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006B1 - 차폐된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차폐된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006B1
KR100256006B1 KR1019920006856A KR920006856A KR100256006B1 KR 100256006 B1 KR100256006 B1 KR 100256006B1 KR 1019920006856 A KR1019920006856 A KR 1019920006856A KR 920006856 A KR920006856 A KR 920006856A KR 100256006 B1 KR100256006 B1 KR 100256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t
shielded
conductive layer
anode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001A (ko
Inventor
엠. 맥길 테렌스
Original Assignee
다릴 엘. 지머
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릴 엘. 지머, 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다릴 엘. 지머
Publication of KR92002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7Means associated with the outside of the vessel for shielding, e.g. magnetic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차폐된 CRT(18) 디스플레이는 CRT(18)를 둘러싸고 그들로부터 전자방출을 억제하기 위한 2차 차폐 엔클로저(12)를 포함한다. 2차 차폐 디스플레이내의 1차 차페 엔클로저(14)는 CRT(18)로부터의 전자방출을 억제하기 위해 CRT(18)의 목부(22)와 동축인 부분을 갖는다. CRT(18)는 내부 애쿼아닥, 와이어 마스크, 및 인광물질 코팅으로 구성된 내부 도전층을 포함한다. 이 내부 도전층은 전자방출을 억제하기 위해 리액턴스성 통로를 통해 접지에 접지된다. 이러한 2중 차폐 억제 기술은 CRT(18)의 면의 외부 차폐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Description

차폐된 음극선관
제1도는 차폐된 CRT 디스플레이의 사시도.
제2도는 세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그 일부가 절취되어 있는 제1도의 CRT 디스플레이의 배면 사시도.
제3도는 차폐된 CRT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간략도.
제4도는 차폐된 CRT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좀더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제5도는 세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2차 엔클로저(enclosure)커버의 상부가 제거되어 있는 제1도의 CRT 디스플레이의 평면도.
제6도는 세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1차 차폐부가 절취되어 있는 제1도의 CRT 디스플레이의 배면도.
제7도는 제1도의 CRT 디스플레이의 제2의 애노드 필러 어셈블리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차폐된 CRT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도파관 목 차폐체의 대체 실시예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차폐된 CRT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도파관 목 차폐체의 다른 대체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2차 엔클로저 14 : 1차 엔클로저
16, 108 : 목 차폐체 17 : 구멍
18 : CRT 20 : 애노드 필터 어셈블러
22 : 목부 28 : 애쿼아닥
30 : 인광물질 코팅 32 : 픽셀 마스크
본 발명은 음극선관(CRT)으로 부터의 전자방출을 억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면 차폐를 사용하지 않고 음극선관 디스플레이로 부터 고주파(RF) 방출을 억제하기 위한 차폐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전자발생 요소를 포함하는 차폐된 엔클로저(enclosure)의 벽에 CRT 디스플레이를 위한 구멍은 전위차폐에 대한 결함을 유발시키게 된다. 상기 요소들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에너지는 거의 감쇠되지 않는 상태로 구멍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구멍을 통한 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와이어 메시 또는 얇은 균질의 층, 예컨대 인듐주석 산화물 또는 금속성 금의 형태를 갖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도전성 스크린이다. 상기 도전성 스크린은 CRT 의 외부면을 덮고, 구멍의 전체 주변에 접착됨으로써 고주파 방출 발생 요소를 완전하게 둘러싸는 차폐 엔클로저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외부 스크린을 이용하게 되면 CRT 디스플레이의 픽셀 피치(pixel pitch), 해상도 및 휘도가 저하되게 된다. 아울러, 와이어 메시의 기하학적 주기와 돗트 매트릭스 CRT 인광물질의 기하학적 구조의 상호작용에 의해 “노이즈(noise)”패턴이 형성된다. 이러한 것은 고해상도 칼라 모니터에서 문제가 된다. 균질의 도전성 필름을 이용하면 적당한 차폐를 제공키 위한 두께에서 광학적 투명도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와이어 메시나 얇은 균질층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게 되면 값이 비싸며 종종 CRT 디스플레이의 무게 및 물리적 크기를 증가시키는 도전성 모니터 엔클로저에 대한 전기적 접착이 필요로 된다. 또한, 모니터의 외관 및 조작상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광학적 해상도 및 비디오 대역폭이 증가함으로써 칼라 CRT 모니터의 외부차폐에는 명백히 제한이 주어지게 된다.
외부 도전성 스크린을 사용치 않고 CRT 디스플레이의 구멍 및 면(face)을 통한 전자방출을 억제하는데 이용되는 한 방법이 그린(Green)에게(1988.8.30일) 허여되어 허니웰 인코포레이티드(Honeywell Inc.)에 양도된 “CRT 디스플레이용 RF 방출차폐”라는 명칭을 갖는 미합중국 특허 제4,767,969호에 공개되어 있다. 여기에는 RF 고주파가 구멍 및 CRT 디스플레이면을 통해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CRT 엔빌로프의 목부분(neck portion)에 위치되는 차폐체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차폐체는 CRT 로부터의 방출을 억제하기 위한 종방향 도체 및 원형 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4,767,969호에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은 단일 차폐 방법이 CRT 디스플레이면을 통한 전자방출을 감소시키기는 하지만 외부 스크린의 사용없이도 필요한 차폐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억제기술이 필요로 된다.
본 발명의 차폐된 CRT 는 CRT의 디스플레이면과 관련된 내부도전층을 갖는 CRT이다. 차폐된 엔클로저는 상기 CRT를 둘러싸고 그 CRT의 디스플레이면이 연장하는 구멍을 갖는다. CRT의 내부도전층은 리액턴스성 접지통로를 통해 접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CRT의 도전층은 애노드 신호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애노드 신호라인은 그 신호 라인에 대한 애노드 필터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차폐된 CRT는 목부와 비차폐된 디스플레이면을 갖는 CRT를 포함한다. 2차 차폐는 음극선관을 둘러싸는 것으로 그들로부터의 전자방출을 억제한다. CRT의 디스플레이면은 2차 차폐부의 구멍을 통해 연장한다. 상기 2차 차폐부의 내부에 있는 1차 차폐부는 CRT의 목부와 동축인 차폐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부면 차폐에 대한 필요성 없이 디스플레이면과 2차 차폐의 구멍을 통한 전자방출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1차 차폐부는 CRT에 연결되는 비디오 회로와 상기 목부와 동축인 부분을 둘러싸는 차폐된 엔클로저를 포함한다. 상기 목부와 동축인 부분은 원통형의 연속적 도체 도파관을 포함한다. 상기 도파관은 CRT의 발산 및 편향 코일의 위치의 함수로서 원통형 도파관 내에 위치되는 다수의 분리된 종방향 도체 핑거(finger)를 포함한다.
도면을 통해 동일한 부호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분을 표시한다.
이하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당업자를 위해 충분히 상세히 기재되었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제1∼9도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차폐된 CRT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차폐된 CRT 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다. 바람직하게, 이것은 소니(Sony) 모델 1950 고해상도 칼라 모니터이며, SonyTrinitromGraphic Display Monitor GDM-1950/1952 Service Manual 에 기재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이용되었으며, 그 일부가 칼라 모니터로부터의 전자방출 억제를 위한 기술에 의해 변경되어 있다.
CRT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면(26)(제1도)과, 1차 엔크롤저(14)와 2차 엔클로저(12)(제2도)를 포함한다. 차폐된 CRT 디스플레이는 제3도 및 제4도에 계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차폐된 CRT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면의 부가적 외부 차폐의 필요성을 없애기 위해 2중 차폐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CRT 디스플레이(10)는 CRT 엔빌로프(24)를 통해 디스플레이면(26)에 접속되는 목부(22)를 갖는 CRT (18)를 포함한다. 제1의 차폐는 미합중국 특허 제4,767,969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1차 차폐 엔클로저(14)에 의해 성취되는 바, 그것의 내용도 참고로 본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1차 엔클로저(14)는 비디오 증폭기 회로(40)를 둘러싸고, CRT(18)의 목부(22)와 동축으로 위치되는 도파관 목 차폐체(16)를 포함한다. 이목 차폐체는 2 ㎓ 보다 작은 차단 주파수 이하에서 작동되는 도파관으로서 작용하는 원통형 도전표면이다. 비디오 파장과 관련된 주파수에서의 에너지 전달은 도파관으로 인해 크게 감소되며, 따라서 이주파수에서 1차 엔클로저로부터의 방사가 제한된다.
이중 차폐 기술의 제2의 레벨은 1차 엔클로저(14)와 CRT(18)를 둘러싸는 2차 차폐 엔클로저(12)를 이용한다. CRT 디스플레이면(26)은 2차 엔클로저(12)의 구멍(17)을 통해 연장한다. CRT 엔빌로프(24)의 내부 표면에 접한 CRT(18)의 내부에 있는 도전성 애쿼아닥(aquadag)(28), 도전성 픽셀 마스크(32), 그리고 도전성 인광물질 코팅(30)은 제2의 애노드 필터(20)를 통해 섀시 접지(34)에 접속되어 전자를 방출하는 방사기를 둘러싸는 2차 도전 엔빌로프를 완성한다. 특히, 2차 차폐는 1차 차폐수단에 의해 억제되지 못한, 터널 및 그리드 어셈블리로부터 병사하는 전자파를 억제한다. 이러한 이중 차폐 억제 기술은 CRT 디스플레이면(26)을 위한 부가의 외부적인 광학적으로 투명한 도전 스크린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러한 디스플레이면의 외부차폐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면 디스플레이의 광학적 해상도가 개선되게 된다. 아울러, 외부 도전 스크린을 도전성 디스플레이 엔클로저에 전기적으로 정밀하게 접착하는데 요구되는 비용 및 노동이 피해질 수 있다. 이에따라, 방사 장벽(vadiation barrier)은 그것이 종래의 위치, 즉 CRT 면의 앞쪽에서 CRT 면의 뒤쪽으로 이동한다. 물론, 방출 억압 효과가 감소될 것이라는 것을 감수한다면, 상기 차폐 기술중 어느것이나 별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니 모델 1950 고해상도 칼라 모니터의 변경에 관한 사항이 이제 제1∼9도를 참고로 세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모든 칼라 모니터는 내부스크린(또는 소니의 경우에는, 와이어 마스크)를 이용하여 3색 전자 비임의 분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칼라 CRT의 내부스크린 또는 와이어 마스크 및 내부 도전 엘레멘트를 이용하여 CRT 디스플레이로부터의 RF 방출의 개선된 억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칼라 CRT 디스플레이를 참고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적당한 변경에 의해 어떠한 CRT 디스플레이에도 이용될 수 있다.
외부스크린 또는 균질의 도전성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RF 방출을 감소시키는, 소니 모델 1950 칼라 모니터를 참고로 설명되는, 변경 및 개선은 소니 모델 1900 및 1600 시리즈 칼라 모니터 및 미쯔비시 1400 시리즈 고해상도 칼라 모니터에 한정됨이 없이 다른 칼라 디스플레이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칼라 모니터의 회로가 변경되기는 하지만, 유사한 내부 CRT 캐소드, 애노드 및 그리드 구조를 갖는다.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는 이하 후술되는 바와 같이 통상 CRT 목 근처에 위치되고, 차폐, 케이블 통로, 접지, 도파관 및 필터를 통해 격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4도를 통해 가장 잘 설명된다. 1차 엔클로저(14)는 CRT(18)와 관련된 비디오 증폭기 회로(40)를 둘러싼다. 외부신호는 차폐된 케이블을 거쳐 2중차폐 케이블 연결기(60)를 통해 비디오 증폭기(40)에 공급되고, 상기 증폭기(40)는 그 신호를 캐소드(48)에 공급한다.
1차 엔클로저의 일부의 변경이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1차 엔클로저(14)의 주변을 둘러싸는 커버 가스켓(74)과 가스켓(72)은 커버(제6도에서는 제거됨)와 2차 엔클로저(12)의 일부간에 저 임피이던스 접착을 제공하여 연속적인 도전성 엔클로저가 발생되게 한다. CRT 연결기 보오드(87)는 저 임피이던스 편조(89) 및 접지 가스켓(90)을 통해 1차 엔클로저(14)에 접지된다. 신호라인 필터 보오드(84)와 접지 스트랩(82)은 1차 엔클로저(14)내의 다수의 엘레멘트에 대한 접지를 제공한다. 비디오 케이블(76)은 비디오 증폭기 회로(40)에 신호를 제공한다. 비디오 회로(40)의 비디오 증폭기는 접지 스트랩(78)에 의해 접지되고 6개의 감결합 캐패시터(80)에 의해 보호된다. 신호라인 필터 보오드(84)는 15핀 관통 필터 어댑터를 포함한 필터 엘레멘트, 다수의 인덕터 및 캐패시터, 접지러그 및 D 연결기 케이블의 이용을 통해 효율이 향상된다.
CRT의 CRT 휘도신호 라인은 축방향 관통 필터인 필터(88)에 의해 필터링 된다. 제1의 애노드 자동 접속 신호라인은 SAC 디자인 아아크 차폐체, 2500PF, 10KV 캐패시터 및 솔더러그(solder lug)연결기를 갖는 차폐된 고압 리이드(68)를 포함하는 특별한 고압 관통 필터 어셈블러(86)에 의해 필터링 된다.
인터페이스 케이블(64)과 연결기(85)는 1차 엔클로저(14)내측의 파형성 회로(도시않됨)를 편향 보오드(70), 전원 보오드(77), 그리고 2차 엔클로저 내의 전면 패널 제어부(도시않됨)와 연결한다. 상기 케이블은 원 장비의 리이드에 부착되었고, 교차 결합 및 케이블 방사를 최소화 하기 위해 창작되었다.
비디오회로(40)는 CRT(18)의 목부(22)에 있는 캐소드(48)에 신호를 공급한다. 쉽게 알수 있는 바와같이, 캐소드(48)로부터의 전자는 가속되어 발산코일, 집속 및 제1의 애노드(50), 집중그리드(52), 편향코일(44) 및 제2의 애노드(54)를 포함하는 터널 및 그리드 구조(46)를 통해 디스플레이면으로 향한다. CRT는 핑거스톡(Finger stock)에 의해 도전성 애쿼아닥(28)에 연결되는 도전성 인광물질 코팅(30과 픽셀 마스크(32)로 구성되는 도전층을 포함한다. 각각의 애노드 신호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애노드 전위는 제1의 애노드에 전위를 공급하는 신호라인에 연결된 제1의 애노드 자동 접속 필터(86)에 의해 필터링 된다. 제2의 애노드 필터(20)는 제2의 애노드에 전위를 공급하는 신호라인에 연결된다. 제2의 애노드를 위한 동축신호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높은 전위 수평증폭기(56), 플라이백 변환기(58) 및 고압 정류기(51)에 의해 발생된다.
도파관 목 차폐체(16)는 CRT(18)의 목부(22)와 동축이며, 비디오 회로(40)를 둘러싸는 1차 엔클로저(14)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착된다. 비디오 회로를 둘러싸는 1차 엔클로저(14)부분과 2차 엔클로저(12)는 사실상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도파관은 0.006인치 두께의 베릴륨등으로 구성되고 4.540 인치 x 3.750 인치의 치수를 갖는 연속적인 도체이다. 그 재료는 ASTM 명세 B-194에 따른 특성을 갖는다. 원통형 도파관은 2㎓ 이하의 주파수에서의 전자방출이 크게 감쇠하는 식으로 캐소드(48)를 포함하는 터널 및 그리드 구조(46)를 둘러싼다. 상기 원통형 도파관은 발산 코일(42)과 CRT 목부(22)의 애노드/캐소드 구조 사이에 위치되고, 캐소드(48)를 지나 적어도 1.5 인치 연장한다.
비임발산코일(42)과 편향코일(44) 부근에 CRT 도파관목 차폐체(16)를 삽입할 경우 만일 도파관 벽이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연속적인 등방성 도체로 구성될 경우 짧은 목 모니터 튜브에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파관 목 차폐체는 편향 자계 자체로부터의 전자비임을 효과적으로 차폐하도록 작용할 것이다. 게다가, 그러한 차폐체는 1차 권선이 발산 및/또는 편향 코일인 변환기상의 짧게 감겨진 2차 권선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변경된 도파관이 짧은 목 CRT 에 이용된다. 도파관 목 차폐체(16)는 상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일 부근에서 변경된다.
변경된 도파관 목차폐체(108)(제8도)는 발산코일(42)과 편향코일(44)근처에 슬롯(114)을 포함한다. 대체안으로서, 목부(22)와 동축인 링(120)에 연결되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일련의 핑거(118)를 갖는 변경된 목차폐체(116)가 발산코일(42) 및 /또는 편향 코일(44)과 관련해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발산 및 편향 코일 부근에 상기 변경된 목 차폐체를 이용하면 유도된 순환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heat)문제가 제거될 수 있다.
제1의 애노드(50)와 제2의 애노드(54)에 대한 애노드 신호라인과 관련해 이용되는 EMI 필터 어셈블리는 신호라인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한다. 통상,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MI 필터는 필터 병렬 요소로 관통 캐패시터를 이용하는바, 이는 관통 캐패시터가 표유 리이드 인덕턴스로 인한 성능 저하를 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1의 애노드 신호라인과 함께 이용되는 신호라인 필터(86)(제6도)는 2500pf의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10KV 교류 관통 필터 어셈블리이다.
칼라모니터의 제2의 애노드에 대한 신호라인(53)에 필터 어셈블리를 위한 관통 캐패시터의 이용은 관통 캐패시터의 동작 전압 정격이 최대 10KV로 제한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7도에 도시된 필터 어셈블리는 제2의 애노드를 필터링 하기위해 신호라인(53)과 관련해 이용된다. 제2의 30KV 애노드 필터 어셈블러(20)는 고압 정류기(51)와 플라이백 변환기(58)사이에 연결되며, 여기서 신호라인 리이드(53)는 동축이 아니다. 제7도에 도시된 제2의 애노드 필터 어셈블리는 내부 CRT 애쿼아닥(28), 픽셀 마스크(32), 그리고 도전성 인광물질 코팅(30)에 연결되는 제3의 애노드 리이드(53)에 대한 저 임피이던스 병렬 요소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필터 어셈블리(20)는 보호 커버 절연체(99), 사실상 근접한 키이덱스(kydex) 커버 내에 포위된다. 고유전체 강실리콘 퍼티가 필터 연결 전체를 통해 이용되고, 효율적 구성요소 위치는 아아크섬락의 가능성을 최소화 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위치화에서는 동작온도, 전위차에 대한 분리, 대기압과 같은 물리적 특성이 고려되었다. 제5도에 도시된 필터 어셈블리(20)는 CRT 2차 엔클로저 내에서의 제한된 공간 활용으로 인해 작은 영역에 위치된다.
RF 고전압 캐패시터를 병렬회로로 이용하면 인덕턴스 필터 어셈블리(20)가 최소화된다. 세라믹 캐패시터의 자기공전 주파수는 그들의 물리적 크기의 함수이다. 그러므로, 2개의 상이한 캐패시터 값이 이용된다. 큰 캐패시터(94),(96)는 각각 2700 PF의 캐패시턴스 값을 갖고 170 PF의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캐패시터(98)에 병렬로 연결된다. 큰 캐패시턴터(94)(96)는 기저대 및 HF 신호에 대해 낮은 용량성 리액턴스를 제공한다. 캐패시터(98)는 100MH 이상의 자기공진 주파수를 가지고 VHF/UHF 주파수 범위에서 그것의 필터기능을 효과적으로 실행한다. 고전압 케이블은 고전압 정류기(51)로부터 캐패시터(96)로 연결된다. 제2의 애노드 신호라인(53)은 애쿼아닥(28), 픽셀 와이어 마스크(32), 그리고 도전성 코팅(30)에 전위를 제공한다. 애쿼아닥(28), 픽셀와이어 마스크(32), 그리고 인광물질 코팅(30)을 제2의 애노드 필터(20)와 2차 엔클로저(12)를 통해 접지에 연결하면, CRT를 둘러싸는 차폐용도전성 엔빌로프가 완성되고, 접지로의 리액턴스성 통로가 형성됨에 의해 외부면 차폐없이 CRT 디스플레이 면을 통한 전자방출이 억제되게 된다.
변경된 차폐 CRT 에서 다수의 케이블 루트 변화가 공간의 유효한 이용을 위해 만들어진다. 제5도의 케이블 루트 변화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케이블(64)은 의도되지 않은 발산 접속이 일어날 수 있으면 차폐 전위를 최대화시키는 CRT로 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아울러, 편향 보오드(70) 접지 향상(제5도)에 의해 편향 보오드에 설치된 감결합 캐패시터를 위한 낮은 유도성 귀로가 제공됨으로써 더욱더 EMI가 억제된다. 3개의 동편조 스트랩은 편향 보오드 접지트랙 및 섀시접지(34)사이에 설치되었다. 이 보오드는 제2의 애노드 필터(20)와 같은 측면상의 모니터 벽을 따라 위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수의 특징이 본 발명의 구조 및 기능의 세부사항과 함께 전술한 기재에서 설명되었지만, 그 내용은 단지 일예일 뿐이고, 본 발명의 원리내에서 청구 범위에서 표현된 용어의 넓은 일반적 의미에 의한 전체 범위까지 부품들의 순서, 모양, 크기 및 배열에 있어서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3)

  1. 디스플레이면과 이 디스플레이면에 관련된 내부도전층을 갖는 CRT, 상기 내부 도전층을 접지하기 위한 수단, 상기 CRT를 둘러싸기 위해 상기 내부 도전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차폐된 엔클로저를 포함하며 상기 CRT의 디스플레이면이 상기 차폐된 엔클로저의 구멍을 통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턴스성 접지수단은 애노드 필터를 통해 상기 도전층과 접지에 연결되는 애노드 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필터는 상기 도전층과 접지 사이에 병렬로 연렬되는 제1 및 제2의 캐패시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칼라 CRT의 내부 도전성 애쿼아닥, 도전성 마스크 및 도전성 인광물질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4. 목부와 비차폐된 디스플레이면을 갖는 CRT, 그리고 상기 CRT를 둘러싸고 상기 CRT로부터의 전자방출을 억제하기 위한 2차 차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2차 차폐수단의 구멍을 통해 연장하며, 상기 2차 차폐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과 관련하고 엔클로저 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부 도전층을 갖는 상기 CRT를 둘러싸기 위한 엔클로서 수단, 상기 엔클로저 수단에 접속되는 상기 내부 도전층을 접지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상기 CRT로 부터의 전자방출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CRT 의 목부와 동축인 부분을 갖는, 상기 2차 차폐수단내의 1차 차폐수단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면과 상기 2차 차폐수단의 상기 구멍을 통한 전자방출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전층은 칼라 CRT의 내부 도전성 애쿼아닥, 와이어 마스크 및 인광물질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RT의 상응하는 애노드의 신호라인에 연결되는 다수의 애노드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필터 중 하나는 상기 CRT의 상개 내부 도전층에 연결되는 신호라인에 연결되며 2개 이상의 캐패시터의 병렬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중 하나는 약 5400 PF 의 캐패시턴스를 가지고, 다른 하나는 약 170 PF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상기 병렬 회로는 상기 내부 도전층에 연결되는 신호라인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RT의 목부에 위치되는 하나이상의 캐소드에 접속되는 비디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CRT는 2개 이상의 애노드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대해 상기 애노드 수단에 의해 가속되는 전자를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차폐수단은 상기 비디오 회로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차폐수단의 일부는 상기 목부와 동축인 원통형의 연속적인 도체 도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도파관은 다수의 분리된 종방향 도체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도체핑거는 상기 CRT의 발산 및 편향 코일의 위치의 함수로서 상기 원통형 도파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도파관은 다수의 분리된 종방향 및 원주의 도체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및 원주의 도체핑거는 상기 CRT의 발산 및 편향 코일의 위치의 함수로서 상기 원통형 도파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11. 제7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2개 이상의 애노드 중 하나에 관련된 다수의 애노드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필터중 하나는 2개 이상의 캐패시터의 병렬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중 하나는 약 5400 PF의 캐패시턴스를 가지고, 다른 캐패시터는 약 17 PF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상기 병렬회로는 상기 내부 도전층에 연결되는 상기 신호라인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된 CRT.
  12. CRT로부터의 RF 방출을 차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CRT의 면과 관련한 상기 CRT의 내부에 도전층을 제공하고, 상기 CRT를 차폐된 엔클로저로 둘러싸고, 상기 도전층을 상기 차폐된 엔클로저에 도전적으로 접속하고, 그리고 상기 차폐된 엔클로저에 접속된 상기 도전층을 리액턴스성 통로를 통해 접지하는 단계들을 포함하고, 상기 CRT의 면은 상기 차폐된 엔클로저의 구멍을 통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전자방출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목부와 동축인 도파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20006856A 1991-04-23 1992-04-23 차폐된 음극선관 KR100256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9,96 1991-04-23
US689,966 1991-04-23
US07/689,966 US5180947A (en) 1991-04-23 1991-04-23 Shielded cathode ray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001A KR920021001A (ko) 1992-11-21
KR100256006B1 true KR100256006B1 (ko) 2000-05-01

Family

ID=2477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856A KR100256006B1 (ko) 1991-04-23 1992-04-23 차폐된 음극선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80947A (ko)
EP (1) EP0510568B1 (ko)
JP (1) JPH0630362A (ko)
KR (1) KR100256006B1 (ko)
CA (1) CA2066865A1 (ko)
DE (1) DE69218021T2 (ko)
SG (1) SG47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4994A (en) * 1992-04-06 1994-03-1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Integrated computer assembly
JPH05290759A (ja) * 1992-04-09 1993-11-05 Toshiba Corp 陰極線管装置
JPH0636701A (ja) * 1992-07-21 1994-02-10 Tohoku Gakuin Univ カラー陰極線管
US6215467B1 (en) * 1995-04-27 2001-04-10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KR100228388B1 (ko) * 1996-04-01 1999-11-01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상방향 누설전계 차폐장치
KR100407974B1 (ko) * 2001-12-29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 모니터
TWI252073B (en) * 2003-08-26 2006-03-21 Benq Corp Display
JP5896755B2 (ja) * 2012-01-20 2016-03-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ース接続構造
JP2013149515A (ja) * 2012-01-20 2013-08-01 Yazaki Corp アース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7668A (en) * 1973-11-29 1975-02-18 Rca Corp Cathode-ray tube having an internal-external magnetic shield and degaussing combination
JPS55108156A (en) * 1979-02-13 1980-08-19 Hitachi Ltd Color picture tube
US4467241A (en) * 1979-10-01 1984-08-21 Owens-Illinois, Inc. CRT With magnetic shield
US4517487A (en) * 1983-03-14 1985-05-14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Cathode ray tube internal shielding means
US4556821A (en) * 1984-03-15 1985-12-03 Rca Corporation Color image display system having an improved external magnetic shield
US4767969A (en) * 1987-05-26 1988-08-30 Honeywell, Inc. RF emission shield for CRT displays
US4853790A (en) * 1988-05-05 1989-08-01 Dickie Robert G Electromagnetic and electrostatic shielding for electronic equipment
FI90598C (fi) * 1991-02-07 1994-02-25 Nokia Display Products Oy Menetelmä ja kytkentä katodisädeputken aiheuttaman haitallisen säteilyn pienentämisek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10568B1 (en) 1997-03-12
DE69218021T2 (de) 1997-10-16
CA2066865A1 (en) 1992-10-24
EP0510568A1 (en) 1992-10-28
SG47717A1 (en) 1998-04-17
KR920021001A (ko) 1992-11-21
JPH0630362A (ja) 1994-02-04
DE69218021D1 (de) 1997-04-17
US5180947A (en) 199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006B1 (ko) 차폐된 음극선관
US4767969A (en) RF emission shield for CRT displays
US20090251390A1 (en) Plasma display device
US5357166A (en) Cathode-ray tube having alternating electric field reduction device
KR100228388B1 (ko) 영상표시기기의 상방향 누설전계 차폐장치
US5304891A (en) Cathode-ray tube display device
EP0708474B1 (en) Cathode-ray tube display unit in which unwanted radiant electric field from face plate of cathode-ray tube is decreased
US5689157A (en) Cathode-ray tube display unit in which unwanted radiant electric field from face plate of cathode-ray tube is decreased
US5475287A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and yoke
US5451840A (en) Cathode-ray tube providing protection from alternating electric fields
JP3354665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224939B1 (ko) 음극선관 및 음극선관 장치
JPS6253902B2 (ko)
KR100274882B1 (ko) 음극선관
KR20000055457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H08115685A (ja) 陰極線管表示装置
JP2002044567A (ja) 陰極線管装置
US6833662B2 (en) Cathode ray tube with anti-ringing coil
JPH05266829A (ja) 陰極線管
JPH09213228A (ja) 陰極線管装置からの漏洩電場調整方法および陰極線管装置
JPH10269965A (ja) 陰極線管装置
JPH10269966A (ja) 陰極線管装置
JPH09219161A (ja) 陰極線管装置
KR20000051950A (ko) 음극선관
KR19990021638U (ko) 편향요크의 링깅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