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938B1 - 시이트벨트장치에서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의 버클커버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시이트벨트장치에서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의 버클커버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938B1
KR100254938B1 KR1019930005512A KR930005512A KR100254938B1 KR 100254938 B1 KR100254938 B1 KR 100254938B1 KR 1019930005512 A KR1019930005512 A KR 1019930005512A KR 930005512 A KR930005512 A KR 930005512A KR 100254938 B1 KR100254938 B1 KR 100254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uckle
tang
cover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121A (ko
Inventor
카쯔히코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쥬이치로
Publication of KR93002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00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with third detached member completing interlock [e.g., hook type]
    • Y10T24/45079Belt, strap, harness, etc.
    • Y10T24/45084Belt, strap, harness, etc. for safety belt buckle, strap, harnes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28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for plural, oppositely shifting, similar interlocking components or segment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전용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결합할 수가 있도록 하여서 결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3자가 쉽게 분해할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물핀(6)을 미리 상부커버(2)에 가고정해 둔다. 그리고,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를 한쌍의 벽(4,5)사이에 벽(10)이 삽입되고, 또 구멍(7,8)과 구멍(10)이 정합된 상태에서 조합한다. 이 상태로 해제버튼(9)을 압입하므로써 가고정된 자물핀(6)을 구멍(7,8,11)내로 삽입하는 동시에 소정의 결합위치에 세트한다. 이리하여, 자물핀(6)으로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시이트벨트장치에서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의 버클커버 결합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벨트장치에서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커버의 결합방법의 한가지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이 실시예의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도는 제2도와 같은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며, 제5(a)도는 제2도와 같은 도면, 제5(b)도는 제1도와 같은 도면이다.
제6도는 제2도와 같은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7도는 제2도와 같은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8도는 제2도와 같은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클커버 2 : 상부커버
3 : 하부커버 4,5,10 : 벽
7,8,11 : 구멍 9 : 조작버튼
12,13,14 : 다리 12a,13a : 계지폴
12b,13b : 홈 15 : 탱
16 : 이젝터 17 : 버클베이스
18 : 감합이탈방지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 기타 교통기관의 좌석에 장착되어서 차량충돌시등의 이상사태 발생시에 승무원을 구속하여 보호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 시이트벨트의 장착시에 탱(tang)이 삽입되어 걸려 결합되는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된 버클커버를 보유하는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를 비롯하여 각종 교통기관의 좌석에는 차량충돌등의 긴급사태 발생시에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이트벨트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 종류의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시이트벨트에 부착전 탱과 그 탱이 계지되는 버클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서 이들 탱과 버클장치를 걸리게하여 결합시키거나 걸리게하여 결합시킨 것을 해제하므로써 시이트벨트의 장착 또는 해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버클장치에 있어서는 버클기구를 덮기위한 것으로서 버클커버가 사용되어 왔으며, 이 버클커버는 일반적으로 상하 2분할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들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결합하므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결합하는 종래방식으로서는 용착방식, 패스너방식 및 나사고정방식이 있다.
용착방식은, 상하커버를 용착에 의하여 결합하는 방식이다. 또, 패스너방식은 상부커버에 암컷형태의 피계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커버에 수컷형태의 계합부가 형성되어서 피계합부에 계합부를 삽입하여 걸어결합시킨 후에 자물핀을 박아 넣어서 계합부와 피계합부의 결합을 강고하게 유지하도록 한 결합방식이다. 또, 나사고정방식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서로 겹친 후에 나사로 결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용착방식에 있어서는 완전하게 용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결합의 신뢰성이 충분치 못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패스너방식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자물핀을 박을 필요가 있으므로 박아진 자물핀 또는 박는 개소가 노출되어 버려서 외관을 손상시킬 뿐아니라 자물핀을 박기위한 전용공구가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나사고정방식에 있어서는 나사가 직접 노출되는 까닭에 외관을 손상시킬 뿐아니라 제3자가 나사를 풀어서 내부의 버클기구를 비교적 간단하게 노출시켜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특히 전용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하고, 또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서 결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3자가 용이하게 분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좋은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시이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의 결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시이트벨트의 장착시에 탱이 삽입되었을 때 그 탱과 걸려 결합되는 버클기구와 그 탱과 버클기구의 걸어 결합시킨 것을 해제하는 해제부재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서 형성되고, 전기한 버클기구 및 전기한 해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버클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에 각각 결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들 구멍에 자물핀이 감합되고 또, 소정의 결합위치에 세트 되므로써 전기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 있고, 또 전기한 소정의 결합위치는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에 의하여 전기한 자물(lock)핀이 세트가능한 위치에 설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2의 발명은 시이트벨트의 장착시에 탱이 삽입되었을 때에 그 탱과 걸려 결합되는 버클기구와 그 탱과 버클기구의 걸어결합시킨 것을 해제하는 해제부재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전기한 버클기구 및 전기한 해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버클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커버 및 전기한 하부커버에 각각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들 계지부는 전기한 상부커버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결합시에 이들 상.하커버의 이탈방향에 대하여 서로 걸려 결합하게 하므로써, 전기한 상부커버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이들 계합부의 적어도 한쪽에 해제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해제저지홈에 이탈방지 부재가 감합됨으로써 전기한 상부커버의 계지부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계지부의 걸려 결합된 것의 해제가 저지되고 있으며, 또 전기한 이탈방지부재의 해제저지홈에 대한 감합위치는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에 의하여 전기한 이탈방지부재가 감합가능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와 가동구성부재는 탱과 버클기구를 걸어결합시킨 것을 해제하는 해제부제, 탱, 혹은 탱 및 이젝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청구항6의 발명은, 시이트벨트의 장착시에 탱이 삽입되었을 때, 그 탱과 걸려 결합되는 버클기구와 그 탱과 버클기구의 걸어 결합시킨 것을 해제하는 해제부재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전기한 버클기구 및 전기한 해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버클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커버 및 전기한 하부커버에 있어서의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의 이동영역의 연장영역에 각각 결합용의 구명을 형성하는 동시에 전기한 상부커버 및 전기한 하부커버의 어느 한 쪽에 있어서의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 부재의 이동영역에 또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에 자물핀을 가(假)고정하고, 전기한 상.하커버의 전기한 구멍을 정합한 상태에서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를 이동시키므로써 전기한 자물핀을 전기한 구멍에 감합하고, 또 전기한 소정의 결합위치에 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7의 발명은 시이트벨트와 장착시에 탱이 삽입되었을 때에 이 탱과 걸려 결합되는 버클기구와 그 탱과 버클기구의 걸어결합시킨 것을 해제하는 해제부재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전기한 버클기구 및 전기한 해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버클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커버 및 전기한 하부커버에 각각 형성된 계지부를 전기한 상부커버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결합시에 이들 상.하커버의 이탈방향에 대하여 서로 걸어 결합시킴으로써 전기한 상부커버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이탈을 제지하는 동시에 또 이들 계지부의 한 쪽에 있어서의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의 이동영역의 연장영역에 해제저지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전기한 상부커버 및 전기한 하부커버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의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의 이동영역에, 또는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에 이탈방지부재를 가고정하고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를 이동시키므로써 전기한 이탈방지부재를 전기한 해제저지홈에 감합하여서 전기한 상부커버의 계지부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계지부의 걸어 결합시킨 것의 해제를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및 버클장치의 결합방법에 있어서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조합시키고, 그 상태에서 탱과 버클기구의 걸어 결합한 것을 해제하는 해제부재, 탱, 혹은 탱 및 이젝터등의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를 이동하므로써 자물핀 또는 이탈방지부재가 구멍 또는 해제저지홈에 감합되어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확실하고 또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된다.
이와같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부에 있어서의 자물핀 또는 이탈방지부재가 버클커버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들 부재는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따라서 외관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또, 자물핀 또는 이탈방지부재에 의하여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결합되므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력의 신뢰성이 극히 높은 것으로 된다. 그뿐아니라 결합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버클커버가 제3자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어서 짓궂은 장난을 당하는 일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자물핀 또는 이탈방지부재가 달라붙게 됨으로 달라붙도록하기 위한 전용공구가 불필요할 뿐만아니라 조립에 시간과 수고가 들지 않아서 조립작업이 극히 간단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한가지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도에 표시하듯이 종래와 동일하게 본 실시예의 버클장치에 있어서도 버클커버(1)는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의 2분할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의 어느 한쪽에 삽입된 탱을 계지하는 계지기구 및 그 계지를 해제하는 해제기구로 이루어지는 버클기구가 부착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버클기구가 상부커버(2)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와같은 버클기구는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종래의 어느 버클기구라도 좋다.
상부커버(2)의 내면에는 한쌍의 계지용의 벽(4,5)이 하방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벽(4, 5)에는 자물핀(6)이 끼워지는 동일 지름의 구멍(7, 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7, 8)의 위치는 탱과 버클의 걸어 결합시킨 것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9)의 운동궤적의 연장영역내로 설정되어 있다.
또 하부커버(3)의 내면에는 계지용의 벽(10)이 상방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벽(10)에는 자물핀(6)이 끼워지는 구멍(7, 8)과 같은 지름인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커버(2)에 한쌍의 벽(4,5)을 형성하고, 하부커버(3)에는 1개의 벽(10)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반대로 상부커버(2)에 1개의 벽을 형성하고, 하부커버(3)에 한쌍의 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한쌍의 벽(4,5)사이에 벽(10)이 삽입되고. 또 구멍(7,8)과 구멍(11)이 정합(整合)된 상태에서 자물핀(6)이 구멍(7,8,11)내로 관통되고 그 머리부(6b)가 벽(4)의 외측면에 계지되는 동시에, 계지폴(6c,6c)이 벽(5)의 외측면에 계지되어 있다. 이리하여,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가 결합되어서 버클커버(1)가 형성되어 있다. 또, 구멍(7,8)과 구멍(11)을 정합시킴에 있어서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부커버(2) 및 하부커버(3)에 예를 들면, 위치결정돌기등의 위치결정부를 설치하므로써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의 결합시에 구멍(7,8)과 구멍(11)을 용이하게 정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동 도면에 표시되듯이 자물핀(6)은 축부(6a)와 그 축부(6a)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형상의 머리부(6b)와 축부(6a)의 타단에 형성된 상하 한쌍의 단면삼각형인 계지폴(6c,6c)과 축부(6a)에서 그 타단으로부터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자물핀(6)의 머리부(6b)의 상하방향 길이(a) 및 상하 한쌍의 계지폴(6c,6c)의 선단 사이의 길이(b)는 구멍(7,8,11)의 지름(c)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계지폴(6c) 선단간의 길이(b)는 축부(6a)가 슬릿(6d)에 의하여 탄성변형 되었을 때에는 구멍(7, 8, 11)의 지름보다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 계지폴(6c)의 머리부(6b)에 대향하는 면은, 축부(6a)에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면과 머리부(6b)의 계지폴(6c)에 대향하는 면의 거리(d)는 벽(4, 5)의 외측면간의 거리(e)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를 결합하는 방법은 제2도에 표시하듯이 자물핀(6)을,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적당한 가고정수단으로 미리 상부커버(2)에 가고정해 둔다. 그 경우에 자물핀(6)을 그 중심축선이 구멍(7, 8)의 중심과 거의 일치되도록 하여서 해제버튼(9)의 운동궤적의 연장영역내로 배치한다.
그리하여 이와같은 자물핀(6)이 가고정된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를 한쌍의 벽(4,5)사이에 벽(10)이 삽입되고 또, 구멍(7,8)과 구멍(11)이 정합된 상태에서 조합한다. 그 상태로 해제버튼(9)을 압입하므로써 가고정된 자물핀(6)을 구멍(7,8,11)내로 삽입하는 동시에 소정의 결합위치에 세트한다. 그 경우, 해제버튼(9)에 의하여 압압된 자물핀(6)은, 축부(6a)가 슬릿(6d)에 의해 탄성변형되므로 계지폴(6c)이 쉽게 구멍(7,8,11)내를 관통하여서 벽(4,5)에 부착된다. 해제버튼(9)의 압입력을 제거하면,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해제버튼(9)만이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고, 자물핀(6)은 소정의 결합위치에 머물게 된다.
이리하여,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가 자물핀(6)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같이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부에 있어서의 벽(4,5,10) 및 자물핀(6)이 버클커버(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따라서 외관이 양호하게 된다.
또, 자물핀(6)에 의하여 상부커버(2) 및 하부커버(3)가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결합되므로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의 결합력의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뿐아니라, 결합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버클커버(1)가 제3자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어 짓궂은 장난을 당하는 일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버클장치의 구성부품인 해제버튼(9)을 압입하기만 하면 자물핀(6)이 달라붙게되므로 달라붙게하기 위한 전용공구가 불필요하게 될 뿐아니라 조립에 시간과 수고가 들지 않아서 조립작업이 극히 간단하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버클커버의 조립방법에서는 자물핀(6)을 미리 상부커버(2)에 가고정하도록 하고 있는 데에 대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자물핀(6)을 해제버튼(9)의 단부에 가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해제버튼(9)을 압입하므로써 자물핀(6)이 구멍(7,8,11)을 관통하여 소정의 결합위치에 장착되어서 상.하부커버(2,3)가 결합된다. 그리고 해제버튼(9)의 압입을 해제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해제버튼(9)은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는데, 그 때 자물핀(6)은 해제버튼(9)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대략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제4도에 표시하듯이 상부커버(2)에는 한쌍의 계지용 다리(12,13)가 설립되어 있고, 이들 다리(12, 13)의 선단에는 각각 계지폴(12a, 1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다리(12, 13)의 외측면에는 단면 반원형의 홈(12b, 1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커버(3)에는 다리(14)가 설립되어 있고, 그 다리(14)의 상단에는 계지폴(12a, 13a)에 걸어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계지폴(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선재로 이루어지는 U자형의 감합이탈방지부재(18)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감합이탈방지부재(18)에는 홈(12b, 13b)에 감합되는 한쌍의 협지부(18a, 18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협지부(18a, 18b)사이의 간격은 한쌍의 홈(12b, 13b)사이의 간격 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이 감합이탈방지부재(18)는 전술한 실시예의 자물핀과 동일하게 상부커버(2), 하부커버(3) 또는 해제버튼(9)에 가고정되어 있다. 그 경우, 감합이탈방지부재(18)가 수평이동했을 때, 그 협지부(18a,18b)가 각 다리(12,13)의 홈(12b,13b)에 감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커버(3)의 다리(14)를 상부커버(2)의 한쌍의 다리(12,13)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서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를 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다리(14)가 한쌍의 다리(12,13)사이에서 이탈할려고 하여도 계지폴(14a)이 한쌍의 계지폴(12a,13a)에 걸려 결합되게 하므로 쉽게 이탈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를 조합한 상태에서, 해제버튼(9)를 압입하면, 감합이탈방지부재(18)의 협지부(18a,18b)가 홈(12b,13b)에 감합되어 소정의 감합위치로 유지되도록 한다. 협지부(18a,18b)가 홈(12b,13b)에 감합된 상태에서는 협지부(18a,18b)가 밀려서 확개되듯이 탄성변형되어 있으므로 그 탄성력으로 협지부(18a,18b)가 다리(12, 13)를 눌러서 끼우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한쌍의 계지폴(12a, 13a)과 계지폴(14a)의 걸려서 결합시킨 것이 확실하고, 또한 강고하게 실시되게 되어서 계지폴(14a)이 한쌍의 계지폴(12a, 13a)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리하여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가 확실하고 또한 강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협지부(18a, 18b)가 탄성변형되어서 다리(12, 13)를 눌러 끼우도록 하고 있는데, 감합이탈방지부재(18)와 다리(12,13)사이의 구조가 협지부(18a, 18b)가 홈(12b, 13b)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이고 또, 한쌍의 계지폴(12a, 13a)의 간격이 벌어져서 계지폴(14a)이 한쌍의 계지폴(12a, 13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구조이기만 한다면 협지부(18a,18b)가 반드시 다리(12,13)를 눌러 끼우도록 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5(a)도에 표시하듯이 이 실시예에서도 제1도에서 표시하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부커버(2)에 한 쌍의 벽(4,5)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해제버튼(9)측의 벽(4)의 두께의 치수(f)가 이 벽(4)의 내측면과, 또 한쪽의 벽(5)의 외측면과의 사이의 치수(g)보다 크게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원기둥형상 또는, 원통형상인 자물핀(6)이 벽(4)의 구멍(7)내에 가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 경우에 자물핀(6)은 구멍(7)에 대하여 마찰에 의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저항이 약간 발생되도록 되어 있어서 이것에 의해 자물핀(6)은 구멍(7)으로부터 쉽게 빠져나갈 수가 없게 되어 있다. 또, 자물핀(6)의 축방향 길이는 벽(4)의 두께의 치수(f)와 동등하거나 또는 약간 작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자물핀(6)이 구멍(7)내에 가지지된 상태에서는, 자물핀(6)이 구멍(7)으로부터 적어도 벽(5)측으로는 삐져나오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해제버튼(9)의 벽(4)과의 대향 끝에는 구멍(7)내로 감입가능한 압압부(9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버튼(9)을 압입하면, 압압부(9a)가 구멍(7)내로 삽입되고 자물핀(6)을 압압하여서, 동도면(b)에 표시하듯이 자물핀(6)은 구멍(7, 8, 11)내의 소정의 결합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 경우에 자물핀(6)은 구멍(7, 8, 11)내에 마찰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자물핀(6)은, 구멍(7, 8, 11)으로부터 간단하게 빠져나갈 수 없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6도에 표시하듯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5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의 결합부와 그 구성은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자물핀(6)을 압입하는 부재가 제5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다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물핀(6)을 압입하는 부재로서 걸어 결합시킨 것을 해제할 때에 탱(15)과, 그 탱(15)을 버클로부터 밀어내도록 부세하는 이젝터(16)를 이용하고 있다. 이 이젝터(16)의 벽(4)과의 대향끝에는 구멍(7)내로 감입가능한 압압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탱(15)을 버클장치에 삽입하면, 그 탱(15)의 선단은 이젝터(16)를 압압한다. 그렇게 하면, 이젝터(16)의 압압부(16a)가 구멍(7)내로 삽입되어져서 자물핀(6)을 밀고, 전술한 제5도(b)에 표시하는 것과 동일하게 자물핀(6)을 구멍(7, 8, 11)내의 소정의 결합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6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탱(15)을 삽입하므로써 이젝터(16)를 개재하여 자물핀(6)을 압입하도록 하고 있는데, 제7도에 표시하듯이 본 실시예는 탱(15)에 의하여 직접 자물핀(6)을 구멍(7, 8, 11)내의 소정의 결합위치에 압입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경우, 자물핀(6)은 제1도에 표시한 자물핀과 동일한 종류인 게지폴이 있는 자물핀이 사용되며 버클베이스(17)에 가지지되어 있다. 또, 상.하부커버(2,3)에 형성되어 있는 벽(4,5,10)은 제1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완전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7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탱(15)의 이동궤적상에 이젝터(16)가 배설되어 있지 않으며, 탱(15)이 직접 자물핀(6)을 압입하도록 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탱(15)의 이동궤적상에 이젝터(16)가 배설되어 있으나, 탱(15)이 직접 자물핀(6)을 압입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8도에 표시하듯이 탱(15)의 선단에는 자물핀(6)을 압압하는 압압부(15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젝터(16)에는 그 압압부(15a)가 관통하는 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이트벨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탱(15)을 버클장치에 삽입하면, 압압부(15a)가 이젝터(16)의 구멍(16a)을 관통하여 자물핀(6)을 압압한다. 이에따라, 자물핀(6)은 구멍(7, 8, 11)을 관통하는 동시에 그들 구멍내의 소정의 결합위치에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커버(2)와 하부커버(3)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확하듯이, 본 발명의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커버의 결합방법에 의하면,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자물핀 또는 이탈방지부재가 달라붙게 되므로 달라붙게하기 위한 전용공구가 불필요할 뿐아니라 조립에 시간과 수고가 들지 않아서 조립작업이 극히 간단해 진다.
또,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부에 있어서의 자물핀 또는 이탈방지부재가 버클커버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이들 부재는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따라서 외관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또, 자물핀 또는 이탈방지 부재에 의하여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결합되므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력의 신뢰성이 극히 높은 것으로 된다. 그 뿐아니라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버클커버가 제3자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서 짓궂은 장난을 당하는 일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Claims (10)

  1. 시이트벨트의 장착시에 탱이 삽입되었을 때, 그 탱과 걸려 결합되는 버클기구와 그 탱과 버클기구의 걸어 결합시킨 것을 해제하는 해제부재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서 형성되고, 전기한 버클기구 및 전기한 해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버클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에 각각 결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들 구멍에 자물핀이 감합되고 또, 소정의 결합위치에 세트됨으로써 전기한 상부커버와 전기한 하부커버가 결합되어 있으며, 또 전기한 소정의 결합위치는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에 의하여 전기한 자물핀이 세트가능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2. 시이트벨트장착시에 탱이 삽입되었을 때, 그 탱과 걸려 결합되는 버클기구와 그 탱과 버클기구의 걸어 결합시킨 것을 해제하는 해제부재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전기한 버클기구 및 전기한 해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버클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커버 및 전기한 하부커버에 각각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계지부는 전기한 상부커버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결합시에 이들 상.하커버의 이탈방향에 대하여 서로 걸려서 결합되게 함으로써 전기한 상부커버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이들 계지부의 적어도 한쪽에 해제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해제저지홈에 이탈방지부재가 감합되므로써 전기한 상부커버의 계지부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계지부의 걸려 결합된 것의 해제가 저지되고 있으며 또 전기한 이탈방지부재의 해제저지홈에 대한 감합위치는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에 의하여 전기한 이탈방지부재가 감합가능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는 전기한 해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가 전기한 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탱과 전기한 버클기구의 해제시에 전기한 탱을 전기한 버클기구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이젝터가 설치되어 있고,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는 전기한 탱 및 전기한 이젝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
  6. 시이트벨트의 장착시에 탱이 삽입되었을 때에 이 탱과 걸려 결합되는 버클기구와 이 버클기구와의 걸어 결합시킨 것을 해제하는 해제부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전기한 버클기구 및 전기한 해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버클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커버 및 전기한 하부커버에 있어서의,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의 이동영역의 연장영역에 각각 결합용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전기한 상부커버 및 전기한 하부커버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의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의 이동영역에, 또는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에 자물핀을 가고정하고, 전기한 상.하부커버의 전기한 구멍을 정합한 상태에서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를 이동시키므로써 전기한 자물핀을 전기한 구멍에 감합하고, 또 전기한 소정의 결합위치에 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결합방법.
  7. 시이트벨트의 장착시에 탱이 삽입되었을 때 이 탱과 걸려 결합되는 버클기구와 이탱과 버클기구의 걸어 결합시킨 것을 해제하는 해재부재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서 형성되고, 전기한 버클기구 및 전기한 해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버클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커버 및 전기한 하부커버에 각각 형성된 계지부를 전기한 상부커버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결합시에 이들 상.하커버의 이탈방향에 대하여 서로 걸어 결합되게 함으로써 전기한 상부커버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이탈을 저지하는 동시에, 또, 이들 계지부의 한 쪽에 있어서의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의 이동 영역의 연장영역에 해제저지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전기한 상부커버 및 전기한 하부커버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의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의 이동영역에 또는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에 이탈방지부재를 가고정하고,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를 이동시키므로써, 전기한 이탈방지부재를 전기한 해제저지홈에 감합하여서 전기한 상부커버의 계지부와 전기한 하부커버의 계지부의 걸어 결합시킨 것의 해제를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결합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는 전기한 해제부재이며, 이 해제부재를 압입하므로써 전기한 자물핀을 전기한 구멍에 감합하고, 또 전기한 소정의 결합위치에 세트하거나 또는, 전기한 이탈방지부재를 해제저지홈에 감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결합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는 전기한 탱이며 이 탱을 전기한 버클기구에 삽입하므로써 전기한 자물핀을 전기한 구멍에 감합하고, 또, 전기한 소정의 결합위치에 세트하거나 또는 이탈방지부재를 전기한 해제저지홈에 감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결합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전기한 시이트벨트장치의 가동구성부재는 전기한 탱 및 이 탱과 전기한 버클기구의 해제시에 전기한 탱을 전기한 버클기구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이젝터이고, 이 탱을 전기한 버클기구에 삽입하므로써 전기한 이젝터를 개재하여 전기하 자물핀올 전기한 구멍에 감합하고, 또 전기한 소정의 결합위치에 세트하거나 또는 전기한 이탈방지부재를 전기한 해제저지홈에 감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버클장치의 결합방법.
KR1019930005512A 1992-04-02 1993-04-01 시이트벨트장치에서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의 버클커버 결합방법 KR100254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080981A JPH05278565A (ja) 1992-04-02 1992-04-02 シートベルト装置におけるバックル装置およびこのバックル装置におけるバックルカバーの結合方法
JP92-080981 1992-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121A KR930021121A (ko) 1993-11-22
KR100254938B1 true KR100254938B1 (ko) 2000-05-01

Family

ID=1373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512A KR100254938B1 (ko) 1992-04-02 1993-04-01 시이트벨트장치에서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의 버클커버 결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29676A (ko)
JP (1) JPH05278565A (ko)
KR (1) KR100254938B1 (ko)
DE (1) DE4310928C2 (ko)
GB (1) GB22656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2828C2 (de) * 1996-01-26 1998-03-26 Daimler Benz Aerospace Airbus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von mindestens zwei Bauteilen, insbesondere von Bauteilen in einem Flugzeug
KR100435367B1 (ko) * 2002-01-18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장착작업용 버클가이드
WO2013066288A1 (en) * 2011-10-31 2013-05-10 Autoliv Asp. Inc. Holding covers for seat belt attachment
DE202012012254U1 (de) 2012-12-20 2013-02-22 Key Safety Systems, Inc. Gurtschloss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USD799368S1 (en) 2016-04-06 2017-10-10 Especial Needs Seat belt buckle guar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303A (en) * 1986-05-19 1987-06-23 P. J. Salcone's Inc. Safety lock for seat belt buckle
US4731912A (en) * 1986-09-19 1988-03-22 Ashlar Products, Incorporated Seat belt buckle guard
US4878277A (en) * 1988-12-28 1989-11-07 Peter Portuese Child proof seat belt restraint
US4987662A (en) * 1989-10-27 1991-01-29 David J. Haffey Seat belt release guard
US5129129A (en) * 1991-08-05 1992-07-14 Collins John P Seat belt guard
DE9113246U1 (de) * 1991-10-24 1991-12-05 TRW Repa GmbH, 7077 Alfdorf Befestigung von zwei Kunststoff-Formteilen aneina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65663B (en) 1995-04-26
KR930021121A (ko) 1993-11-22
DE4310928A1 (de) 1993-10-07
JPH05278565A (ja) 1993-10-26
GB9306920D0 (en) 1993-05-26
GB2265663A (en) 1993-10-06
US5329676A (en) 1994-07-19
DE4310928C2 (de)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7454B2 (ja) 板の結合クリップ
US5704752A (en) Zero insertion force rivet device
US4993967A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ouble locking mechanism
US5505411A (en) Harness fixing device
US5437515A (en) Connecting pin
JP4336358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2008052975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US20140045361A1 (en) Airbag connector system
JP2002021823A (ja) 板材の取付構造
JPH09326275A (ja) 電気コネクタ
US5807130A (en) Two way electrical connector
KR850006848A (ko) 전기기기의 착탈장치
KR100254938B1 (ko) 시이트벨트장치에서 버클장치 및 그 버클장치의 버클커버 결합방법
JP2008052979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S6236291A (ja) エスカレータの手すり引込ボックス内の安全スイッチの作動体
EP1020651A2 (en) Fastener with pin retention protrusions and predrive positioning protrusions
US4354722A (en) Terminal connector device for electrical conducting wires
US11572031B2 (en) Belt guide device for a passenger restraint belt of a motor vehicle
JP3388124B2 (ja) 接続端子の取付構造
JP4829041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3749289B2 (ja) 電気コネクタ
US6218634B1 (en) Switch with integrated flasher relay
HU223888B1 (hu) Kapcsolóberendezés
JPH0548276A (ja) レールへの取付装置
JPH0742990B2 (ja) 速動解除可能な結合装置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