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916B1 - 기체상 염산을 사용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생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기체상 염산을 사용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생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916B1
KR100254916B1 KR1019920000462A KR920000462A KR100254916B1 KR 100254916 B1 KR100254916 B1 KR 100254916B1 KR 1019920000462 A KR1019920000462 A KR 1019920000462A KR 920000462 A KR920000462 A KR 920000462A KR 100254916 B1 KR100254916 B1 KR 100254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hydrolyzate
acid
hydrolyzed
hyd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826A (ko
Inventor
제이 햄 도널드
Original Assignee
엘런 피이 트리버스
시이피이시이 인터내쇼날 인코오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5706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549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런 피이 트리버스, 시이피이시이 인터내쇼날 인코오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엘런 피이 트리버스
Publication of KR92001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3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 A23J3/32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 A23J3/34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 A23J3/346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of vegetable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3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 A23J3/32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3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 A23J3/32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 A23J3/34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Seasoning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단백질의 효소 가수분해후 기체상 염산으로 산 가수분해를 함으로써, 감지할 수 있는 양의 모노클로로디히드록시 프로판올을 함유하고 실질적인 향미 증가성을 갖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생성시키는 방법 및 그로부터의 생성물.

Description

기체상 염산을 사용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생성하는 방법
본 발명은 검출할 수 없는 양의 모노클로로히드록시프로판올을 함유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의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과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은 향미가 깨끗하고 부드러우며, 실질적인 향미 증가 성질을 나타낸다.
통상적인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HVPs)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환류 조건하에서 염산으로 산가수분해하여 수행하며, 특히 GM 염산을 사용하여 109℃ 대기압에서 수행한다. 상기 조건에서 식물성 단백질의 가수분해는 생 단백질 내에 존재하는 잔류 지방물질로부터 유도된 글리세롤의 염소화를 초래하여 모노클로로히드록시 프로판올(MCDPs) 및 디클로로 프로판올(DCPs)를 생성한다. MCDPs 및 DCPs가 문제되는 특성과 성격을 나타내므로, 그들의 존재는 식품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DCPs는 표준 방법의 증발 또는 농축단계중에 쉽게 제거된다. 불행하게도, MCDPs는 제거되지 않으나, 최종 생성물에 농축되므로, 최종 생성물로부터 MCDPs를 제거하는데는 부가 가공 단계가 취해져야 한다.
HVPs 제조를 위한 통상적 산 가수분해 방법에서, 염산 대신 황산 또는 인산을 사용함으로 MCDPs 및 DCPs 의 형성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황산 또는 인산으로 가수분해하여 생성시킨 HVPs 는 쓴맛을 나타낸다는 데 있어 열등한 품질이다.
특별한 문제점은, 통상적인 산 가수분해시, 생 단백질에 존재하는 잔여 지방 물질로 부터 유도된 글리세롤의 염소화로 부터 MCDP 가 유도된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대략 75%가 단백질인 생명에 필요한 밀 글루우텐은, 또한 5.0 내지 9.5% 지방 및 다른 지방 물질을 함유하는데,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의 복합체 혼합물의 형태로서 글리세롤의 풍부한 원료이다. MCDP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믿어지는 다수의 인자들은 높은 농도의 염화 이온의 존재, 다량의 과량 산, 높은 환류 온도 및 긴 반응시간을 포함한다. 결합 글리세롤이 MCDPs 생성에 있어 비결합 글리세롤 보다 더욱 활성이라 생각된다.
향미 증가 목적이 아니라, 식품 용도를 위해서, 식물성 단백질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효소의 사용에 대해 많은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선행분야에서 고려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미합중국 특허 제 4,636,388호에 제시된 대로 효소 가수분해시 쓴 펩티드형성의 제거와 같은 기능적으로 개선된 단백질의 생성에 관한 것들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는 특히 효소 가수분해에 적합한 저회분 단백질 생성물을 공개한다. 단백질 분산물을 겔화시킨 후, 일부의 비-단백질 물질을 겔에서 액체로 변화하도록 액체내 미립자 형태로 세척한 뒤, 액체를 겔에서 분리시켰다. 그리고나서 사전 처리된 생성물은 바람직하게, 진균 프로테아제 및 판크레아틴으로 효소적으로 가수분해 시킨다.
미합중국 특허 제4,757,007호는 프로테아제로 콩단백질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한 뒤,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결과 가수분해된 생성물을 분리함으로써, 가수분해된 콩단백질 생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공개하고, 특허 청구한다. 낮은 용해성을 갖는 일부의 가수분해된 단백질은 우수한 유화성을 갖고, 반면 높은 용해성을 갖는 것은 우수한 발포성을 갖는다.
미합중국 특허 제3,830,942호에서, 특히 고산성 식품에 유용한 가용성 단백질 생성물이 생성되고, 단백질이 풍부한 제과 상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불용성 단백질 생성물이 제조된다. 상기 특허는 지방제거된 유질 종자 물질을 형성하고, 슬러리의 pH를 종자 물질의 등전점으로 조정하고, 슬러리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효소를 슬러리에 첨가하고, 물질의 가수분해중 혼합물을 교반한 후, 단백질 생성물의 가수분해된 및 가수분해되지 않은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두개의 생성물을 생성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아르마메트 일동의 미합중국 특허 제4,665,158호에, 탈수 단백질 물질을 기체상 염산으로 가수분해하는 방법이 공개된다. 단백질 물질을 염산으로 함침시키고, 원하는 정도의 가수분해가 이루어질 때까지 선택된 온도에 있도록 둘때 상기 방법으로 부분적인 가수분해가 이루어진다. 만약 완전한 가수분해를 원한다면, 단백질-염산 조합물을 오토클레이브에서 압력하에 가열한다.
비록 효소 가수분해와 산 가수분해가 일반적으로 별개의 과정이지만,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얻기위한 산 및 효소 가수분해의 조합을 공개하는 참고가 발견되었다. USSR 특허출원 제442800호에서 근원적인 단백질 급식용 제제를 얻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원료 단백질을 효소 분해시킨 후, 이산화탄소 분위기에서 5.0% 황산(4.0M)으로 산 가수분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후 가수분해물은 음이온 교환 컬럼을 통과시키고, 수산화 알루미늄으로 처리한 후, 양이온 교환 수지를 포함하는 컬럼을 통과시킨다. 산 가수분해는 약 100℃에서 약 7시간 동안 일어난다.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해 여러해 동안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산 가수분해의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MCDP 및 DCP를 저해함으로 MCDP 나 DCP가 감소 또는 존재하지 않는 양의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생성하고, 실질적인 향미 증가성을 나타내는 어떤 방법도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감지할 수 없는 양의 MCDP를 함유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의 생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결과는 효소 가수 분해후, 기체상 염산으로 완산 가수분해인 식물성 단백질 가수분해의 두개 방법을 조합시킨 유일한 방법으로 성취된다. 상기 방법으로부터 결과되는 가수분해물은 향미가 깨끗하고 부드러우며, 실질적인 향미 증가성을 나타내고, 초기 단백질의 36중량%까지의 글루탐산일나트륨 실질량을 함유한다.
감지할 수 없는 양의 MCDP 를 갖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의 생성은 단백질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테아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단백질을 가수분해시킴으로써 비롯된다. 결과 가수분해된 가용성 단백질은 그리고나서 불용성 덩어리로 부터 분리시킨다. 그런다음, 기체상 염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산성화된 가수분해물을 제공한 후 중성화한다.
효소 가수분해단계는 대부분의 생 단백질의 비-단백질 성분없이 단백질을 가용화시킴으로써 MCDP 및 DCP 형성을 감소하는데 기여한다고 믿어진다. 이는 지방 물질을 함유하는 유효한 글리세롤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그로 인하여 다음의 산 가수분해 단계시 MCDP 형성에 요구되는 주요 기질의 양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믿어진다. 효소 가수분해의 다른 기능은 단백질에 작용하여 작은 펩티드 및 아미노산을 방출시키는 것이다.
산 가수분해 단계 또한 기체상 염산을 사용하여 MCDP 의 수준을 감소하는데 기여한다. 산 가수분해 또는 탈아미드화가 일어나는 조건은 통상적인 조건에서 사용된 것보다 유효하게 온화하고, 저수분 함량이다. 특히, 산 가수분해는 유효하게 낮은 산 농도, 낮은 온도, 낮은 수분 함량 및 통상적인 가수분해 방법보다 짧은 시간동안 수행한다. 조건을 조절함으로, 탈아미드화가 바람직하게 일어난다. 즉, 아미드 결합이 가수분해되나, 펩티드 결합 가수분해는 조절되거나 최소화된다. 이러한 조건은, 효소 가수분해로 감소된 지방함량과 함께 최종 생성물내 MCDP 의 형성 결여에 책임이 있다고 믿어진다.
본 발명은 단백질을, 감지할 수 없는 양의 MCDP 를 함유하는 생성물로 가수분해하는, 다수의 단계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감지할 수 없는 양”은 감도가 1ppm 만큼으로 낮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C)로 측정된 바의 감지할 수 없는 양을 의미한다.
본 방법에 따라, 식물성 단백질을 적어도 하나의 프로테아제 수성용액에 첨가함으로써 가수분해시킨다. 단백질은 오일종자 단백질(콩, 땅콩, 해바라기, 목화씨), 잎 단백질, 곡류 단백질,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유용한 단백질중 하나일 수 있다. 실질적인 향미 증가성을 수반하는, 향미료를 생산하는, 바람직한 단백질은 대개 글루타민으로 존재하는 밀 글루우텐으로써, 글루탐산 함량이 높기 때문이다.
단백질은 적어도 하나의 엔도프로테아제의 수성용액에 첨가되는데, 이는 산성, 중성, 또는 알카리성 형태일 수 있다. 프로테아제는 a) 최적 단백질 분해 활성에 적합한 pH가 무엇인가; b) 최종 생성물 요구에 가장 적합한 펩티드 결합 특성; 및 c) 기질이 쓴맛 제거를 요할지의 여부와 같은 특정 효소/ 기질 조합에 대한 다수의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선택한다. 단백질 밀 글루우텐에 대해 적합한 효소는 중성 엔도프로테아제, 특정 프로자임 6(아미노 인터내셔널 엔자임(Amano International Enzyme), Troy, Virginia) 이다.
단백질의 효소 가수분해는 약 25 내지 약 75℃의 온도 및 약 5.5 내지 약 8.5의 pH에서 일어나며, 중성효소는 기질 중량의 약 0.1% 내지 약 2.0%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시, 이러한 조건들은 단백질 프로테아제 조합에 의존하여 변화할 것이다. 예를들어, pH는 사용된 효소형태에 의존한다. 만약 산성효소가 사용되면, pH는 약 1.5 내지 약 4.0범위일 것이고, 알카리성 효소가 사용되면 pH는 약 7.0 내지 12.0 범위일 것이다. 본 pH범위는 중성 프로테아제의 사용에 기초한다.
밀 글루우텐 및 프로자임 6, 중성 프로테아제의 바람직한 경우, 효소 가수분해는 약 40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 45℃의 온도와, pH 약 6.5 내지 약 7.0에서, 프로자임 6 약 0.5% 내지 1.0 중량%의 바람직한 양으로 수행한다. 효소 가수 분해가 발생하는 시간은, 다수의 인자, 구체적으로 사용된 효소 농도, pH, 반응 온도, 기질 양 및 원하는 가수 분해의 정도에 의존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약 4시간이 제기되었다.
기질 양은 또한 본 방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하는 양은 총 배치의 약 1.0 내지 약 30 중량%이고, 바람직한 양은 약 22 내지 약 26중량%이다. 이러한 양은 특별히 높고, 일반적으로 통상적 방법으로는 성취될 수 없다. 원하는 양에 도달하기 위해, 효소를 기질에 첨가하는 통상적 방법 대신 기질을 효소에 첨가시킨다.
향미 활성 펩티드 및 아미노산을 방출하는데 필요한 펩티드 결합 가수분해의 대부분을 성취하기 위해 효소 가수 분해가 선정되었다. 이는 글루타민으로부터 글루탐산, 또는 글루탐산 일 나트륨을 방출하지 않고, 펩티드에 결합된 글루타민의 아미드 결합에 작용하지도 않는다. 상기 언급된데로, 광범위한 구입 가능한 엔도프로테아제 및 엑소프로테아제가 원하는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류우신 아미노 펩티다아제를 포함하는 특정 액소프로테아제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에 존재하는 소수성 펩티드로부터 쓴 맛을 감소시키는 데 바람직하다면 사용 가능하다.
엔도프로테아제는 초기 효소 가수 분해를 수행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 지적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만약 하나의 프로테아제가 사용되면, 그것은 분명히 엔도프로테아제이다. 만약 하나 이상의 효소가 식물성 단백질의 가수 분해에 쓰이면, 효소는 엔도프로테아제 및 엑소 프로테아제의 임의 조합물일 수 있고, 그들이 동시에 또는 차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시점에서, 효소 방법은 수성 용액에 산을 첨가함으로써 원하는 단계에서 중지시킬 수 있다. 이 단계는, 바람직한 방법의 일부일지라도, 필요한 것은 아니며, 가수 분해된 가용성 단백질은 상기 단계가 없어도 불용성 덩어리로 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수성 용액의 pH를 약 2.0 내지 약 4.0이 되게하는 식품용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첨가는 효소 반응을 중지시키고, 그로 인해 종점의 정확한 조절을 제공하며, 가수분해물에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식품용 산의 바라는 시간에서의 첨가는 또한, 가수분해된 가용성 단백질을 불용성 덩어리로부터 더 잘 분리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가수분해물이 바라는 정도의 용해성과 가수분해에 도달했을때 산을 첨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 정도는, 경제적 이유로, 적어도 60%, 바람직한 수준으로는, 적어도 90%여야 한다. 가수분해 정도는 약 10 내지 약 70%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50% 여야 한다.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은 그리고나서, 여과 또는 원심 분리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적합한, 통상적 방법으로 불용성 덩어리로부터 분리한다.
그런다음, 가수분해된 가용성 단백질은 수분함량의 약 25 내지 약 40 중량% 수준으로 감소되도록 농축 또는 건조시킨다. 결과되는 농축물은 기체상 염산과의 우수한 접촉을 위한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기 위해, 불활성이나 다공성인 기질에 집적, 플레이크 또는 건조시킬 수 있다.
그런다음, 농축된 가수분해물은 기체상 염산의 첨가도 온화한 기체상 산 가수분해한다. 상기 온화한 산 가수분해는 자유 아미노산 및 펩티드의 탈아미드화를 최대화하고 피로글루탐산의 형성을 최소화하도록 선정되었다. 상기 탈아미드와 단계는 95℃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수행한다. 반응의 발열 반응이므로, MCDP 형성 위험을 증가할 수 있는 과열을 막기 위해 이 단계시에 냉각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탈아미드화로부터 산성화된 가수분해물은 그리고나서, pH 약 5.0 내지 약 7.0으로 중성화시킨다. 임의 수의 공지된 식품용 염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수산화 나트륨이다.
결과되는 중성화된 가수분해물은 그리고 나서 원한다면, 더욱 유용한 형태가 되도록 부가 가공할 수 있다. 가수분해물은 탈색화 및 냄새 제거 공정을 겪을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활성탄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탈색, 냄새 제거된 가수분해물은 그리고나서 농축할 수 있다. 이는 최근 알려진, 스프레이 건조, 진공 트레이 건조 및 증발 같은 방법들에 의해 예를 들어 얇은 강하막 증발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온화한 산 탈아미드화시에, 초기 효소 과정에 의해 생산된 모든 글루타민은 글루탐산 일나트륨(MSG)으로 전환한다. 그러므로, 최종 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MSG 양은 실질적으로 이행되는 효소 공정 및 사용되는 기질에 의해 실질적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만약 밀 글루우텐이 식물성 단백질로 사용되고, 효소 공정이 총 전환율이 되면, 최종 생성물 내 MSG 양은 초기 단백질의 약 36중량% 만큼 높을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고 어떠한 경우에서든 제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효소 가수분해]
각각의 견본은 14리터 용기 및 표준 형상이 갖춰진 New Brunswick scientific MICROFERM 발효기에서 효소 가수분해시킨다. 밀단백질의 효소가수분해를 수행하기 위해 이행되는 일반과정은 첫째로 충전될 총 물의 65 내지 90%로 반응용기를 충전시키는 것이다. 용기의 온도를 올리는 동안 pH 전극은 표준화하고, 자동 적정기는 4.0M 수산화 나트륨으로 충전시킨다. 적정기는 표적 pH 에 고정하고, 효소 용액(D.I 수내 10중량% 효소)을 준비한다.
2400 그램의 밀 글루우텐(Manildra Milling Corp., Shawnee Mission, Kansas 66205)을 7500 그램 물에서, 24그램의 프로자임 6(Amano Enzyme, U.S. agent : Mitsubishi International Corp., New York, New York 10022)에 15 내지 20분 이상 지속적인 교반을 하며, pH7 및 온도 45℃로 유지시킨 효소 가수분해는 약 4시간동안 지속한다.
4시간 후, 가수분해물은 pH2까지 20보오메(10.0N) 식품용 염산(HCl)으로 신속히 적정시킨다. 산성화된 가수 분해물은 그리고나서, 얼음욕에 잠긴 관을 통해 수직 용기로 펌프하고 곧 냉장시킨다. 가용성상은 전체 가수분해물을 15분간 16,000 x G 에서 원심 분리하여 회수하고, 회수된 상층액은 탈아미드화를 위해 따로 둔다.
[기체상 탈아미드화]
기체상 탈아미드화는 6인치 직경 Kimax 상표 유리 공정 파이프로 구성된 유리 챔버에서 초상 규모로 수행한다. 레플론 시일로 장치된 표준 구슬압축 커플링이 반응시 챔버를 밀봉하여 막는데 사용된다. 챔버는 또한, 불활성 기체로 챔버를 플러슁하도록 하고, 반응 압력을 모니터 하기 위한 출입구를 제공하기 위한 양 끝의 (유리 스톱 콕크를 갖는) 입구 및 반응중 과압이 형성될 경우 압력제거를 위한 수단을 장치한다.
탈아미드화를 위한 견본을 준비하기 위해, 50 글래스 피버 패드(4x4인치 ; CEM Corporation, Indian Trail, NC. ; Cat No. 200150)를 효소 가수분해로 부터 가용성 상(약 20% 고체, 약 15% 단백질 및 약 0.75 몰의 아미드기를 포함하는)의 각각 약 25 그램으로 채운다. 이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총 견본 하중 250g/배치를 나타낸다. 젖은 필터는 수직위치로 필터를 보유시키기위해 갸름하게 구멍낸 유리로 구성된 특정 호울더로 이동시키고 탈아미드화하는 동안 서로 분리시킨다. 호울더와 젖은 필터는 그리고나서, 현탁된 단백질의 수분함량이 약 30%(건조 기초)로 감소되도록 저열(50-70℃)의 진공오븐에 둔다. 호울더와 건조된 효소 가수분해물은 그리고나서 상기 기술한 반응 챔버에 옮기고, 100ml(1.0몰 또는 배치의 아미드 함량에 비해 25%과량)의 농축(36.5% w/w)식품용 염산을 필터 호울더 아래의 열린 글래스 트레이에 둔다. 그런 다음 챔버는 시일링시키고 실질적으로 챔버에서 산소를 제거하는 건조 질소 기체로 플리슁한다. 일단 챔버가 플레슁되면, 95℃의 표준 실험용 강제 공기 오븐셋트에 두고, 탈아미드와에 영향을 주도록 약 1시간 동안 그대로 둔다. 반응 종료시, 오븐에서 챔버를 제거하고 냉각시킨다. 챔버는 그리고나서, 챔버가 안전하게 열리도록, 과량의 기체상 염화 수소를 제거하기 위해, 다시 불활성 기체로(적합한 트랩안으로) 플러슁 시킨다.
탈아미드화된 효소 가수분해물은 그런다음 탈이온수로 필터를 세척함으로써 수집한다. 결과되는 산성 생성물은 4M NaOH 로 중성화하고 탈이온수로 공지된 중량에 이르게한다. 최종 가수 분해물은 실질적인 양의 MSG 를 포함하나, MCDP 는 감지할 수 없는 양으로 포함할 것이다.

Claims (23)

  1. 하기 (a)-(e)로 구성되는, 감지할 수 없는 양의 모노클로로디히드록시프로판올을 함유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의 생성방법 : (a) 하나 이상의 프로테아제를 갖는 수성 용액에 단백질을 첨가하여 단백질을 가수분해하고 ; (b) 임의의 불용성 덩어리로부터 가수분해된 가용성 단백질을 분리하고; (c) 낮은 수분 함량으로, 가수분해된 가용성 단백질을 농축하고 ; (d) 가수분해된 가용성 단백질을 기체상 염산과 접촉시켜 가수분해물을 실질적으로 탈아미드화시키고 ; 및 (e) 탈아미드화한 가수분해물을 중성화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a) 단계에서 효소 반응을 중지하도록 산을 수성 용액에 첨가함이 포함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d) 단계로부터 얻은 가수분해물의 냄새제거 및 탈색이 포함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냄새 제거 및 탈색된 가수분해물을 농축함이 포함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의 프로테아제가 엔도프로테아제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엔도프로테아제는 산성, 중성 또는 알칼리성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의 단백질은 오일종자 단백질, 잎 단백질, 곡류 단백질 또는 이의 조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의 가수분해는 온도 25 내지 75℃ 및 pH 5.5 내지 8.5에서 일어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단계(a)의 가수분해는 온도 40 내지 50℃ 및 pH 6.5 내지 7.0에서 일어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단계(b)의 분리는 여과, 원심분리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가수분해물은 수분 함량 25 내지 40 중량%로 농축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단계(d)의 반응은 온도 95℃ 이하에서 일어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단계(d)의 반응은 온도 95℃에서 일어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단계(d)의 반응은 4시간 이하동안 일어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단계(d)의 중성화는 pH 5.0 내지 7.0에서 일어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의 가수분해는 둘 이상의 프로테아제의 순차적 첨가로 실시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의 가수분해는 둘 이상의 프로테아제의 동시 첨가로 실시되는 방법.
  18. 하기 (a)-(h)로 구성되는, 감지할 수 없는 양의 모노클로로디히드록시프로판올을 함유하는, 가수분해된 단백질의 생성 방법 : (a) 하나 이상의 프로테아제를 갖는 수성 용액에 단백질을 첨가하여 단백질을 가수 분해하고 ; (b) 효소 반응을 중지시키기 위해, 단계(a)의 수성 용액에 산을 첨가하고 ; (c) 불용성 덩어리로부터 가수분해된 가용성 단백질 분리하고 ; (d) 단계(c)로부터 얻은 가수분해된 단백질을 낮은 수분 함량으로 농축하고 ; (e) 가수분해된 가용성 단백질을 기체상 염산과 접촉시켜 탈아미드와 수해물을 제공하고; (f) 탈아미드화 수해물을 중성화하고 ; (g) 단계(f)로부터 얻은 가수분해물을 탈색 및 냄새 제거하고 ; 및 (h) 단계(g)로부터 얻은 수해물을 농축한다.
  19. 제18항에 있어서, 단계(a)의 단백질은 오일종자 단백질, 플라즈마 단백질, 잎 단백질, 곡류 단백질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단계(a)의 단백질은 밀 글루우텐인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단계(g)의 냄새 제거 및 탈색은 활성탄의 사용으로 수행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단계(b)의 산은 식품용 무기산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식품 등급 무기산은 염산, 인산, 황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19920000462A 1991-01-14 1992-01-13 기체상 염산을 사용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생성하는 방법 KR100254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41,037 1991-01-14
US07/641,037 1991-01-14
US07/641,037 US5180597A (en) 1991-01-14 1991-01-14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s using gaseous hydrochloric acid and the product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826A KR920014826A (ko) 1992-08-25
KR100254916B1 true KR100254916B1 (ko) 2000-05-01

Family

ID=2457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462A KR100254916B1 (ko) 1991-01-14 1992-01-13 기체상 염산을 사용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생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180597A (ko)
EP (1) EP0495391B1 (ko)
JP (1) JPH0556753A (ko)
KR (1) KR100254916B1 (ko)
AT (1) ATE164730T1 (ko)
AU (1) AU650313B2 (ko)
BR (1) BR9200080A (ko)
CA (1) CA2059015A1 (ko)
DE (1) DE69225006T2 (ko)
ES (1) ES2113893T3 (ko)
FI (1) FI920154A (ko)
IE (1) IE920033A1 (ko)
MX (1) MX9200126A (ko)
NO (1) NO920162L (ko)
UY (1) UY23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72976B1 (en) * 1991-01-14 1997-05-07 Cpc International Inc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lyzed proteins and the product thereof
JPH0534907U (ja) * 1991-10-17 1993-05-14 吉田工業株式会社 コードストツパー
DE19502168C1 (de) * 1995-01-25 1996-06-27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eizenproteinhydrolysaten
US6007851A (en) 1996-12-23 1999-12-28 Gist-Brocades, B.V. Process for producing a flavor enhancer
US6221423B1 (en) 1998-04-13 2001-04-24 Protein Technologies Int'l Inc. Short-chained peptide material
WO2002032231A1 (en) 2000-10-19 2002-04-25 Edens, Luppo Protein hydrolysates
US7091001B2 (en) * 2004-07-30 2006-08-15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igh arginine peptides
US8212062B2 (en) * 2007-04-02 2012-07-03 Inventure Chemical, Inc. Production of biodiesel, cellulosic sugars, and peptides from the simultaneous esterification and alcoholysis/hydrolysis of oil-containing materials with cellulosic and peptidic content
US7943792B2 (en) * 2007-04-02 2011-05-17 Inventure Chemical Inc. Production of biodiesel, cellulosic sugars, and peptides from the simultaneous esterification and alcoholysis/hydrolysis of materials with oil-containing substituents including phospholipids and peptidic content
RU2011101926A (ru) * 2008-06-20 2012-07-27 СОЛАЕ, ЭлЭлСи (US) Композиции белковых гидролизатов, стабильные при кислотных условиях
US7777085B2 (en) * 2008-10-01 2010-08-17 Inventure Chemical, Inc. Method for conversion of oil-containing algae to 1,3-propanediol
ES2374359B1 (es) * 2010-08-05 2012-12-27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Csic) Método de obtención de hidrolizados protéicos limitados y extensivos a partir de residuos agroindustriales.
WO2015181675A1 (en) * 2014-05-29 2015-12-03 Lb Lyopharm S.R.L.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unctional plant proteins
FR3042687B1 (fr) 2015-10-22 2019-07-05 Tereos Starch & Sweeteners Belgium Composition nutritionnelle riche en proteines de ble
BR102016022710A2 (pt) * 2016-09-29 2018-05-02 Brf S.A. Processo de fabricação de um hidrolisado proteico animal, hidrolisado proteico animal e seus usos
WO2019045492A2 (en) * 2017-08-31 2019-03-07 Cj Cheiljedang Corporation HYDROLYZED SOY PROTEIN CONCENTRATE UNDER LOW MOISTURE COND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1595A1 (en) * 1988-09-26 1990-04-04 Unilever N.V. Process for preparing improved hydrolysed protei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442800A1 (ru) * 1963-11-30 1974-09-15 Рижский Медицин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епарата дл парентерального белкового питани
US3830942A (en) * 1970-08-13 1974-08-20 Ralston Purina Co Non-isoelectric protein
US4452888A (en) * 1980-07-10 1984-06-05 Terumo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low-molecular weight peptide composition and nutrient agent containing the same
US4636388A (en) * 1982-02-22 1987-01-13 Stauffer Chemical Company Preparing protein for hydrolysis and product
JPS60176549A (ja) * 1984-02-22 1985-09-10 Nisshin Oil Mills Ltd:The たん白分解物の製造法
US4665158A (en) * 1984-06-13 1987-05-1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ethod for hydrolyzing protein materials
CA2020461A1 (en) * 1989-07-14 1991-01-15 Donald J. Hamm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s and the product therefrom
IE72976B1 (en) * 1991-01-14 1997-05-07 Cpc International Inc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lyzed proteins and the product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1595A1 (en) * 1988-09-26 1990-04-04 Unilever N.V. Process for preparing improved hydrolysed prot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826A (ko) 1992-08-25
AU650313B2 (en) 1994-06-16
FI920154A0 (fi) 1992-01-14
JPH0556753A (ja) 1993-03-09
NO920162L (no) 1992-07-15
AU1023592A (en) 1992-07-16
DE69225006T2 (de) 1998-07-30
ES2113893T3 (es) 1998-05-16
DE69225006D1 (de) 1998-05-14
CA2059015A1 (en) 1992-07-15
MX9200126A (es) 1992-07-01
FI920154A (fi) 1992-07-15
ATE164730T1 (de) 1998-04-15
NO920162D0 (no) 1992-01-13
EP0495391B1 (en) 1998-04-08
US5180597A (en) 1993-01-19
UY23351A1 (es) 1992-06-16
EP0495391A1 (en) 1992-07-22
IE920033A1 (en) 1992-07-15
BR9200080A (pt) 199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916B1 (ko) 기체상 염산을 사용하는,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을 생성하는 방법
Hrckova et al. Enzymatic hydrolysis of defatted soy flour by three different proteases and their effect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resulting protein hydrolysates
US397429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rotein-containing food additives
WO2007066694A1 (ja) 大豆ペプチド混合物の製造法
EP0223560B1 (en) Flavour control of protein hydrolysates
KR0158207B1 (ko) 가수분해된 식물성 단백질의 생산 방법 및 이로부터의 생성물
FR2485036A1 (fr) Perfectionnements relatifs a un agent proteolytique, procede d'hydrolyse de proteines et produits obtenus
KR100242500B1 (ko) 가수분해된 단백질의 제조방법
JPH0360480B2 (ko)
US11477999B2 (en) Method for producing whey protein hydrolysate
Rahma et al. Effect of limited proteolysi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ottonseed flour
KR0172127B1 (ko) 효소 개질 단백질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8252075A (ja) 酵素分解型調味料
JPH0362382B2 (ko)
JPS6336797A (ja) 改質蛋白の製造法
JPS63216437A (ja) 加水分解グルテンの製造法
JP4548339B2 (ja) 高グルタミン・グルタミン酸含有ポリペプチド混合物及びその製造法
JP3183088B2 (ja) 呈味性蛋白質加水分解物の製造法
JPH0499448A (ja) 油糧種子由来蛋白質
Goertzen The enzymatic modification of a chickpea protein isolate for improved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JPH01179694A (ja) 動物脂の採取方法
HU187046B (en) Method for producing protein preparation for food industrial purposes
JPH01300854A (ja) 加水分解グルテンの製造法
JPH0799972A (ja) 新規プロテアーゼ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