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708B1 - 도막전사구 - Google Patents

도막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708B1
KR100196708B1 KR1019940023902A KR19940023902A KR100196708B1 KR 100196708 B1 KR100196708 B1 KR 100196708B1 KR 1019940023902 A KR1019940023902 A KR 1019940023902A KR 19940023902 A KR19940023902 A KR 19940023902A KR 100196708 B1 KR100196708 B1 KR 100196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fer
coating film
head
case
transf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168A (ko
Inventor
코오헤이 코야마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쇼로쿠
시드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쇼로쿠, 시드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세가와 쇼로쿠
Publication of KR95000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필기구감각으로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도막전사구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도막전사용헤드(H)를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에 둠으로써 선단가압부(35a)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공급릴(6)과 감기릴(7)의 두루감기자세에 평행하게 안내하는 상태가 되고 헤드(H)에 대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 도막전사용헤드(H)를 사용위치(Y)에 둠으로써 선단가압부(35a)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케이스(2)의 파지면(2a,2b)에 대하여 대략 마주 대하게해서 안내한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2)자체를 필기구와 같은 자세로 쥔상태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를 지면등의 위치에 밀착상태로 밀어 붙일 수가 있다.

Description

도막전사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글지우개를 분해하여 표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등 글지우개의 사시도.
제3도는 동 도막전사용 헤드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는 동 글지우개의 내부를 일부단면으로 표시하는 정면도.
제4도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동 글지우개의 사시도.
제5도는 동 도막전사용 헤드가 사용위체에 있는 동 글지우개의 내부를 일부단면으로 표시하는 정면도.
제6도는 동 글지우개의 테이프구동부의 기본구성를 가리키는 개략적 사시도.
제7도는 동 테이프동부의 역전방지기구를 가리키는 분해사시도.
제8도는 동 역전방지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사시도.
제9도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가리키며, 동 글지우개의 도막전사용 헤드와 회전조작부를 일부 절개해서 가리키는 정면도.
제10도는 동 회전조작부의 구조를 가리키는 사시도로서 제10도(a)는 도막전사용 헤드와 회전조작부의 관계를 가리키고, 제10도(a)는 회전조작부의 위치결정부를 가리키는 도면.
제11도는 동 회전조작부의 조작요령을 설명하는 사시도로서, 제11도(a)는 캡부재를 케이스의 원통선단부에 부착하는 상태를 가리키고, 제11도(b)는 캡부재를 회전조작하는 상태를 가리키는 도면.
제12도는 동 글지우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로서, 제12도(a)는 세로긋기 사용하는 상태를 가리키고, 제11도(b)는 가로긋기 사용하는 상태의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글지우개의 가이드플레이트를 가리키는 도면으로서, 제13도(a)는 사시도, 제13도(b)는 제13도(a)의 ⅩⅢ - ⅩⅢ선 단면도.
제14도는 동 가이드플레이트를 병용하는 글지우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로서, 제14도(a)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피수정부분에 둔 상태를 가리키고, 제14도(b)는 이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글지우개에 의해 피수정부분을 지우는 상태를 가리키는 도면.
제15도는 가이드플레이프의 변형예를 가리키는 사시도.
제16도 테이프구동부의 변형예를 가리키는 제6도에 대응한 개략적사시도로서, 제16도(a)는 제1변형예를 가리키고, 제14도(b)는 제2변형예를 가리키는 도면.
제17도는 종래의 글지우개의 내부구성을 일부절개해서 가리키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테이프카트리지 D : 테이프구동부
H : 도막전사용 헤드 R : 회전조작부
T : 도막전사테이프
X :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세로긋기 조작위치)
Y : 사용위치(가로긋기 조작위치) 1 : 글지우개
2 : 케이스 2a, 2b : 케이스의 파지면
3 : 케이스본체 3c : 케이스본체의 원통반할부
4 : 캡체 4c : 캡체의 원통반할부
5 : 원통선단부 6 : 공급릴
7 : 감기릴 10 : 공급회전부
11 : 감기회전부 12 : 연동부(미끄럼수단)
15 : 공급회전부의 회전축부 16 : 감기회전부의 회전축부
17 : 공급회전부의 회전원판 18 : 감기회전부의 회전원판
21, 22 : 가이드핀 25 : 마찰부재
30 : 역전방지기구 35 : 헤드본체
35a : 선단가압부 40 : 캡부재
41 : 위치결정부 41a : 삽입 안내홈
41b : 이탈방지 안내홈 44 : 캡부재의 삽입구멍
45a : 제1계합오목부(제1계합부) 45b : 제2계합오목부(제2계합부)
46 : 캡부재의 계합볼록부(계합부) 50 : 피수정부분(피전사부)
70 : 가이드플레이트 71a : 가이드플레이트의 직선안내부
71b : 가이드플레이트의 종단규정부
75 : 마찰휠 85 : 무단벨트
본 발명은, 도막전사테이프 위의 수정도료층, 점착재층 등의 도막을 지면등에 전사하기 위한 도막전사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필기구감각으로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카트리지식의 도막전사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장치의 한가지 예로서 본출원인은, 실개평 5-13800호 공보에 개시되는 도막전사구를 이미 제안하였다.
이러한 도막전사구는, 주로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글지우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17도에 표시하듯이 케이스(a)내에 도막전사테이프(b)를 두루감은 공급릴(c)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b)를 회수하는 감기릴(d)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한 케이스(a)의 선단부에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를 피전사부(지면상의 피수정부분)(e) 위에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f)가 돌출설치되고, 상기한 공급릴(c)로부터 공급된 사익한 도막전사테이프(b)가 상기한 헤드(f)의 선단가압부(g)를 경유하여 상기한 감기릴(d)에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케이스(a)는, 상기한 공급릴(c)과 감기릴(d)을 내장할 수 있는 윤곽형상치와 폭치수를 구비하는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되고, 그 편평표리면 즉, 제17도의 지면에 대하여 표리면이 조작시의 파지면으로 되는 동시에 상기한 헤드(f)의 선단가압부(g)는 도막전사테이프(b)를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대하게해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막전사구에 의해 오자 등을 지우기위해서는 케이스(a)의 파지면(표리양면)을 손가락으로 쥐어서 도면표시와 같이 헤드(f)의 선단가압부(g)에 위해 도막전사테이프(b)를 피수정부분(e)위에 밀착형상으로 밀어붙이면서 케이스(a)를 제17도의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헤드(f)의 선단가압부(g)에 있어서의 도면전사테이프(b)의 수정도료층이 피수정부분(e)위에 도착(倒着)되어서 문자 등이 지워지는 동시에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b)가 감기릴(d)에 회수된다.
이 경우, 헤드(f)의 선단가압부(g)는, 도막전사테이프(b)를 케이스(a)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 대하게 해서 안내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a) 자체를 필기구와 같은 자세로 쥔 상태로 헤드(f)의 선단가압부(g)에 의해 도막전사테이프(b)를 피수정부분(e)위에 밀착형상으로 밀어붙일 수가 있어서 필기구감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 지구자원의 유효이용을 부르짖고 있어서 이종류의 도막전사구에 있어서도 자원절약화의 요청에 따라 소모품인 도막전사테이프(b)만을 교환하는 구조의 채용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는 헤드(f)의 선단가압부(g)가 도막전사테이프(b)를 케이스(a)의 파지면에 대해 대략 마주 대하게 안내하므로, 도막전사테이프(b)만을 교환하는 구조의 채용이 어려웠다.
즉, 이 도막전사구에 있어서는 구조상 필연적을 도막전사테이프(b)가 헤드(f)부분에 있어서 90°비틀어 돌려져 있으므로 생산자측에서 하고 있는 조립작업도 자동화가 어려운 상태에서 숙련자가 수작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또 소모품인 도막전사테이프(b)만을 교환하는 구조를 채용함에 있어서는 도막전사구의 분해·조립작업과, 도막전사테이프(b)의 교환작업은 수요자측에 있어서 하는 것이 기본이다. 따라서 도막전사테이프(b)를 교환하는 구조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일련의 작업을 일반수요자에 있어서도 용이하고, 신속하며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필수과제가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필기구감각으로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카트리지식의 도막전사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막전사구는, 케이스내에 도막전사테이프가 바깥으로 감긴 공급릴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감기릴이 회전가능하고 또한, 해체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위에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돌출설치되는 동시에 이 헤드의 선단가압부를 경유해서 상기한 공급릴로부터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가 상기한 감기릴에 두루감기고, 상기한 헤드는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와 사용위치사이에서 회전조작 가능하게 되며, 상기한 헤드의 선단가압부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릴과, 감기릴의 두루감기자세 그대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한 사용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대하게 해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마주 대한다」는 것은 도막전사테이프의 표리면이 마주 대하는 것을 의미하여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도막전사구를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글지우개로서 사용할 경우, 헤드의 선단가압부를 오자 등의 수정해야할 피전사부의 개시 끝에 맞대어서, 이 상태대로 케이스를 횡방향 즉, 지면 등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피전사부의 종단에서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헤드의 선단가압부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의 수정도료층이 기재필름으로부터 박리(剝離)되어 상기한 피전사부위에 전사되어서 오자 등이 지워지는 한편 사용후에 박리제층만 남은 기재테이프는 감기릴에 회수된다.
이 경우, 헤드의 선단가압부가 도막전사테이프를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대하게 해서 안내하기 때문에 케이스자체를 필기구와 같은 자세로 쥔 상태로 헤드의 선단가압부에 의해 도막전사테이프를 지면 등의 위에 밀착형상으로 밀어붙일 수가 있어서 조작성이 좋다.
또, 모든 도막전사테이프가 공급릴측으로부터 감기릴측으로 감기회수되어서 사용이 끝나면 새 도막전사테이프와 교환한다.
이때, 먼저 헤드를 사용위치로부터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로 회전조작한다. 이에 따라, 헤드부분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의 자세가 공급릴과 감기릴의 두루감기자세에 대하여 약 90°비틀어 돌려진 상태로부터 평행한 상태로 조작되어서 헤드에 대한 도막전사테이프의 착탈작업이 용이한 자세로 된다.
계속해서 케이스를 열어서 사용이 끝난 도막전사테이프를 공급릴과 감기릴 채로 집어낸 다음 이것대신에 미사용의 새 도막전사테이프를 공급릴과 감기릴과 함께 장착한다. 이 경우, 도막전사테이프의 헤드로의 장착은 공급릴 및 감기릴의 두루감기자세 그대로 실시할 수 있다.
이후, 다시 케이스를 닫은 다음 헤드를 그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회전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헤드부분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의 자세는 공급릴과 감기릴의 두루감기자세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부터 약 90°비틀어 회전된 상태로 조작되고,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 대하여 필기구감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자세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관한 도막전사구를 제1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하고, 이 도막전사구(1)는 구체적으로는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글지우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소모품으로서의 도막전사테이프(T)가 교환가능한 카트리지식으로 되어서, 제1도에 표시하듯이 손으로 조작가능한 케이스(2)에 테이프카트리지(C), 테이프구동부(D), 도막전사용 헤드(H) 및 회전조작부(R)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 글지우개(1)에 있어서는, 상기한 헤드(H)가 제2도에 표시하는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세로긋기 조작위치)(X)와, 제5도에 표시하는 사용위치(가로긋기 조작위치)(Y)의 사이에서 회전조작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부마다 설명한다.
Ⅰ. 케이스(2) :
케이스(2)는 도면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카트리지(C)와 테이프구동부(D)를 내장할 수 있는 정면윤곽형상치수와 폭치수를 구비한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편평표리면(2a, 2b)이 조작시의 파지면으로 되어 있다.
이 케이스(2)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성형된 플라스틱제의 것이고, 케이스본체(3)와 캡체(4)로 구성되는 분해가능한 분할구조로 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케이스본체(3)의 개구내주부에는 캡체(4)의 끼워맞춤리브(4a)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오목부(3a)가 대략 전체둘레에 걸쳐서 설치됨과 아울러 그 후단부에 캡체(4)의 걸림돌기(4b)가 걸어맞춰지는 계합부(3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케이스본체(3)와 캡체(4)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캡부재(40)에 의해 일체화되는 원통반할부(3c, 4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케이스본체(3)의 계합부(3b)에 캡체(4)의 결림돌기(4b)를 걸어맞춘다음 끼워맞춤오목부(3a)에 끼워맞춤리브(4a)를 끼워맞추면서 상기한 양 원통반할부(3c, 4c)를 맞추어서 이 일체화된 부분(원통선단부)(5)에 상기한 캡부재(40)를 끼움으로써 케이스(2)가 조립된다.
Ⅱ. 테이프카트리지(C) :
테이프카트리지(C)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바깥으로 감아서 이루어지는 공급릴(6)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태이프(T')를 회수하는 감기릴(7)이 한조가 되어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테이프구동부(D)에 해체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도면표시는 없지만 테이프가트리지(C)는 그 장착전에 있어서는, 양 릴(6, 7)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필름, 아세테이트필름등의 플라스틱제, 혹은 종이제 등의 필름형상기재(두께 25 내지 38㎛정도)의 한쪽면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저분자폴리에틸렌 등의 박리제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백색의 수정도료층이 형성되며, 다시 그위에 가압접착성을 보유하는 폴리우레탄 등의 점착제(압력감지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구조(구체적구조는 도면표시생략)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수정도료층은, 전사후, 즉시 그위에서 필기가 가능한 소위 드라이방식의 것이 채용되고 있다.
공급릴(6) 및 감기릴(7)은 각각 도막전사테이프(T)를 두루감는 드럼부(6a, 7a)의 양측에 테이프안내용 플랜지(6a, 7b)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지름방향 중앙에 스플라인 등의 톱니형상 걸어맞춤부를 보유하는 장착구멍(6c, 7c)이 설치되어 있다.
Ⅲ. 테이프구동부(D) :
테이프구동부(D)는 상기한 케이스본체(3)내에 설치되어 있고, 공급릴(6)을 회전구동하는 공급회전부(10), 감기릴(7)을 회전구동하는 감기회전부(11), 양 회전부(10, 11)를 연동시키는 연동부(12) 등을 그 주요부로 하여 구비하고 있다.
공급회전부(10) 및 감기회전부(11)는 각각 중공의 회전축부(15, 16)와 평판형상의 회전원판(17, 18)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회전축부(15, 16)가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 기립형상으로 설치된 중공지축(19, 20)의 외주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이들 중공지축(19, 20)의 상단에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부(15, 16)의 외주부에는 제7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의 장착구멍(6c, 7c)의 톱니형상걸어맞춤부에 대응한 스플라인 등의 톱니형상 걸어맞춤부(101)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에 상기한 장착구멍(6c, 7c)이 계탈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축받이되어서 공급릴(6)과 감기릴(7)이 회전축부(15, 16)와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한 회전원판(17, 18)은 공급릴(6)과 감기릴(7)의 받침면으로서 기능한다. 또 이것에 관련해서 공급릴(6)과 감기릴(7)의 장착위치 근방에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는, 도막전사테이프(T)을 안내하는 한쌍의 기이드핀(21, 22)이 기립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연동부(12)는, 감기회전부(11)를 상기한 공급회전부(10)에 연동시키는 것으로서 제6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회전원판(17, 18)과 미끄럼수단(25)으로 구성된다.
이 미끄럼수단(25)은 양 회전부(10, 11)간의 회전전달기능 외에도, 공급릴(6)과 감기릴(7)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속도와 감기속도를 동기시키는 미끄럼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고무 등의 마찰부재, 예를 들면 0링으로 구성된다.
이 마찰부재(25)는, 한쪽편의 회전원판(17)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또 다른쪽편의 회전원판(18)의 외주에 마찰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회전원판(18)의 외주에는 제7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미끄럼방지리브(18a, 18a, ----)가 형성되어서 상기한 마찰부재(25)와의 마찰저항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미끄럼방지리브(18a)와 마찰주재(25)의 구조적 관계는 도면표시예와는 역구성, 즉, 마찰부재(25)가 종동측의 회전원판(18)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미끄럼방지리브가 구동측의 회전원판(18)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면생략).
또, 구동측과 종동측의 양 회전원판(17, 18)의 회전비, 즉 외경치수비는 상기한 양 릴(6, 7)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감기지름을 고려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과 감기가 원활하게 실시되도록 적당히 설정되는데, 도면표시예에 있어서는 종동측의 회전원판(18)의 지름치수가 구동측의 회전원판(17)의 대략 ½로 설정되어 있다.
이리하여 후술하는 도막전사용 헤드(H)의 가압조작에 의해 도막전사테이프(T)에 가해지는 인장력(화살표 A방향)이 공급릴(6)에 회전토크로서 작용하면, 이 공급릴(6), 나아가서는 이것과 회전방향으로 일체가된 공급회전부(10)의 회전원판(17)도 회전한다. 이 회전력은, 마찰부재(25)의 마찰력에 의해 종동측인 감기회전부(11)의 회전원판(18), 나아가서는 이것과 회전방향으로 일체가된 감기릴(7)을 연동해서 회전시키고, 감기릴(7)은 사용 후의 도막전사테이프(T)를 자동적으로 감는다.
이 경우, 구동측의 회전원판(17)의 종동측의 회전원판(18)의 회전비(외경비에 대응)가 항상 일정한데에 대하여 공급릴(6)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과, 감기릴(7)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이 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서 일정하지 않다. 즉, 사용을 할수록 공급릴(6)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은 점차로 작아지는데에 대하여 감기릴(7)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은 역으로 커져간다.
그 때문에, 감기릴(7)의 감기속도는 공급릴(6)의 공급속도에 비교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빨라져서, 이들 양 속도의 동기가 붕괴되어서 공급릴(6)에 작용하는 회전토크도 점점 커진다. 그렇게 되면, 이 회전토크가 마찰부재(25) 마찰력을 이겨서 구동측의 회전원판(1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럼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한 공급속도와 감기속도가 서로 동기하게 되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원활한 주행이 확보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기한 양 속도의 동기가 붕괴된 상태를 그대로 방치해 두면 도막전사테이프(T)에 과도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 도막전사테이프(T)가 늘어나거나 혹은 극단적인 경우에는 도중에서 절단되어 버리기도 하는 좋지 못한 상태를 초래한다.
또, 제7도 및 제8도에 표시하듯이 감기회전부(11)에는 사기한 양 릴(6, 7)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전방지기구(30)는, 회전원판(18)에 설치된 걸림돌기(30a)와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 중공지축(20)과 동심인 고리형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역전방지돌기(30b, 30b, ---)로 구성된다. 상기한 걸림돌기(30a)는 하향형상의 것으로서, 회전원판(18)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박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각 역전방지돌기(30b)의 단면형상은, 도면표시와 같이 감기릴(7)의 정회전방향(화살표참조)으로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동시에 그 정점부분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낙하하는 쐐기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 상기한 양 릴(6, 7)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제8도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돌기(30a)는 역전방지돌기(30b, 30b, ---)를 탄성변형하면서 타넘어서, 그 정회전을 허용한다. 또, 상기한 양 릴(6, 7)이 화살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상기한 걸림돌기(30a)는 역전방지돌기(30b, 30b ---)의 어느 한쪽에 걸어맞추어져 그 역회전을 저지한다. 또, 이 역전방지기구(30)는 공급회전부(10)에 설치되어도 된다.
Ⅳ. 도막전사용 헤드(H) :
도막전사용 헤드(H), 도막전사테이프(T)를 지면상의 오자 등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 위에 가압하는 것으로서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 내주에 그 축심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헤드(H)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보유하는 플라스틱제로서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 및 가입하는 헤드본체(35)와 상기한 원통선단부(5)에 유지되는 베어링부(36)로 구성된다.
상기한 헤드본체(35)는 도막전사테이프(T)보다도 약간 폭이 넓은 박판형상의 것으로서, 선단을 향해 점차 얇게 되는 테이퍼형상단면을 보유하고, 그 선단(35a)이 도막전사테이프(T)를 가압하는 선단가압부로 되어 있다. 또, 이 헤드본체(35)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하는 가이드플랜지(35b, 3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베어링부(36)는 제1도, 제3도 및 제5도에 표시하듯이 원호형상단면을 보유하며,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상르로 되고 그 외경이 케이스(2)의 원통반할부(3c, 4c)의 내경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 베어링부(36)의 기단부에는 축방향 위치결정용인 원호형상플랜지(36a)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한 양 원통반할부(3c, 4c)의 기부 내주에 원호형상 끼워맞춤홈(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베어링부(36)가 상기한 양 원통반할부(3c, 4c)의 내주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는 동시에 상기한 원호형상플랜지(36a)가 상기한 원호형상끼워맞춤(37, 37)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헤드(H)는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에 축방향의 위치결정이 되는 동시에 그 축심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Ⅴ. 회전조작부(R) :
회전조작부(R)는, 상기한 헤드(H)를 회전조작하는 것으로서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에 설치되어 있고, 원통선단부(5)에 해체가능하게 부착되는 캡부재(40)와, 원통선단부(5)의 외주에 설치된 위치결정부(41)로 구성된다.
캡부재(40)는 상기한 원통선단부(5)에 밖에서 끼워지는 베이스부(42)와 상기한 헤드(H)에 회전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감합부(43)로 구성되는 플라스틱제의 일체성형품이다.
상기한 베이스부(42)는, 케이스(2)의 조립고정부재로서의 기능과 회전조작부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으로서 그 원통내경이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외주에 삽통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동시에 그 외주에 다수의 톱니형상 미끄럼방지리브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감합부(43)는, 헤드(H)를 끼우고 통하는 삽입구멍(44)을 구비하고 이 삽입구멍(44)의 형상치수는 상기한 헤드(H)가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캡부재(40)와 헤드(H)가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캡부재(40)와 헤드(H)가 회전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끼워맞춰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삽입구멍(44)은 제9도에 표시하는 정면형상에 있어서 헤드(H)의 헤드본체(35)부분의 외주윤곽에 대응한 형상치수의 상부(44a)와, 헤드(H)의 베어링부(36)의 외주윤확에 대응한 형상치수의 하부(44b)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부(41)는, 상기한 캡부재(40)의 회전방향위치를 탄발(彈發)적으로 우치 결정 고정하는 것으로서, 원통선단부(5)의 외주 구체적으로는 캡체(4)의 원통반할부(4c)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부(41)는 제1도, 제9도 및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원통선단부(5)의 축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삽입안내홈(41a)과, 이 삽입안내홈(41a)의 일단으로부터 원통선단부(5)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안내홈(41b)으로 구성된다. 도면표시예에 있어서는, 이탈방지안내홈(41b)은 제9도에 표시하듯이 원통선단부(5)의 중심각 90°의 범위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양끝에는 제1계합부(45a)와 제2계합부(45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계합부(45a, 45b)는 상기한 안내홈(41a, 41b)보다도 깊은 오목부의 형내로되어 있고, 이들 양 계합오목부(45a, 45b)에 상기한 캡부재(40)의 내주에 설치된 계합볼록부(계합부)(46)가 계탈가능하게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계합볼록부(46)의 형상치수는 상기한 안내혼(41a, 41b)을 따라서 어느 정도 상대적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안내되는 동시에 상기한 양 계합오목부(45a, 45b)에 대하여 탄성복귀하면서 계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 계합볼록부(46)와 계합오목부(45a, 45b)의 계합위치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캡부재(40)의 계합볼록부(46)가 제1계합오목부(45a)에 걸어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하듯이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세로긋기 조작위치)(X)에 있고,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는 도막전사테이프(T)의 표리면이 상기한 파지면(2a, 2b)과 대략 수직방향으로(직교하는) 향하도록,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한다.
이때, 공급릴(6)로부터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T)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그자세 그대로 가이드핀(21)을 통하여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를 경유하고, 다시 기이드핀(22)을 통하여 감기릴(7)에 두루 감긴다.
또, 상기한 계합볼록부(46)가 제1계합오목부(45a)에 걸어맞춰진상태(제9도참조)에 있어서 상기란 헤드(H)는,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하듯이 사용위치(가로긋기 조작위치)(Y)에 이고,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2a, 2b)에 대하여 대략 동일방향으로(평행한) 향하도록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한다.
이때, 공급릴(6)로부터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T)는 제5도에 표시하듯이 가이드핀(21)에 의해 각도 90°만 비틀어 돌려진 다음,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를 경유하고 다시 사이드핀(22)에 위해 재차 그 비틀어 돌린 것을 본래 상태로 복귀된 다음, 감기릴(7)에 두루감긴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글지우개(1)의 취급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A. 사용방법
켑부재(40)를 회전조작하여(제11도(b)참조) 헤드(H)를 세로긋기 조작위치(X)(캡부재(40)의 계합볼록부(46)가 제1계합오목부(45a)에 걸어맞춤)와, 가로긋기 조작위치(Y)(계합볼록부(46)가 제2계합오목부(45b)에 걸어맞춤)의 두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결정함으로써 다음 두가지의 사용이 가능하다.
① 세로긋기사용(제12도(a)참조)
이 사용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문과 같은 세로쓰기 문장의 일부를 수정할 경우에 적합하며, 그 사용에 있어서는 도면표시와 같이 케이스(2)의 파지면(2a, 2b)을 손가락으로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쥐고, 그 상태로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를 오자 등의 수정해야 할 지면위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50)의 개시끝(상부끝)에 맞대어서 그대로 케이스(2)를 세로방향 즉, 지면 등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피수정부분(50)의 종단(하부끝)에서 정지시킨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수정도료층(백색)이 필름형상기재로부터 박리되어서 상기한 피수정부분(50) 위에 전사피복되고, 이것에 의해 오자 등이 지워지는 동시에 그 위에 바른문자를 즉시 가입할 수가 있게 된다.
② 가로긋기사용(제12도(b)참조)
이 사용방법은, 예를 들면 구문(歐文)과 같은 가로쓰기 문장의 일부를 수정할 경우에 적합하고, 그 사용에 있어서는 도면표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의 파지면(2a, 2b)을 손가락으로 필기구를 잡는 자세로 쥐고, 그 상태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를 피수정부분(50)의 개시끝(좌측끝)에 맞대고, 그대로 케이스(2)를 가로방향 즉, 지면 등에 대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수정부분(50)의 종단(우측끝)에서 정지시키면 오자 등이 지워져서 바른문자의 기입이 가능하게 된다.
B. 테이프카트리지(C)의 교환방법
또, 모든 도막전사테이프(T)가 공급릴(6)측으로부터 감기릴(7)측으로 감기회수 되어서 사용이 끝나면, 테이프카트리지(C)를 교환한다.
① 혜드(H)를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에 둔다. 즉, 헤드(H)가 세로긋기 조작위치(X)에 있다면 그대로 하면 되지만, 가로긋기 조작위치(Y)로부터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로 회전해 둔다.
이에 따라, 헤드(H)부분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자세가 제3도에 표시하듯이 공급릴(6)과 감기릴(7)의 두루감기자세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조작되어서, 헤드(H)에 대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착탈작업이 용이한 자세로 된다.
② 케이스(2)를 분해하여 연다. 이 경우, 먼저 캡부재(40)를 제11도(a)와 같이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로부터 뽑아낸 다음 캡체(4)가 상측으로 향한 상태로 원통반할부(4c)를 상측으로 들어올려서 이 캡체(4)를 케이스본체(3)로부터 해체한다.
③ 사용이 끝난 테이프카트리지(C)(빈공급릴(6) + 사용이 끝난 도막전사테이프(T')가 회수된 감기릴(7))를 집어낸 다음 이것 대신에 미사용의 테이프카트리지(C)(미사용의 도막전사테이프(T)가 바깥으로 감긴 공급릴(6) + 감기릴(7))를 태이프구동부(D) 위에 부착하는 동시에 그 도막전사테이프(T)를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에 경유하도록 정착시킨다.
이 경우, 도막전사테이프(T)느 제1도에 표시하듯이 공급릴(6) 및 감기릴(7)의 두루감기자세대로 그 공급과 감기부분근방(60a, 60b)을 가이드핀(21, 22)에 경유시키는 동시에 그 선단부분(60c, 60b)을 헤드(H)의 헤드본체(35) 양측으로 상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도막전사테이프(T)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공급리(6)로부터 공급된후 가이드핀(21)을 토하여 상기한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를 경유해서 반전되고 다시 가이드핀(21)을 통해 감기릴(7)에 두루감기는 상태로 장전된다.
또, 이들 일련의 작업은, 헤드(H)를 선단가압부(35a)로부터 일단 해체한 다음 다시 부착해도 된다.
④ 이후에 다시케이스(2)를 닫아서 조립한다. 이 경우, 먼저 케이스본체(3)의 계합부(3b)에 캡체(4)의 걸림돌기(4b)를 걸어맞춘 수, 원통반할부(4c)를 케이스본체(3)의 원통반할부(3c)에 맞추어서(이 경우, 끼워맞춤오목부(3a)에 끼워맞춤리브(4a)가 끼워맞춰짐), 제11도(a)에 표시하듯이 이 일체화된 원통선단부(5)에 상기한 캡부재(40)를 삽입해 끼움으로써 케이스(2)가 조립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제13도 표시한 바와같은 가이드플레이트(7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좁은 면적부분을 지울경우에 적당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즉 실시예1의 글지우개(1)만으로서는 예를들면 제12도(b)에 표시하듯이 가로긋기사용을 할 경우, 사용자에 있어서 헤드(H)가 피수정부분(50)을 덮는 자세가 된다. 따라서 비교적 큰문자 등을 지울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작은문자나 문장중의 1문자만 그리고 좁은 면적부분을 지울 경우에는 피수정부분(50)의 종단 (우측끝)이 헤드(H)부분에 감추어져서 잘보이지 않아서 지우고싶은 문자만을 확실하게 지우기가 어려울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같은 경우에 가이드플레이프(70)가 글지우개(1)와 함께 사용된다.
상기한 가이드플레이트(70)는 글지우개(1)의 헤드(H)를 피수정부분(50)에 대하여 위치결정안내하는 것으로서 투명플라스틱제의 박판재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그 중앙부분에 외주윤곽형상에 대응한 직사각형의 창부(窓部)(7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창부(71)는 서로 대향하는 2변끼리 즉, 장변부(71a, 71a)와 단변부(71b, 71b)가 서로 평행한 작선형상으로 되고, 장변부(71a, 71a)가 상기한 헤드(H)의 측연(側緣)을 안내하는 직선안내부가 되는 동시에 단변부(71b, 71b)가 상기한 피수정부분(50)의 종단을 규정하는 종단규정부가 된다.
또, 이 종단규정부(71b)는 제13도(b)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직선안내부(71a)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피수정부분(50)의 종단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백색수정도료층의 절단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가이드플레이트(70)의 두께치수에 따라서는 이 경사구조는 불필요하다.
이리하여 예를들면 가로쓰기문장에 있어서 작은문자나 문장중 1문자만인 좁은면적의 피수정부분(50)을 지울경우에는 먼저 제14도(a)에 표시하듯이 가이드플레이트(70)의 종단규정부(71b)를 피수정부분(50)의 종단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직선안내부(71a)를 피수정부분(50)의 하측근방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한다. 계속하여 제14도(b)에 표시하듯이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를 피수정부분(50)의 개시단에 맞댄 다음 헤드(H)의 측연을 직선안내부(71a)를 따르게 하면서 우측 횡방향으로 종단규정부(71b)에 맞닿을 때까지 피수정부분(50)위를 문지른다. 이것에 의해 실패없이 수정해야 할 문자만을 지울 수가 있다.
또, 가이드플레이트(70)의 형상치수는 그 주요부분으로서 상기한 직선안내부(71a)와 종단규정부(71b)를 구비하고 있는 한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하므로 예를들면 제15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L자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 가이드플레이트(70)에 있어서는 직선안내부(71a)에 평행한 외측직선부분(71c)에 눈금(72)이 부기(附記)되어 있어서 직선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1과 실시예2는 어디까지나 본발명의 적당한 실시형태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도막전사테이프(T)로서 필름형상기재의 편면에 박리제층을 통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조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점착제층만이지면 등에 전사되는 풀칠도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연동부(12)로서 제6도에 표시하는 구조대신에 제16도(a) 또는 제16도(b)에 표시되는 구조도 채용할 수가 있다.
즉 제16도(a)에 표시되는 연동부(12)는 감기회전부(11) 및 공급회전부(10)의 일부를 각각 구성하는 회전원판(17, 18)과 마찰휠(75)로 구성된다. 이 마찰휠(75)은 구체적으로는 그 외주부가 실리콘고무등의 마찰재로 형성되고, 상기한 양회전원판(17, 18)사이의 케이스본체(3)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그 외주가 이들 양회전원판(17, 18)의 외주에 각각 마찰계합되어 있다.
또 제16도(b)에 표시되는 연도부(12)는 상기한 회전원판(17)과 상기한 회전원판(18)의 하측에 동심형상으로 설치된 회전전달부(80)와 무단벨트(85)로 구성된다. 이 무단벨트(85)는 구체적으로는 실리콘고무 등의 연질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양회전원판(17)과 회전전달부(80)의 회주에 마찰접촉 하도록 걸려있다.
또 도면 표시예의 연동부(12)는 모두 회전전달기능과 미끄럼기능을 겸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실개평 5-13800호 공보나 특개평 5-58097호 공보에 개시되듯이 이들 양기능을 각각 별개 독립체로 구비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 도면 표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헤드(H)가 세로긋기조작위치(X)와 가로긋기조작위치(Y)의 두위치를 선택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세로긋기조작위치(X)를 생략하고 가로긋기 전용구조로 해도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했듯이 본발명은, 도막전사용헤드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와 사용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조작 가능하게 되고 이 사용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의 선단가압부가 도막전사테이프를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마주대하게 하여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자체를 필기구와 같은 자세로 쥔상내로 헤드의 선단가압부에 의해 도막전사테이프를 지면등의 위에 밀착상태로 밀어붙일 수가 있다.
따라서, 케이스의 파지면을 손가락으로 쥐어서 팔꿈치를 뻗칠 필요없이 책상위등에 댄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즉, 케이스를 필기구감각으로 선을 옆으로 긋듯이 이동시켜 문자등을 소거하거나 점착제를 도포할 수가 있고 조작이 용이하여서 헤드를 소망하는 곳에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가져 갈 수가 있다.
또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의 선단가압부가 도막전사테이프를 공급릴과 감기릴의 두루감기자세 그대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기구감각으로 그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도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카트리지식을 채용할 수가 있어서 자원절약화의 요청에 최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7)

  1. 케이스(2)내에 도막전사테이프(T)를 바깥으로 감은 공급릴(6)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T')를 회수하는 감기릴(7)의 회전가능하고 또한 해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케이스(2)의 선단부에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피전사부(50)위에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H)가 돌출설치되는 동시에 이 헤드의 선단가압부(35a)를 경유하여 상기한 공급릴(6)로부터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T)가 상기한 감기릴(7)에 두루감기며, 상기한 헤드(H)는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와 사용위치(Y)사이에서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한 헤드(H)의 선단가압부(35a)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공급릴(6)의 두루감기자세 그대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한 사용위치(Y)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2a, 2b)에 대하여 대략 마주대하도록 하여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2)는 상기한 공급릴(6)과 상기한 감기릴(7)을 내장할 수 있는 윤곽형상치수와 폭치수를 구비하는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편평표리면이 상기한 파지면(2a, 2b)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2)는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을 장착하는 케이스본체(3)와 이 케이스본체(3)에 분해가능하게 장착되는 캡체(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상기한 케이스(2)의 선단부내주에 그 축심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한 케이스(2)의 선단부에 헤드(H)를 회전조작하는 회전조작부(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조작부(R)는 상기한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에 그 축심둘레로 회전가능하게 밖에서 끼워지는 캡부제(40)와 상기한 원통선단부(5)외주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캡부제(40)의 회전방향위치를 탄발적으로 위치결정·고정하는 위치결정부(41)를 구비하고, 상기한 캡부제(40)는 상기한 헤드(H)가 삽통되는 삽입구멍(44)을 구비하며, 이 삽입구멍(44)의 형상치수는 상기한 헤드(H)가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캡부재(40)와 헤드(H)가 회전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끼워맞춰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5)는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원통반할부(3c)와 상기한 캡체(4) 원통반할부(4c)로 구성되는 분할구조로 형성되며, 상기한 캡부재(40)는 상기한 원통선단부(5)외주에 해체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상기한 케이스(2)의 조립고정부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위치결정부(41)는 상기한 캡부재(40)의 내주에 설치된 계합부(46)에 계탈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게1계합부(45a)와 제2계합부(45b)를 구비하고, 상기한 캡부재(40)의 계합부(46)가 제1계합부(45a)에 걸어 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에 있고, 상기한 캡부재(40)의 계합부가 (46)가 제2계합부(45b)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가 상기한 사용위치(Y)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2)내에 상기한 공급릴(6)이 해체가능하게 부착되는 공급회전부(10)와, 상기한 감기릴(7)이 해체가능하게 부착되는 감기회전부(11)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들 양 회전부(10, 11)가 연동부(12)에 의해 서로 연계되고, 상기한 감기회전부(11)가 상기한 공급회전부(10)에 종동(從動)하는 자동감기 방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부(12)는 상기한 공급릴(6)과 감기릴(7)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속도와 감기속도를 동기시키는 미끄럼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부(12)는 상기한 공급회전부(10)와 감기회전부(11)의 한쪽의 외주에 장착된 마찰부재(25)를 구비하고 이 마찰부재(25)가 다른쪽 외주에 마찰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부(12)는 상기한 케이스(2)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마찰휠(75)을 구비하고, 이 마찰휠(75)의 외주가 상기한 공급회전부(10)와 감기회전부(11)의 외주에 각각 마찰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부(12)는 무단벨트(85)를 구비하고, 이 무단벨트(85)가 상기한 공급회전부(10)와 감기회전부(11)의 쌍방의 외주에 각각 마찰접촉하도록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급릴(6) 및 김기릴(7)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기구(30)를 구비하고, 이 역전방지기구(30)는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 고리형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역전방지돌기(30b)와 상기한 공급회전부(10) 또는 감기회전부(11)에 설치되고 이 역전장지돌기(30b)에 계탈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30a)로 구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는 플라스틱, 종이 등의 필름형상 기재의 편면에 박리제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백색의 수정도료층이 형성되며, 다시 그 위에 압력감지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는 플라스틱, 종이 등의 필름형상 기재의 편면에 박리제층을 통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16. 제1항에 있어서, 피전사부(50)에 대하여 상기한 헤드(H)를 위치결정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70)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플레이트(70)는 투명플라스틱에 박판부재로 형성되고, 상기한 헤드(H)의 측연(側緣)을 안내하는 직선안내부(71a)와 이 직선안내부(71a)에 연속하여 설치되어서 상기한 피전사부(50)의 종단을 규정하는 종단규정부(7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종단규정부(71b)는 상기한 직선안내부(71a)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KR1019940023902A 1993-09-22 1994-09-22 도막전사구 KR100196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59320A JP2807805B2 (ja) 1993-09-22 1993-09-22 塗膜転写具
JP93-259320 1993-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168A KR950008168A (ko) 1995-04-17
KR100196708B1 true KR100196708B1 (ko) 1999-06-15

Family

ID=1733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902A KR100196708B1 (ko) 1993-09-22 1994-09-22 도막전사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90898A (ko)
EP (1) EP0644145B1 (ko)
JP (1) JP2807805B2 (ko)
KR (1) KR100196708B1 (ko)
CN (1) CN1107635C (ko)
AU (1) AU678267B2 (ko)
CA (1) CA2117508C (ko)
DE (1) DE69400899T2 (ko)
HK (1) HK1005856A1 (ko)
TW (1) TW39533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5042B (en) * 1993-02-10 1995-10-25 Gillette Co Correction tape dispenser
JP2829699B2 (ja) * 1993-12-03 1998-11-25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US5641377A (en) * 1994-10-26 1997-06-24 Tcc Enterprises Retractable blade hand held tape applicators
GB9422905D0 (en) * 1994-11-14 1995-01-04 Gillette Co Tape dispensers
JP3027309B2 (ja) * 1994-12-12 2000-04-04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AU745383B2 (en) * 1994-12-12 2002-03-21 Seed Rubber Company Ltd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2943134B2 (ja) * 1995-11-01 1999-08-30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3306464B2 (ja) * 1994-12-26 2002-07-24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転写器
JP2869855B2 (ja) * 1995-03-28 1999-03-10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字消し具
US6808565B1 (en) 1995-10-06 2004-10-26 Seed Rubber Co., Ltd. Clutch mechanism of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US5795085A (en) * 1997-03-05 1998-08-18 Yoo; Kwang-Ho Correction tape
USD410494S (en) * 1997-09-26 1999-06-01 Bic Corporation Correction-tape dispenser
JPH11245500A (ja) * 1998-03-03 1999-09-14 Seiji Endo 箔プリント装置
JP3008025B2 (ja) * 1998-03-17 2000-02-14 東洋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体転写装置
US5942036A (en) * 1998-05-12 1999-08-24 You; Kwang-Ho Correction tape roller device
CN1106295C (zh) * 1998-06-15 2003-04-23 柳光洁 修改带
DE19824552A1 (de) * 1998-06-03 1999-12-09 Henkel Kgaa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US6065887A (en) * 1998-06-25 2000-05-23 You; Kwang Ho Correction tape with a cap holder
DE19830522A1 (de) 1998-07-08 2000-01-13 Pritt Produktionsgesellschaft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in Form eines Filmes auf ein Trägerband aufgebrachten Stoffes
JP2000025392A (ja) * 1998-07-08 2000-01-25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USD410955S (en) * 1998-12-11 1999-06-15 Bic Corporation Correction-tape dispenser
US6260599B1 (en) 1999-06-11 2001-07-17 Kwang-Ho You Correction tape roller device
DE19936445B4 (de) * 1999-08-03 2004-03-04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US6601631B1 (en) 1999-09-07 2003-08-05 Berol Corporation Dispenser for applying a material to a surface
ES2218053T3 (es) * 2000-01-06 2004-11-16 Tombow Pencil Co., Ltd. Cabezal de impresion de una herramienta de recubrimiento.
KR100385356B1 (ko) * 2000-10-31 2003-05-27 김현수 복합 테이프 전사구
US6543511B2 (en) 2000-12-01 2003-04-08 Volker Niermann Tape dispenser
JP2002337830A (ja) * 2001-05-18 2002-11-27 Seed:Kk マーク転写具およびマーク転写テープ
JP4690607B2 (ja) * 2001-09-11 2011-06-01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テープの交換方法
US6622768B2 (en) 2001-09-27 2003-09-23 Kwang Ho You Correction tape roll device
JP4603738B2 (ja) * 2001-09-28 2010-12-22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JP4142871B2 (ja) * 2001-12-27 2008-09-03 株式会社シード マーク転写具、マーク転写テープおよびマーク転写テープの製造方法
US6997229B2 (en) * 2003-09-16 2006-02-14 Sanford, L.P.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US20050056375A1 (en) * 2003-09-16 2005-03-17 Sanford, L.P.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US7163040B2 (en) * 2004-01-13 2007-01-16 Sanford L.P. Correction tape applicator tip with cylindrical projection
DE202008017577U1 (de) * 2008-08-18 2010-02-11 Krones Ag Etikettiermaschine und Spendevorrichtung für Etikettiermaschinen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JP5618362B2 (ja) * 2010-10-13 2014-11-05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塗膜転写具
US8578999B2 (en) *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CN103857862B (zh) * 2011-08-09 2017-08-22 康普凯奇国际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固定装置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JP6015266B2 (ja) * 2012-09-13 2016-10-26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及び転写具のリフィル
TW201516506A (zh) * 2013-10-18 2015-05-01 Hon Hai Prec Ind Co Ltd 光纖接頭擦拭裝置
CN107264115A (zh) * 2016-04-07 2017-10-20 南京农业大学 包书皮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477A (en) * 1895-05-21 Works
US4547088A (en) * 1980-06-26 1985-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rrectable thermal transfer printing ribbon
CH645851A5 (de) * 1980-09-09 1984-10-31 Buettner Ag Franz Farbband zur erzeugung von korrigierbaren zeichen.
US4521471A (en) * 1982-09-15 1985-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es and articles for removing typewriter inks
DK165628C (da) * 1984-03-09 1993-05-24 Fuji Kagaku Shikogyo Rettetape til flergangsbrug
JPS6157370A (ja) * 1984-07-31 1986-03-24 Shigeru Tamai 文字等の消し具
US4718971A (en) * 1986-10-09 1988-01-12 Moore Push-Pin Company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DE3718065C1 (de) * 1987-05-28 1988-08-11 Doro Tape Ehlis Kg Handgeraet zum Auftragen eines doppelseitig klebenden Bandes zusammen mit einem Abdeckstreifen
DE3907753C1 (ko) * 1989-03-10 1990-09-06 Pelikan Ag, 3000 Hannover, De
JPH03128299A (ja) * 1989-10-14 1991-05-31 Shiide Rubber Kogyo Kk 手持式転写塗膜転写器
JPH0513800A (ja) * 1991-07-05 1993-01-22 Sharp Corp 半導体装置
JP2639606B2 (ja) * 1991-08-30 1997-08-13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DE4220843C1 (ko) * 1992-06-25 1993-08-05 Citius Buerotechnik Gmbh, 8906 Gersthofen, De
US5310445A (en) * 1992-10-15 1994-05-10 The Gillette Company Tape dispenser
JPH0673026U (ja) * 1993-03-30 1994-10-11 三菱鉛筆株式会社 修正テープの貼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90898A (en) 1996-02-13
AU678267B2 (en) 1997-05-22
HK1005856A1 (en) 1999-01-29
KR950008168A (ko) 1995-04-17
DE69400899D1 (de) 1996-12-19
CN1107635C (zh) 2003-05-07
EP0644145A1 (en) 1995-03-22
EP0644145B1 (en) 1996-11-13
CN1115725A (zh) 1996-01-31
JPH0789662A (ja) 1995-04-04
JP2807805B2 (ja) 1998-10-08
CA2117508A1 (en) 1995-03-23
AU7142794A (en) 1995-04-06
TW395337U (en) 2000-06-21
DE69400899T2 (de) 1997-04-10
CA2117508C (en) 200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708B1 (ko) 도막전사구
JP2829699B2 (ja) 塗膜転写具
JP2943134B2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3027309B2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US6418997B1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US6062286A (en) Clutch mechanism of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AU764111B2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JP2001018587A (ja) 塗膜転写用ヘッド装置および塗膜転写具
JP2876301B2 (ja)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EP0717000B1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KR100228008B1 (ko) 도막전사구의 클러치기구 및 도막전사구
JP3071759B2 (ja) 塗膜転写具
AU745383B2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H11342699A (ja) 塗膜転写具
AU5658100A (en) Clutch mechanism of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