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129Y1 -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129Y1
KR0120129Y1 KR2019950002123U KR19950002123U KR0120129Y1 KR 0120129 Y1 KR0120129 Y1 KR 0120129Y1 KR 2019950002123 U KR2019950002123 U KR 2019950002123U KR 19950002123 U KR19950002123 U KR 19950002123U KR 0120129 Y1 KR0120129 Y1 KR 0120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lock
lock mechanism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116U (ko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이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구 filed Critical 이용구
Priority to KR2019950002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129Y1/ko
Publication of KR960029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1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1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4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the rods being linked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로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로크기구를 언로크함에 있어서 도어내측 핸들에 의하여 도어의 안전로크가 연동하면서 언로크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에 관한 것인바, 도어의 내측핸들의 해정작동시 이 해정 작동거리의 일정구간에서 해정요구상태를 검출하여 자동도어로크 액취에이터를 작동시켜 안전로크를 언로크상태로 하여 내측핸들의 해정과 동시 동작하는 안전로크로 인하여 단한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드장치를 제공하고자 내측핸들로 부터 로크기구에 이르는 로드의 변위를 검출하는 센서(S)를 장착하여 이 센서(S)의 검지출력으로 상기 자동도어로크 액취에이터를 언로크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
제1도는 공지된 도어로크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도어로크기구를 발췌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도어 S : 센서
2 : 돌부 3 : 로드
4 : 자동도어로크 액취에이터 5 : 안전로크
6 : 링크기구 7 : 내측핸들
9 : 도어로크기구 10 : 스트라이커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로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로크기구를 언로크함에 있어서 도어내측 핸들에 의하여 도어의 안전로크가 연동하면서 언로크 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로크 기구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D)에 설치되어 스트라이커(10)와 서로 맞물려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도어로크기구(9)와, 도어의 내,외부에서 상기 도어로크기구(9)를 언로크하기 위한 내측및 외측핸들(7,8)그리고 이들 핸들과 상기 도어로크기구(9)를 연결하며 언로크에 관련된 작동력 전달용 로드를 포함하는 링크기구(6)로써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지된 기술에 의하면 도어(D)가 닫히게 될때에 도어로크기구(9)의 로크래칫부분이 스트라이커(10)부분과 접촉하면서 로크래칫이 회전하여 견고한 로크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때, 상기 도어의 로크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로크기구(9)에 형성된 로크래칫의 언로크를 제한하는 안전로크(5)가 마련되어 도어의 언로크는 상기 안전로크의 작동없이는 불가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때에는 내측핸들(7)을 개방하기에 앞서 반드시 안전로크(5)의 노브를 들어올려 도어로크기구(9)를 개방가능한 상태로 만든후에 내측핸들(7)을 작동시켜 로크기구(9)를 언로크함으로써 도어(D)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종종 사용을 불편하게 하며, 여러사람이 탑승한 경우에 있어서는 로크와 언로크시 더더욱 불편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는 전동식 로크/언로크장치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며 이는 도어로크기구(9)에 자동도어로크 액취에이터(4)를 연결하여 전동에 의하여 중앙에서 로크/언로크가 제어될수 있도록 하거나, 일정차속 이상에서는 자동으로 로크되는등 많은 고안이 안출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있기는 하나, 이 역시 다수의 조작을 가하여 언로크 상태를 조성하므로써 사용이 불편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기술이 제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은 도어의 내측핸들의 해정작동시 이 해정 작동거리의 일정구간에서 해정요구상태를 검출하여 자동도어로크 액취에이터를 작동시켜 안전로크를 언로크상태로 하여 내측핸들의 해정과 동시 동작하는 안전로크로 인하여 단한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구체화 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이하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어(D)에 설치되어 스트라이커(10)와 서로 맞물려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도어 로크기구(9)와, 도어의 내외측에서 상기 도어로크기구를 언로크하기 위한 내측및 외측핸들(7,8)과, 이 핸들과 상기 도어로크기구를 연결하며 언로크에 관련된 작동력 로드를 포함하는 링크기구(6)와, 상기 도어로크기구의 언로크를 제한하는 안전로드(5)및 이 안전로드(5)를 원격에서 전동으로 로크/언로크하는 자동도어로크 액취에이터(4)로써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로크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7)로 부터 로크기구(9)에 이르는 로드(3)의 변위를 검출하는 센서(S)를 장착하여 이 센서(S)의 검지출력으로 상기 자동도어로크 액취에이터(4)를 언로크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도의 각 실시예와 같이 내측핸들(7)의 변위를 검출하되 내측핸들이 변위될수 있는 전체변위량에서 상기 도어로크기구(9)가 언로크작동되기 직전까지의 적정변위에서 검출동작을 행하는 센서(S)는 그 변위요소 어느곳이나 설치가 가능하게 됨은 알수 있다. 즉 상기 센서(S)는 상기 내측핸들(7)의 작동력을 로크기구(9)에 연결하는 로드(3)에 설치될수 있는바 로드(3)의 적정부위에 돌부(2)를 고착시키고 이 돌부(2)에 의하여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로써 이룰수 있으며, 또는 근접스위치및 마그테트스위치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한편으로는 상기 내측핸들(7)의 하우징내에 핸들의 회동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를 내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탑승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의지에 의하여 내측핸들(7)을 당겨 도어로크기구(9)를 언로크하여 할때, 이 의지를 검출하는 센서(S)가 상기 로드(3)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공지의 자동도어로크 액취에이터(4)를 언로크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도어로크기구(9)는 스트라이커(10)와 언로크되기에 앞서 안전로드(5)가 먼저 언로크된후 계속되는 탑승자의 내측핸들 조작력에 의하여 도어로크기구가 언로크되어 도어의 개방을 실현하게 한다.따라서 탑승자는 단 1회의 조작으로 안전로드(5)와 도어로크기구(9)를 언로크되게 하므로써 사용의 편리성은 극대화될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구성요부에 속하지 아니하는 주변기술들에 의거하여 주행중에는 언로크가 1회조작으로 불가하며 또한 종래와같이 중아도어로크장치에서 언로크를 불가하게 할경우에는 각도어는 개방이 제한되므로써 안전성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할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도어를 개방함에 있어서 내측핸들의 언로크동작의 일정범위내에서 이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안전로크를 우선 언로크되게 하고 도어로크기구를 언로크되게 하는 단1회의 조작으로 편리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 센서는 핸들의 개방동작을 중도에서 검출할 수 있는 위치와 그 센서이면 모두다 실시가 가능하며 구체적인 센서는 매우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나 이러한 변경은 본 고안에 의하여 안출될수 있는 동일성의 범주에 귀속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도어(D)에 설치되어 스트라이커(10)와 서로 맞물려 도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도어 로크기구(9)와, 도어의 내외측에서 상기 도어로크기구를 언로크하기 위한 내측 및 외측핸들(7,8)과, 이 핸들과 상기 도어로크기구를 연결하며 언로크에 관련된 작동력 전달용 로드를 포함하는 링크기구(6)와, 상기 도어로크기구의 언로크를 제한하는 안전로드(5) 및 이 안전로드(5)를 원격에서 전동으로 로크/언로크하는 자동도어로크 액취에이터(4)로써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로크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7)을 잡아당김에 의해 변위될 수 있는 전체변위량에서 상기 도어로크기구(9)가 언로크작동되기 직전까지의 적정변위중 내측핸들(7)로 부터 로크기구(9)에 이르는 로드(3)의 변위를 검출하는 센서(S)를 구비하여 이 센서(S)의 검지출력으로 상기 자동도어로크 액취에이터(4)를 언로크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
KR2019950002123U 1995-02-10 1995-02-10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 KR0120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123U KR0120129Y1 (ko) 1995-02-10 1995-02-10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123U KR0120129Y1 (ko) 1995-02-10 1995-02-10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116U KR960029116U (ko) 1996-09-17
KR0120129Y1 true KR0120129Y1 (ko) 1998-08-01

Family

ID=1940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123U KR0120129Y1 (ko) 1995-02-10 1995-02-10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1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103B1 (ko) * 2006-05-24 2007-12-21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투-모션 래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103B1 (ko) * 2006-05-24 2007-12-21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투-모션 래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116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39451B (zh) 用于车门打开驱动器的防夹紧逻辑
KR100617353B1 (ko) 자동차 도어용 잠금 장치
FR2590308A1 (fr) Systeme de verrouillage et de deverrouillage pour voiture, commande par un signal radio
GB2349912A (en) Automotive door latching system
JPH0813882A (ja) アンチセフト機構付ドアロック装置
KR0120129Y1 (ko) 자동차용 도어로크의 언로크장치
JP2519021Y2 (ja) サッシュレスドアの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JPH06185251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閉鎖装置
GB2242477A (en) Superlocking monitor, locking system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 of superlocklng a lock
JPH06129149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操作装置
JPH0446038Y2 (ko)
JP2514502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施解錠操作装置
JPH0355721Y2 (ko)
JPH0420684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4109335B2 (ja) 車輌用グローブボックスのロック装置
KR20070063324A (ko) 도어개폐장치
JPS62103221A (ja) 自動車における開閉体の閉じ忘れ防止装置
JP2527799Y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制御装置
JPH0281879U (ko)
JPH083634Y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施錠装置
JPH0363369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操作装置
JPH0420683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H0293163U (ko)
JPH06167157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閉鎖装置
JPH10292696A (ja) 車輌用グローブボックス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