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316B1 - 표시제어장치및표시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제어장치및표시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316B1
KR100247316B1 KR1019960010236A KR19960010236A KR100247316B1 KR 100247316 B1 KR100247316 B1 KR 100247316B1 KR 1019960010236 A KR1019960010236 A KR 1019960010236A KR 19960010236 A KR19960010236 A KR 19960010236A KR 100247316 B1 KR100247316 B1 KR 10024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ion
data
change
fram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716A (ko
Inventor
히데아끼 유이
가쯔히로 미야모또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38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 G09G1/1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using two or more bit-mapped memories, the operations of which are switched in time, e.g. ping-pong buff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09G3/362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G09G3/205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with use of a spatial dither patter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5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error dif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동검출기(motion detector)가 화상 데이터의 변화가 발생된 라인을 검출하고, 라인 선택 회로가 상기 동 검출에 따라 표시가 갱신되어야 할 라인을 선택한다. γ 변환기는 소정의 γ값을 가진 입력된 데이터에 γ 변환을 행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얻는다. 메모리 제어기는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따라 발생된 표시 장치에 적합한 표시 데이터 중 라인 선택 회로에 의해 선택된 라인의 표시 데이터에 따라 표시 장치의 표시 부분적으로 갱신한다. γ 변환기의 γ 값이 변경된 경우, 표시 장치의 γ 값 표시의 변경 후에 γ 변환으로부터 얻어진 변환된 데이터에 따라 발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분의 표시 데이터를 갱신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상 처리부(103)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의 이중 버퍼(5)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제2도의 동검출기(motion detector, 7)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γ-값 변경(switchover)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 데이터 2 : γ 변환기
3 : 하프톤 프로세서 4 : 메모리 제어기
5 : 이중 버퍼 6 : 마이크로 프로세서
7 : 동검출기 10 : 출력 데이터
11 : 표시 장치 23 : 비디오 신호
100 : 호스트 유닛 101 : 표시 장치 인터페이스
102 : A/D 변환기 103 : 화상 처리부
104 : 작동 패널
본 발명은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과 그 표시 제어 장치를 사용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트(host) 컴퓨터로부터의 CRT 비디오 출력 신호는 CRT 디스플레이 또는 전송 속도에 동기되는 TFT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로 전송되고, 각 프레임에 대해 모든 스캔 라인에 대한 스캐닝(scanning)이 인터레이스(interlace) 스캐닝 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서는, γ 값이 재기입되더라도, 이러한 처리는 한 프레임 내에서 항상 종료되므로, 데이터 디스플레이가 문제없이 수행될 수 있다.
프레임 주파수 성분보다 낮은 주파수 성분만이 표시될 수 있는 저속 응답 FLC(강유전성 액정;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디스플레이 또는 이와 유사한 디스플레이에서는, 전송 속도를 보충하기 위해, 움직임이 검출된 스캔 라인(들) 만의 디스플레이를 갱신하는 부분 재기입 방법(partial rewriting method)이 이용된다. 이는 외관상 CRT 비디오 출력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 주파수를 보장해준다. 일반적으로, γ 변환기는 입력 데이터의 변환용으로서 화상 처리 시스템 내의 임의 위치에 제공된다.
그러나, 전술한 시스템에서 CRT 비디오 출력 신호가 액정 그 자체에서 지속성을 갖는 FLC 표시 장치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될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γ 값 변경 기능이 처리된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전술한 부분 재기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움직임이 발생한 라인을 검출하기 위한 동검출기(motion detector)가 필요하다. 연속적인 부분 재기입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에 대한 드로잉(drawing)이 수행되는 동안에, γ 변환과 같은 데이터 변환 처리가 변경되더라도 (γ 변환에 대한 γ 값이 변경되더라도), 동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이 있는 라인만이 부분 재기입 처리 과정에서 재기입된다. 이러한 부분 재기입은 γ값 변경 전의 라인 데이터 및 γ값 변경 후의 데이터가 혼합 표시되는 프레임 기간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상태가 나빠진다.
또한, 동검출기가 γ 변환기 이후에 제공되면, γ 변환기 자체의 작동도 움직임의 일부로서 간주될 수 있다. γ 변환기가 화상 데이터를 변환할 때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변화량이 γ 변환 후에 변환되어 동검출 효율이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과 이 표시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부분 재기입 처리에 의한 표시 제어 동안 입력 데이터 변환이 변경될 때 입력 데이터 변환의 변경 전 데이터와 입력 데이터 변환의 변경 후 데이터가 하나의 프레임 내에 혼합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분 재기입 처리시에 입력 데이터 변환에 따른 임의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변경된 위치를 안정하게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변 입력 데이터 변환 처리로서 γ 값 변경이 가능한 γ 변환을 채택함으로써, 여러가지의 비디오 신호 및 표시 장치에 상응하는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 데이터 변환 처리를 변경할 때 부적합한 데이터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부자연스러운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변환 처리의 변경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보면서 변환 처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 변환 처리의 수동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신호에 기초한 입력 데이터 변환 처리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변환 처리가 외부 신호에 의해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변환 처리 설정과 같은 수동 작동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입력 데이터를 공급하는 외부 장치에 부착된 비디오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γ 값을 입력하고 이 γ 값에 기초한 적합한 γ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변환 처리를 설정함으로써, 적합한 γ 변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작동 부하를 줄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된 표시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데이터 변환 처리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시 장치에 상응하는 변환 처리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입력 데이터 변환용 γ값을 변경하기 위해, 연결된 표시 장치에 적합한 γ 값을 입력시킴으로써, 표시 장치가 바뀌더라도 적합한 γ 값이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디바이스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상태 지속성을 갖고 부분 재기입 제어에 적합한 FLC 패널의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성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이루어진 다음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도면에 걸쳐서 동일 이름 또는 유사 부분들을 나타낸다.
여기에 포함되고 상세한 설명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해 준다.
이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다음 실시예에서, 입력 데이터 변환으로서 γ 변환이 채택되고 표시 데이터의 부분 재기입이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안 γ 변환을 위한 γ값이 변경되는 경우가 설명된다. 이 경우에, 표시 제어는, 검출 장치에 의한 프레임들 간의 표시 내용 변화 검출에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모든 데이타가 γ값 변경 후에 새로 기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γ값 변경 전의 표시 데이타와 γ값 변경 후의 표시 데이터가 혼합되어 표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γ변환기에 대한 입력과 동검출 장치에 대한 입력이 동일하다. 이는 동검출 효율성을 높여준다.
[제1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1도에서 참조 번호(100)은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유닛(100)을 표시한다. 호스트 유닛(100)은 자신의 내부 CPU의 제어 하에서 RGB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23)을 출력시킨다. 참조 번호(101)은 입력 RGB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23)을 표시 장치(11)에 의한 표시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는 표시 장치 인터페이스(I/F)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FLC 표시 장치가 표시 장치(11)로서 사용된다. 표시 장치 I/F(101)은 입력 RGB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23)을 디지탈 입력 데이터(1)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02)를 갖는다. 참조 번호(103)은 입력 데이터(1)에 대해 γ 보정 및 부분 재기입 처리를 수행하고 표시 장치(11)에 적합한 출력 데이터(10)을 발생시키는 화상 처리부를 표시한다. 표시 장치(11)은 출력 데이터(11)에 따라서 화상 표시를 한다. 참조 번호(104)는 사용자에 의한 여러가지 작동 입력을 나타내는 작동 패널을 표시한다.
제2도는 제1도의 화상 처리부(103)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참조 번호(1)은 CRT 비디오 입력 신호를 A/D 변환하여 획득된 RGB-입력 디지탈 데이터인 입력 데이터를 표시한다. 참조 번호(2)는 γ변환에 대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이후 "γ변환 테이블"로 지칭함)을 저장하기 위한 SRAM(2a)를 갖는 γ변환기를 표시한다. γ 변환기(2)는 입력 데이터(1)을 SRAM(2a)의 어드레스 데이터로 변환하고 입력 데이터(1)에 상응하는 γ 변환 후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를 하프톤(halftone) 프로세서(3)으로 출력시킨다. 하프톤 프로세서(3)은, γ 출력을 FLC 표시 장치에 적합한 색상 공간(color space)으로 변환하는 처리, 오차 확산 또는 디더(error diffusion or dither) 처리를 이용한 의사 풀칼라 처리(pseudo full color processing)를 수행한다. γ 출력을 FLC 표시 장치에 대한 적합한 색상 공간으로 변환하는 것은, 예를 들어 하프톤 프로세서의 화상 입력 데이터가 FLC 표시 장치가 표시할 수 없는 색상 정보를 갖는 경우에, 이 데이터는 FLC 표시장치 의해 표시될 수 있는 색상 공간 경계부 주위에 가장 가까운 색상 데이터로 변환되는 경우가 된다 (소위, 색상 공간 클리핑(clipping) 처리라 한다).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기(4)에 의해 DRAM(5)의 두 버퍼(이후 "이중 버퍼"로 지칭)중 하나에 저장된다.
한편, γ 변환기(2)로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1)은 N번째 프레임 데이터를 이전(N-1)번째 프레임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각 라인 동작 변화를 검출하는 동검출기(7) 로도 또한 입력된다. 이 시점에서 (N-1)번째 프레임 데이터 RAM(8)의 두 버퍼 (이후 "이중 버퍼"로 지칭) 중 하나에 저장되고 이후 N번째 프레임과의 비교용으로 참조된다.
참조 번호(9)는 동검출기(7)이 검출한 각 라인 내의 움직임량에 따라서 메모리 제어기(4)에 의해 이중 버퍼(5)의 버퍼 중 하나로부터 판독될 라인 데이터를 결정하는 라인 선택 회로를 표시한다. 참조 번호(10)은 선택된 라인의 라인 어드레스 및 표시 장치(11) (본 실시예에서는 FLC 표시 장치가 됨)에 적합한 포맷을 갖는 데이터를 포함한 출력 데이터를 표시한다. 참조 번호(14)는 γ 값 변경 코드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발생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6)에 공급되는 γ 값 변경 명령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가 설명된다.
먼저, 통상의 부분 재기입 처리를 설명하겠다. γ 변환은 γ 변환기(2)의 SRAM(2a)에 설정된 초기 γ 변환 테이블 집합에 따라 입력 데이터(1)에 대해 수행 된다. 처리된 데이터는 하프톤 프로세서(3)을 통해 전송되어, 메모리 제어기(4)의 제어 하에서 이중 버퍼 내에 저장된다. 이 시점에서 메모리 제어기(4)는 이중 버퍼(5)로의 기입을 제어하기 위해 버퍼 변경 어드레스(16)을 발생시킨다.
제3a도 및 3b도는 각각 이중 버퍼(5)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3a도에서 도시된 대로 변경 어드레스 비트의 값이 "0"일 때 N번째 프레임 데이터가 버퍼(A20)내에 저장된다. 한편, (N-1)번째 프레임 데이터는 필요한 라인(들)에 대한 판독을 위해 버퍼(B21) 내에서 대기 상태(standby status) 로 있게 된다. 신규 프레임 데이터가 기입될 때 변경 어드레스 비트의 값은 "1"이 되고 버퍼 스위칭이 제 3b도에 도시된 대로 이뤄진다. 버퍼(A20)은 판독되기 위해 대기 상태에 있게 되고 (N+1)번째 프레임 데이터가 버퍼(B21) 내에 기입된다. 따라서, 메모리 제어기는 이중 버퍼(5)로/으로부터의 기입/판독을 제어하여 기입 및 판독이 각각의 버퍼에서 각 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스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동검출기(7)은 γ 변환기(2)로부터의 입력 데이터(1)을 이중 버퍼(5)에 기입하는 주기와 동일한 프레임 주기에 기초하여 처리를 수행하고 이중 버퍼(5)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이중 버퍼(8)에 연결된다. 제4도는 동검출기(7)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4도에서 참조 번호(19)는 입력 데이터(1)의 이전 프레임에 대한 각 라인의 움직임 특성(signature)을 해석하는 동검출 연산기를 표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 라인 데이터는 평균 움직임 상관 데이터 및 순시 움직임 상관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성 데이터 (signature data)로 변환되고, 이 특성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기(17)의 제어 하에서 이중 버퍼(8) 중 하나의 버퍼에 저장된다.
한편, 특성 데이터는 동검출 비교기(18)로 입력된다. 동검출 비교기(18)은 동검출 연산기(19)로부터 입력된 특성 데이터를 이중 버퍼(8)로부터 메모리 제어기(17)가 판독한 이전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와 비교한다. 현재 처리되는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이 이전 프레임 데이터의 특성으로부터 변화된 경우에, 움직임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는 모든 스캔 라인에 대해 수행되어 1 프레임 내의 각 스캔 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획득된 동검출 정보는 라인 선택 회로(9)로 전송된다.
또한, 메모리 제어기(17)은 메모리 제어기(4)와 비슷하게 버퍼 변경 어드레스(15)를 사용하여 이중 버퍼(8)을 제어한다. 이중 버퍼(8)에 대한 기입/판독 제어 및 이중 버퍼(5)에 대한 기입/판독 제어는 동기화되어 코히런스(coherency)를 유지한다. 코히런스를 유지한다는 것은 하프톤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과 동검출기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 한 순간에 동일한 기입/판독 프레임을 다룰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인 선택 회로(9)는 동검출기(7)로부터 입력된 1 프레임 내의 각 라인의 동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부분 재기입 처리를 행할 라인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표시 장치(11)에 전송될 라인 어드레스 정보로서 메모리 제어기(4)에 전해준다. 메모리 제어기(4)는 이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이중 버퍼(5)의 판독 대기 상태에 있는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따라서, 메모리 제어기(4)는 부분 재기입 어드레스(들) 및 이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11)로 전송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6)이 상태 버스(19)를 통해 라인 선택 회로(9)의 상태를 항상 모니터하여 라인 선택 회로(9)가 출력한 라인 어드레스 범위가 선정된 기간 내에서 표시 장치(11)의 1 프레임에 대한 드로잉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를 대비한다. 상기 상태가 발견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6)은 금지 요구(hold requirement; 13)을 메모리 제어기(14, 17)로 보내어 현재 프레임에 대한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다음 프레임에 대한 처리를 보류하게 한다.
통상의 부분 재기입 처리는 상기 설명한 순서에 따라 수행된다.
다음, 상기 부분 재기입 처리 동안 γ 값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겠다. 제2도를 참조하면, γ 값 변경 요구(14)가 마이크로프로세서(6)으로 전달되었을 때 마이크로프로세서(6)은 이 요구를 인지하고 γ 값 변경 모드로 들어간다. 마이크로프로세서(6)은 내부 ROM에 저장된 다수의 γ 변환 테이블로부터 요구에 상응하는 γ 변환 테이블로부터 요구에 상응하는 γ 변환 테이블을 γ 변환기(2)의 SRAM(2a) 내에 기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γ값 변경 알고리듬을, γ값 변경 처리 과정이 도시된 제5도를 참조하며, 자세히 설명하겠다 (γ값 변경 전의 부분 재기입 처리 과정에서의 하드웨어 작동은 상기 설명한 대로임).
(a) 현재 처리되는 프레임: N번째 프레임
표시 장치(11)에 표시된 프레임은 이전 (N-1)번째 프레임이고, 움직임이 검출된 라인(들)에 대해서만 부분 재기입 처리가 수행된다. γ 값 변경 전의 N번째 프레임 데이터는 이중 버퍼(5)의 기입을 위해 선택된 버퍼 중 하나에 저장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6)이 γ값 변경 요구(14)를 검출하면 (S1), 제2도에 도시된 금지 요구(13)을 프레임-저장 금지 요구로서 메모리 제어기(4, 17)에 보낸다 (S2).
메모리 제어기(4, 17)은 각각 다음 (N+1)번째 프레임 데이터의 이중 버퍼(5, 8)로의 기입이 금지 상태(정지 상태)가 되도록 한다 (S4). 이 시점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6)이 N번째 프레임 데이터의 프레임 끝 (N번째 프레임 데이터 처리의 잔여기간)에 이를 때까지 대기 상태에 있고, 그밖의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N번째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는 모두 이중 버퍼(8) 내에 기입된다.
(b) 현재 처리되는 프레임: (N+1)번째 프레임
마이크로프로세서(6)은 γ값 변경 요구(14)(S5)에 따라서 γ 변환기(2)의 SRAM(2a)의 내용을 갱신한다. 이중 버퍼(5, 8)로의 기입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부분 재기입 처리에 대한 데이터 저장은 이뤄지지 않는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6)에 의한 γ 변환 테이블 갱신으로 생기는 부적합한 화상 출력은 무시된다.
표시 장치(11)에 표시된 프레임은 N번째 프레임이고, 부분 재기입 처리는 N번째 프레임에 대한 처리 동안에 움직임(변화)이 검출된 라인(들)에 대해서만 수행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6)은 이 프레임 기간동안 전체 라인 리프레쉬 요구 신호(all-line refresh requirement signal; 12)(제2도)(S6)를 발생시킨다. 전체 라인 리프레쉬 요구 신호(12)는 메모리 제어기(4)로 전송되고 이중 버퍼(5)의 판독 대기 상태에 있는 한 버퍼로부터의 모든 라인에 대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한다.
(c) 현재 처리되는 프레임: (N+2)번째 프레임
이중 버퍼(5, 8)에 대해 기입 금지가 해제된다. 본 예에서, 프레임 저장 금지 요구(정지 요구(13))이 (N+1)번째 프레임에 대한 처리동안 해제되고, 그 이후에 메모리 제어기(4, 7)는 다음 프레임 ((N+2)번째 프레임)의 선두에서 기입 금지 상태를 해제하고, 처리는 통상의 동검출 처리로 복귀한다 (S7). 그 결과, 신규 γ값에 상응하는 신규 γ 변환 테이블에 의해 처리된 (N+2)번째 프레임 데이터가 이중 버퍼(5)의 기입 대기 상태를 갖는 하나의 버퍼에 저장된다. 이 프레임 기간에, N번째 프레임 데이터가 FLC 표시 장치의 특성인 표시 상태 지속성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11)상에 유지된다.
(d) 현재 처리되는 프레임: (N+3)번째 프레임
이 프레임에서, 단계(S6)에서 발생된 전체 라인 리프레쉬 요구에 따라 모든 라인의 데이터가 표시 장치(11))로 전송된다 (S8). 이 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N+2)번째 프레임의 처리 동안에 움직임(변화)이 검출된 라인(들)이 1 프레임의 일부에 불과하다면, γ 변환 전의 N번째 프레임 데이터와 γ 변환 후의 (N+2)번째 프레임 데이터가 한 프레임 내에서 혼합되어 표시 장치(11)상에 부적합한 표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부적절한 점을 피하기 위해서는, γ 값이 변경되었을 때 모든 라인을 리프레쉬하여 γ값 변경 전 후의 부적합한 데이터 표시를 방지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γ값 변경이 부분 재기입 처리 동안 수행되는 때에는, 언제나 모든 라인이 리프레쉬되어 표시 장치 상의 드로잉이 문제점없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모든 라인에 대한 리프레쉬에 의해 표시 내용을 갱신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이 다음 프레임을 처리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보다 길다면, 처리 타이밍은 상기 설명한 금지 요구(13) 발생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γ 변환기(2) 및 동검출기(7)이 동일한 입력 데이터(1)을 입력받기 때문에, γ값 변경으로 인한 동검출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제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γ-값 변경(switchover) 요구(14)를 마이크로프로세서(6)로 전송하는 다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시스템 구성은 크게 분리하여 호스트 유닛(100), 호스트 유닛(100)로 부터 RGB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23)를 수신하는 표시 장치 인터페이스(I/F)(101a), 및 표시 장치 (I/F)(101a)와 접속된 표시 장치(11)로 되어 있다.
표시 장치(I/F)(101a)는 A/D 변환기(102)와 그 후단에 구성되는 화상 처리부(제2도)를 가진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γ-값 변경 요구(14)가 표시 장치 (I/F)(101)의 사용자 스위치(작동 패널; 104)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6)로 전송되고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유닛(100)로부터의 RS232C 전송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가 직렬 인터페이스 (I/F)(105)를 개재하여 수신되고 , 화상처리부(103) 속으로 입력되는 구성을 갖추고 있어서, 호스트 유닛(106)로부터 표시 장치 (I/F)(101a)로 비디오 신호 이외의 신호들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호스트 유닛(100)의 그래픽 카드마다 다른 γ-값 지정을 호스트 유닛(100)으로부터 표시 장치 (I/F)(101a)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 처리부(103)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6)는 호스트 유닛(100)으로 부터 보내어진 γ-값 지정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11)에 적합한 역γ-변환 테이블을 선택한다. 입력된 γ-값 지정에 적합한 역γ-변환 테이블은 화상 처리부(103)의 ROM(도시 생략)에 미리 등록된 대응 테이블에 따라 선택됨을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선택된 γ-변환 테이블은 γ 변환기(2)의 SRAM(2a) 내에 기입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는 그래픽 카드마다 γ값을 수동으로 조정하지 않아도 되고, 호스트 유닛(100)이 적절한 γ 변환을 얻기 위해 γ 값을 자동으로 제어 한다. 부분 재기입 중의 γ-값 변경 처리 순서는 제1 실시예의 처리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행해진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호스트 유닛(100)은 얻어진 그래픽 카드의 γ 값을 검출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검출된 γ 값을 표시 장치 (I/F)(101a)에게 알린다. 이 소정의 타이밍이란 전원이 투입된 시점, 표시 장치 (I/F)(101a)로부터 γ-값 통지 요구를 받은 시점등에서 검출이 행해짐을 의미한다.
호스트 유닛(100)의 γ값의 획득은, 호스트 컴퓨터에 각종 그래픽 카드와 γ 값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준비하고, 설치된 그래픽 카드 형태를 판별하고 그 테이블에 참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테이블의 형태는 표시 장치 (I/F; 101a)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호스트 유닛(100)으로부터 그래픽 카드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γ-값 변경이 작동 패널(104)의 수동 조작에 의해 행해졌다. 제2 실시예에서는 γ-변환 테이블이 호스트 유닛(100)으로부터의 데이터 통신(제2 실시예의 RS232C 통신에 기초)에 의해 그래픽 카드등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되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의 호스트 유닛측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제어외에, 표시 장치(11)의 종류가 다른 형태의 표시 장치를 변경되었을 때에 자동적인 γ 값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7도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 참조 번호(106)는 표시 장치(11)로부터 표시 장치(11)에 대응하는 γ 값을 지정하는 신호(25)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06)는 직렬 통신용 RS2332C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부(103)와 표시 장치(11) 간에 직렬 통신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시에 표시 장치(11)로부터의 γ-값 지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마이크로프로세서(6)는 호스트 유닛(100)으로부터 보내진 γ값 및 표시 장치(11)로부터 송출된 γ값에 따라 호스트 유닛(100)에 설치된 그래픽 카드에 적절한 역 γ-변환값을 선택한다. 각종의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γ-변환 테이블은 화상 처리부(103) 내의 ROM(도시 생략)에 기준 테이블로서 미리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절한 γ 변환 테이블이 γ 변환기(2)의 SRAM(2a) 내에 기입된다.
γ-변환 테이블과 관련하여, 역γ-변환용 테이블 및 γ 변환용 테이블이 입력 데이터를 변환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준비될 수 있으나, 역 γ 값 및 γ 값의 결합에 대응하는 역 γ-변환 테이블 및 γ 변환 테이블을 각각 갖는 일체형 변환 테이블이 입력 데이터를 변환 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는 그래픽 카드 및 표시 장치의 종별마다 다른 γ 값을 수동 조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현재 접속되어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에 부착된 그래픽 카드에 적절한 γ 변환이 선택되도록 자동 γ 변환 테이블 선택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부분 재기입 처리 중의 γ-값 변경의 처리 순서는 제1 실시예의 처리 순서와 동일하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표시 패널에 적절한 γ값을 표시 장치(I/F;101b)에 알려준다. 소정의 타이밍이란 전원이 투입되는 시점, γ값 통지 요구가 표시 장치 (I/F; 101b)로부터 수신되는 시점에서 알림이 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종의 표시 장치와 γ값 간의 대응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표시 장치(11)의 형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 장치(11)로부터 수신되도록 표시 장치(I/F; 101b)에 제공될 수 있으며, 임의의 γ 값을 수신된 정보와 대응하는 테이블에 따라 선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부분 재기입 제어가 입력된 데이터에 대하여 서로 직렬 접속된 γ 변환기 및 동 검출기에 의해 행해진다. 부분 재기입 제어동안, γ 값이 변경되는 경우, γ-값 변경 후의 표시 데이터의 모든 라인이 재기입된다. 이는 γ값 변경후에 전체 화면의 데이터 갱신이 신속하게 되도록 해주고, γ-값 변경전의 표시 데이터 및 γ-값 변경후의 표시 데이터가 동일한 프레임에 혼재하는 불합리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 동 검출 회로는 γ 변환전의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검출을 행하므로, 검출이 γ-변환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동 검출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γ값이 변경될 때 1 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터의 저장을 금지하기 때문에, γ-값의 변경에 의해 야기된 부적절한 데이터가 버퍼에 기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γ-값 변경에 따른 표시 장치상의 부적절한 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호스트 유닛측으로부터 표시 장치측의 γ 값 변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제2 실시예), 표시 장치의 종별마다 γ-값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제3 실시예)에 의해, 유저는 호스트 유닛에 설치된 그래픽 카드의 γ 값과 표시 장치의 특징에 따라 역 γ 값 및 γ 값의 수동 조정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유저에게 친밀감을 주는 색상 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FLC 표시 장치를 표시 장치(11)로서 사용하고 있으나 표시 장치(11)는 FLC 표시 장치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표시 장치가 입력-프레임 주파수보다 느린 표시 속도의 표시-프레임 주파수를 갖고 있으면 어떤 표시 장치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 재기입 처리의 표시 제어가 행해지는 동안 입력 데이터 변환이 변경되는 경우에,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입력 데이터 변환전의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 변환 변경후의 데이터의 혼합된 표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또는 장치에 상술한 처리를 행할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 (예를 들면, CPU, MPU)에 의해 저장 매체의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는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들을 실현하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또한,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광학디스크, 자기-광학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 테이프 메모리 카드, 및 ROM과 같은 저장 매체가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외의 기능들이 실현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는 OS(동작 시스템)등의 프로그램 코드의 지정에 따른 일부 또는 전체 프로그램을 행하고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속에 삽입되는 기능 확장 카드 혹은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제공된 메모리에 기입된 후에 상기 기능 확장 카드 또는 유닛에 포함된 CPU등이 프로그램 코드의 지정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 처리를 행하고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들을 실현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다양하고 광범위한 다른 실시예가 행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에 한정된 것을 제외하고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36)

  1. 프레임-단위 화상 데이터(frame unit image data)를 입력하여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여 변환 데이터를 얻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간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변화와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를 부분적으로 갱신(partially update)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 수단,
    상기 변환 수단의 변환 처리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 수단, 및
    상기 제1 출력 수단이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변경 수단이 상기 변환 수단의 변환 처리를 변경한 경우,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된 변환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변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분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전체 갱신(fully update)하기 위해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의 상기 소정의 변환 처리는 γ 변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γ 변환에 사용된 γ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이 변환 처리를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이 변환 처리를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금지 수단은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상기 검출 수단이 그 변화를 검출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이 변환 처리를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금지 수단은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갱신하기 위한 데이터의 출력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변환 데이터를 상기 제1 출력 수단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로서 적어도 1 프레임 분을 저장하기 위한 변환-데이터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지 수단은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상기 변환-데이터 저장 수단이 상기 변환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데이터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분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지 수단은 적어도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이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변환 처리의 변경은 수동 작업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사용될 변환 처리를 지정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변환 처리의 변경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사용될 변환 처리를 지정하는 신호를 상기 표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 장치로부터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변환 처리의 변경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명령이 검출된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 기간동안 변환 처리의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3. 프레임-단위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변환 처리를 수행하여 변환 데이터를 얻기 위한 변환 수단,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간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변화와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를 부분적으로 갱신하기 위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 수단,
    상기 변환 수단의 변환 처리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 수단,
    상기 제1 출력 수단이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변경 수단이 상기 변환 수단의 변환 처리를 변경한 경우,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된 변환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변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분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전체 갱신하기 위해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 수단, 및
    상기 제1 출력 수단 및 상기 제2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의 소정의 변환 처리는 γ 변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γ 변환에 사용되는 γ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이 변환 처리를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이 변환 처리를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금지 수단은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상기 검출 수단이 그 변화를 검출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이 변환 처리를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금지 수단은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갱신하기 위한 데이터의 출력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변환 데이터를 상기 제1 출력 수단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로서 적어도 1 프레임 분을 저장하기 위한 변환-데이터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지 수단은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상기 변환-데이터 저장 수단이 상기 변환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데이터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분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지 수단은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주기 동안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이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변환 처리의 변경은 수동 작업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사용될 변환 처리를 지정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한 변환 처리의 변경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변경 명령이 검출된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 주기 동안 변환 처리의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강유전성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5. 프레임-단위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변환 처리를 행하여 변환 데이터를 얻는 변환 단계,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간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변화와 상기 변화 단계에서 얻어진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를 부분적으로 갱신하기 위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계,
    상기 변환 단계에서의 변환 처리를 변경하는 변경 단계, 및
    상기 제1 출력 단계에서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변환 단계에서의 변환 처리가 상기 변경 단계에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 단계에서 변경된 변환처리에 의해 얻어진 변환 데이터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분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전체 갱신하기 위해 출력하는 제2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에서의 소정의 변환 처리는 γ변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에서는 상기 γ 변환에 사용되는 γ 값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에서 변환 처리가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사용을 금지하는 금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에서 변환 처리가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금지 단계에서는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상기 검출 단계에서 변화가 검출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에서 변환 처리가 변경되는 경우에, 상기 금지 단계에서는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갱신하기 위한 데이터의 출력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에서 얻어진 변환 데이터를 상기 제1 출력 단계에서 사용될 데이터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분을 저장하는 변환-데이터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지 단계에서는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기간동안 상기 변환 데이터 저장 단계에서 상기 변환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검출 단계에서 사용될 데이터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분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지 단계에서는 적어도 상기 변환 처리의 변경이 실행된 프레임 주기 동안 데이터 저장 단계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저장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에서의 변환 처리의 변경은 수동 작업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4.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에서 사용될 변환 처리를 지정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하는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 단계에서 변환 처리의 변경은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에서 사용될 변환 처리를 지정하는 신호를 상기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 장치로부터 입력하는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 단계에서의 변환 처리의 변경은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3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에서는 변경 명령이 검출된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 주기 동안 변환 처리의 변경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KR1019960010236A 1995-04-05 1996-04-04 표시제어장치및표시제어방법 KR100247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80412A JPH08278486A (ja) 1995-04-05 1995-04-05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及び表示装置
JP95-080412 1995-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716A KR960038716A (ko) 1996-11-21
KR100247316B1 true KR100247316B1 (ko) 2000-03-15

Family

ID=1371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236A KR100247316B1 (ko) 1995-04-05 1996-04-04 표시제어장치및표시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15135A (ko)
EP (1) EP0736855B1 (ko)
JP (1) JPH08278486A (ko)
KR (1) KR100247316B1 (ko)
DE (1) DE6963185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1802B1 (en) 1999-02-01 2019-07-23 Blanding Hovenweep, Llc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352400B2 (en) 1991-12-23 2013-01-08 Hoffberg Steven M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and human-factored interface therefore
JP3624982B2 (ja) * 1995-12-21 2005-03-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H11143379A (ja) * 1997-09-03 1999-05-2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表示装置補正システムおよび半導体表示装置の補正方法
US6538675B2 (en) 1998-04-17 2003-03-2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system for switching control of two position indication marks
US7148909B2 (en) * 1998-05-27 2006-12-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and scaling images on plurality of image source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US6473088B1 (en) 1998-06-16 2002-10-29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displaying multiple images and display method therefor
US6441870B1 (en) * 1998-12-22 2002-08-27 Gateway, Inc. Automatic gamma correction for multiple video sources
JP4508330B2 (ja) 1999-01-25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US7904187B2 (en) 1999-02-01 2011-03-08 Hoffberg Steven M Internet appliance system and method
US6313813B1 (en) 1999-10-21 2001-11-06 Sony Corporation Single horizontal scan range CRT monitor
JP2001195053A (ja) * 2000-01-06 2001-07-1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モニタシステム、液晶表示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の画像表示方法
JP4541482B2 (ja) * 2000-02-29 2010-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6816138B2 (en) * 2000-04-27 2004-11-09 Manning Ventures, Inc. Graphic controller for active matrix addressed bistable reflective cholesteric displays
EP1193978A1 (fr) * 2000-09-29 2002-04-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océdé de rafraíchissement d'écran
US7239324B2 (en) 2001-03-23 2007-07-0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erging graphics for display on a computing device
US7038690B2 (en) 2001-03-23 2006-05-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animated graphics on a computing device
KR100815893B1 (ko) * 2001-09-12 2008-03-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769174B1 (ko) * 2001-09-17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20030073390A (ko) 2002-03-11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휘도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장치를 위한 감마 전압 생성 방법
US7272497B2 (en) * 2003-03-24 2007-09-18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multi-use display
JP4577549B2 (ja) * 2004-01-22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TWI287770B (en) * 2004-03-09 2007-10-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Color managing structure and method for panel display apparauts
JP4154422B2 (ja) * 2004-12-15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4154423B2 (ja) * 2004-12-17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1167515B1 (ko) * 2004-12-30 2012-07-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화면분할 구동방법과 이를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274198A (ja) * 2006-03-30 2007-10-18 Kyocera Corp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7903047B2 (en) * 2006-04-17 2011-03-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ode indicator for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s
CN102568396A (zh) * 2007-03-26 2012-07-11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电话终端及与其相对应的方法
JP5343785B2 (ja) * 2009-09-17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送信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信号処理システム
KR20140046844A (ko) 2012-10-11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것의 구동 방법
CN109360523B (zh) * 2018-12-12 2020-11-27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4871B2 (ja) * 1989-08-31 1997-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US5420603A (en) * 1991-02-20 1995-05-30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DE69421832D1 (de) * 1993-01-11 2000-01-05 Canon Kk Farbanzeigevorrichtung
EP0608056B1 (en) * 1993-01-11 1998-07-29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line dispatch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31854T2 (de) 2005-02-03
US5815135A (en) 1998-09-29
KR960038716A (ko) 1996-11-21
DE69631854D1 (de) 2004-04-22
EP0736855A2 (en) 1996-10-09
EP0736855B1 (en) 2004-03-17
JPH08278486A (ja) 1996-10-22
EP0736855A3 (en)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316B1 (ko) 표시제어장치및표시제어방법
US6078317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66282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ontrol device
USRE43641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up and down a video image
EP0725380A1 (en) Display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having maintainability of display-status function and display control system
JP2903044B2 (ja) ビデオ信号変換器及び方法
JP3201039B2 (ja) 表示装置
JP3286529B2 (ja) 表示装置
US6661414B1 (en) Display system with a displaying apparatus that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US20020140685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20020175946A1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US6140996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US6310651B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display apparatus
US6329975B1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interface control
US5710570A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having display functions
US5706035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US7336286B2 (en)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US2002002130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6515672B1 (en) Managing prefetching from a data buffer
WO2004077393A1 (ja)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H10161600A (ja) 液晶表示制御装置
US5268762A (en) Video signal synthesizing system for synthesizing system&#39;s own signal and external signal
JPH11133939A (ja) 表示装置
US200400853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ntrol in a computer
KR10056235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화상 자동 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