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539B1 -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539B1
KR100254539B1 KR1019930023268A KR930023268A KR100254539B1 KR 100254539 B1 KR100254539 B1 KR 100254539B1 KR 1019930023268 A KR1019930023268 A KR 1019930023268A KR 930023268 A KR930023268 A KR 930023268A KR 100254539 B1 KR100254539 B1 KR 10025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methyl methacrylate
catalyst
range
hydroxyisobuty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431A (ko
Inventor
시가요시가스
아베다까후미
히구찌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오오히라 아키라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히라 아키라,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히라 아키라
Publication of KR94001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533Mono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7C69/54Acrylic acid esters;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C07C67/31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splitting-off hydrogen or functional groups; by hydrogenolysis of functional groups
    • C07C67/32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splitting-off hydrogen or functional groups; by hydrogenolysis of functional groups by elimination of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only in singly bound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을 기체상접촉반응시키므로서 메타크릴산 메틸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응온도가 230-300℃의 범위에 있고, 더구나 메탄올을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에 대해 0.1-3.0중량배의 비율로 반응기에 공급하고, 또한 특정의 Na함량(Na/Aℓ)과 특정의 격자정수를 갖는 천이형합성포우저제올라이트를 촉매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촉매의 단기적 열화 및 반응액의 착색이라는 문제점을 저지해서 우수한 품질을 갖는 목적물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고수율로 제조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을 원료로해서 메타크릴산메틸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타크릴산메틸은 내기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의 원료가 되고, 또 각종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원료가 되는등 공업적으로 중요한 용도가 있다.
본 발명자등은 앞서 일본국 특개평2-196753호에서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 에스테르 및 α-또는 β-알콕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원료로 하고, 결정성규산알루미늄을 촉매로 사용해서 탈수 또는 탈알코올 반응시키는 것에 의한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했다.
그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결정성규산알루미늄으로서는 X형 또는 Y형 제올라이트가 특히 우수한 촉매활성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3-167155호, 동3-167156호 및 동3-167157호에서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백금족원소로서 수식한 결정성규산알루미늄 특히 X형 또는 Y형 제올라이트가 그 제조방법의 촉매로서 유효하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발견에 기초하여 그후 다시 또 검토한 결과 통상의 X형 또는 Y형 제올라이트 혹은 알칼리금속 및/또는 백금족원소로서 수식한 X형 또는 Y형 제올라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반응조건에 따라서는 촉매의 일시적인 열화가 크고 재생조작이 상당한 빈도로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반응에 관한 촉매의 일시적인 열화는 반응조건에도 따르지만 수일로부터 수주간에서 반응을 계속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시적으로 열화한 촉매는 반응온도보다도 고온에서 소성하므로서 재생할 수 있으나, 빈번한 재생조작은 공업적으로 안정운전하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반응액중의 착색성물질은 그 비점이 메타크릴산메틸에 가깝고, 더구나 메타크릴산메틸과의 친화성도 높기 때문에 증류나 추출등의 처리조작으로서는 용이하게 분리제거가 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 광섬유등의 특수용도용의 분야에서는 물론 성형재료나 압출판, 주형판, 도료용등이 범용분야에서도 고급화지향에 수반하여 제품으로서의 메타크릴산메틸의 새로운 품질향상의 요구가 강요되고 있고, 반응의 단계에서의 착색성물질생성의 억제가 강력히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즉, 촉매의 일시적인 열화 및 반응액의 착색을 저지하고, 우수한 품질을 갖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고수율을 갖고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등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검토했다.
그 결과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을 반응기질로 하고, 제올라이트를 촉매로해서 기체상탈수반응으로 메타크릴산메틸을 합성하는 경우에 촉매의 일시적인 열화가 발생하는 것은 고비점부생성물이 촉매제올라이트의 세공입구를 덮어버리기 때문이며, 또 반응액의 착색이 생기는 것은 주로 비아세틸이 생성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이 고비점부생성물이나 착색성물질인 비아세틸의 생성억제방법에 대해 다시 또 검토를 거듭한 결과 어떤 선택된 범위의 온도에서 메탄올을 안정제로서 사용하고, 특정의 격자정수와 Na 함량을 갖는 천이형의 합성포우저사이트 제올라이트를 촉매로서 사용하므로서 비아세틸의 생성을 억제할 수가 있고, 동시에 고비점부생성물의 부생성을 삭감한 촉매활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킬 수가 있었다.
즉, 본 발명은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을 원료로해서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를 고정상촉매로서 기체상접촉반응에 의해 메타크릴산메틸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응온도가 230-300℃의 범위에 있고, 더구나 메탄올을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에 대해 0.1-3.0중량배의 비율로 반응기에 공급하고, 또한 Na 함량이 Aℓ에 대해 0.90-1.02(원자비)의 범위에 있어서 격자정수가 24.80-24.94Å의 범위에 있는 천이형의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를 촉매로해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촉매로 사용되는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에는 일반적으로 X형과 X형이 있다.
X형과 Y형은 결정구조는 같은 모양이지만, 화학조성 즉 Si/Aℓ 원자비가 다르다.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의 보다 엄밀한 분류로서는 E.Dempsey G.H.Kuhl, D.H.Olson, J.Phys.Chem. 73,387(1969)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X형, 천이형, Y형의 3가지로 분류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의 격자정수는 24.6-25.1Å의 범위며, 단위격자중의 Aℓ원자수가 48-96의 범위를 취할 수 있으나, X선회절의 단위격자정수와 Si/Aℓ원자비와의 직선관계의 불연속점으로부터 격자정수가 24.80-24.94Å의 범위 즉, 단위격자중의 Aℓ원자수가 64-80의 범위의 천이형이며, 격자정수가 그보다 긴 영역을 X형, 짧은 영역을 Y형으로서 구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는 천이형 즉, 격자정수가 24.80-24.49Å의 범위의 것이 적당하다.
포우저사이트형제올라이트의 촉매로서의 특성은 Si/Aℓ 비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으나, 결합제나 비결정질부를 많이 포함하는 경우에는 측정정밀도상 격자정수에 착안해서 검토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명자등은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기체상탈수반응에 대해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의 격자정수의 영향을 상세히 조사한 결과 격자정수가 클수록 촉매활성은 높아지지만, 촉매의 내구성은 낮게 되는 경향이 있고, 천이형 즉, 격자정수가 24.80-24.94Å의 범위에 있는 것이 촉매활성이 높을 뿐 아니라 촉매수명도 길고 비아세틸의 생성을 억제하는 촉매가 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의 천이형의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촉매는 Na 함량이 Aℓ에 대해 0.90-1.02(원자비)의 범위 특히, 0.92-1.02(원자비)의 범위에 있는 Na 형으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알코올류의 탈수반응촉매로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는 산의 강도가 높은 양정자형이나 다가음성자교환형이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탈수반응에 있어서는 산의 강도가 높으면 탈수소반응이 병행발생하여 아세톤이나 비아세틸이 증가한다.
또, 안정제로서 첨가하는 메탄올유래의 디메틸에테르나 폴리메틸벤젠등의 고비점부생성물이 증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촉매제올라이트는 일반적인 알코올의 탈수반응의 경우와 다르고, 일정량의 Na로 산의 강도를 조정한 것일 필요가 있다.
제올라이트의 산점은 결정격자중의 Aℓ에 기인하고 있고, Aℓ에 대해 거의 당량의 Na를 넣으므로서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기체상 탈수반응에 적응한 산의 강도로 조정할 수가 있다.
Na/Aℓ〈0.90에서는 제올라이트의 산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고, 또, Na/Aℓ〉1.02에서는 역으로 산의 강도가 지나치게 약해서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이 저하함과 동시에, Na염기에 의해 메타크릴산이나 고비점부생성물의 상대적인 생성비율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촉매에 있어서 Aℓ에 대해 0.90-1.02(원자비)의 범위에 있는 Na는 촉매의 산성도의 조정효과만이 아니고, 염기점으로서 또 하나의 촉매작용을 담당하고 있다고 추찰된다.
즉,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Na형의 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에의 흡착상태는 소위 2점흡착형이며, 제올라이트의 산점이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수산기에, 또 염기점이 메틸기의 수소에 작용하여 협조적으로 탈수반응이 진행하고 있고, 이 2점흡착형에서의 반응이 활성에너지를 내려서 반응온도를 230-300℃라고 하는 비교적 온화한 조건에서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탈수반응을 가능케하고 있다고 생각되며 저온반응이 가능하게 된 것이 선택성을 높이고 촉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된 소이이다.
본 발명의 촉매에 사용되는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자체는 미세분말이며, 공업적으로 고정상촉매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미세분말인채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구형상, 기둥형상 혹은 적당한 형으로만 성형체로서 사용된다.
제올라이트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올라이트미세분말 그 자체는 상호결합성이 없기 때문에 적당한 가소성과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결합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결합제로서는 Aℓ함량이 적은 점토, 바람직하게는 Aℓ함량이 5중량%미만의 점토가 사용된다.
특히, 실리카마그네시아계점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색성물질 비아세틸의 부생성을 억제하는데 아주 적당하다.
Aℓ함량이 적은 실리카마그네시아계점토로서는 예를 들면 활석,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세피얼라이트, 미네소타이트등을 들 수가 있고, 그중에서도 특히 합성헥토라이트가 아주 적당하다.
일반적인 결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카올린이나 몬모릴나이트, 벤토나이트, 포오틀랜드시멘트등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천이형의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와 함께 조합해서 사용되는 점토는 단순한 결합제로서의 효과만이 아니고, 착색물질 비아세틸의 부생성을 억제하는 커다란 효과를 발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촉매를 성형하기 위한 점토의 첨가량은 그 종류에도 의하지만, 제올라이트를 성형하는 때에 통상 첨가되는 양으로 되고, 성형하기 쉬운 것이나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를 고려해서 성형체를 기준으로하여 5-3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성형성을 좋게 하기 위해 성형조제나 윤활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 알코올류, 계면활성제등이 사용된다.
촉매의 성형법으로서는 필요로하는 성형체의 형상에 따라 압출성형법이나 전동조립법, 정제성형법등 각종의 방법을 채택할 수가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반응온도를 230-300℃의 범위로 하고, 메탄올을 안정제로서 사용하고, 더구나 천이형의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의 Na량을 규정해서 제올라이트의 산강도를 조정하므로서 비아세틸의 부생성이 적고, 또 촉매수명이 긴 공업용촉매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위에 Aℓ을 함유하지 않은 점토로 제올라이트를 성형하고, 촉매의 외표면의 Aℓ산점을 극력 감소시킨 촉매조제법을 채용하므로서 비아세틸의 억제효과를 일층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료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은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아미드의 메탄올리시스나 일본국 특공평2-2874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아미드와 포름산메틸로 제조된다.
또,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은 아세톤시안히드린과 황산으로부터 메타크릴산메틸을 제조하는 소위 ACH법이나 이소부틸렌을 원료로 하는 C4산화법의 고비점부생성물로부터도 얻어진다.
이와 같은 고비점부생성물로부터 회수한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에는 대개 α- 또는 β-메톡시이소부티르산메틸도 함유되지만, 본 발명의 촉매는 이와 같은 동족체의 탈메탄올반응에도 유효하고 함께 메타크릴산메틸로서 회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의 반응은 고정상촉매를 사용하는 기체상반응이며 원료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을 예열하여 기화시켜서 반응기에 공급된다.
기화된 원료는 그대로 도입하든가 또는 질소, 아르곤, 헬륨등의 불활성가스로 희석시켜서 도입할 수도 있으나, 메타크릴산메틸의 수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착색성물질 비아세틸등의 부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희석제로서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제메탄올의 비율은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에 대해 0.1-3.0중량배, 바람직하게는 0.2-2.0중량배의 범위이다.
또, 원료의 공급속도는 단위촉매중량당의 원료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과 희석제메탄올과의 합계중량 즉, 중량공간속도로 0.1-5.0h-1의 범위 특히, 0.2-3.0h-1의 범위가 아주 적당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비점부생성물이나 비아세틸등의 부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반응온도의 설정도 또한 중요하다.
반응온도는 230-300℃의 범위이며 일정온도로 유지해도 되지만, 각종 부생성물을 억제하여 촉매활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을 98.0-99.9%의 범위로 유지하도록 반응시간의 경과와 함께 특정의 온도범위에서 조금씩 온도상승시키는 방법이 아주 적당하다.
반응율이 98.0%미만에서는 메타크릴산 및 고비점물이 증가하여 메타크릴산메틸에의 선택율이 저하한다.
또, 필요이상으로 고온에서 반응시켜 반응율이 99.9%를 초과하면 원료나 생성물의 분해반응이 증가하여 메타크릴산메틸의 수율이 저하해서 촉매의 수명이 짧아진다.
반응의 개시온도는 230-270℃보다 바람직하게는 240-260℃의 범위이며 또 반응종료온도는 250-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290℃의 범위이다.,
또, 반응압력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으나 통상 상압내지 약간의 가압하에서 실시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의 이와 같은 반응온도의 조정은 촉매에 고비점부생성물등이 부착해서 활성점이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보충하기 위해 필요하고, 상기한 반응온도범위에서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을 98.0-99.9%의 범위로 유지할 수 없게된 때에는 원료공급을 일단 정지시키고, 포우저사이트형제올라이트가 파괴되지 않는 온도, 바람직하게는 55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의 온도에서 공기소성하므로서 그 촉매활성을 거의 완전히 회복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촉매는 용이하게 재생해서 반복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반응생성액에는 목적물인 메타크릴산메틸외에 미반응원료나 메타크릴산, 아세톤, 비아세틸, 폴리메틸벤젠류등의 부생성물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부생성물은 비아세틸이외는 증류나 추출등의 통상의 정제방법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비아세틸은 반응액중의 농도가 500ppm 이하이면 통상의 종류로 저비점유출물로서 제거할 수 있고, 문제가 되지 않지만 5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십단계이상의 단계수를 요하는 고정밀증류나 혹은 약액처리나 촉매등에 의한 제지조작이 새로이 필요하게 되고, 설비비나 에너지비용의 증가와 제품회수율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의 촉매를 사용한 경우에는 높은 메타크릴산메틸수율을 얻고, 또한 비아세틸의 부생성을 허용되는 범위로까지 억제할 수가 있고, 고순도의 제품 메타크릴산메틸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을 출반원료로해서 반응온도를 230-300℃의 범위로 하고, 메탄올을 안정제로서 사용하고, 더구나 Na 함량을 규정한 천이형의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를 고정상 촉매로 사용하므로서 반응생성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고, 메타크릴산메틸의 정제가 용이하게 되고, 그 외에 장기간에 걸쳐 고수율로서 메타크릴산메틸이 제조될 수 있는 것이며, 공업적으로 극히 높은 가치를 갖는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다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촉매조제: NaOH 75.9g을 이온교환수 462.9g에 용해시켜 알루미늄산염나트륨 (Aℓ2O3: 51중량%, NaO: 36중량%) 27.7g을 첨가했다.
그리고, 실리카솔(SiO2: 20중량%) 333.0g과 이온교환수 200.0g과의 혼합액을 첨가하여 균일한 슬러리혼합물이 되기까지 충분히 교반했다.
상기한 혼합물을 오오토클레이브에 넣어 100℃에서 48시간 결정화를 행했다.
그 후, 실온으로 복귀시켜 여과하여 pH가 10.0가 되기까지 수세해서 110℃에서 건조하여 500℃로 소성해서 무수제올라이트 51.6g을 얻었다.
이 제올라이트는 X선회절과 화학조성분석의 결과 격자정수 24.86Å, Na/Aℓ=0.96의 포우저사이트형 제올라이트인 것을 확인했다.
상기한 제올라이트 20.1g에 라포나이트 RD(라포오트주식회사제) 5.06g과 결정성셀롤로오스 1.25g을 첨가하여 이온교환수 14g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잘 혼합반죽한 후 압출성형후 110℃로 건조후 500℃로 소성하여 직경 1.2mm×길이 3-7mm의 형상의 성형촉매 25g을 얻었다.
2) 반응: 내경 15mm×길이 450mm의 석영유리관에 상기한 성형촉매 10g을 충전하여 촉매층온도를 250℃로 유지했다.
거기에 50중량%의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메탄올용액을 10g/hr로 예열층에 통해서 기체화하여 촉매층을 공급했다.
반응을 개시한 8시간후의 반응가스를 냉각응축시켜 1시간 시료채취해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분석한 결과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은 99.5%이며 메타크릴산메틸에의 선택율은 93.4%, 메타크릴산에의 선택율은 2.2%였다.
또, 반응액중의 비아세틸농도는 120ppm이었다.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을 99.0-99.9%의 범위로 유지하도록 반응온도를 서서히 올렸다.
1개월후 반응온도는 280℃에 달하고,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은 99.6%이며, 메타크릴산메틸에의 선택율은 91.8%, 반응액중의 비아세틸농도는 180ppm이었다.
280℃로 반응을 다시 3일간 계속한 후 정지시켰다.
다음에 350℃로 질소를 흘린후 과열점이 생기지 않도록 서서히 공기로 치환해서 400℃에서 12시간 소성해서 촉매를 재생했다.
재생후 촉매층온도 250℃로 원료공급속도를 동일하게해서 반응을 재개시켰다.
재개후 8시간에서의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은 99.6%이며, 메타크릴산메틸에의 선택율은 93.1%였다.
[실시예 2,3 비교예 1,2]
투입원료조성을 변경해서 격자정수가 다른 각종의 포우저사이트형 제올라이트를 조제해서 촉매로 했다.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을 99.0-99.9%의 범위로 유지하도록 반응개시온도 및 종료온도를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행했다.
그 결과를 실시예1의 결과와 함께 제1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4,5, 비교예 3,4]
물의 양등 세정조건을 변경해서 Na/Aℓ의 다른 각종 포우저사이트형제올라이트를 조제해서 촉매로하고 반응온도를 270℃로 일정하게 하고, 48시간후의 메타크릴산메틸과 비아세틸의 생성량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했다.
촉매조제의 투입조성비나 촉매평가에서의 온도이외의 반응방법은 실시예1과 같이해서 행했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6,7, 비교예 5]
라포나이트 RD 대신에 다른 점토를 결합제로서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해서 촉매를 성형했다.
또, 촉매의 평가방법은 실시예4,5와 같이 행했다.
그 결과를 실시예5의 결과와 합쳐서 표3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원료에 메탄올을 첨가하지 않은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을 사용하고, 질소를 예열기의 입구로부터 100mℓ/분의 비율로 반응기에 흘린것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행했다.
48시간후의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은 99.8%이며, 메타크릴산메틸에의 선택율은 62.2%, 메타크릴산에의 선택율은 20.3%였다.
120시간후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이 80%이하까지 저하했기 때문에 반응을 정지시켰다.

Claims (6)

  1.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을 원료로해서 기체상 접촉반응에 의해 메타크릴산메틸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응온도가 230-300℃의 범위이고, 더구나 메탄올을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에 대해 0.1-3.0중량배의 비율로 반응기에 공급하고, 또한 Na함량이 Aℓ에 대해 0.90-1.02(원자비)의 범위에 있고, 격자정수가 24.80-24.94Å의 범위에 있는 천이형의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를 촉매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천이형의 합성포우저사이트제올라이트를 Aℓ함량이 5.0중량%미만의 점토를 사용하여 성형체를 형성하여 촉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점토가 합성헥토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점토의 첨가량이 성형체를 기준으로 해서 5-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기체상접촉반응의 중량공간속도가 0.1-5.0h-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기체상접촉반응의 개시온도가 230-270℃의 범위이고 반응종료온도가 250-300℃의 범위이며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반응율을 98.0-99.9%의 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해 반응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KR1019930023268A 1992-11-16 1993-11-04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KR100254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554292A JP3189858B2 (ja) 1992-11-16 1992-11-16 メタクリル酸メチルの製造法
JP92-305542 1992-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431A KR940011431A (ko) 1994-06-21
KR100254539B1 true KR100254539B1 (ko) 2000-05-01

Family

ID=1794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268A KR100254539B1 (ko) 1992-11-16 1993-11-04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71273A (ko)
EP (1) EP0598243B1 (ko)
JP (1) JP3189858B2 (ko)
KR (1) KR100254539B1 (ko)
DE (1) DE69309615T2 (ko)
ES (1) ES2102575T3 (ko)
TW (1) TW2770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0878B2 (ja) * 1995-01-10 2004-04-1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メタクリル酸メチルの製造方法
JPH11255710A (ja) * 1998-03-11 1999-09-21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メタクリル酸メチルの製造方法
EP1186592A1 (en) * 2000-09-11 2002-03-13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Ltd. Production of methacrylates
US6610625B1 (en) * 2000-09-15 2003-08-26 Tricat Industries, Inc. Catalyst/adsorbent composition with improved performance
EP1487775A2 (en) * 2002-03-25 2004-12-22 Cargill, Incorpor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derivatives of beta-hydroxycarboxylic acids
US7687661B2 (en) * 2006-03-15 2010-03-3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ethod for conversion of β-hydroxy carbonyl compounds
US20070219397A1 (en) * 2006-03-15 2007-09-2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ethod for conversion of beta-hydroxy carbonyl compounds
MX2013003910A (es) 2010-10-07 2013-06-07 Rohm & Haas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ester de acido metacrilico.
WO2013184345A1 (en) 2012-06-04 2013-12-12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 for production of methacrylic acid esters
CN105324172B (zh) 2013-06-26 2019-05-31 罗门哈斯公司 用于制造甲基丙烯酸酯的工艺
WO2015058118A1 (en) 2013-10-17 2015-04-23 Cargill, Incorporated Method for producing alkyl hydroxyalkanoates
CN105848779B (zh) * 2013-12-24 2018-08-2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甲基丙烯酸甲酯制造用催化剂和甲基丙烯酸甲酯的制造方法
EP3130400B1 (en) * 2014-04-10 2019-01-02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olded catalyst for use in manufacture of methyl methacry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methyl methacrylate using same
EP3207004B1 (en) 2014-10-14 2024-01-17 GEVO, Inc. Methods for conversion of ethanol to functionalized lower hydrocarbons
WO2016061356A1 (en) 2014-10-17 2016-04-21 Cargill, Incorporated Methods for producing an ester of an alpha, beta-unsaturated carboxylic acid
US10633320B2 (en) 2018-01-04 2020-04-28 Gevo, Inc. Upgrading fusel oil mixtures over heterogeneous catalysts to higher value renewable chemicals
JP6889322B1 (ja) 2020-09-30 2021-06-18 住友化学株式会社 組成物
WO2023117754A1 (de) 2021-12-23 2023-06-29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kylmethacrylaten mit verbesserter ausbeute und verminderten emissionen flüchtiger organischer verbindungen
WO2023169810A1 (de) 2022-03-11 2023-09-14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pha-hydroxyisobuttersäuremethylester und dessen anwendung in der elektronik-industri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618B2 (ja) * 1989-01-26 1998-03-1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不飽和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778131B2 (ja) * 1989-07-14 1998-07-2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メタクリル酸メチルの製造方法
JP2884639B2 (ja) * 1989-11-28 1999-04-1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不飽和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JP2906547B2 (ja) * 1990-03-15 1999-06-2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α,β―不飽和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71273A (en) 1994-12-06
JPH06157413A (ja) 1994-06-03
KR940011431A (ko) 1994-06-21
EP0598243A2 (en) 1994-05-25
ES2102575T3 (es) 1997-08-01
EP0598243B1 (en) 1997-04-09
DE69309615D1 (de) 1997-05-15
TW277058B (ko) 1996-06-01
EP0598243A3 (en) 1995-03-29
JP3189858B2 (ja) 2001-07-16
DE69309615T2 (de) 199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539B1 (ko) 메타크릴산메틸의 제조방법
EP0429800B2 (en) Process for preparing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EP0379691B2 (en) Process for preparing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ester thereof
US10328420B2 (en) Dehydration-hydrolysis processes and catalysts therefor
KR100384759B1 (ko) 메타크릴산메틸의제조방법
US4942259A (en) Process for preparing n-vinyl amides
US4777322A (en) Obtaining but-2-enes from C4 -hydrocarbon mixtures which contain but-1-ene and may or may not contain but-2-enes
US4804758A (en) Preparation of 1,4-diazabicyclo[2.2.2]octanes
US10207975B2 (en) Dehydration-hydrolysis processes and catalysts therefor
CA1224801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or esters
US4788326A (en) Preparation of 4-pentenoates
US5144061A (en) Preparation of alkenecarboxylic esters
JP4539808B2 (ja) メタクリレート類の製造方法
US4904806A (en) Preparation of tetrahydrofurans from butane-1,4-diols
JP2884638B2 (ja) 不飽和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EP3088079B1 (en) Catalyst for use in production of methyl methacry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methyl methacrylate
CA1311502C (en) Preparation of dien-1-o1s, 9-hydroxydodec-10-enyl 1-tert-butyl ether and use thereof as an intermediate for synthesizing 8,10-dodecadienol
US4772746A (en) Preparation of 4-pentenoates
CN114728864A (zh) 生产二烯的方法
JPH0794399B2 (ja) ジメチ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H0859531A (ja) 粗副生成アセトンからジイソプロピルエーテルの一段階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