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096B1 - 판상제품용 연속 건조기 - Google Patents

판상제품용 연속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096B1
KR100257096B1 KR1019920021284A KR920021284A KR100257096B1 KR 100257096 B1 KR100257096 B1 KR 100257096B1 KR 1019920021284 A KR1019920021284 A KR 1019920021284A KR 920021284 A KR920021284 A KR 920021284A KR 100257096 B1 KR100257096 B1 KR 100257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hain
plate
dry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511A (ko
Inventor
쿠스터 카스파
Original Assignee
에프. 아. 프라저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에른스트 알테르 (에. 알테르)
한스 페터 비틀린 (하. 페. 비틀린)
피. 랍 보프
브이. 스펜글러, 페. 아에글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아. 프라저,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에른스트 알테르 (에. 알테르), 한스 페터 비틀린 (하. 페. 비틀린), 피. 랍 보프, 브이. 스펜글러, 페. 아에글러 filed Critical 에프. 아. 프라저
Publication of KR93001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27Drying of printed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 F26B15/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 being carried by trays or holders supported by endless belt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판상 제품, 특히 액체 코팅된 인쇄 회로 기판용 연속 건조기는 가열 가능한 건조기 하우징(2)과, 이 하우징내에서 상승하고 상부 반환점(31)을 통과한 후 다시 하강하는 운송 경로(30,32)를 구비하고 있다. 운송하고자 하는 판상 제품(P)용 캐리어(5)는 순환 체인(4)에 고정되고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캐리어는 순환 체인(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건조기는 건조하고자 하는 판상 제품(P)을 위한 건조 공기(L)용 공급 도관(221)을 구비하고 있다. 공급 도관(21)은 캐리어(5)가 체인 링크로부터 돌출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판상 제품(P)위로 공급된 공기 유동을 유동시킬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판상제품용 연속 건조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건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board)를 위한 캐리어(carrier)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을 따라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IV-IV선을 따라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기판의 상향 운송 동안 3개의 연속된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
제5(a)도는 3개의 캐리어를 제5도의 화살표 Va에서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VI 부분을 상세하게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제7도는 기판의 하향 운동 동안 3개의 연속된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VIII 부분을 상세하게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1도의 IX-IX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체인에 작용하는 힘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제1도의 XI-XI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제11도의 XII-XII선을 따라 상세하게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속 건조기 4 : 순환체인
5 : 캐리어 30,32 : 운송 경로
50,51 : 측면 바아 53 : 지지 부재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판상 제품(flat piece material)용 연속 건조기(continuous dri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 코팅된 인쇄 회로 기판(liquid-coated printed circuit board) 등과 같은 판상 제품용 연속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연속 건조기는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가공기술에 있어서 이미 산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지의 연속 건조기는, 예를 들면 DE-A-3 239 868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명세서에 설명된 건조기의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건조기의 상부 측면상에 액체 코팅된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건조 대상물로서의 판상 제품은, 건조기의 런인 스테이션(run-in station)내로 수평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진행은, 예를 들면 수평 런인 경로(horizontal run-in path)로 설명되는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런인 스테이션에서,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 측면에는 순환 체인 컨베이어(endless chain conveyor)에 연결된 캐리어가 부착되고, 이 캐리어에 의해 롤러 컨베이어로부터 위쪽으로 들어올려진다.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을 고정시키는 체인을 갖는 체인을 갖는 체인 컨베이어는 폐쇄된 순환 경로를 형성하고, 이 폐쇄 순환 경로의 일부분은 각각의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운송 경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캐리어에 의해 런인 롤러 컨베이어로부터 들어올려진 인쇄 회로 기판은, 먼저 체인이 둥글게 감기고 다시 아래쪽으로 안내되는 상부 회전 위치(upper turning site)에 도달할때까지 상향으로 운송된다. 따라서, 캐리어가 둥글게 감긴 후에는 인쇄 회로 기판도 다시 아래쪽으로 안내된다. 인쇄 회로 기판을 운반하는 하향 안내 캐리어(downwardly guided carrier)가 기판용 수평 연장 런아웃 롤러 컨베이어(horizontally extending run-out roller conveyor)를 가진 런 아웃 스테이션(run-out station)이 배열된 임의의 레벨 아래를 통과할 때, 인쇄 회로 기판은 캐리어가 아래쪽으로 더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런아웃 롤러 컨베이어 상에 남아 있게 된다. 런아웃 롤러 컨베이어상에 놓인 기판은, 위에서 아래로 다가오는 다음 캐리어가 런아웃 롤러 컨베이어의 레벨에 도착하기 전에 런아웃 스테이션으로부터 이송된다. 기판이 실리지 않은(이하 “하적(unloaden)”) 캐리어는 아래쪽으로 계속 안내되어, 하부 회전 위치에서 둥글게 회전되고, 다시 위쪽으로 안내되며, 런인 스테이션에서 런인 롤러 컨베이어로부터 다른 인쇄 회로 기판을 들어올리는 것과 같은 사이클을 반복한다.
캐리어에 의한 운송이 시작되면서, 기판이 런인 롤러 컨베이어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상기 기판은, 런인 스테이션과 런아웃 스테이션이 제공된 하부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건조기의 상부 하우징 부분으로 상향 운송 경로를 통과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 부분에는, 상술한 운송 기구(인쇄 회로 기판을 운반하는 캐리어를 구비한 체인 컨베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구멍과, 운송 기구 위에 놓여있는 기판을 제외하고, 하부 하우징 부분과 상부 하우징 부분을 분리하는 기초 분리벽(base separating wall)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 부분들의 분리는 주로 열분리(thermal separation)를 위한 것이고: 운송 경로내에 있는 인쇄 회로 기판이 상부 하우징 부분에 위치할 때, 기판을 건조하기 위하여, 캐리어의 상향 이동중에는 체인 컨베이어의 체인으로부터 캐리어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캐리어의 하향 이동중에는 체인 컨베이어의 체인으로부터 캐리어가 돌출하는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기판위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DE-A-3 239 868에 따라서, 가열공기가 기판위로 전달된다. 이를 위하여, 공기는 런아웃 스테이션이 배열된 측면으로부터 상부 하우징 부분에 공급되고 런인 스테이션에 배열된 측면상에서 다시 흡인(suction)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기판이 하우징 부분을 통과한 후에 런아웃 스테이션에 도달할 때, 이 스테이션에서 기판은 다시 상당히 낮은 온도에 의해 냉각된다.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이러한 건조기와 다른 유사한 건조기가 대체로 기능적으로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이 건조기들은 여전히 교정해야 할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건조기의 경우에 있어서,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은 보통 미리 증기가 제거되며, 다시 말해서 건조기내에 있는 코팅된 기판을 충분히 건조할 정도로, 실질적인 건조 작업전에, 예를 들면 땜납 와니스(solder varnish)와 같은 코팅 혼합물(coating composition)내에 함유된 상당량의 용제(solvent)가 미리 제거된다. 이를 위해서, 보통 건조기의 상류에 증기 제거 스테이션을 배치할 필요가 있지만, 이 스테이션은, 첫째 추가의 기술 노력과 상당한 추가 비용을 포함하며, 둘째 분리 공간을 필요로 한다. 공지된 건조기는, 건조기를 통과하여 기판을 운송하는 소위 “래크(rack)”라고 하는 캐리어가 운송 체인에 구성 및 고정되는 방식에 있어서 또 다른 문제를 갖고 있다. EP-A 0 070 805호에는, 각 래크들이 관련 링크의 중간에 정확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 또한 그들이 대체로 고르게 로딩되어 있지 않다면, 체인의 각 링크나 운송 체인의 각 링크들의 연결핀이 매우 불균일하게 로딩되는 문제점이 이미 지적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명세서에 공지된 건조기의 경우에 있어서, 래크들은 두 개의 연속 래크가 이 연속 래크의 톱니나 래크 자신들이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서로 비교적 상당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 결과로, 건조기를 통과하여 기판을 차례로 운송할 수 있는 건조기의 용량 또는 “패킹 밀도(packing density)”는 상당히 제한된다. 다른 문제점으로서, DE-A-3 239 868호에 기재된 공기 유동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 있으며, 이 방법은 코팅된 기판을 불균일하게 그리고 종종 부적절하게 건조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유동은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위에서 래크가 체인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이나 이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전달된다. DE-A-3 239 868호에서, 상기 문제점은, 하향 운송 경로가 위치된 측면상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즉 먼지 아래쪽으로 운송되는 기판위에 공기를 전달하며, 그후 하향 운송 경로가 위치된 측면상에서 흡인에 의해 다시 공기를 제거하기 전에 하향 운송 경로가 위치된 측면상에서 위쪽으로 운송되는 기판위에 공기를 전달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즉, 건조 공기는, 이 공기가 흡인에 의해 다시 제거되기 전에 수개의 기판위로 비교적 긴 경로를 따라 전달된다. 예를 들어, 소용돌이 효과(swirling effect)와 같은 건조 공기유동내의 상당한 불균일성(unevenness)과 변동(fluctuation)이 비교적 긴 공기 경로를 따라 일어날 수도 있으며, 이것은 기판의 불균일이나 불충분한 건조를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건조기의 단점들을 제거한 연속 건조기를 제안하며, 다시 말해서 비교적 짧은 공기 경로와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위에서 고른 공기 유동을 부여하는 연속 건조기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서로를 방해하는 연속 래크들을 구비하지 않고도,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의 높은 패킹 밀도가 가능한 건조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단일 장치내에서 그리고 동일 장치내에서 증기 제거와 건조작업을 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공급 도관에 의해 공급된 공기 유동이 캐리어가 체인 링크로부터 돌출된 방향을 가로질러 판상 제품위를 유동하도록, 건조 공기용 공급 도관을 배치하는 본 발명에 따라서 해결된다. 그 결과, 공기 경로를 짧게 할 수 있고 공기 유동을 관련된 기판 위로 고르게 전달하여 기판의 양호한 건조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배치에 있어서, 공급 도관은 판상 제품용 운송 경로와 옆으로 인접하게 배열되고 건조기 하우징에 합체된다. 특히 이로운 건조기의 배치에 있어서, 공기 유동은 연속된 캐리어들 사이에 형성된 슬롯을 통과하여 건조하고자 하는 판상 제품위로 전달된다.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의 높은 패킹 밀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다른 배치방법으로서, 체인 링크에 고정된 각 캐리어들은, 체인과 마주하는 캐리어들의 기초 단부에서 연결 스트립(connecting strip)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측면 바아(lateral bar)를 포함한다. 이 측면 바아들에는 V형상의지지 부재가 고정되고, 이 지지 부재의 단부는 다른 측면 바아상에서 지지 부재의 방향을 가리킨다. V형상의 지지 부재의 두 단부중에서, 한 단부는 상부 측면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관련된 측면 바아의 하부 측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건조기에 있어서, 캐리어는 운송 체인의 각 링크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어의 두 개의 각 측면 바아는 거의 U형상을 이루며, 그 아암은 다른쪽 바아를 향하고 있다. 지지 부재는, 이 지지 부재의 한쪽 단부가 U형상의 아암의 외벽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관련 측면 바아의 다른 아암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식으로 측면 바아에 연결된다. 지지 부재의 두께와 측면 바아의 폭은 운송 체인의 링크 길이를 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연속 캐리어를 가능한 접근시킬 수 있고, 연속 캐리어를 U아암의 외벽에 고정된 지지 부재의 단부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코팅될 기판의 패킹 밀도를 높이는데 관해서도 양호하다. 또한, 연속된 캐리어들 사이의 거리 때문에, 기판의 액체 코팅된 면은 다음 캐리어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 위로 공기 유동을 운송할 수 있도록 두 캐리어 사이에 틈이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가능한 체인 링크와 캐리어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지지 부재의 두께의 측면 바아의 폭은 체인 링크의 길이를 넘지 말아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운송 경로는 서로 평행하게 순환하는 3개의 상호 연결 링크 컨베이어에 의해 형성된 두 개의 3중 체인을 포함한다. 가장 바깥쪽의 링크 컨베이어는 안내수단내에서 순환하고 전체 3중 체인을 안내하도록 작용한다. 다른 두 개의 링크 컨베이어에서, 캐리어는 하나의 3중 체인의 중간 링크 컨베이어에, 동시에 다른 3중 체인의 가장 안쪽의 링크 컨베이어에 교대로 연결되고, 그 결과, 각 체인 링크는 캐리어와 연결된다. 또한, 각 체인 링크의 연결핀들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압축력, 또는 모멘트가 서로를 보상하는 식으로 캐리어와 체인이 결합되어, 전체 “래크 패킷(rack packet)”을 안정시키며 체인에 추가의 인장력과 압축력 또는 모멘트가 가해진다면 있을 수 있는 것보다 상당히 낮은 정도까지 체인을 로딩시킬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판상 제품용 지지 스트립들은 측면 바아의 기초 단부 근처에 배치되고, 각각은 두 개의 캐리어의 두 개의 연속 측면 바아들 사이에서 관련된 대향 측면 바아에 각각 연장되어 있다. 이들 지지 스트립은 기판 형태의 판상 제품이 상기지지 스트립에 대해 지지되며 특히, 지지 스트립은 둥글게 감길 수 있다.
먼저, 기판을 예비 가열하고 그후 가장 뜨거운 건조 영역을 통과한 후에 대기 온도로 서서히 돌아가게 하기 위하여, 건조기 하우징내에는 서로 열적으로 분리되고 다른 온도로 가열되는 수개의 영역이 제공된다. 따라서, 온도 영역은 운송 경로의 제1위치에서 예비 가열 영역을 구비하고, 이 영역의 온도는, 예를 들어 약 30 내지 70℃의 범위이고, 다음 영역에서 가열 공기 영역을 구비하며 그 온도는, 예를 들면 약 80 내지 110℃의 범위이고, 마지막으로 냉각 영역을 구비하며, 그 온도는, 예를 들면 약 15 내지 30℃의 범위이다.
온도 영역은 하우징의 측면 몸체로부터 측면 바아까지 연장된 분리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벽은 립형 밀봉체(lip-like seals)를 구비하고, 캐리어의 측면 바아는, 상기 립형 밀봉체와 협동하여 각 온도 영역의 상호 열분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밀봉체를 지나서 전달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일부는 개략적으로 도시함)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건조기(1)는, 상향 운송 경로(30)와 상부 반환점(31) 이후에 다시 내려오는 하향 운송 경로(32)를 포함하는 건조기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운송 경로는 거의 수직하게 뻗어 있는 순환 체인(4)을 포함하며, 이 순환 체인에는, 예를 들어 기판(P)과 같은 건조하고자 하는 판상 제품을 위한 캐리어(5)가 고정되어 있다. 캐리어(5)는 순환 체인(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연속 건조기는, 여기서는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건조 공기용 공급 도관(21: 제9도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건조기에서,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P)이 건조기로 운반되는데, 예를 들어 기판이 화살표 E방향으로 건조기내의 롤러 컨베이어(R1)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순환 체인(4)에 고정되어 이 체인(4)과 함께 움직이는 캐리어(5)가 롤러 컨베이어(R1)의 아래쪽에서 접근하여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P)을 롤러 컨베이어(R1)로부터 들어올리고 기판을 위쪽으로 운송한다. 캐리어의 로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체인(4)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기판(P)을 화살표 E방향으로 롤러 컨베이어(R1)상에서 건조기로 진행시킨 후, 캐리어(5)가 롤러 컨베이어(R1)의 아래쪽에서 다가와 롤러 컨베이어(R1)로부터 기판(P)을 들어올린 후에 체인(4)이 다시 구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캐리어(5)의 양호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기판(P)이 건조기를 통하여 운송되는 동안에 캐리어(5)상에 놓이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캐리어(5)는 기판(P)을 반환점(31)까지 위쪽으로 운송한다. 이 반환점(31)을 지나서, 운송된 기판(P)은 앞으로 뒤집혀, 다음 하향 운송동안 바로 앞의 캐리어 위에 놓이게 된다. 캐리어(5)가 위에 기판(P)을 가진 채로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캐리어는 롤러 컨베이어(R2)의 위치에 도달한 후에도, 캐리어(5)는 아래쪽으로 계속 이동되나 기판(P)은 롤러 컨베이어(R2)상에 남아있고, 이 롤러 컨베이어상에서 기판은 화살표 A방향으로 건조기 밖으로 운송된다. 롤러 컨베이어(R2)상의 기판(P)은 위쪽에서 접근하는 다음 캐리어가 롤러 컨베이어(R2)의 높이에 도달하기 전에 제거된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순환 체인(4)이 계속해서 구동할 수 있도록 충분히 높은 운송 속도로 구동하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기판(P)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판(P)이 롤러 컨베이어(R2)에 전달되자마자 순환 체인(4)의 구동을 중단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인(4)의 구동이 중단된 동안에, 기판(P)은 롤러 컨베이어(R2)로부터 화살표 A방향으로 운송될 수 있다. 결국, 체인(4)은 보통 간헐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P)이 입구쪽에서 건조기내로 들어가고, 이때 동시에 건조된 기판(P)은 출구쪽에서 건조기 밖으로 나오는 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기판이 건조기를 통과하여 운송되는 동안에, 건조 공기는 캐리어(5)가 체인(4)으로부터 돌출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기판(P)위를 유동한다. 건조 공기는 상기 방향에 수직하게, 즉 제1도에 따르면 도면 안쪽으로 또는 도면 바깥쪽으로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기판(P)위를 유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짧은 공기 경로와 공기 유동의 균일성을 가능하게 하고, 기판의 건조에 특히 유익하다.
공기 유동의 전달 방법을 더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먼저 캐리어(5)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데, 이것은 상기 배치 형태에서 공기 유동을 전달하는 것이 특히 유용하며, 또한 높은 패킹 밀도와 관련하여 특히 이롭기 때문이다. 제2도는 상기 캐리어(5)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캐리어(5)는, 장착된 상태에서 체인(4)과 마주하는 캐리어의 기초 단부에서 연결 스트립(5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측면 바아(50,51)를 포함한다. 측면 바아(50,51)에는 실질적으로 V형상을 이루는 지지 부재(53)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53)는 그들의 정점(530)이 다른쪽 측면 바아를 향하는 식으로 측면 바아(50,51)에 고정되어 있다. V형상 지지 부재(53)의 단부(531,532)들 중에서 하나는 측면 바아(50,51)의 상부쪽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측면 바아의 하부쪽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53)의 단부(531,532)들은, 제2도의 IV-IV선에 따라 캐리어(5)를 도시한 제4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단부(50,51)의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측면 바아(50,51)는 거의 U형상을 이루며 그것의 아암(501,502,511,512)들은 각각 다른쪽 측면 바아를 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53)의 한쪽 단부(531)는 각각 아암(501)과 아암(111)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 부재(53)의 다른쪽 단부(532)는 각각 아암(502)과 아암(512)의 외벽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53)의 두께와 측면 바아의 폭(B)은 체인(4)의 링크의 길이를 넘지 않는다. 가능한 큰 패킹 밀도를 얻고자 한다면, 캐리어(5)는 가능한 서로 접근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제한된 경우에 있어서, 지지 부재(53)의 두께와 측면 바아의 폭(B)의 합은 체인 링크의 길이에 정확하게 상응한다. 측면 바아의 바깥쪽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부재(53)의 단부(532)는, 연속 측면 바아들 사이에 슬롯(55)이 형성되도록 연속 측면 바아들 사이에서 스페이서 부재(spacer member)로서 작용한다. 지지 부재(53)상에 놓인 코팅된 기판을 건조하는 건조 공기는 이 슬롯을 통하여 공급된다.
제2도의 III-III선을 따라 도시한 제3도에서는, 여기서는 하나만을 도시한 지지 스트립(54)이 측면 바아(50,51)의 기초 단부 근처에 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도에 명확하게 도시된 각각의 지지 스트립(54)은, 두 개의 캐리어의 두 개의 연속 측면 바아들 사이에 배열되고 한쪽 측면 바아(50)로부터 다른쪽 측면 바아(51)에 걸쳐 뻗어있다. 특히 캐리어(5)가 운송 경로의 상향 반환점(31) 영역에 도달할 때, 건조하고자 하는 운송된 기판(P)은 지지 스트립(54)에서 받쳐지게 된다.
지금까지는 캐리어(5)의 지지 부재(53)상에 놓이는 기판(P)을 설명하지 않고 캐리어(5)만을 설명하였다. 상향 운송중에 있는 3개의 연속 캐리어를 도시하는 제5도에서는 기판(P)(명확함을 위하여 오직 하나의 기판(P)만을 도시함)이 캐리어(5)의 지지 부재(53)상에 어떻게 놓이는지를 도시한다. 도시한 배치를 통하여 매우 높은 패킹 밀도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5(a)도에는 공기가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위로 전달되는 기본적인 방법이 도시된다. “자유”단부(532)는, 슬롯(55)을 형성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연속 측면 바아들 사이에서 스페이서 부재로서 역할한다. 건조 공기는 이 슬롯(55)을 통하여 그리고 도시된 기판(P) 위로 유동한다. 제5(a)도에서, 공기는 도면 안쪽 또는 도면 바깥쪽 중 어느 한쪽으로 유동한다.
제5도의 VI 부분을 제6도에서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다. 기판(P)은 이 기판의 측면 경계부에서만 지지 부재(53)상에 놓여 있는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기판(P)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측면 경계부까지 코팅되지 않기 때문에, 기판(P)은 코팅되지 않은 영역에서만 지지 부재상에 놓인다. 건조 공기는 지지 부재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슬롯(55)을 통하여 공급되어 캐리어(5)가 체인(4)(제1도와 관련하여 참조)으로부터 돌출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기판(P)위를 유동함으로써 기판을 건조시킨다.
제5도와 유사하게, 제7도에서는 3개의 연속 캐리어를 도시하나, 이 경우에는 하향 운송중을 도시한 것이며, 이는 제5도에 따른 상향 운송중의 상황과 비교하여, 단부(532)가 측면 바아(51)의 바깥쪽에 고정된 곳에서 기판이 지지 부재(53)상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반환점(31)(제1도 참조)을 통과할 때 기판(P)은 앞의 캐리어쪽으로 뒤집어진다. 기판(P)이 지지 부재(53)상에 놓이는 방식은, 건조 공기 유동이 항상 기판의 코팅된 측면상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이러한 건조가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제8도는, 기판(P)이 지지 부재(53)상에 놓이는 방식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제7도의 VII 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다.
기판이 건조기를 통과하여 운송되는 방법에 관하여 상술한 설명뿐만 아니라, 기판(P)을 건조하기 위해 공기 유동이 기판(P) 위에서 어떻게 운송되는지를 설명한다. 공기 유동은 캐리어(5)가 체인(4)으로부터 돌출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기판(P)위로 전달되고, 이로써 짧은 공기 경로와 고른 공기 유동이 가능하다는 점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되었다. 기판을 매우 효과적으로 건조하기 위하여, 건조기 하우징내에는 상이한 온도들로 가열되는 영역이 제공된다. 이 영역(Z1,Z2, Z3)들은 제1도에 이미 도시되어 있다. 온도 영역(Z1,Z2, Z3)은 서로 열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각 온도 영역에는 건조 공기를 위한 독립된 공급 도관이 제공된다. 기판이 건조기(1) 안으로 들어갈 때, 기판은 먼저 운송 경로의 제1위치내의 영역(Z1)을 통과하고, 상기 영역은 예비 가열 영역(preheating zone)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 영역의 온도는 본 실시예에서 약 30 내지 70℃ 범위이고, 특히 50℃가 양호하다. 그후 기판(P)은 고온 공기 영역의 형태일 수 있는 영역(Z2)을 통과하며, 이 영역의 온도는 약 80내지 110℃ 범위, 특히 약 90℃의 온도이다. 마지막으로, 기판은 약 15 내지 30℃의 범위, 특히 약 25℃의 온도를 갖는 냉각 영역을 형성하는 영역(Z3)을 통과한다. 기판이 냉각 영역을 통과할 때, 기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 컨베이어(R2)상을 통과하여 밖으로 운송된다. 각 영역에서의 상술한 온도는 단지 실시예일 뿐이며, 또한 온도는 기판의 재료, 사용된 코팅 화합물 등에 따라 다른 범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도의 IX-IX선을 따라 도시한 제9도에서는, 각 온도 영역들이 서로 열적으로 분리되어 있음을 볼 수 있고, 또한 상기 도면은, 예를 들어 건조 공기가 공급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건조 공기는 건조기의 아래쪽 절반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입구(20)를 거쳐 공급되고, 이 입구는, 예를 들어 공기 공급관(도시 안됨)이 연결될 수도 있다. 입구(20)를 통과하여 유입된 공기는 공급 도관(21)을 통과하여 화살표 L을 따라 캐리어의 측면 바아로 유동한다. 립형 밀봉체(lip-like seal: D)를 구비한 측면 바아와 마주하는 캐리어의 단부에는 분리벽(W1,W2: 제1도 참조)이 제공되고, 이 밀봉체를 지나서 캐리어(5)의 측면 바아가 운송된다. 화살표 L을 따라 공급된 공기는 연속 캐리어(5)들 사이의 슬롯(55)을 통과하여 기판(P)위를 지나 유동(제5(a)도 참조)함으로써 기판을 건조시킨다. 다른 한편, 공기는 대응 슬롯(55)을 통과하여 배출 및 제거된다. 제거된 공기 중 일부는 입구로 다시 공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완전히 새로운 공기가 공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의 공급과 제거는 다른 온도 영역들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배치에 있어서, 각 캐리어(5)들은 특별한 방법으로 체인(4)에 고정되어 있다. 처음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체인 안내수단(chain guideway)이나 체인 링크 및 이 체인의 연결핀들은 모든 힘이나 운동을 흡수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가능한 고르게 체인(4)의 각 링크의 연결핀들을 적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EP-A-0 070 805호에 이미 제시되어 있다. 주로 제10도를 참조하여 본원에서 다시 설명한다. 캐리어 상에 놓인 기판(P)은 이 기판의 무게에 의해 캐리어를 화살표 P1방향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힘이 화살표 K1a 방향으로 체인(4)의 연결핀(41)에 작용한다. 동일 기판의 작용에 의해, 힘이 화살표 K1b 방향으로 연결핀(42)에 작용한다. 화살표(P2, K2a, K2b, P3, K3a, K3b)를 따라 연결핀(41,42,43)상에 작용하는 힘도 같이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가 가능한 고르게 부착되어 있고 캐리어는 각각의 체인 링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체인(4)의 연결핀 상의 힘은, 정상적인 상황에서, 서로 완전하게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되고, 이로써 “래크 패킷(rack packet)”을 안정화시키며, 체인(4)과 체인 안내수단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그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11도는 제1도의 XI-XI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며, 여기서는 캐리어(5)와 결합된 체인(4)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캐리어(5)는 각각의 체인 링크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캐리어(5)는, 예를 들면 나사식 핀(45: threaded pin)과 너트(46)에 의해 체인(4)에 고정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결 스트립(52)내에는 드릴구멍(520,521)이 제공(제4도)되고, 이 구멍을 통하여 나사식 핀(45)이 끼워져 너트(46)에 의해 체인(4)에 고정된다. 체결 방법이 제12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은 제11도의 XII 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2도는 두 개의 3중 체인(47)을 포함하는 운송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3중 체인(47)은 서로 나란하게 진행하는 3개의 상호 연결 링크 컨베이어(471,472,473)를 포함하고, 각 링크 컨베이어들은 연결핀에 의해 서로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장 외측의 링크 컨베이어(471)는 안내수단내에서 회전하고 운송 및 구동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캐리어(5)는 다른 두 개의 링크 컨베이어(472,473)에 고정된다. 캐리어(5)는, 항상 하나의 3중 체인의 중간 링크 컨베이어(472)와 다른 체인의 가장 안쪽 링크 컨베이어(473)에 고정되어 있다. 제12도에 있어서, 캐리어(5)는 중간 링크 컨베이어에서 3중 체인(47)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3중 체인(도시 안됨)에서는 가장 안쪽의 링크 컨베이어(473)에 고정된다. 3중 체인(47)에 교대로 체결할 수 있도록, 제4도에 도시된 캐리어의 다음에 이어진 캐리어는 파선으로 도시된 형태이며, 다시 말해서 다음 캐리어는 한쪽 단부에서 약간 더 길고 캐리어를 3중 체인에 고정하기 위한 드릴구멍(522)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캐리어는 다른쪽 단부에서 약간 짧고, 거기에서 3중 체인에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드릴구멍(523)이 구비되어 있다. 3중 체인(47)에 캐리어를 교대로 체결함으로써, 캐리어가 가능한 모든 체인 링크에 높은 패킹 밀도로써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높은 패킹 밀도에 관련하여 유리하다. 체인 링크가 반환점 영역을 통과할 때, 하나의 캐리어와 체인 링크가 함께 둥글게 회전하는 동안, 다음 체인 링크는 아직 꽤 둥글게 회전할 필요는 없다. 캐리어들이 가능한 서로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캐리어를 3중 체인에 고정하기 위한 제안된 방법이 특히 유리하나, 더욱이, 캐리어를 3중 체인에 체결하는 상기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체인에 작용하는 힘을 양호하게 분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물론 3중 체인은 캐리어가 특정 체인의 볼트들의 각 쌍들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특별한 체인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상술한 연속 건조기는, 예를 들면 땜납 와니스로 한쪽 측면이나 양쪽 측면상에 코팅된 인쇄 회로 기판을 건조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동시에 기판에는, 건조기 내에 머무는 기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건조기내에서 증기가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독립된 증기 제거 스테이션을 가질 필요가 없다. 상당히 유익한 것으로서, 건조하고자 하는 각 기판 위로 건조 공기가 비교적 짧은 경로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동이 매우 균일함으로, 이것은 각 기판이 고르게 우수하게 건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장점으로서, 건조하고자 하는 기판의 높은 패킹 밀도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한편으로 캐리어의 양호한 구조에 의해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3중 체인에 의한 캐리어의 체결과 운송에 의해 실현된다. 다른 장점은 건조기 하우징을 상이한 온도 영역들로 분할함으로써 기판이 서서히 가열되고 다시 냉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판 재료의 신중한 처리를 보장하는데도 특히 유리하다. 한편, 종래의 건조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키는 데도 유리하다.

Claims (8)

  1. 액체 코팅된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판상 제품(P)용 연속 건조기에 있어서, 가열가능한 건조기 하우징(2)과, 이 하우징내에서 상기 판상 제품(P)을 들어올리는 상향 운송 경로(30)와, 상부 반환점(31)을 지난후 다시 판상 제품을 하강시키는 하향 운송 경로(32)와, 상기 판상 제품(P)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공기(L)를 위한 공급 도관(21)을 포함하며, 상기 운송 경로는 하우징내에서 수직하게 뻗어 있으며 판상 제품(P)을 운송하기 위한 캐리어(5)를 고정하는 순환 체인(4)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는 순환 체인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며, 상기 공급 도관(21)은, 이 공급 도관에 의해 공급된 공기 유동이 판상 제품(P)위에서 캐리어(5)가 체인 링크로부터 돌출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체인(4)의 링크에 고정된 각 캐리어(5)들은, 체인을 향한 캐리어의 기초 단부에서 연결 스트립(52)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측면 바아(50,51)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바아(50,51)에는 실질적으로 V형태의 지지 부재(53)가 고정되며, 이 지지 부재(53)의 정점은 다른 측면 바아의 방향을 향하며, 상기 V형상 지지 부재(53)의 두 개의 단부(531,532)들 중 하나는 상측에 고정되며, 다른쪽은 관련된 측면 바아(50,51)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제품용 연속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기(L)용 공급 도관(21)은 판상 제품(P)을 위한 운송 경로(30,31,32)의 옆에 인접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제품용 연속 건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는 체인(4)의 각 링크에 고정되고, 상기 캐리어의 두 개의 각 측면 바아(50,51)는 U형상을 이루며, 측면 바아의 아암(501,502,511,512)은 서로를 향하며, 상기 지지 부재(53)의 한쪽 단부(532)는 한쪽 U형상 아암(502,512)의 외벽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부(531)는 관련된 측면 바아(50,51)의 다른쪽 U형상 아암(501,511)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부재(53)의 두께와 측면 바아(50,51)의 폭(B)은 체인(4) 링크의 길이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제품용 연속 건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경로는 서로 평행하게 순환하는 3개의 상호 연결 링크 컨베이어(471,472,473)을 각각 구비하는 두 개의 3중 체인(47)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컨베이어들 중 가장 바깥쪽 링크 컨베이어(471)는 안내수단내에서 순환하고, 다른 두 개의 링크 컨베이어(472,473)에서, 캐리어(5)는 하나의 3중 체인의 중간 링크 컨베이어(472)에, 동시에 다른 3중 체인의 가장 안쪽의 링크 컨베이어(473)에 이어 교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제품용 연속 건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제품(P)을 위한 지지 스트립(54)들은 측면 바아의 기초 단부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각 측면 바아들은 두 개의 캐리어(5)의 두 개의 연속 측면 바아(50)들 사이에서 관련된 대향 측면 바아(51)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제품용 연속 건조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하우징(2)내에는, 상이한 온도롤 가열되며 서로 열적으로 분리되는 수개의 영역(Z1,Z2, Z3)이 제공되고, 상기 각 온도 영역에는 건조 공기(L)용 독립 공급 도관(2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제품용 연속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영역은, 운송 경로중의 제1위치에서 첫 번째 영역인 예비 가열 영역(Z1)을 구비하고, 이 영역에서 온도는 약 30 내지 70℃의 범위이고, 다음 영역인 고온 공기 영역(Z2)에서는 약 80 내지 110℃의 범위이고, 최종 냉각 영역(Z3)은 약 15 내지 3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제품용 연속 건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영역(Z1,Z2, Z3)은 하우징의 측면 몸체로부터 측면 바아까지 연장된 분리벽(W1;W2)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벽에는 립형 밀봉체(D)가 제공되며, 이 밀봉체를 지나서 캐리어(5)의 측면 바아(50,51)가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제품용 연속 건조기.
KR1019920021284A 1991-11-14 1992-11-13 판상제품용 연속 건조기 KR100257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1810881.2 1991-11-14
EP91810881A EP0541879B1 (de) 1991-11-14 1991-11-14 Durchlauftrockner für flächenförmiges Stück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511A KR930010511A (ko) 1993-06-22
KR100257096B1 true KR100257096B1 (ko) 2000-06-01

Family

ID=820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284A KR100257096B1 (ko) 1991-11-14 1992-11-13 판상제품용 연속 건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39537A (ko)
EP (1) EP0541879B1 (ko)
JP (1) JP3341217B2 (ko)
KR (1) KR100257096B1 (ko)
AT (1) ATE125032T1 (ko)
DE (1) DE59105990D1 (ko)
ES (1) ES2074691T3 (ko)
TW (1) TW2245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014B1 (ko) 2011-07-22 2011-12-08 주식회사 대영테크 글라스 패널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33024T1 (de) * 1992-09-09 1996-01-15 Ciba Geigy Ag Vorrichtung zur beschichtung von plattenförmigem gut, insbesondere von leiterplatten
ATE133531T1 (de) * 1992-09-28 1996-02-15 Ciba Geigy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idseitigen beschichtung von plattenförmigem stückgut
JP3049981B2 (ja) * 1992-12-04 2000-06-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部品の電極形成システム
US5672512A (en) * 1994-12-12 1997-09-30 Johnson & Johnson Clinical Diagnostics, Inc. Chain incubator/conveyor and method of use
KR19990068663A (ko) * 1999-06-09 1999-09-06 이근원 낚시대자동코팅장치
KR100868348B1 (ko) * 2007-08-24 2008-11-12 김제성 건조기
JP2011120991A (ja) * 2009-12-09 2011-06-23 Tdk-Lambda Corp 硬化装置
JP7240818B2 (ja) * 2018-04-24 2023-03-16 Jfe建材株式会社 乾燥装置
CN108712821B (zh) * 2018-06-04 2020-08-28 湖州旭源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夹紧式pcb板贴片机
CN112179110B (zh) * 2020-10-10 2022-02-18 内蒙古万众炜业科技环保股份公司 一种防破碎型煤生产用均匀受热烘干成型系统
KR102404208B1 (ko) * 2021-02-25 2022-06-02 (주)한양씨앤씨 프리플로우 컨베이어 방식 직접 인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72267A (ko) *
US864493A (en) * 1905-04-22 1907-08-27 George W Swift Jr Drying and counting mechanism.
DE448186C (de) * 1925-06-11 1927-08-13 Carl Weber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Furnieren
US1736866A (en) * 1925-09-14 1929-11-26 Charles Wagner Litho Machinery Drying apparatus for plates of metal and other material
US1692294A (en) * 1926-04-27 1928-11-20 Crown Cork & Seal Co Rack for drying ovens
GB574761A (en) * 1944-02-16 1946-01-18 John Arthur Johnson Improvements relating to means for drying ceramic ware
DE1604944A1 (de) * 1966-05-14 1970-04-30 Jaschke Geb Magyera Aurelia Trockner fuer plattenfoermiges Trockengut
US4058908A (en) * 1973-05-22 1977-11-22 Erich Weber Apparatus for drying flat printed material
US4390093A (en) * 1981-03-30 1983-06-28 Drying Systems, Inc. Apparatus for conveying sheets such as veneer having improved wicket construction
JPS60232473A (ja) * 1984-04-27 1985-11-19 橋本電機工業株式会社 熱風乾燥機に於ける送風区分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014B1 (ko) 2011-07-22 2011-12-08 주식회사 대영테크 글라스 패널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41879B1 (de) 1995-07-12
EP0541879A1 (de) 1993-05-19
JP3341217B2 (ja) 2002-11-05
JPH05256573A (ja) 1993-10-05
TW224562B (ko) 1994-06-01
DE59105990D1 (de) 1995-08-17
KR930010511A (ko) 1993-06-22
US5339537A (en) 1994-08-23
ES2074691T3 (es) 1995-09-16
ATE125032T1 (de) 199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096B1 (ko) 판상제품용 연속 건조기
KR100275233B1 (ko) 보드형 피스재료의 양면 코팅 방법 및 장치
JPS5831852A (ja) 移送装置
EP1926385B1 (en) Device for treating elongate food products with a conditioned airflow
JPH01502406A (ja) 縁支持された基板の処理装置
US8151392B2 (en) Method for smoothing articles of clothing, and tunnel finisher
US5113785A (en) Transport device for boards, especially those having a sensitive surface
US201401374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work pieces
US1615237A (en) Conveyer for a drier
US20020000050A1 (en) Apparatus for and process of drying articles
AU684375B2 (en) Drying device with improved guide for rotary cut wood veneer
JP2539213B2 (ja) ベニヤ単板の熱処理装置
CA1072484A (en) Plant for treating materials comprising a housing with conveyor means for moving horizontally arranged flexible carriers in vertical direction
US4776106A (en) Dryer for photosensitive material
JPH0616072B2 (ja) エ−ジング装置
JP3030439B2 (ja) ウイケット式コンベア
US3235059A (en) Manipulative conveyor system for elongated articles
CN114593566B (zh) 一种烘干设备
US684776A (en) Clothes-drier.
US2726459A (en) Board kiln for drying box boards and like wooden pieces
KR20230152052A (ko) 종이 튜브 건조용 건조기 및 건조 유닛
SU1260648A1 (ru) Сушильна камера
JPS62208260A (ja) 海苔乾燥方法および装置
FI81714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kylning av livsmedelsmaterial.
SU14390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аковывани групп неустойчивых штучных предметов в термоусадочную пленк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