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156B1 - 화상기록장치및화상재생장치및화상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화상기록장치및화상재생장치및화상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156B1
KR100263156B1 KR1019970029620A KR19970029620A KR100263156B1 KR 100263156 B1 KR100263156 B1 KR 100263156B1 KR 1019970029620 A KR1019970029620 A KR 1019970029620A KR 19970029620 A KR19970029620 A KR 19970029620A KR 100263156 B1 KR100263156 B1 KR 10026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igital image
image signal
signal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197A (ko
Inventor
우루시다니마사요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1998003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에서 스탠바이상태없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바로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화상신호를 그 디지탈화상신호에 부가되는 다른 정보신호와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한 화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150)와, 상기 기록부에 상기 디지탈화상신호 및 다른 정보신호의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록시작/정지를 지시하는 스타트·스톱버튼(154)과, 기록시작/정지지시에 따라 상기 디지탈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상기 메모리(150)에 쓰기/읽기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콘트롤러(152), 및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상기 디지탈화상신호에 기록시작/정지지시로부터의 지연이 없도록 상기 기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콘트롤러(153)를 마련하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탠바이상태가 필요없어 소비전력을 절감하므로 배터리 유지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기록장치 및 화상재생장치 및 화상기록/재생장치
본 발명은 비디오레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CD 등의 촬상소자를 갖는 비디오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변환된 영상신호를 자기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로 구성된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부와 기록신호를 디지탈 부호화하는 이른바 디지탈 VCR을 일체화한 장치의 예가 일본 특공평 8-3201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같은 가정용 디지탈 VCR은, 1993년 9월에 발족한 「HD 디지탈 VCR협의회(Specifications of Consumer Use Digital VCRs using 6.3mm Magnetic tape. HD Digital VCR Conference. Dec. 1994)」에서 표준화, 규격화, 및 부품화되어 있다.
이외에도 8mm 구형 VCR 등과 같은 아날로그 기록 VCR이 있다. 이러한 VCR과 비디오카메라를 일체화한 카메라 일체형 VCR에서는 자기매체를 비디오헤드로 자화하여 기록하므로, 비디오신호와 같은 광대역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상대속도를 고속으로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헤드를 설치한 회전드럼의 회전속도는 디지탈 VCR의 경우 약 9000rpm이나 된다. 그 결과, 즉석에서 촬영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회전드럼을 회전시킨채로 두고, 스타트(start)·스톱(stop)버튼이 눌러짐과 동시에 별도의 모터에 의해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는 스탠바이(stand-by)모드가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 스탠바이모드로 들어갈 때에는 테이프의 선출력 동작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것은 이전에 촬영한 부분과의 프레임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테이프를 약간 되감아 재생하여 프레임의 구획점에서 정지시켜 두는 동작이다. 그 결과, 촬영기회가 찾아올 것을 예측하여 실제의 촬영시작 이전에 스탠바이상태로 하여 두는 것은 조작상 필수였다.
도 6은 종래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100)는 광학적 동화상을 전기적 동화상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에서 변환된 신호를 자기테이프 등의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비디오레코더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100)는 주로 렌즈군(101), 비디오카메라블록(102), 셔플/디셔플회로(103), 압축/신 장회로(104), 오류부호부가/오류정정회로(105), 디지탈오디오회로(106), 서브코드발생/해독회로(107), 변복조회로(108), 기록재생앰프(109), 기록재생용자기헤드(110), 회전드럼(112), 드럼모터(113), 캡스턴모터(114), 캡스턴(115), 재생등화기(116), 재생ATF검출회로(117), 캡스턴서보회로(118), 드럼서보회로(119), 비디오출력회로(120), 마이크(MIC)로 이루어지며, 자기테이프(111)가 수납된 테이프카세트가 장착되고, 자기테이프(111)에 비디오카메라에서 촬상된 화면 및 마이크(MIC)에서 검출된 음성 등이 디지탈데이타로서 기록된다.
여기서, 렌즈군(101) 및 비디오카메라블록(102)은 비디오카메라를 구성한다. 그리고, 셔플/디셔플회로(103), 압축/신장회로(104), 오류부호부가/오류정정회로(105) 및 변복조회로(108)는 디지탈VCR의 기록/재생계 DSP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디지탈오디오회로(106)는 마이크(MIC)에서 검출된 음성신호를 디지탈음성데이타로 변환함과 아울러, 기록시에는 마이크입력신호를 재생시에는 재생오디오신호를, 오디오출력단자(Ta)로 출력하는 회로를 구성한다. 기록재생앰프(109) 및 재생등화기(116)는 디지탈 변조신호를 자기테이프(111)에 기록/재생하는 회로를 구성한다. 비디오출력회로(120)는 재생디지탈영상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재생ATF검출회로(117), 캡스턴서보회로(118) 및 드럼서보회로(119)는 테이프, 헤드기구계의 제어회로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6의 종래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에 대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서, 렌즈군(101)으로부터 입사된 피사체광은 비디오카메라블록(102)내의 CCD(미도시)상에 결상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 신호는 A/D변환되어 비디오카메라블록(102)에 내장된 DSP회로(미도시)에 의해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결합되고, NTSC방식의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변환된 후, 디지털콤포넌트신호(CCIR-REC601에서 규정되어 있는 4 : 2 : 2 콤포넌트신호)로 변환되어 셔플/디셔플회로(103)로 공급된다. 이 시점에서의 데이타 전송레이트는 양자화 8비트에서 216Mbps로 된다.
셔플/디셔플회로(103)는 우선, 비디오카메라블록(102)에서 공급되는4 : 2 : 2의 디지탈콤포넌트신호를 4 : 1 : 1의 콤포넌트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데이타 전송레이트는 162Mbps가 된다. 그리고, 셔플/디셔플회로(103)는 휘도신호(Y)와 두 색차신호(R-Y, B-Y) 각각을 8× 8 화소크기의 블록(block)으로 분할한다.
또한, 4Y+2(R-Y, B-Y)블록으로 매크로블록(Macro-block)을 구성하며, 그 매크로블록 27개로 슈퍼블록(Super-block)을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1트랙은 5개의슈퍼블록으로 구성된다.
NTSC의 경우 1프레임은 10트랙으로 구성되며, 1필드는 5트랙으로 구성된다. 셔플/디셔플회로(103)는 이 1필드 5트랙 내에서 슈퍼블록단위로 매크로블록을 일정규칙에 따라 하나를 추출하여 5매크로블록의 고정길이로 한다. 즉, 화면상의 블록위치를 바꿔 놓는 셔플(shuffle)을 수행한다. 이 시점에서는 유효블록으로 제한되므로 데이타 전송레이트는 125Mbps가 된다. 셔플된 신호는 압축/신장회로(104)로 공급되어 약 1/5로 압축되며, 약 25Mbps의 데이타 전송레이트가 된다.
압축/신장회로(104)는 또한, 압축된 데이타를 압축되기 이전상태로 신장하고, 셔플/디셔플회로(103)에서 디셔플하여 셔플을 통해 바꿔 놓은 화면상의 블록위치를 원래의 화면 위치로 되돌린다. 압축/신장회로(104)의 출력데이타는 오류부호부가/오류정정회로(105)로 공급되어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된다. 오류부호부가/오류정정회로(105)는 또한, 디지탈오디오회로(106) 및 서브코드발생/해독회로(107)로부터 디지탈오디오신호 및 서브코드데이타를 공급받아 각각을 시계열적으로 음성섹터, 영상섹터, 서브코드섹터의 순으로 트랙마다 다음 단의 변복조회로(108)에 공급한다. 이 단계에서의 정보량은 오류부호부가 전으로, 영상 25Mbps, 음성 2Mbps, 서브코드 0.15Mbps로 약 27Mbps가 된다.
변복조회로(108)는 이들 데이타를 스크램블(scramble)하여 24-25변조 즉, 부가비트(Extra Bit; EB)를 부가한 인터리브드NRZI변조를 수행한다. 트랙마다 부가비트(EB)의 「O」 과 「1」 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기록신호에 ATF트랙킹신호를 중첩시킨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최종적인 데이타 전송레이트는 41.85Mbps가 된다.
변복조회로(108)의 출력데이타는 기록재생앰프(109)에 공급되어 일정크기로 증폭된 후, 자기헤드(110)에 공급된다. 자기헤드(110)는 기록재생앰프(109)에서 증폭된 디지탈데이타에 대응하여 자기테이프(111)를 자화하고, 디지탈데이타를 자기테이프(111)에 자기적으로 기록한다.
한편, 자기헤드(110)는 회전드럼(112)의 원주상에 설치되어 드럼모터(113)에 의해 매분마다 약 9000회전한다. 자기테이프(111)는 캡스턴모터(114)에 의해 구동되는 캡스턴(115)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송된다. 재생시의 동작은 상술한 기록시 동작의 역동작으로 행해진다.
이처럼,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100)에서는 기록을 시작하기 위하여 다음의 2가지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안된다.
2가지 조건이란, (1) 트랙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프리트랙킹(선출력)이 이루어져 있을 것, (2) 회전드럼이 정상회전에 도달하여 있을 것, 이 두가지이다.
이로 인하여, 실제 기록에 들어가기까지 다음의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자기테이프(111)가 이미 드럼(112)에 로딩 즉, 소정 각도에 걸쳐 감겨진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드럼회전→ 쇼트리와인드→ 재생트랙킹동작→ 테이프정지, 대기의 순서로 선출력이 행해지고 있을 필요가 있으며, 그 동안 약 1∼2초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이후, 이 시간을 간단히 입상시간이라 칭한다).
이 입상시간은 촬영자가 촬영을 하기 위한 조작 후 실제 촬영이 시작되는 동안의 시간으로서는 너무 길다. 그래서, 스탠바이(stand-by)키를 마련하고, 그 키를 "온(ON)"하여 조작시작 전에 로딩 및 선출력이 종료한 스탠바이모드로 하여 조작에 응하여 이미 촬영을 시작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스탠바이모드란 상기 동작이 완료하고, 드럼이 정상회전하며 테이프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스탠바이상태에서 상기의 기기 동작시작 시간 이후는 스타트·스톱버튼을 누름으로써 바로 기록할 수 있다.
그런데, 스탠바이모드는 회전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해야 하므로 이때 해당 기기의 소비전력이 많아져 실제 촬영상태에 가까운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배터리의 유지시간을 감소시키는 큰 원인이 되었다.
또한, 스탠바이모드를 설치하여도 기록종료 후에는 테이프의 오버런이 있기 때문에 다음 촬영에 대비하여 상기의 동작이 필요하다. 그래서, 스타트·스톱버튼을 조작하여 촬영을 마친 후, 어떤 이유에 의해 바로 촬영을 시작하는 것은 상기 동작이 종료하기까지(약 2초)로는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스탠바이상태를 필요없게하여 이 스탠바이상태 동안에 소비되는 전력을 삭감하므로써 배터리 유지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일체형 VCR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종료 후에 바로 다음 촬영을 할 수 있으며 스타트·스톱버튼을 누른 시점부터의 화상을 기록하므로써 촬영기회를 놓치지 않고 원하는 장면을 완전히 기록하는 것도 가능한 비디오레코더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DVCR 표준버스의 데이타 형식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1도 시스템콘트롤러의 기록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4도는 제1도 각 구성의 기록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5도는 제1도 시스템콘트롤러의 역 1배속 재생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6도는 종래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 101 : 렌즈군
102 : 비디오카메라블록 103 : 셔플/디셔플회로
104 : 압축/신장회로 105 : 오류부호부가/오류정정회로
106 : 디지탈오디오회로 107 : 서브코드발생/해독회로
108 : 변복조회로 109 : 기록재생앰프
110 : 자기헤드 111 : 자기테이프
112 : 드럼 113 : 드럼모터
114 : 캡스턴모터 115 : 캡스턴
116 : 재생등화기 117 : 재생ATF검출회로
118 : 캡스턴서보회로 119 : 드럼서보회로
120 : 비디오출력회로 150 : 메모리
151 : 버스 152 : 메모리콘트롤러
153 : 시스템콘트롤러 154 : 스타트·스톱버튼
155 : 제어계버스 Ta : 오디오출력단자
Tv : 비디오출력단자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기록장치는, 디지탈 화상신호를 그 디지탈 화상신호에 부가하는 다른 정보신호와 함게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한 화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록부에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의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록시작/정지를 지시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기록시작/정지지시에 따라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의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쓰기/읽기를 제어하며,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에 상기 조작부의 기록시작/정지지시로부터 지연이 없도록 상기 기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부에 기록시작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시키고, 상기 기록부가 상기 기록매체에 신호기록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읽어내어 상기 기록부에 공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부에 기록정지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쓰기를 정지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가 읽혀진 후 상기 기록부의 기록동작을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부에 기록시작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시키고, 상기 기록부가 상기 기록매체에 신호기록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읽어내어 상기 기록부에 공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부에 기록정지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쓰기를 정지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지털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가 모두 읽혀지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기록부의 기록동작을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압축하는 압축회로를 가지며,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압축회로에서 압축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광학적 동화상을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카메라가 일체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재생장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화상신호 및 그 디지탈 화상신호에 부가하는 다른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구비한 화상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에서 재생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재생신호기억수단과, 상기 재생부의 재생방향에 대한 반전을 지시하는 반전재생지시수단, 및 상기 재생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를 소정 방향으로 재생시 상기 반전재생지시수단에 의해 반전재생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재생부의 동작이 역재생동작이 될 때까지 상기 재생신호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록 순서의 역방향으로 읽어내는 재생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기록/재생장치는, 디지탈 화상신호를 그 디지탈 화상신호에 부가하는 다른 정보신호와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그 디지탈 화상신호 및 다른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기록/재생부를 구비한 화상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록부에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의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록시작/정지를 지시하는 조작부와, 상기 기록/재생부의 재생시에 재생방향의 반전을 지시하는 반전재생지시수단, 및 상기 조작부의 기록시작/정지지시에 따라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다른 정보신호의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쓰기/읽기 및 상기 기록부의 동작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상기 디지탈화상신호에 상기 조작부의 기록시작/정지지시로부터 지연이 없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록/재생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를 소정 방향으로 재생시에 상기 반전재생지시수단에 의해 반전재생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재생부의 동작이 역재생동작이 될 때까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록 순서와는 다른 역방향에서부터 읽어내는 기록/재생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를 나타내는블록도로서, 도 6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의 동일한 구성에서 압축/신장회로(104)와 디지탈오디오회로(106) 및 오류부호부가/오류정정회로(105) 사이에 메모리콘트롤러(152) 및 메모리(150)가 추가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6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 도 1의 구성블록들은 도 6의 대응하는 블록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콘트롤러(152)는 기록시에 압축/신장회로(104)의 출력 데이타를 메모리(150)에 기록하면서 오류부호부가/오류정정회로(105)에 공급한다. 메모리콘트롤러(152)는 시스템콘트롤러(153)에 접속되어 시스템콘트롤러(153)로부터 공급되는 쓰기/읽기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압축/신장회로(104)의 출력데이타를 메모리(150)에 쓰기/읽기 제어한다.
시스템콘트롤러(153)는 기록시작/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스타트·스톱버튼(154)에 접속된다. 시스템콘트롤러(153)는 스타트·스톱버튼(154)의 조작에 따라 후술하는 것처럼 메모리콘트롤러(152)에 쓰기/읽기지시신호를 공급하여 압축/신장회로(104)의 출력데이타가 메모리(l50)에 저장되는 것을 제어한다.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또한, 제어계버스(155)를 통해서 캡스턴서보회로(118) 및 드럼서보회로(119)에도 접속되어 캡스턴모터(114) 및 드럼모터(113)의 회전시작을 제어하며, 그 회전상태를 감시한다.
압축/신장회로(104), 디지탈오디오회로(106), 및 메모리콘트롤러(152)는 동일버스(151)에 접속된다. 버스(151)는 DVC규격, 「Specifications Of Consumer-User Digital VCRs using 6.3mm magnetic tape(HD DIGITAL VCR CONFERENCE), 11data structure for digital interface.」 에 근거하여 비디오데이타블록 안에 오디오데이타블록을 팩(pack)한 표준버스형식을 취한다.
도 2는 DVCR 표준버스 1프레임분의 데이타 형식을 나타낸 도면으로, 그 표준 버스는 일반적으로 DIF시퀀스(sequence)라 불려 진다.
메모리콘트롤러(152)는 메모리(150)에 서브코드(Subcode), 오디오(Audio), 및 비디오(Video)의 각 데이타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식으로 저장한다. 서브코드는 도 2에서 그 표준버스(151)와는 별도 경로로 서브코드발생/해독회로(107)로부터 메모리콘트롤러(152)에 공급되어 메모리(150)에 저장된다. 이는 오류부호부가/오류정정회로(105)에서 서브코드의 오류부호처리가 오디오 및 비디오데이타와는 다르므로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버스(151)를 분리시킨 것으로 분리하지 않고 버스(151)에서 통일하여 취급할 수도 있다.
버스(151)를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메모리콘트롤러(152)는 서브코드발생/해독회로(107)로부터 기록해야할 서브코드신호를 공급받는다. 메모리콘트롤러(152)는 메모리(150)의 쓰기/읽기 지시신호를 시스템콘트롤러(153)에서 얻어 메모리(150)의 데이타축적시간을 제어한다.
도 3은 도 1 시스템콘트롤러(153)의 기록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1 각 구성의 기록시 동작타이밍도이다. 도 4의 (A)는 스타트·스톱버튼(154) 조작시 시스템큰트롤러(153)에 공급되는 신호(S/S), 도 4의 (B)는 시스템콘트롤러(153)가 메모리콘트롤러(152)에 공급하는 쓰기지시신호(MW), 도 4의 (C)는 드럼모터의 동작상태(DRUM), 도 4의 (D)는 캡스턴모터의 동작상태(CAPS), 그리고 도 4의 (E)는 시스템콘트롤러(153)가 메모리콘트롤러(152)에 공급하는 읽기지시신호(MR)의 각 타이밍을 나타낸다.
시각 "t0"에서 스타트·스톱버튼(154)이 조작되면, 시스템콘트롤러(153)에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최초펄스 "A"가 공급된다. 시스템콘트롤러(153)는 스타트·스톱버튼(154)의 조작에 의한 도 4(A)의 최초펄스 "A"의 검출을 판단한다(스텝 S1-1). 스텝S1-1에서, 시스템콘트롤러(153)는 스타트·스톱버튼(154)에 의한 도 4(A)의 최초펄스 "A"가 인식되면 그 펄스의 하강시각 "tl"에서 캡스턴서보회로(118) 및 드럼서보회로(l19)에 동작을 지시한다(스텝 S1-2).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또한, 메모리콘트롤러(152)에 인가되는 도 4(B)의 쓰기지시신호(MW)를 입상시켜 그 입상시점 "C"부터 압축/신장회로(104) 및 디지털오디오회로(106)로부터 인가되는 비디오, 오디오, 서브코드등의 데이타를 메모리(150)에 저장하도록 쓰기지시한다(스텝 S1-3). 이때,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내부 타이머를 기동하여 기록가능하게 되기까지의 시간, 즉 캡스턴모터(114) 및 드럼모터(113)가 정상동작상태가 되기까지의 시간 계측을 시작한다(스텝 S1-4).
한편, 시스템콘트롤러(153)의 동작지시에 따른 드럼서보회로(119)의 동작에 의해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모터(113)가 회전하여 정상회전(E부분)에도달하고, 아울러 시스템콘트롤러(153)의 동작지시에 따른 캡스턴서보회로(118)의 동작에 의해 도 4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스턴모터(114)가 테이프 선출력동작(G, H부분)을 종료하면, 캡스턴서보회로(118) 및 드럼서보회로(119)는 제어계버스(155)를 통하여 시스템콘트롤러(153)에 기기시작동작완료를 알린다.
스텝 S1-5에서, 시스템콘트롤러(l53)는 캡스턴서보회로(118) 및 드럼서보회로(119)로부터 정상적인 기록동작을 개시할 수 있는 시작동작완료응답 여부를 판단한다. 시스템콘트롤러(153)는 캡스턴서보회로(118) 및 드럼서보회로(119)로부터 시작동작완료응답이 있으면 스텝 S1-4를 통한 입상시간 계측을 종료하고, 계측한 입상시간 "Tl"을 내부적으로 유지한다(스텝 S1-6). 아울러,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도 4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콘트롤러(152)에 데이타 읽기지시를 내린다(스텝 S1-7).
메모리콘트롤러(152)는 시스템콘트롤러(153)로부터 인가되는 읽기지시에 따라 메모리(150)에 스텝 S1-3에 의해 도 4의 시각 "tl"에서 써넣어진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읽어 낸다. 메모리(150)로부터 읽혀진 데이타는 오류부호부가/오류정정회로(105), 변복조회로(108) 및 기록재생앰프(109)를 차례로 거쳐 자기헤드(110)에 공급되어 자기테이프(111)에 기록된다.
이처럼, 메모리(150)의 축적시간은 고정(fix)되어 있지 않고 변동폭이 큰 기기시작시간(Tl)을 실제로 검출하여 설정된다. 그 결과, 변동이 큰 기기시작시간(Tl)의 변동에 의하지 않고 동작시킬 수 있다.
시각 "t3"에서 스타트·스톱버튼(154)이 다시 조작되면, 시스템콘트롤러(153)에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펄스 "B"가 공급된다.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다시 스타트·스톱버튼(154)의 조작에 의한 도 4(A)의 펄스 "B"의 검출을 판단한다(스텝 S1-8). 스텝 S1-8에서,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다시 스타트·스톱버튼(154)에 의한 도 4(A)의 펄스 "B"가 인식되면 그 펄스의 하강시각 "t4"에서 메모리콘트롤러(152)에 인가되는 도 4(B)의 쓰기지시신호(W)를 하강시켜 그 하강시점 "D"부터 압축/신장회로(104) 및 디지달오디오회로(106)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데이타를 메모리(150)에 저장하지 않도록 쓰기정지를 지시한다(스텝 S1-9).
이때,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내부적으로 유지하고 있던 입상시간 "Tl" 즉, 기기시작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만큼의 카운트를 개시하여(스텝 S1-10), 기기시작시간 "T1"의 경과를 체크한다(스텝 S1-11). 스텝 S1-11에서, 시스템콘트롤러(153)는 기기시작시간 "Tl"의 경과가 체크되면 그 시점의 시각 "t5"에서 메모리콘트롤러(152)에 인가되는 도 4(E)의 읽기지시신호(MR)를 하강시켜 그 하강시점 "M"부터 메모리(150)에 대한 데이타 읽기정지를 지시한다(스텝 S1-12).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또한, 캡스턴서보회로(118) 및 드럼서보회로(119)에 동작정지를 지시한다.(스텝 S1-13).
캡스턴서보회로(118)는시스템콘트롤러(153)로부터 동작정지지시신호가 공급되면, 테이프의 오버런에 의한 무기록갭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선출력동작(l, J부분)을 수행한다. 드럼서보회로(119)는 캡스턴 서보회로(118)에 의한 테이프 선출력동작이 종료한 시각 "t6"에서 드럼모터(113)를 정지시켜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모터(113)의 상태를 정지상태(F부분)로 이행한다.
또한, 메모리(150)는 듀얼포트 디램(DRAM) 등을 사용하며, 그 메모리용량은 기기시작시간(약 2초)에 대하여 약간의 여유가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그 최대시간을 2.4초로 설정하면 전술한 전송레이트 27Mbps에 의해 메모리용량은 27×2.4=64Mbit 이므로, 메모리(150)는 16Mbit DRAM 4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압축 후의 데이타를 취급하므로 메모리용량을 삭감할 수 있으며, DVCR포맷을 통한 압축으로 메모리(150)를 거치는 것에 따른 화질의 열화는 없다.
또, 시스템콘트롤러(153)는 원칩 마이크로컴퓨터로 구현된다. 메모리콘트롤러(152)는 메모리(150)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팩구조의 데이타 쓰기와 읽기, 그리고 데이타의 팩킹과 디팩킹을 수행하는 것으로 게이트어레이와 PLD로 구현한다. 버스(151)는 8비트 폭으로 클럭주파수 10MHz 정도로 한다.
또한, 재생시에는 이 메모리(150)로의 쓰기는 행하지 않으나, 역 1배속 재생시 기기시작시간의 흡수 등의 동일취지의 기능에 유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 시스템콘트롤러(153)의 역 l배속 재생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역 1배속 재생시에는 통상 재생→ 정지→ 역재생과 같은 기계동작이 있으므로, 통상 재생에서 역재생으로 순식간에 이행할 수 없어 기기시작시간 "T1(약 1초)"을 필요로 한다.
통상의 재생시 메모리(150)에 순회적으로 재생되는 데이타의 쓰기동작을 수행하며(스텝 S2-1), 시스템콘트롤러(153)는 역 1배속 재생버튼(156)이 눌려지면(스텝 S2-2), 메모리콘트롤러(152)에 읽기지시한다(스텝 S2-3). 메모리콘트롤러(152)는 시스템콘트롤러(153)로부터 인가되는 읽기지시에 따라 메모리(150)를 제어하여 메모리(150)에 써넣은 디지탈 화상데이타를 시간상의 역방향으로 읽어낸다.
다음, 시스템콘트롤러(153)는 기기의 재생동작을 정지시키고(스텝 S2-4), 자기테이프(111)를 소정시간 되감기한 후(스텝 S2-5), 역 1배속 재생을 시작한다(스텝 S2-6).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메모리(150)로부터 읽어낸 재생데이타와 자기테이프(11)를 재생하여 얻은 재생데이타의 타이밍을 검출하여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스텝 S2-7). 스텝 S2-7에서,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두 재생데이타의 타이밍이 일치하면 표준버스(151)를 통해 압축/신장회로(104) 및 디지탈오디오회로(106)에 공급하는 재생데이타를 메모리(150)로부터 읽어낸 재생데이타에서 자기테이프(111)를 재생하여 얻은 재생데이타로 절환한다(스텝 S2-8). 이와 동시에 시스템콘트롤러(153)는 메모리콘트롤러(152)에 메모리(150)로부터의 재생데이타 읽기중지를 지시한다(스텝 S2-9).
이때, 스텝 S2-5에 의한 자기테이프(111)의 되감기시에 자기테이프(111)를 "T1"시간만큼을 여분으로 되감고, 메모리(150) 화면과의 동기를 취하여 절환하므로써, 역재생 화상에 혼란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화상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카메라일체형VTR에서 필요했던 스탠바이모드가 불필요해지므로 이 스탠바이모드중에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지의 유지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촬영에서 다음 촬영으로 바로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셔터기회를 놓치는 일이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레코더는,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디지탈화상신호에 상기 조작부의 기록시작/정지지시로부터 지연이 없도록 기록부 및 기억수단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기록부에 기록시작을 지시하면 디지탈화상신호가 기억수단에 순차적으로 기억되고, 기록부가 기록매체에 기록가능하게되면 기억수단에 기억된 디지탈화상신호를 순차적으로 읽어내어 기록부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하므로써 기록지시를 행한 시점부터의 디지탈화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으므로, 기록하고자 하는 화상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록부를 항상 기록 가능한 스탠바이상태로 해둘 필요가 없으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전지구동의 경우 등에서 전지의 유지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기록부에 기록시작을 지시하면 디지탈화상신호가 기억수단에 순차적으로 기억되며, 기록부가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게 되면 기억수단에 기억된 디지탈화상신호를 순차적으로 읽어내어 기록부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지시를 행한 시점부터의 디지탈화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으며, 기록하고자하는 화상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 기록부를 항상 기록 가능한 스탠바이상태로 해둘 필요가 없으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전지구동의 경우 등에서 전지의 유지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정지시에는 정지지시가 이루어지고 나서 우선, 기억수단으로의 디지탈화상신호의 기억을 정지하고, 기억수단에 기억된 디지탈화상신호가 기록부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으로부터 기록을 정지하는 것에 의해 정지지시가 공급될 때까지의 디지탈화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또, 기록시에 기록부가 기록매체로의 신호기록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기억수단에 기억된 디지탈화상신호 및 다른 정보신호를 읽어내어 기록을 수행하므로써 기록부가 확실히 기록가능한 상태가 되고나서 기록매체로의 기록을 수행하므로 필요한 디지탈화상신호를 확실히 기록매체에 기록할수 있다.
또, 기억수단에 기억된 디지탈화상신호 및 다른 정보신호가 모두 읽혀지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기록부의 기록동작을 정지시키므로 기억수단에 기억된 디지탈화상신호 및 다른 정보신호를 확실히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또, 압축회로에서 압축된 디지탈화상신호 및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하므로 기억수단의 기억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비디오카메라에 의해 촬영하고자하는 부분부터 확실히 화상을 촬영할 수 있고, 셔터기회를 놓치지 않고 촬영할 수 있으며, 또한 기록부를 항상 기록가능한 스탠바이상태로 해 둘 필요가 없으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전지 구동의 경우 등에서 전지의 유지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반전재생시에 재생부의 동작이 역재생동작이 될 때까지 재생신호기억수단에 기억된 디지탈화상신호 및 다른 정보신호를 기록한 순서와는 다른 역방향에서 부터 읽어내므로 반전하고 나서 바로 역재생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기록시 조작부의 기록시작/정지지시로부터 지연없이 화상을 기록하는 제어에, 또한 재생시에는 반전재생지시가 공급되고나서 지연없이 역재생화상을 얻는 제어에 공용으로 이용하므로 회로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 조작성이 양호한 화상기록/재생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디지탈 화상신호를 그 디지탈 화상신호에 부가되는 다른 정보신호와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한 화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기록부에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의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록시작/정지를 지시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기록시작/정지지시에 따라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의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쓰기/읽기를 제어하며,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에 상기 조작부의 기록시작/정지지시로부터 지연이 없도록 상기 기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화상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부에 기록시작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시키고, 상기 기록부가 상기 기록매체에 신호기록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부가정보를 읽어내어 상기 기록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부에 기록정지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쓰기를 정지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가 읽혀진 후 상기 기록부의 기록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부에 기록시작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시키고, 상기 기록부가 상기 기록매체에 신호기록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읽어내어 상기 기록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기록부에 기록정지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쓰기를 정지하고, 상기 기록부가 상기 기록매체에 신호 기록을 행할 때에 기록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기록부의 기록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압축하는 압축회로를 가지며,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압축회로에서 압축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광학적 동화상을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 카메라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8.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화상신호 및 그 디지탈 화상신호에 부가되는 다른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구비한 화상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에서 재생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재생신호기억수단;
    상기 재생부의 재생방향에 대한 반전을 지시하는 반전재생지시수단; 및
    상기 재생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를 소정 방향으로 재생시 상기 반전재생지시수단에 의해 반전재생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재생부의 동작이 역재생동작이 될 때까지 상기 재생신호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지탈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록 순서의 역방향으로 읽어내는 재생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화상재생장치.
  9. 디지탈 화상신호를 그 디지탈 화상신호에 부가되는 다른 정보신호와 함께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그 디지탈 화상신호 및 다른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기록/재생부를 구비한 화상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기록부에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의 상기 기록매체로의 기록시작/정지를 지시하는 조작부;
    상기 기록/재생부의 재생시에 재생방향의 반전을 지시하는 반전재생지시수단; 및
    상기 조작부의 기록시작/정지지시에 따라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 및 다른 정보신호의 상기 기억수단으로의 쓰기/읽기 및 상기 기록부의 동작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상기 디지탈 화상신호에 상기 조작부의 기록시작/정지지시로부터 지연이 없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록/재생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탈화상신호를 소정 방향으로 재생시에 상기 반전재생지시수단에 의해 반전재생지시가 공급되면 상기 재생부의 동작이 역재생동작이 될 때까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디기탈 화상신호 및 상기 다른 정보신호를 기록 순서의 역방향으로 읽어내는 기록/재생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화상기록/재생장치.
KR1019970029620A 1996-10-28 1997-06-30 화상기록장치및화상재생장치및화상기록/재생장치 KR100263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529796A JP3698224B2 (ja) 1996-10-28 1996-10-28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JP8-285297 1996-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97A KR19980032197A (ko) 1998-07-25
KR100263156B1 true KR100263156B1 (ko) 2000-08-01

Family

ID=1768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620A KR100263156B1 (ko) 1996-10-28 1997-06-30 화상기록장치및화상재생장치및화상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98224B2 (ko)
KR (1) KR100263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7435A (ja) * 2002-04-04 2004-01-08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23857B2 (ja) * 2006-11-01 2011-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性能試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5771A (ja) * 1990-10-29 1992-06-11 Canon Inc 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5771A (ja) * 1990-10-29 1992-06-11 Canon Inc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98224B2 (ja) 2005-09-21
KR19980032197A (ko) 1998-07-25
JPH10136295A (ja) 199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044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Monitored Video Data
KR100263156B1 (ko) 화상기록장치및화상재생장치및화상기록/재생장치
JP3340639B2 (ja) 映像データの記録再生方法とその装置
JP391570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179379A (ja) 静止画記録再生装置の記録方法
JP3834861B2 (ja) 映像記録装置
US7092613B1 (en) Backup device in case of power failure i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925214B2 (ja) 画像信号記録及び再生装置
JPH03249887A (ja) 映像信号記録装置
JP3624443B2 (ja) 記録装置
JPH0983952A (ja) 撮像装置
JPH11289513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S62173863A (ja) 電子カメラ
JP3094428B2 (ja) 映像信号記録装置
JP2000092356A (ja) 撮像装置
JPH07201130A (ja)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2985252B2 (ja) 映像信号記録装置
JP3454772B2 (ja) デジタルvtr
JP3574082B2 (ja) デジタルvtr
JPH1011283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4180232A (ja) 信号記録再生カメラ
JPH0472972A (ja) 静止画記録装置
EP0523703A2 (en)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JP2002314939A (ja) 映像信号記録装置
KR19990055951A (ko) 디지털 비디오카셋트레코더에서의 기록테이프 서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