674A (ja) 楽曲検索システム
JPH08160975A (ja) カラオケ選曲装置
JP2006276560A (ja) 音楽再生装置および音楽再生方法
KR20010091566A (ko) 자동 선곡 기능이 탑재된 무인 노래 반주기
JPH06202621A (ja) 楽曲演奏情報を利用した楽曲検索装置
JPH08195070A (ja) 車載選曲装置
JPH1091176A (ja) 楽曲検索装置および楽曲再生装置
JP4498221B2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214849A (ja) カラオケ装置
JPH09212180A (ja) カラオケ装置
JPH1124685A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