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729B1 - 선불카드 인화지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선불카드 인화지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729B1
KR100256729B1 KR1019930003004A KR930003004A KR100256729B1 KR 100256729 B1 KR100256729 B1 KR 100256729B1 KR 1019930003004 A KR1019930003004 A KR 1019930003004A KR 930003004 A KR930003004 A KR 930003004A KR 100256729 B1 KR100256729 B1 KR 10025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id card
ultra
card
reflective film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217A (ko
Inventor
도미타후미오
Original Assignee
도미타 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미타 후미오 filed Critical 도미타 후미오
Publication of KR93002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6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base or auxiliary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6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base or auxiliary layers
    • G03C1/95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base or auxiliary layers rendered opaque or writable, e.g. with inert particulate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Silver Salt Photography Or Processing Solution Therefor (AREA)

Abstract

[목적] 색얼룩이 없는 양질의 화상을 매수에 관계없이 염가로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한 선불카드 인화지를 얻는 것이다.
[구성] 감광되어 있지 않은 극박반사형 필름을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일체적으로 구성함.

Description

선불카드 인화지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선불카드 인화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선불카드 인화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선불카드 인화지의 제조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4도는 일본국 실개소 63-191067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선불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51 : 카드본체 2,21 : 극박(極薄) 반사형 필름
2a : 폴리에틸렌 필름베이스 2b,12 : 반사형 필름층
3,13 : 점착층 22 : 박리지 권취로울
23a,23b : 압착로울 24 : 콘베이어
25 : 화이트 카드 26 : 타발된 화이트 카드
27 : 필름권취로울 52 : 寫眞乳劑
본 발명은, 선불(先拂:Pre-paid)카드 인화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화상이 부착된 선불카드를 최고의 화질로, 보다 간단하게, 보다 염가로 네카티브필름에 의하여 1매로부터 작성가능한 선불카드 인화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불카드는, 기업선전 또는 점포등의 개점축하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많이 있으며, 선불카드의 표면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원하는 디자인을 인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사용자의 기호 또는 목적에 부합하는 디자인을 선불카드의 표면에 인쇄한다고 하는 요구에 대하여, 현재는 제인된 원화로 되는 사진을 네가티브필름으로서 이용하여, 전용기계에 의하여 「적」,「녹」,「청」,「흑」등의 여러종류의 색깔의 잉크 리본에 의하여 전사되지 않은 선불 카드(화이트카드라고 말하고 있슴)에 전사하여, 동일한 화상이 프린트된 복수의 선불카드를 얻고 있다.
제4도는, 일본국 실개소 63-191067호 공보에 개시된 선불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단면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부호(51)는 카드본체로서, 자기정보를 기억하기위한 자기정보 기록층을 가지고 있다. 부호(52)는 상기 카드본체(51)의 한쪽면에 도포된 사진유제(寫眞乳劑)이다.
이 일본국 실개소 63-191067호 공보에 개시된 선불카드는, 카드본체(51)의 표면에 사진유제를 도포함으로써, 선불카드를 인화지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의 사진유제는, 상술한 원화로 되는 사진을 네가티브 필름으로 사용하고, 전용기계에 의하여 「적」,「녹」,「청」,「흑」등의 여러 종류의 색의 잉크리본에 의하여 상기 원화로 되는 사진의 화상을 전사되지 않은 선불카드에 전사하고, 동일한 화상이 프린트된 복수의 선불카드를 제작하기 위한 것임은 이해가능하다.
또한, 현재 NTT(일본 전신전화회사)등에서 판매하고 있는 사진화상이 부착된 공중전화카드나 JR(일본 철도회사)등에서 판매하고 있는 사진화상이 부착된 전철카드의 제조방법은,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것이다.
즉, 통상의 칼라페이퍼(칼라 인화지)에 프린트한 후, 프린트 표면에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하고, 또한 뒤의 낱개층판을 떼어내고, 칼라페이퍼 자체를 보다 얇게 한다. 그리고, 이 얇아진 칼라 페이퍼를 접착제에 의하여 화이트카드에 접착하고 있다. 또는, 얇은 모양의 칼라페이퍼 또는 티탄층까지 벗겨지는 칼라페이퍼에 프린트를 한후, 그 프린트면에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하여 화이트카드에 접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전용기계에 의하여 화이트카드로 불리우는 프린트되어 있지 않은 선불카드에 원화상을 전사하는 것으로는, 전사되는 선불카드 매수가 다수매인 경우에는 전사비용이 염가로 되어 바람직한 반면, 소수매의 경우에는 전사비용이 고액으로 되고, 단가가 뛰어오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용기계는 잉크리본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색얼룩이 발생해 버려서 세부가 불선명하고, 콘트라스트에도 결함이 있어서, 양질의 화상을 전사할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전사되지 않은 선불카드의 표면에 사진유제를 도포하고, 선불카드의 표면에 사진유제층을 안정한 상태로 확실하게 정착하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않고, 안정한 사진유제층을 선불카드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통상의 칼라페이퍼에 프린트한후, 프린트표면에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하고, 뒤의 낱개층판을 떼어내고, 칼라페이퍼 자체를 보다 얇게하고, 접착제에 의하여 화이트카드에 접착하는 방법, 또는, 얇은 모양의 칼라페이퍼 또는 티탄층까지 벗겨지는 칼라페이퍼에 프린트를 한후, 그 프린트면에 라미네이트 가공을 실시하여 화이트카드에 접착하는 방법으로는, 제작공정이 많아서 제작에 시간이 걸리고, 또한 제작단가면에서도 고액으로 되어버리고 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색얼룩이 없는 양질의 화상을 매수에 관계없이 염가로 프린트할수 있는 선불카드 인화지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발명은, 색얼룩이 없는 양질의 화상을 매수에 관계없이 염가로 프린트할수 있는 선불카드 인화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선불카드 인화지는, 극박(極薄)반사형 필름을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발명의 선불 카드인화지는, 감광되어 있지 않은 극박반사형 필름을, 그 극박반사형 필름의 베이스뒷면과 선불카드의 표면의 사이에 형성된 고착층에 의하여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발명의 선불카드 인화지는, 감광되어 있지 않은 극박반사형 필름을, 그 극박반사형 필름의 플레에틸렌 필름베이스 뒷면에 형성된 고착층에 의하여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발명의 선불카드 인화지의 제조법은, 뒷면에 고착층이 형성된 베이스를 가지는 감광되지 않은 극박반사형 필름과 선불카드를 압착하고, 상기 고착층에 의하여 상기 극박반사형 필름과 상기 선불카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그 선불카드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타발(打拔)금형에 의하여 선불카드의 주위를 따라서 상기 극박반사형 필름을 타발함으로써 선불카드 인화지를 제조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 있어서의 선불 카드인화지는, 극박(極薄)반사형필름을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극박반사형 필름과 선불카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양질의 화상을 프린트할수 있는 층이 선불카드이 표면에 안정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되고, 양질의 화상을 프린트할수 있는 선불카드가 얻어진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의 선불카드인화지는, 감광되어 있지 않은 극박반사형 필름을, 그 극박반사형 필름의 베이스뒷면과 선불카드의 표면의 사이에 형성된 고착층에 의하여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극박반사형필름과 선불카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양질의 화상을 프린트할수 있는 선불카드의 표면에 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양질의 화상을 프린트할수 있는 선불카드가 얻어진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의 선불카드인화지는, 감광되어 있지 않은 극박반사형 필름을, 그 극박반사형 필름의 폴리에틸렌 필름베이스 뒷면에 형성된 고착층에 의하여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극박반사형필름과 선불카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양질의 화상을 프린트할수 있는 선불카드의 표면에 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양질의 화상을 프린트할수 있는 선불카드가 얻어진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따른 선불카드 인화지의 제조법은, 뒷면에 고착층이 형성된 베이스를 가지는 감광되지 않은 극박반사형 필름과 선불카드를 압착하고, 상기 고착층에 의하여 상기 극박반사형 필름과 상기 선불카드를 일체적으로 고착하고, 선불 선불카드의 주위를 따라서 상기 극박반사형 필름을 타발하므로, 선불카드 인화지가 연속하여 용이하게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선불카드 인화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는 카드본체로서, 자기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자기정보기록층을 가지고 있다. 부호(2)는 극박반사형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필름 베이스(2a)와, 그 폴리에틸렌 필름 베이스(2a)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형 필름층(2b)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3)은 점착층으로서, 폴리에틸렌 필름 베이스(2a)의 뒷면과 카드본체(1)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점착층(3)은, 폴리에틸렌 필름 베이스(2a)의 뒷면에 미리 도포되거나, 또는 카드본체(1)의 표면에 도포된 것이면 좋고,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 베이스(2a)를 카드본체(1)의 표면에 강력한 접착제에 의하여 맞붙여서, 극박반사형 필름(2)과 카드본체(1)가 벗겨지지않도록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점착층(3)은, 폴리에틸렌 필름 베이스(2a)의 뒷면 또는 카드본체(1)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한 접착층이어도 좋다.
또한, 극박반사형 필름(2)에 화학적, 물리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극박반사형 필름(2)을 카드본체(1)에 맞붙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라면 상기 점착층이나 접착층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선불카드 인화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부호(11)는 카드본체로서, 자기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자기정보기입층을 가지고 있다. 부호(12)는 반사형 필름층, 부호(13)는 반사형 필름층(12)을 카드본체(11)의 표면에 점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점착층이다.
이 점착층(13)은, 상기 반사형 필름층(12)을 카드본체(11)의 표면에 강력한 점착력에 의하여 맞붙여서, 극박반사형 필름(12)과 카드본체(11)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카드본체(11)의 표면에는 반사형 필름층(12)만이 맞붙여져 있기 때문에, 카드본체의 두께가 바뀌지 않고, 공중전화카드 또는 전철카드로서 사용하여도 문제점은 없다.
또한, 점착층(13)은 접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접착층이어도 좋고, 또는, 반사형 필름층(12)에 화학적, 물리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반사형 필름층(12)을 카드본체(11)에 맞붙이는 것이 가능한 것이라면 상기 점착층이나 접착층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선불카드 인화지에 프린트하는 것에는, 인화용의 통상의 네가티브필름이면 좋고, 또한 프린트하기 위한 특별한 장치는 불필요하며, 사진점에서 행하는 통상의 인화작업에 의하여 프린트가능한 것이다.
다음에, 선불카드 인화지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이 선불카드 인화지의 제조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부호(21)는 로울 형상으로 감긴 극박반사형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필름베이스와, 그 폴리에틸렌 필름베이스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형필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필름베이스의 뒷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점착층에는 박리지가 맞붙여져 있다.
부호(22)는 박리지 권취로울, 부호(23a) 및 (23b)는 압착로울, 부호(24)는 콘베이어로서 화이트카드(25)를 1매씩 상기 압착로울(23a),(23b)의 사이로 보내어 넣는다.
부호(26)는 타발된 화이트카드, 부호(27)는 화이트카드가 타발된 후의 화이트카드와 동일형상의 구멍이 연속하여 뚫린 극박반사형필름을 권취하는 필름권취로울이다.
이 선불카드 인화지의 제조방법은, 콘베이어(24)에 의하여 연속하여 반송되어 오는 화이트카드가 극박반사형 필름과 함께 압착로울(23a),(23b)의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화살표 X의 방향으로 보내진다.
압착로울(23a),(23b)으로부터 나온 극박반사형 필름에는 화이트카드가 같은 간격으로 고착되어 있으며, 압착로울(23a),(23b)과 필름권취로울(27)의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화이트카드의 주위를 타발금형에 의하여 타발한다. 이 결과, 극박 반사형필름이 한쪽의 면에 점착된 화이트카드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극박반사형필름을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극박반사형필름과 선불카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선불카드의 표면에 양질의 화상을 프린트할수 있는 층을 안정하게 형성하였으므로, 선불카드에 양질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데에는, 프린트하고자 하는 화상을 극박반사형 필름에 광학적으로 전사하면 좋고, 양질의 화상이 염가로 프린트될수 있는 선불카드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극박반사형필름과 선불카드를 압착하여, 베이스의 뒷면에 형성된 고착층에 의하여 상기 극박반사형필름과 상기 선불카드를 일체적으로 고착하고, 그후 선불카드의 주위를 따라서 상기 극박반사형필름을 타발하기 때문에, 선불카드인화지가 연속하여 용이하면서도 염가로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감광되어 있지 않은 극박(極薄)반사형필름을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인화지.
  2. 감광되어 있지 않은 극박반사형 필름을, 그 극박반사형 필름의 베이스 뒷면과 선불카드의 표면의 사이에 형성된 고착층에 의하여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인화지.
  3. 감광되어 있지 않은 극박반사형 필름을, 그 극박반사형 필름의 폴리에틸렌 필름베이스 뒷면에 형성된 고착층에 의하여 선불카드의 표면에 맞붙여서,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인화지.
  4. 뒷면에 고착층이 형성된 베이스를 가지는 감광되어 있지 않은 극박반사형 필름과 선불카드를 압착하고, 상기 고착층에 의하여 상기 극박반사형 필름과 상기 선불카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그 선불카드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타발(打拔)금형에 의하여 선불카드의 주위를 따라서 상기 극박반사형 필름을 타발함에 의한 선불카드 인화지의 제조방법.
KR1019930003004A 1992-03-02 1993-03-02 선불카드 인화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56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449992 1992-03-02
JP92-44499 1992-03-02
JP4258809A JP2585170B2 (ja) 1992-03-02 1992-08-15 プリペイドカード印画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92-258809 1992-08-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217A KR930020217A (ko) 1993-10-19
KR100256729B1 true KR100256729B1 (ko) 2000-06-01

Family

ID=1269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004A KR100256729B1 (ko) 1992-03-02 1993-03-02 선불카드 인화지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85170B2 (ko)
KR (1) KR100256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783A (ja) * 1994-04-14 1995-12-22 Fumio Tomita 印画紙カー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0987U (ko) * 1987-02-17 1988-08-26
JPH0297935A (ja) * 1988-10-04 1990-04-10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307227A (ja) 1993-11-19
JP2585170B2 (ja) 1997-02-26
KR930020217A (ko) 199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0747B1 (en) Form with detachable card, support and covering material therefo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720499A (en) Adhesive label
JPH0629874U (ja) パウチ
CA1215260A (en) Method for making overhead projection transparency
KR100256729B1 (ko) 선불카드 인화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H0651425A (ja) プリペイドカード印画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76870A (ja) 板状枠体付きicキャリア、その製造方法およびicキャリアケース
JP3077818U (ja) ウィンドウステッカー
JP3685232B2 (ja) 記録媒体補助シート
JP2003050547A (ja) ラベル付き商品明細書
JPH1071788A (ja) 磁気カードの製造方法
JP2513460Y2 (ja) 転写シ―ト
JPH09297537A (ja) 隠蔽ラベル及び隠蔽ラベルの製造方法
JP2573903Y2 (ja) 名 刺
JP2639618B2 (ja) 表示部材の作成方法
JPS6235834A (ja) ラミネ−トラベルの製造方法
JPH11165496A (ja) 記録用受像体及びプリンタ装置
JPH10268775A (ja) タイヤ用表示ラベル連続体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S595266A (ja) 表示シート群の製造方法
JPH0872444A (ja) カード用台紙
JP3103312B2 (ja) 印刷カード
JP2002029186A (ja) スクラッチシ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257679A (ja) 印画物
JPS6372583A (ja) 印刷・複写物の転写方法
JPH04107064U (ja) 熱転写用ohpシート作成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