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592B1 - 트리아졸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 - Google Patents

트리아졸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592B1
KR100254592B1 KR1019950705079A KR19950705079A KR100254592B1 KR 100254592 B1 KR100254592 B1 KR 100254592B1 KR 1019950705079 A KR1019950705079 A KR 1019950705079A KR 19950705079 A KR19950705079 A KR 19950705079A KR 100254592 B1 KR100254592 B1 KR 10025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ayer
organic electroluminescent
general formula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446A (ko
Inventor
키도쥰지
우에무라타카시
키무라히로야
오쿠다노부유키
우에바요시노부
오쿠다야수코
오오사카하지메
Original Assignee
구라우치 노리타카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라우치 노리타카,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우치 노리타카
Publication of KR960702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트리아졸유도체는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된다. 또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상기한 일반식(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유도체,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트리아졸유도체를 함유하는 층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트리아졸유도체는 전자수송효율, 호울블록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발광효율, 발광휘도 및 안정성이 우수하다.
(식중 R1~R10는 명세서중의 기재와 같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트리아졸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
[기술분야]
본발명은 신규한 트리아졸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EL)소자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발광은 전극에서 주입된 호울과 전자가 발광층내에서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을 발생하고, 그것이 발광층을 구성하는 발광재료의 분자를 여기하는 것이 기초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래서 발광재료로서 형광색소를 사용하면, 그 색소 분자의 포토루미너센스와 같은 발광스펙트럼이 일렉트로루미너센스발광으로 얻어질 수 있다.
근래에, 종래의 단층구조인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에 비해서 보다 저전압(약 10V정도)에서 효율적으로 녹색발광하는, 호울수송층과 전자수송성 발광층의 2층을 구비한 소자가, Tang과 Vanslyke에 의해서 제안되었다[C.W. Tang and S.A. Vanslyke: Appl.Phys. Lett., 51(1987)913]. 소자의 구성은 글라스기판위에 형성된 양극, 호울수송층, 전자수송성 발광층, 음극이다.
상기한 전자소자에는 호울수송층이 양극에서 전자수송성 발광층으로 호울을 주입하는 작용을 한다. 또 상기한 호울수송층은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호울과 재결합하지 않게 양극으로 피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자수송성 발광층내로 전자를 가두어놓는 작용도 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호울수송층에 의한 전자의 봉입효과에 의해 종래의 단층구조의 전자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호울과 전자의 재결합이 생기는 결과, 구동전압의 대폭적인 저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사이토 등은 2층 구조의 소자에 있어서, 전자수송층뿐만 아니라 호울수송층도 발광층이 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C.Adachi, T.Tsutsui and S.Saito:Appl. Phys. Lett., 55(1989) 1498].
사이토 등은 호울수송층과 전자수송층의 사이에 유기발광층이 삽입된 3층 구조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에 관해서도 제안하였다[C.Adachi, T.Tsutsui and S.Saito:Jap.J.Appl. Phys. 27(1988) L269].
앞의 2층 구조의 소자는 글라스기판위에 형성된 양극, 호울수송성 발광층, 전자수송층, 음극으로 이루어지며, 앞의 것과 반대로 전자수송층이 음극으로부터 호울수송성 발광층으로 전자를 주입하는 작용을 하는 것과 동시에, 음극에서 주입된 호울이 전자와 재결합하지 않게 음극으로 피하는 것을 방지하여, 호울수송성 발광층내로 호울을 가두어놓는 작용도 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전자수송층에 의한 호울의 봉입효과에 의해 앞의 것과 같게, 구동전압의 대폭적인 저하가 가능하게 된다.
후자의 3층 구조의 소자는 앞의 Tang 등의 소자를 더 개선한 것으로, 글라스기판위에 형성된 양극, 호울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음극으로 이루어지며, 호울수송층이 전자를 발광층으로 가두어놓는 작용을 하는 것과 동시에, 전자수송층이 호울을 발광층으로 봉입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2층 구조에 비해 발광층내에서의 전자와 호울의 재결합 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또 상기한 전자수송층, 호울수송층, 전자와 호울의 재결합에 의해 생성된 여기자가 음극 또는 양극의 어디로 피해서 소광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한다. 그래서 상기한 3층 구조의 소자에 의하면, 발광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이들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를 구성하는 호울수송재료로서는 트리페닐아민등의 방향족 제3급아민류, 전자수송재료로서는 옥사디아졸류, 발광재료로서는 테트라페날부타디엔유도체, 트리스(8-퀴놀리노에이트)알루미늄(Ⅲ)착체, 디스티릴벤젠유도체, 디스티릴비페닐유도체 등이 알려져 있다.
발명자 등은 분자중에 트리아졸환을 보유하는 트라아졸화합물은 전자수송효율이 우수하고, 전자수송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무기발광재료를 사용한 종래의 엘릭트로루미너센스소자에 비해
(i)저전압으로 고휘도의 발광이 가능한 것.
(ii)증착법뿐만 아니라 용액도포법에 의해서도 각 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대면적화가 쉽다는 것.
(iii)유기분자의 분자설계에 의해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것 등의 장점을 보유한다.
그러나, 사용중 발광효율의 저하가 크고, 발광수명이나 안정성의 향상이 큰 과제로 되어 있다.
이 원인의 하나로서, 종래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를 구성하는 호울수송재료, 전자수송재료 및 발광재료가, 어떤 것도 비교적 저분자에서 융점, 유리전이온도, 결정화온도 등이 낮고, 열적 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같이 열적 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저분자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소자에 전류를 통했을 때에 생기는 쥬울열(Joule's heat)이 원인이 되어 재료 자체의 열화나 또는 발광재료와 캐리어수송재료와의 엑시플랙스(exciplex)형성 등이 생기기 쉽게 되고, 그것에 의해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것이다.
또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에 있어서는, 키리어의 주입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각 유기층간 및 유기층과 전극층과의 사이의 계면이 가능한 한 평활하게 마무리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각 유기층은 비정질로 되어 있지만, 저분자재료는 결정화온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한 쥬울열의 발생이나 또는 대기중에 장시간 방치된 것 등이 원인이 되어 분자응집이 생기기 쉽다. 그 결과, 결정화에 의해 계면의 평활성이 손상되어, 캐리어의 주입효율이 저하되며, 소자의 발광효율이 저하되고, 발광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다.
본발명의 목적은 발광효과, 발광휘도 및 안정성이 우수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를 형성할 수 있는 신규한 화합물과 그것을 사용한 발광효율, 발광휘도 및 안정성이 우수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발명의 트리아졸유도체는, 일반식(1):
[식중 R1,R2,R3,R4,R5및 R6는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보유해도 좋은 아릴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발명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상기한 일반식(1)로 표시되는 트리아졸유도체 및 일반식(2):
[식중 R7,R8,R9및 R10는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보유해도 좋은 아릴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트리아졸유도체(이하, 총징하여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로 한다)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층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에 있어서의 상기층은,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전자수송재료로서 함유하는 전자수송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발명의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전자수송에 기여함과 아울러 호울의 통과를 방지하는 호울블록킹성이 있는 트리아졸환을, 1분자중에 3개 보유함과 아울러, 각 트리아졸환이 중심의 벤젠환과 함께 전자수송을 담당하는 π전자공역계를 구성하고 있다.
일반식(2)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상기한 트리아졸환을 1분자중에 2개 보유함과 아울러, 양 트리아졸환이 중심의 비페닐환과 함께 π전자공역계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모두 트리아졸환을 1분자중에 1개밖에 없는, 종래의 저분자량의 트리아졸화합물에 비해 트리아졸환의 수가 많은 것 외에, 상기한 화합물에 비해 π전자공역계가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수송효율이 우수하고 호울블록킹성도 우수하다.
또 상기한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모두 통상의 저분자량의 것에 비해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융점, 유리전이온도, 결정화온도 등이 높고, 열적 특성이 우수하며, 높은 내열성을 보유한다.
상기와 같이 전자수송효율, 호울블록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상기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함유하는 층을 보유한, 본발명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상기한 층의 내열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저분자량 트리아졸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상기층의 저항률이 현저하게 저감되고, 그 층에 있어서의 쥬울열의 발생량 자체가 감소하기 때문에, 전류를 통했을 때에 발생하는 쥬울열에 의한 재료 자체의 열화나 또는 발생재료의 엑시플랙스형성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쥬울열의 발생이나 또는 대기중에 장시간 방치하는 등이 원인이 되는 분자응집을 억제하여, 비정질의 평활한 계면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자의 발광효율이 향상되고 발광수명도 길어진다.
또 양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모두 상기한 바와같이 전자수송재료로서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것들 유도체를 함유하는 층을 전자수송층으로서 사용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보다 더 발광효율, 발광휘도 및 안정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양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모두 호울의 통과를 방지하는 호울블록킹성도 우수하므로, 이 유도체를 함유하는 층을 종래는 고휘도에서 발광시키는 것이 곤란했던 청색발광이나 백색발광 등 발광층과 조합시키면, 상기한 전자수송층에 의한 발광층으로의 호울의 봉입효과에 의해서, 발광층의 발광휘도를 실용레벨까지 향상할 수 있다.
상기한 양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각각 식중의 치환기 R1~R6, 치환기 R7~R10를 변경하므로써, 발광재료나 호울수송재료로서도 사용가능하며, 이 유도체를 함유하는 층은 전자수송층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일반식(1)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발명자들이 발견한 신규물질이지만, 일반식(2)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신규물질은 아니다. 그러나 일반식(2)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에 사용하는 것에 관해서, 지금까지 전혀 검토된 것이 없으며, 이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과 같은 우수한 특성을 지니는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가 얻어질 수 있는 것은, 발명자들이 본발명에서 처음으로 명확하게 한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a도는 본발명의 실시예1에서 작성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층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b도는 실시예2에서 작성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층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a도는 실시예3에서 작성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층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b도는 비교예1에서 작성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층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실시예3에서 작성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전압-휘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4도는 실시예4에서 작성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전압-휘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상기한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발명의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일반식(1)중의 기 R1~R6에 상당하는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제2급부틸기, 제3급부틸기 등의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알콕시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노말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노말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3급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1~4의 알콕시기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아릴기로서, 예를 들어 페닐기, 톨릴기, 크시릴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아릴기로 치환해도 좋은 치환기로서는, 상기한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등 외에,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아미노기의 아릴치환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일반식(1)중의 R1~R6은 각각 전부 다른 기가 되어도 좋지만, 합성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하기 일반식(1a)로 표시되듯이, R1~R3이 각각 동일한 기 Ra이고, 또 R4~R6이 각각 동일한 기 Rb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하기의 반응공정에 의해 합성 될 수 있다.
하기식(11)로 표시되는 1,3,5-벤젠트리카르보닐트리클로리이드와 기 Ra를 함유하는 일반식(1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히드라지드계 화합물을, 적당한 용매(예를 들어 탈수피리딘)중에서 반응시킨다. 이렇게 하면, 일반식(13)으로 표시되는 트리스-(디히드라지드)계화합물이 생성된다.
상기한 카르복실산히드라지드계 화합물은 기 Ra를 함유하는 카르복실산클로라이드와 히드라진을 적당한 용매(예를 들어 에탄올)중에서 반응시키므로써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이 트리스-(디히드라지드)계화합물(13)과 기 Rb를 함유하는 1급아민을, 적당한 용매(예를 들어 o-디클로로벤젠)중에서 삼염화인(PCl3)에 의해 폐환반응시키면, 상기한 일반식(1a)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가 합성된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의 구체적 화합물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식(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일반식(2)로 표시되는 다른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일반식(2)중의 기 R7~R10에 상당하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및 아릴기로 치환해도 되는 치환기로서는, 상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다.
상기한 일반식(2)중의 R7~R10은 각각 전부 다른 기가 되어도 좋지만, 합성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하기 일반식(2a)로 표시되듯이, R7,R8이 각각 동일한 기 Rc이고, 또 R9~R10이 각각 동일한 기 R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일반식(2a)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하기의 반응공정에 의해 합성 될 수 있다.
하기식(21)로 표시되는 4,4'-비페닐카르보닐디클로리이드와 기 Rc를 함유하는 일반식(2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히드라지드계 화합물을, 적당한 용매(예를 들어 탈수피리딘)중에서 반응시킨다. 이렇게 하면, 일반식(23)으로 표시되는 비스-(디히드라지드)계화합물이 생성된다.
상기한 카르복실산히드라지드계 화합물은 기 Rc를 함유하는 카르복실산클로라이드와 히드라진을 적당한 용매(예를 들어 에탄올)중에서 반응시키므로써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이 비스-(디히드라지드)계화합물(23)과 기 Rd를 함유하는 1급아민을, 적당한 용매(예를 들어 o-디클로로벤젠)중에서 삼염화인(PCl3)에 의해 폐환반응시키면, 상기한 일반식(2a)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가 합성된다.
일반식(2)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의 구체적 화합물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영국특허공보 제1393750호에 개시된 각 화합물 외, 식(2-1)~(2-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발명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발명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상기한 2종의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층을 보유하는 것이 좋지만,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층은 이 유도체를 전자수송재료로서 함유하는 전자수송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전자수송층은 구체적으로는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전자수송재료로서 사용하여 구성된 것, 그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주체로 하는 것이다.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주체로 하는 전자수송층으로서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만으로 구성되는 것 외에,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적당한 수지바인더중에 분자분산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전자(前者)의 전자수송층은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진공증착법 등의 기상성장법에 의해 하지위에 퇴적시켜 형성하거나,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한 도포액을 하지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용액도포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전자수송층은 그 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한 도포액을 기판상 또는 다른 층 위에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용액도포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한 전자수송층은 각종 첨가제 등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다른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전자수송층의 막두께는 특히 한정하지 않지만, 그 구조(상기한 2개의 구조중 어떤 것) 등에 의해서 최적한 막두께 범위를 한정하면 좋다.
상기한 전자수송층을 보유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 그 외의 구성은 특히 한정하지 않지만, 종래의 2층 구조라도, 또는 3층 이상의 다층구조라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여러 층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소자를 구성하는 전자수송층 이외의 층재료는 특히 한정하지 않으며, 각 층에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여러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각 층은 전자수송층과 같이, 진공증착법 등의 기상성장법이나 용액도포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각 층은 바인더수지, 각종 첨가제 등, 층의 기능에 직접 관계없는 다른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상기한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상기한 바와같이 식중의 치환기 R1~R6, 치환기 R7~R10를 변경하므로써, 발광재료나 호울수송재료로서도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본발명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상기한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발광재료나 호울수송재료로서 발광층이나 호울수송층 등의 전자수송층 이외의 층에 함유시킨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발명의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 및 일반식(2)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는, 전자수송효율, 호울블록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상기한 일반식(1) 또는 (2)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함유하는 층을 보유한 본발명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고휘도의 발광이 가능하며 동시에 발광시 발열이 억제되고, 또 발열에 의한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의 열화, 결정화 등이 억제되기 때문에 발광효율, 발광휘도 및 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상기한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를 전자수송재료로서 함유하는 전자수송층을 보유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그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가 전자수송효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발광효율, 발광휘도 및 안정성이 특히 우수하다.
그래서 본발명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는 저전압에서 구동할 수 있고, 유기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요성을 보유하는 대면적의 발광소자의 구조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표시, 조명, 디스플레이 등의 분야에 이용가능성이 높다.
[실시예]
이하에 본발명을 실시예, 비교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의 합성Ⅰ]
일반식(11)로 표시되는 1,3,5-벤젠트리카르보닐트리클로리이드 6.5g(25mmol)과 일반식(12)중 기 Ra가 4-tert-부틸페닐기인 카르복실산히드라지드계 화합물 14.1g(75mmol)을, 용매로서 300㎖의 탈수피리딘중에 용해한 용액을, 질소분위기하, 교반하면서 110℃로 가열하여 2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후, 반응액에서 피리딘을 증발시킨후 석출물을 수세하여, 상기 일반식(13)중의 기 Ra가 4-tert-부틸페닐기인 트리스-(디히드라지드)계 화합물 16.1g을 얻었다. 수율은 90%이었다.
이 트리스-(디히드라지드)계 화합물 7.3g(0.01몰)과 기 Rb로서 페닐기를 함유하는 1급아민으로서의 아닐린 16.8g(0.18몰)을, 4.1g(0.03몰)의 삼염화인(PCl3)과 함께 용매로서의 100㎖의 o-디클로로벤젠중에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180℃로 가열하여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후 반응액에서 o-디클로로벤젠을 증발시키고, 석출물 0.5N 염산 및 증류수로 순차세정하여, 2.7g의 결정을 얻었다. 수율은 30%이었다.
얻어진 결정을 CHN질량분석법으로 원소분석한 결과, 아래 표1과 같이, 실측치와 이론치가 거의 일치하였다.
또 GC-MASS측정에 의해, 상기한 결정의 질량스펙트럼을 구한 결과, 결정은 단일성분이고 분자량은 894의 단일피이크를 나타내었다.
이 DSC측정에 의해 상기한 결정의 융점을 측정하려고 했지만, 융점이 너무 놓아서 측정할 수 없었다. 이것으로부터 상기 결정의 융점은 측정의 한계인 360℃보다 높다고 예측되었다. 유리전이온도는 150℃이상으로 예측된다.
결정의 저항율은 108[Ω·㎝]이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결정은 상기한 식(1-1)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분자량 894.1)인 것이 확인되었다.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의 합성Ⅱ]
상기한 일반식(21)로 표시되는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디클로라이드 5.58g(20mmol)과 일반식(22)중 기 Rc가 4-tert-부틸페닐기인 카르복실산히드라지드계 화합물 7.69g(40mmol)을, 용매로서 150㎖의 탈수피리딘중에 용해한 용액을, 질소분위기하, 교반하면서 100℃로 가열하여 2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후, 반응액에서 피리딘을 증발시킨후 석출물을 수세하여, 상기 일반식(23)중의 기 Rc가 4-tert-부틸페닐기인 비스-(디히드라지드)계 화합물 8.27g을 얻었다. 수율은 70%이었다.
이 비스-(디히드라지드)계 화합물 5.91g(0.01몰)과 기 Rd로서 4-에틸페닐기를 함유하는 1급아민으로서의 p-에틸아닐린 14.5g(0.12몰)을, 2.7g(0.02몰)의 삼염화인(PCl3)과 함께 용매로서의 100㎖의 o-디클로로벤젠중에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180℃로 가열하여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후 반응액에서 o-디클로로벤젠을 증발시키고, 석출물 0.5N 염산 및 증류수로 순차세정하여, 1.5g의 결정을 얻었다. 수율은 20%이었다.
얻어진 결정을 CHN질량분석법으로 원소분석한 결과, 아래 표2과 같이, 실측치와 이론치가 거의 일치하였다.
또 GC-MASS측정에 의해, 상기한 결정의 질량스펙트럼을 구한 결과, 결정은 단일성분이고 분자량은 761의 단일피이크를 나타내었다.
이 DSC측정에 의해 상기한 결정의 융점은 350℃이고, 유리전이온도는 142℃로 예측되었다.
결정의 저항율은 108[Ω·㎝]이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결정은 상기한 식(2-1)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분자량 761.03)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
시이트저항 15Ω/□의 ITO(인듐-주석-옥사이드)코오팅글라스기판(아사히글라스제, ITO막두께 1500~1600Å)위에, 호울수송성 발광재료로서의 하기식(3)
로 표시되는 (i) N,N'-디페닐-N,N'-비스(3-메틸페닐)-1,1'-비페닐-4,4'-디아민(이하, TPD로 한다)와, (ii) 제1전자수송재료로서의 상기식(1-1)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와, (iii) 제2전자수송재료로서의 하기식(4)
로 표시되는 트리스(8-퀴놀리노에이토)알루미늄(Ⅲ)착체(이하 Alq로 한다)를 이 순서로 진공증착법으로 막을 형성하고 적층하였다.
발광영역의 치수는 세로 0.5㎝, 가로 0.5㎝의 정사각형이다. 각 층의 증착조건은, 진공압 2×10-5Torr, 기판온도 실온, 증착속도 2~4Å/초이고, 각 층의 막두께는 TPD층(호울수송성 발광층) 500Å,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제1전자수송층) 200Å, Alq층(제2전자수송층) 300Å이었다.
계속해서 Alq층위에 마그네슘과 은을 공증착하여 막두께 3000Å [Mg/Ag=10/1(몰비)]의 Mg/Ag전극층을 형성하여 3층 구조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를 얻었다. 전극층의 층착속도는 10Å/초이었다.
상기와 같이해서 제조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층구성을 제1도(a)에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1)은 글라스기판, (2)는 ITO막, (3)은 TPD층(호울수송성 발광층), (4)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층(제1전자수송층), (5)는 Alq층(제2전자수송층), (6)은 Mg/Ag전극층을 나타낸다. 또 부호(7)은 상기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에 직류전장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을 나타낸다.
상기한 층구성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ITO막(2)을 양극, Mg/Ag전극층(6)을 음극으로 하고, 실온, 대기중에서 양 전극사이에 전원(7)에서 직류전장을 인가하여 발광시키고, 그 발광휘도를 휘도계(미놀타제 LS-100)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16V의 구동전압에서 TPD층(3)으로부터의 휘도 3700cd/㎥의 청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이 소자를 실온에서 수일간 유지해도 외관상 변화는 보이지 않고, 또 제조직후와 동일한 레벨의 발광휘도에서 발광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2]
호울수송성 발광층을 TPD의 진공증착막 대신에, 하기식(5)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로 구성되는 폴리비닐카르바졸(이하, PVK로 칭한다)의 딥코우팅막(dip coating film)으로 구성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를 제조하였다.
딥코우팅은 디클로로에탄을 용매로 하면 PVK의 농도가 8g/liter의 도포액중에 ITO코우트글라스기판을 침지하고, 10㎝/분의 속도에서 잡아당긴후, 50℃에서 10분간 건조하므로써 실시하였다. 딥코우팅막으로 이루어지는 PVK층(호울수송성 발광층)의 막두께는 500Å이었다.
상기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층구성을 제1도(b)에 표시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부호 1,2,4~7은 각각 앞의 제1도(a)와 같고, 부호(8)은 PVK층(호울수송성 발광층)을 표시한다.
상기한 층구성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발광휘도를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결과, 14V(220mA/㎠)의 구동전압에서 PVK층(8)으로부터의 휘도 700cd/㎡의 청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이 소자를 실온에서 수일간 유지해도 외관상 변화는 보이지 않고, 또 제조직후와 동일한 레벨의 발광휘도에서 발광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3]
상기한 (a) TPD 150㎎과,
(b) 식(6)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테르술폰(이하, PES로 한다) 150㎎과,
(c) 형광색소로서의 식(7)
로 표시되는 테트라페닐부타디엔(형광파장 440nm, 이하 TPB로 한다) 0.1㎎과,
(d) 식(8)
로 표시되는 쿠마린 6(형광파장 480nm) 8.5㎎과,
(e) 식(9)
로 표시되는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형광파장 550nm, 이하 DCM으로 한다) 12㎎을 3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여 호울수송성 발광층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상기한 15Ω/□의 ITO(인듐-주석-옥사이드)코오팅글라스기판(아사히글라스제, ITO막두께 1500~1600Å)위에, 인상속도 10㎝/분의 딥코우팅법으로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막두께 500Å의 형광색소 분산형 호울수송성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한 호울수송성 발광층위에 제1전자수송재료로서의 상기한 식(2-1)로 표시되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와, 제2전자수송재료로서의 Alq를, 이 순서로 진공증착법으로 막을 형성하고 적층하였다.
발광영역의 치수는 세로 0.5㎝, 가로 0.5㎝의 정사각형이다. 각 층의 증착조건은, 진공압 2×10-5Torr, 기판온도 실온, 증착속도 2~4Å/초이고, 각 층의 막두께는 TPD층(호울수송성 발광층) 500Å,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제1전자수송층) 200Å, Alq층(제2전자수송층) 300Å이었다.
계속해서 Alq층위에 마그네슘과 은을 공증착하여 막두께 3000Å [Mg/Ag=10/1(몰비)]의 Mg/Ag전극층을 형성하여 3층 구조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를 얻었다. 전극층의 층착속도는 10Å/초이었다.
상기와 같이해서 제조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층구성을 제2도(a)에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2,4~7은 각각 앞의 제1도(a)와 같고, 부호(9)은 형광색소분산형 호울수송성 발광층을 표시한다.
상기한 층구성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발광휘도를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결과, 제3도의 전압-휘도특성을 표시하고, 10V(10mA/㎠)의 구동전압에서 호울수송성 발광층(9)으로부터의 백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이 발광색의 CIE좌표를 측정한 결과 X=0.34, Y=0.33이고, 순백색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 소자를 실온에서 1개월간 유지해도 외관상 변화는 보이지 않고, 또 제조직후와 동일한 레벨의 발광휘도에서 발광시킬 수 있었다.
(1)은 글라스기판, (2)은 ITO막, (3)은 TPD층(호울수송성발광층), (4)는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층(제1전자수송층), (5)는 Alq층(제2전자수송층), (6)은 Mg/Ag전극층을 나타낸다. 또 부호(7)은 상기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에 직류전장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을 나타낸다.
상기한 층구성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ITO막(2)을 양극, Mg/Ag전극층(6)을 음극으로 하고, 실온, 대기중에서 양 전극사이에 전원(7)에서 직류전장을 인가하여 발광시키고, 그 발광휘도를 휘도계(미놀타제 LS-100)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16V의 구동전압에서 TPD층(3)으로부터의 휘도 3700cd/㎥의 청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이 소자를 실온에서 수일간 유지해도 외관상 변화는 보이지 않고, 또 제조직후와 동일한 레벨의 발광휘도에서 발광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4]
호울수송성 발광층용 도포액으로서 TPD 150㎎과 PES 150㎎을, 3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3과 동일하게 하여 3층 구조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를 얻었다.
상기한 구성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발광휘도를 실시예1과 동일하게 측정한 결과, 제4도의 전압-휘도특성을 나타내며, 10V(40mA/㎠)의 구동전압에서, 호울수송성 발광층에서 청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이 소자를 실온에서 1개월간 유지해도 외관에 변화는 보이지 않으며, 제조직후와 동일한 레벨의 발광휘도로 발광시킬 수 있었다.
[비교예 1]
제1전자수소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본발명의 다량화트리아졸유도체 대신에, 하기식(10)
으로 표시되는 저분자 트리아졸화합물(저항율 108[Ω·㎝])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하여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를 작성하였다. 저분자인 트리아졸유도체의 층 구성은 200Å이었다.
상기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층구성을 제2도(b)에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2,5~8은, 각각 앞의 제1도(b)와 동일하며, 부호 10은 저분자 트리아졸유도체의 층(제1전자수송층)을 나타낸다.
상기한 층구성의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의 발광휘도를 동일하게 측정한 결과 14V의 구동전압에서 PVK층(8)에서 휘도 700cd/㎡이 청색 발광이 관측되었지만, 이 소자를 실온에서 수일간 유지하면 발광면에 흑색점이 발생하였다. 또 이 소자를 실온에서 1개월간 유지한 후, 발광시키면 휘도가 50%까지 저하되었다.

Claims (3)

  1. 일반식(1)
    [식중 R1,R2,R3,R4,R5및 R6는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콕시기 또는 페닐, 토릴, 크시릴, 비페닐, 나프틸, 안트릴 및 페난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당해 아릴기는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콕시기, 상기 아릴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및 아미노기의 아릴치환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치환기를 보유해도 좋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졸유도체.
  2. 일반식(1)
    [식중 R1,R2,R3,R4,R5및 R6는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콕시기 또는 페닐, 토릴, 크시릴, 비페닐, 나프틸, 안트릴 및 페난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당해 아릴기는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콕시기, 상기 아릴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및 아미노기의 아릴치환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치환기를 보유해도 좋다)로 표시되는 트리아졸유도체 및
    일반식(2)
    [식중 R7,R8,R9및 R10는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콕시기 또는 페닐, 토릴, 크시릴, 비페닐, 나프틸, 안트릴 및 페난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당해 아릴기는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콕시기, 상기 아릴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및 아미노기의 아릴치환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치환기를 보유해도 좋다)로 표시되는 트리아졸유도체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층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트리아졸유도체를 함유하는 층이 그 트리아졸유도체를 전자수송재료로서 함유하는 전자수송층인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
KR1019950705079A 1994-03-16 1995-03-15 트리아졸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 KR100254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45604 1994-03-16
JP4560494 1994-03-16
PCT/JP1995/000440 WO1995025097A1 (fr) 1994-03-16 1995-03-15 Derive de triazole et element electroluminescent produit a partir de ce dern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446A KR960702446A (ko) 1996-04-27
KR100254592B1 true KR100254592B1 (ko) 2000-05-01

Family

ID=1272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079A KR100254592B1 (ko) 1994-03-16 1995-03-15 트리아졸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92567A (ko)
EP (1) EP0704436B1 (ko)
JP (1) JP3102033B2 (ko)
KR (1) KR100254592B1 (ko)
AT (1) ATE171168T1 (ko)
CA (1) CA2162923C (ko)
DE (1) DE69504794T2 (ko)
TW (1) TW414804B (ko)
WO (1) WO19950250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539B1 (ko) * 2002-09-19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1063220B2 (en) 2013-06-18 2021-07-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8770A1 (de) * 1996-09-21 1998-03-26 Philips Patentverwaltung Organisches elektrolumineszentes Bauelement mit Exciplex
US6242115B1 (en) * 1997-09-08 2001-06-05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LEDs containing thermally stable asymmetric charge carrier materials
JP3180802B2 (ja) 1998-07-16 2001-06-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トリフェニルアミン誘導体と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357857B2 (ja) * 1998-07-24 2002-12-16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ITTO20010692A1 (it) * 2001-07-13 2003-01-13 Consiglio Nazionale Ricerche Dispositivo elettroluminescente organico basato sull'emissione di ecciplessi od elettroplessi e sua realizzazione.
US6723445B2 (en) 2001-12-31 2004-04-20 Canon Kabushiki Kaisha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6713781B1 (en) 2002-12-04 2004-03-30 Canon Kabushiki Kaisha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phenanthroline-fused phenazine
JP4265393B2 (ja) * 2003-02-24 2009-05-20 株式会社デンソー 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EP1692110A1 (en) * 2003-12-10 2006-08-23 MERCK PATENT GmbH Diacylhydrazine derivatives
DE102004014534A1 (de) 2004-03-23 2005-10-13 Basf Ag Triazolderivate und Verwendung von Triazolderivaten in organischen Leuchtdioden (OLEDs)
TWI258881B (en) * 2005-01-06 2006-07-21 Au Optronics Corp Photoelectric device
CN102964338A (zh) * 2005-08-31 2013-03-13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具有被吡啶基取代的三唑环结构的化合物和有机电致发光器件
JP5312824B2 (ja) 2007-04-12 2013-10-09 東ソー株式会社 フェニル基置換1,3,5−トリアジン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構成成分と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
JP5748948B2 (ja) 2008-10-03 2015-07-15 東ソー株式会社 1,3,5−トリアジ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構成成分と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
KR101097339B1 (ko) * 2010-03-08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72600B (zh) * 2013-01-10 2017-03-01 Konica Minolta Inc 樹脂組成物、三唑化合物、光學薄膜、偏光板、光學透鏡、圓偏光板、及圖像顯示裝置
CN103086988B (zh) * 2013-02-21 2014-10-29 天津师范大学 苯基双三唑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5794A (fr) * 1971-07-03 1973-01-03 Hoechst Ag Composes triazolyliques utilisables comme azureurs optiques
EP0553950A3 (en) * 1992-01-07 1994-11-23 Toshiba Kk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w J. Chem. vol.15 (1991) p501-507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539B1 (ko) * 2002-09-19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170086B2 (en) 2002-09-19 2007-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063220B2 (en) 2013-06-18 2021-07-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02033B2 (ja) 2000-10-23
TW414804B (en) 2000-12-11
DE69504794D1 (de) 1998-10-22
EP0704436A1 (en) 1996-04-03
DE69504794T2 (de) 1999-04-29
ATE171168T1 (de) 1998-10-15
EP0704436A4 (ko) 1996-04-24
WO1995025097A1 (fr) 1995-09-21
KR960702446A (ko) 1996-04-27
US5792567A (en) 1998-08-11
CA2162923C (en) 2006-01-31
CA2162923A1 (en) 1995-09-21
EP0704436B1 (en) 1998-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592B1 (ko) 트리아졸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일렉트로루미너센스소자
JP3816969B2 (ja) 有機el素子
JP4623223B2 (ja) 有機el素子
JP3835454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EP0681019A2 (en) Phenylanthracene derivative and organic EL element
WO1995033014A1 (fr) Elements electroluminescents organiques
WO2003078541A1 (en)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made by using the same
JP4364130B2 (ja) 有機el素子
JPH07110940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606025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02020459A1 (fr) Nouveaux composes de styryle et dispositifs electroluminescents organiques
US5821003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20040151945A1 (en) Binaphthol based chromophores for the fabrication of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JP2937015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642606B2 (ja) 有機el素子
EP1195422A1 (en) Thin film el device
JPH10284252A (ja) 有機el素子
CA2163010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20020102433A1 (en) Oxadizaole tetramers
JPH05320634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670185B1 (ko) 1,5-디아미노나프탈렌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그 제조용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JP3490879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999781B2 (ja) 有機el素子
JP4267670B2 (ja)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100798861B1 (ko) 적색 유기 발광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