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987B1 - 자동차도어의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도어의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987B1
KR100265987B1 KR1019970064777A KR19970064777A KR100265987B1 KR 100265987 B1 KR100265987 B1 KR 100265987B1 KR 1019970064777 A KR1019970064777 A KR 1019970064777A KR 19970064777 A KR19970064777 A KR 19970064777A KR 100265987 B1 KR100265987 B1 KR 100265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rod
ke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3735A (ko
Inventor
장진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987B1/ko
Publication of KR1999004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자동차 키의 조작에 의해서만 도어의 록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도어의 록킹장치는 자동차 도어의 내측에 마련된 도어 인사이드핸들(110)의 상측에 마련되며 회전가능한 록 노브(100)와, 이 록 노브(100)에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승강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록 로드 (200)와, 록 로드(200)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도어의 록킹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록기구(600)와, 록 로드(200)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키의 도어 록 조작시 록 로드(200)를 고정시키는 로드 프로텍터(400)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자동차 키의 록작동시 록 로드를 소정의 가압력으로 고정시켜 도어의 록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도난방지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는 도어의 내외측에 각각 마련된 도어 인/아웃 사이드핸들의 회동에 따라 각각의 로드부재가 연동되어 도어 래치를 로크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시켜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장치와, 이 도어 개폐장치를 록 노브의 회전동작에 따라 록(Lock)상태 또는 언록(Un-Lock)상태로 조작시키는 도어록킹장치가 포함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중 도어록킹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도어 인사이드핸들(10)과, 상기 도어 인사이드핸들(10)의 상측에 마련되며 회전가능한 록 노브(25)와, 상기 록 노브(25)의 일측에 단부가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록 로드(20)와, 상기 록 로드(20)의 이동에 따라 도어의 록킹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록기구(30)를 구비한다.
도어 록 상태시에는 상기 록 노브(25)가 도어의 트림재와 수평되도록 조작되며, 록 상태의 해제시 상기 록 노브(25)가 도어의 내측 패널과 수직되도록 조작된다. 또한, 상기한 록기구(30)는 상기 록 로드(20)의 이동에 따라 도어 인/아웃사이드 핸들(10,50)로부터 록기구(30)로 전달되는 도어개폐력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도어의 록킹장치는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록 노브(25)를 차실내측으로 회전시키면 록 로드(20)가 도면에 도시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록기구(30)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 인/아웃사이드 핸들(10,50)의 도어개폐력을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이러한 도어의 록킹조작은 록 노브(25)의 직접조작뿐 아니라 자동차 키의 회전에 따라 록기구(3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는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외부인이 도난 공구를 이용하여 도어패널의 틈새사이로 집어넣은 다음에 록 노브를 회전시키거나 혹은 록 로드를 상측으로 당기는 등의 방법으로 도어의 록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도어록킹장치로는 차량의 도난방지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자동차 키의 조작에 의해서만 도어의 록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록 노브 110 : 도어 인사이드핸들
200 : 록 로드 300 : 키감지스위치
400 : 로드 프로텍터 410 : 액츄에이터
420 : 스톱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는, 도어의 내측에 마련된 록 노브에 결합되어 록 노브의 좌우 회전에 따라 도어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록 로드를 구비하여 된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 로드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키의 록 작동시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록 로드의 좌우 이동을 고정시키는 로드 프로텍터를 구비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키의 록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로드 프로텍터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키감지스위치와, 상기 로드 프로텍터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키감지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록 로드의 외주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시켜 고정시키는 가압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서 소정의 유압력이 발생되고, 그 유압력에 의해서 좌우로 동작되어 상기 록 로드의 외주면을 압압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의 내측에 마련된 인사이드핸들(110)의 상측에 마련되며 회전가능한 록 노브(100)와, 상기 록 노브(100)에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그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좌우 이동되는 록 로드(200)와, 상기 록 로드(200)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도어의 록킹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록기구(600)와, 상기 록 로드(200)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키의 도어록 조작시 상기 록 로드(200)를 고정시키는 로드 프로텍터(400)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키의 록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로드 프로텍터(400)측으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키감지스위치(300)와, 상기 로드 프로텍터(40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록 로드(200)의 외주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410)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상기 액츄에이터(410)는 상기 키감지스위치(30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동작되며, 그에 따라 발생되는 소정의 유압력에 의해서 좌우 이동가능한 스톱퍼 (420)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감지스위치(300)는 기존의 차량에 채용되는 키작동감지스위치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키의 록 동작시와 키의 록 동작해제시 정/역방향의 두가지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 프로텍터(400)의 설치위치로는 도어의 이너패널과 아웃패널간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도어의 록킹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동과정을 갖는다.
먼저, 운전자가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록(잠금)동작시키면, 먼저 록 로드 (200)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록기구(600)를 연동시켜 도어개폐력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후에 상기 키감지스위치(300)로부터 정방향 제어신호가 로드 프로텍터(400)측으로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로드 프로텍터(400)의 액츄에이터(410)가 작동되어 소정의 유압력이 스톱퍼(420)측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상기 스톱퍼(420)는 상기 액츄에이터(410)로부터 전달된 유압력에 의해서 외측에서 내측(즉, 상기 록 로드(200)의 외주면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록 로드(20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외부인이 공구를 이용하여 록 노브(100)를 상측으로 당기거나, 록 로드(200)를 상측으로 당기더라도 도어의 록상태가 해제되지 않으므로, 도난 방지의 기능이 향상된다.
한편, 도어의 록상태를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 운전자가 키를 회전시키면, 키감지스위치(300)로부터 역방향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액츄에이터(410)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410)의 유압력이 스톱퍼(42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스톱퍼(420)로 전달되는 유압력은 키의 록 동작시와는 반대로 스톱퍼(420)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갖는다.
이어서, 상기 스톱퍼(420)가 록 로드(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됨과 아울러, 록 로드(20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록기구(600)가 연동되어 도어의 록상태가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는, 도어의 록 로드를 고정시키는 로드 프로텍터가 구비된 것인바, 이에 따르면 도어의 록킹상태가 키 이용시에만 해제되므로, 자동차의 도난방지기능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도어의 내측에 마련된 록 노브에 결합되어 그 록 노브의 회전에 따라 도어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록 로드를 구비하여 된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 로드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키의 록 작동시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록 로드의 좌우 이동을 고정시키는 로드 프로텍터를 구비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키의 록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로드 프로텍터로 제어신로를 출력시키는 키감지스위치와, 상기 로드 프로텍터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키감지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록 로드의 외주면을 가압시켜 고정시키는 가압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서 유압력이 발생되고, 그 유압력에 의해서 좌우로 동작되어 상기 록 로드의 외주면을 압압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구비한 액츄에이터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KR1019970064777A 1997-11-29 1997-11-29 자동차도어의록킹장치 KR10026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777A KR100265987B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도어의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777A KR100265987B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도어의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735A KR19990043735A (ko) 1999-06-15
KR100265987B1 true KR100265987B1 (ko) 2000-09-15

Family

ID=1952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777A KR100265987B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도어의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269A (ko) * 2002-04-17 2003-10-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735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353B1 (ko) 자동차 도어용 잠금 장치
JP2855561B2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スーパーロック機構
JPH1181772A (ja) 車両のドアロック解除機構
US5638712A (en) Door lock device with anti-theft mechanism
US5497640A (en) Door locking system for vehicles
US6737758B2 (en) Motor-vehicle door locking system with quick unlocking
KR101107476B1 (ko) 중앙 록킹 장치를 구비한 차량
KR100265987B1 (ko) 자동차도어의록킹장치
KR100351359B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춘 차량용 도어
US3779332A (en) Safety ignition lock
JP2008285824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H0420684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610928B1 (ko) 자동차 도어 로커 장치
KR100418022B1 (ko) 자동차의 본네트 열림방지장치
KR200161071Y1 (ko) 차량의 도어록노브 체결장치
JP2902428B2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2603571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のキー忘れ防止装置
KR0120129Y1 (ko)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
KR10057381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
JPH0363369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操作装置
KR20010076484A (ko)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33066B1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JPH0726821A (ja) ドアロック装置
JPH09144410A (ja) 盗難防止装置及び方法
JP2000002023A (ja) ドアロックの操作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