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199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199B1
KR100258199B1 KR1019970076718A KR19970076718A KR100258199B1 KR 100258199 B1 KR100258199 B1 KR 100258199B1 KR 1019970076718 A KR1019970076718 A KR 1019970076718A KR 19970076718 A KR19970076718 A KR 19970076718A KR 100258199 B1 KR100258199 B1 KR 100258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substrate
gate electrode
region
mask patter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708A (ko
Inventor
김용남
안기웅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7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19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8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characterised by the angle between the ion beam and the crystal planes or the main crystal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4916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the conductor material next to the insulator being a silicon layer, e.g. polysilicon doped with boron, phosphorus or nitrogen
    • H01L29/4925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the conductor material next to the insulator being a silicon layer, e.g. polysilicon doped with boron, phosphorus or nitrogen with a multiple layer structure, e.g. several silicon layers with different crystal structure or grain arrangement
    • H01L29/4933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the conductor material next to the insulator being a silicon layer, e.g. polysilicon doped with boron, phosphorus or nitrogen with a multiple layer structure, e.g. several silicon layers with different crystal structure or grain arrangement with a silicide layer contacting the silicon layer, e.g. Polycid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01L29/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both lightly 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 doped drain [LDD] MOSFET, double diffused drain [DDD] MOSF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리콘 기판에 산소를 이온 주입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함으로써, 소자 분리막과 반도체 기판과의 단차를 없앨 수 있다. 둘째, 하나의 마스크와 Large Angle Tilt Implanted Drain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부를 절연막으로 평탄화하고 예정된 게이트 전극 영역의 절연막을 식각하여 요홈을 형성한 다음, 게이트 전극 물질을 매립하고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절연막상의 게이트 전극 물질을 제거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전극의 손상 및 브릿지를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공정없이 전체 구조를 평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기판상에 층간 절연막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전체 구조가 완전히 평탄화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적 소자를 구성하는 개별 소자를 전기적, 구조적으로 서로 분리하는 소자 분리 영역의 축소는 메모리 소자의 미세화 기술의 중요한 항목 중에 하나이다. 종래, 가장 널리 알려진 소자 분리 기술은 선택적 산화에 의한 로코스(LOCOS) 기술이다.
도 1은 종래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로코스(LOCOS) 기술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10)에 소자 분리막(11)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들 소자 분리막(11)에 의하여 정의된 반도체 기판(10)상의 활성 영역에 게이트 산화막(12) 및 폴리사이드층으로 된 게이트 전극(13)을 형성한 다음, 저농도의 n형 이온을 주입하여 저농도 접합 영역(14a)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게이트 전극(13)의 측면에 사이드월 스페이서(15)를 형성하고, 고농도의 n형 이온을 결과물상에 주입함으로써 전술한 저농도 접합 영역(14a)에 고농도 접합 영역(14b)을 형성한다. 그리고, 주입된 이온의 활성화를 위하여 열공정을 실시하여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완성한다.
계속해서, 전체 구조상에 층간 절연막(16)과 BPSG(BoroPhosphorSilicate Glass)막(17)을 증착하여 평탄화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로코스 기술을 이용한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은 열공정시 반도체 기판의 측면으로 산화막이 확장되는 버즈빅(Bird's beak)으로 인해, 필요 이상의 면적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공정은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한계가 있다.
둘째,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사이드층과 같은 게이트 전극 물질을 건식 식각하는 경우, 식각 가스에 의하여 게이트 전극의 측면이 손상되거나 불충분한 식각으로 인하여 브릿지(Bridge)가 발생한다.
셋째, 게이트 전극과 소자 분리막의 단차로 인하여 후속되는 금속 배선 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평탄화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평탄화 공정은 게이트 전극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BPSG막을 증착하고 플로우하거나 또는 플로우한 BPSG막을 에치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정된 소자 분리 영역의 반도체 기판내에 산소 이온을 주입하여 반도체 기판과 같은 단차로 평탄화된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부를 절연막으로 평탄화하고 예정된 게이트 전극 영역의 절연막을 식각하여 요홈을 형성한 다음, 게이트 전극 물질을 매립하고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절연막상의 게이트 전극 물질을 제거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전극의 손상 및 브릿지를 방지하고, 단순화된 공정으로 전체 구조를 평탄화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반도체 기판 11, 23: 소자 분리막
12, 28: 게이트 산화막 13, 29: 게이트 전극
14a, 25a: 저농도 접합 영역 14b, 25b: 고농도 접합 영역
15: 사이드월 스페이서 16, 26: 절연막
22: 아이소 마스크 패턴 24: 소오스/드레인 마스크 패턴
27: 게이트 전극용 마스크 패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먼저 반도체 기판상에 초기 산화막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예정된 소자 분리 영역이 노출되도록, 사진 공정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 1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내로 산소를 이온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내에 소자 분리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을 제거한다. 상기 소자 분리막 사이에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에서 고농도 접합 영역으로 예정된 영역이 개구되도록, 사진 공정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제 2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반도체 기판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주며, 다수의 회수로 분할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회전하면서 저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저농도 접합 영역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반도체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결과물상에 고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접합 영역과 오버랩된 고농도 접합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을 제거한다. 상기 결과물상에 소정 두께의 절연막을 증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 사이에 게이트 전극 영역으로 예정된 영역이 개구되도록,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요홈을 형성한다. 상기 결과물상에 소정 두께의 게이트 산화막 및 상기 요홈이 충분히 매립되도록 게이트 전극 물질을 차례로 증착한다. 상기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을 연마한다. 따라서, 상기 연마 공정으로 상기 요홈에만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이 매립된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반도체 기판상의 전체 구조가 평탄화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20)상에 초기 산화막(21)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사진 공정을 통하여 예정된 소자 분리 영역이 노출되도록 실리콘 기판 상에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ISO 마스크 패턴(22)을 형성한다. 이어서, 노출된 실리콘 기판(20)내로 산소를 이온 주입하여, 산소 이온과 실리콘이 결합된 소자 분리막(2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소자 분리막(23)은 버즈빅이 형성되지 않으며, 실리콘 기판과의 단차(20)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어서, ISO 마스크 패턴(22)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공정을 통하여 반도체 소자의 접합 영역으로 예정된 영역이 개구되도록 소오스/드레인 마스크(24)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그러나, 저농도 접합 영역에 고농도 접합 영역이 오버랩된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고농도 접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마스크가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저농도 및 고농도 접합 영역을 함께 형성한다.
먼저, 저농도 접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실리콘 기판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주며, 다수의 회수로 분할하여 실리콘 기판을 회전하면서 이온을 주입한다. 예를 들어, 실리콘 기판(20)에 대해 45。의 경사로 실리콘 기판(20)을 회전하면서 8번에 걸쳐 이온을 주입하여, 저농도 접합 영역(25a)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8가지 방향에서 불순물 이온 주입을 하여 저농도 접합 영역의 방향성을 없앤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하여 Large Angle Tilt Implanted Drain 구조라고 한다.
계속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20)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농도 이온을 주입하여 저농도 접합 영역(25a)에 고농도 접합 영역(25b)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열처리 공정으로 이들 접합 영역으로 주입된 이온을 활성화하여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완성한다.
이어서, 소오스/드레인 마스크 패턴(24)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결과물상에 소정 두께의 TEOS(Tetra ethyl ortho Silicate)막(26)을 증착한다. 이 TEOS막의 두께는 후속되는 연마 공정을 고려하여 예정된 게이트 전극의 두께보다 크다. 이어서, 게이트 전극의 형성을 위하여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 사이의 예정된 게이트 전극 영역이 개구되도록 게이트용 마스크 패턴(27)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새로이 마스크 패턴을 제작하지 않고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와 종래의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면 된다. 그런 다음, TEOS막(26)을 식각하여 요홈을 형성한다.
이어서, 반도체 소자의 문턱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한 다음, 세정 공정을 통하여 실리콘 기판을 세정한다. 계속해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구조상에 게이트 산화막(28)을 형성한 다음, 게이트 전극 물질인 폴리실리콘막(29a)과 텅스텐 실리사이드막(29b)을 차례로 증착한다.
그런 다음,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을 이용하여 TEOS막(26)이 노출될 때까지 텅스텐 실리사이드막(29b)과 폴리실리콘막(29a)을 차례로 연마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폴리실리콘막(29a)과 텅스텐 실리사이드막(29b)으로 요홈만이 매립되고, 이 매립된 패턴이 폴리사이드 구조의 게이트 전극(29)이 된다.
이에 따라,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체 구조를 평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평탄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공지된 바와 같이, 전체 구조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금속 배선 공정을 실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에 산소를 이온 주입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함으로써, 소자 분리막과 반도체 기판과의 단차를 없앨 수 있다.
둘째, 하나의 마스크와 Large Angle Tilt Implanted Drain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부를 절연막으로 평탄화하고 예정된 게이트 전극 영역의 절연막을 식각하여 요홈을 형성한 다음, 게이트 전극 물질을 매립하고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절연막상의 게이트 전극 물질을 제거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전극의 손상 및 브릿지를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공정없이 전체 구조를 평탄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5)

  1. 반도체 기판상에 초기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예정된 소자 분리 영역이 노출되도록, 사진 공정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 1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내로 산소를 이온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내에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소자 분리막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으로 예정된 영역이 개구되도록, 사진 공정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제 2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상에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상에 소정 두께의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 사이에 게이트 전극 영역으로 예정된 영역이 개구되도록,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요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상에 소정 두께의 게이트 산화막 및 상기 요홈이 충분히 매립되도록 게이트 전극 물질을 차례로 증착하는 단계;및
    상기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 공정으로 상기 요홈에만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이 매립된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반도체 기판상의 전체 구조가 평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은 저농도의 접합 영역에 고농도의 접합 영역이 오버랩된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으로 상기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반도체 기판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주며, 다수의 회수로 분할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회전하면서 저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저농도 접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및 상기 반도체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결과물상에 고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접합 영역에 고농도 접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접합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에 대해 45。 경사로, 8회에 거쳐 상기 반도체 기판을 회전하면서 저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 단계와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 단계 사이에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주입된 불순물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문턱 전압 조절을 위한 불순물의 이온 주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은 실리콘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티이오에스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9. 반도체 기판상에 초기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예정된 소자 분리 영역이 노출되도록, 사진 공정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 1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내로 산소를 이온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내에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소자 분리막 사이에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에서 고농도 접합 영역으로 예정된 영역이 개구되도록, 사진 공정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제 2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주며, 다수의 회수로 분할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회전하면서 저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저농도 접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결과물상에 고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상기 저농도 접합 영역과 오버랩된 고농도 접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상에 소정 두께의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 사이에 게이트 전극 영역으로 예정된 영역이 개구되도록,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요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상에 소정 두께의 게이트 산화막 및 상기 요홈이 충분히 매립되도록 게이트 전극 물질을 차례로 증착하는 단계;및
    상기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 공정으로 상기 요홈에만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이 매립된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반도체 기판상의 전체 구조가 평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 접합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에 대해 45。 경사로, 8회에 거쳐 상기 반도체 기판을 회전하면서 저농도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 단계와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 단계 사이에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주입된 불순물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문턱 전압 조절을 위한 불순물의 이온 주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은 실리콘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티이오에스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은 도핑된 폴리실리콘막 및 그의 상부에 텅스텐 실리사이드층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9970076718A 1997-12-29 1997-12-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58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718A KR100258199B1 (ko) 1997-12-29 1997-12-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718A KR100258199B1 (ko) 1997-12-29 1997-12-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708A KR19990056708A (ko) 1999-07-15
KR100258199B1 true KR100258199B1 (ko) 2000-06-01

Family

ID=1952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718A KR100258199B1 (ko) 1997-12-29 1997-12-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1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708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2565B2 (ja) 無接点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メモリアレイを製造する方法
US663553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NOR type flash memory device
JP2008227535A (ja) Sonos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及びその形成方法
JPH1126728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4964143A (en) EPROM element employing self-aligning process
JP200619684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72174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4266089B2 (ja)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025819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4391354B2 (ja) 側壁方式を用いたフラッシュメモリの形成方法
KR0161432B1 (ko) 소자분리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US6995060B2 (en) Fabrication of integrated circuit elements in structures with protruding features
US700885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D-type flash memory cell
US2007016697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US6586313B2 (en) Method of avoiding the effects of lack of uniformity in trench isolated integrated circuits
US683561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buried gate MOS semiconductor device having PIP capacitor
KR100800467B1 (ko) 스플릿 게이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16496A (ko) 반도체 소자의 스페이서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69277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제조방법
KR016119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H08264634A (ja) 半導体装置における分離形成方法
KR100280489B1 (ko) 반도체소자의분리구조형성방법
JP2003297944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615187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7142612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