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965B1 - 광학계와, 이것을 사용한 화상관찰장치 및 촬상장치(otpical system, and image observ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onit) - Google Patents

광학계와, 이것을 사용한 화상관찰장치 및 촬상장치(otpical system, and image observ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o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965B1
KR100249965B1 KR1019960005015A KR19960005015A KR100249965B1 KR 100249965 B1 KR100249965 B1 KR 100249965B1 KR 1019960005015 A KR1019960005015 A KR 1019960005015A KR 19960005015 A KR19960005015 A KR 19960005015A KR 100249965 B1 KR100249965 B1 KR 100249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symmetry
power
partial reg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040A (ko
Inventor
아쯔시 오쿠야마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3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02B17/0856Catadioptric systems comprising a refractive element with a reflective surface, the reflection taking place inside the element, e.g. Mangin mirrors
    • G02B17/086Catadioptric systems comprising a refractive element with a reflective surface, the reflection taking place inside the element, e.g. Mangin mirrors wherein the system is made of a single block of optical material, e.g. solid catadioptric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22Telecentric objectives or len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2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 G02B17/06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 G02B17/0605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using two curved mirrors
    • G02B17/0621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using two curved mirrors off-axis or unobscured systems in which not all of the mirrors share a common axis of rotational symmetry, e.g. at least one of the mirrors is warped, tilted or decentered with respect to the other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02B17/0804Catadioptric systems using two curved mirrors
    • G02B17/0816Catadioptric systems using two curved mirrors off-axis or unobscured systems in which not all of the mirrors share a common axis of rotational symmetry, e.g. at least one of the mirrors is warped, tilted or decentered with respect to the other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4Viewfin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correcting geometrical aberrations, distor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1면과 상기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2면을 지닌 광학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면은 상기 대칭면내에 출사하는 기준축광선에 대해서 경사진 오목한 반사면이고,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정에서 부로 변화한다.

Description

광학계와, 이것을 사용한 화상관찰장치 및 촬상장치(OTPICAL SYSTEM, AND IMAGE OBSERV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ONIT)
제1도는 본 발명의 광학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광학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제3도(a) 및 제3도(b)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관찰장치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제4도(a)∼제4도(d)는 제1실시예의 광학계의 수차를 도시한 수차도.
제5도는 제1실시예의 광학계에 의한 화상의 왜곡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관찰장치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제7도(a)∼제7도(d)는 제2실시예의 광학계의 수차를 도시한 수차도.
제8도는 제2실시예의 광학계에 의한 화상의 왜곡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관찰장치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제10도(a)∼제10도(d)는 제3실시예의 광학계의 수차를 도시한 수차도.
제11도는 제3실시예의 광학계에 의한 화상의 왜곡을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관찰장치의 제4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제13도(a)∼제13도(d)는 제4실시예의 광학계의 수차를 도시한 수차도.
제14도는 제4실시예의 광학계에 의한 화상의 왜곡을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관찰장치의 제5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제16도(a)∼제16도(d)는 제5실시예의 광학계의 수차를 도시한 수차도.
제17도는 제5실시예의 광학계에 의한 화상의 왜곡을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각 실시예의 절대좌표계와 로컬좌표계의 설명도.
제19도(a) 및 제19도(b)는 국소적인 곡률반경rLx및 rLy의 설명도.
제20도(a) 및 제20도(b)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1 : 광학소자 Lo : 기준축광선
P : 표시면 Po : 표시면의 중심
S : 동공 S1 : 제1반사면(제1광학작용면)
S2 : 제2반사면(제2광학작용면) S3 : 제3반사면(제3광학작용면)
본 발명은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의 파인더나 소위 헤드장착디스플레이 등의 화상관찰장치 및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의 용도에 적합한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헤드장착디스플레이등에 있어서는,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기 위한 각종 광학계가 고안되어 왔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8-78116호 공보에는, 관찰자의 눈에 대해서 경사지게 설치된 오목한 구면반사면을 지닌 프리즘형상의 광학소자를 통해, 촬영광학계에 의해 얻어진 1차결상면상의 물체상을 관찰하는 광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예에 있어서는, 반사면이 경사진 구면이므로, 거기서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포함한 광학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하는 것이 어렵다. 상기 공보에는 상기 수차보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렌즈계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5-303055호 공보에는 상기 형의 렌즈계(릴레이렌즈계)를 추가한 광학계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그와 같은 릴레이렌즈계를 추가하는 것은 광학계의 전체길이를 길어지게 하므로 광학계의 콤팩트화를 손상시키는 결점이 있다.
일본국 특개평 5-303054호 공보, 일본국특개평 5-303056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5-323229호 공보등에는, 콤팩트화 및 광학계의 수차를 개선하기 위해: 고차의 비구면항을 지닌 일반적인 회전비구면; 원뿔계수로 정의된 원뿔함수에 의한 회전포물면 및 회전타원면; 직교하는 좌표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비구면함수로 표현된 토릭비구면(또는 아나모르픽비구면)중에서 1개의 반사면을 관찰자의 눈의 광축에 대해서 경사지게 설치한 광학계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광학계는 화상의 왜곡, 상면만곡 및 직교하는 방향의 포커스차(즉, 비점수차)가 보정될 필요가 있다. 또, 경사진 반사면과 소위 편심광학계와의 포커싱(시도조정)방법으로서는, 광학계를 이동시키면 광학성능의 변화가 커지므로, 광학계의 초점면(화상표시소자 또는 촬상소자)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광학계가 초점면에 대해서 텔레센트릭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관점으로부터 상기 종래예를 보면, 일본국 특개평 5-303054호 공보의 광학계는 상면 만곡과 화상의 왜곡은 보정하지만, 비점수차는 여전히 보정되지 않고 남아 있다.
또, 일본국특개평 5-303056호 공보의 광학계는 비점수차와 화상의 왜곡은 보정하지만, 상면만곡은 여전히 보정되지 않고 남아있다.
또, 일본국특개평 5-323229호 공보의 광하계는 상면만곡, 비점수차 및 화상의 왜곡은 보정하지만, 초점면에 대해서 광선의 각도가 크게경사져 있고, 액정패널 등의 표시소자 또는 CCD등의 촬상소자를 초점면에 배치한 경우는, 상기 소자의 특성의 각도의존성에 의해 성능이 대폭 열화한다는 결점이 있다.
또, 상기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광학계는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지만, 화상의 왜곡이 한번에 판별될 수 있는 정도이므로 보정이 불충분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비구면의 반사면의 구성에서는 전체 수차를 충분하게 보정할 수 없었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일본국 특개평 3-180810호 공보에는, 관찰자의 시점을 멀리 설정하여 광학계에 대한 F넘버를 증가시키고, 광학계의 초점심도를 크게 함으로써 상면의 만곡과 비점수차를 보정하며, 화상의 왜곡을 직교하는 좌표계(x,y,z)의 크로스텀(예를들면, xy)을 지닌 비구면에 의해 보정하도록 구성한 광학계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광학계는 멀리 설정된 시점으로부터 화상을 관찰하는 방법에 의거한 것이므로, 광각화나 대화면화를 행할 수 없다. 또, 광학계를 블록거울과 오목거울을 조합한 망원형으로 구성하여도, 전체로서의 사이즈가 커서 콤팩트화가 어렵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각종 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계는 각각 1개의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1면과 제2면을 지니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대칭면내에 출사하는 기준축광선에 대해서 경사진 오목한 반사면이고, 상기 제2면의 국소적인 파워는 정(+)에서 부(-)로 변화한다.
본 발명의 광학계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국소적인 파워 및/또는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국소적인 파워는, 상기 대칭면이 상기 제2면을 절단하는 절단선을 따라서 정에서 부로 변화한다.
본 발명의 광학계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국소적인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에서 보다 긴 광로길이의 방향으로 정에서 부로 바람직하게 변화한다.
본 발명의 화상관찰장치 및 촬상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계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학계의 기본구성의 광학적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도에 있어서, (S)는 조리개, (S1)은 제1반사면(광학작용면), (S2)는 제2반사면(광학작용면), (P)는 초점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광학계를, 편의상 광이 조리개(S)측으로부터 출사하여 초점면(P)에 이르는 계로서 설명하지만, 실제의 화상관찰광학계의 경우는, 광이 초점면(P)(화상표시장치)으로부터 출사하여 조리개(S)(관찰자의 동공)로 입사하는 계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의 광학계에 있어서는, 조리개(S)의 중심으로부터 출사하여 초점면(P)의 중심(Po)에 대략 수직으로 충돌하는 광선을 기준축광선(Lo)이라 정의하고, 또, 조리개(S)의 중심으로부터 출사하여 초점면(P)상의 각 점에 대략 수직으로 충돌하는 광선을 주광선(L)이라 정의하자.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사면(S1)은 조리개(S)로부터의 주광선(L)이 제1반사면(S1)에 의해 반사된 후 화상측을 향해 대략 텔레센트릭하고, 평균상면이 기준축광선(Lo)과 수직인 평면(H)상에 거의 겹쳐지는 형상으로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 대략 무한대의 원거리에 있는 물체로부터 출사하여 조리개(S)를 통과하는 광속을, 지면에 평행하고 기준축광선(Lo)을 포함하는 단면(후술의 YZ단면)과 지면에 수직이고 기준축 광선(Lo)을 포함하는 단면(후술의 XZ단면)으로 나누어서 고려하면, 평균상면은 각 단면의 광선의 결상위치사이의 중간점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는, 어떤 화각의 광속에 있어서 점(Me)이 YZ단면의 광선내의 결상점이고, 점(Sa)이 XZ단면내의 광선의 결상점이다.
이 경우에 주광선(L)에 있어서의 점(Me)과 점(Sa)과의 중점(Q)이 평균상면상의 점이고, 점(Me)과 점(Sa)과의 차은 비점수차이다. 주광선의 텔레센트릭성과 상의 왜곡은 반사면의 전체적인 형상에 영향을 받고 각 광속의 결상상태(화면만곡, 비점수차)는 면의 국소적인 형상에 영향을 받는다.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수차의 보정을 1개의 반사면에 의해 달성하는 것은 곤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반사면(S1)은, 주로 주광선의 텔레센트릭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왜곡을 보정하며 평균상면이 평면(H)와 얼라인하도록 구성하고, 제2반사면(S2)은 잔존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한다.
제2반사면(S2)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광속의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YZ단면의 광선의 국소적인 결상배율이 제1반사면(S1)에 대해서 가까운 쪽(A)으로부터 먼쪽(B)을 향해 증가하고, XZ단면의 광속의 국소적인 결상배율이 제1반사면(S1)에 대해서 가까운 쪽(A)으로부터 먼쪽(B)을 향해 감소하도록 결정하는 것이좋다. 국소적인 면의 배율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면의 물체거리(b')에 대한 상거리(b")의 비(b"/b')이다.
제2반사면(S2)은, YZ단면에서는 제1반사면에 대해서 가까운 쪽(A)으로부터 먼쪽(B)을 향해 국소적인 파워(pL=-2N/rL)가 정에서 강한 부로 변화하고, XZ단면에서는 제1반사면에 대해서 가까운 쪽(A)으로부터 먼 쪽(B)을 향해 국소적인 파워가 정 또는 약한 부에서 강한 부로 변화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형상을 지닌 2개의 반사면은 상의 왜곡, 화면만곡 및 비점수차에 대해서 보정하여, 텔레센트릭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반사면(S2)과 초점면(P)사이의 초점면 근방에 제3광학작용면(S3)(도시생략)을 배치하면, 광학계는 제2반사면(S2)의 형상에 의해 야기되는 약간의 상의 왜곡 및 텔레센트릭성의 일탈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부분적인 상면의 변동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제3광학작용면(S3)은 굴절면 또는 반사면이어도 된다. 제3광학작용면(S3)을 초점면(P)근방에 설치하면, 초점면(P)의 각 점(상점)에 도달하는 광속의 오버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면의 부분적인 형상의 변화에 의해 상점의 부분적인 보정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반사면(S1)과 제2반사면(S2)에 의해 보정할 수 없는 수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매질상에 제1반사면(S1), 제2반사면(S2) 및 제3광학작용면(S3)을 형성하면, 본 발명의 광학계를 1개의 광학소자로 실현할 수 있어서 콤팩트화 및 저코스트화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제3도(a) 및 제3도(b)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관찰장치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B1)은 제1, 제2 및 제3광학작용면(S1),(S2),(S3)을 지닌 광학소자이다. 각각의 3개의 광학작용면을 1개 평면(YZ평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형상으로 형상되어 있다. (S)는 관찰자의 바람직한 동공위치이고, (P)는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이다.
제3광학작용면(S3)은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비구면형상이고, 표시면(P)의 중심으로부터 표시면(P)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출사하는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광학작용면(S2)은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비구면형상이고, 제3광학작용면(S3)에 의해 굴절된 기준축광선(Lo)을 전반사하는 각도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제1광학작용면(S1)은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전체적으로 강한 오목면의 비구면반사면(면상에 반사막을 부착하여 얻음)이고, 제2광학작용면(S2)에 의해 전반사된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제1광학작용면(S1)에 의해 반사된 기준축광선(Lo)은 제2광학작용면(S2)을 통과하여 동공(S)에 도달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광학작용을 설명한다. 표시면(P)상에 표시된 화상으로부터 출사한 광속은 먼저, 제3광학작용면(S3)을 통과하여 제2광학작용면(S2)을 향해 진행한 다음, 상기 면(S2)에 의해 전반사되어 제1광학작용면(S1)으로 향한다. 그후, 광속은 상기 면(S1)에 의해 반사되어 수속광이 되고, 다시 제2광학작용면(S2)으로 진행한다. 이번에는 광속이이면(S2)을 통과하여 화상의 허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관찰자의 동공(S)에 도달하므로, 관찰자는 허상을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학계는 편심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광학계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절대 좌표계와 로컬좌표계를 설정한다. 제18도는 절대좌표계와 로컬좌표계의 설명도이다. 이하에 이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절대좌표계의 원점은 관찰자의 바람직한 동공위치(S)의 중심(0)에 설정하고, Z축은 점(0)을 통해 동공면에 수직인 직선으로 대칭면상에 있다. Y축은 원점(0)을 통해 상기 대칭면상의 Z축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90°의 각도를 이루는 직선이고, X축은 원점(0)을 통해 Y축 및 Z축에 수직인 직선이다. Z축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P)의 중심으로부터 표시면(P)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출사하여 동공(S)의 중심에 도달하는 기준축광선(Lo)과 겹쳐진다.
각 로컬좌표계의 원점(0i)을 절대좌표(SXi, SYi, SZi)에 설정한다. 각 로컬좌표계의 z축은 YZ평면내의 원점(0i)을 통해 절대좌표계의 Z축과 각도 Ai를 이루는 직선이고, y축은 원점(0i)을 통해 대칭면상의 z축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90°의 각도를 이루는 직선이다. x축은 원점(0i)을 통해 y축 및 x축에 직교하는 직선이다.
각 면의 형상은 로컬좌표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광학작용면의 형상은 원뿔계수로 정의된 원뿔함수와 제르니케다항식을 지닌 이하의 함수로 정의된 형상이다.
z = c(x2+ y2)/[1 + {1 - (1 + k)c2(x2+ y2)}1/2]
+ c1(x2+ y2)
+ c2(-1 + 2x2+ 2y2)
+ c3(-2y + 3x2y + 3y2)
+ c4(3x2y - y3)
+ c5(x4- 6x2y2+ y4)
+ c6(-3x2- 4x4+ 3y2- 4y4)
+ c7(1 - 6x2+ 6x4- 6y2+ 12x2y2+ 6y4)
+ c8(3y - 12x2y + 10x4y + 12y3+ 20x2y3+ 10y5)
+ c9(-12x2y + 15x4y + 4y3+ 10x2y3- 5y5)
+ c10(5x4y - 10x2y3+ y5)
상기 식에 있어서 c는 c=1/r로 정의도는 곡률이고, 식중 r은 각 면의 기본곡률반경이다.
또, k는 각 면의 원뿔계수이고, Cj는 각면에 있어서의 j번째의 제르니케다항식의 비구면계수이다.
표 1은 제1실시예의 구성데이터를 표시한 것이다. 표중, f는 광학소자(B1)의 초점거리에 상당하는 값으로, 이하의 식으로 산출된다:
f=ym/tan(e)
식중 θ는 무한대의 원거리에 있는 물체로부터의 입사광의 입사각도이고, ym은 표시면(P)상의 입사광의 광선으로부터 결상된 상의 높이로, 여기서는 f를 간단히 초점거리라고 칭한다.
[표 1]
표 2는 제2광학작용면(S2)의 국소적인 곡률반경(rLx) 및 (rLy)을 해당 작용면의 6점에 대해서 표시한 것이다.
표중의 좌표는 해당 면의 로컬좌표이다.
[표 2]
이하, 국소적인 곡률반경(rLx) 및 (rLy)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9도(a) 및 제19도(b)는 국소적인 곡귤반경(rLx) 및 (rLy)의 설명도이다.
국소적인 곡률반경(rLx)은 제19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Si)과 xz평면에 평행한 평면(도면에서는 y=yT만큼 떨어져 있음)과의 교선상에 있어서의 국소적인 곡률반경이다.
또, 국소적인 곡률반경(rLy)은 제19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Si)과 yz평면(도면에서는 x=xT만큼 떨어져 있음)에 평행한 평면과의 교선상에 있어서의 국소적인 곡률반경이다. 여기서, 국소적인 곡률반경(rLx) 또는 (rLy)은 해당 광학작용면이 광입사측에 대해 오목할 때 부의값을 취한다.
xz평면상의 국소적인 광학파워(pLx)는, 국소적인 곡률반경(rLx)과 광이 진행하는 매질의 굴절률(N)에 의해 이하의 식으로부터 얻어진다:
pLx=2N/rLx
또, yz평면의 국소적인 광학파워(pLy)는 국소적인 곡률반경(rLy)과 광이 진행하는 매질의 굴절률(N)에 의해 이하의 식으로부터 얻어진다:
pLy=2N/rLy
제4도(a)∼제4도(d)는 제1실시예의 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는 기준축광선(Lo)상의 상점,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y방향으로 ±ω의 상점 및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x방향으로 +η의 상점에 있어서의 횡수차를 나타낸다.
제5도는 본 실시예의 화상관찰장치에 있어서 동공(S)으로부터 표시면(P)으로 광선추적한 때의 격자형상의 물체의 상의 왜곡을 도시한 것이다. 표시면(P)에 있어서의 상의 왜곡이 실패형상일 때, 광학계를 표시면(P)으로부터 동공(S)으로 광선추적하면, 상의 왜곡은 반대형상의 배럴형이 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관찰장치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보다도 전체계의 초점거리를 짧게하여 광각화를 도모하고 있다. 표 3은 제2실시예의 구성데이터를 표시한 것이다.
[표 3]
표 4는 본 실시예의 제2광학작용면(S2)의 국소적인 곡률반경(rL)을 해당 작용면의 6점에 대해서 표시한 것이다.
[표 4]
제7도(a)∼제7도(d)는 제2실시예의 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는 기준축광선(Lo)상의 상점,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y방향으로 ±ω의 상점 및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x방향으로 +η의 상점에 있어서의 횡수차를 나타낸다.
또, 제8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공(S)으로부터 표시면(P)으로 광선추적한 때의 격자형상의 물체의 상의 왜곡을 도시한 것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 보다도 광학소자(B1)의 굴절률을 높게 하고 있다. 표 5는 제3실시예의 구성데이터를 표시한 것이다.
[표 5]
표 6은 본 실시예의 제2광학작용면(S2)의 국소적인 곡률반경(rL)을 해당 작용면의 6점에 대해서 표시한 것이다.
[표 6]
제10도(a)∼제10도(d)는 제3실시예의 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는 기준축광선(Lo)상의 상점,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y방향으로 ±ω의 상점 및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x방향으로 +η의 상점에 있어서의 횡수차를 나타낸다.
또, 제11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공(S)으로부터 표시면(P)으로 광선추적한 때의 격자형상의 물체의 상의 왜곡을 도시한 것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화상관찰장치의 제4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zx평면내의 초점거리(fx)와 zy평면내의 초점거리(fy)를 다르도록 설정한 소위 일그러져보이는 상의 광학계이다. 표 7은 본 실시예의 구성데이터를 표시한 것이다.
[표 7]
표 8은 본 실시예의 제2광학작용면(S2)의 국소적인 곡률반경(rL)을 해당 작용면의 6점에 대해서 표시한 것이다.
[표 8]
제13도(a)∼제13도(d)는 제4실시예의 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는 기준축광선(Lo)상의 상점,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방향으로 ±ω의 상점 및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x방향으로 +η의 상점에 있어서의 횡수차를 나타낸다.
또, 제14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공(S)으로부터 표시면(P)으로 광선추적한 때의 격자형상의 물체의 상의 왜곡을 도시한 것이다. zx평면내의 초점거리(fx)가 zy평면내의 초점거리(fy)보다도 짧으므로, 표시면(P)에 표시된 화상의 허상은 y방향보다도 x방향으로 1.32배 신장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관찰장치의 제5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이제까지의 실시예와는 다른 구성으로, 광학계를 제1부재(C1)와 제2부재(C2)로 구성하는데, 상기 제1부재(C1)는 1개의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비구면의 제1반사면(제1광학작용면)(S1)을 지니고, 그면을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경사지게 설정하고 있다.
제2부재(C2)는 상기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비구면의 제2반사면(제2광학작용면)(S2)을 지니고, 그 면을 제1반사면(S1)에 의해 반사된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경사지게 설정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P)에 표시된 화상으로부터 출사한 광속은 제2반사면(S2)에 의해 반사되어 제1반사면(S1)으로 향한 다음이면(S1)에 의해 반사 및 수속되어 화상의 확대허상을 형상함과 동시에 관찰자의 동공(S)으로 입사하므로 관찰자는 화상의 확대허상을 시인할 수 있다. 표 9는 본 실시예의 구성데이터를 표시한 것이다.
[표 9]
표 10은 본 실시예의 제2광학작용면(S2)의 국소적인 파워를 해당 작용면의 6점에 대해서 표시한 것이다.
[표 10]
제16(a)∼제16(d)는 제5실시예의 수차도이다. 이 수차도는 기준축광선(Lo)상의 상점,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y방향으로 ±ω의 상점 및 기준축광선(Lo)에 대해서 x방향으로 +η의 상점에 있어서의 횡수차를 나타낸다.
또, 제17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공(S)으로부터 표시면(P)으로 광선추적한 때의 격자형상의 물체의 상의 왜곡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해서, 본 실시예는 특히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의 왜곡, 상면만곡 및 비점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하여, 표시면에 대해서 텔레센트릭조건을 대략 만족하는 광학계를 얻고 있다.
이상의 각 실시예는 화상관찰장치의 광학계에 대해서 도시했지만, 제20도(a) 및 제20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공(S)의 위치에 조리개(S')를 설치하고,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P)대신에 CCD등의 촬상수단의 기록면 또는 CCD등의 광전변환소자(R)를 설치하여 촬상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각종 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광화각에서 촬상면에 대해서 텔레센트릭조건을 만족하는 촬상장치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학소자(B1)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제2실시예∼제5실시예에 도시한 광학소자 및 광학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에 의거해서, 구조가 간단하고 양호한 광학성능을 입증하는 광학계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매질에 제1광학작용면, 제2광학작용면 및 제3광학작용면을 형성하면, 1개의 광학소자로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고성능의 광학계를 저가FH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9)

  1. 조리개와 초점면사이의 광로에, 1개의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1면과; 상기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2면을 구비한 광학계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대칭면내에 존재하는 기준축광선에 대해서 경사진 오목한 반사면이고, 상기 기준축광선은 (i)조리개의 중심으로부터 출사하고 초점면의 중심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선 및 (ii)상기 초점면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출사하고 조리개의 중심에 입사하는 광선중의 하나이며, 상기 제2면은, 이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가 그 각각의 위치에 대응해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대칭면이 상기 제2면을 절단하는 절단선을 따라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광로길이의 방향으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방향으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와,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약한 부에서 강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방향으로 약한 부에서 강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 및 상기 대칭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와, 상기 대칭면에 수직인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대칭면이 상기 제2면을 절단하는 절단선을 따라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방향으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14.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과; 1개의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1면과 제2면을 지닌 광학계를 구비한 화상관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화상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1면으로 안내하고, 상기 제1면을 상기 대칭면내에 존재하는 기준축광선에 대해서 경사진 오목한 반사면이고, 상기 기준축광선은 상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출사하고 조리개의 중심에 입사하는 광선이며, 상기 제2면은, 이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가 각각의 위치에 대응해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대칭면이 상기 제2면을 절단하는 절단선을 따라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의 방향으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방향으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와,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약한 부에서 강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방향으로 약한 부에서 강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와,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대칭면이 상기 제2면을 절단하는 절단선을 따라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방향으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제3면을 지니고, 상기 화상으로부터의 광은 상기 제3면으로 입사하여 상기 제2면으로 향한 다음, 상기 제2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1면으로 향하고, 상기 제1면에 의해 수속 및 반사되어 다시 상기 제2면으로 향한 후, 상기 제2면으로부터 출사하여 관찰자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1, 제2 및 제3면을 지닌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29. 물체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촬상수단과; 1개의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1면과 제2면을 지닌 광학계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물체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2면으로 안내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대칭면내에 존재하는 기준축광선에 대해서 경사진 오목한 반사면이고, 상기 기준축광선은 조리개의 중심으로부터 출사하고 상면의 중심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선이며, 상기 제2면은, 해당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가 각각의 위치에 대응해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대칭면이 상기 제2면을 절단하는 절단선을 따라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서넹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의 방향으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방향으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와,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약한 부에서 강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방향으로 약한 부에서 강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와,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대칭면이 상기 제2면을 절단하는 절단선을 따라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사이에서 보다 짧은 광로길이로부터 보다 긴 광로길이방향으로 정에서 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축광선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대칭면에 직교하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광선에 대한 상기 제2면의 부분적인 영역의 파워는 상기 제1면에 발생하는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제3면을 지니고, 상기 물체로부터의 광은 상기 제2면으로 입사하여 상기 제1면으로 향한 다음, 상기 제1면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상기 제2면으로 향하고, 상기 제2면에 의해 전반사되어 상기 제3면으로 향한 후, 상기 제3면으로부터 출사하여 촬상수단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1, 제2 및 제3면을 지닌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형성된 솔리드광학요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형성된 솔리드광학요소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4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관찰자의 동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47. 조리개와 초점면사이의 광로에, 1개의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1면과; 상기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2면을 구비한 광학계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대칭면내에 존재하는 기준축광선을 대해서 경사진 오목한 반사면이고, 상기 기준축광선은 (i)조리개의 중심으로부터 출사하고 초점면의 중심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선 및 (ii)상기 초점면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출사하고 조리개의 중심에 입사하는 광선중의 하나이며, 상기 제2면은, 국소적인 파워 ρL[식중, ρL= -2N/rL(N은 광이 진행하는 매질의 굴절률, rL은 상기 제2면의 위치에서의 국소적인 곡률반경)]이 그 각각의 위치에 대응해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48.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과; 1개의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1면과 제2면을 지닌 광학계를 구비한 화상관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화상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1면으로 안내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대칭면내에 존재하는 기준축광선에 대해서 경사진 오목한 반사면이고, 상기 기준축광선은 상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출사하고 조리개의 중심에 입사하는 광선이며, 상기 제2면은, 국소적인 파워 ρL[식중, ρL= -2N/rL(N은 광이 진행하는 매질의 굴절률, rL은 상기 제2면의 위치에서의 국소적인 곡률반경)]이 그 각각의 위치에 대응해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관찰장치.
  49. 물체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촬상수단과; 1개의 대칭면에 대해서만 대칭인 제1면과 제2면을 지닌 광학계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물체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2면으로 안내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대칭면내에 존재하는 기준축광선에 대해서 경사진 오목한 반사면이고, 상기 기준축광선은 조리개의 중심으로부터 출사하고 상면의 중심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선이며, 상기 제2면은, 국소적인 파워ρL[식중, ρL= -2N/rL(N은 광이 진행하는 매질의 굴절률, rL은 상기 제2면의 위치에서의 곡률의 국소적인 곡률반경)]이 그 각각의 위치에 대응해서 정에서 부로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19960005015A 1995-02-28 1996-02-28 광학계와, 이것을 사용한 화상관찰장치 및 촬상장치(otpical system, and image observ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onit) KR100249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66995 1995-02-28
JP06699595A JP3658034B2 (ja) 1995-02-28 1995-02-28 画像観察光学系及び撮像光学系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040A KR960032040A (ko) 1996-09-17
KR100249965B1 true KR100249965B1 (ko) 2000-03-15

Family

ID=1333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015A KR100249965B1 (ko) 1995-02-28 1996-02-28 광학계와, 이것을 사용한 화상관찰장치 및 촬상장치(otpical system, and image observ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onit)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06136A (ko)
EP (1) EP0730183B1 (ko)
JP (1) JP3658034B2 (ko)
KR (1) KR100249965B1 (ko)
DE (1) DE6961804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0464B2 (ja) * 1995-07-03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観察系
JP3537230B2 (ja) * 1995-08-21 2004-06-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接眼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3666953B2 (ja) 1995-09-27 2005-06-2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素子
JPH09211330A (ja) * 1996-01-29 1997-08-15 Canon Inc 反射光学系
JPH09211331A (ja) * 1996-01-29 1997-08-15 Canon Inc 反射光学系
JP3761957B2 (ja) * 1996-02-15 2006-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反射型の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5959780A (en) * 1996-04-15 1999-09-28 Olympus Optical Co., Lt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rotationally asymmetric surface
US6208468B1 (en) 1996-06-11 2001-03-27 Olympus Optical Co., Ltd. Image-forming optical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H1039247A (ja) * 1996-07-19 1998-02-13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H1075407A (ja) * 1996-08-30 1998-03-17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
JPH10123454A (ja) * 1996-10-16 1998-05-15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US6104540A (en) * 1996-11-05 2000-08-15 Olympus Optical Co., Ltd. Decentered optical system
JP3924348B2 (ja) * 1996-11-05 2007-06-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H10161018A (ja) * 1996-11-27 1998-06-19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系
US6128144A (en) 1996-12-02 2000-10-03 Olympus Optical Co., Ltd. Optical system for camera and camera apparatus
JPH10239630A (ja) * 1996-12-24 1998-09-11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
JPH10197796A (ja) 1996-12-27 1998-07-31 Olympus Optical Co Ltd ファインダー光学系
JP4190039B2 (ja) 1997-01-31 2008-12-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
US6034823A (en) * 1997-02-07 2000-03-07 Olympus Optical Co., Ltd. Decentered prism optical system
JPH10282420A (ja) * 1997-04-08 1998-10-23 Olympus Optical Co Ltd 偏心プリズム光学系
US6760169B2 (en) 1997-05-07 2004-07-06 Olympus Corporation Prism optical element, image observation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H10333083A (ja) * 1997-05-27 1998-12-18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
JP3865906B2 (ja) 1997-06-27 2007-01-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H11194295A (ja) 1997-11-06 1999-07-21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系
JPH11142783A (ja) * 1997-11-12 1999-05-28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
JP3645698B2 (ja) 1997-11-17 2005-05-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プリズム、鏡枠および光学アッセンブリ
JP3929153B2 (ja) * 1998-01-07 2007-06-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像光学系
JP4198784B2 (ja) 1998-05-22 2008-12-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プリズム、鏡枠及び光学アッセンブリ
JP2000098293A (ja) 1998-06-19 2000-04-07 Canon Inc 画像観察装置
JP2000098234A (ja) 1998-06-19 2000-04-07 Canon Inc 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る画像観察装置
JP2000056362A (ja) * 1998-08-05 2000-02-25 Canon Inc ファインダー光学系
JP2000137166A (ja) 1998-10-30 2000-05-16 Canon Inc 光学系
CN1601320A (zh) * 1999-02-10 2005-03-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反射型光学装置和反射型固体光学装置及使用这些装置的装置
CN1171110C (zh) 1999-04-02 2004-10-13 奥林巴斯株式会社 观察光学系统及使用了该系统的图像显示装置
FR2792174B1 (fr) * 1999-04-16 2001-09-21 Sextant Avionique Visiere pour casque
US6147807A (en) * 1999-05-04 2000-11-14 Honeywell, Inc. High brightness see-through head-mounted display
JP2001188194A (ja) * 1999-10-20 2001-07-10 Shimadzu Corp 表示装置
JP2001249301A (ja) 2000-03-03 2001-09-14 Olympus Optical Co Ltd 観察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1311904A (ja) 2000-04-28 2001-11-09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6710927B2 (en) * 2000-06-26 2004-03-23 Angus Duncan Richards Multi-mode display device
JP4727025B2 (ja) * 2000-08-01 2011-07-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4646374B2 (ja) 2000-09-29 2011-03-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観察光学系
GB0029340D0 (en) * 2000-11-30 2001-01-17 Cambridge 3D Display Ltd Flat panel camera
JP2002221688A (ja) * 2001-01-29 2002-08-09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系
TW594043B (en) 2001-04-11 2004-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lection type optical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ulti-wavelength photographing apparatus, monitoring apparatus for vehicle
US6791760B2 (en) 2001-07-24 2004-09-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Planar diffractive relay
CN100367074C (zh) * 2003-10-27 2008-02-06 深圳国际技术创新研究院 眼镜式显示器
GB0522968D0 (en) 2005-11-11 2005-12-21 Popovich Milan M Holographic illumination device
GB0718706D0 (en) 2007-09-25 2007-11-07 Creative Physic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ser speckle
US8511827B2 (en) 2008-01-22 2013-08-20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Head-mounted projection display using reflective microdisplays
WO2010123934A1 (en) 2009-04-20 2010-10-28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Optical see-through free-form head-mounted display
US11726332B2 (en) 2009-04-27 2023-08-15 Digilens Inc. Diffractive projection apparatus
US9335604B2 (en) 2013-12-11 2016-05-10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US20110075257A1 (en) 2009-09-14 2011-03-31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3-Dimensional electro-optical see-through displays
WO2011042711A2 (en) 2009-10-09 2011-04-14 Milan Momcilo Popovich Compact edge illuminated diffractive display
US11204540B2 (en) 2009-10-09 2021-12-21 Digilens Inc. Diffractive waveguide providing a retinal image
US8125716B2 (en) * 2009-10-14 2012-02-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Near eye display prism optic assembly
KR20120088754A (ko) 2009-11-21 2012-08-08 더글라스 피터 마기아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US9244277B2 (en) 2010-04-30 2016-01-26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Wide angle and high resolution tiled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02053368A (zh) * 2010-08-27 2011-05-11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头戴式显示系统
CN103270450B (zh) * 2010-12-20 2016-03-30 富士胶片株式会社 取景器和照相机
KR101997852B1 (ko) 2010-12-24 2019-10-01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인체공학적 머리 장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광학 시스템
WO2012136970A1 (en) 2011-04-07 2012-10-11 Milan Momcilo Popovich Laser despeckler based on angular diversity
WO2013027004A1 (en) 2011-08-24 2013-02-28 Milan Momcilo Popovich Wearable data display
WO2016020630A2 (en) 2014-08-08 2016-02-11 Milan Momcilo Popovich Waveguide laser illuminator incorporating a despeckler
US10670876B2 (en) 2011-08-24 2020-06-02 Digilens Inc. Waveguide laser illuminator incorporating a despeckler
WO2013102759A2 (en) 2012-01-06 2013-07-11 Milan Momcilo Popovich Contact image sensor using switchable bragg gratings
CN104204904B (zh) 2012-01-24 2018-05-18 亚利桑那大学评议会 紧凑式眼睛跟踪头戴式显示器
CN106125308B (zh) 2012-04-25 2019-10-25 罗克韦尔柯林斯公司 用于显示图像的装置和方法
US9456744B2 (en) 2012-05-11 2016-10-04 Digilens, Inc. Apparatus for eye tracking
USD743089S1 (en) * 2012-05-31 2015-11-10 Olympus Corporation Illuminating prism
CN102692709A (zh) * 2012-06-15 2012-09-26 中航华东光电有限公司 基于球面棱镜的头戴显示器的光学系统
US9740006B2 (en) 2012-09-11 2017-08-22 Magic Leap, Inc. Ergonomic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optical system
US9345402B2 (en) 2012-09-11 2016-05-24 Augmented Vision, Inc. Compact eye imaging and eye tracking apparatus
CA2885563C (en) 2012-10-18 2021-02-09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Stereoscopic displays with addressable focus cues
US9933684B2 (en) * 2012-11-16 2018-04-03 Rockwell Collins, Inc. Transparent waveguide display providing upper and lower fields of view having a specific light output aperture configuration
WO2014145060A1 (en) 2013-03-15 2014-09-18 Immy Inc. Head mounted display having alignment maintained via structural frame
WO2014188149A1 (en) 2013-05-20 2014-11-27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eye tracker
US9727772B2 (en) 2013-07-31 2017-08-08 Digile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image sensing
JP6295640B2 (ja) * 2013-09-03 2018-03-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AU2015227092B2 (en) 2014-03-05 2019-07-04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Wearable 3D augmented reality display
WO2016020632A1 (en) 2014-08-08 2016-02-11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for holographic mastering and replication
US10241330B2 (en) 2014-09-19 2019-03-26 Digile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put images for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s
US10423222B2 (en) 2014-09-26 2019-09-24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optical tracker
US20180275402A1 (en) 2015-01-12 2018-09-27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light field displays
CN107873086B (zh) 2015-01-12 2020-03-20 迪吉伦斯公司 环境隔离的波导显示器
JP6867947B2 (ja) 2015-01-20 2021-05-12 ディジレ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ホログラフィック導波路ライダー
WO2016118643A1 (en) 2015-01-21 2016-07-28 Tesseland Llc Display device with total internal reflection
US10176961B2 (en) 2015-02-09 2019-01-08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Small portable night vision system
US9632226B2 (en) 2015-02-12 2017-04-25 Digilens Inc. Waveguide grating device
US10459145B2 (en) 2015-03-16 2019-10-29 Digilens Inc. Waveguide device incorporating a light pipe
WO2016156776A1 (en) 2015-03-31 2016-10-06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image sensing
CN108474945B (zh) 2015-10-05 2021-10-01 迪吉伦斯公司 波导显示器
US10983340B2 (en) 2016-02-04 2021-04-20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optical tracker
US10859768B2 (en) 2016-03-24 2020-12-08 Digile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olarization selective holographic waveguide device
US10890707B2 (en) 2016-04-11 2021-01-12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apparatus for structured light projection
WO2018052590A2 (en) 2016-08-12 2018-03-2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High-resolution freeform eyepiece design with a large exit pupil
US11513350B2 (en) 2016-12-02 2022-11-29 Digilens Inc. Waveguide device with uniform output illumination
US10545346B2 (en) 2017-01-05 2020-01-28 Digilens Inc. Wearable heads up displays
CN116149058A (zh) 2017-10-16 2023-05-23 迪吉伦斯公司 用于倍增像素化显示器的图像分辨率的系统和方法
US10732569B2 (en) 2018-01-08 2020-08-04 Digile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throughput recording of holographic gratings in waveguide cells
US10914950B2 (en) 2018-01-08 2021-02-09 Digilens Inc. Waveguide architecture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JP7487109B2 (ja) 2018-03-16 2024-05-20 ディジレ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屈折制御を組み込むホログラフィック導波管およびその加工のための方法
CN111869204B (zh) 2018-03-22 2023-10-03 亚利桑那大学评议会 为基于积分成像的光场显示来渲染光场图像的方法
JP7145430B2 (ja) * 2018-05-31 2022-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を搭載した移動体
WO2020023779A1 (en) 2018-07-25 2020-01-30 Digile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multilayer optical structure
US11550160B1 (en) * 2018-11-09 2023-01-10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Off-axis parabolic combiner
WO2020168348A1 (en) 2019-02-15 2020-08-20 Digilen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using integrated gratings
CN113728258A (zh) 2019-03-12 2021-11-30 迪吉伦斯公司 全息波导背光及相关制造方法
CN114207492A (zh) 2019-06-07 2022-03-18 迪吉伦斯公司 带透射光栅和反射光栅的波导及其生产方法
EP4004646A4 (en) 2019-07-29 2023-09-06 Digile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YING THE IMAGE RESOLUTION AND FIELD OF VIEW OF A PIXELATED DISPLAY SCREEN
KR20220054386A (ko) 2019-08-29 2022-05-02 디지렌즈 인코포레이티드. 진공 브래그 격자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2579C3 (de) * 1978-05-24 1982-02-04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Optisches Abbildungssystem
US4383740A (en) * 1980-10-31 1983-05-17 Rediffusion Simulation Incorporated Infinity image visual display system
DE3266408D1 (en) * 1981-10-14 1985-10-24 Gec Avionics Optical arrangements for head-up displays and night vision goggles
JPS5878116A (ja) * 1981-10-14 1983-05-11 マ−コウニ アビニヨニクス リミテツド 光学装置
DE3841715A1 (de) * 1988-12-10 1990-06-13 Zeiss Carl Fa Abbildender korrektor vom wien-typ fuer elektronenmikroskope
US5880888A (en) * 1989-01-23 1999-03-09 Hughes Aircraft Company Helmet mounted display system
GB8916206D0 (en) * 1989-07-14 1989-11-08 Marconi Gec Ltd Helmet systems
KR950010029B1 (ko) * 1989-11-30 1995-09-06 휴우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차량 계기 장치용 이중-미러 허상 디스플레이
US5121099A (en) * 1990-08-31 1992-06-09 Hughes Aircraft Company Two-page automotive virtual image display
DE4129403A1 (de) * 1991-09-04 1993-03-11 Zeiss Carl Fa Abbildungssystem fuer strahlung geladener teilchen mit spiegelkorrektor
US5189452A (en) * 1991-12-09 1993-02-23 General Electric Company Real image projection system
US5357372A (en) * 1992-04-07 1994-10-18 Hughes Aircraft Company Ultra-compact, wide field of view virtual image display optical system
EP0566001B1 (en) * 1992-04-07 1999-07-14 Raytheon Company Wide spectral bandwidth virtual image display optical system
JP3155337B2 (ja) * 1992-04-24 2001-04-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視覚表示装置
JP3155336B2 (ja) * 1992-04-24 2001-04-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視覚表示装置
JP3155335B2 (ja) * 1992-04-24 2001-04-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視覚表示装置
JP3155341B2 (ja) * 1992-05-26 2001-04-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視覚表示装置
GB9213603D0 (en) * 1992-06-26 1992-10-07 Marconi Gec Ltd Helmet mounted display systems
GB9217058D0 (en) * 1992-08-12 1992-11-04 Marconi Gec Ltd Display system
US5506728A (en) * 1994-06-10 1996-04-09 Kaiser Aerospace & Electronics Corporation Dual combiner eyepiece
EP0687932B1 (en) * 1994-06-13 2005-05-2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5483307A (en) * 1994-09-29 1996-01-09 Texas Instruments, Inc. Wide field of view head-mounte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8046T2 (de) 2002-06-20
JPH08234137A (ja) 1996-09-13
DE69618046D1 (de) 2002-01-31
US5706136A (en) 1998-01-06
EP0730183A3 (en) 1998-05-06
EP0730183B1 (en) 2001-12-19
JP3658034B2 (ja) 2005-06-08
EP0730183A2 (en) 1996-09-04
KR960032040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965B1 (ko) 광학계와, 이것을 사용한 화상관찰장치 및 촬상장치(otpical system, and image observ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onit)
US6201648B1 (en) Optical system
US6268963B1 (en) Optical system having a reflecting surface
EP066015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6181470B1 (en) Optical element having a plurality of decentered reflecting curved surfaces,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JP2911750B2 (ja) 観察光学系
US6603608B2 (en) Variable focal length optical element and optical system using the same
CN100378502C (zh) 图像显示装置
US6041193A (en) Real-image zoom finder with rotationally asymmetric surface
US6078411A (en) Real-image finder optical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EP0845692A2 (en) Optical system with a rotationally asymmetric curved surface
JPH10221604A (ja) 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4941012A (en) Finder optical system for cameras
EP1150155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tical system
EP0611976B1 (en) Keplerian zoom finder optical system
JPS63226616A (ja) 実像式フアインダ−光学系
US6166859A (en) Viewfinder optical system and optical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1020196A (ja) 変倍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958124B2 (ja) 実像式変倍ファインダー光学系
JP4217306B2 (ja) 変倍ファインダー
US6292301B1 (en) Optical viewing system for use in head-mounted display
JPH0720379A (ja) 変倍ファインダー
JPH09105863A (ja) 変倍ファインダー
KR100236646B1 (ko) 초소형 아포컬 줌 광학계
JP3406958B2 (ja) 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