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124B1 - 화상형성장치의열원온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열원온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124B1
KR100243124B1 KR1019970041185A KR19970041185A KR100243124B1 KR 100243124 B1 KR100243124 B1 KR 100243124B1 KR 1019970041185 A KR1019970041185 A KR 1019970041185A KR 19970041185 A KR19970041185 A KR 19970041185A KR 100243124 B1 KR100243124 B1 KR 100243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eat source
print
inpu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092A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124B1/ko
Priority to JP10149280A priority patent/JPH1173061A/ja
Priority to CN98109869A priority patent/CN1109929C/zh
Priority to US09/093,309 priority patent/US5946526A/en
Publication of KR1999001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mode of operation, e.g. standby, warming-up, e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원 온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열원의 온도가 인쇄 대기 온도가 되도록 하는 단계와, 인쇄 대기 온도가 된 후부터 제1 시간 간격 내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열원의 온도를 인쇄 대기 온도보다 낮은 에너지 절감 온도가 될 때까지 낮추되, 시간에 대한 온도 변화량이 제2 시간 간격에 걸쳐서 균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시간 간격 내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열원의 온도를 에너지 절감 온도보다 낮은 주변 온도가 될 때까지 낮추되, 시간에 대한 온도 변화량이 제3 시간 간격에 걸쳐서 균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제1 또는 제2 시간 간격 내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각각 제1 또는 제2 시간 간격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열원의 온도가 인쇄 온도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eating memb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는 열효율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히터가 내장된 정착 장치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정착 장치에 의해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한 정착 장치의 표면 온도는 정착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들 중의 하나이다. 즉, 히터에 의한 정착 장치의 표면 온도가 증가할수록 정착력이 증대된다. 그러나, 인쇄 대기 상태에서와 같이,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에도 정착 장치의 표면 온도를 높은 온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 측면에서 볼 때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인쇄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구별하여 정착 장치의 표면 온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시스템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 벨트(200)와, 이 감광 벨트를 주어진 경로로 회전 이동시키는 1차, 2차 및 3차 롤러(211)(212)(21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감광 벨트(200)의 일측부에는 상기 감광 벨트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장치(220)가 마련되어 있고, 감광 벨트(200)의 하부에는 화상 신호에 따라 상기 감광 벨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230)과,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도포 하여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 장치(24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현상 장치(240)에 의해 감광 벨트(200)에 현상된 토너상은 감광 벨트(2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1차 롤러(21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전사 롤러(250)에 의해 기록지(260)에 전사된다. 상기 기록지(260)에 전사된 토너상은 정착 장치(270)에 의해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한편, 상기 현상 장치(240)에 의해 공급된 현상액을 건조시키기 위해 감광 벨트(200)를 가열하기 위한 드라이 롤러(280)가 상기 3차 롤러(213)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현상 장치(240)에 의해 감광 벨트(200)에 현상된 토너상은 감광 벨트(2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1차 롤러(21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전사 롤러(250)에 의해 기록지(260)에 전사된다. 상기 기록지(260)에 전사된 토너상은 정착 장치(270)에 의해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도 2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장치의 온도를 제어하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시간 t0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온(on) 되면, 정착 장치(170)의 온도를 주변 온도(TA)에서 인쇄 대기 온도(Tpw)로 증가시킨다. 이 상태에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는 t1에서는, 인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온도인 인쇄 온도(Tp)로 정착 장치(170)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인쇄가 종료되는 t2에서는 정착 장치(170)의 온도를 다시 인쇄 대기 온도(Tpw)로 낮춘다. 이때부터(t2부터) 정착 장치(170)의 온도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미도시)에 내장된 제1 타이머가 동작한다. 상기 제1 타이머의 동작이 시작된 이후부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소정의 시간(t3-t2)이 경과할 때까지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시간 t3에서 정착 장치(170)의 온도를 에너지 절감 온도(Ts)로 낮춘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내장된 제2 타이머(미도시)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2 타이머의 동작이 시작된 이후부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소정의 시간(t4-t3)이 경과할 때까지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정착 장치(170)를 오프시킨다. 이 상태에서, 다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면, 인쇄 데이터가 입력된 시간t5에서 상기 정착 장치(170)의 온도를 인쇄 온도(Tp)로 증가시켜 인쇄를 수행한다. 그리고, 인쇄가 종료되는 t6에서는 상기 정착 장치(170)의 온도를 다시 인쇄 대기 온도(Tpw)로 낮춘다.
한편, 상기 제1 또는 제2 타이머가 동작되는 중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1 또는 제2 타이머가 초기화된다. 그리고, 인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온도인 인쇄 온도(Tp)로 정착 장치(170)의 온도를 증가시킨 후, 인쇄를 수행한다. 인쇄가 종료되면 정착 장치(170)의 온도를 다시 인쇄 대기 온도(Tpw)로 낮추며, 제1 타이머 또는 제2 타이머가 다시 동작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1 타이머 및 제2 타이머가 동작하여 각각 t3-t2,t4-t3의 시간이 경과되면, 정착 장치(170)의 온도가 급강하한다. 이러한 경우에, 에너지 절감의 목적으로 t3-t2및t4-t3의 시간을 짧게 설정하면, 인쇄 데이터 입력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 정착 장치(170)의 온도를 인쇄 온도(Tp)까지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난다. 한편, 이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t3-t2및t4-t3의 시간을 길게 설정하면, 불필요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인쇄 대기 상태 중에는 정착 장치의 온도가 선형적으로 낮아지도록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에 따른 정착 장치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 보인 그래프.
도 3은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에 따른 정착 장치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 보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감광 벨트 211...1차 롤러
212...2차 롤러 213...3차 롤러
220...대전 장치 230...레이저 스캐닝 유닛
240...현상 장치 250...전사 롤러
260...기록지 270...정착 장치
280...드라이 롤러 290...히트 롤러
310...할로겐 램프 320...SSR
330...중앙 처리 장치 340...더미스터
350...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360...ROM
370...RA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원 온도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열원의 온도가 인쇄 대기 온도가 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인쇄 대기 온도가 된 후부터 제1 시간 간격 내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열원의 온도를 상기 인쇄 대기 온도보다 낮은 에너지 절감 온도가 될 때까지 낮추되, 시간에 대한 온도 변화량이 제2 시간 간격에 걸쳐서 균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제2 시간 간격 내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열원의 온도를 상기 에너지 절감 온도보다 낮은 주변 온도가 될 때까지 낮추되, 시간에 대한 온도 변화량이 제3 시간 간격에 걸쳐서 균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또는 제2 시간 간격 내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 시간 간격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상기 열원의 온도가 인쇄 온도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3 시간 간격 동안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열원을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장치의 표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 장치(300)를 가열시키기 위한 할로겐 램프(310)가 상기 정착 장치(300) 내에 위치해 있으며, 이 정착 장치(300)는 상기 할로겐 램프(310)의 온/오프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한 전자 제어 장치, 예컨대 SSR (Solid-State Relay)(320)을 통하여 중앙 처리 장치(3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SSR(320)은 옵토커플러(optocoupler)에 의하여 제어 회로와 부하 회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TRIAC(미도시)를 사용하여 AC 전원을 제어한다. 중앙 처리 장치(330)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정착 장치(30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2 및 제3 타이머(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의 각 단위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테이블 및 디지털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ROM(Read Only Memory)(360)과,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데 관계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370)이 각각 상기 중앙 처리 장치(330)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정착 장치(300)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온도 상승에 따라 저항 값이 낮아지는 부 온도 계수(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를 갖는 더미스터(Thermistor)(340)를 사용하며, 이 더미스터(340)로부터의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50)를 통하여 중앙 처리 장치(330)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온 되면, 더미스터(340)에 의해 정착 장치(300)의 표면 온도가 검출된다. 이 검출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50)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중앙 처리 장치(330)에 입력된다. 중앙 처리 장치(330)에서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착 장치(300)의 온도가 인쇄 대기 온도인 지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 결과, 정착 장치(300)의 온도가 인쇄 대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중앙 처리 장치(330)는 SSR(320)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여 정착 장치(300)의 온도를 인쇄 대기 온도가 되도록 한다(단계 410). 그리고,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420). 이 판별에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인쇄 온도 제어 모드(A)로 들어가서 상기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한다(단계 430).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서 더 상세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온도 제어 모드(A)로 들어가면, 중앙 처리 장치(330)는 정착 장치(300)의 온도가 인쇄 온도가 되도록 SSR(320)의 온 시간을 제어한다(단계 510). 그리고, 인쇄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520). 이 판별 결과, 인쇄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즉 계속 인쇄가 수행 중인 경우에는 정착 장치의 온도가 인쇄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 제어를 한다. 그리고, 인쇄가 종료된 경우에는 동작 중인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단계 410으로 귀환된다(단계 530).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20에서의 판별 결과,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타이머를 동작시킨다(단계 440). 그리고,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제1 타이머의 출력이 0이 되는지를 판별한다(단계 450). 제1 타이머의 출력이 0이 되지 않는 경우는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이므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460). 이 판별 단계 460에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인쇄 온도 제어 모드(A)로 들어가며,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제1 타이머의 출력이 0이 되는지를 판별한다. 한편, 설정 시간이 경과되어서 상기 제1 타이머의 출력이 0이 되는 경우에는, 에너지 절감 온도 제어 모드(B)로 들어가서,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470).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절감 온도 제어 모드(B)로 들어가면, 제2 타이머가 동작된다(단계 611). 그리고, 중앙 처리 장치(330)는 ROM(360)에 저장된 온도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정착 장치(300)의 온도가 선형적으로, 즉 시간에 비례하여 낮아지도록 제어한다(단계 612). 여기서, 이와 같은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온도 제어 프로그램은 SSR(320)의 온/오프 제어를 시간의 함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한편, 중앙 처리 장치(330)는 전기한 바와 같은 선형적인 온도 제어를 수행하면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613). 이 판별에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었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 온도 제어 모드(A)로 들어가서 전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 판별 단계 613에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2 타이머의 출력이 0이 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614). 이 판별에서, 제2 타이머의 출력이 0이 아닌 경우에 상기 단계 612로 귀환하여 전기한 바와 같은 제어 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판별 단계 614에서 제2 타이머의 출력이 0인 경우에는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이고, 연속적으로 제3 타이머가 동작된다(단계 615). 그리고, 중앙 처리 장치(330)는 ROM(360)에 저장된 온도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정착 장치(300)의 온도가 선형적으로, 즉 시간에 비례하여 낮아지도록 제어한다(단계 616). 한편, 중앙 처리 장치(330)는 전기한 바와 같은 선형적인 온도 제어를 수행하면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617). 이 판별에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었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 온도 제어 모드(A)로 들어가서 전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 판별 단계 617에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3 타이머의 출력이 0이 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618). 이 판별에서, 제3 타이머의 출력이 0이 아닌 경우에 상기 단계 616으로 귀환하여 전기한 바와 같은 제어 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판별 단계 618에서 제3 타이머의 출력이 0인 경우에는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이므로, 중앙 처리 장치(330)는 SSR(320)을 오프시켜서 할로겐 램프(310)를 오프시킨다(단계 619). 그러면, 정착 장치(300)의 온도는 주위 온도로 낮아진다. 한편, 할로겐 램프(310)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중앙 처리 장치(330)는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계속하여 판별한다(단계 620). 그리고,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면 인쇄 온도 제어 모드(A)로 들어가서 상기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인쇄 대기 상태 중에는 정착 장치의 온도가 선형적으로 낮아지므로 소모되는 에너지 양이 감소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에 따라 변화하는 정착 장치(300)의 온도를 나타내 보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간 t0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온(on) 되면, 정착 장치(300)의 온도는 주변 온도(TA)에서 인쇄 대기 온도(Tpw)로 증가된다. 그리고, 도 4의 단계 420에서의 판별에 따라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440 및 450의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과정 중에, 단계 450에서의 판별 결과 제1 타이머의 출력이 0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는 t1에서는, 인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온도인 인쇄 온도(Tp)로 정착 장치(300)의 온도가 증가된다. 그리고, 도 5의 단계 510 내지 530의 단계를 거쳐서 인쇄가 종료되는 t2에서는 정착 장치(300)의 온도가 다시 인쇄 대기 온도(Tpw)로 낮아진다. 그리고,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타이머가 다시 동작한다. 상기 제1 타이머의 동작이 시작된 이후부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소정의 시간(t3-t2)이 경과할 때까지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에너지 절감 온도 제어 모드(B)로 들어간다. 즉, 도 6의 단계 611 내지 614의 과정에 의해, 제2 타이머가 동작되며, 정착 장치(300)의 온도는 에너지 절감 온도(Ts)가 될 때까지 선형적으로 낮아진다. 상기 제2 타이머의 동작이 시작된 이후부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소정의 시간(t4-t3)이 경과할 때까지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면, 단계 615 내지 618의 과정이 이루어져서, 정착 장치(300)의 온도는 주위 온도(TA)가 될 때까지 선형적으로 낮아진다. 그리고, 단계 618에서의 판별 결과, 제3 타이머의 출력이 0인 경우에는 할로겐 램프를 오프시키고, 이에 따라 정착 장치의 온도도 주위 온도(TA)로 유지된다. 그리고, t6에서 단계 620의 판별에 따라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면, 정착 장치(300)의 온도는 다시 인쇄 온도(Tp)로 증가된다. 그리고, 인쇄가 종료되는 t7에서는 상기 정착 장치(300)의 온도가 다시 인쇄 대기 온도(Tpw)로 낮아진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은, 인쇄 대기 상태에서 열원의 온도가 선형적으로 낮아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율이 증대된다.

Claims (2)

  1.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원 온도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열원의 온도가 인쇄 대기 온도가 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인쇄 대기 온도가 된 후부터 제1 시간 간격 내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열원의 온도를 상기 인쇄 대기 온도보다 낮은 에너지 절감 온도가 될 때까지 낮추되, 시간에 대한 온도 변화량이 제2 시간 간격에 걸쳐서 균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제2 시간 간격 내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열원의 온도를 상기 에너지 절감 온도보다 낮은 주변 온도가 될 때까지 낮추되, 시간에 대한 온도 변화량이 제3 시간 간격에 걸쳐서 균일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또는 제2 시간 간격 내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각각 상기 제1 또는 제2 시간 간격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 상기 열원의 온도가 인쇄 온도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3 시간 간격 동안에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열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열원 온도 제어 방법.
KR1019970041185A 1997-08-26 1997-08-26 화상형성장치의열원온도제어방법 KR100243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185A KR100243124B1 (ko) 1997-08-26 1997-08-26 화상형성장치의열원온도제어방법
JP10149280A JPH1173061A (ja) 1997-08-26 1998-05-29 画像形成装置の熱源温度制御方法
CN98109869A CN1109929C (zh) 1997-08-26 1998-06-08 控制图像形成设备的加热源温度的方法
US09/093,309 US5946526A (en) 1997-08-26 1998-06-09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eating sour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185A KR100243124B1 (ko) 1997-08-26 1997-08-26 화상형성장치의열원온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092A KR19990018092A (ko) 1999-03-15
KR100243124B1 true KR100243124B1 (ko) 2000-02-01

Family

ID=1951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185A KR100243124B1 (ko) 1997-08-26 1997-08-26 화상형성장치의열원온도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46526A (ko)
JP (1) JPH1173061A (ko)
KR (1) KR100243124B1 (ko)
CN (1) CN11099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734B1 (ko) * 1998-07-31 2002-07-18 윤종용 인쇄기및그전력제어방법
JP3363797B2 (ja) * 1998-08-31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US6453130B1 (en) * 2001-03-09 2002-09-17 Hewlett-Packard Company Fu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e-producing devices
CN100338536C (zh) * 2002-10-21 2007-09-19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KR100503803B1 (ko) * 2003-07-28 2005-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히터 램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87240B1 (ko) * 2004-02-17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행동 프로파일에 기반한 화상형성장치의 사전예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44206B1 (ko) * 2004-07-20 2006-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기의 과열 방지방법 및 장치
JP2007127583A (ja) * 2005-11-07 2007-05-24 Toshiba Corp 自動分析装置
JP4994046B2 (ja) * 2007-01-13 2012-08-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00104309A1 (en) * 2008-10-29 2010-04-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epped energy saving modes for a printing device
US8150290B2 (en) * 2009-06-17 2012-04-03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in an image production device
KR20170084817A (ko) * 2016-01-13 2017-07-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정착기를 컨트롤하는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5676A (ja) * 1982-06-08 1983-12-15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記録装置
JPH0387891A (ja) * 1989-08-31 1991-04-12 Canon Inc 定着装置
JPH05131673A (ja) * 1991-11-13 1993-05-28 Nec Corp 定着温度の制御方式
JPH05323829A (ja) * 1992-05-20 1993-12-07 Asahi Optical Co Ltd 電子写真装置、及び、電子写真装置における定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929C (zh) 2003-05-28
US5946526A (en) 1999-08-31
KR19990018092A (ko) 1999-03-15
CN1209589A (zh) 1999-03-03
JPH1173061A (ja) 199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7516A (en) Energy saving image-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0141675B1 (ko) 전자 사진 기록장치의 절전 프린팅방법
KR100243124B1 (ko) 화상형성장치의열원온도제어방법
KR100243129B1 (ko) 전원 온/오프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인쇄기
US4603245A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KR0130621B1 (ko) 전자사진 현상 방식 프린터의 절전 프린팅 방법
US4887122A (en) Copying machine
JPH08248854A (ja) 電子写真装置
US5276482A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fixing apparatus
JP4116950B2 (ja) 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
JP3315495B2 (ja) 画像形成装置
JP3350315B2 (ja) 定着装置
JP2000227739A (ja) 画像形成装置
JP3466770B2 (ja) 画像形成装置
JP3387684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4265650A (ja) ヒータ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21738B2 (ja) 温度制御装置
JPH043288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56039A (ja) 画像形成装置
KR0153414B1 (ko) 인쇄시스템의 절전 프린팅방법
JP2003149990A (ja) 画像形成装置
JPH07129022A (ja) 熱定着制御装置
JPS6061780A (ja) 定着器の温度制御法
JPS59140527A (ja) 温度制御装置
JP4030498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