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441B1 - 슬러지 탈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탈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441B1
KR100243441B1 KR1019930703657A KR930703657A KR100243441B1 KR 100243441 B1 KR100243441 B1 KR 100243441B1 KR 1019930703657 A KR1019930703657 A KR 1019930703657A KR 930703657 A KR930703657 A KR 930703657A KR 100243441 B1 KR100243441 B1 KR 10024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ifuge
solid particles
dewatering device
dewatering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르제이 루모키
Original Assignee
바우만-쉴프, 루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만-쉴프, 루시아 filed Critical 바우만-쉴프, 루시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 B04B15/12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for drying or washing the separated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26B17/10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pneumatically inducing within the drying enclosure a curved flow path, e.g. circular, spiral, helical; Cyclone or Vortex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26B3/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in the form of a spray, i.e. sprayed or dispersed emulsions or susp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7/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using a combination of proces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F26B3/00 and F26B5/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하수 처리설비로부터 나온 슬러지(2)의 탈수비용을 상당하게 절감하기 위해서, 재료가 추가됨이 없이 점성의 두꺼운 습윤재료를 유동가능한 고체 알갱이로 변형시키는 일체형 보울 원심분리기(1)는 분산부재로서 작용하며, 대류건조기(11)의 상류에 배열된다. 대류건조기는 25 내지 35 중량퍼센트의 건조물질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된 두꺼운 재료입자(10)를 더 한층 탈수시키기 위해서 제공된다. 일체형 보울 원심분리기(1)의 배출구(7)에서 분산된 입자의 운해로서 고속으로 배출된 두꺼운 재료입자(10)들은 고온건조가스(12)와 유동하는 동안에 고온가스에 의해 둘러싸이고, 약 65 중량퍼센트의 건조물질 함유량을 가질 정도로 예비건조된다.

Description

슬러지 탈수 방법 및 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독립항인 제1항과 제16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수 처리 설비로부터 슬러지를 탈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탈수 방법 및 장치는 공공용도로서 공지되어 있다.
하수 슬러지를 탈수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슬러지는 건조 물질의 약 25 내지 35중량% 함유량을 일체형 케이싱(구멍없이 완전히 둘러싸여 있는 무공(無孔)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 챔버필터 프레스 또는 이동 스크린 프레스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탈수된다. 구워져서 덩어리로 되는 최종 습윤 및 점성의 고체물질을 건조기에서 90중량%의 건조물질로 건조시키기 위하여, 고체물질 덩어리는 미리 분쇄되고, 독일 특허 제 3,915,082호에서와 같이, 많은 양의 건조먼지와 다시 혼합되며, 고체물질에서 소위 접착상을 극복하고 건조물질 함유량을 약 60중량%까지 증가시키기 위해서, 알갱이의 형태로 된다. 조잡한 덩어리를 체로 거른 후에, 최종 고체 물질은 중간에 반복 저장되고, 측정된 양으로 접촉건조기 또는 대류 건조기내로 공급된다. 상기한 방식의 한가지 결점은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만큼 매우 크게 증가된 양 이외에도, 원심분리기의 출구에 연결된 건조 장치가 습윤 고체물질의 원심분리된 양에 비해서 거의 3배 내지 5배만큼 증가된 량의 재료를 처리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건조 장치의 구조적인 크기를 증가시킨다. 또다른 결점은 재료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매우 낮은 습기 수준까지 모든 습기를 제거해야 하며, 이에 따라 건조속도가 크게 줄어든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 948,497호에는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스크린(screen) 원심분리기, 예를들어 슬라이딩 스크린 원심분리기, 스크루-형(screw-type) 스크린 원심분리기 또는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에서 탈수된 습윤고체들이 건조 장치에 의해 건조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건조 장치는 고온가스나 고온증기를 이용하여 작동되고, 원심분리기와 함께 구조적인 유니트를 형성한다. 슬라이딩 원심분리기의 경우에 있어서, 건조 장치는 원심분리기 드럼의 배출단부와 고체들의 수집챔버 사이에 배치된 케이싱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심분리기 드럼에 연결된 건조 장치의 단부에서, 케이싱은 드럼의 외부직경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내부직경을 갖는다. 이 내부직경은 고체들의 수집챔버에 연결된 단부쪽을 항해 원추형으로 확장된다. 케이싱은 자체의 주변부를 따라서 균일하게 분포되고 나선형으로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구부들은 케이싱의 축과 평행하며, 이 개구부들을 통해서 고온공기나 고온증기가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에 의해서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다. 디스트리뷰터는 원추형 케이싱과, 이 케이싱을 둘러싸는 원통형 하우징 사이의 환형챔버에 의해 형성된다. 유입되는 고온공기나 고온증기는 슬라이딩 원심분리기의 원심분리기 챔버로부터 배출된 고체들을 케이싱의 내부로 안내하며, 이들을 건조시킨다. 독일연방 공화국 특허 제 3,630,920호에 따른 장치는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여기에서는 공기 안내기(guidance)에 추가하여 건조 장치내에 조정가능한 금속 안내 시이트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건조 장치는 단지 원심 분리된 후에 약 10 내지 15중량%의 약간의 잔여습기만을 갖는 알갱이 형태의 고체들에 대해서 고안된 것이다. 종래의 건조 장치는 60 내지 85중량% 비율의 물을 포함하는 습윤 고체들에 대해서 고안되지 않았고, 따라서 이러한 고체들에 대해서는 적당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건조 장치에서 탈수되는 입자들의 직경은 소정의 크기이며, 장치 매개변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그에 비해서, 슬러지 원심분리기에서 생산된 습윤 고체입자들의 크기는 원심분리기의 회전수, 배출구간의 외부직경, 그리고 배출개구부의 수 및 폭으로 일컬어지는 장치 매개변수 뿐만 아니라, 탈수의 정도에 크게 의존한다. 또한, 슬러지 원심분리기로부터 생산된 습윤 고체입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60 내지 85중량%의 습윤함유량 때문에, 알갱이 형태 보다 덩어리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끝으로, 종래의 건조 장치에 있어서, 건조가스는 케이싱의 내벽을 따라서 필수적으로 유동하고, 원심분리기에 의해서 배출된 습윤 고체입자들이 드럼의 내벽에 부딪치기 바로 전에, 습윤 고체입자들과 부딪치게 된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습윤 고체입자들로부터 습기를 상당한 정도까지 제거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 특히 하수슬러지의 탈수에 드는 비용을 상당한 정도까지 감소시키고, 다른 재료들의 재혼합없이 점성의 습윤 고체물질로부터 유동가능한 고체입자들을 형성하는데 있다. 이것은 특허청구의 범위 중 독립항인 제1항과 제16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특징은 독립항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채용된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로부터 발생된 습윤 고제들이 젖은 표면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습윤 고체들을 매우 높은 건조율로 건조하므로, 쉽게 유동가능한 비점성의 고체로 가능한한 신속하게 변환시키기 위해서, 점성의 습윤 고체들은 매우 높은 특정의 표면적을 갖는 초미세 입자로 분쇄되어야만 하며, 건조가스(고온가스 또는 고온증기)에 높은 상대 속도로 노출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된다. 즉,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의 배출단부에서 고속으로 배출되고 0.1 내지 1mm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갖는 습윤 고체입자들은 그들의 궤적을 유지하는 동안에 건조 가스에 의해서 고속으로 둘러싸이며, 원심분리기의 벽 또는 하우징에 습윤 고체입자들이 충돌하기 전에, 이들의 표면상에서 습기가 배출된다. 여기에서, 하우징은 원심분리기를 둘러싸거나, 원심분리기의 축방향 또는 방사상 연장부에 배치된다.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의 습윤 고체들에 대한 배출구에서, 슬러지 입자들의 크기는 원심분리기 드럼의 원주속도 및 건조가스의 흐름에 대한 입들의 속도에 주로 의존한다. 이러한 두개의 매개변수가 커짐에 따라서, 습윤 고체입자들의 평균 직경은 작게 된다. 시험에서와 같이, 일체형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는 탈수된 습윤 고체들을 약 60 내지 80m/s의 원주속도로 분무한다. 일체형 케이싱 노즐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탈수된 습윤 고체입자들의 배출속도는 약 100m/s이다. 이와같은 배출속도로 배출된 입자는 약 0.5mm의 직경을 갖는다. 종래에는,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에서 습윤 고체들에 대한 배출단부에서의 미세입자들의 형성은 배출된 습윤 고체들을 건조하는데 이용되지 않았다.
슬러지의 탈수를 위해 채용된 종래의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분무된 습윤 고체입자들은 원심분리기를 둘러싸는 하우징내에서 큰 덩어리의 형태로 수집되며, 그런 후에는, 자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배출 슈우트(chute)내로 떨어진다. 그에 비해서,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의 배출단부로부터 비교적 높은 속도로 배출되고 미세한 알갱이 형태로 분산된 습윤 고체입자들은 배출위치근처에서 건조가스를 추가하므로서 본 발명에 따라 탈수되며, 이에 의해 높은 체적의 특정한 증기가 발생되고, 추가의 원자화 장치가 필요없는 고성능의 분무건조 공정처리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 및 운반장치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단일의 치밀하게 구성된 원심분리 분무건조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이 분무건조기는 매우 높은 특정의 분리된 발생량을 가지며, 추가물질의 재혼합없이 접합부분의 난해한 건조구간을 극복할 수 있다. 가능하게 연결된 최종 건조기는 증발되어야 하는 습기량을 크게 경감시킨다.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의 형태로 구성된 슬러지 원심분리기에 의해 이미 얻어지는 장점은 본 발명에 의해 요구되는 방식으로 재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먼저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일체형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 일체형 케이싱 노즐 원심분리기 또는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를 의미함)의 분무기로서의 바람직한 분산 특성을 이용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서, 슬러지 원심분리기는 종래의 분리기능 대신에 2가지 주요기능을 갖는다. 첫번째 기능은, 한편으로는 현탁액(suspension)으로부터 습윤고체들을 기계적으로 분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분리된 습윤고체들을 초-미세 입자로 분산 및 원자화하며 건조가스의 흐름에 의해 이들을 분배 및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두번째 기능은, 종래에는 분무건조의 목적으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지 않았던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로서의 슬러지 원심분리기로부터 배출되는 습윤 고체들의 미세 분산특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장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탈수 장치를 채용하고 있으며 원심분리기를 둘러싸는 건조 하우징과 일체형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로 구성된 개방-순환 작동식 건조 장치 및 탈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탈수 장치 뿐만 아니라 그 다음에 연결된 긴 접촉건조기를 채용하고 있으며, 재순환된 공기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건조 장치 및 탈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탈수 장치 뿐만 아니라 그 다음에 연결된 유동층 건조기를 채용하고 있는 폐쇄 증기 순환 작동식 건조 장치 및 탈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탈수 장치 뿐만 아니라, 초-미세 먼지의 재혼합물을 이용하여 작동되고 탈수 장치의 중앙 배출구에서 배출공기 및 증기를 세척하는 접촉건조기를 구비하고 있는 또다른 건조 장치 및 탈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탈수 장치, 즉 일체형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 습윤 고체들에 대한 원자화 휘일로서 작용하는 배출관, 피가 열벽을 갖추고 있고 원심분리기를 둘러싸는 하우징, 알갱이를 형성하도록 미세 먼지와 함께 운반되는 2차 가스에 대한 또다른의 유입구, 연삭 및 건조부재, 유압 공기식 운반건조기 및 분리 사이클론으로 구성된 탈수 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습윤 고체들에 대한 배출구간의 지역에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제6a도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제7도는 수직위치에 놓이는 축과 건조챔버내에 통합되는 분리 사이클론을 구비한 탈수 장치로서 위에서 매어달아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제8도는 특별하게 구성된 배출개구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의 일실시예의 배출구간의 단면도이다.
제9도는 배출개구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고체들의 막에 대한 원추형 편향 표면을 구비하고 있고 습윤 고체입자들의 거치기간(period of dwell)을 조절하기 위해서 건조챔버내에 보유링을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제10도는 습윤 고체입자들의 분류를 위해서 건조챔버내에 스위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제12도는 습윤 고체들에 대한 배출 테두리의 감소된 피치상류를 보이도록 회전하는 운반 스크루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원추형 배출단부의 종단면도이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를 채용한 시스템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탈수 장치는 개방형 건조가스 순환식으로 작동되며, 공지된 방식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드럼을 갖춘 일체형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1)를 포함한다. 드럼에는 회전 스크루가 장착되어 있다. 드럼은 일체형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의 축방향 배출단부쪽으로 원추형 수축부를 구비하고 있다. 원추형 수축부의 끝단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배출개구부가 형성된 배출구간(7)이 제공되어 있다. 드럼은 스크루와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루보다는 느린 속도로 구동된다. 드럼과 스크루 회전수의 작은 차이는 조정이 가능하며, 원심분리기에서의 고체의 배출에 대응하여 조정될 것이다. 드럼과 스크루는 기어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수력에 의해서 구동될 것이다. 예시된 일체형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1)는 펌프(4) 및 (5)에 의해서, 하수슬러지 뿐만 아니라 응고제(3)를 수용한다. 예를들면, 슬러지는 응고제(고분자 전해질)에 의해서 응고된 4중량%의 고체와 96중량%의 물로 구성된다. 원심력은 공급된 슬러지(2)중에 떠도는 고체입자들을 원심분리기(1)의 정화챔버(6)내에서 드럼벽에 증착되게 한다. 그러면, 스크루는 드럼내에서 입자들을 배출구간(7)의 배출개구부로 운반한다. 여기에서 입자들은 약 0.1 내지 1mm 범위의 직경을 갖는 습윤 고체(10)로서, 회전드럼으로부터 약 60 내지 80m/s의 속도로 스크루에 의해서 방출된다. 습윤 고체(10)는 예를들어 약 35중량%의 고체 및 65중량%의 물로 구성된다. 분리된 원심분리액(8)은 스트루 몸체에 고정된 회수채널을 통해서 유동하거나, 또는 바로 스크루 채널을 통해서 원심분리기의 입구쪽으로 되돌아 흐르는 고체의 배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며, 원심분리기에 부착된 보(weir)(9)에 의해서 제지된다.
보(9)를 지난 원심분리액(8)은 원심분리액 슈우트를 통해서 회전 원심분리기 드럼의 밖으로 연결된 유동한다. 배출된 습윤 고체(10)는 원심분리기 드럼을 둘러싸는 고정하우징(11)내에서 습윤고체의 막으로서 미세하게 분산된 입자로 원자화된다. 신선한 건조가스(12)는 150℃ 내지 500℃ 범위의 온도에서 하우징(11)내로의 접선방향으로 습윤 고체들의 원자화된 막 주위로 유동하고, 접선방향 배출단부(13)에서 하우징(11)을 떠날 때까지, 원심분리기(1)의 회전 드럼케이싱과 하우징(11) 사이에 제공된 공간을 통해서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한다. 분산된 습윤고체(10)는 배출단부(13)로 유동하는 도중에 덩어리가 분쇄되는 연삭(grinding)구간(14)을 통과한다. 연삭구간(14)에서 연삭 및 건조과정이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하우징(11)의 벽에 대한 습윤 고체입자들의 증착이 방지되고, 분산된 큰 습윤 고체입자들의 건조속도가 상당히 증가한다. 예를들면, 습윤 고체입자들의 수분함유량은 이러한 방식으로 약 35중량% 가량 감소될 수 있다.
예비건조된 습윤 고체입자로 채워지는 건조가스(15)는 도관을 통해서 고체분리기(16)로 유동한다. 고체분리기는 사이클론, 섬유필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구성되며, 습윤고체 입자를 가스와 고체(17)로 분리한다. 분리된 고체(17)는 유동가능한 고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버킷 휘일형 문(sluice)(18)를 통해서 고체분리기(16)로부터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고체는 저장소 및 그 다음에 연결된 건조 장치로 전달되어 소각되거나, 또는 그밖의 다른 공정 처리를 받게 된다. 고체분리기(16)에서 분리된 습윤가스는 공기순환팬(19)에 의해서 압축된다. 스위치(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압축된 습윤가스(20)의 일부는 가스순환으로부터 얻어지고, 신선한 공기팬(21)에 의해서 건조공기로 대체된다. 가열 레지스터(22) 또는 버어너는 공기혼합물의 온도를 하우징(11)으로 재공급되는 고온건조가스(12)의 바람직한 온도까지 증가시킨다.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와 이에 연결된 재순환 공기 작동식의 길다란 접촉건조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 성분 (1) 내지 (11)은 기능과 구성면에 있어서, 제1도의 시스템 성분들과 유사하다. 예비건조된 습윤고체 입자들과 함께 채워지는 건조가스(15)는 고체분리기(16)에서 먼지가 없는 상태로 존재하며, 공기순환팬(19)에서 습윤가스로서 압축되고, 가열 레지스터(22)에서 가열된다. 다음에는 혼합기(23)에서 미세한 먼지가 실린 건조된 신선한 공기(24)와 혼합되고, 먼지가 실린 고온건조가스(25)로서 높은 유속으로 하우징(11)내로 되돌아오게 된다. 신선한 공기(24)내에 존재하는 초-미세 먼지는 분산된 습윤고체의 축축한 점성 입자들(10)을 둘러싸며, 이러한 입자들이 하우징(11)의 벽에 달라붙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하우징 벽은 예시되지 않은 스크레이핑 또는 노킹공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세척될 것이다. 고체분리기(16)로부터 배출된 예비건조된 고체(17)는 측정된 양으로 버킷 휘일형 문(18)에 의해서 장기 접촉건조기(27)(예를들어, 접촉 트레이 건조기로서 구성됨)내로 제공되며, 예를들어 95중량%의 건조물질을 포함하는 먼지 및 알갱이의 혼합물(28)로서, 상기 접촉건조기(27)를 이탈한다. 그 다음에 연결된 유압공기분사식 선별유니트(29)에서, 혼합물(28)중의 먼지는 신선한 공기(30)의 송풍에 의해서 운반된다. 또한, 상기 접촉건조기(27)로부터 추출된 증기(31)는 초-미세 먼지를 따라 운반된다. 증기(31)는 공기순환팬(19)의 하류에서 추출된 습윤배출공기(20)와 함께 호오스(hose)필터(32)로 공급된다. 호오스 필터(32)에서 여과된 초-미세 먼지(33)는 공기분사식 선별유니트(29)의 배출구에서 먼지가 실린 신선한 공기내로 혼합되며, 미세한 먼지가 실린 건조된 신선한공기(24)로서, 팬(21)에 의해 혼합기(23)내의 공기순환으로 공급되고, 가열 레지스터(22)에서 가열된다. 호오스 필터(32)의 배출구로부터 나온 먼지가 없는 습윤배출공기(34)는 냉각기(35)에서 냉각에 의해 응축되고, 이렇게 하여 발생된 응축물(36)은 하수처리설비로 회수되며, 습기가 제거된 배출공기(37)는 팬(38)에 의해서 추출된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로 구성된 시스템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그 다음에 연결된 폐쇄증기순환 작동식 유동층 건조기(43)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 구성요소인 도면번호 (1) 내지 (11),(22) 및 (35)는 제1도 및 제2도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하다. 고온 건조가스 대신에, 과열된 증기가 습기 흡수용 매질로서 순환된다. 하우징(11)의 배출구에서 예비건조된 습윤고체입자들과 함께 채워지는 증기(41)는 아직 포화되지 않았고, 고체분리기(사이클론)(16)내에서 먼지가 없는 상태로 유지되며, 그후에는 팬(42)에 의해서 유동층 건조기(43)내로 압축되어 유입된다. 유동층 건조기(43)의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증기(44)는 거의 포화되어 있다. 포화된 증기(44)로부터 나온 먼지는 먼지 제거 사이클론(47)에서 배출된다. 먼지가 없는 포화된 증기중의 일부(45)는 응축기(35)에서 완전하게 응결되고, 응축물(36)로서 제거된다. 포화된 증기(44)의 나머지(40)는 팬(19)에 의해서 가열 레지스터(22)로 공급된다. 가열레지스터(22)는 포화된 증기를 신선한 증기에 요구되는 온도까지 가열한다. 다음에는 과열된 신선한 증기가 하우징(11)으로 공급된다. 하우징(11)의 배출구로부터 증기에 의해 운반되는 예비건조된 습윤 고체입자들은 버킷 휘일형 개폐문(18)에 의해서 분리기(16)에서 배출되며, 약 35중량%에 달하는 양의 물을 포함하는 예비건조된 고체분쇄물(17)로서 측정량만큼 유동층 건조기(43)에 용이하게 더해진다. 유동층 건조기에서 오랜 기간동안 머문후에, 건조된 고체(28)는 또다른 고체 유동통로(46)를 통해서 유동층 건조기(43)를 이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 와 유동층 건조기의 결합시스템은 순환하는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여 작동되거나, 또는 신선한 공기/재순환된 공기의 개방순환식으로 작동될 것이다.
제4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산된 습윤고체(10)는 접촉 트레이(tray) 건조기(27)의 개방하여 순환되는 공기상류에서 예비건조된다. 제2도에 비해서, 고체분리기(16)와 접촉 트레이 건조기(27)로부터 나온 배출공기(20)는 증기 와시(wash)(49)에 의해서 잔여 먼지와 냄새나는 물질이 제거된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일체형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의 구조적인 원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원심분리기(1)로부터 분리된 원심분리액(9)은 드럼(1)의 매우 높은 원주속도 때문에, 스크린 형태의 액체 안걔(mist)로 되어 입구쪽에서 분무된다. 상기 액체 안개는 적당한 액체 하우징(50)내에서 배출공기에 대한 가스 와셔(washer)로서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분무된 원심분리액(9)의 양이 매우 클지라도, 이 원심분리액의 양은 분무되는 안개(51)를 보다 강하게 하고 세척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순환펌프(52)에 의해 또는 처리용수(process water)를 추가하므로서 증대될 것이다. 원심분리기내에서 액체를 분리하므로서 발생된 상대적으로 고체가 없는 원심분리액(9)은 배출공기 정화처리 공정을 거친 냄새나는 물질과 약간의 세척된 먼지로 채워지고, 설명하지 않은 하수 처리설비내로 오염된 액체(53)가 유동한다. 제1도에 도시된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습윤고체 입자들로 채워지는 건조가스(15)는 고체분리기(16)내에서 먼지와 분리되고, 공기재순환팬(19)에 의해서 습윤 가스로서 압축되며, 가열 레지스터(22)내에서 가열된다. 다음에는, 고온건조가스로서 하우징(11)내로 되돌아오게 된다. 제2도에서와 같이, 버킷 휘일형 문(18)에 의해 배출된 고체들은 측정된 양으로 긴 접촉건조기(27)로 더해지고, 알갱이와 먼지의 혼합물(28)로서 건조기(27)를 이탈한다. 공기분사식 선별유니트(29)내에서 신선한 공기(30)에 의해 운반되는 혼합물(28)의 건조된 초-미세 먼지는 사이클론(55)내로 배출되고, 버킷 휘일형 문(56)에 의해서 적당한 위치(57)에서 건조기(27)로 계속해서 되돌아 간다. 사이클론(55)으로부터 나온 건조된 배출공기는 분리기(16)의 배출공기와 함께 혼합된다. 분리기(16)로부터 나온 배출공기의 일부(20)는 건조기(27)로 부터 추출된 증기내로 혼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를 풍부하게 갖춘 증기는 팬(38)에 의해서 액체하우징(50)내로 유입되고, 분리기(16)로부터 나온 배출공기(20)와 같이, 냄새나는 물질들이 제거된다. 장치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성분들과 동일한 참조숫자를 가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트레이 건조기 대신에, 다른 적당한 접촉 건조기가 건조기(27)로서 탈수 장치(1,11)에 또한 연결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면번호 (1) 내지 (14)로 표기된 구성요소는 제1도에서 동일한 참조숫자로 표기된 구성요소들과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 운반스크루(1a)의 축방향 배출단부에 위치된 원심분리기 드럼(1b)의 배출구간(7)에는 매우 많은 배출개구부(59)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개구부(59)는 분산된 습윤 고체입자들의 직경을 가능한한 작게 유지하기 위해서 긴 배출길이를 갖는다. 제12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운반스크루(1a)의 마지막 회전은 배출길이를 회전 원심분리기 드럼(1b)의 전체 원주에 이를정도로 연장하기 위해서, 잔여 피치 St1 보다 작은 피치 St2로 제공된다. 배출된 양에 대한 원주속도를 최고로 하기 위해서, 배출구간(7)의 직경과 이것의 회전률이 가능한한 크게 선택된다. 또한, 제8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배출개구부(59)의 배출테두리(59a)의 바람막이면상에 놓이는 비-가속된 테두리(59b)는 비가속 테두리(59b)에서 배출될 습윤 고체들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심력 벡터 브이(V)에 대하여 경사를 이룰 것이다. 원심력 벡터 브이(V)의 방향으로 배출된 습윤 고체입자들과 반대방향으로 건조챔버(61)내에서 유동하는 건조가스(12)의 흐름이 제8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운반스크루(1a) 뿐만 아니라 원심분리기 드럼(1b)에 대하여 기계적 및 열적으로 고응력이 집중되는 배출구간(7)의 근처에 배치된 미끄럼 베어링의 과열을 피하기 위해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냉각펌프(73)에 의한 냉각이 제공된다. 냉각펌프는 냉각제를 축방향으로 원심분리기(1)의 회전부분에 제공한다.
건조하우징(11)은 격벽(80)에 의해서 흡입 챔버(79)와 건조챔버(61)로 나눈다. 격벽(80)은 원형개구부(81)를 갖추고 있는데, 이 원형개구부(81)는 대략적으로 배출개구부(59)의 방사상 평면에 놓이고, 좁은 환형간격을 형성하는 반면에 배출개구부(59)를 둘러싼다. 고온건조가스(12)는 상기의 환형간격근처의 위치에서 흡입개구부(82)를 통해 흡입챔버(79)내로 안내되고, 흡입챔버(79)내로 돌출한 원심분리기 드럼(1b)의 단부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접선방향의 유입때문에, 고온 건조가스는 흡입챔버(79)내에서 나선형으로 회전하고, 상기의 환형간격을 통해서 축방향(하우징(11)의 축에 대하여)으로 20 내지 60m/s의 속도로 건조 챔버(61)내로 유동한다. 분산된 습윤 고체입자들은 상기의 환형간격에 인접하여, 방사상으로 펴지는 우산의 형태로 배출되고, 건조가스에 의해서 차단된다. 이때, 건조가스는 축방향에서 나선형으로 이동하고, 습윤 고체입자들을 감싸며, 고체입자 경로의 방사상 평면으로부터 고체입자들을 하우징(11)의 축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이렇게 하여, 배출된 분산 습윤 고체입자들은 배출되자마자, 그들의 궤적방향을 가로지르는 고온건조가스와 마주치며, 그들의 궤적이 유지되는 동안에 예비건조된다. 건조챔버(61)내에서 건조가스의 흐름의 스핀이동과 축방향 이동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예시되지 않은 안내플랩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건조챔버(61)의 유입구간에 제공될 것이다.
방사상 경로평면으로부터 편향된 분산 습윤 고체입자들은 연삭부재(14)를 가로지른다. 연삭부재(14)는 원심분리기 드럼(1b)에 고정되어 있고, 드럼(1b)과 함께 빠르게 회전한다. 연삭부재(14) 뿐만이 아니라 비-예시된 운반 및 비이터 베인(beater vanes)(연삭부재(14)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회전 원심분리기 드럼의 외부원주에 부착됨)은 습윤고체들의 덩어리를 깨트릴 수 있고, 이렇게하여 하우징(11)내에서의 물의 제거를 가속화할 수 있다.
습윤 고체입자들의 큰 입자직경 때문에, 건조가스(12)는 고속으로 배출되는 습윤 고체입자들의 실질적인 편향에 항상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 입자형의 습윤 고체(10)들을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축방향으로 더 편향시키기 위해서, 원추형 또는 사발형의 금속 편향시이트(72)가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며, 특히 습윤 고체들이 배출되는 구간(7)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그러면, 습윤 고체입자들(10)은 편평한 각으로 상기 편향 시이트상에 충돌하여 튀어오른다. 습윤 고체입자들이 상기 편향 시이트(72)에서의 증착을 방지하고, 하우징(11)의 내벽에서 임계 위치를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 원심분리기 드럼 또는 진동기등에 고정된 회전벽 스크레이퍼가 제공될 것이다. 이것은 제9도에 회전 스크레이퍼(73)로 도시되어 있으며, 원추형 링으로서 형상화된 근접한 거리의 금속 편향시이트(72)에서 휩쓸며 지나가기 위해, 배출 개구부(59)들 사이에서 원심분리기 드럼상에 고정된다. 분산된 습윤 고체입자들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서, 2차 고온가스에 대하여 비-예시된 흡입개구부가 하우징(11)에 축방향으로 제공될 것이다. 마멸에 노출되는 하우징(11)의 구성요소들은 내마모재료로 안을 댈 것이다. 습윤고체들의 원자화된 입자(10)들의 우산형태 근처에서, 습윤 고체들의 분산된 입자(10)들을 알갱이로 만들기 위해서, 초-미세 먼지(60)가 유입될 것이다. 하우징(11)의 건조챔버(61)에서 물의 증발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하우징벽(62)이 가열될 것이다. 또한, 가열표면(72)(제5도)은 건조챔버(61)에 설치될 것이다. 각기 다른 방사상 길이를 가질 수 있는 방사상 압력링(74)을 하우징(11)(제9도)의 내벽에 설치함으로써, 오랜 거치기간은 하우징(11)의 건조챔버(61)에 위치하는 최대의 입자덩어리에 대하여 특히 강화될 것이다. 또한, 가동축방향 플랩형 분배기(divider,75)와, 정적인 방사상 보유요소인 분배기(76)(제10도 및 11도)를 구비한 제어가능한 스위치에 의해서, 하우징(11) 내부에서 입자크기에 따른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분류효과는 제11도에서 습윤 고체입자들의 유동에 대한 대응화살표(77)로 나타내어 진다.
예비건조된 습윤 고체입자들은 건조챔버(61)를 이탈하고, 운반용 가스 건조기(63), 예를들어 관통-순환식 건조기 또는 그와 유사한 건조기를 걸쳐서 이동하여 사이클론(16)으로 배출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위에서 매달아 장착한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를 구비하고 있고 자체의 축에 수직하게 배열된 탈수 장치에 있어서, 사이클론(160)은 원심분리기(1)의 축방향 연장부로서 뻗어 있는 분무건조기 하우징(110)내에 통합되어 있다. 사이클론은 하우징(110)의 축방향 연장부로서 형상화된다. 자체의 축이 수평위치에 배열되고 제1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에 따른 양 축단부에서 지지되는 원심분리기(1)에 비해서, 제7도에 따른 실시예는 보다 소형인 장치에 대해서 특히 적당하다. 제7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원심분리기(1)의 습윤고체 배출구간(7)은 분무건조기의 건조챔버(61)내로 돌출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습윤고체에 대한 배출구간의 단면도이고, 제6a도는 이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레이스 코스(race course)(64)로서 구성된 정적인 하우징 및 다수의 정화 핑거(clearing finger)(65)를 구비하고 있다. 정화 핑거는 회전 원심 분리기 드럼(70)에 고정되어 회전한다. 정화핑거(65)는 좁은 간격을 남기는 레이스 코스(64)를 휩쓸면서 지나간다. 운반 스크루우(67)는 배출개구부(66)를 통해서 습윤 고체입자들을 계속해서 배출한다. 배출된 습윤고체 입자들은 고속으로 접선방향으로 유입되는 고온건조가스(68) 및 회전정화핑거(65)에 의해서 차단된다. 그러므로, 습윤 고체입자들은 이들의 예비건조되는 레이스 코스(64)의 환형채널(64a)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궤적(71)을 따라 이동한다. 레이스 코스(64)의 벽에 부착될 수 있는 습윤 고체입자들은 정화핑거(65)에 의해서 제거되고, 건조가스의 흐름을 따라 운반되고 이 흐름으로 복귀된다. 예비건조된 습윤고체 입자들은 고체가 실린 가스흐름(69)으로서, 유입된 건조가스(68)와 함께 레이스 코스(64)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배출되고, 보다 많은 건조를 의해서 비예시된 유압관통-순환식 건조기로 공급된다.
습윤고체를 형성하도록 슬러지를 예비탈수하고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에서 습윤 고체입자들을 원자화하기 위한 일체형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 대신에, 예를들어, 일체형 케이싱 스크린 원심분리기 또는 일체형 케이싱 노즐 원심분리기와 같은 다른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가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를 채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요한 장점들이 얻어진다.
- 낮은 투자비용;
-단순한 구조;
-작은 작업 공간;
-적은 주변장치;
-신선한 슬러지의 단위부피당 높은 수분증발량;
-증발될 수분의 단위중량당 낮은 비용;
-장치의 신속한 시동 및 중단;
-최종제품의 낮은 수분함유량으로 인하여 최종제품에 대한 큰 저장 장치가 불필요함;
-최종제품을 건조물질과 재혼합할 필요가 없음;
-융통성 있는 작동이 가능함;
-낮은 인건비;
-부서지기 쉬운 최종제품의 이상적인 벌크재료 구조로 인하여 그 이상의 공정처리에 유리함;
-최종 제품의 특정 표면적이 큼;
-장치로부터 나온 최종제품은 40℃ 내지 50℃로 냉각됨;
-부서지기 쉬운 최종제품의 흡수특성으로 인하여 먼지발생이 작음;
-최종 제품의 낮은 온도와 배출증기의 경제적인 세척으로 인하여 냄새나는 오염물질의 발생이 적음;
-고온 연소가스 전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물을 이용한 연소가스의 값비싼 분무가 방지됨;
-현행 사용되는 슬러지 원심분리기의 개장(retrofit)이 용이해짐.

Claims (41)

  1. 슬러지가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에 의해서 60 내지 85중량% 범위의 잔여 수분 함유량을 갖는 고체로 예비 탈수되고, 그 후에 상기 잔여 수분 함유량이 건조가스에 의해서 고체로부터 매우 많이 추출되므로 상기 고체는 비점성의 분무형 고체로 변환되며, 그러므로서, 상기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에서 그 궤적을 따라 입자막으로 분산된 형태로 고속으로 배출되는 고체 입자들이 건조 가스 주위로 유동되어 세척되고, 예비 건조되는 슬러지 탈수 방법에 있어서,
    정화 처리 설비로부터 슬러지를 탈수시키기 위해, 상기 고체 입자들은 일체형 케이싱 원심 분리기의 축선 방향으로 그 궤적을 따라 탈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궤적에 따른 탈수 작용으로 인하여 건조 가스의 작용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가스와 같은 고온 공기 또는 연소 배기 가스가 약 150℃ 내지 500 ℃ 범위의 초기 온도에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 가스의 유속은 약 10 m/s 내지 50m/s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과열된 증기가 건조 가스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처리 설비로 부터 나온 슬러지는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에 의해서 35중량%에 달하는 건조 물질로 예비 탈수되고, 이에 의해 잔여 수분 함유량이 65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잔여 수분 함유량은 건조 가스에 의해서 85중량%의 건조 물질 함유량에 대응하는 35중량%에 달할 때까지 최종 고체 물질들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출된 고체 입자들의 크기 및 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잔여 수분 함유량은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의 속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 가스는 배출된 고체 입자들의 주요 궤적 방향에 대향하여 고체 입자들을 항해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 가스는 배출된 고체 입자들의 주요 궤적 방향과 횡방향으로 고체 입자들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 가스는 배출된 고체 입자들의 주요 궤적 방향과 횡방향으로 고체 입자들을 항해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건조 가스는 순환되며, 배출된 고체 입자들 주위를 유동후 세척하며 수분을 제거하고, 필요하다면 신선한 가스로 대체될 수 있으며, 또한 가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배출된 고체 입자들 주위를 유동하는 건조 가스는 도중에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예열된 고체 입자들과 함께 채워지는 건조 가스는 배출된 원심분리기의 원심분리액에 의해 세척되고, 필요하다면 추가로 공급된 처리용수에 의해서도 세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예비 건조된 고체 입자들은 유압식 운반 장치를 통해서 운반되고, 분리기 또는 그 다음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기 건조기나 장기 건조기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 가스와 함께 세척되는 분산형 고체 입자들은 동적인 크기로 선별 처리되며, 대형 고체 입자들은 소형 고체 입자들 보다 오랜 시간 동안 건조 가스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출된 고체 입자들은 건조 먼지와 함께 먼지가 되고 알갱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 방법.
  16. 고체와 액체의 슬러지형 혼합물을 분리하는 일체형 원심분리기(1)가 고체와 액체의 슬러지형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흡입구, 및 분리된 액체와 고체 입자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들을 각 배출 단부에 구비하며,
    원심 분리기(1)의 고체 입자 배출 구간(7)이 분무 건조기의 분산 부재를 형성하고, 배출된 고체 입자들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탈수 장치에 있어서,
    정화 처리 설비로부터 나온 슬러지를 탈수시키기 위해, 분무 건조기의 하우징(11)이 하나 또는 다수의 편향 시이트(72,73)를 가지며,
    상기 편향 시이트는 분산된 고체 입자들이 매우 편평한 충돌각으로 편향 시이트(72,73)상에 부딪치도록 배열되고,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의 축방향으로 고체 입자들의 궤적을 연장시킴으로써 전환되고, 그리고 그에 따라 건조 가스의 작용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원심분리기(1)를 둘러싸거나 또는 축방향으로 연장한 하우징(11)의 벽 또는 원심분리기(1)의 벽들은 분무 가능한 고체가 충돌하는 위치에서 가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일체형 케이싱 스크루 원심분리기가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고체 입자들을 균일하게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일체형 케이싱 노즐 원심분리기가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고체들을 균일하게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일체형 케이싱 스크린 원심분리기가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분무 건조기의 하우징은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를 가진 공통의 하우징(11;110;64)을 적어도 그 일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22.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건조기의 하우징(11)은 알갱이를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2차 고온 가스용 추가 흡입구와 건조 미세 물질(60)용 추가의 유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23.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분무 건조기의 하우징 벽(62)이 가열되고, 가열된 벽 및 표면이 건조 챔버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24.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분무 건조기의 건조 챔버(61)에서 고체들과 접촉하는 표면은 마모 보호부와 반-고착 피복부를 적어도 그 일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25.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분무 건조기의 건조 챔버(61)내에서 고체 입자들의 존재 시간은 압력링(74)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26.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감쇄 장치(14)가 고체 입자들에 대한 배출 구간(7) 근처에서 분무 건조기의 건조 챔버(61)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27.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예비 건조된 고체 입자들을 선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배기(75,76)가 분무 건조기의 건조 챔버(61)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2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하우징 벽(62) 또는 고체 편향 시이트(72)등에 달라붙은 고체 입자들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서, 스크레이퍼(73) 또는 진동기등이 분무 건조기의 하우징(11)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2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다수의 배출 테두리(59a) 및 편향 요소들이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의 배출 구간(7)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배출 테두리(59a)의 바람부는 방향으로 놓여 있는 배출 개구부(59)의 비-가속 테두리(59b)는 원심력 벡터(V)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고체 입자들의 배출 테두리(59a) 전에 운반 스크루(1a)의 최종 회전이 감소된 피치를 구비하므로, 배출은 원심분리기 드럼(1b)의 전체 주변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2. 제26항에 있어서, 스트라이커 베인이 원심분리기 드럼(1b)의 외부에 대한 감쇄 장치(14)로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3.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는 수평 위치, 경사 위치 또는 수직 위치의 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4.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는 원통형, 원추형 또는 원통-원추 고상 케이싱 드럼, 고상 케이싱 스크린 드럼 또는 노즐 드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5.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72)가 분무 건조기와 일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6.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분리 사이클론(160)이 분무 건조기와 일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7.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회전 부분에 대한 냉각 장치(73)가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의 배출 구간(7)의 지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접선 방향의 가스 유입구와 가스 배출구가 분무 건조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9. 제16항 내지 제17항에 있어서, 격벽(80)에 의해 분할되는 건조 하우징(11)은 흡입 챔버(79)와 건조 챔버(61)로 분할되고, 상기 격벽(80)에는 배출 개구부(59)들의 방사상 평면에 대략적으로 배치되어 좁은 환형 간격을 형성하는 배출 개구부를 둘러싸는 원형 개구부(81)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고온 건조 가스(12)가 환형 간격을 통해서 건조 하우징(11)의 축방향에서 건조 챔버(61)내로 나선 이동하는 원심분리기 드럼(1b)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환형 간격의 인접 위치에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4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는 위에서 매어달아 장착되고, 상기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가 분무 건조기의 건조챔버(61)내의 고체 배출 구간(7)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4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일체형 케이싱 원심분리기(1)의 배출 구간(7)의 직경 및 회전수는 고체 입자들의 최상의 분산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KR1019930703657A 1991-06-25 1992-06-24 슬러지 탈수 방법 및 장치 KR100243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20959 1991-06-25
DEP4120959.1 1991-06-25
PCT/EP1992/001426 WO1993000562A1 (de) 1991-06-25 1992-06-2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wässern von schlämm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3441B1 true KR100243441B1 (ko) 2000-03-02

Family

ID=643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657A KR100243441B1 (ko) 1991-06-25 1992-06-24 슬러지 탈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26866A (ko)
EP (1) EP0591299B1 (ko)
JP (1) JP2563079B2 (ko)
KR (1) KR100243441B1 (ko)
AT (1) ATE120536T1 (ko)
CA (1) CA2112593C (ko)
DE (2) DE9208456U1 (ko)
DK (1) DK0591299T3 (ko)
RU (1) RU2100719C1 (ko)
WO (1) WO1993000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6410A1 (de) * 1993-08-06 1995-02-09 Kloeckner Humboldt Deutz Ag Entwässerungsvorrichtung zum Entwässern von Schlämmen
DE4332799C2 (de) * 1993-09-27 2003-04-10 Baumann Schilp Luci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wässern von Schlämmen
DE4407536A1 (de) * 1994-03-07 1995-09-14 Baumann Schilp Luci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eidung von Brandgefahren bei der Entfeuchtung von Schlämmen
DE4410442C2 (de) * 1994-03-25 1999-04-08 Dommer Manfred Vorrichtung zur Reduzierung des Volumens und des Gewichts von Küchenabfällen und Speiseresten
EP0692679A3 (de) 1994-07-13 1997-01-02 Kloeckner Humboldt Deutz Ag Verfahren und anlagentechnische Schaltung zur Trocknung und Verbrennung von Klärschlamm
DE4431564A1 (de) * 1994-07-13 1996-01-18 Kloeckner Humboldt Deutz Ag Verfahren und anlagentechnische Schaltung zur Trocknung und Verbrennung von Klärschlamm
FR2724008B1 (fr) * 1994-08-29 1997-05-09 Degremont Procede d'incineration auto-thermique de boues et eventuellement en outre d'ordures menageres
DE4447260A1 (de) * 1994-12-30 1996-07-04 Muesing Anton Gmbh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anierung eines Gewässers, insbesondere eines Binnengewässers
AU4482196A (en) * 1995-01-30 1996-08-21 Robert Vit Device and process for thickening and conveying waste water sludges
DE19527784C2 (de) * 1995-07-28 1998-07-02 Robert Dipl Ing Vit Eindickzentrifuge zum Eindicken von Überschußschlamm
US5556232A (en) * 1995-06-07 1996-09-17 Land & Lakes Company Non-hazardous, non-septic liquid waste drying process
DE19522164A1 (de) * 1995-06-19 1997-01-02 Sep Tech Studi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Trocknung von Protein enthaltendem Schlamm
SE509400C2 (sv) 1996-01-02 1999-01-25 Noxon Ab Dekanteringscentrifug
DE19631605C1 (de) * 1996-08-05 1997-10-02 Baumann Schilp Lucia Turbulenzschaufeln für Entwässerungseinrichtung
DE19635346C1 (de) * 1996-08-31 1998-03-26 Wienicke Heinz Juergen Diskontinuierliche Filterzentrifuge mit einer Trocknungsvorrichtung für das schleuderfeuchte Gut
IES970121A2 (en) * 1997-02-27 1998-07-15 Kevin Gerard Keena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ashed sand drying and handling plant
FR2771659B1 (fr) * 1997-12-02 2000-02-11 Degremont Procede de regulation de centrifugeuses pour la deshydratation des boues d'epuration, mettant en oeuvre la logique floue
AT406672B (de) * 1998-02-26 2000-07-25 Andritz Patentverwaltung Verfahren und anlage zur mechanischen und thermischen entwässerung von schlämmen
US6101738A (en) * 1998-07-27 2000-08-15 Gleason; Gary Sludge dewatering system and method
DE19851612A1 (de) * 1998-11-10 2000-05-11 Baker Hughes De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Trocknung und Pelletierung von Schlamm, insbesondere Klärschlamm
ES2149130B1 (es) * 1999-03-05 2001-05-16 Goterris Manuel Fortuno Recuperacion y utilizacion de los lodos contenidos en las aguas residuales de la industria ceramica.
JP4212735B2 (ja) * 1999-10-13 2009-01-21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ワイピング液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AU3338101A (en) * 2000-04-09 2001-10-11 Maschinenfabrik J. Dieffenbacher Gmbh & Co. Method and plant to reduce the water contents bound in the capillaries of fibrous cells
DE10046983A1 (de) * 2000-09-22 2002-04-18 Baker Hughes De Gmbh Zentrifuge zum mechanischen Entwässern und thermischen Trocknen von Schlämmen
US6506311B2 (en) 2001-03-05 2003-01-14 Global Resource Recovery Orga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et material
DE10058191A1 (de) * 2000-11-23 2002-07-11 Baker Hughes De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lagerbeständiger Pellets aus Klärschlamm
US6710162B2 (en) * 2001-02-16 2004-03-23 Genzyme Corporation Method of drying a material having a cohesive phase
US7086405B1 (en) * 2001-04-26 2006-08-08 Jwc Environmental Screenings washer
US6746646B2 (en) 2001-10-30 2004-06-08 Phoenix Resource Recove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infecting biosolids
DE10256674A1 (de) 2002-12-04 2004-06-17 Baumann-Schilp, Lucia Kombinierte Entfeuchtung, Trocknung und Korngrößensteuerung von Feststoffen
CA2455669A1 (en) * 2003-02-04 2004-08-04 Bayer Healthcare, Llc Method and test strip for determining glucose in blood
EP1447386A1 (en) * 2003-02-11 2004-08-18 Stefan Ing. Omanik A method of processing organic sludge
ITMI20030417A1 (it) * 2003-03-06 2004-09-07 Vomm Chemipharma Srl Procedimento per l'essiccamento di sostanze organiche finemente suddivise suscettibili di causare reazioni esplosive.
US9863705B2 (en) * 2003-03-06 2018-01-09 Vomm Chemipharma S.R.L. Process for drying finely divided organic substances capable of producing explosives reactions
US6790349B1 (en) 2003-05-05 2004-09-14 Global Resource Recovery Organization, Inc. Mobile apparatus for treatment of wet material
DE10323774A1 (de) * 2003-05-26 2004-12-16 Khd Humboldt Wedag Ag Verfahren und Anlage zur thermischen Trocknung eines nass vermahlenen Zementrohmehls
US7862700B2 (en) * 2003-11-13 2011-01-04 Siemens Water Technologies Holding Corp.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BE1015743A3 (nl) * 2003-11-19 2005-08-02 Biosolidair Nv Inrichting voor het verwerken van biomassa en werkwijze daarbij toegepast.
FI20045322A (fi) * 2004-09-03 2006-03-04 Heimo Vaelimaeki Kuivain sekä menetelmä sen käyttämiseksi ja valmistamiseksi
US20080061004A1 (en) * 2004-10-29 2008-03-13 Loran Balvanz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ried distillers grain
KR100594595B1 (ko) 2005-01-05 2006-06-30 한상배 슬러지 수집기능과 압밀기능이 개선된 슬러지 수집장치
US20070007198A1 (en) * 2005-07-07 2007-01-11 Loran Balvanz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ried distiller's grain
US7383842B1 (en) 2006-08-03 2008-06-10 Jwc Environmental Screenings washer apparatus
US7669348B2 (en) * 2006-10-10 2010-03-02 Rdp Company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sewage sludge
DE102008028860A1 (de) * 2008-06-19 2009-12-24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nergieträgergewinnung aus feuchter Biomasse
FI20090348A (fi) * 2009-09-23 2011-03-24 Kainuun Jaetehuollon Kuntayhtymae Menetelmä lietteiden kuivaamiseksi
US20110084029A1 (en) * 2009-10-08 2011-04-14 Dominick O' Reilly Waste treatment system
US20110089097A1 (en) * 2009-10-19 2011-04-21 O'reilly Dominick Attachment and system for dewatering material
US20110094395A1 (en) * 2009-10-26 2011-04-28 O'reilly Dominick Method and attachment for dewatering logs
FR2954814B1 (fr) * 2009-12-30 2012-03-02 Degremont Procede et installation de sechage de matieres pateuses, en particulier de boues de stations d'epuration, avec generation d'energie thermique.
BRPI1102511A2 (pt) * 2011-05-03 2013-06-18 Josef Andreas Nick mÁquina centrÍfuga de materiais sàlidos granulares
DE102011055190A1 (de) * 2011-11-09 2013-05-16 Fabian Rypacek Eindicker
JP5893964B2 (ja) * 2012-03-01 2016-03-23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汚泥の乾燥システム
EP2853848A4 (en) * 2012-05-21 2016-02-17 Masao Kanai DRYING DEVICE
CN103405986A (zh) * 2013-08-22 2013-11-27 李钻水 一种带搅拌清洗机构的烟气除尘装置
DE102014108236A1 (de) 2014-06-12 2015-12-17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JP6009049B2 (ja) * 2015-01-30 2016-10-19 ミクロパウテック株式会社 微粉末製造装置及び方法
CN104671633A (zh) * 2015-03-16 2015-06-03 天华化工机械及自动化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蒸汽凝液预热+蒸汽干燥两级式节能型污泥干燥方法
LU92738B1 (fr) * 2015-06-11 2016-12-12 Biocarbon Ind Sarl Procede et installation de preparation de biomasse
ITUB20153688A1 (it) * 2015-09-17 2017-03-17 Maurizio Savoldelli Apparato e metodo per la riduzione del quantitativo di acqua da un composto ceramico nella produzione di piastrelle, laterizi, tegole e simili.
CA3071898C (en) * 2017-07-14 2023-03-07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Hydro excavation vacuum apparatus
RU180423U1 (ru) * 2017-11-21 2018-06-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о-Ураль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Южно-Уральский ГАУ) Воздушно-шне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ушки и сортировки зерна
CN109269225B (zh) * 2018-11-30 2023-08-22 上海天晓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湿法脱硫石膏干燥处理装置
CN209639466U (zh) * 2018-12-31 2019-11-15 湖北加德科技股份有限公司 双气流旋风闪蒸干燥装置
WO2020194169A1 (en) 2019-03-22 2020-10-01 Flsmidth A/S Centrifugal separator and screen having blades for same
CN110068217B (zh) * 2019-04-26 2020-08-14 干霸干燥剂(深圳)有限公司 一种粉尘处理用喷雾干燥机
DE102019114060A1 (de) * 2019-05-27 2020-12-03 Hubert Kohler Reaktor zur erzeugung von wasserdampf und trockensubstanz, gaserzeu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ampf und gaserzeugung
JP7130914B2 (ja) * 2019-06-12 2022-09-06 株式会社石垣 回転型汚泥乾燥機
RU2718630C1 (ru) * 2019-07-19 2020-04-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 -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ологий Органической, Неорганической Химии И Биотехнологий" Ленточная сушилка
DE102020000818A1 (de) 2020-02-09 2021-08-12 Emschergenossenschaft Verwertung von ausgefaultem Klärschlamm in einer Wirbelschichtanlage
TWM599894U (zh) * 2020-05-14 2020-08-11 佳格食品股份有限公司 噴料滾筒系統
CN112246575B (zh) * 2020-11-27 2022-09-16 上犹县广兴木业有限公司 一种家具上漆后表面烘干设备
CN112919772B (zh) * 2021-02-01 2022-10-21 武汉中科固废资源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污泥热改性干化系统
IT202100009617A1 (it) 2021-04-16 2022-10-16 Vomm Impianti E Processi S P A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i fanghi contenenti sostanze chimiche inquinanti
CN113461296B (zh) * 2021-06-01 2023-05-09 岳阳飞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循环利用热能的地热能干化污泥装置
US11472643B1 (en) * 2021-12-29 2022-10-18 Johnny F. Sen Grain dryer
CN114294934B (zh) * 2021-12-30 2023-05-05 江苏道明化学有限公司 一种过氧化二异丙苯干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4966A (en) * 1918-11-22 1919-11-20 Robert Alexander Sturge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entrifugal Separators.
CH148212A (de) * 1930-04-12 1931-07-15 Heinzelmann Hans Verfahren und Schleudervorrichtung zum Trocknen von breiigem Gut.
DE668849C (de) * 1935-11-30 1938-12-10 Max Heinigke Vorrichtung zum Vorentwaessern und unmittelbaren Trocknen von Nahrungs- und Futtermitteln, insbesondere Kartoffeln
BE672655A (ko) * 1964-03-31 1900-01-01
DE1432864A1 (de) * 1964-07-02 1968-12-19 Ruhrchemie Ag Vorrichtung zur Gewinnung von trockenen Feststoffen aus Feststoff-Fluessigkeits-Gemischen
US3580193A (en) * 1969-09-05 1971-05-25 Dorr Oliver Inc Heat treated waste sludge disposal
AT305212B (de) * 1970-08-07 1973-02-12 Buss Ag Zerstäubungstrockner
US3724091A (en) * 1971-05-11 1973-04-03 J Rousselet Continuous production centrifuge
CH641133A5 (de) * 1979-05-28 1984-02-15 Escher Wyss Ag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klaerschlamm.
CH655786A5 (en) * 1981-07-03 1986-05-15 Escher Wyss Ag Heat exchanger and use thereof
DE3630920C1 (en) * 1986-09-11 1988-04-07 Ferdinand Dipl-Ing Reif Device for drying solid material discharged from a centrifuge
DE3915082C1 (ko) * 1989-05-09 1990-09-27 Deutsche Babcock Anlagen Ag, 4200 Oberhaus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3000562A1 (de) 1993-01-07
EP0591299B1 (de) 1995-03-29
US5426866A (en) 1995-06-27
CA2112593A1 (en) 1993-01-07
RU2100719C1 (ru) 1997-12-27
EP0591299A1 (de) 1994-04-13
JPH06503638A (ja) 1994-04-21
DE59201791D1 (de) 1995-05-04
ATE120536T1 (de) 1995-04-15
DK0591299T3 (da) 1995-08-21
CA2112593C (en) 1996-07-23
DE9208456U1 (ko) 1992-09-10
JP2563079B2 (ja) 199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441B1 (ko) 슬러지 탈수 방법 및 장치
JPS58145877A (ja) 固体の乾燥の為の装置
SE449789B (sv) Anordning for torkning och granulering av vatt, pastaformigt och/eller smeltbart material
CA2084649A1 (en) Drying apparatus/method
US6618956B1 (en) Device for dewatering and drying suspensions
US380540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from wet or moist particles
US2744338A (en) Apparatus for drying friable material
WO2004051166A2 (de) Kombinierte entfeuchtung, trocknung und korngrössensteuerung von feststoffen
HU211220B (en) Apparatus of dying wet granulated material with overheated material
EP3814708B1 (en) A dryer and a method for drying a liquid feed into a powder
DE433279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wässern von Schlämmen
DE60107448T2 (de) Zentrifuge zur mechanischen entwässerung und thermischen trocknung von schlämmen
RU2328671C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сушилка
EP0638521B1 (de) Entwässerungsvorrichtung zum Entwässern von Schlämmen
RU2286519C1 (ru) Осушитель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измельченных отходов полимеров
US4517992A (en) Tobacco conditioning apparatus
RU2324872C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сушилка
NZ193190A (en) Drying and granulating wet fusible and/or pasty materials in cylindrical dryer having chambers
SU1002769A1 (ru) Сушилка-гранул тор
SU1000706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сушки и измельчени дисперсных материалов во взвешенном слое
JPH10227564A (ja) 気流乾燥機
JPH10227565A (ja) 気流乾燥機の偏向装置
SU1198348A1 (ru) Сушилка
SU1044912A2 (ru) Вихрева распылительна сушилка
RU20470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