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264B1 -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크린 부착 구조체 - Google Patents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크린 부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264B1
KR100246264B1 KR1019960040494A KR19960040494A KR100246264B1 KR 100246264 B1 KR100246264 B1 KR 100246264B1 KR 1019960040494 A KR1019960040494 A KR 1019960040494A KR 19960040494 A KR19960040494 A KR 19960040494A KR 100246264 B1 KR100246264 B1 KR 10024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enticular lens
unit
jaw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535A (ko
Inventor
게이조 후루야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431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905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804747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47591A/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7001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종 2 연으로 프레넬(Fresnel) 렌즈(23A, 23B)가 늘어서도륵 유닛 디스플레이(21A, 21B)를 단적(段積)하여 1 조의 유닛(20)을 형성한다. 각 유닛의 프레넬 렌즈(23A, 23B)의 전면에 1 장의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10)를 부착한다. 이때, 랜티큘러 렌즈(10)의 상하 단부에 돌출 된 턱부(11)를 설치하고, 이 턱부(11)를 스크린 부착틀(22A 및 22B)의 외곽에 걸어서 프레넬 렌즈(23A, 23B)를 덮는다. 또한 상하의 장력을 얻기 위해, 턱부(11)와 부착틀(22A 및 22B) 사이(걸림부)에 판 스프링(15) 등을 삽입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장력을 얻는다. 이들 유닛(20)을 복수개 나란히 늘어놓아서 스테레오스코프(Stereoscope)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 유닛(Projection Unit)의 스크린 부착 구조의 구성은 스크린(60) 배면측에 액자틀 모양의 부착틀(70)을 배치한다. 부착틀(70)의 경사부(72)에 지지용 연결구(81)를 나사(82)로 고정한다. 지지용 연결구(81)에 의해 스크린(60) 단부에 설치된 접착편(61)을 한쪽만 지지하고, 또한 부착틀(70)의 걸림부(71)와 지지 연결구(81) 사이에서 스크린(60)을 끼워둔다. 경사부(72, 81B)에서 상하 방향 이외에, 스크린(60)을 압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확실하게 스크린(60)을 유지한다.

Description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크린 부착 구조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유닛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스테레오스코프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투과형 스크린을 사용한 프로젝션 유닛에 사용되는 스크린 부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유닛 디스플레이를 종횡 방향으로 복수대 늘어놓아 대화면의 스크린을 얻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제18도에 나타낸다.
제18도는 6 면으로 구성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며, 제19도는 제18도의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100)의 이음새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 디스플레이를 단적(段積)하여 6 면의 대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각 유닛 디스플레이(210)는 광학계(도시 생략)가 수납되는 캐비넷(22)과, 이 광학계에 의해 영상이 확대 투사되는 프레넬 렌즈(230)를 갖추고 있으며, 이 프레넬 렌즈(230)는 예컨대 스크린 압착 연결구와 스크린 부착틀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스크린은 1장의 렌티큘러 렌즈(100)로 각 유닛(210)을 덮고 이음새(joint)를 작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18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1장의 큰 평면을 가진 렌티큘러 렌즈(100)를 준비해야만 한다. 이 렌티큘러 렌즈(100)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세로 길이의 렌티큘러 렌즈를 몇 장 준비하여 접착하고 서로 잇는 식의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예컨대, 제18도과 같이 유닛 디스플레이를 횡방향으로 3 개, 종 방향으로 2 개 늘어놓는 경우에는 프레넬 렌즈(230)의 종방향의 약 2 배의 렌티큘러 렌즈를 횡방향으로 3 장 접착시킬 필요가 있다. 렌티큘러 렌즈(100)는 제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약 1mm 정도로 단면이 파형(波形)인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것을 병렬로 접착하는 기술은 매우 고도한 고비용의 기술이다.
또한, 스크린은 프레넬 렌즈(230)와 렌티큘러 렌즈(100)를 합쳐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를 밀착시켜 설치하지 않으면 충분한 렌즈 효과가 생기지 않아서 화면이 흐릿해지거나 일그러지거나 한다. 그 때문에 렌티큘러 렌즈(100)에 장력을 부여하여 항상 렌티큘러 렌즈(107)가 팽팽한 상태로 스크린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결국, 렌티큘러 렌즈(10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을 주어서 프레넬 렌즈(230)와 렌티큘러 렌즈(100) 사이의 갭을 없애 1 장의 커다란 평면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건 특허 출원인이 1994년 10월 25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특허 출원한 특허 출원 번호 평6-260714호에는 렌티큘러 렌즈(100)에 장력을 부여하여 고정하는 스크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을 제20도에 나타낸다.
제20도에서 스크린(300) 배면측에 액자틀 모양의 제1 부착틀(910)을 배치함과 더불어 스크린(300)의 외주를 감싸도록 하여 제2 부착틀(920)출 배치한다. 제2 부착틀(920)에는 스크린(300)의 한쪽면을 거는 걸림부(921)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300)의 상단부에 설치된 유지 부재(930)로 접착편(310)의 하단을 한쪽만 지지하는 한편, 스크린(300)의 하단부에 설치된 유지 부재(940)로는 접착편(320)의 상단부를 걸어두고, 제2 부착틀(920)의 바닥면(920A)과 유지 부재(940) 사이에 스프링(924)을 설치하고, 나사(923)를 체결(螺入)하고 뺌(螺出)으로써 유지 부재(940) 및 접착편(320)으로 스크린(300)의 하단부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스크린(300)의 상하 방향으로 장력을 주면서 스크린(300)을 유지한다.
제20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으로 만듦으로써, 상단부에 설치된 유지 부재(930) 및 하단부에 설치된 유지 부재(940)에 의해 균일한 장력을 스크린(300)에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스프링(924)을 유지 부재(940)에 내재시킴으로써 스크린(300)에 유지 부재(940)의 단면 방향으로 장력을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 특허 출원 번호 평6-260714호의 구조는 대형 스크린의 부착 구조로서는 적당하지만, 중형 스크린을 부착하는 구조로서는 복잡하고, 간편성 및 작업성에 있어서 약간의 어려움이 있어서 더욱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복수의 유닛 디스플레이를 종방향으로 중첩하여 구성하고 렌티큘러 렌즈를 분할, 소형화하여 스테레오스코프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크린 부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비교적 큰 스크린을 사용하는 프로젝션 유닛에서 확실하게 스크린에 장력을 가할 수 있고, 또 간단하게 그 장력을 조정할 수도 있으며, 중형 스크린의 부착에도 적절한 스크린 부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a)도는 제1도의 렌티큘러 렌즈의 상단부의 확대도.
제2(b)도는 제1도의 캐비넷측의 상단부의 확대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의 상단부 턱부와 캐비넷측 부분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4(a)도 및 제4(b)도 제2도의 상단부 턱부와 캐비넷측 부분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1도의 새로운 유닛을 늘어놓아 스테레오스코프를 구성한 경우의 도면.
제6도는 렌티큘러 렌즈에 설치한 블랙 스트라이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7(a)도는 4개의 유닛 디스플레이로 새로운 유닛을 구성한 경우의 도면.
제7(b)도는 제7(a)도에 있어서의 렌티큘러 렌즈의 이완을 방지하는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2도 구성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렌티큘러 렌즈 전면에 보호층을 만든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11(a)도는 유닛 디스플레이의 프레넬 렌즈의 부착부를 나타낸 도면.
제11(b)도는 제11(a)도의 X-X 선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유닛 디스플레이를 늘어놓은 경우에 렌티큘러 렌즈의 외주 부분에 연결구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유닛용 스크린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14도는 제13도의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지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유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17도는 제13도의 유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8도는 종래의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외관도.
제19도는 제18도의 렌티큘러 렌즈 부분을 나타낸 도면.
제20도는 종래의 대형 프로젝션 유닛용 스크린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렌티큘러 렌즈 11 : 턱부
20 : 유닛 21A, 21B : 유닛 디스플레이
22A, 22B : 캐비넷 23A, 23B : 프레넬 렌즈
제1 형태의 발명은 복수조의 유닛을 나란히 배치하여 이루어진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조의 유닛은 전면에 프레넬 렌즈를 각각 가지는 유닛 디스플레이를 종방향 흑은 종횡방향으로 복수개 늘어놓고, 상기 프레넬 렌즈와 함께 스크린을 구성하도록 상기 각 조의 유닛마다 각각 1 장씩 대향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를 가지며, 또한, 상기 렌티큘러 렌즈를 상기 각 조 유닛의 프레넬 렌즈를 덮도록 렌티큘러 렌즈에 장력을 부여하면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가진다. 이로써, 복수조의 유닛으로 1 개의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고, 각 조의 유닛을 덮는 렌티큘러 렌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2 형태의 발명은 상기 유지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상하 단부에 턱부를 만들고, 이 턱부를 상기 각 조 유닛의 상하 단부에 걸어두며, 또한, 상기 턱부와 상기 유닛의 상단부 혹은 하단부 사이에 복수의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렌티큘러 렌즈에 상하 방향의 장력을 주도록 한 것이다.
제3 형태의 발명도 상기 유지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상하 단부에 턱부를 설치하고, 이 턱부를 상기 각 조 유닛의 상하 단부에 스프링이 부착된 나사를 이용하여 걸어두며,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렌티큘러 렌즈에 상하 방향의 장력을 주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4 형태의 발명은 상기 턱부를 3 개 부분으로 분할하여 중앙부의 턱부보다도 양단부에 위치하는 턱부를 보다 강하게 유닛에 부착하도록 스프링의 탄력 정수를 설정한 것이다.
그리고, 제5 형태의 발명은 상기 3 개로 분할된 상기 턱부 중에서 중앙부의 턱부 길이를 양단부의 턱부 길이보다도 길게 한 것이다.
제4 및 5 형태의 발명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를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제6 형태의 발명은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각 조의 유닛을 전체적으로 원호상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스테레오스코프로 구성한 것이다.
제7 형태의 발명은 상기 프레넬 렌즈 및 렌티큘러 렌즈의 좌우 양단부를 각각 와이어로 상기 유닛 디스플레이에 부착하여 렌티큘러 렌즈의 좌우 단부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제8 형태의 발명은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표면을 보호층으로 덮어서 렌티큘러 렌즈의 표면을 보호한 것이다.
제9 형태의 발명은 또한, 상기 각 조의 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넬 렌즈와 상기 유닛 디스플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가지는 것이다.
제10 형태의 발명은 상기 연결 수단으로서 접착 테이프를 사용한 것이다.
제11 형태의 발명은 상기 연결 수단으로서 상기 유닛의 외주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전면과 거의 같아지도록 길어진 복수의 부착 연결구를 사용한 것이다.
제10 및 11 발명의 형태에 의해 프레넬 렌즈의 부착 상태가 안정화되고, 또 각 조의 유닛 사이의 연결부에서 광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2 형태의 발명은 복수조의 유닛을 나란히 배치하여 이루어진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조의 유닛을 전면에 프레넬 렌즈를 각각 가지는 유닛 디스플레이를 종방향 흑은 종횡방향으로 복수개 늘어놓고. 상기 프레넬 렌즈와 함께 스크린을 구성하도록 상기 각 조의 유닛마다 각각 1 장씩 대향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를 가지며, 상기 각 렌티큘러 렌즈의 전면에 설치하여 외광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각 조의 유닛이 늘어선 방향으로 상기 각 렌티큘러 렌즈의 한쪽의 종단부에서 다른쪽의 종단부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블랙 스트라이프(black stripe)를 가진다. 이로써, 각 유닛의 단부에서 광의 난반사(irregular reflection)를 방지하고, 각 유닛 사이의 연결부의 이음새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제13 형태의 발명은 투사 유닛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스크린이 배치되며, 상기 투사 유닛로부터의 영상광이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확대되어 투사되는 투사형 수상기를 위한 스크린 부착 구조체로, 상기 스크린의 외부에 부착되는 액자틀 모양의 부착틀과, 상기 스크린의 외주쪽으로 향하는 제1 방향 및 스크린의 전면 방향으로 장력을 주어 상기 부착틀에 상기 스크린을 부착시키기 위한 지지 수단과, 상기 스크린이 상기 부착틀에 부착되는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 수단과, 상기 제1 방향과 역방향 및 스크린의 전면 방향으로 상기 스크린에 장력을 주어 부착시키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스크린에 상하 방향으로 장력을 주어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부착틀에 빈틈없이 눌러서 부착할 수 있다.
제14 형태의 발명은 제13 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스크린의 배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측의 일단부에 부착한 제1 고정편과, 상기 부착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전면측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걸림부와, 상기 부착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외주의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제1 고정편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제 1 경사부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편을 지지하고 타단이 상기 제1 경사부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또, 제15 형태의 발명은 제13 형태의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스크린의 배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측의 일단부에 부착한 제2 고정편과, 상기 부착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측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걸림부와, 상기 부착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외주의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제2 고정편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제2 경사부와, 일단이 상기 제2 고정편을 유지하고 타단이 상기 제2 경사부에 고정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제2 경사부에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이 부착된 나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제14 및 제15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경사부에 의해 상기 스크린에 상하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여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부착틀의 걸림부측으로 눌러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16 형태의 발명은 상기 유지 수단의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2 경사부에 고정되는 단부를 연장하여 상기 부착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지닌 것이며 이로 인해 유지 부재를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 제17 형태의 발명은 상기 부착틀의 상기 스크린 외주를 둘러싸는 부분을 중공(中空) 형상으로 만들어서 부착틀의 강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스크린 부착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닛(20)은 종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유닛 디스플레이(21A, 21B)로 구성된다. 유닛 디스플레이(21A, 21B)의 프레넬 렌즈(23A, 23B)를 덮도록 1 장의 렌티큘러 렌즈(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렌티큘러 렌즈(10)는 유닛(20)의 길이보다도 크며. 렌티큘러 렌즈(10)의 상단 및 하단부의 내면에 턱부(11)가 접착되어 있다. 이 양단부의 턱부(11) 사이의 길이는 렌티큘러 렌즈(10)의 길이가 된다. 따라서, 유닛(20)의 캐비넷 상단 및 하단부(11)에 이 턱부(11)를 걸어 두어 렌티큘러 렌즈(10)에 장력을 주면서 유지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 턱부(11)와 유닛 디스플레이(21A. 21B)의 캐비겟 외곽 부분에 유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도면 부호 22A 및 22B는 각각 유닛 디스플레이(21A, 2lB)의 캐비넷이다. 턱부(11)는 예컨데, 금속재 흑은 어느 정도의 강도를 지닌 수지재 등으로 구성된다.
렌티큘러 렌즈(10)에 설치된 턱부 부분(11)과 유닛 디스플레이(21A, 21B)의 캐비넷으로 이루어진 유지 수단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렌티큘러 렌즈의 상단 턱부 및 이에 대응하는 캐비넷측의 도면이다.
턱부(11)를 렌티큘러 렌즈(10)의 양단부에 접착시키고 있다. 단 제2(a)도 및 제2(b)도에서는 상단부측만이 나타나 있다. 이 턱부(11)에 관통 개구(12)를 만들고 캐비켓(22A)측에는 이 관통 개구(12)와 일치하는 위치에 암나사(24)를 만들어 관통 개구(12)를 통과하는 암나사(14)와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 관통 개구(12) 및 암나사부(24)는 여러 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만듦으로써, 상하에 턱부(11)를 걸어서 장력을 주면서 렌티큘러 렌즈(10)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3(a)도 및 제3(b)도는 턱부(11)와 캐비넷(22A)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렌티큘러 렌즈(10)의 상단은 프레넬 렌즈(23A)보다도 돌출하여 있고, 그 부분의 이면(裏面)에 턱부(11)를 접착하여, 이 턱부(11)를 캐비넷측 즉, 프레넬 렌즈의 부착틀(22)의 외곽에 나사(14)를 이용하여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턱부(11)와 부착틀(22) 사이에는 판 스프링(15)이 삽입된다. 제3(a)도는 판 스프링(15)을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에, 제3(b)도는 판 스프링(15)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턱부(11)와 프레넬 렌즈(23A)의 부착틀(22) 사이의 갭에 판 스프링(15)을 삽입함으로써 턱부(11)는 윗쪽으로 밀려 올라가서 렌티큘러 렌즈(10)에 장력을 주도록 하고 있다. 나사(14)는 자유자재로 삽입하거나 뺄 수 있고, 체결 정도에 따라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등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가 압축된 경우에도 적절한 장력을 렌티큘러 렌즈(10)에 주게 된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렌티큘러 렌즈(10)의 하측에 마찬가지로 턱부(11)가 만들어져서 캐비넷(22B)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흑은 렌티큘러 렌즈(10)의 하측에 대해서는 턱부(11)에 추 등을 매달아 그 중력에 의해 아랫쪽으로 끌어내려도 상관없다.
또한, 제4(a)도 및 제4(b)도는 판스프링(15) 대신에 코일 모양의 스프링(33)을 사용한 예이다. 제4(a)도는 코일형 스프링(33)을 사용하여 나사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며, 제4(b)도는 나사 및 코일형 스프링을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4(a)도 및 제4(b)도에는 렌티큘러 렌즈(10)의 상부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하부도 같은 구성으로 한다.
제4(a)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턱부(11)의 윗쪽으로 암나사부(16)를 설치하고, 이 나사부(16)에 숫나사(30)가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턱부(11)에는 암나사(16)에 연결 접속하여 관통 개구(12)가 만들어져 있다. 나사(30)는 단이 부착된 볼트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4(b)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숫나사부(31)와 이 숫나사부(31)에 연속 설치된 원주부(32)로 이루어진다. 숫나사부(31)는 턱부(11)에 설치된 암나사부(16)와 체결하고, 원주부(32)는 부착틀(22)에 만들어진 개구부(28)와 끼워 맞춰(嶺合)지도록 되어 있다. 개구부(28)는 나사(30)를 안내함과 더불어 프레넬 렌즈(23A)와 렌티큘러 렌즈(10)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또, 원주부(32)에는 코일형 스프링(33)이 감겨져 판 스프링(15)과 마찬가지로 렌티큘러 렌즈(10)의 상하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또, 판 스프링(15)과 마찬가지로 나사(30)의 체결 정도에 따라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4(a)도 및 제4(b)도에서는 각각 나사부(31)의 곡경(谷徑)을 a2, 턱부(11)의 관통 개구(12)의 내경(內徑)을 a1, 또 개구부(28)의 내경을 d1로 하여, 설정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즉, 개구부(28)의 내경을 원주부(32)와 끼워 맞출 때의 공차(公差) 정도로 억제함으로써 렌티큘러 렌즈(10) 및 프레넬 렌즈(23A)의 위치규제용으로서 기능하는 것과, 스프링(33)의 내경(D2)보다도 개구부(28)의 내경(d1)을 작게 함으로써 스프링(33)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부착틀(22)이 기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스프링(33)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나사(37)의 곡경(a2)보다도 스프링(33)의 외경(D1)을 작게 함으로써 나사(30)에 압력을 적절하게 가하기 위한 압압부(押壓部)로서 나사 바닥면이 기능하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제4(a)도와 같은 구성으로 만듦으로써 나사(30)의 체결 정도에 따라 장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개구부(28)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10) 및 프레넬 렌즈(23)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하로 적절한 장력을 주면서 렌티큘러 렌즈(10)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그 변형예로서, 나사(30)의 기능을 2개로 나누는 구성이 있다. 즉 단순히 스프링(33)을 누르기만 하는 나사와, 단순히 부착틀(22)과 렌티큘러 렌즈(10)와의 위치를 결정하는 끼워 맞춤용 나사로 나누어, 그들 복수개의 나사를 균등하게 배열하여 동등한 효과를 얻는 식으로 하여도 된다. 그렇게 하면 나사(30)와 같은 특수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시판되는 나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3 개로 분할된 렌티큘러 렌즈(10)를 갖춘 유닛(20)을 제5도와 같이 원호상으로 나란히 늘어놓아 스테레오스코프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종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프레넬 렌즈(23A, 23B)를 유닛(20)을 가지고 설명했는데, 이것을 종 방향으로 배치된 3개, 4개로 하더라도 렌티큘러 렌즈의 크기가 허용되는 한 구성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종방향 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도 2개 혹은 3개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종래 1장으로 구성된 대형 렌티큘러 렌즈(100)(제18도 참조)를 사용하지 않고 소형의 렌티큘러 렌즈(1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운송 등에 드는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는 것 이외에도, 건물의 반입구 등의 크기가 문제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제6도에서는 렌티큘러 렌즈(10)의 블랙 스트라이프의 배치에 대해서도 제한을 가해 스테레오스코프로 양단부의 화질을 보증하는 동시에 이음새 등에 의한 화질의 열화를 더욱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제6도에서는 렌티큘러 렌즈(10)의 단부(10a)에 블랙 스트라이프(13)가 위치하도록 하고, 이 부분에서의 난반사의 방지 혹은 외광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고 있다.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이, 유닛(20)을 복수개 배열하여 스테레오스코프를 구성한 경우, 단부(10a)의 블랙 스트라이프(13)에 의해 각 유닛 사이에서의 간섭을 줄이고, 이음새의 화질을 보중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종 방향으로 3개, 4개 배치된 경우, 상하 방향으로 장력만을 주고 있는 전술한 구성으로는 좌우의 단부(10a)가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런 문제를 회피한 것이 제7(a)도 및 제7(b)도에 나타낸 예이다. 제7(a)도는 종방향으로 4개 배치된 경우의 새로운 유닛(2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렌티큘러 렌즈(10)의 좌우 단부(10a)를 와이어(17)로 고정하여 렌티큘러 렌즈(1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제7(b)도는 제7(a)도의 와이어(17) 부분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또, 제8도은 제1도의 경우와 같이 종방향으로 2개 배치된 경우 등에서도 또한, 좌우 방향으로의 장력도 얻을 수 있도록 한 변형예이다.
제8도는 제4도에서의 스프링(33)을 사용한 예의 변형예로, 턱부를 11a, l1b, l1c의 3 개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중앙 부분(11b)을 길게 하고 양단부(11a, 11c)는 짧게 하고 있다. 또한, 강한 스프링(33b)을 양단부에, 약한 스프링(33a)를 중앙부에 배치하여 장력차(張力差)를 얻고 있다. 당연히 좌우 방향으로 물결지는 현상도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중앙 부분에는 긴 턱부(11b)를 설치하고 있다. 온도 혹은 습도 등에 의한 영향이 중앙부(11b)에 비해 양단부(l1a, l1c)에 현저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중앙 부분(11b)과 양단부(11a, 11c)에서 장력차를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 차이를 이용하여 부여하는 장력을 균일하게 하는 데에 성공했다.
또한, 제9도는 종방향으로 2개, 횡방향으로 2개 배치된 유닛을 1 조로 하여 횡방향으로 3개 조를 나란히 늘어놓아 스테레오스코프를 간단하게 구성한 예이다.
또한, 제10도는 렌티큘러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렌티큘러 렌즈 전면에다 설치한 예이다.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보호층(30)을 렌티큘러 렌즈(10)의 전면에 만들고, 렌티큘러 렌즈(17)의 보호 수단과 함께 렌티큘러 렌즈(10)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이 보호층(30)은 렌티큘러 렌즈(10)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전면에서부터 렌티큘러 렌즈(10)를 모든 면에 걸쳐 누른다. 이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은 스프링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아크릴판 자체의 강성(剛性)(아크릴판의 두께는 3mm 이상이며, 렌티큘러 렌즈의 1mm에 비해 훨씬 크다)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10)를 프레넬 렌즈(23)쪽으로 꽉 누를 수 있다고 하는 잇점이 있다. 물론 스프링을 병용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아크릴판(30)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렌티큘러 렌즈(10)의 유지 수단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턱부(31)를 만들어 이 턱부(31)에 각진 연결구(32, 32A)를 설치하여 캐비넷에 고정한 것이다.
제10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는 그대로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하단에 대한 연구에 몰두하였다. 상부는 그대로 각진 연결구(32)를 캐비넷에 고정하고 있지만 하단에는 장력이 부여되도록 하고 있다. 즉, 각진 연결구(32A)측에 암나사를 만들고, 부착틀(22)에 관통 개구(34)를 만들어 나사(35)에 의해 연결구(32A)를 부착틀(22)에 부착하고 있다. 또, 연결구(32A)의 고정용으로 또 하나의 나사(36)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부분은 부착틀(22)에 암나사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나사(35)의 외주에 스프링(33)을 부착하여 나사(35)의 삽입에 의해 스프링(33)이 보다 큰 반력을 얻게 하고, 나사를 빼는 것에 의해 스프링(33)이 작은 반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만듦으로써 렌티큘러 렌즈(10)에 적절한 장력을 줄 수 있다. 또, 제10도의 구성 대신에 하단의 턱부(31)에 추를 매달아 아랫쪽으로 잡아당겨도 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는 유닛 디스플레이도 개선시키고 있다 즉, 1 장의 렌티큘러 렌즈(10)로 복수의 유닛 디스플레이를 덮기 위해 유닛 디스플레이 이음새의 협소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제11(a)도와 같은 접착 테이프를 사용한 개선점을 프레넬 렌즈(23)의 부착 부분에도 실시하고 있다.
제11(a)도에서는 프레넬 렌즈(23)의 두께가 렌티큘러 렌즈(10)의 두께에 비해 훨씬 두꺼운 것을 이용하고, 연결구를 사용하여 누르는 대신에 접착 테이프(40)를 사용한 것이다. 즉, 프레넬 렌즈(23)는 렌티큘러 렌즈(10)에 비해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장력을 주지 않더라도 프레넬 렌즈(23)가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제11(b)도는 제11(a)도의 X-X 선 단면도이다.
제11(a)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넬 렌즈(23)의 외주와 부착틀(캐비넷 측)(22)을 접착 테이프(40)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프레넬 렌즈(23)의 외주가 부착틀(22)에 꽉 끼게 하기 위해 얇은 테이프로 힘껏 연결하고 있다. 즉,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프레넬 렌즈(23)의 위치 규제 및 유지를 접착 테이프(40)에 의해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구성에서는 이음새는 기껏해야 테이프 2장 분의 두께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음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프레넬 렌즈(23)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프레넬 렌즈 자체도 간소하게 마무리된다.
더욱이, 렌티큘러 렌즈(10)의 절단면에서 새어나오는 광을 차단하기 위해 연결구(50)를 설치하고, 화질의 향상을 꾀한 것이 제12도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만들면 스테레오스코프 등을 구성할 때에, 블랙 스트라이프의 배치를 개량하여 단부를 개선한 것(제6(a) 참조)에 더하여. 또한, 렌티큘러 렌즈(10)의 단면에서 광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유닛(20)을 가로 또는 원호상으로 늘어놓은 경우, 렌티큘러 렌즈 단부에서의 화질이 보중된다. 렌티큘러 렌즈(10)는 단부 단면의 가공 정밀도에 완벽을 기하려고 신경쓰지 않더라도 양호해지기 때문에 가공하기 쉽다고 하는 잇점이 생긴다.
이어서, 제13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여 비교적 큰 투사 스크린을 사용하는 프로젝션 유닛에 있어서의 스크린 부착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제13도 내지 제17도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린의 휘어짐 등을 억제하고. 중형 정도의 스크린 구성으로 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해 보다 간편한 부착 구조체를 제시했다. 여기에서는 스크린의 전후 방향으로도 힘을 가할 수 있는 스크린 부착 구조체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제13도을 참조하여 전체 구성을 설명하고, 이어서 특징 부분인 지지부(80) 및 유지부(90)에 대해 제14도 내지 제17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유닛용 스크린의 투사면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스크린(60) 배면측에 스크린(60)의 외형과 거의 같은 형태로 커다란 외주를 가진 액자틀 모양의 부착틀(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틀(70)에는 제1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크린 전면에 걸림부(71)가 연장되며. 이 걸림부(71)와 배면에 설치된 지지부(80) 및 유지부(90)에 의해 스크린이 끼워지게 된다. 지지부(80)는 부착틀(70)의 배면측 상단부에 있으며, 유지부(90)는 부착틀(70)의 배면측 하단부에 있다. 지지부(80) 및 유지부(90)와 부착틀(70)과의 결합부에는 제14도 내지 제1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사부(81B, 91B)가 만들어져 있으며, 여기를 나사(82, 92) 등으로 체결하여 지지부(80) 및 유지부(97)가 부착틀(70)에 고정된다.
한편, 부착틀(70)은 액자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하단부를 고정대 등에 고정되는 것으로 만든다. 따라서 부착틀(70)에 고정된 지지부(80) 및 유지부(90)에 의해 스크린을 무사히 지지 및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부(80) 및 유지부(9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지지부(80)가 되는 상단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4도는 단면도이며, 스크린(60)의 단부에 설치한 접착편(고정편)(61)이 부착틀(70)과 지지용 연결구(81)에 의해 지지된다.
연결구(81) 한쪽의 L 자형 단부에 의해 접착편(61)의 단부가 지지되고 있으며, 연결구(81)의 다른쪽 단부는 부착틀(70)의 경사부(72)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사부(72)는 부착틀(70)에 리브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연결구(81)의 경사부(81B)를 맞추어 나사(82)에 의해 연결구(81)를 고정하고 있다. 경사부(72)의 구멍 내면에는 나사(82)와 체결하는 암나사가 있다.
경사부(72, 81B)를 나사(82)로 체결함으로써 지지부(80)는 스크린(60)에 장력을 주기 위해 윗쪽으로 힘(Po)을 주면서 또한, 스크린(60)과 끼워 맞추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스크린(60)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Pf)을 주면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4도에서는 경사 리브(72)를 단독으로 구성했지만, 제15도에서는 부착틀(70)에 중공부(73)를 설치함으로써 부착틀(70)에 충분한 강도가 부여된다.
따라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으며 강도도 보강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게다가 경사 리브(72)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제15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나사(82)를 중공부(73)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을 손상하지 않고서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유지부(90)에 대해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지부(90)는 부착틀(70)의 하단부에 스크린(60)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유지부(90)에도 마찬가지로 경사부(74)가 만들져 있다. 여기에서도 스크린(60)의 하단부에 설치한 접착편(고정편)(61)이 유지용 연결구(91)와 나사(92)를 사용하여 경사부(74)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방향으로 장력을 주면서 또, 스크린(60)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서 스크린(60)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장력을 적절하게 부여하기 위해서 스프링(93)을 설치해 두고 있다. 그리고, 스크린(60)의 수축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공간부(94)를 만들어 둔다.
따라서, 지지부(80)와 아울러 적절한 장력을 스크린(60)에 주면서 유지할 수 있으며, 또 스크린 하단의 위치를 나사(92)에 의해 규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유지용 연결구(91)의 단부와 부착틀(1) 사이에 갭(94)이 생겨 스크린(60)의 유지부(90)가 약간 불안정하게 되는데, 이것을 개량한 것이 제17도에 나와 있는 예이다.
제17도에서는 유지용 연결구(91)의 단부(91A)라 부착틀(70)과의 접촉 부분(91A)을 만들어 유지용 연결구(91)의 불안전성을 제거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유지용 연결구(91)가 양단에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 부착틀(70)에 위치 결정 리브(75)를 설치하여 유지용 연결구(91)가 부착틀(70)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면 파손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데, 제1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작업도 쉬워지며 외관을 손상시키지도 않는다.
여기에서는 위치 결정 리브(75)와 단부(접촉부)(91A) 사이에 갭이 있는데, 이 부분은 제16도에서 공간부(94)에 의해 실현한 스크린(60)의 수축을 흡수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따라서, 스크린(60) 및 접착편(61)은 걸림부(71)와 지지용 연결구(81) 혹은 유지용 연결구(91) 사이에 갭 등이 생기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게 스크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유닛 디스플레이를 종방향으로 중첩하여 구성하고 렌티큘러 렌즈를 분할, 소형화하여 스테레오스코프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크린 부착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고. 비교적 큰 스크린을 사용하는 프로젝션 유닛에서 확실하게 스크린에 장력을 가할 수 있고, 또 간단하게 그 장력을 조정할 수도 있으며, 중형 스크린의 부착에도 적절한 스크린 부착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17)

  1. 복수조의 유닛(20)을 나란히 배치하여 이루어진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조의 유닛(20)을 구성하고, 전면에 프레넬 렌즈(23A, 23B)를 각각 가지며 종방향 혹은 종횡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는 유닛 디스플레이(21A, 21B)와; 상기 프레넬 렌즈와 함께 스크린을 구성하고, 상기 각 조의 유닛마다 각각 1장씩 대향 배치되고 각각의 상하 단부에 턱부(11)를 갖는 렌티큘러 렌즈(10)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로 상기 각 조 유닛의 프레넬 렌즈를 덮도록 하고, 상기 턱부를 상기 각 조의 유닛의 외측 방향으로 누르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턱부를 상기 각조의 유닛의 상하 단부에 걸어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렌티큘러 렌즈(10)의 상하 단부에 턱부(11)를 설치하며, 이 턱부를 상기 각 조 유닛의 상하 단부에 스프링(33)이 부착된 나사(30)를 이용하여 걸어두어,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렌티큘러 렌즈에 상하방향의 장력을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의 상기 턱부는 3 개 부분(11a, 11b, 11c)으로 분할하고, 양단부에 위치하는 턱부를 상기 유닛에 걸어두는 상기 나사의 스프링(33b)의 스프링 상수를 중앙부의 턱부를 상기 유닛에 걸어두는 상기 나사의 스프링(33a)의 스프링 상수보다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 개로 분할된 상기 턱부 중, 중앙부의 턱부(l1b)의 길이를 양단부의 턱부(l1a, l1c)의 길이보다도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의 유닛을 전체적으로 원호상으로 나란히 늘어놓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 및 렌티큘러 렌즈의 좌우 양단부를 각각 와이어(17)를 이용하여 상기 유닛 디스플레이에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표면을 보호층(30)으로 덮어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의 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넬 렌즈와 상기 유닛 디스플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접착 테이프(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유닛의 외주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전면과 거의 같아지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부착용 연결구(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11. 복수조의 유닛(20)을 나란히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조의 유닛(20)을 구성하며. 전면에 프레넬 렌즈(23A, 23B)를 각각 가지며 종방향 혹은 종횡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는 유닛 디스플레이(21A, 2lB)와; 상기 프레넬 렌즈와 함께 스크린을 구성하며, 상기 각 조의 유닛마다 각각 1장씩 대향 배치되는 렌티큘러 렌즈(10)와; 상기 각 렌티큘러 렌즈의 전면에 설치하여 외광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각 조의 유닛이 늘어선 방향으로 상기 각 렌티큘러 렌즈의 한쪽 종단부에서 다른쪽 종단부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블랙 스트라이프(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12. 투사 유닛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스크린(60)이 배치되며, 상기 투사 유닛으로부터의 영상광이 상기 스크린 전면에 확대되어 투사되는 투사형 수상기를 위한 스크린 부착 구조채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외주에 부착되는 액자틀 모양의 부착틀(70)과; 상기 부착틀에 상기 스크린을 스크린의 외주로 향하는 제1 방향 및 스크린의 전면 방향으로 장력을 주어 부착하기 위한 지지 수단(80)과; 상기 스크린의 상기 부착틀에 부착하는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 수단과; 상기 스크린을 상기 제1 방향과 역방향 및 스크린의 전면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여 부착하기 위한 유지 수단(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착 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80)은, 상기 스크린의 배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측의 일단부에 부착한 제1 고정편(61)과; 상기 부착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전면측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걸림부(71)와; 상기 부착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외주의 배면측에서 상기 제1 고정편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제1 경사부(72)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편을 지지하고 타단이 상기 제1 경사부에 나사(82)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 부재(8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착 구조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90)은, 상기 스크린의 배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측의 일단부에 부착한 제2 고정편(61)과; 상기 부착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측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걸림부(71)와; 상기 부착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외주의 배면측에서 상기 제2 고정편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하는 제2 경사부(74)와; 일단이 상기 제2 고정편을 유지하고 타단이 상기 제2 경사부에 고정되는 유지 부재 (91)와; 상기 유지 부재를 제2 경사부에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93)이 부착된 나사(9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착 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2 경사부에 고정되는 단부를 연장하여 상기 부착틀에 접촉하는 접촉부(91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착 구조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틀의 상기 스크린 외주를 둘러싸는 부분을 중공모양(73)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착 구조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틀의 상기 스크린 외주를 둘러싸는 부분을 중공 모양(73)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착 구조체.
KR1019960040494A 1995-09-21 1996-09-18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크린 부착 구조체 KR100246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43187A JPH0990512A (ja) 1995-09-21 1995-09-21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の取付構造およびその取付構造を持つディスプレイを並べた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95-243187 1995-09-21
JP96-047470 1996-03-05
JP8047470A JPH09247591A (ja) 1996-03-05 1996-03-05 スクリーン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535A KR970019535A (ko) 1997-04-30
KR100246264B1 true KR100246264B1 (ko) 2000-03-15

Family

ID=2638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494A KR100246264B1 (ko) 1995-09-21 1996-09-18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크린 부착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18639A (ko)
EP (1) EP0764875A1 (ko)
KR (1) KR100246264B1 (ko)
DE (1) DE764875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4707A (en) * 1996-10-04 2000-07-04 Kuraray Co., Ltd. Transmission-type screen
US6937393B2 (en) * 1997-06-30 2005-08-30 Lg Chemical Ltd. Projection television screen
BE1011359A5 (nl) * 1997-09-09 1999-07-06 Barco Nv Projectiescherm voor naast en/of boven elkaar geplaatste beeldweergave-inrichtingen.
DE19824917A1 (de) * 1998-06-04 1999-12-09 Heinz Seuf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Justieren von Rückprojektionsapparaten
US6490011B1 (en) * 1998-12-18 2002-12-03 Caterpillar Inc Display device convertible between a cave configuration and a wall configuration
US6327082B1 (en) * 1999-06-08 2001-12-04 Stewart Filmscreen Corporation Wedge-shaped molding for a frame of an image projection screen
US6550521B1 (en) 2000-05-30 2003-04-22 Visual Structures, Inc. Seamless screen videowall
EP1175092B1 (en) * 2000-07-17 2009-02-11 Sony Corporation Projection panel assembly, projection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6519085B2 (en) * 2001-03-23 2003-02-11 Clarity Visual Systems, Inc. Screen holding mechanism
US7175287B2 (en) * 2002-08-16 2007-02-13 Infocus Corporation Wide angle projection lens
US7009765B2 (en) * 2002-08-16 2006-03-07 Infocus Corporation Wide angle lens system having a distorted intermediate image
US6896375B2 (en) * 2002-08-16 2005-05-24 Infocus Corporation Rear projection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mirrors that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a screen
US7341353B2 (en) * 2002-08-16 2008-03-11 Infocus Corporation Variable fresnel screen for use in projection device
US7102820B2 (en) * 2002-08-16 2006-09-05 Infocus Corporation Flat valley fresnel lens for a display device
US7150537B2 (en) * 2002-08-16 2006-12-19 Infocus Corporation Projection television device and screen
US6785047B1 (en) 2002-12-20 2004-08-31 Draper, Inc. Tensioned projection screen apparatus
US7369310B1 (en) 2004-08-31 2008-05-06 Draper, Inc. Tensioned projection screen
US7281807B2 (en) 2003-07-16 2007-10-16 Honeywood Technologies, Llc Positionable projection display devices
US7156522B2 (en) * 2003-07-16 2007-01-02 Plut William J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s with reduced weight and size
US7080910B2 (en) * 2003-08-19 2006-07-25 Infocu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thermal architecture and user adjustable keystone in a display device
JP4284158B2 (ja) * 2003-11-12 2009-06-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WO2005059604A1 (ja) * 2003-12-17 2005-06-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フレネル光学素子及び投写型表示装置
US7259912B2 (en) * 2004-01-06 2007-08-21 Infocus Corporation Fresnel lens having reduced distortions
US7599435B2 (en) * 2004-01-30 2009-10-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ideo frame encoding and decoding
US7050228B2 (en) * 2004-02-25 2006-05-23 Infocus Corporation Environmentally-adaptive frame assembly
US6930832B1 (en) * 2004-08-09 2005-08-16 Christie Digital Systems, Inc. Strap design for tiled rear projection screens
US8822024B2 (en) 2005-07-15 2014-09-02 Prospective Concepts Ag Method of producing a self-healing membrane
US7936505B2 (en) 2006-08-28 2011-05-03 Draper, Inc. Tensioned projection screen
CN105954966B (zh) 2009-06-12 2018-11-27 迪瑞波有限公司 投影屏配件、构建投影屏设备的方法以及便于构建投影屏设备的方法
US8733028B2 (en) * 2010-01-08 2014-05-27 Mechdyne Corporation Display transformation assembly for a visualization system
US20150222882A1 (en) * 2014-02-05 2015-08-06 EOS Vision, Inc. Detachable, adjustable screen modifier for full-depth viewing
USD777900S1 (en) * 2014-09-11 2017-01-31 Jeff Esposito Mounting block
US10063817B1 (en) * 2016-12-19 2018-08-28 Prysm, Inc. Large display systems with screen tension adjustability
TWI791036B (zh) 2017-10-05 2023-02-01 日商索尼股份有限公司 光源裝置及投射型顯示裝置
CN109377897B (zh) * 2018-12-13 2020-08-28 杭州显迈科技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的安装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1277A (en) * 1989-05-10 1991-04-30 Hitachi, Ltd. Multi-screen projec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5495A (en) * 1990-02-28 1992-02-04 Hitachi, Ltd. Multi-screen projector
JP2642504B2 (ja) * 1990-09-03 1997-08-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映像装置およびその組立装置
JP2989021B2 (ja) * 1991-02-09 1999-12-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
JPH05188477A (ja) * 1992-01-10 1993-07-30 Sony Corp 背面投射型プロジェクター
JPH07270914A (ja) * 1994-03-31 1995-10-20 Toshiba Corp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
JPH08122918A (ja) * 1994-10-25 1996-05-17 Toshiba Corp 大型プロジェクションユニット用スクリーン取付構造
US5580185A (en) * 1995-10-30 1996-12-03 Ware; Colon K. Oil containment boom
JPH09189969A (ja) * 1996-01-08 1997-07-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リーンの取り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1277A (en) * 1989-05-10 1991-04-30 Hitachi, Ltd. Multi-screen pro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764875T1 (de) 1997-10-09
KR970019535A (ko) 1997-04-30
US5818639A (en) 1998-10-06
EP0764875A1 (en) 1997-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264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크린 부착 구조체
EP1185094A2 (en) Apparatus for reducing vibrations generated by a loudspeaker in a television cabinet
US20080159570A1 (en) Display device with sound module
JPH089297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プロテクタスクリーンの取付方法
CN105223715B (zh) 显示装置
KR100416110B1 (ko) 비디오투사디스플레이스크린용장착장치및이를구비한비디오투사디스플레이
KR100776003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 및 그 제조방법
KR100480822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US5074644A (en) Rear projection television
US6519085B2 (en) Screen holding mechanism
JPH0990512A (ja)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の取付構造およびその取付構造を持つディスプレイを並べた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042426A (ja) 背面投写型表示装置
US5013132A (en) Rear-projection television
KR100819786B1 (ko)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 홀더의 결합 구조
US8789958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CN217521458U (zh) 一种显示装置
JPH1138510A (ja) プロジェクタースクリーン
KR20160082386A (ko) 표시 장치
KR101777856B1 (ko) 프로젝터용 스크린
CN216286068U (zh) 一种大尺寸竖屏拼接墙秀机
CN213182308U (zh) 用于画框幕边框的型材及画框幕
CN109375414B (zh) 一种背光模组
JPH0756234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スクリーン取付け構造
KR10051886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크린 필터 고정구조
CN105915829A (zh) 显示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