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890B1 -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 Google Patents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890B1
KR100254890B1 KR1019970054882A KR19970054882A KR100254890B1 KR 100254890 B1 KR100254890 B1 KR 100254890B1 KR 1019970054882 A KR1019970054882 A KR 1019970054882A KR 19970054882 A KR19970054882 A KR 19970054882A KR 100254890 B1 KR100254890 B1 KR 100254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ezoelectric element
lead
bent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402A (ko
Inventor
김종선
김민수
윤일용
손상운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70054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890B1/ko
Priority to US08/972,440 priority patent/US5982076A/en
Priority to JP9331580A priority patent/JP2977517B2/ja
Priority to CNB971203075A priority patent/CN1150636C/zh
Publication of KR19980086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04Holders; Supports for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528Holders; Supports for bulk acoustic wave devices consisting of cl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효과를 이용하는 압전소자를 기판상에 실장토록 하는 2단자 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에 관한 것으로, 단자에 형성된 절곡부로서 압전소자의 단자접속 위치고정이 용이하며, 압전소자와 단자의 접속작업이 완벽하게 수행됨으로 인하여, 압전소자 전자부품의 제품 신뢰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한편, 단자부품의 제조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접속시 용융되는 납땜이 단자부품 아래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며, 압전소자가 결합된 단자부품의 몰딩작업이 균일하고 용이하게 수행되어 전자부품의 외관을 미려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의 요지는, 양측면에 전극(112a)(112b)이 형성되는 압전소자(111)를 갖는 소자부(110)와; 상기 압전소자(111)의 선,후단에 대향 위치되고,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121)를 갖는 단자(123)를 구비하는 단자부(120)와; 상기 단자(123)의 내측 하단부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대향 위치되는 리드(132)와, 상기 리드(13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프레임(133)을 구비하는 리드부(130); 및, 상기 단자(123) 및 리드(132) 연결부분 하부에서 단자(123)를 따르는 방향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단자(123) 내측방향으로 일정 절곡각도(β)로 절곡되는 지지수단(141)을 구비하는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본 발명은 압전효과를 이용하는 압전소자를 기판상에 실장토록 하는 2 단자 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압전소자와 접속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에서 연장된 리드 및, 압전소자를 지지 고정토록 상기 리드에서부터 돌설 절곡되는 지지수단으로서 압전소자와 단자의 접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접속상태는 견고하게 유지되어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의 신뢰성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전소자는 소자의 압전효과 즉, 전기 및 기계에너지의 상호변환기능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기준신호의 동작원으로 사용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부품으로서, 주로 호출기 등의 이동통신장비, 텔레비젼 또는 오디오등과 같은 전자제품에 사용되어 현재 그 수요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를 이용하는 압전소자 전자부품은, 압전소자의 제조와, 상기 소자의 표면에 전극을 증착 및 패턴하는 전극 형성공정과, 상기 소자를 기판상에 실장토록 하는 단자부품과의 결합공정과, 마지막으로 왁스도팅(Dotting)과 에폭시 코팅 등의 몰딩공정 및, 마킹 등의 마무리 순으로 진행되며, 압전소자와 단자부품을 납땜등의 결합수단으로서 접속하여 몰딩처리함으로써, 패키지화 한 전자부품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단자부 압전부품에 있어서는,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 3-28596 호에서 개시되고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은 실질적으로는 압전소자를 접속토록 압전소자 양측으로 대향 위치되는 단자를 구비하는 2단자형 단자부 압전부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2단자형 단자부 압전부품의 단자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2 단자형 단자부 압전부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2단자형 단자부 압전부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2 단자형 단자부 압전부품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기판(1)의 서로 다른 면에 전극(2)(3)이 설치되는 압전소자(4)와, 상기 압전소자(4)의 전극(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2개의 단자(5)를 구비하는 단자부 압전부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자(5)가 각각 양주면의 타방의 리드부분(11)의 양주면과 동일의 면에 있는 평판상의 리브부분(11)과, 그 리브부분(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측부개구가 서로 대향하는 절곡선이 대략 U자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압전소자(4)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분(14) 및, 상기 지지부분(14)과 상기 리드부분(11)과의 경계부 근처에서 절곡하여 형성되고, 저부 개구의 상당부분을 실질적으로 막음으로서 압전소자(4)의 리드부분(11)으로의 이동을 지지하는 스토퍼부분(15)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분(14)과 전극(2)(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2단자형 단자부 압전부품에 있어서는, 도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면에 전극(2)(3)이 설치되는 압전소자(4)가 2개의 단자(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2개의 단자(5)의 평판상 리드부분(11)의 일단측에 측부 개구가 서로 대향하는 절곡선이 리브부분(1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대략 U자형으로 절곡되는 지지부분(14)의 양면에 상기 압전소자(4)의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분(14)과 상기 리드부분(11)과의 경계부 근처로서 리드부분(11)을 절곡하여 형성된 스토퍼부분(15)으로서 상기 지지부분(14)의 저부개구의 상당부분을 실질적으로 막음으로서, 압전소자(4)의 리드부분(11)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지지부분(14)에 고정된 압전소자(4)의 전극(2)(3)과 상기 지지부분(14)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2단자형 단자부 압전부품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단자(5)의 제조(금형) 작업시, 상기 스토퍼부분(15)을 완벽하게 직각으로 절곡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렵게 되며, 이로 인하여 단자(5) 저부개구를 완벽하게 막는 것이 어렵게 되는 한편, 접속시의 용융된 납땜이 단자(5) 아래로 흐르게 되는 동시에, 상기 압전소자(4)가 단자(5)의 U 자형 지지부분(14)내에 안착 될 때, 상기 압전소자(4)의 접속위치 고정작업이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4)를 고정 및 접속토록 하는 단자(5)의 지지부분(14)과 스토퍼부분(15)의 제작시 평판상으로 펼쳐진 단자(5)를 수차에 걸쳐 절곡해야 하므로 제조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자부품의 단자에 형성된 절곡부로서 압전소자의 단자접속 위치고정을 용이하게 수행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와 리드의 연결부분 하부에서 일체로 돌설되어 단자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절곡되는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압전소자와 단자의 접속작업이 견고하고 완벽하게 수행토록 되는 한편, 상기 지지수단이 단자 및 리드에서 돌출 절곡되는 간단한 구조로써, 단자부품의 제조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됨은 물론, 상기 지지수단으로서 용융된 납땜이 단자부품 아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따라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의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고, 몰딩작업이 균일하고 용이하여 제품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자부품의 단자 평면부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돌설되어 단자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지지수단으로서 압전소자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토록 함으로써, 압전소자와 단자의 접속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수행토록 되어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킨 압전소자 2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2단자형 단자부 압전부품의 단자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2는 종래의 2단자형 단자부 압전부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2단자형 단자부 압전부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소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소자 2단자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압전소자 2 단자부품에 있어서, 단자의 절곡부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
도 9는 압전소자 2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2 단자부품 101 : 전자부품
110 : 소자부 111 : 압전소자
120 : 단자부 121 : 절곡부
123 : 단자 130 : 리드부
132 : 리드 133 : 프레임
134 : 절개홈 140, 240 : 지지부
141, 241, 242, 243, 243' : 지지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압전소자가 내장되는 전자부품에 있어서, 양측면에 중앙부분에서 겹쳐지도록 전극이 각각 형성된 압전소자를 갖는 소자부; 와, 상기 압전소자의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고, 내측면에 상기 압전소자의 양측단부 전극과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를 갖는 단자부; 와, 상기 단자의 내측 하단부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드와, 상기 리드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프레임을 갖는 리드부; 및, 상기 단자 및 리드의 연결부분 하부에서 단자를 따르는 방향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단자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β)로 절곡되어 압전소자를 지지 고정토록 하는 지지수단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을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압전소자가 내장되는 전자부품에 있어서, 양측면에 중앙부분에서 겹쳐지도록 전극이 형성된 압전소자를 갖는 소자부; 와, 상기 압전소자의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고, 내측면에 상기 압전소자의 양측 단부 전극과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를 갖는 단자부; 와, 상기 단자의 내측 하단부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드와, 상기 리드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프레임을 갖는 리드부; 및, 상기 단자의 내측 평면부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단자의 내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100)을 갖는 전자부품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소자부(110)와 단자부(120)와 리드부(130) 및, 지지부(140)로서 구성된다.
상기 소자부(110)는,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면 일단 및 타단에서 부터 대략 중앙부분까지 길이방향으로 전극(112a)(112b)이 각각 형성되어 양 전극(112a)(112b)이 중앙부분에서 겹쳐지는 압전소자(111)를 구비하며, 상기 압전소자(111)는 주로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111)를 내측으로 접속토록 하는 단자부(120)는, 도 5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압전소자(111)의 길이방향 선,후단에 내측 개구부(122)가 대향토록 위치되고, 상기 압전소자(111)의 선,후단면 및 그 양측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감싸도록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121)를 갖는 단자(123)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123)는 그 내측면에 상기 압전소자(111)의 선,후단면 및 그 양측면에 형성된 전극(112a)(112b)이 납땜 등의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단자(123)의 절곡부(121) 절곡각도(α)는 40°- 45°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2°가 가장 적당하고, 상기 단자(123)의 절곡부(121)는 내측 중앙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는 대략 V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111)가 내측으로 접속되는 단자(123)를 메인 기판(미도시)에 실장토록 하는 리드부(130)는, 도 5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123)의 내측 하단부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 보강부(131)를 갖는 리드(132)를 구비하며, 상기 리드(132)의 하단부는 프레임(133)의 동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일체로 연결되어 압전소자(111)의 일측 및 타측에 대항 위치토록 된다.
또한, 상기 단자(123)의 내측으로 접속되는 압전소자(111)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 고정토록 하는 지지부(140)는, 도 5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단자(123) 및 리드(132)의 연결부분 하부에서 상기 단자(123)를 따르는 방향으로 일체로 지지수단(141)이 돌설되고, 상기 지지수단(141)은 단자(123)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β)를 갖으며 절곡되고, 상기 절곡각도(β)는 83°- 87°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85°가 가장 적당하다. 상기 지지수단(141)의 길이(T)는 상기 리드(132)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9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압전소자(111)는 주로 세라믹 재질인 박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전소자(111)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면 일단 및 타단에서 부터 대략 중앙부분까지 전극(112a)(112b)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전소자(111)의 양측면 전극(112a)(112b)은 중앙부분에서 겹쳐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압전소자(11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겹쳐진 전극(112a)(112b) 사이에서 공진주파수가 발생되어 압전공진소자로서 전자제품의 프로세서 진동발생원으로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를 세라믹 진동자라 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111)의 길이방향 선,후단측에는 내측 개구부(122)가 대향하는 단자(123)가 각각 대향 위치되고, 상기 단자(123)는 내측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12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압전소자(111)의 선,후면 및 그 양측면은 단자(123)의 내측면에 감싸지면서 납땜 등의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상기 단자(123)의 절곡부(121) 절곡각도(α)는 40°- 45°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42°가 가장 적당하다. 이는, 상기 압전소자(111)의 양측 단부가 단자(123)의 절곡부(121) 내측으로 위치될 때, 상기 압전소자(111)의 단자(123)접속 위치고정이 가장 정확하게 수행되며, 이에 따라 압전소자(111)가 단자(123)내에 항상 일정하게 위치되어 접속되고, 압전소자(111)와 단자(123)간의 접속작업시 상기 압전소자(111)의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된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절곡각도(α)가 40°보다 작으면, 그 내측으로 압전소자(111)가 위치되지 못하게 되며, 상기 절곡각도(α)가 45°보다 크면, 상기 단자(123)의 개구부(122) 폭이 크게 되어 압전소자(111)의 접속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단자(123)와 압전소자(111)간의 결합수단은 주로 그 접속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납땜 작업으로 수행되며, 상기 단자 절곡부(121)는 그 내측 중앙부분이 압전소자(111)의 납땜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그 접속상태를 용이토록 라운딩 처리되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단자(123)의 내측 하단부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드(132)의 중앙부에는 보강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리드(132)의 하단부는 프레임(133)의 동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연결되어 압전소자(111)의 일측 및 타측에 대향 위치토록 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132)가 메인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면, 상기 리드(132)를 통하여 압전소자(111)는 전기적으로 인가되며, 상기 보강부(131)로 인하여 리드(132)의 강도와 탄성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자(123) 및 리드(132)의 연결부분 하부에서 상기 단자(123)를 따르는 방향으로 일체로 단자(123)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β)로 절곡되는 지지수단(141)이 돌설되어 상기 단자(123)의 내측으로 접속되는 압전소자(111)를 하측에서 지지 고정함으로써, 압전소자(111)의 접속작업 및 그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토록 하는 동시에, 접속작업시 용융된 납땜이 아래로 흐르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수단(11)의 절곡각도(β)는 83°- 87°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85°가 가장 적당하다. 상기 절곡각도(β)가 83°보다 작으면, 상기 지지수단(141)이 단자(123)의 끝쪽에 치우치게 되고, 87°보다 크면, 상기 지지수단(141)이 단자(123)의 앞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압전소자(111)의 지지 고정상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141)의 길이(T)는 상기 리드(132)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수단(141)이 절곡되어도 상기 리드(132)의 두께로 인한 지지수단(141)의 불안정한 압전소자(111) 고정상태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에따라서, 일정한 절곡각도(α)로 절곡된 절곡부(121)를 갖는 단자(123) 내측면에 압전소자(111)가 일정한 위치로 고정되고, 리드(132)에서 단자 내측으로 절곡된 지지수단(141)으로서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단자(123)와 접속토록 되어, 압전소자(111)와 단자(123)간의 접속작업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수행되어 압전소자(111)를 갖는 전자부품(101)의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중요한 특징은,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101)의 마무리 공정인 몰딩작업을 보다 용이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리드부(130)의 리드(132) 중앙부에 형성된 보강부(131)의 중앙 양측단에 삼각형 형상의 절개홈(134)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리드(132) 중앙에 형성된 보강부(131)의 절개홈(134)에 압전소자 전자부품(101)의 몰딩공정시의 몰딩재(102)가 삽입되면서 경화토록 되어 보다 견고한 몰딩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절개홈(134)을 기준으로 하여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압전소자 전자부품(101)의 몰딩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압전소자 전자부품(101)의 몰딩상태가 균일하게 되어 전자부품(101)의 제품 외관도 미려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4 및 제 5 실시예를 도시한다.상기 제 3,4 및 제 5 실시예의 중요한 특징은, 상기 압전소자(111)를 지지하는 지지부(240)의 지지수단(241)(242)(243)(243')을 단자(123)의 내측 또는 외측 평면부(124)(124')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돌설한 후, 단자(123)의 내측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압전소자(111)를 지지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이하, 제 3,4 및 제 5 실시예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4와,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소자부(110)와 단자부(120)와 리드부(130) 및 지지부(240)로서 구성되며, 상기 소자부(110)와 단자부(120) 및 리드부(130)는 제1 실시예와 구성이 같으며, 그 작용 또한 같다.
한편, 압전소자(111)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240)는, 상기 단자부(130)의 단자(123) 내측 평면부(124)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단자(123)의 내측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지수단(241)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단자부(120)의 단자 절곡부(121) 내측으로 압전소자(111)가 상기 지지수단(241)으로서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는 상태에서 단자(123)와 접속토록 되어 그 접속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4,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40)의 지지수단(242)이 상기 단자(123)의 외측 평면부(124')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단자(123)의 내측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압전소자(111)의 단자(123) 접속시, 상기 지지수단(142)으로서 지지 고정토록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자(123) 내측으로 위치되는 압전소자(111)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수단(241)(242)을 단자(123)의 내측 및 외측 평면부(124)(124')에서 돌설되는 차이가 있으며, 이는 압전소자 전자부품(101)의 제조시 금형등이나 압전소자(111)의 크기 등에 따라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지지부(240)의 지지수단(243)(243')이 단자(123)의 내측 및 외측 평면부(124)(124')에서 하방으로 동시에 돌설되어 단자(123)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40°-50°로 절곡되며, 바람직하게는 45°로 절곡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상기 단자(123)의 양측 평면부(124)(124')에서 하방으로 돌설된 지지수단(243)(243')이 단자(123) 내측방향으로 45°로 절곡되어 그 사이에서 압전소자(111)가 지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243)(243')이 40°보다 작게 절곡되면, 압전소자(111)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반대로 50°보다 크면 상기 지지수단(243)(243')은 서로 간섭되게 된다. 이에따라서, 상기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전소자(111)의 하부가 지지수단(243')(243')으로서 고정되어 압전소자(111)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4 및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1 내지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각 지지수단(241)(242)(243)(243')의 길이(D1)(D2)(D3)를 단자(123)의 두께(d)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단자(123)의 두꼐(d)에 의해 지지수단(241)(242)(243)(243')이 압전소자(111)를 불안정하게 지지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에 있어서는, 단자에 형성된 절곡부로서 압전소자의 단자접속 위치고정이 용이하게 됨과 함께, 압전소자와 단자의 접속작업이 지지수단으로서 완벽하게 수행토록 되는 한편, 단자부품의 제조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며, 접속시 용융된 납땜이 단자부품 아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전소자 전자부품의 신뢰성이 가일층 향상됨은 물론, 압전소자가 결합된 단자부품의 몰딩작업이 균일하고 용이하게 수행되어 전자부품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압전소자(111)가 내장되는 전자부품에 있어서,
    양측면에 중앙부분에서 겹쳐지도록 전극(112a)(112b)이 형성된 압전소자(111)를 갖는 소자부(110); 와,
    상기 압전소자(111)의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121)를 갖고, 내측면에 상기 압전소자(111)의 양측 단부 전극(112a)(112b)과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123)를 갖는 단자부(120); 와,
    상기 단자(123)의 내측 하단부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드(132)와, 상기 리드(132)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프레임(133)을 갖는 리드부(130); 및,
    상기 단자(123) 및 리드(132)의 연결부분 하부에서 단자(123)를 따르는 방향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단자(123)의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β)로 절곡되어 압전소자(111)를 지지 고정토록 하는 지지수단(141)을 갖는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123)의 절곡부(121) 절곡각도(α)는 40°- 45°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123)의 절곡부(121)는 내측 중앙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는 V자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0)의 지지수단(141) 절곡각도(β)는 83°- 87°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0) 지지수단(141)의 길이(T)는 상기 리드부(130)의 리드(132)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132)의 중앙에는 보강부(13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132)의 중앙에 형성된 보강부(131)의 중앙 양측단에는 삼각형 형상의 절개홈(134)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8. 압전소자(111)가 내장되는 전자부품에 있어서,
    양측면에 중앙부분에서 겹쳐지도록 전극(112a)(112b)이 형성된 압전소자(111)를 갖는 소자부(110); 와,
    상기 압전소자(111)의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121)를 갖고, 내측면에 상기 압전소자(111)의 양측 단부 전극(112a)(112b)과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123)를 갖는 단자부(120); 와,
    상기 단자(123)의 내측 하단부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드(132)와, 상기 리드(132)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프레임(133)을 갖는 리드부(130); 및,
    상기 단자(123)의 내측 평면부(124)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단자(123)의 내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지수단(241)을 구비하는 지지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41)의 길이(D1)는 상기 단자(123)의 두께(d)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40)의 지지수단(242)은, 상기 단자(123)의 외측 평면부(124')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단자(123)의 내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42)의 길이(D2)는 상기 단자(123)의 두께(d)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40)의 지지수단(243)(243')은, 상기 단자부(120)의 단자(123) 내측 및 외측 평면부(124)(124')에서 하방으로 함께 돌설되어 단자(123)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40°- 50°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40)의 지지수단(243)(243')의 길이(D3)는 상기 단자(123)의 두께(d)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KR1019970054882A 1997-05-28 1997-10-24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KR100254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882A KR100254890B1 (ko) 1997-05-28 1997-10-24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US08/972,440 US5982076A (en) 1997-05-28 1997-11-18 Electronic component involving 2-terminal type piezo-electric device
JP9331580A JP2977517B2 (ja) 1997-05-28 1997-12-02 圧電素子2端子部品を有する電子部品
CNB971203075A CN1150636C (zh) 1997-05-28 1997-12-03 包含双端子型压电器件的电子元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12230 1997-05-28
KR19970012230 1997-05-28
KR19970012236 1997-05-28
KR19970012237 1997-05-28
KR101997012231 1997-05-28
KR101997012237 1997-05-28
KR1019970012230 1997-05-28
KR19970012231 1997-05-28
KR1019970012237 1997-05-28
KR101997012236 1997-05-28
KR1019970012231 1997-05-28
KR1019970012236 1997-05-28
KR1019970054882A KR100254890B1 (ko) 1997-05-28 1997-10-24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402A KR19980086402A (ko) 1998-12-05
KR100254890B1 true KR100254890B1 (ko) 2000-05-01

Family

ID=2753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882A KR100254890B1 (ko) 1997-05-28 1997-10-24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82076A (ko)
JP (1) JP2977517B2 (ko)
KR (1) KR100254890B1 (ko)
CN (1) CN115063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27059B (en) * 1998-08-07 2001-03-21 Tdk Corp Resonator, piezoelectric resona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584887B2 (ja) * 2001-01-29 2004-11-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6596810B2 (ja) * 2014-07-24 2019-10-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部品、電子部品の製造方法、電子機器、および移動体
JP6673065B2 (ja) * 2016-07-07 2020-03-25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4517A (ja) * 1983-10-28 1985-05-27 Murata Mfg Co Ltd 端子付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S62171214A (ja) * 1986-01-23 1987-07-28 Sony Corp 利得制御回路
JPS6367908A (ja) * 1986-09-10 1988-03-26 Murata Mfg Co Ltd 2端子形圧電共振素子を有する電子部品
DE3917989A1 (de) * 1989-06-02 1990-12-06 Bayer Ag Vorrichtung zum ausbessern oder zur erneuerung von behaelterstutzen emaillierter apparate
JP2949935B2 (ja) * 1991-07-30 1999-09-20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ケース
JPH06252683A (ja) * 1993-02-24 1994-09-09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636C (zh) 2004-05-19
CN1200578A (zh) 1998-12-02
JPH10335555A (ja) 1998-12-18
KR19980086402A (ko) 1998-12-05
JP2977517B2 (ja) 1999-11-15
US5982076A (en) 1999-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891B1 (ko)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US4532451A (en) Terminals and mounting for piezoelectric resonators
US20040095044A1 (en) Crystal unit
KR100254890B1 (ko)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JPH10189068A (ja) コネクタの電線接続構造
JPH07230837A (ja) 混成集積回路基板用端子
JP3206915B2 (ja) 超音波探触子
JPH0691168B2 (ja) 圧電振動子を内蔵して樹脂成形したハイブリツドicの実装構造
JP3401775B2 (ja) モールド型水晶振動子
JP2611693B2 (ja) 圧電発振器の実装構造
JPS62213212A (ja) チツプインダクタ
JPH09186026A (ja) コイル
JPS6322745Y2 (ko)
JP3808640B2 (ja) モールド型モジュール
JPH0691167B2 (ja) 圧電振動子を内蔵して樹脂成形したハイブリツドicの実装構造
JP2936597B2 (ja) 圧電振動子の樹脂パッケージ製造方法
JPH0453060Y2 (ko)
JPH10239168A (ja) 温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43867A (ja) 温度ヒューズ
JPH1040984A (ja) 端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4824Y2 (ko)
JPH0622978Y2 (ja) 銀ろう付きリードピン
JP2570653B2 (ja) 圧電振動子の実装構造
JPS5825703A (ja) 圧電振動装置
JPH0380561A (ja) 電池ユニット付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