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457A -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457A
KR20000055457A KR1019990004095A KR19990004095A KR20000055457A KR 20000055457 A KR20000055457 A KR 20000055457A KR 1019990004095 A KR1019990004095 A KR 1019990004095A KR 19990004095 A KR19990004095 A KR 19990004095A KR 20000055457 A KR20000055457 A KR 20000055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deflection yoke
funne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노환철
박진우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0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5457A/ko
Publication of KR2000005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4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3Passive shield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636Electromagnetic shielding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음극선관용 편향요크가 개시된다. 개시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는 음극선관 펀넬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펀넬과 상기 수평편향코일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절연성필름으로 된 제1필름층과 도전성의 제2필름층이 상호 접합된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펀넬의 외주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깔때기 형태의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수단과; 상기 차폐수단과 연결된 접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음극선관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편향요크{Deflection yoke for CR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수단을 갖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등의 모니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는 모니터 내부의 여러곳에서 발생되며, 특히 음극선관의 펀넬부에 설치되는 편향요크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큰 비중을 차지 한다. 최근 이러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므로 각국은 전자파 간섭(EMI)규제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모니터에 포함되는 음극선관과 상기 음극선관에 설치된 편향요크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음극선관은 패널(미도시)과, 상기 패널에 봉착된 펀넬부(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펀넬부(15)에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10)가 설치된다. 상기 편향요크(10)는 상기 펀넬부(15)의 외주부에 설치되며, 한쌍의 코일 세퍼레이터(13)가 분할면을 기준으로 대향되어 상호 조립되고,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3)의 내측에는 공심형태의 수평편향코일(11)이 설치되며 외측으로는 페라이트코어(미도시)에 감긴 수직편향코일(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극선관용 편향요크(10)의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11),(12)에는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전자파가 발생된다. 또한 전원부(미도시)나 회로부(미도시) 등의 부위에서도 전자파가 발생된다.
이러한 전자파의 외부누출 차단을 위해 전원부나 회로부 같은 전자파 발생부는 금속성 또는 전도성 케이스내에 수납하거나 금속포일로 주위를 둘러싸서 접지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회로 또는 전원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차단의 경우에는 적절한 전자파 차폐수단으로 작용되지만, 상술한 수평편향코일(11)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데는 그 사용이 부적절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편향요크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수단이 설치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에 설치된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사용되는 차폐수단이 포함된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사용되는 차폐수단을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편향요크 11...수평편향코일
12...수직편향코일 13...세퍼레이터
15...펀넬부 27,57...차폐수단
27a...제2필름층 27b...제1필름층
28...접지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는 음극선관 펀넬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펀넬과 상기 수평편향코일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절연성필름으로 된 제1필름층과 도전성의 제2필름층이 상호 접합된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펀넬의 외주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깔때기 형태의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수단과; 상기 차폐수단과 연결된 접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깔때기 형태의 다층필름은 복수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각으로 나누어진 깔때기 형태의 다층필름은 상기 조각의 일부를 제거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편향요크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편향요크(20)는 음극선관 펀넬(15)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평편향코일(11)과 수직편향코일(12)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20)에 있어서, 상기 펀넬(15)과 상기 수평편향코일(11)간에 설치되는 전자파 차폐수단(27)과; 상기 차폐수단(27)과 연결된 접지수단(28);이 구비된다.
도 4는 다층필름으로 된 차폐수단(27)의 구조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다층필름으로 된 차폐수단(27)은 절연성필름으로 된 제1필름층(27b)과, 도전성분말 또는 도전성물질이 포함되어 도전성의 특성이 있는 제2필름층(27a)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층필름은 이층 또는 다층의 필름으로 되어 있고 다양한 재질이 사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 위에 금속 분말 등의 도전성물질을 형성시키는 것 등의 다양한 재질과 제품이 사용 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분말이 포함된 제2필름층(27a)은 상기 펀넬(15)의 외주부 표면 쪽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필름층(27a)은 접지선(28)과 연결되어 접지된다. 상기 도전층으로 된 제2필름층(27a)을 접지시키므로써 본 발명의 편향요크(20)는 편향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수단(27)은 상기 편향요크(20)의 수평편향코일(11)과 상기 펀넬(15)의 외주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깔때기 또는 나팔 모양으로 형성된 형태를 갖고 다층필름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층필름은 수평편향코일(11)을 덮어 씌우는 형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편향코일(11)의 세퍼레이터(13)측으로 배치되는 제1필름층(27b)의 상부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부착되거나 접착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극선관은 깔때기 또는 나팔 형태로 형성된 다층필름이 복수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진 부분 중 일부를 제거한 모양으로 된 차폐수단(57)과 상기 차폐수단(57)에 연결된 접지선(28)을 포함한다.
상기 차폐수단(27)의 형태는 사각형 또는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편향코일(11)을 덮어 씌우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수단(27)의 이러한 형태는 전자파가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양극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차폐하므로써 고가의 다층필름으로된 차폐수단(27)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두가지의 실시예에서 접지는 별도의 접지선(28)을 설치하여 샤시(미도시) 또는 패널 근처에 설치된 방폭밴드 등으로 통전시키거나, 음극선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물질에 도전성 테이프 등으로 접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접지수단은 차폐수단(27)인 다층필름이 연장되어 도선역할을 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재질을 이용하여 통전시키므로써 접속점을 형성하지 않아 접지 효과의 향상과 작업공수의 절감을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필름의 커팅시 별도의 도선 형성부분으로 인하여 재료의 추가 소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다층필름의 스크랩을 이용하여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통전 연결 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인의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서는 발생하는 유해 전자파를 최고 약 90% 정도 까지 차폐가 가능하였으나, 전자빔의 편향작용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편향요크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외부 유출을 감소시킨다.
둘째; 전자파의 차폐를 위해 차폐수단으로 사용하는 다층필름에 의하여 편향요크의 편향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음극선관 펀넬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펀넬과 상기 수평편향코일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절연성필름으로 된 제1필름층과 도전성의 제2필름층이 상호 접합된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펀넬의 외주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깔때기 형태의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진 전자파 차폐수단과;
    상기 차폐수단과 연결된 접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 형태의 다층필름은 복수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으로 나누어진 깔때기 형태의 다층필름은 상기 조각의 일부를 제거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수단은 절연성필름이 연장되어 도선역할을 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19990004095A 1999-02-06 1999-02-06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00055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095A KR20000055457A (ko) 1999-02-06 1999-02-06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095A KR20000055457A (ko) 1999-02-06 1999-02-06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457A true KR20000055457A (ko) 2000-09-05

Family

ID=1957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095A KR20000055457A (ko) 1999-02-06 1999-02-06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54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5420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EP0510568B1 (en) Shielded cathode ray tube and method for shielding the RF-emission from a CRT
US5357166A (en) Cathode-ray tube having alternating electric field reduction device
HU200029B (en) High-voltage transformer
US5783772A (en) Leakage radiation preventing element
US5304891A (en) Cathode-ray tube display device
US5475287A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and yoke
KR20000055457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US5451840A (en) Cathode-ray tube providing protection from alternating electric fields
JP3354665B2 (ja) 画像表示装置
KR950014601B1 (ko) 음극선관 장치
KR100274882B1 (ko) 음극선관
KR960012592B1 (ko) 칼라음극선관의 저주파 전계 차폐장치
JP3105527B2 (ja) 電磁遮へい用筐体
JPH0517777Y2 (ko)
JP3278648B2 (ja) 電磁遮へい用筐体
JP2582086Y2 (ja) Crtディスプレイ装置のシールド構造
KR960016848B1 (ko) 칼라음극선관
JPH09213228A (ja) 陰極線管装置からの漏洩電場調整方法および陰極線管装置
JP2004127842A (ja) 陰極線管装置
JP2002044567A (ja) 陰極線管装置
JPH09219161A (ja) 陰極線管装置
KR930018640A (ko) 음극선관 및 그의 절두원추형 삽입물
JPH09259771A (ja) マグネトロン
JPH08256348A (ja) 消磁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