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544B1 -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544B1
KR100244544B1 KR1019920021454A KR920021454A KR100244544B1 KR 100244544 B1 KR100244544 B1 KR 100244544B1 KR 1019920021454 A KR1019920021454 A KR 1019920021454A KR 920021454 A KR920021454 A KR 920021454A KR 100244544 B1 KR100244544 B1 KR 100244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eat
retainer
airbag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754A (ko
Inventor
키타카와모토쯔네
오가구치아키라
가미야마미사오
아토오타타유키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쥬이치로
Publication of KR93001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kne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목적]
1대의 에어백장치에 의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의 양쪽 탑승자의 발밑을 보호한다.
[구성]
운전석(18)과 조수석(20)사이의 콘소울복스(16)내에 에어백장치를 배치한다.
이 에어백장치(24)내에는, 운전석(18)쪽으로 전개하는 제1에어백(28)과, 조수석(20)쪽으로 전개하는 제2에어백(30)이 설치되어 있고, 1개의 인플레이터(36)에 의하여 이들 에어백(28), (30)이 전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효과]
1개의 에어백장치에 의하여 운전석과 조수석의 양쪽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에어백장치가 콘소울복스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밑공간이 넓다.
1개의 인플레이터에 의하여 2개의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되어 있어 부품코스트가 저렴하다.

Description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보호장치를 구비한 차량실내의 사시도.
제2도는 본발명의 보호장치를 구비한 차량실내를 운전석 측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 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보호장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보호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스투르먼트 패널 (12) : 스티어링
(16) : 콘소울복스 (18) : 운전석
(20) : 조수석 (24) : 에어백장치
(26) : 리테이너 (28), (30) : 에어백
(32), (34) : 모듈커버 (36) : 인플레이터
(38), (40) : 개구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에 관하여, 특히 니이백장치라고 불리우는 승객의 다리부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에어백(니이백)을 보유하는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는, 실공소 47-24110호 공보, 특개평 3-2805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니이백을 전개시키면, 승객의 서브머린 운동(좌석의 전방하부로 장입하는 신체움직임)을 저지하여, 승객의 하반신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한 각 공보에서 공지의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에어백 장치를 좌석의 중앙전방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에어백장치가 승객의 발밑 근처에 위치하게 되어, 차량내의 거주성이 악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차량승객의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쌍방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양쪽에 개별적으로 보호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2개의 보호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어, 부품코스트가 높아짐과 아울러, 보호장치의 부착에 공수가 소요되었다.
청구항 1의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는, 좌석의 전방이고, 또한 그 좌석의 시이트면 높이부근을 포함하는 높이의 영역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보유하는 에어백장치로 되는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장치는, 그 차량의 폭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그 에어백장치는, 차량의 우측좌석전방 영역으로 전개되는 제1에어백과, 좌측의 좌석전방영역으로 전개되는 제2에어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콘소울 복스(console box)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차량탑승자보호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장치는 1개의 가스발생기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에어백의 양쪽을 전개시키는 것이다.
청구항 4의 차량 탑승자 보호장치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장치는, 콘소울복스의 중앙에 배치된 리테이너와, 그 리테이너의 우측좌석에 배치된 제1에어백과, 리테이너의 좌측좌석에 배치된 제2에어백과, 리테이너에 부착되고, 제1 및 제2에어백의 양쪽으로 향해서 가스를 분출하는 1개의 가스 발생기와, 제1에어백을 덮어 씌우고 있고, 상기한 리테이너에 부착된 제1모둘커버와, 제2에어백을 덮어씌우고 있으며, 상기한 리테이너에 부착된 제2모듈커버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콘소울복스의 좌우양측면에 설치된 개구에 제1 및 제2모듈커버가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의 차량탑승자 보호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장치는 제1에어백과 제2에어백의 각각에 가스발생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승객의 착석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장치를 구비하여, 승객이 착석하고 있는 쪽의 에어백만을 전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탑승자보호장치에 있어서는, 1개의 에어백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운전석과 조수석 양쪽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차량 탑승자보호장치에 있어서는, 에어백장치가 콘소울복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발밑공간이 넓다.
청구항 3, 4의 차량탑승자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1개의 인플레이터에 의하여 2개의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하여, 부품코스트가 낮다.
청구항 5의 차량탑승자보호장치에 있어서는, 승객이 착석하고 있는 사이드의 에어백만이 작동가능한 상태로 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차량탑승자보호장치를 구비한 차량실내의 사시도, 제2도는 차량탑승자보호장치를 운전석쪽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도는 실시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부호 10은, 인스투르먼트패널, 12는 스티어링, 14는 글로우브복스, 16은 콘소울복스이다.
또, 부호 18은, 운전석, 20은 조수석, 22는 앞유리이다.
콘소울복스(16)내에 에어백장치(24)가 설치되며, 이 에어백장치(24)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콘소울복스(16)의 중앙에 있어서 판면을 상하방향 또한 차체전후방향으로 배치된 리테이너(부착판)(26)와, 그 리테이너(26)의 운전석(18) 쪽으로 배치되고, 그 리테이너(26)에 부착된 제1에어백(28)과, 리테이너(26)의 조수석(20)쪽으로 배치되고, 그 리테이너(26)에 고정된 제2에어백(30)과, 제1에어백(28)을 덮어 씌우고 있고, 리테이너(26)에 기단축이 고정된 제1모듈커버(32)와, 제2에어백(30)을 덮어씌우고 있으며, 기단축이 리테이터(26)에 고정된 제2모듈커버(34)를 구비하고 있다.
더우기, 이 에어백장치(24)는, 리테이너(26)에 부착되어 있고, 제1에어백(28) 및 제2에어백(30)의 양쪽을 전개시키기 위한 인플레이터(3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콘소울복스(16)에는, 운전석(18)측 및 조수석(20)측의 양쪽에 개구(38), (40)가 설치되어 있고, 에어백장치(24)는, 모듈커버(32), (34)의 표면이 이들개구(38), (40)의 주위부분과 면일치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모듈커버(32), (34)는 제2도에 표시하듯이, 상변부(42), 하변부(44) 및 후변부(46)에 따라 각각 개열선이라고 불리우는 개열개시용 선형상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개구의 전변부(48)의 부분은, 이와같은 개열선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모듈커버(32), (34)가 개열했을 때에, 그 전변부(48)를 회동중심으로서 모듈커버(32), (34)의 표측면(32A), (34A)이 도어와 같이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보호장치에 있어서, 자동차가 충돌한 경우, 도시하지 않은 가속도센서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인플레이터(36)가 작동되고, 에어백(28), (30)이 전개된다.
그리고, 모듈커버(32), (34)가 이들 에어백(28), (30)에 의하여 압압되며, 그 표측면(32A), (34A)이 제2도 및 제3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도어처럼 열려나온다.
그리고, 에어백(28), (30)이 제4도에 표시하듯이, 조석(18), (20)의 좌석시이트 높이부근의 전방영역으로 전개되어, 차량탑승자 다리부분의 보호를 행한다.
본실시예의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1개의 에어백장치(24)를 설치하므로써, 운전석(18)과 조수석(20)양쪽의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코스트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에어백장치의 부착공수도 적다.
이 에어백장치(24)는, 1개의 인플레이터(36)에 의하여 2개의 에어백(28), (30)을 전개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부품코스트의 저감이 가능함과 아울러, 인플레이터(36)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배선의 설치가 용이하다.
더우기,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듯이, 에어백장치(24)가 콘소울복스(16)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운전석(18) 및 조수석(20) 탑승자 발밑공간을 넓게 채용할 수 있어서, 차량실내의 거주성이 뛰어나다.
제5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보호장치의 블록도이다.
본실시예에서는, 콘소울복스(16)에 우측좌석용 에어백장치(24R)와 좌측좌석용 에어백장치(24L)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좌석(50R)과 좌측좌석(50L)에는 각각 착좌센서(52R), (52L)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착좌센서(52R), (52L)의 검출신호는 제어기(54)에 입력되어 있다.
이 제어기(54)에는 차량의 충돌을 검지하는 가속도센서(56)의 검출신호도 입력되어 있다.
제5도의 그밖의 구성은 제3도와 마찬가지이고,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56)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이 검지된 경우, 탑승자가 착석하고 있는 사이드의 에어백장치(24R) 또는 (24L)가 작동된다.
만약, 양쪽 좌석(50R), (40L)에 탑승자가 착석하고 있는 경우에는, 양쪽의 에어백장치(24R), (24L)가 작동된다.
이 때문에, 한쪽 좌석에만 승객이 착석하여 차량이 충돌한 경우, 이 한쪽사이드의 에어백장치만 작동된다.
따라서, 이 충돌차량을 수리할 때에는, 한쪽의 에어백장치만을 교환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탑승자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1개의 에어백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운전석과 조수석양쪽의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장치의 장치대수가 저감되어, 장치구성의 코스트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에어백장치가 1개이므로, 그 부착공수도 극히 적다.
청구항 2의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에어백장치가 콘소울복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승객의 발밑공간을 넓게 채용할 수 있어, 차량실내의 거주성이 뛰어나다.
청구항 3, 4의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1개의 인플레이터에 의하여 2개의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되어 있어, 부품코스트가 낮다.
또, 에어백장치의 조립도 용이하다.
청구항 5의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탑승자가 착석하고 있는 사이드의 에어백만 작동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한쪽 좌석밖에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한 경우, 이 한쪽 사이드의 에어백만 작동된다.
이때문에, 이 차량을 수리할 때에는, 이 한쪽 사이드의 에어백장치 만 교환하면 된다.

Claims (5)

  1. 좌석의 전방으로, 또한 그 좌석의 시이트면 높이부근을 포함하는 높이의 영역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을 보유하는 에어백장치로 이루어지는 차량탑승자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장치(24)는, 차량의 폭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에어백장치(24)는, 차량의 우측좌석전방 영역으로 전개되는 제1에어백(28)과, 좌측좌석 전방영역으로 전개되는 제2에어백(3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장치는 자동차의 콘소울복스(1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장치(24)는 1개의 가스발생기에 의하여 제1 및 제2에어백(28), (30)의 양쪽을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장치(24)는, 콘소울복스의 중앙에 배치된 리테이너와, 그 리테이너의 우측좌석에 배치된 제1에어백(28)과 리테이너의 좌측좌석에 배치된 제2에어백(30)과, 리테이너에 부착되어 있고, 제1 및 제2에어백(28), (30)의 양쪽으로 향해서 가스를 분출하는 1개의 가스발생기와, 제1의 에어백(28)을 덮어 씌우고 있고, 리테이너(26)에 부착된 제1모듈커버와, 제2에어백(30)을 덮어씌우고 있고, 리테이너(26)에 부착된 제2모듈커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콘소울복스(16)의 좌우양쪽면에 설치된 개구에 제1 및 제2모듈커버가 자리잡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백장치(24)는 제1에어백(28)과, 제2에어백(30)의 각각에 가스발생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탑승자의 좌석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장치(56)를 구비하고, 승객이 착석하고 있는 쪽의 에어백만을 전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KR1019920021454A 1992-02-05 1992-11-14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 KR100244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20047 1992-02-05
JP04020047A JP3082392B2 (ja) 1992-02-05 1992-02-05 車両乗員の保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754A KR930017754A (ko) 1993-09-20
KR100244544B1 true KR100244544B1 (ko) 2000-03-02

Family

ID=1201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454A KR100244544B1 (ko) 1992-02-05 1992-11-14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12131A (ko)
JP (1) JP3082392B2 (ko)
KR (1) KR100244544B1 (ko)
DE (1) DE4302891C2 (ko)
GB (1) GB22638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6842A1 (en) * 1994-05-23 2004-12-23 Breed David S. Knee bolster airbag system
DE4415469C1 (de) * 1994-05-03 1995-07-13 Daimler Benz Ag Rückhaltesystem für Fahrzeuge
DE4418628A1 (de) * 1994-05-27 1995-11-30 Trw Repa Gmbh Insassen-Rückhaltesystem für die Fahrerseite in einem Fahrzeug
JP3494769B2 (ja) * 1994-12-20 2004-02-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助手席又は後席用エアバッグ装置
DE19525441C2 (de) * 1995-07-13 2000-05-11 Van Riesen Gmbh U Co Kg Airbaganordnung
SE513029C2 (sv) * 1995-09-04 2000-06-19 Volvo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personskydd i fordon
DE29517953U1 (de) * 1995-11-13 1995-12-21 Trw Repa Gmbh Knieschutzeinrichtung
US5695242A (en) * 1996-02-15 1997-12-09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eat cushion restraint system
KR100289323B1 (ko) * 1996-05-22 2001-08-07 시뮬라, 인코포레이티드 팽창식 관형 볼스터및 차량 탑승자 보호방법
US5775726A (en) * 1996-05-29 1998-07-07 Morton International, Inc. Roof-mounted air bag
DE19624371C2 (de) * 1996-06-19 2003-05-15 Ebers & Mueller Fibrit Kraftfahrzeugcockpit mit integriertem Airbag
US5839753A (en) * 1997-03-31 1998-11-24 Simula Inc. Inflatable tubular torso restraint system
DE19626903A1 (de) * 1996-07-04 1997-06-26 Daimler Benz Ag Rückhalteeinrichtung für die Insassen eines Kraftfahrzeuges
FR2753664B1 (fr) * 1996-09-24 1998-12-18 Coussin gonflable pour la protection d'un passager de vehicule automobile, notamment d'un passager arriere
DE19639467C1 (de) * 1996-09-26 1998-01-08 Pars Passive Rueckhaltesysteme Einrichtung zur Verminderung der Verletzungsgefahr des Fuß- und Beinbereiches einer Person im Inneren eines Fahrzeugs
US6126194A (en) * 1997-03-31 2000-10-03 Simula, Inc. Inflatable tubular torso restraint system
US6336656B1 (en) 1997-03-31 2002-01-08 Simula, Inc. Inflatable tubular torso restraint system with pivoting upper anchor point attachment
DE19730397C1 (de) * 1997-07-16 1998-10-01 Daimler Benz Ag Knieschutz in einem Kraftfahrzeug
DE19732069C2 (de) * 1997-07-25 2001-02-15 Daimler Chrysler Ag Airbagmodul
WO1999030931A2 (de) * 1997-12-18 1999-06-24 Bs Rs Restraint Systems Gmbh Teppichintegriertes fusspolster als passive rückhaltekomponente in einem fahrzeug
US6142521A (en) * 1998-07-15 2000-11-07 Shephard; Mark E. Vehicle crash protective system
US6758493B2 (en) 1998-08-07 2004-07-06 Delphi Technologies, Inc. Passenger side active knee bolster
US6213497B1 (en) * 1998-08-07 2001-04-10 Delphi Technologies, Inc. Inflatable knee bolster
US6032978A (en) * 1998-08-07 2000-03-07 Abc Group Interior Systems Inflatable knee bolster
US6631920B1 (en) 1999-02-18 2003-10-14 Delphi Technologies, Inc. Airbag module
US6158766A (en) * 1999-02-26 2000-12-12 Lear Corporation Vehicle floor system incorporating airbag
US6217059B1 (en) * 1999-08-16 2001-04-17 Trw Inc. Apparatus for helping to protect a vehicle occupant's legs
DE10040075C1 (de) * 2000-08-16 2002-01-17 Audi Ag Airbagmodul
US6464255B1 (en) 2001-05-10 2002-10-15 Patent Holding Company Knee bolster airbag system
JP3912144B2 (ja) 2001-05-21 2007-05-09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乗員脚部保護装置
US6578867B2 (en) * 2001-06-08 2003-06-17 Delphi Technologies, Inc. Inflatable system for protection of lower extremities
DE10161360B4 (de) 2001-12-14 2012-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irbag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S6909656B2 (en) * 2002-01-04 2005-06-21 Micron Technology, Inc. PCRAM rewrite prevention
DE10235128A1 (de) * 2002-08-01 2004-02-19 Autoliv Development Ab Für zwei Personen vorgesehene Airbageinrichtung
DE10311006B4 (de) * 2003-03-13 2009-10-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Airbag-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JP4432464B2 (ja) * 2003-11-11 2010-03-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US7261318B2 (en) * 2003-12-01 2007-08-28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nd glove box assembly
DE102005025553A1 (de) * 2005-06-01 2006-12-07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anordnung
DE102005046651B4 (de) 2005-09-29 2022-03-31 Volkswagen Ag Energieabsorptionselement, insbesondere Deformationselement, als Sicherheit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20080129024A1 (en) * 2006-11-30 2008-06-05 Toyoda Gosei Co., Ltd Airbag apparatus
DE102009030595A1 (de) * 2009-06-26 2011-02-17 Autoliv Development Ab Kniegassack-Einrichtung
JP5881375B2 (ja) * 2011-11-04 2016-03-0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US9446731B1 (en) * 2015-05-01 2016-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flatable chamber integrated into center floor console
US10493941B2 (en) * 2016-12-14 2019-12-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mounted airbag assembly with concave surface
CN106828442B (zh) * 2017-01-20 2019-11-15 济南匠夫万自动化科技有限公司 备用驱动装置及车辆
US10682974B2 (en) 2017-11-29 2020-06-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ested overhead airbag system
US10688954B2 (en) 2017-11-29 2020-06-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bag assembly with tethered reaction surface and cushion configured to permit forward head rotation
US20190161045A1 (en) * 2017-11-29 2019-05-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bag assembly configured to deploy from a side wall of a vehicle to resist upward motion of the leg of an occupant, and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bag assembly
US10759376B2 (en) * 2018-08-06 2020-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CN109774640B (zh) * 2019-01-15 2020-09-08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后排扶手及汽车
FR3136721A1 (fr) * 2022-06-16 2023-12-22 Psa Automobiles Sa Airbag genou de type multi-poches a deploiement en l pour console centrale de vehicule automobile
US11884229B1 (en) * 2022-08-22 2024-01-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ncluding a moveable console with airba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31098A (fr) * 1965-01-29 1966-03-11 Dispositif pour la protection des passagers d'un véhicule
US3702706A (en) * 1971-01-15 1972-11-14 Ford Motor Co Motor vehicle restraint device
JPS5149926Y2 (ko) * 1971-04-08 1976-12-02
US3927901A (en) * 1973-03-16 1975-12-23 Sigmatex Ag Motor vehicle equipped with inflatable air bags for passenger accident protection
US3981518A (en) * 1975-05-05 1976-09-21 Liberty Mutual Insurance Company Vehicle restraint system
JP2963948B2 (ja) * 1990-06-13 1999-10-18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JP2759341B2 (ja) * 1989-06-23 1998-05-28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エアバック装置
DE4016610A1 (de) * 1990-05-23 1991-11-28 Audi Ag Sicherheitsein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 mit einem aufblasbaren gaskissen
GB2263669B (en) * 1992-01-31 1995-07-05 Takata Corp Air bag device for the knees of an occup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13144A (ja) 1993-08-24
KR930017754A (ko) 1993-09-20
GB9301248D0 (en) 1993-03-17
US5312131A (en) 1994-05-17
GB2263888A (en) 1993-08-11
JP3082392B2 (ja) 2000-08-28
DE4302891C2 (de) 1996-07-11
DE4302891A1 (ko) 1993-08-12
GB2263888B (en) 1995-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544B1 (ko)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
US5564736A (en) Side airbag apparatus
KR100244541B1 (ko) 차량 운전자의 보호장치
JPH07108903A (ja) ピラ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458188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JP2992961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H05208647A (ja) 自動車の前席乗員用保護装置
JP447465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3181378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50029833A (ko) 자동차의 후석용 에어백
KR100244543B1 (ko) 차량탑승자의 보호장치
US7118128B2 (en) Low leakage airbag module
KR0171344B1 (ko) 에어백을 이용한 트렁크 안전장치
KR200152894Y1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KR19990029174U (ko) 후방시트 탑승객용 에어백 장치
KR20240058581A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KR0151632B1 (ko) 충돌시 뒷좌석 탑승객 보호장치
KR19980082642A (ko) 리어 시트 탑승객용 에어 백
JPH09315262A (ja) 乗員保護装置
KR013102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00783909B1 (ko) 인플레이터용 스퀴브리테이너
KR20240048285A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KR20240048283A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KR19990021607A (ko) 시트 내장형 에어백장치
KR19980017691U (ko) 차량용 측면에어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