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256B1 - 도막전사기구 - Google Patents

도막전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256B1
KR100259256B1 KR1019940032755A KR19940032755A KR100259256B1 KR 100259256 B1 KR100259256 B1 KR 100259256B1 KR 1019940032755 A KR1019940032755 A KR 1019940032755A KR 19940032755 A KR19940032755 A KR 19940032755A KR 100259256 B1 KR100259256 B1 KR 10025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fer
coating film
head
cas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200A (ko
Inventor
코오헤이 코야마
시게루 타마이
마사토시 신타니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쇼로쿠
시드고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쇼로쿠, 시드고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세가와 쇼로쿠
Publication of KR95001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사용자의 필기도구의 유지방법에 대응하여, 세로로 이끌어주는것 및 가로로 이끌어주는 것을 불문하고 필기도구 감각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도막전사기구. 도막전사용헤드가 그 축선주위로 각도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고,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서 또한 사용자 자신의 필기도구의 유지방법에 대용하여 헤드의 각도 조정을 실시하므로서, 사용자는 케이스자체를 필기도구 감각으로 파지하여 헤드의 선단가압부에 의하여 도막전사테이프를 종이면등의 위에 밀착형상으로 억누를 수 있다.

Description

도막전사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한 도막전사기구를 분해하여 표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상기한 도막전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막전사용 헤드가 세로로 이끌어 주는 조작기본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3도는, 상기한 도막전사기구의 내부를 일부 단면으로 표시하는 정면도이고, 상기한 도막전사용 헤드가 세로로 이끌어주는 조작기본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4도는, 상기한 도막전사기구의 사시도이며, 상기한 도막전사용 헤드가 가로로 이끌어주는 조작기본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5도는, 상기한 도막전사기구의 내부를 일부 단면으로 표시하는 정면도이고, 상기한 도막전사용 헤드가 가로로 이끌어주는 조작기본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6도는, 상기한 도막전사기구의 테이프구동부의 기본구성을 표시하는 개략사시도.
제7도는, 상기한 테이프구동부의 역전방지기구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제7(a)도는 역전방지기구의 분해사시도, 및 제7(b)도는 역전방지기구의 동작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
제8도는, 상기한 도막전사기구의 도막전사용 혜드와 회전조작부를 일부 절개하여 표시하는 정면도이고, 상기한 도막전사용 헤드가 가로로 이끌어주는 조작기본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9도는, 상기한 회전조작부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제9(a)도는 도막전사용 헤드와 회전조작부의 관계를 표시하고, 제9(b)도는 회전조작부의 위치결정부를 표시하고 있다.
제10도는, 상기한 회전조작부의 조작요령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제10(a)도는 캡부재를 케이스의 원통선단부에 부착하며, 또는 맞췄다뗐다할 수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제10(b)도는 캡부재를 회전조작하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11도는, 상기한 도막전사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제11(a)도는 세로로 이끌어주어서 사용하는 상태를 표시하며, 제11(b)도는 가로로 이끌어주어서 사용하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12도는, 상기한 도막전사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제12(a)도는 세로로 밀어서 사용하는 상태를 표시하며, 제12(b)도는 가로로 밀어서 사용하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도막전사기구를 분해하여 표시하는 사시도.
제14도는, 상기한 도막전사기구의 회전조작부의 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제14(a)도는 캡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도막전사용 헤드와 원통선단부를 표시하며, 제14(b)도는 동일한 원통선단부를 표시하고 있다.
제15도는, 상기한 회전조작부의 구조를 일부 단면으로 표시하는 확대측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도막전사기구의 회전조작부의 구조를, 캡부재를 떼어낸 상태에서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7도는, 상기한 회절조작부의 구조를 일부 단면으로 표시하는 확대측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도막전사기구의 회전조작부의 구조를 캡부재를 떼어낸 상태에서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9도는, 상기한 회전조작부의 구조를 일부 단면으로 표시하는 확대측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도막전사기구의 정면도.
제21도는, 상기한 도막전사기구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제21(a)도 및 제21(b)도는 각각 다른 자세에서 케이스의 유지방법을 표시하고 있다.
제22도는, 상기한 테이프구동부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제6도에 대응한 개략사시도이고, 제22(a)도는 제1의 변형예를 표시하고, 제22(b)도는 제2의 변형예를 표시하고 있다.
제23도는, 종래의 도막전사기구의 내부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표시하는 정면도.
제24도는, 다른 종래의 도막전사기구의 내부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표시하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도막전사용 헤드 2 : 케이스
3 : 케이스본체 1 : 도막전사기구
6 : 공급릴 7 : 감기릴
5 : 원통선단부 40 : 캡부재
35a : 선단가압부 10 : 공급회전부
11 : 감기회전부 12 : 연동부
30 : 역전방지기구 30b : 역전방지돌기
30a : 걸림돌기 19,20 : 중공지축
15,16 : 회전축부 70 : 이탈방지부
21,22 : 가이드핀 17,18 : 회전원판
25 : 마찰부재 18a : 미끄럼방지리브
36 : 베어링부 35b : 가이드플랜지
36a : 플랜지 37 : 끼워맞춤홈
42 : 베이스부 43 : 끼워맞춤부
44 : 삽입구멍 41 : 위치결정부
45 : 계합부 46 : 계합볼록부
본 발명은 도막전사테이프상의 수정도료층, 점착제층 등의 도막을 지면 등에 전사하는 도막전사기구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도막의 전사조작할때에, 개별적인 사용자가 자기의 연필 등의 필기도구의 유지방법에 맞춘 사용자세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는 도막전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종류의 장치로서는, 이미 본출원인들에 의하여,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공보 No.5-58097 및 일본실용신안공개공보 No.5-13800호 공보에 각각 명시되는 도막전사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도막전사기구는 어느것도, 주로서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도막전사기구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제23도 및 제24도에 각각 표시되듯이, 현재 수중에 가지고 조작가능한 케이스(a) 내로, 도막전사테이프(b)를 두루감은 공급릴(c)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b)를 회수하는 감기릴(d)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케이스(a)의 선단부에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를 피전사부(지면상의 피수정부분)(e) 위로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f)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한 공급릴(c)에서 공급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는, 상기한 헤드(f)의 선단의 가압부(g)를 경유하여, 상기한 감기릴(d)에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경우에, 상기한 케이스(a)는, 상기한 공급릴(c)과 감기릴(d)을 내장할 수 있는 윤곽형상치수와 폭치수를 구비하는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케이스(a)의 편평한 표리면, 결국 제23도 및 제24도의 지면에 대하여 표리면이 조작시의 파지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에 있어서는, 제23도에 표시되듯이, 상기한 혜드(f)의 가압부(g)가 도막전사테이프(b)를 상기한 공급릴(c)과 감기릴(d)의 권회자세 그대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컨대 일문과 같은 세로쓰기문장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에 적합한 세로로 이끌어주는 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결국, 그것을 사용할때에는, 사용자는 상기한 케이스(a)의 파지면(표리면)을 손가락으로 꼭쥐고, 도면표시와 같이 상기한 헤드(f)의 가압부(g)에 의하여 도막전사테이프(b)를 피수정부분(e)위에 밀착형상으로 누르면서, 케이스(a)를 지면에 대하여 아래방향(제23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헤드(f)의 가압부(g)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b)의 수정도료층이, 피수정부분(e)위에 칠하게 되어서 문자 등이 지워지는 동시에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b)가 감기릴(d)에 회수된다.
한편, 후자에 있어서는, 제24도에 표시되듯이, 상기한 헤드(f)의 가압부(g)가, 도막전사테이프(b)를 케이스(a)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대하게해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컨대 유럽어의 문장과 같은 횡서문장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에 적합한, 가로로 이끌어주는 사용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결국, 그것을 사용할때에는, 사용자는, 상기한 케이스(a)의 파지면을 손가락으로 꼭쥐고, 헤드(f)의 가압부(g)에 의하여 도막전사테이프(b)를 피수정부분(e)상에 밀착형상으로 억누르면서, 케이스(a)를 지면등에 대하여 좌우방향(제24도의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한 것과 같이 문자 등이 소거된다.
그런데, 상기한 어느 구조도 세로로 이끌어주는 사용 또는 가로로 이끌어주는 사용중 어느한쪽에 대해서는 필기도구감각에서 사용이 가능한 반면, 다른쪽의 사용에는 대단히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게다가, 필기도구의 유지방법에도 사용자에 따라서는 독특한 버릇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상적이고 획일적인 필기도구자세를 가정한 구조에서는, 필기도구 감각에서 사용을,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실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한 신규인 도막전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적인 사용자의 연필 등 필기도구의 유지방법에 대응한 사용자세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고, 게다가 세로로 이끌어줌 및 가로로 이끌어줌을 불문하고, 소위 필기도구 감각에서 사용이 가능한 도막전사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도막전사용 헤드가 힘의 작용방향으로 추종하여 자유회전하므로, 그 각도가 적당히 조정되어서 상기한 헤드의 가압부에 의하여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위에 항상 밀착형상으로 억누를 수 있는 도막전사기구를 제공하데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다른 또하나의 목적은, 직선형상으로 또는 곡선형상으로, 혹은 이들 양자가 연속하는 경우에도, 도막전사테이프를 전사할 수 있는 도막전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도막전사구의 구성은, 손에 쥐고 조작가능한 케이스내로, 도막전사테이프를 두루감은 공급릴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감기릴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위로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돌설됨과 아울러, 이 헤드의 선단가압부를 경유하여, 상기한 공급릴로부터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가 상기한 감기릴에 두루감기게 되고, 상기한 헤드는 그 축선주위로 각도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헤드는, 적어도, 그 가압부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릴과 감기릴의 두루감긴형태 그대로 안내하는 각도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보게해서 안내하는 각도의 사이에서, 복수단계로 각도조정 가능하게 되며, 또는 자유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막전사기구를 예컨대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지우개도구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한 헤드의 가압부를 오자 등을 수정해야 할 피전사부의 개시단에 닿게하여, 이상태 그대로 상기한 케이스를 이 피전사부에 따라서 이전시켜, 피전사부의 종단에서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혜드의 가압부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의 수정도료층이, 기재필름으로부터 박리하여 상기한 피전사부위로 전사되어서, 오자 등이 지워지게 되는 한편, 사용후에 박리제층만 남은 기재테이프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감기릴에 회수된다.
이경우, 상기한 헤드는 그 축선주위로 각도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서 또한 자신의 필기도구의 유지방법에 대응하여, 헤드의 각도 조정을 실시하므로서, 케이스자체를 마치 필기도구와 같은 자세에서 꼭쥔상태로, 상기한 헤드의 가압부에 의하여 도막전사테이프를 지면 등의 위에 밀착형상으로 억누를 수 있고, 조작성이 훌륭하다.
더우기, 상기한 헤드가 그 축선주위로 자유회전가능한 구조라면, 헤드는 힘의 작용방향으로 추종하여 자유회전되며, 그 각도가 적당히 조정되므로, 도막전사테이프는 상기한 헤드의 가압부에 의하여 피전사부위에 항상 밀착형상으로 억누르게됨과 아울러, 직선형상뿐만 아니라 곡선형상으로, 혹은 이들양자가 연속하는 경우에도 전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에 도막전사테이프가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대하게 한다는 것은, 도막전사테이프의 표리면이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대하는 것, 환언하면, 도막전사테이프의 표리면이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과 대략 동일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의미하고, 아래에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마찬가지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것 및 그 이외의 관련하는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하는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중에서 지적한 그 신규사항을 읽으면 명백하게 될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22도에는 본 발명에 관한 도막전사기구가 표시되어 있고, 도면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부재 또는 요소를 표시하고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관한 도막전사기구가 제1도 내지 제5도에 표시되고, 이 도막전사기구(1)는, 구체적으로는 오차 등을 수정하기 위한 지우개도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소모품으로서의 도막전사테이프(T)가 교환가능한 카아트리지식 또는 리필식으로 되어 있다.
도막전사기구(1)는, 제1도에 표시하듯이, 손으로 쥐고 조작가능한 케이스(2)에 테이프카아트리지(C), 테이프구동부(D), 도막전사용 혜드(H) 및 회전조작부(R)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이 도막전사기구(1)에 있어서는, 상기한 헤드(H)가 제2도에 표시하는 세로로 끌기 조작기본위치(겸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와, 제4도에 표시하는 가로로 이끌어주는 조작기본위치(Y)와의 사이에서, 그 축심주위로 각도조정하게 되어 있다. 아래에서, 각 구성부마다 설명한다.
케이스(2)는, 도시하듯이,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C)와 테이프구동부(D)를 내장할 수 있는 정면윤곽형상칫수와 폭칫수를 구비하는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되어있다. 후술하듯이, 이 케이스(2)의 편평한 표리면(2a), (2b)이 손으로 잡을 수 있게 조작시의 파지면으로 되어 있다.
이 케이스(2)는 사출성형 등에 의하여 성형된 플라스틱제인 것이고, 케이스본체(3)와 캡체(4)로 구성되는 분해가능한 분할구조로 되어 있다. 이런 목적 때문에, 케이스본체(3)의 개구내주부에는, 끼워맞춤오목부(3a)가 대략 전체둘레에 걸쳐서 설치됨과 아울러, 그 후단부에 계합부(3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끼워맞춤오목부(3a)에는, 상기한 캡체(4)의 끼워맞춤리브(4a)가 끼워맞춤과 동시에, 상기한 계합부(3b)에는, 상기한 캡체(4)의 결림돌기(4b)가 계합한다. 또 이들 케이스본체(3)와 캡체(4)의 선단부에는, 원통반할부(3c), (4c)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원통반할부(3c), (4c)는, 후술하는 캡부재(40)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한 케이스(2)를 조립하는 수순은, 우선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계합부(3b)에 캡체(4)의 걸림돌기(4b)를 계합시켜, 이후, 상기한 끼워맞춤오목부(3a)에 끼워맞춤리브(4a)를 끼워맞춤시키면서 상기한 양측 원통반할부(3c),(4c)를 맞추고, 최후에 이 일체화된 부분(원통선단부)(5)에 상기한 캡부재(40)를 끼운다.
테이프카아트리지(C)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감아서 이루어지는 공급릴(6)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T′)를 회수하는 감기릴(7)이 한세트로 이루어진다.
이 테이프카아트리지(C)는,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테이프구동부(D)에 맞췄다뗐다할 수 있게 장착된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케이프카아트리지(C)는, 그 장착전에 있어서는 상기한 양 릴(6),(7)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다.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로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구조인 것이 채용된다. 결국, 도막전사테이프(T)는, 그 구체적 구조는 도시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필름, 아세테이트필름 등의 플라스틱제, 혹은 종이제품 등의 필름형상기재(두께 25∼38㎛정도)의 한쪽면에,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수지, 저분자폴리에틸렌 등의 박리제층이 형성되고, 이 박리제층의 위로 백색의 수정도료층이 형성되고, 더우기 이 수정도료층의 위로 가압접착성을 보유하는 폴리우레탄 등의 점착제(감압접착제) 등이 실시되어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수정도료층으로서는, 전사후 즉시, 그위에서 필기가능한 소위 드라이타이프인 것이 채용되어 있다.
상기한 공급릴(6) 및 감기릴(7)은, 각각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두루감는 드럼부(6a),(7a)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양쪽 드럼부(6a),(7a)는, 그 양쪽으로, 테이프안내용 플랜지(6b),(7b)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지름방향 중앙으로, 세레이션, 스플라인 등의 톱니모양의 걸어맞춤부를 보유하는 장착구멍(6c),(7c)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구동부(D)는 상기한 케이스본체(3)내로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프구동부(D)는, 상기한 공급릴(6)을 회전구동하는 공급회전부(10), 상기한 감기릴(7)을 회전구동하는 감기회전부(11), 및 이들 양쪽 회전부(10),(11)를 연동시키는 연동부(12) 등을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공급회전부(10) 및 감기회전부(11)는 각각 중공의 회전축부(15),(16)와 평판형상인 회전원판(17),(18)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회전축부(15),(16)는,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 기립형상으로 설치된 중공지축(19),(20)의 바깔둘레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이들 중공지축(19),(20)의 상단에는 제7(a)도에 표시하게 되는 이탈방지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부(15),(16)의 외주부에는, 제7(a)도에 표시하듯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등의 톱니모양의 계합부(71)가, 상술한 공급릴(6) 및 감기릴(7)의 장착구멍(6c),(7c)의 톱니형상 걸어맞춤부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톱니형상걸어맞춤부(71),(71)에, 상기한 양 릴(6),(7)의 장착구멍(6c),(7c)이 각각 계탈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축받이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은, 상기한 회전축부(15),(16)와 일체회전가능하게 또한 맞췄다뗐다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경우에, 상기한 회전원판(17),(18)은, 공급릴(6) 및 감기릴(7)의 수지면으로서 기능한다. 또, 이것에 관련하여, 상기한 양 릴(6),(7)의 장착위치근방의 케이스본체(3) 내측면에는, 한쌍의 가이드핀(21),(22)이 기립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핀(21),(22)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한다.
상기한 연동부(12)는, 감기회전부(11)를 상기한 공급회전부(10)로 연동시키는 것이고, 제6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회전원판(17),(18)과 미끄럼장치(25)로 구성된다.
이 미끄럼수단(25)은, 구체적으로는 실리콘고무 등의 마찰부재 예컨대 O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양 회전부(10),(11) 사이의 회전전달기능으로 가하여,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속도와 감기속도를 동기시키는 미끄럼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이 마찰부재(25)는, 한쪽의 회전원판(17)의 외주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다른쪽의 회전원판(18)의 외주로 마찰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목적 때문에 회전원판(l8)의 외주에는, 제7(a)도에 표시하게 되는 미끄럼방지리브(18a),(18a)…가 형성되어서, 상기한 마찰부재(25)와 마찰저항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미끄럼방지리브(18a)와 마찰부재(25)의 구조적 관계는 도시예와 반대의 구성, 결국, 마찰부재(25)가 중동축의 회전원판(18)의 외주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미끄럼방지리브가 구동축의 회전원판(18)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도시생략).
또, 구동축 및 종동축의 양 회전원판(17),(18)의 회전비, 결국 양자의 외경치수비는, 상기한 릴(6),(7)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감기지름을 고려하여,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 및 감기가 원활하게 실시되도록 적당히 설정된다. 도면 표시예에 있어서는, 중동축의 회전원판(18)의 지름치수가 구동쪽의 회전원판(17)의 대략 1/2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후술하는 도막전사용 헤드(H)의 가압조작에 의하여, 도막전사테이프(T)에 가해지는 인장력(화살표A방향)이, 공급릴(6)에 회전토오크로서 작용하면, 이 공급릴(6), 더우기는 이것과 회전방향으로 일체가된 공급회전부(10)의 회전원판(17)도 회전한다. 이 회전력은 상기한 마찰부재(25)의 마찰력에 의하여, 종동측인 감기회전부(11)의 회전원판(18), 더우기는 이것과 회전방향으로 일체로 된 감기릴(7)을 연동하여 회전시켜, 이 감기릴(7)이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T′)를 자동적으로 감는다.
이경우에, 구동측의 회전원판(17)과 중동측의 회전원판(18)의 회전비(외경비에 대응)가 항상 일정한데 대하여, 공급릴(6)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과, 감기릴(7)에 있어서 도막전사릴(6)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의 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여 일정하지 않다. 결국, 사용에 따라서 공급릴(6)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은 점차적으로 작게되는데 대하여, 감기릴(7)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은 반대로 커져간다.
이때문에, 상기한 감기릴(7)의 감기속도는, 상기한 공급릴(6)의 공급속도에 비교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되어가며, 이결과 이들 양쪽속도의 동기가 분리되어서, 상기한 공급릴(6)에 작용하는 회전토오크도 점차적으로 커진다. 그랬더니, 이 회전토오크가 상기한 마찰부재(25)의 마찰력에 극복하여, 구동측의 회전원판(17)이 종동측의 회전원판(1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럼회전한 결과, 상기한 공급속도와 감기속도가 서로 동기하게 되고, 도막전사테이프(T)의 원활한 주행이 확보된다.
덧붙여서, 상기한 양측 속도의 동기가 무너진 상태를 그대로 방치해두면, 도막전사테이프(T)에 과도한 인장력이 작용한 결과, 이 도막전사테이프(T)가 연장되거나, 혹은 극단적인 경우에는 도중에서 절단하게 되는 등의 불편함을 발생하게 된다.
또, 제7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감기회전부(11)에는 상기한 양 릴(6),(7)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전방지기구(30)는, 상기한 회전원판(18)에 설치된 걸림돌기(30a)와,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 중공지축(20)과 동심의 고리형상으로 설치된 역전방지돌기(30b),(30b)…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걸림돌기(30a)는 하향형상인 것이고, 상기한 회전원판(18)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박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각 역전방지돌기(30b)의 단면형상은, 도면표시와 같이 감기릴(7)의 정회전방향(화살표참조)으로 향해서 위쪽으로 경사지는 동시에, 그 정점부분에서 대략 수직으로 낙하하는 쐐기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양릴(6),(7)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할려고 하면, 제7(b)도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돌기(30a)는 역전방지돌기(3b),(30b)…를 탄성변형하면서 앞지르며, 그 정회전을 허용한다. 한편, 상기한 양릴(6),(7)이 화살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려고 하면, 상기한 걸림돌기(30a)는 역전방지돌기(30b),(30b)…중에서 어느 1개와 계합하여, 그 역회전을 저지한다. 또한, 이 역전방지기구(30)는 공급회전부(10)측으로 설치해도 좋다.
도막전사용 헤드(H)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지면상의 오자 등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상으로 가압하는 것이고,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 내주에 그 축심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헤드(H)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보유하는 플라스틱제이고,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 및 가압하는 헤드본체(35)와, 상기한 원통선단부(5)에 유지되는 베어링부(36)로 구성된다.
상기한 헤드본체(35)는, 도막전사테이프(T)보다도 약간 폭넓은 엷은판 형상인 것이고, 선단으로 향해서 점차적으로 얇게 되는 것 같은 테이퍼형상 단면을 보유하며, 그 선단(35a)이 도막전사테이프(T)를 가압하는 가압부로 되어 있다. 또, 이 헤드본체(35)의 양측가장자리에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하는 가이드플랜지(35b),(35b)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본체(35)의 형상구조는, 상기한 가압부(35a)가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가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한계에 있어서 목적 등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상기한 베어링부(36)는, 제8도에 표시하듯이 원호형상인 단면을 보유하며 또한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상으로 되고, 그 바깥지름은 상기한 케이스(2)의 원통반할부(3c),(4c)의 내경에 대응하여 실정되어 있다. 또, 상기한 베어링부(36)의 기단부에는, 축방향위치결정용의 원호형상인 플랜지(36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한 양측 원통반할부(3c),(4c)의 베이스부내주에는, 원호형상인 끼워맞춤홈(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베어링부(36)가 상기한 양측 원통반할부(3c),(4c)의 내주로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됨과 아울러, 상기한 원호형상인 플랜지(36a)가 상기한 원호형상인 끼워맞춤홈(37),(37)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헤드(H)는,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에 있어서 축방향의 위치가 결정됨과 아울러, 그 축심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회전조작부(R)는 상기한 헤드(H)를 회전조작하는 것이고, 상기한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에 설치되어 있고, 원통선단부(5)에 맞췄다 뗐다 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캡부재(40)와, 원통선단부(5)의 외주에 설치된 위치결정부(41)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캡부재(40)는 플라스틱제인 일체성형품이고, 상기한 원통선단부(S)에 외감되는 베이스부(42)와, 상기한 헤드(H)에 회전방향에 일체로 끼워 맞춤하는 끼워맞춤(4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베이스부(42)는, 케이스(2)의 조립고정부재로서의 기능과 회전조작부로서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다. 이 베이스부(42)의 원통내경은,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외주에 삽통 또한 회전가능한 것 같이 설정됨과 아울러, 베이스부(42)의 외주에는 다수의 톱니형상인 미끄럼방지리브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끼워맞춤부(43)는 헤드(H)를 끼우고 통하는 삽입구멍(44)을 구비한다. 이 삽입구멍(44)의 형상치수는, 상기한 헤드(H)가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캡부재(40)와 헤드(H)가 회전방향에 일체적으로 끼워맞춤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결국, 이 삽입구멍(44)은 제8도에 표시하는 정면형상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본체(35)부분의 외주윤곽에 대응한 형상치수의 상부(44a)와, 헤드(H)의 베어링부(36)의 외주윤관에 대응한 형상치수의 하부(44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부(41)는 상기한 캡부재(47)의 회전방향위치를 탄발(彈發)적으로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이 위치결정부(41)는, 원통선단부(5)의 외주 구체적으로는 캡체(4)의 원통반할부(47)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위치결정부(41)는,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축방향에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삽입안내홈(41a)과, 이 삽입안내홈(41a)의 한쪽끝으로부터 원통선단부(5)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안내홈(41b) 등으로 구성된다. 도면표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이탈방지안내홈(41b)은, 제8도에 표시하듯이 원통선단부(5)의 중심각 90°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이탈방지안내홈(41b)내에는, 복수의 계합부(45)(도면표시예에 있어서는 5개의 계합부45a∼45e)가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계합부(45a∼45e)는, 상기한 안내홈(41a),(41b)보다도 깊은 반구형상인 오목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들 계합오목부(45a∼45e)에 상기한 캡부재(40)의 내주로 설치된 반구형상인 계합볼록부(계합부)(46)가 계탈가능하게 계합한다. 결국, 이 계합볼록부(46)의 형상치수는 계합블록부(46)가 상기한 안내홈(41a),(41b)에 따라서 어느 정도 상대적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안내됨과 아울러, 상기한 각 계합오목부(45a∼45e)에 대하여 탄성복귀하면서 탄발적으로 계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 계합볼록부(46)와 계합오목부(45a∼45e)의 계합위치 관계는 다음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예컨대 캡부재(40)의 계합볼록부(46)가 제1의 계합오목부(45a)와 계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하듯이, 세로로 이끌어주는 조작기본위치(겸도막전사테이프교환위치)(X)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의 가압부(35a)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의 두루감기는 형태 그대로, 결국 도막전사테이프(T)의 표리면이 상기한 파지면(2a),(2b)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향(직교하는)하도록,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한 공급릴(6)에서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T)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그 자세 그대로 상기한 가이드핀(21)을 개재하여 헤드(H)의 가압부(35a)를 경유하고, 더우기 상기한 가이드핀(22)을 개재하여 감기릴(7)에 감기게 된다.
또, 예컨대 상기한 계합볼록부(46)가 제5의 계합오목부(45e)와 계합한 상태(제8도 참조)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하듯이 가로로 이끌어 주는 조작기본위치(Y)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의 가압부(35a)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2a),(2b)에 대하여 대략 마주 대하게 하고, 즉, 도막전사테이프(T)의 표리면이 상기한 파지면(2a),(2b)과 대략 통일방향으로(평행하는) 향하도록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한 공급릴(6)에서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T)는, 제5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가이드핀(21)에 의하여 90° 각도만큼 비틀어 돌려진 다음, 헤드(H)의 가압부(35a)를 경유하고, 더우기 상기한 가이드핀(22)에 의하여 재차 그 비틀어 돌린 것을 원래 상태로 복귀된 후, 상기한 감기릴(7)에 감기게 된다.
더우기, 상기한 계합볼록부(40)가 이들 양측 계합오목부(45a),(45e)의 사이로 배설된 제2∼제4의 계합오목부(45b∼45d)중에서 어느 1개와 계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헤드(H)는 상기한 세로로 이끌어 주는 조작기본위치(X)와 가로로 이끌어 주는 조작기본위치(Y)의 사이에 있어서 적당한 각도위치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캡부재(40)를 회전조작하므로서 상기한 헤드(H)는, 세로로 이끌어 주는 조작기본위치(X)와 가로로 이끌어 주는 조작기본위치(Y)의 사이에서 5단계로 각도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회전조작부(R)의 구체적 구조는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에컨대, 상기한 위치결정부(41)는 케이스본체(3)의 원통반할부(3c)에도 설치되어서 좋으며, 이 경우는 캡부재(40)에도 새로운 계합볼록부가 상기한 원통반할부(3c)의 위치결정부(41)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막전사기구(1)의 취급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사용방법]
상기한 캡부재(40)를 회전조작하여(제10(b)도참조), 상기한 헤드(H)를 세로로 이끌어 주는 조작기본위치(X)(캡부재(40)의 계합볼록부(46)가 제1의 계합오목부(45a)와 계합)와, 가로로 이끌어 주는 조작기본위치(Y)(계합볼록부(46)가 제2의 계합오목부(45b)와 계합) 사이의, 5개의 각도위치 중에서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위치결정하므로서, 다음과 같은 사용이 가능하다.
결국, 소위 세로로 이끌어 주어 사용할 때에는, 기본적으로는 상기한 헤드(H)를 상기한 세로로 이끌어 주는 조작기본위치(X)(제2도참조)로 각도조정한다. 한편, 소위 가로로 이끌어 주어 사용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헤드(H)를 상기한 가로로 이끌어 주는 조작기본위치(Y)(제4도참조)로 각도조정한다. 이외로, 사용자의 필기도구의 유지방법(독특한 버릇이 있는 경우 등)에 대응하여, 상기한 헤드(H)를 이들 양측 기본위치(X),(Y)의 사이의 적당한 조작위치로 각도조정한다.
① 세로긋기사용
이 사용방법은, 예컨대 일문과 같은 종서문장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제11(a)도에 표시하듯이, 사용자는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2a),(2b)을 손가락으로 필기도구를 쥐는 자세에서 파지하여, 이 상태에서 상기한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를 오자 등의 수정해야 할 지면상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50)의 개시단(상단)에 닿게 한다. 그리고, 그대로 케이스(2)를 세로방향 결국 지면등에 대하여 밑방향(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킨후, 피수정부분(50)의 종단(하단)에서 정지시킨다.
이상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한 헤드(M)의 선단가압부(35a)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수정도료층(백색)은, 상기한 필름형상 기재로부터 박리하여 상기한 피수정부분(50)위로 전사피복되고, 이결과 수정해야할 오자등이 소거됨과 아울러 이 수정도료층의 위로 올바른 문자를 즉시 써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헤드(H)가 자기의 탄성력에 의하여 힘의 작용방향으로 어느정도 추정하기 위하여,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는, 상기한 헤드(M)의 선단가압부(35a)에 의하여 상기한 피수정부분(50)상으로 밀착형상으로 억누르게 된다.
② 가로긋기사용
이 사용방법은, 예컨대 유럽문장과 같은 횡서문장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제11도(6)에 표시하듯이, 사용자는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2a),(2b)을 손가락으로 필기도구를 쥐는 자세로 파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헤드(H)의 가압부(35a)를 피수정부분(50)의 개시판(좌단)에 합계한다. 그리고, 그대로 케이스(2)를 가로방향, 결국 지면등에 대하여 우측방향(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킨후, 피수정부분(50)의 종단(우단)에서 정지시키면, 수정해야 할 오자 등이 소거되어서 올바른문자의 써넣기가 가능하게된다.
③ 좁은 면적부분을 소거하는 경우
예컨대 작은 문자나 문장중의 1개분자만등, 좁은 면적부분을 소거하는 경우에는 피수정부분(50)의 종단이 헤드(H)부분에 가리워져서 보기어렵고 소거할려고하는 문자만을 확실하게 소거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한 사용방법에 있어서 케이스(2)를 반대로한 상태에서 파지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제12(a)도 또는 제12(b)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케이스(2)를 상기한 것과 역방향(화살표방향)으로 각각 누르므로서 실패없이 수정해야할 문자등만을 소거할 수 있다.
[B 테이프카트리지 C의 교환방법]
모든 도막전사테이츠(T)가 공급릴(6)측에서 감기릴(7)측으로 감기가 회수되어서 사용이 끝났다고하면 다음 수순에서 테이프카아트리지(C)를 교환한다.
① 상기한 헤드(H)를,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위치 즉 전술한 세로로 이끌어주는 조작기본위치(X)로 둔다. 이것에의하여, 상기한 헤드(H)부분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자세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고급릴(7)과 감기릴(7)의 두루감는 장세에 대하여 평행하는 상태로 조작되고 헤드(M)에 대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착탈작업이 용이한 자세로 된다.
② 상기한 케이스(2)를 분해하여 연다. 이 경우에, 우선 상기한 캡부재(47)를 제10(a)도와 같이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로부터 뽑아내고 이후에, 캡체(4)가 위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한 원통반할부(4C)를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상기한 캡체(4)를 케이스본체(3)로부터 떼어낸다.
③ 사용이 끝난 테이프카아트리지(C)(빈공급릴(6)+사용이 끝난 도막전사테이프T′가 회수된 감기릴(7))를 꺼낸후, 이것에 바꿔서 미사용된 새로운 테이프카아트리지(C)(미사용된 도막전사테이프(T)가 감긴 공급릴(6)+감기릴(7))를, 상기한 테이프구동부(D)상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 도막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헤드(M)의 가압부(35a)로 경유하도록 장착시킨다.
이 경우에, 도막전사테이프(T)는, 제1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공급릴(6) 및 감기릴(7)의 두루감긴자세그대로, 그 공급및 감기부분근방(60a),(60b)을 가이드핀(21, 22)으로 경유시킴과 아울러, 그 선단부분(60c),(60d)을 상기한 헤드(M)의 헤드본체(35)의 양측으로 상측에서 삽입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도막전사테이프(T)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공급릴(6)에서 공급된후 상기한 가이드핀(21)으로부터 상기한 헤드(M)의 가압부(35a)를 경유하여 반전되고, 더우기 상기한 가이드핀(22)을 개재하여 상기한 감기릴(7)에 감기게된다. 또한, 이들 일련의 작업은 상기한 헤드(H)를 원통선단부(5)에서 일단떼어내고 실시한 후 재차 헤드(H)를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④ 이후 재차 상기한 케이스(2)를 닫아 조립한다. 이경우에, 우선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계합부(3b)에 캡체(4)의 걸림돌기(4b)를 계합시킨후, 원통반할부(4C)를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원통반할부(3C)와 맞춘다(이때 끼워맞춤오목부(3a)로 끼워맞춤리브(4a)가 끼워맞춰짐). 그리고, 제10(a)도에 표시하듯이 이 일체화된 원통선단부(5)에 상기한 캡부재(40)를 끼우므로서, 상기한 케이스(2)가 조립된다.
[실시예 2]
본실시예는 제13도 내지 제15도에 표시하고, 상기한 혜드(H)의 케이스(2)에 대한 각도위치가 단계로 조정가능한 구성으로 된것이다.
본실시예의 회전조작부(R′)는, 상기한 헤드(H)및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의 양쪽으로 설치된 한쌍의 계합부(100, 101)와 이들계합부의 계합상태를 위치결정하여 고정하는 켑부재(1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헤드(H)의 계합부(100)는, 상기한 원통선단부(5)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베어링부(36)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이베어링부(36)의 선단부에는 밖으로 향한 플랜지(102)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밖으로 향한 플랜지(102)의 배면, 결국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선단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한 계합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계합부(101)는 그 선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양쪽계합부(100, 101)는. 제14(a)도 및 제14(b)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양면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경사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3각형상인 산모양의 요철면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양측계합부(100, 101)의 요철면끼리가 서로 원주방향 결국 회전방향으로 계합하므로서 상기한 헤드(H)의 원통선단부(5)에 대한 원주방향의 각도위치가 위치결정된다.
즉, 상기한 헤드(H)를 회전조작하여 그 계합부(100)의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계합부(101)에 대한 계합위치를 적당히 조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헤드(H)의 케이스(2)에 대한 각도위치를 전술한 제2도에서 세로로 이끌어주는 조작기본위치(겸도막전사테이프교환위치)(X)나, 제5도에서 가로로 이끌어주는 조작기본위치(Y)는 물론인것이며 이동안에 있어서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각도조정의 단계수는 상기한 계합부(100, 101)의 요철면의 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 제13도 및 제15도에 표시되듯이, 상기한 베어링부(36)기단부의 원호형상인 플랜지(36a)에 관련하여 계지단부(1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계지단부(137),(137)에 상기한 원호형상인 플랜지(36a)가 계지하므로서 헤드(H)의 이탈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캡부재(140)는,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외주부에 맞췄다뗐다할 수 있도록 부차고디는 플라스틱제의 일체성형품이다. 이 캡부재(140)는, 상기한 케이스(2)의 조립고정부재로서의 기능과 상기한 양측계합부(100, 101)의 계합상태를 고정하는 계합고정부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이 캡부재(140)의 원통내경은,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바깥둘레에 삽통 또한 회전가능하도록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한 캡부재(140)의 바깥둘레에는 다수의 톱니형상인 미끄럼방지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또, 캡부재(140)의 선단에는 안쪽으로 향한 플랜지(10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내향인 플랜지(105)가 상기한 도막전사용 혜드(H)의 외향인 플랜지(102)가 계합가능하게 되어 있다(제15도 참조). 또 내향인 플랜지(105)의 내주변에 의하여 삽통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통공(144)은 상기한 헤드(H)를 삽통하는 것이고 그 형상의 치수는, 상기한 헤드(H)의 헤드본체(35)부분의 외주윤곽에 대응한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외주,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캡체(4)의 원통반할부(4C)의 외주에는 상기한 캡부재(40)를 계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1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부(141)는 실시예 1의 위치결정부(41)와 마찬가지이며, 제13도 및 제14도에 표시되듯이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축방향에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삽통안내홈(141a)과, 이삽통안내홈(141a)의 한쪽끝으로부터 원통선단부(5)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안내홈(141b)으로 구성된다.
이 이탈방지안내홈(141b)의 형성위치는 제15도에 표시되듯이 상기한 캡부재(140)의 계합볼록부(146)(제14(a)도)가 이탈방지안내홈(141b)내로 계합된 상태로 있어서, 상기한 캡부재(140)의 내향인 플랜지(105)가, 상기한 헤드(H)의 외향인 플랜지(102)를 축방향 안쪽으로 압압하여 상기한 계합부(100)가 원통선단부(5)의 계합부(101)에 밀착형상으로 계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이탈방지안내홈(141b)의 종단에는 계합부(145)(제14(b)도)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합부(145)는, 상기한 안내홈(141a), (141b)보다도 깊은 반구형상인 오목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계합오목부(145)에 상기한 캡부재(140)의 내주에 설치된 반구형상인 계합볼록부(146)가 계탈가능하게 탄발적으로 계합한다. 이들 양측계합오목부(145) 및 계합볼록부(146)의 형상치수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계합오목부(45) 및 계합볼록부(46)와 각각 동일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막전사기구(1)를 사용할때에는 우선, 상기한 헤드(H)를 적당히 회전조작하여 상기한 양측계합부(100, 101)끼리의 계합위치를 조정하고 상기한 헤드(H)를 소망의 각도로 위치결정한다. 이후에, 상기한 캡부재(140)를 상기한 원통선단부(5)위로 밖에서 끼워서 고정(캡부재(140)의 계합볼록부(146)가 이탈방지안내홈(141b)의 계합오목부(145)에 탄발계지된상태)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헤드(H)의 계합부는, 상기한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와 계합고정되어서 헤드(H)는 상기한 소망의 각도위치로 위치결정하여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양측계합부(100, 101)가 전체둘레에 거쳐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막전사용헤드(H)의 각도조정범위는 실시예 1의 90°에 비교하여 훨씬 넓다(실제에는 도막전사테이프(T)가 꼬여서 방향이 바꿔지는 허용각도로 제한되지만 이론적으로 360°). 이결과, 전술한 제11(a), (b)도와 같은 세로로 밀어서 사용하거나 가로로 밀어서 사용하는데 대해서도 사용자는 실시예 1과 같이 케이스(2)를 반대로 바꾸어 잡는 일없이 도막전사기구를 파지할 수 있다.
그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3]
본실시예는 제16도 및 제17도에 표시되어 있다. 도막전사기구(1)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회전조작부(R′)의 구성을 약간 개변한 것이고, 캡부재(140)와 원통선단부(5)와의 계지고정구조가 나사맞춤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한 원통선단부(5)는 제16도에 표시되듯이 일체형성됨과 아울러 그외주에 수나사부(24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캡부재(40)의 내주면에는 상기한 수나사부(241)와 나사맞춤되는 암나사부(24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한 양쪽계합부(100, 101)끼리의 계합위치를 조정하여 헤드(H)를 소망의 각도위치로 위치결정한후, 상기한 캡부재(140)를 원통선단부(5)상으로 나합고정하므로서, 상기한 양측계합부(100, 101)가 서로 계합고정되어서 상기한 헤드(H)는 상기한 소망의 각도위치로 위치결정하여 고정되게 된다. 그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4]
본실시예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도막전사기구(1)는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양쪽계합부(100, 101)가 서로 대향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서 상기한 헤드(H)의 케이스(2)에 대한 각도위치가 무단계로 조정가능한 구성으로 된것이다. 그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제18도 및 제19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 도막전사기구는, 상기한 헤드(H)가 자유회전가능하게 되어서, 그 각도위치가 작용력에 따라서 상기한 케이스(2)에 대하여 자유롭게 변화하는 구서응로 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의 회전조작부(R)의 구조가 약간 변경되어서 이루어진다.
즉,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에 맞췄다뗐다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캡부재(40)은, 이 케이스(2)의 조립고정부재로서 기능만을 구비한다. 상기한 캡부재(40)의 감합부(43)에 설치되는 삽통구멍(344)은, 실시예 2,3의 삽통구멍(144)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헤드(H)가 삽통가능하게됨과 아울러, 이 헤드(H)가 자유회전 가능한 우너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또, 원통선단부(5)의 외주로 설치된 위치결정부(41)는 상기한 캡부재(40)를 계합고정하는 것이고 실시예 1에 있어서 이탈방지안내홈(41b)의 계합(45a∼45e)이 생략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막전사기구(1)를 사용할때에는 사용자는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2a), (2b)을 손가락으로 필기도구를 쥔자세로 파지한 상태에서 제11도 또는 제12도에 표시하듯이 헤드(H)의 가압부(35a)를 오자등의 수정해야할 지면상의 피수정부분(50)의 개시단에 닿게하여 그대로 케이스(2)를 피수정부분(50)의 종단으로 향해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한 헤드(H)는 힘의 작용방향으로 추종하여 그 축심주위로 자유회전하며 그 각도위치가 적당히 조정된다. 이때문에, 도막전사테이프(T)는 상기한 헤드(H)의 가압부(35a)에 의하여 상기한 피수정부분(50)위에 항상 밀착형상으로 억눌려져서 오자등이 확실하게 소거되게 된다. 게다가, 이와같이 헤드(H)가 힘의 작용방향으로 추종하여 자유회전하는 구조라면, 무자배열등의 직선적인 부분뿐만아니라 도형선등의 무선적인 부분에 대해서도 수정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실시예는 제20도 및 제21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도막전사기구(1)은,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헤드(H)가 자유회전하여 그 각도위치가 작용력에 따라서 상기한 케이스(2)에 대하여 자유롭게 변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막전사기구(1)에 있어서는, 상기한 케이스(2)의 형상칫수가 실시예 5에 특유한 기능, 결국, 문자배열등의 직선적인 부분뿐만아니라 도형서등의 곡선적인 부분에 대해서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높이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케이스(2)는 제20도에 표시되듯이 전술한 실시예에 비교하여 가늘고긴 정면윤곽형상치수를 보유하고 있다. 이것에의하여, 사용자는 마치 연필등의 필기도구를 쥐고 있는 것 같은 전술한 실시예보다도 양호한 필기도구 감각에서 상기한 도막전사기구(1)를 손으로쥐고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케이스(2)내로 수납된 테이프카아트리지(C)와 테이프구동부(D)도 소형화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막전사기구(1)에 있어서는 개별적인 사용자 독자의 필기도구의 유지방법에 대응하여 제21(a)도 또는 제21(b)도중 어느쪽의 유지 방법이 적당할 수 있다. 게다가, 도막전사기구(1)에 의하면 도시하듯이 에컨대 도형성등의 곡선적인 부분에 대해서도 그 곡선으로 충실에 다른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실시예 6에 있어서 예컨대, 도막전사테이프(T)로서, 필름 형상인 기재의 한쪽면에 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조인 것을 사용하므로서 점착제층만 지면등에 전사되는 풀칠한 도구로서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또, 상기한 연동부(12)로서 제6도에 표시하는 구조로 바꿔서 제22(a)도 또는 제22(b)도에 표시되게한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즉, 제22(a)도에 표시되는 연동부(12)는 상기한 감기회전부(11) 및 공급회전부(10)의 일부를 각각 구성하는 회전원판(17), (18)과 마찰휘일(75)로 이루어진다. 이 마찰휘일(75)은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그 외주부가 실리콘고무등의 마찰재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마찰휘일(75)은 상기한 양쪽회전원판(17), (15)사이의 케이스본체(3)내측면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그 외주가 이들 양측회전원판(17), (18)의 외주와 각각 마찰계합되어 있다.
한편, 제22(b)도에 표시되는 연동부(12)는 상기한 회전원판(17)과 상기한 회전원판(18)의 하측에 동심형상으로 설치된 회전전달부(80)와 무단벨트(85)로 이루어진다. 이 무단벨트(85)는 구체적으로는 실리콘고무등의 연질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한 양측회전원판(17)과 회전전달부(80)의 외주로 마찰접촉하도록 걸어져있다.
더우기, 도시예의 연동부(17)는 어느것도 회전전달기능과 미끄럼기능을 겸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일본실용신안공개공보 No. 5-13800호나 일본특허공개공보 No5-58097호에 명시되도록, 이들 양쪽기능을 각각 별개로 동립하여 구비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 도시된 실시예는 모두 감기릴(7)이 공급릴(6)에 연동하는 자동감기식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별도로 수동감기다이얼이 설치되어서 상기한 감기릴(7)이 수동감기식으로된 도막전사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본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카아트리지식 또는 리필식인 것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위로 가압하는 도막전사용헤드가 그 축선주위로 각도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도에 따라서 또한 자신의 필기도구의 유지방법에 대응하여, 상기한 헤드의 각도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필기도구의 유지방법에 대응하여 상기한 헤드의 각도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필기도구의 유지방법에 사용자 독특한 버릇이 있는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또 세로로 이끌어주는 사용 및 가로로 이끌어주는 사용을 불문하고 모든 사용자가 도막전사기구의 케이스자체를 필기도구 감각으로 파지하여 상기한 헤드의 가압부에 의하여 도막전사테이프를 지면등의 위에 밀착형상으로 억누를수 있고 조작성에 우수하다.
더우기, 상기한 헤드가 그축선주위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되어있으므로서 헤드는 힘의 작용방향으로 추종하여 자유회전하며 그 각도가 적당히 조정된다. 이결과, 도막전사테이프는 상기한 헤드의 가압부에 의하여 피전사부위에 항상 밀착형상으로 억누를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이와같이 상기한 헤드가 힘의 작용방향으로 추종하여 자유회전하는 구조라면 문자배열등의 직선적인 부분뿐만아니라 도형선등의 곡선적인 부분에 대해서도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목에 있어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예는 끝까지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명확하게 하기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발명은 상술한 구체예만으로 한정하여 좁게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정신과 청구범위에 진술하는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넓게 해석되야할 것이다.

Claims (18)

  1. 한손에 쥐고 조작가능한 치수를 구비한 조작수단과, 이 조작수단내에 설치되고 도막전사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수단과, 상기한 조작수단의 선단부에 돌설되고, 상기한 테이프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위로 가압하는 테이프 가압수단과, 상기한 조작수단내로 설치되고, 상기 테이프가압수단의 선단가압부를 경유하여 안내되는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수단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한 테이프가압수단의 선단가압부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안내 및 가압하는 가압본체와, 상기한 조작수단의 선단부에 유지되는 축받이부로 이루어지며, 이 축받이부가 상기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한 선단가압부는, 그 축심주위로 각도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2. 한손에 쥐고 조작가능한 형상치수를 구비하는 케이스(2)와, 이 케이스(2)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막전사테이프를 두루감은 공급릴(6)과, 상기한 케이스(2)의 선단부에 돌설되며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피전사부위로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H)와, 상기한 케이스(2)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T)를 회수하는 감기릴(7)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한 헤드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안내 및 가압하는 헤드본체와,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유지되는 축받이부로 이루어지며, 이 축받이부가 상기 선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되어, 상기한 헤드는 그 축심주위로 각도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는 상기한 케이스(2)의 선단부내주에 그 축심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한 케이스(2)의 선단부에 상기한 헤드를 회전조작하는 회전조작부(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조작부(R)는, 상기한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에, 그 축심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외감되는 캡부재(40)와, 상기한 원통선단부(5) 외주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캡부재(40)의 회전방향위치를 탄발적으로 또한 복수단계 또는 무단계로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하는 위치결정부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캡부재(40)는 상기한 헤드(H)가 삽통되는 삽통구멍을 구비하여, 이 삽통구멍의 형상치수는, 상기한 헤드(H)가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캡부재(40)와 헤드가 회전방향에 일체적으로 감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적어도 그 선단가압부(35a)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의 두루감기는 자세 그대로 안내하는 각도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보게 안내하는 각도와의 사이에서 복수단계로 각도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상기한 케이스(2)의 선단부내주에 그 축심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이 선단부와 회전방향으로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한 케이스(2)의 선단부 외주로, 캡부재(40)가 외감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의 계합부가 상기한 케이스(2)의 선단부와 계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적어도 그 선단계합부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의 두루감기는 자세 그대로 안내하는 각도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보게 해서 안내하는 각도와의 사이에서 복수단계로 각도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상기한 케이스(2)의 선단부내주에 그축심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적어도 그 선단가압부(35a)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의 두루감는자세 그대로 안내하는 각도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보게해 안내하는 각도와의 사이에서 자유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막전사기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2)는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을 내장할 수 있는 윤곽형상치수와 폭치수를 구비하는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되며, 그 편평한 표리면이 상기한 파지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2)는,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을 내장할 수 있는 윤곽형상치수와 폭치수를 구비하는 가늘고긴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2)내로 상기한 공급릴(6)이 맞췄다 뗐다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공급회전부(10)와, 상기한 감기릴(7)이 맞췄다 뗐다할 수 있도록 감기회전부(11)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들 양측회전부가 연동부(12)에 의하여 서로 연계되어서, 상기한 감기회전부(11)가 상기한 공급회전부(10)와 종동하는 자동권취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 공급속도와 감기속도를 동기시키는 미끄럼장치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부(12)는, 상기한 공급회전부(10) 및 감기회전부(11)의 한쪽의 외주로 장착된 마찰부재를 구비하며, 이 마찰부재가 다른쪽의 외주와 마찰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부(12)는, 상기한 케이스(2)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마찰휘일(75)을 구비하며, 이 마찰휘일(75)의 외주가 상기한 공급회전부(10)와 감기회전부(11)의 외주와 각각 마찰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부(12)는 무단벨트(85)를 구비하며. 이 무단벨트(85)가 상기한 공급회전부(10)와 감기회전부(11)의 양쪽의 외주와 각각 마찰접촉하도록 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급릴(10) 및 감기릴(11)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기구(30)를 구비하며, 이 역전방지기구(30)는,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 고리형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역전방지돌기(37b)와, 상기한 공급회전부(10) 또는 감기회전부(11)에 설치되어서 이 역전방지돌기(30b)와 계탈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돌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는, 플라스틱, 종이등의 필름형상기재의 한쪽면으로 박리제층이 형성되며 게다가 백색의 수정도료층이 형성되고, 더욱이 또한 감압접착제층이 실시되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는, 플라스틱, 종이 등의 필름형상인 기재의 한쪽면으로, 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KR1019940032755A 1993-12-03 1994-12-03 도막전사기구 KR100259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39247A JP2829699B2 (ja) 1993-12-03 1993-12-03 塗膜転写具
JP93-339247 1993-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200A KR950017200A (ko) 1995-07-20
KR100259256B1 true KR100259256B1 (ko) 2000-10-02

Family

ID=1832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755A KR100259256B1 (ko) 1993-12-03 1994-12-03 도막전사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56469A (ko)
EP (1) EP0656308B1 (ko)
JP (1) JP2829699B2 (ko)
KR (1) KR100259256B1 (ko)
CN (1) CN1051284C (ko)
AU (1) AU685857B2 (ko)
CA (1) CA2137055C (ko)
DE (1) DE69408109T2 (ko)
HK (1) HK1006348A1 (ko)
TW (1) TW2856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69Y1 (ko) * 2010-03-29 2010-09-03 인성테크 주식회사 역회전이 방지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5042B (en) * 1993-02-10 1995-10-25 Gillette Co Correction tape dispenser
GB9422905D0 (en) * 1994-11-14 1995-01-04 Gillette Co Tape dispensers
AU745383B2 (en) * 1994-12-12 2002-03-21 Seed Rubber Company Ltd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TW318812B (ko) * 1994-12-12 1997-11-01 Yutoku Gum Kogyo Kk
JP3306464B2 (ja) * 1994-12-26 2002-07-24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転写器
US6808565B1 (en) 1995-10-06 2004-10-26 Seed Rubber Co., Ltd. Clutch mechanism of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JP3516188B2 (ja) * 1995-10-27 2004-04-0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部
US5759270A (en) * 1996-02-29 1998-06-02 Katsuyuki Miyazaki Correction tape adhesiver for correcting mistyped letters
DE19635586B4 (de) * 1996-09-02 2005-10-20 Bic Clichy So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aus z. B. klebendem oder deckendem oder farbigem Material von einem auf einer Vorratsspule aufgewickelten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USD410494S (en) * 1997-09-26 1999-06-01 Bic Corporation Correction-tape dispenser
USD421461S (en) * 1997-12-31 2000-03-07 Henkel Kgaa Holder with correcting tape
NL1008130C2 (nl) * 1998-01-27 1999-07-28 Henkel Kgaa Materiaaloverdrachtsinrichting met zwenkbaar overdrachtsorgaan.
DE29801395U1 (de) * 1998-01-30 1998-05-28 Henkel Kgaa Haftmaterialspender
JPH11227385A (ja) 1998-02-12 1999-08-24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JPH11245500A (ja) * 1998-03-03 1999-09-14 Seiji Endo 箔プリント装置
CN1106295C (zh) * 1998-06-15 2003-04-23 柳光洁 修改带
US5942036A (en) * 1998-05-12 1999-08-24 You; Kwang-Ho Correction tape roller device
US6125903A (en) * 1998-06-15 2000-10-03 Toyo Chemical Co., Ltd. Adhesive transfer device
DE19830522A1 (de) * 1998-07-08 2000-01-13 Pritt Produktionsgesellschaft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in Form eines Filmes auf ein Trägerband aufgebrachten Stoffes
JP2000025392A (ja) * 1998-07-08 2000-01-25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USD433449S (en) * 1998-10-21 2000-11-07 Plus Kabushiki Kaisha Correction coat-of-paint applicator for office use
USD410955S (en) * 1998-12-11 1999-06-15 Bic Corporation Correction-tape dispenser
US6352770B1 (en) 1999-01-15 2002-03-05 Bic Corporation Correction tape having dye migration blocking properties
US6260599B1 (en) 1999-06-11 2001-07-17 Kwang-Ho You Correction tape roller device
JP2001018587A (ja) * 1999-07-06 2001-01-23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用ヘッド装置および塗膜転写具
DE19936445B4 (de) * 1999-08-03 2004-03-04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US6739816B1 (en) 2000-11-24 2004-05-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of attaching a cover to a text body
US6543511B2 (en) 2000-12-01 2003-04-08 Volker Niermann Tape dispenser
DE10118830B4 (de) * 2001-04-17 2009-06-18 Henkel Ag & Co. Kgaa Kassettengerät
JP4603738B2 (ja) * 2001-09-28 2010-12-22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DE10156100A1 (de) * 2001-11-16 2003-06-05 Citius Gmbh Buerotechnik Übertragungsroller
JP4142871B2 (ja) * 2001-12-27 2008-09-03 株式会社シード マーク転写具、マーク転写テープおよびマーク転写テープの製造方法
US6997229B2 (en) * 2003-09-16 2006-02-14 Sanford, L.P.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US20050056375A1 (en) * 2003-09-16 2005-03-17 Sanford, L.P.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JP2006327037A (ja) * 2005-05-26 2006-12-07 Tombow Pencil Co Ltd 塗膜転写具およびこれに用いるカートリッジ
DE102006027495B4 (de) * 2006-06-14 2008-04-24 Henkel Kgaa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102006031173B4 (de) * 2006-07-06 2011-04-14 Henkel Ag & Co. Kgaa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KR101109573B1 (ko) * 2007-08-20 2012-01-31 홍성만 테이프 자동 절단기의 절단테이프 배출 가이드 장치
JP4899103B2 (ja) * 2007-09-28 2012-03-21 コクヨ株式会社 転着器
KR200449531Y1 (ko) * 2008-05-27 2010-07-16 (주)세줄 뒤틀림 방지 카트리지를 갖는 글루 테잎 디스펜서
US8657170B2 (en) * 2010-05-24 2014-02-25 Lynda Martinez False eyelash dispenser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JP5768222B2 (ja) 2013-03-01 2015-08-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転写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6164458B2 (ja) * 2013-03-28 2017-07-19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6273485B2 (ja) * 2013-05-20 2018-02-07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CN110435343A (zh) * 2019-08-02 2019-11-12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可调节带轮松紧的改正带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088A (en) * 1980-06-26 1985-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rrectable thermal transfer printing ribbon
CH645851A5 (de) * 1980-09-09 1984-10-31 Buettner Ag Franz Farbband zur erzeugung von korrigierbaren zeichen.
US4521471A (en) * 1982-09-15 1985-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es and articles for removing typewriter inks
DK165628C (da) * 1984-03-09 1993-05-24 Fuji Kagaku Shikogyo Rettetape til flergangsbrug
JPS6157370A (ja) * 1984-07-31 1986-03-24 Shigeru Tamai 文字等の消し具
US4718971A (en) * 1986-10-09 1988-01-12 Moore Push-Pin Company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DE3718065C1 (de) * 1987-05-28 1988-08-11 Doro Tape Ehlis Kg Handgeraet zum Auftragen eines doppelseitig klebenden Bandes zusammen mit einem Abdeckstreifen
DE3900156A1 (de) * 1989-01-04 1990-07-05 Czewo Plast Kunststofftech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klebstoffilms
DE3907753C1 (ko) * 1989-03-10 1990-09-06 Pelikan Ag, 3000 Hannover, De
JPH0311639A (ja) * 1989-06-08 1991-01-18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513800A (ja) * 1991-07-05 1993-01-22 Sharp Corp 半導体装置
JP2639606B2 (ja) * 1991-08-30 1997-08-13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DE4220843C1 (ko) * 1992-06-25 1993-08-05 Citius Buerotechnik Gmbh, 8906 Gersthofen, De
US5310445A (en) * 1992-10-15 1994-05-10 The Gillette Company Tape dispenser
JP2807805B2 (ja) * 1993-09-22 1998-10-08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69Y1 (ko) * 2010-03-29 2010-09-03 인성테크 주식회사 역회전이 방지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WO2011122773A2 (ko) * 2010-03-29 2011-10-06 인성테크(주) 역회전이 방지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WO2011122773A3 (ko) * 2010-03-29 2012-01-05 인성테크(주) 역회전이 방지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56469A (en) 1996-09-17
DE69408109T2 (de) 1998-06-10
CN1051284C (zh) 2000-04-12
CN1113188A (zh) 1995-12-13
CA2137055C (en) 2005-04-26
AU7911894A (en) 1995-06-08
KR950017200A (ko) 1995-07-20
JPH07157175A (ja) 1995-06-20
EP0656308B1 (en) 1998-01-21
JP2829699B2 (ja) 1998-11-25
AU685857B2 (en) 1998-01-29
CA2137055A1 (en) 1995-06-04
DE69408109D1 (de) 1998-02-26
EP0656308A1 (en) 1995-06-07
HK1006348A1 (en) 1999-02-19
TW285651B (ko) 1996-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256B1 (ko) 도막전사기구
US6418997B1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KR100196708B1 (ko) 도막전사구
AU755906B2 (en) Clutch mechanism of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US5792263A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containing the cartridge
US6830089B1 (en) Coat film transfer head device and coat film transfer tool
US5785437A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6227274B1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AU4505400A (en) Correction Tape Cartridge And Applicator
JP2876301B2 (ja)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AU711604B2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3071759B2 (ja) 塗膜転写具
AU745383B2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H09104563A (ja) 塗膜転写具のテープ巻戻し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