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678B1 - 압력검출기 - Google Patents

압력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678B1
KR100258678B1 KR1019970046192A KR19970046192A KR100258678B1 KR 100258678 B1 KR100258678 B1 KR 100258678B1 KR 1019970046192 A KR1019970046192 A KR 1019970046192A KR 19970046192 A KR19970046192 A KR 19970046192A KR 100258678 B1 KR100258678 B1 KR 100258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passivation film
base
pressure detector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431A (ko
Inventor
타다히로 오오미
료오수케 도히
코오지 니시노
노부카주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오가와 슈우헤이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오오미 다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와 슈우헤이,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오오미 다다히로 filed Critical 오가와 슈우헤이
Publication of KR1998002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61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01L19/0084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G01L19/0627Protection against aggressive medium in general
    • G01L19/0645Protection against aggressive medium in general using isolation membran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3Two part 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센서칩을 이용한 압력검출기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에 양질의 부동태막(不動態膜)을 형성해서 가스접촉면의 부식이나 수분의 방출, 촉매작용을 방지함으로써,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제품의 품질향상과 고정밀도의 압력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다이어프램베이스에 설치한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에 부동태막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한 다이어프램베이스와 센서칩을 내부에 수납고착한 센서베이스를 조합해서 양자를 조합고정하고, 또 상기한 센서베이스와 다이어프램베이스와의 틈안으로 압력전달용 매체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검출기
본 발명은 센서칩(감압소자)이나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압력검출기의 개량에 관하여, 주로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강부식성 가스라인 등의 압력검출에 이용되는 것이다.
배관로내 등의 유체압의 검출에는, 종래부터 센서칩(감압소자)이나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압력검출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7은 이러한 종류의 압력검출기(A)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스테인레스강(鋼)(SUS316L)제의 센서베이스(1), 센서칩(감압소자 혹은 반도체 스트레인게이지)(2), 다이어프램(SUS316L)(3), 실리콘오일(5), 보올(6) 및 리이드핀(7) 등으로 압력검출기가 구성되어 있다.
즉, 도 7의 압력검출기(A)에 있어서는, 두께 약 50㎛의 스테인레스강(SUS316L)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3)의 바깥가장자리부가, 레이저용접에 의해 센서베이스(1)의 하단면에 용접되어 있고, 이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가해지는 유체압(B)이 실리콘오일(5)을 개재해서 센서칩(2)에 가해짐으로써 센서칩(2)에 형성된 4개의 왜곡저항값이 변화하고, 4개의 왜곡저항으로 이루어진 브릿지회로의 출력단에 수압력에 비례한 신호가 출력된다.
또, 도 6에 있어서 (16)은 다이어프램의 용접부, (10)은 보올(4)의 용접부이다.
상기한 도 7의 압력검출기는 배관로내의 유체압을 비교적 고감도로 정밀도좋게 검출할 수 있고,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압력검출기에도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가 남겨져 있고,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문제는,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의 부식이나 촉매활성 등의 문제이다.
즉, 도 7의 압력검출기에서는, 다이어프램(3)이 스테인레스강(SUS316L)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전해연마된 그 가스접촉면(3a)의 외표층부에는 두께 약 30Å의 Fe와 Cr과의 혼합산화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염화수소(HC1)나 취화수소(HBr) 등의 할로겐계 가스나, 불소가스(F2)나 불화수소(HF) 등의 불소계 가스와 같은 강부식성 가스의 경우에는, 가스 자신에 포함되는 수분 등에 의해 현저하게 부식이 진행되고, 소위 금속컨터미네이션이 기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 반도체 제조공정의 배관로에 있어서는, 상기한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3a)의 부식성 뿐만 아니라, 가스접촉면(3a)으로부터의 아웃가스나 촉매활성도 중요한 문제가 되고, 소위 아웃가스프리이고 또한 비촉매성의 가스접촉면(3a)인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의 외표층에 형성되어 있는 Fe와 Cr과의 혼합산화피막은, 아웃가스의 방지기능이 불충분해서 다량의 아웃가스가 발생하는 데다가, 그 촉매작용에 의해 반도체 제조용 특수가스의 자기분해가 촉진되게 되고, 제품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그 때문에, 상기한 할로겐계나 불소계의 강부식성 가스를 취급하는 배관로의 압력검출에 도 7과 같은 구성의 압력검출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수100Å의 두께를 가지는 Fe를 포함하지 않은 Cr만으로 이루어진 소위 산화크롬부동태막(Cr2O3·할로겐계 가스의 경우)이나 불화부동태막(CrF2, CrF3, FeF2, FeF3등·불소계 가스의 경우),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Al2O3/Cr2O3·오존가스)을 형성하고, 가스접촉면(3a)의 보호를 꾀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상기한 산화크롬부동태막은 할로겐계 강부식성 가스에 대한 내식성이나 아웃가스의 방지, 비접촉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이고, 또, 불화부동태막은 불소계의 강부식성 가스나 오존에 대한 내식성이 높은 데다가, 아웃가스의 방지나 비촉매성도 우수하고, 더욱이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은 매우 산화력이 강한 오존가스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한 100%산화크롬으로 이루어진 부동태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예를 들면 SUS316L)제의 다이어프램(3)의 경우에는, ① 다이어프램(3)을 래핑연마법 등에 의해 연마해서 그 외표면을 미세결정구조(소위 베일비층)로 함과 아울러, ② 강환원성 분위기중의 극미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산화종류에 의한 열처리(400℃∼500℃, 1∼10시간)를 필요로 한다.
동일하게, 불화부동태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① 불소가스분위기에 있어서의 200℃∼250℃·1∼10시간의 부동태막형성처리와, ② 350℃∼400℃·1∼10시간의 부동태막의 아닐처리를 각각 필요로 한다.
또,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을 약 4% 정도 포함하는 스테인레스강을 이용해서, 강환원성 분위기중의 극미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산화종류에 의한 열처리(400℃∼600℃, 1∼10시간)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센서칩(감압소자)은 그 내열온도가 약 150℃ 정도이므로 도 7과 같은 종래의 압력검출기에서는, 이것을 바람직한 고온도하에서 열처리를 할 수 없다.
또, 종래의 압력검출기에서는 센서베이스(1)와 다이어프램(3)이 이미 용접되어 있으므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을 최대돌기값이 0.7㎛ 이하 정도의 표면거칠기로 균일하게 연마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의 연마도가 균일하게 되기 어렵다.
그리고, 종래의 압력검출기에서는,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용접부(9)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용접부(9)의 연마가 비용접부의 연마와 다른 상태가 되고, 용접부(16)의 균일한 연마마무리가 곤란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의 압력검출기에서는,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100%산화크롬으로 이루어진 부동태막이나 불화부동태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반도체의 집적도가 올라감에 따라, 압력검출기의 가스접촉면(3a)의 부식에 기인하는 금속파티클이나 다이어프램면으로부터의 수분방출, 다이어프램면의 촉매작용에 의한 여러 가지의 문제가 현저해지고, 제품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압력검출기에 있어서의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 즉 ①압력검출기의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에 부동태막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의 부식이나 가스접촉면의 촉매작용, 가스접촉면으로부터의 수분방출을 방지할 수 없다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압력검출기의 다이어프램을, 가스접촉면에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을 갖춘 다이어프램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반도체 제조공정에 적용해도 제품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전혀 없는 압력검출기를 제공한다라는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관한 압력검출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관한 압력검출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3실시예에 관한 압력검출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압력검출기의 가스라인에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압력검출기의 종단면개요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센서칩을 이용한 압력검출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압력검출기 (B) : 유체압
(1) : 센서베이스 (1a) : 칩수납구멍
(1b) : 오일주입구멍 (1c) : 리이드핀 관통구멍
(2) : 센서칩(감압소자) (3) : 다이어프램
(3a) : 가스접촉면 (3b) : 부동태막
(4) : 다이어프램베이스 (5) : 압력전달용 매체(실리콘오일)
(6) : 봉지체(보올) (7) : 리이드핀
(8) : 센서베이스와 다이어프램베이스와의 용접부
(9) : 용접부 (10) : 용접부
(11) : 땜납재 (12) : 누름부재
(13) : 베어링 (14) : 고정구
(15) : 몸체 (15a) : 부착구멍
(15b) : 유통구멍 (15c) : 구멍
(16) : 금속스트레인게이지 (16a) : 스트레인게이지부
(16b) : 브릿지회로부(변환기) (17) : 메탈가스켓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다이어프램베이스(4)에 설치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칩(2)을 내부에 수납고착한 센서베이스(1)를 조합고정하고, 또 상기한 센서베이스(1)와 다이어프램베이스(4)와의 빈 틈내로 압력전달용 매체(5)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발명의 기본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다이어프램베이스(4)에 설치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베이스(1)를 조합고정하고, 또 상기한 다이어프램(3)의 내측외표면에 스트레인게이지부(16a)를 고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발명의 기본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접시모양으로 형성한 다이어프램(3)과 다이어프램베이스(4)를 조합해서 양자를 그 측벽면에서 용접(9)함과 함께, 상기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하고,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칩(2)을 내부에 수납고착한 센서베이스(1)를 조합해서 양자를 그 측벽면에서 용접(8)하고, 또 상기한 센서베이스(1)와 다이어프램베이스(4)와의 틈안으로 압력전달용 매체(5)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발명의 기본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접시모양으로 형성한 다이어프램(3)과 다이어프램베이스(4)를 조합해서 양자를 그 측벽면에서 용접(9)함과 함께, 상기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하고,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베이스(1)를 조합해서 양자를 그 측벽면에서 용접(8)하고, 또 상기한 다이어프램(3)의 내측외표면에 스트레인게이지부(16a)를 고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발명의 기본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의 발명에 있어서, 부동태막(3b)을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으로 하도록 한 것이고, 또,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2항의 발명에 있어서, 부동태막(3b)을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으로 하도록 한 것이다.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3항의 발명에 있어서 부동태막(3b)을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으로 하도록 한 것이고, 또,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4항의 발명에 있어서 부동태막(3b)을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으로 하도록 한 것이다.
또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을 두께 약 50㎛의 스테인레스강제 다이어프램으로 하도록 한 것이고,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3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을 두께 약 50㎛의 스테인레스강제 다이어프램으로 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2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을 두께 약 200㎛의 스테인레스강제 다이어프램으로 하도록 한 것이고, 제12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4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을 두께 약 200㎛의 스테인레스강제 다이어프램으로 하도록 한 것이다.
제13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3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의 바깥가장자리와 다이어프램베이스(4)와의 사이를 납땜에 의해 고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고, 또, 제14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4항의 발명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의 바깥가장자리와 다이어프램베이스(4)와의 사이를 납땜에 의해 고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발명의 기본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압력검출기에서는,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에 미리 소정의 부동태막을 형성함과 함께, 가스접촉면에 부동태막을 형성한 다이어프램을 가지는 다이어프램베이스와, 내부에 센서칩을 수납고정한 센서베이스를 조합고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양자를 측벽면에서 용접고정하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센서칩이나 스트레인게이지의 스트레인게이지부에 가열에 의한 악영향을 주는 일없이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에 소정의 부동태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스접촉면의 부식이나 가스접촉면으로부터의 수분방출, 가스접촉면의 촉매작용이 억제되고,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제품품질의 대폭적인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근거해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상기한 도 7에서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이것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여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압력검출기(A)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그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센서베이스, (2)는 센서칩(감압소자), (3)은 다이어프램, (4)는 다이어프램베이스, (5)는 압력전달용 매체인 실리콘오일, (6)은 봉지체인 보올, (7)은 리이드핀, (8)은 센서베이스와 다이어프램베이스와의 용접부이다.
상기한 센서베이스(1)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면중앙에는 칩수납부(1a)가 형성되어 있고, 또 오일주입구멍(1b) 및 리이드핀 관통구멍(1c) 등이 뚫려져 있다.
또, 상기한 센서칩(감압소자)에는, 공지된 확산형 반도체압력 트랜스쥬서가 사용되고 있고, 압력을 받으면 저항값이 변화하는 반도체의 피에조저항효과가 이용되고 있다.
즉, 센서칩(2)은, 압력을 받으면 변형을 하는 다이어프램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것에 IC와 동일한 제법으로 4개의 저항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릿지모양으로 접속된 4개의 저항의 저항값이 가압에 의해 변형함으로써, 압력에 비례한 전압신호가 브릿지의 출력단에 출력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칩(2)으로서 확산형 반도체 압력트랜스쥬서를 이용하고 있지만, 그외의 구조의 압력검출용 센서칩(2)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다이어프램(3)은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해서 두께 약 50㎛, 내경 약 10㎜ψ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다이어프램(3)의 두께는 검출기의 검출압력범위에 따라 적절하게 변하는 것이고, 수torr로부터 11㎏f/㎠의 절대압력값의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본 실시예의 압력검출기에서는, ψ=10㎜의 다이어프램(3)의 두께를 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소위 부동태막의 형성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가스접촉면(3a)의 외표층부에는 두께 약 200Å의 대략 100% 산화크롬으로 이루어진 부동태막(3b) 또는 두께 약 1000∼3000Å의 불화부동태막(3b) 혹은 두께 약 200Å의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이 형성되어 있다.
즉, 산화크롬부동태막(3b)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우선 다이어프램 가스접촉면(3a)을 래핑연마하고, 그 외표면을 미세결정구조로 함으로써 내층부로부터의 Cr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후, H2O·약 100ppm과 H2·약 3%와 Ar과의 혼합가스내에서, 다이어프램 가스접촉면(3a)을 400℃∼500℃의 온도하에서 수시간 가열처리한다.
이것에 의해, 두께 약 200Å의 대략 100% 산화크롬으로 이루어진 부동태막(3b)이 형성되게 된다.
또, 다이어프램(3)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강이 Cr함유량이 높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경우에는, 상기한 연마처리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경우에는, 내층부으로부터의 크롬의 이동이 비교적 용이하게 행해지기 때문이다.
또, 불화부동태막(3b)을 다이어프램 가스접촉면(3a)에 형성할 경우는, 우선 희불소가스분위기내에서 또한 200℃∼250℃의 온도하에서 수시간 가열처리를 함으로써 불화부동태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350℃∼400℃의 온도하에서 수시간 상기한 불화부동태막을 아닐처리함으로써, 불화부동태막을 안정화시킨다.
상기한 압력전달용 매체인 실리콘오일(5)은 다이어프램(3)에 가해진 압력(B)을 센서칩(2)으로 전달한다. 또, 여기에서는 온도팽창계수나 압축계수가 작고 또한 화학적으로도 안정된 실리콘오일이 사용되고 있지만, 그 밖의 압력전달매체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봉지체인 보올(6)은, 오일주입구멍(1b)내의 실리콘오일(5)을 밀봉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에서는 베어링강의 보올(6)이 사용되고 있다.
도 6은, 센서칩(감압소자 혹은 반도체 스트레인게이지)(2) 대신에 소위 금속 스트레인게이지(16)를 사용한 압력검출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두께 약 200㎛의 다이어프램(3)의 내측외표면에는, 금속세선 혹은 금속박(箔)의 저항선을 절연물로 덮어 필름형상으로 형성한 스트레인게이지부(16a)가 고착되어 있고, 또, 센서베이스(1)의 안쪽에는 저항변화를 검출하는 브릿지회로부(변환기)(16b)가 부착되어 있다.
또, 도 6의 압력검출기에서는, 다이어프램베이스(4) 등의 내부공간에는 실리콘오일 등이 충전되어 있지 않다.
또, 도 6의 압력검출기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부(16a)와 변환기(16b)를 별체로 한 금속스트레인게이지(16)가 사용되고 있지만, 양자를 합체시킨 구성의 스트레인게이지(16)를 다이어프램(3)의 내측외표면에 고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도 1 및 도 2에 기재한 실시예에 관한 압력검출기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다이어프램(3)을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후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을 형성한다.
동일하게, 센서베이스(1)를 형성하고, 그 칩삽입구멍(1a)내에 센서칩(2)을 삽입고착한다.
이어서,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베이스(1)를 도 2와 같이 서로 접하게 하고, 그 측벽면의 전체둘레를 TIG 용접법에 의해 용접(8)한다.
또, 상기한 용접(8)이 완료하면, 오일주입구멍(1b)안으로 압력전달매체(실리콘오일)(5)를 충전하고, 그 후 봉지체(보올)(6)를 센서베이스(1)에 용접(10)함으로써, 오일(5)을 밀봉한다.
본 실시예의 압력검출기(A)에 있어서는, 용접부(8)가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없으므로, 가스접촉면(3a)의 연마를 매우 균일하게 행할 수 있고, 그 결과, 크롬 100%의 산화부동태막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이어프램(3)과 다이어프램베이스(4)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용접부(8)가 1개소만으로 되고, 압력검출기(A)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압력검출기(A)의 종단면도이고, 다이어프램(3)과 다이어프램베이스(4)가 별체로 되어 있는 점이,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다르다.
즉, 다이어프램(3)은 두께 약 50㎛의 스테인레스강(SUS316L)에 의해 접시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압력검출기의 조립에 있어서는, 우선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다이어프램(3)을 도 3과 같이 조합하고, 그 후 다이어프램베이스(4)의 측부에 서의 양자의 접합면을 레이저용접 등에 의해 용접(9)한다.
그 후, 다이어프램베이스(4)에 용접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한다.
또, 그 후의 조립순서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제2실시예에서는 다이어프램베이스(4)에 다이어프램(3)을 용접한 후에, 그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먼저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하고, 그 후에 이것을 다이어프램베이스(4)에 용접(9)하도록 해도 좋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이어프램(3)을 별체로 해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용접부가 2개소가 된다라는 불리함은 있지만, 다이어프램의 형성이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압력검출기의 종단면도이고, 다이어프램(3)의 바깥둘레부와 다이어프램베이스(4)와의 서로 접하는 면에 땜납재(11)를 개재시키고, 양자를 납땜에 의해 고착하도록 한 점만이 상기한 제2실시예의 경우와 다르고, 그 밖의 구성은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상기한 도 3의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다이어프램(3)의 틈안으로 실리콘오일(5)이 침입할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오일(5)의 침입량의 변화에 따라, 압력검출기의 초기교정값이 바뀌게 되고,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이어프램(3)과 다이어프램베이스(4)를 조합할 때, 양자의 사이에 땜납재(11)를 미리 개재시켜 두고, 땜납재(11)를 가열해서 이것을 용융시켜, 다이어프램(3)의 바깥가장자리부를 베이스(4)에 납땜한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이어프램(3)의 바깥가장자리부가 다이어프램베이스(4)에 납땜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틈안으로 오일(5)이 침입하지 않고, 따라서 센서칩(2)에의 가압력에 변동(착오)을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압력검출기를 가스라인에 맞붙여 유체압의 검출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압력검출기(A)는, 고정구(14)를 몸체(15)에 고정함으로써, 누름부재(12) 및 베어링(13)을 개재해서 몸체(15)의 부착구멍(15a)안으로 유통을 막는 모양으로 고착되어 있다. 또, (17)은 가스접촉면을 크롬부동태처리 또는 불화부동태처리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처리된 메탈가스켓이다.
그리고, 유통구멍(15b)안의 유체압(B)은 구멍(15c)을 통해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가해지고, 실리콘오일(5)을 개재해서 센서칩(2)으로 이동해 간다.
도 6에 나타낸 금속스트레인게이지(16)를 이용한 압력검출기의 조립에 있어서는, 다이어프램베이스(4)에 설치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한 후, 다이어프램(3)의 내측외표면에 스트레인게이지부(16a)를 고착하고, 이어서 상기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베이스(1)를 조합해서 양자를 그 측벽면에서 용접(8)한다.
또, 다이어프램베이스(4)에 다이어프램(3)을 용접고정할 경우에도 동일하며, 우선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하고, 이어서 다이어프램(3)의 내측외표면에 스트레인게이지부(16a)를 고착하고, 마지막으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베이스(1)를 조합고정한다.
제1항 및 제2항의 발명에서는, 다이어프램베이스에 설치한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에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을 형성한 후, 다이어프램베이스와 센서베이스를 조합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결과, 센서베이스측에 고정한 센서칩에 고온에 의한 악영향을 전혀 주지않고,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에 의해 양질의 부동태막을 형성할 수 있고,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제품품질이 한층 향상된다.
또, 제3항 및 제4항의 발명에 있어서는, 다이어프램을 접시모양으로 형성하고, 다이어프램베이스의 측벽면에서 다이어프램을 다이어프램베이스에 용접함과 함께,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에 부동태막을 형성한 후, 다이어프램베이스와 센서베이스를 조합하고, 다이어프램베이스의 측벽면에서 양자를 용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결과, 다이어프램의 제작이 현저하게 용이해짐과 아울러, 센서칩에 고온에 의한 악영향을 주지않고 다이어프램의 가스접촉면에 양질의 부동태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제품품질이 한층 향상된다.
그리고, 제13항의 발명에 있어서는, 센서베이스와 다이어프램 바깥가장자리와의 사이를 땜납재에 의해 납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오일이 틈안으로 침입하는 등에 의한 압력검출값의 변동이 없게 되고, 압력검출기의 교정 등의 작업이 대폭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대로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14)

  1. 다이어프램베이스(4)에 설치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칩(2)을 내부에 수납고착한 센서베이스(1)를 조합고정하고, 또 상기한 센서베이스(1)와 다이어프램베이스(4)의 틈안으로 압력전달용 매체(5)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검출기.
  2. 다이어프램베이스(4)에 설치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베이스(1)를 조합고정하고, 또 상기한 다이어프램(3)의 내측외표면에 스트레인게이지부(16a)를 고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검출기.
  3. 접시모양으로 형성한 다이어프램(3)과 다이어프램베이스(4)를 조합해서 양자를 그 측벽면에서 용접(9)함과 함께, 상기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하고,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칩(2)을 내부에 수납고착한 센서베이스(1)를 조합해서 양자를 그 측벽면에서 용접(8)하고, 또 상기한 센서베이스(1)와 다이어프램베이스(4)와의 틈안으로 압력전달용 매체(5)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검출기.
  4. 접시모양으로 형성한 다이어프램(3)과 다이어프램베이스(4)를 조합해서 양자를 그 측벽면에서 용접(9)함과 함께, 상기한 다이어프램(3)의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하고, 가스접촉면(3a)에 부동태막(3b)을 형성한 다이어프램베이스(4)와 센서베이스(1)를 조합해서 양자를 그 측벽면에서 용접(8)하고, 또 상기한 다이어프램(3)의 내측외표면에 스트레인게이지부(16a)를 고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검출기.
  5. 제1항에 있어서, 부동태막(3b)을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으로 하도록 한 압력검출기.
  6. 제2항에 있어서, 부동태막(3b)을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으로 하도록 한 압력검출기.
  7. 제3항에 있어서, 부동태막(3b)을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으로 하도록 한 압력검출기.
  8. 제4항에 있어서, 부동태막(3b)을 산화크롬부동태막 또는 불화부동태막 혹은 주로 알루미늄산화물과 크롬산화물의 혼합산화부동태막으로 하도록 한 압력검출기.
  9. 제1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을 두께 약 50㎛의 스테인레스강제 다이어프램으로 하도록 한 압력검출기.
  10. 제3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을 두께 약 50㎛의 스테인레스강제 다이어프램으로 하도록 한 압력검출기.
  11. 제2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을 두께 약 200㎛의 스테인레스강제 다이어프램으로 하도록 한 압력검출기.
  12. 제4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을 두께 약 200㎛의 스테인레스강제 다이어프램으로 하도록 한 압력검출기.
  13. 제3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의 바깥가장자리와 다이어프램베이스(4)와의 사이를 납땜에 의해 고착하는 구성으로 한 압력검출기.
  14. 제4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3)의 바깥가장자리와 다이어프램베이스(4)와의 사이를 납땜에 의해 고착하는 구성으로 한 압력검출기.
KR1019970046192A 1996-09-10 1997-09-08 압력검출기 KR100258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38706 1996-09-10
JP23870696A JP3403294B2 (ja) 1996-09-10 1996-09-10 圧力検出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431A KR19980024431A (ko) 1998-07-06
KR100258678B1 true KR100258678B1 (ko) 2000-06-15

Family

ID=1703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192A KR100258678B1 (ko) 1996-09-10 1997-09-08 압력검출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16092A (ko)
EP (1) EP0828147B1 (ko)
JP (1) JP3403294B2 (ko)
KR (1) KR100258678B1 (ko)
CA (1) CA2215083C (ko)
DE (1) DE69707798T2 (ko)
IL (1) IL121664A (ko)
SG (1) SG53053A1 (ko)
TW (1) TW3424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4594B2 (ja) * 1999-08-05 2004-02-09 忠弘 大見 圧力検出器の取付け構造
JP2002071491A (ja) * 2000-08-25 2002-03-08 Denso Corp 圧力センサ
US6684709B2 (en) * 2001-10-29 2004-02-03 Dwight N. Johnson Pressure transducer with captured non compressible liquid volume defining neutral condition
US7981561B2 (en) 2005-06-15 2011-07-19 Ati Properties, Inc. Interco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ferritic stainless steels adapted for use with solid oxide fuel cells
US7842434B2 (en) 2005-06-15 2010-11-30 Ati Properties, Inc. Interco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ferritic stainless steels adapted for use with solid oxide fuel cells
US8158057B2 (en) 2005-06-15 2012-04-17 Ati Properties, Inc. Interco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ferritic stainless steels adapted for use with solid oxide fuel cells
KR20040024324A (ko) * 2002-09-13 2004-03-20 주식회사 케이이씨 압력센서 패키지
JP4085012B2 (ja) * 2003-02-13 2008-04-30 忠弘 大見 真空排気系用バルブ
JP3863505B2 (ja) 2003-06-20 2006-12-27 忠弘 大見 圧力センサ及び圧力制御装置並びに圧力式流量制御装置の自動零点補正装置
US8518234B2 (en) * 2003-09-03 2013-08-27 Ati Properties, Inc. Oxidation resistant ferritic stainless steels
JP2004045424A (ja) * 2003-09-22 2004-02-12 Tadahiro Omi 圧力検出器の取付け構造
JP2005241279A (ja) * 2004-02-24 2005-09-08 Fujikin Inc 耐食金属製流体用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流体供給機器
DE102004052950A1 (de) * 2004-10-29 2006-05-04 Endress + Hauser Gmbh + Co. Kg Druckaufnehmer mit hydraulischer Druckübertragung
DE102005020569B4 (de) * 2005-04-30 2010-08-05 Aesculap Ag Implantierbare Vorrichtung zur Erfassung von intrakorporalen Drücken
JP2009503454A (ja) * 2005-07-20 2009-01-29 ザ ティムケン カンパニー センサアセンブリ
JP5616591B2 (ja) * 2008-06-20 2014-10-2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基板処理装置
KR101151343B1 (ko) 2010-08-11 2012-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압력 센서
US8371176B2 (en) * 2011-01-06 2013-02-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dia isolated pressure sensor
DE102011102837A1 (de) 2011-05-30 2012-12-06 Epcos Ag Drucksens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ucksensors
JP5833936B2 (ja) * 2012-01-17 2015-12-16 株式会社不二工機 圧力センサ
US8516897B1 (en) 2012-02-21 2013-08-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essure sensor
DE102012210752A1 (de) * 2012-06-25 2014-01-23 Robert Bosch Gmbh Druckerfassungsmodul sowie Drucksensor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Druckerfassungsmodul
JP6115935B2 (ja) * 2013-01-25 2017-04-1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からなる時効熱処理加工材とそれを用いたダイヤフラムと圧力センサとダイヤフラムバルブ及び二相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US9454158B2 (en) 2013-03-15 2016-09-27 Bhushan Somani Real time diagnostics for flow controller systems and methods
JP6327633B2 (ja) * 2013-09-19 2018-05-2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からなるダイヤフラム
US9574961B2 (en) * 2014-04-09 2017-02-21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Humidity resistant senso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9915577B2 (en) * 2014-12-02 2018-03-13 Sensata Technologies, Inc. Case isolated oil filled MEMS pressure sensor
JP6449726B2 (ja) * 2015-06-17 2019-01-09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圧力センサ
JP6834405B2 (ja) * 2016-11-25 2021-02-24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油圧センサ取付構造
US10983537B2 (en) 2017-02-27 2021-04-20 Flow Devices And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low sensor back pressure adjustment for mass flow controller
DE102017212422A1 (de) * 2017-07-20 2019-01-24 Robert Bosch Gmbh Druck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11768123B2 (en) 2018-10-09 2023-09-26 Fujikin Incorporated Diaphragm type pressure sensor arrangement having corrosion resistance and yield strength
US11460363B2 (en) 2019-03-29 2022-10-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essure sens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 pressure sensor
JP2020197469A (ja) * 2019-06-04 2020-12-10 アズビル株式会社 封入液の封止装置
DE102020214796A1 (de) 2020-11-25 2022-05-2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nsors sowi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3819A (en) * 1978-09-22 1980-03-27 Hitachi Ltd Pressure detecting equipment
US4950499A (en) * 1987-01-27 1990-08-21 The Foxboro Company Method of making a compliant fluid-impermeable element
EP0381775B1 (en) * 1988-07-26 1994-11-2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Pressure sensor
KR930011091B1 (ko) * 1990-06-08 1993-11-20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압력 센서
US5243222A (en) * 1991-04-05 1993-09-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pper alloy metallurgies for VLSI interconnection structures
US5230248A (en) * 1991-07-12 1993-07-27 Rosemount Inc. Corrosion resistant isolator
US5569334A (en) * 1992-12-08 1996-10-29 Hitachi Metals, Ltd. Stainless steel member for semiconductor fabrication equipment and surface treatment method therefor
JPH0719981A (ja) * 1993-06-01 1995-01-20 Nippondenso Co Ltd 高温用圧力センサ
DE4435909C2 (de) * 1993-10-08 2000-06-15 Hitachi Ltd Druckmeßvorrichtung mit einer Membran
JP2987754B2 (ja) * 1996-01-17 1999-12-06 岩谷産業株式会社 高純度ガスの配管路での不動態化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42445B (en) 1998-10-11
JPH1082707A (ja) 1998-03-31
DE69707798D1 (de) 2001-12-06
EP0828147B1 (en) 2001-10-31
IL121664A0 (en) 1998-02-08
CA2215083C (en) 2001-10-16
EP0828147A2 (en) 1998-03-11
US6116092A (en) 2000-09-12
IL121664A (en) 2002-11-10
EP0828147A3 (en) 1998-09-23
SG53053A1 (en) 1998-09-28
CA2215083A1 (en) 1998-03-10
JP3403294B2 (ja) 2003-05-06
KR19980024431A (ko) 1998-07-06
DE69707798T2 (de)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678B1 (ko) 압력검출기
KR100401576B1 (ko) 압력검출기의 설치구조
JP2763518B2 (ja) 圧力センサ
JP3502807B2 (ja) 圧力センサ
KR100263357B1 (ko) 금속가스킷
US4675643A (en) Pressure transducer utilizing a transduction element
JP4185477B2 (ja) 圧力センサ
JP4719727B2 (ja) 圧力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圧力センサ
US8302459B2 (en) Thermal conductivity sensor
US7263895B2 (en) Strain det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6222090B2 (ko)
KR20210034084A (ko) 압력 센서
JP2552093B2 (ja) 圧力センサ
JP3370593B2 (ja) 圧力検出器の取付け構造
JPH01109230A (ja) 圧力検出器
JP3404563B2 (ja) 圧力センサ
JP3158354B2 (ja) 圧力検出装置
JPH05157649A (ja) 高耐蝕性圧力センサ
JP3533659B2 (ja) セラミックス電磁流量計
JP3158355B2 (ja) 圧力検出装置
JPH0328732A (ja) 圧力検出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43229A (ja) 圧力測定装置
JP2001215159A (ja) 半導体圧力センサ
JPH10311314A (ja) 部材間の固定用ばね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