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584B1 -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584B1
KR100241584B1 KR1019960701335A KR19960701335A KR100241584B1 KR 100241584 B1 KR100241584 B1 KR 100241584B1 KR 1019960701335 A KR1019960701335 A KR 1019960701335A KR 19960701335 A KR19960701335 A KR 19960701335A KR 100241584 B1 KR100241584 B1 KR 100241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late
case
sound insulation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300A (ko
Inventor
히로따까 히가사
Original Assignee
가와이 희로다까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이 희로다까,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와이 희로다까
Publication of KR96070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0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4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of grand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26Pedals or pedal mechanisms; Manually operated sound modification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랜드 피아노를 연주할 때, 아파트에서나 한밤중 등과 같은 주변환경에 따라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을 조절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음량으로 조절할 수 있고, 충분한 방음 효과를 가지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하부 개구부가 개폐부를 가진 방음 보드로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세우고 눕히는 것이 가능한 뮤직 랙이 정상 보드의 전방부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케이스 내에 설치된 현이 연장된 판과 악보대 사이에서 케이스의 내벽과 밀착하여 방음 보드가 설치되고, 방음용 개폐 보드가 상기 방음 보드 상에 세워지고 눕히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방음용 개폐 보드는 방음 보드와 정상 보드의 후방부의 전방 에지 사이의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그랜드 피아노의 연주시, 아파트, 야간 등의 주변 환경에 따라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 간단한 조작으로 소망의 음량으로 조절되며, 충분한 차음효과를 갖는 그랜드 피아노를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랜드 피아노 케이스의 하방 개구부가 개폐부를 갖는 차음판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개폐가능한 루버(louver), 도어(door), 벨로즈(bellows)로 이루어지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작부재에 의해 개폐된다. 조작부재는, 개폐부의 개폐부재에 연결된 와이어와, 와이어에 연결되어 와이어의 연장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블럭과, 이동블럭이 나사 결합되고 일단에 손잡이가 부착된 회전가능 나사바로 구성되거나, 또는, 청구항 제6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루버에 연결된 와이어와, 일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일단과 케이스의 하부 사이에 스프링이 연장 설치된 제1레버 및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의해 전방단(front end)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중간부에 상기 제1레버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제2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제2레버의 회전에 응답하여 제1레버 및 상기 제1레버에 연결된 와이어가 이동함으로써 루버가 폐쇄방향에서 개방방향으로 이동할 때, 루버를 개방방향에서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와이어를 끌어당기는 스프링력이 발생하도록 스프링의 일단이 케이스의 하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음량조절장치는, 제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개폐가능한 상판(top board)은 전방부와 후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는 힌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전방부측 케이스의 내부에 세우고 눕힐 수 있는 악보대가 장착된 그랜드 피아노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현이 연장되는 플레이트와 케이스의 내벽에 밀착하는 악보대 사이에 차음판이 설치되고, 상기 차음판에 차음용 개폐판이 세우고 눕힐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차음용 개폐판은 상기 차음판과 상기 상판의 후방부의 전방에지 사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7항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청구항 제8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하방 개구부가 개폐부를 갖는 차음판으로 덮혀도 된다. 청구항 제7항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현이 연장되는 플레이트와 악보대 사이에 부착된 차음판은 개폐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케이스의 하방 개구부의 차음판과 음향판 사이에는 에어백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에어백은 공기를 내부에 충전하여 팽팡시켜 음향판에 밀착시킴으로써 음향판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차음판의 개폐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장치에 따르면, 그랜드 피아노가 상판과 차음판의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연주될 때, 현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가 케이스의 상부 및 하부에서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량이 현저하게 작아진다. 상술된 개폐부가 개방되는 경우, 음량은 개폐부의 개방 정도에 따라 조절된다. 상기 개폐부는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조작부재에 의해 개폐되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으로 소망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제6항에 기재된 조작부재에 따르면, 루버를 개방하는 도중에 조작자가 제2레버에서 손을 떼어도, 루버는 그의 하중 때문에 갑자기 개방되지 않고, 제2레버의 회전에 의해 천천히 개방될 수 있다. 청구항 제7항에 기재된 장치에 따르면, 악보를 보면서 그랜드 피아노를 연주하기 위해 상판의 전방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장착된 악보대가 세워진 경우에, 차음판의 차음용 개폐판이 세워져서 상판의 후방부의 전방에지와 차음판 사이의 개구부가 폐쇄되면, 소리가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누설되지 않으므로 음량이 작아진다. 이 차음용 개폐판이 개방되면, 음량은 차음용 개폐판의 개방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청구항 제8항에 기재된 장치에 따르면, 악보대를 세워 악보를 보면서 그랜드 피아노가 연주되는 경우에도, 차음용 개폐판을 세움으로써 상술된 개구부가 폐쇄되며 케이스의 하방 개구부가 차음판의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라면, 음량이 현저하게 작아진다. 상술된 차음용 개폐판이 눕혀짐으로써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술된 차음판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라면, 음량은 상판의 후방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최대가 된다. 청구항 제9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현이 연장되는 플레이트와 악보대 사이의 차음판에 개폐부가 설치되면, 음량의 조절이 보다 현저하게 된다. 에어백이 케이스의 하방 개방부의 차음판과 음향판 사이에 설치되고 에어백이 음향판에 대해 밀착되어 음향판의 진동이 억제되면, 상판이 폐쇄되거나 또는 상판의 전방부가 개방되고, 차음판의 차음용 개폐판이 세워진 상태에서 그리고 케이스의 하방 개구부에서의 차음판의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음량이 최소로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저면도.
제2(a)도와 제2(b)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및 일부의 확대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주요부의 정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개폐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개폐부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
제7도는 상판의 전방부가 개방되고 차음용 개폐판이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제6도의 장치의 평면도.
제8도는 상판의 전방부가 개방되고 차음용 개폐판이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제6도의 장치의 주요부의 측단면도.
제9(a)도와 제9(b)도는 각각 제7도에 도시된 차음판의 평면도와 측면도.
제10(a)도와 제10(b)도는 각각 제7도에 도시된 차음판 변형예의 평면도와 측면도.
제11(a)도와 제11(b)도는 각각 제2도에 도시된 개폐부 변형예의 측면도와 정면도.
제12(a)도와 제12(b)도는 각각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변형예의 측면도와 정면도, 및
제13도는 에어백이 설치된 제1도와 제6도에 도시된 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은, 현이 연장되는 플레이트, 건반, 음향판(제6도 참조) 등을 둘러싸는 외부림(outer rim)을 나타낸다. 외부림의 전방부의 개구부는 상부빔(upper beam)과 건반덮게(제6도 참조)에 의해 폐쇄되고, 외부림의 상단에는 상판이 상기 상판의 일측을 향해 개폐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하단에서는, 하단의 전방부에 키 베드(key bed)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의 후방부에는 다리(3)를 부착하기 위한 다리 지지부(4)가 형성되어 있고, 이런 식으로 케이스(5)가 형성된다. 키 베드(2)와 다리 지지부(4) 사이는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특별히 다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5)의 하방 개구부에는, 개폐부(61)를 갖는 차음판(7)이 설치된다. 이 차음판(7)은 파티클 보드, 하드보드 등의 차음재 또는 글래스 울, 펠트 등의 흡음재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부(61)는 개폐가능한 루버로 만들어져 있다. 이 루버는 복수의 루버 보드(8)로 구성되고, 루버 보드(8) 각각은, 일단이 각각의 루버 보드(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로드를 통해 수평부재(10)에 연결되고, 조작부재에 의해 개폐된다. 조작부재는 외이어(11), 이동 블럭(14) 및 일단에 손잡이(17)를 갖는 회전가능한 나사바(threaded bar; 16)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수평부재(10)에 와이어(11)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 와이어1(1)는 와이어 홀더(12, 13)에 의해 지지되고, 와이어의 타단은 이동 블럭(14)에 고정된다. 이 이동 블럭(14)은 베어링(15)으로 지지되는 나사봉(16)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나사봉(16)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17)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용 블럭(14)이 전후로 이동한다. 와이어(11)의 이동에 의한 수평부재(10)의 수직이동에 의해, 루버 보드(8)가 회전되어 루버가 개폐된다. 루버가 폐쇄되는 경우, 개폐부(61)를 통해 소리가 누출되는 것을 가능한 한 방지하기 위해, 상기 루버 보드(8)의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단부에 대해 반대측인 단부에 인접하는 루버 보드(8)를 밀착시키는 고무패킹(31)이 접착되어 있다. 외부림(1)의 상단면(上端面)에는, 예컨대 종래의 고무 버튼을 대체하여 높이 5mm의 고무패킹(32)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판이 폐쇄되는 경우, 종래 고무 버튼에서 발생되었던 상판과 외부림(1) 사이의 틈새를 통한 소리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도에서, 참조 부호 33은 합성 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실드판을 표시하며, 이 실드판은, 예를 들어 손가락 등이 로드들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지 않도록, 수평부재(10)와 로드(9)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나사를 이용하여 수평부재(1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이 폐쇄되고 개폐부(61)가 손잡이(17)의 조작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그랜드 피아노가 연주되면, 현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케이스(5) 내에 갇히게 된다. 그러므로, 케이스(5) 외부로 방출되는 소리의 음량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주변 환경에 따라 소리를 크게 해도 되는 경우에는, 루버 보드(8)가, 제2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됨으로써, 개폐부(61)가 개방된다. 개방 정도에 따라, 음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판이 개방되고 개폐부(61)가 최대로 개방되면, 음량이 최대로 된다.
상술된 개폐부(61)의 루버 대신에, 차음판(7)의 개폐부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62, 63)로 구성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62)는 개폐가능한 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는 차음판(7)에 형성된 오목부(18)에 출입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개폐는,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손잡이(17) 조작을 통한 와이어(11)에 의해 행해진다. 도어는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19)의 스프링력에 의해 개방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63)는 신축가능한 벨로즈로 구성되며, 스프링(19)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 벨로즈의 내측에는, 차음시트 및 흡음재가 부착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상판(20)은 전방부(201)와 상기 전방부에 힌지(21)로 연결된 후방부(20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판은, 제7도의 좌측에서 힌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외부림(1)에 연결되어, 외부림(1)의 상방 개구부를 덮도록 개폐될 수 있다. 외부림(1)은 상단면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예컨대 높이 5mm의 고무패킹(32)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판(20)이 폐쇄될 때, 상판(20)과 외부림(1) 사이의 약 5mm의 틈새를 통해 소리가 누출되지 않는다. 상판(20)의 전방부(201)측의 케이스(5) 내부에는, 악보대 조립체(22, 제6도 참조)가 수납되어 있다. 악보대가 사용될 때는, 전방부(201)가 후방부(202)를 향해 접혀진 후, 악보대가 세워진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것과 다르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악보대 조립체(22)와 현이 연장되는 플레이트(23) 사이에는 차음판(71)이 설치되며, 상기 차음판의 좌우측면과 전방측면은 외부림(1)과 상부빔(24)에 각각 밀착되어 있다. 차음판(71)에는, 상기 차음판의 후방단부와 상판(20)의 후방부(202)의 전방에지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25)를 개폐하는 차음용 개폐판(26)이 상기 차음용 개폐판의 하부단에서 차음판(71)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차음용 개폐판(26)의 개방 정도는, 상기 차음용 개폐판(26)의 이면(裏面)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부재(27; 통상 악보대 지지대로 칭함)를 차음판(71) 상의 톱니형상 요철(凹凸)의 적당한 위치에 거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차음판(71)과 차음용 개폐판(26)은 한쪽 면에 화장재를 다른 쪽 면에 차음시트를 각각 부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음판(26)의 상판(20)의 후방부(202) 쪽 면에는 고무패킹(341)이 부착되어 있다. 차음용 개폐판(26)이 상판(20)의 후방부(202)의 나무손잡이(butt)에 접하도록 세워진 상태에서 그랜드 피아노가 연주될 때, 개폐판(26)이 진동하여 차음용 개폐판이 상기 나무손잡이에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무패킹(342, 343)이 차음용 개폐판(26)의 좌우측면 뿐만 아니라 차음판(71)의 전방측면과 좌우측면에도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빔(24)과 외부림(1)의 가공 정밀도가 다소 불량해도, 고무패킹이 틈새로서 비정밀도를 충분히 흡수하므로, 차음용 개폐판(26)과 좌우측판(30) 사이 뿐만 아니라 차음판(71)과 상부빔(24)과 외부림(1) 사이에서 소리가 누출되지 않고, 틈새가 생기지 않는다. 제7도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음판(71)은 양측으로 각각 힌지(29)에 의해 예를 들어 2곳에서 접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차음판(71)의 양측이 2곳에서 접혀지면, 차음판(71)이, 악보대 조립체(제8도에 도시되지 않음)를 지지하기 위해 외부림(1)에 설치된 좌우측판(30)을 제거하지 않고 악보대 조립체(22)와 현이 연장되는 판(2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5)의 하방 개구부에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폐부재(61)를 갖는 차음판(72)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개폐부재(61)를 대신, 상술된 개폐부재(62, 63)가 사용되어도 된다.
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정적이 특히 요구되는 야간에 악보를 보면서 그랜드 피아노가 연주되는 경우, 케이스(5)의 하방 개구부에 설치된 차음판(72)의 개폐부(61)가 폐쇄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의 상방의 차음판(71)의 차음용 개폐판(26)이 세워져서 개구부(25)가 폐쇄된다. 이렇게 하여, 현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케이스(5) 내부에 가두어지고, 따라서 외부로 방출되는 소리가 현저하게 줄어든다. 소리가 다소 증가되어도 좋은 경우에는, 케이스(5)의 상방의 차음판(71)의 차음용 개폐판(26)과 하방의 개폐부(61)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어 음량이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음량을 그다지 신경 쓸 필요가 없는 경우, 차음용 개폐판(26)과 개폐부(61) 양쪽이 모두 최대로 개방되면, 음량이 최대로 될 수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의 차음판(71)에 차음용 개폐판(26)과는 별도로 개폐판(35)이 추가로 설치되면, 상기 개폐판을 손잡이(36)로 개폐함으로써 음량의 조절이 보다 현저하게 될 수 있다.
항상, 음량을 현저하게 작게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차음판(72)이 케이스(5)의 하방 개구부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제11도는 개폐부(61)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로드(9)는 루버 보드(8)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고, 수평부재(10)는 상기 로드(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참조 부호 33은 합성 수지 등으로 제조된 실드판을 표시하며, 이 실드판은, 상술된 바와 같이, 손가락 등이 로드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없도록 수평부재(10)와 로드(9)를 연결하는 연결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부재(10)에 고정되어 있다. 참조 부호 37은 소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루버 보드(8)의 전방단에 지지판을 통해 부착되어 있는 고무 패킹을 나타낸다.
제12도는 조작부재의 다른예를 도시한다.
이 조작부재는, 와이어(11), 일단에 와이어(11)가 연결되고 또한 상술된 일단과 키 베드(2)의 하부 사이에 스프링(38)이 연장되는 제1레버(39), 전방단이 키 베드(2)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재(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제2레버(41)를 구비하며, 상기 제1레버(39)의 타단은 상기 제2레버(41)의 중간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술된 스프링(38)은, 전방단의 손잡이(42)에 의해 제2레버(41)가 회전되어 제1레버(39)에 연결된 와이어(11)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술된 루버가 폐쇄방향에서 개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루버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와이어를 끌어당기는 스프링력이 발생되도록 스프링의 일단이 위치 결정되어 키 베드(22)에 부착된다. 참조 부호 43은 소망의 위치에 제2레버(41)를 멈추게 하는 스톱퍼(43, stopper)를 나타낸다.
이 조작부재에 따르면, 루버는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또는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비교적 빠르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레버(41)가 회전되어 루버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가 회전될 때, 그 도중에 손이 제2레버에서 떨어져도, 루버는 부드럽게 개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루버가 자체 중량으로 개방되려고 해도, 스프링에 의해 루버에 폐쇄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작용되지 때문이다. 루버가 폐쇄되어야 할 때는, 제2레버(41)가 스토퍼(43)에 맞닿을 때까지 손잡이(42)에 의해 제2레버(41)가 회전된다.
참조 부호 44는 제1레버(39), 제2레버(41) 및 스프링(38)과 같은 각 부재 사이에 손가락 등이 무의식적으로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드부재를 나타내며, 상기 실드부재는 키 베드(2)의 하부에 나사고정된다.
제13도는 제1도와 제6도에 도시된 음량조절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는, 차음판[7(72)]과 음향판(46) 사이에 공간에 에어백(4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백(45)은 완전히 개방된 개폐부(61) [개폐부(62또는 63)도 가능]에 장착되거나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에어백은 튜브(47)를 통해 풋펌프(foot pump)에 연결되어 있다.
개폐부(61)가 폐쇄된 상태에서 음량이 더 감소되어야 되는 경우, 풋펌프(48)에서 공기가 보내져 에어백(45)이 팽창되어 음향판(46)과 에어백(45)이 압착됨으로써, 음향판(46)의 진동이 억제된다.

Claims (9)

  1. 하방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방 개구부를 덮으며 개폐부를 갖는 제1차음판; 상기 차음판에 조작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개폐부의 개폐부재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이 나사결합되고 일단에 손잡이가 부착된 회전가능 나사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개폐가능한 루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루버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조작부재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개폐가능한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조작부재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개폐가능한 벨로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로즈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조작부재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5. 그랜드 피아노의 케이스의 하방 개구부가 개폐부를 갖는 차음판으로 덮이고, 상기 개폐부는 개폐될 수 있는 루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루버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조작부재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루버에 연결된 와이어, 일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부 사이에 스프링이 연장되어 있는 제1레버,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재에 의해 전방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중간부에 상기 제1레버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는 제2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레버 및 상기 제1레버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2레버의 회전에 응답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루버가 폐쇄방향에서 개방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루버를 개방방향에서 폐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끌어당기는 스프링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6. 개폐가능한 케이스의 상판이 힌지로 서로 연결된 전방부와 후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부측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세우고 눕힐 수 있는 악보대가 장착된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내에 장착되어 있는 현이 연장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밀착하는 상기 악보대 사이에 제2차음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2차음판상에 차음용 개폐판이 상기 차음용 개폐판의 하부에지에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제2차음판의 후방단부와 상기 상판의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조작되고, 상기 차음용 개폐판의 이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악보대 지지대로 불리우는 부재를 상기 제2차음판상의 톱니형상 요철의 적당한 위치에 거는 것에 의해, 상기 차음용 개폐판의 개방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개폐가능한 케이스의 상판이 힌지로 서로 연결된 전방부와 후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부측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세우고 눕힐 수 있는 악보대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내에 장착되어 현이 연장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밀착하는 상기 악보대 사이에 제2차음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2차음판상에 차음용 개폐판이 상기 차음용 개폐판의 하부에지에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제2차음판의 후방단부와 상기 상판의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조작되고, 상기 차음용 개폐판의 이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악보대 지지대로 불리우는 부재를 상기 제2차음판상의 톱니형상 요철의 적당한 위치에 거는 것에 의해, 상기 차음용 개폐판의 개방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8.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판이 개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에어백이 상기 제1차음판과 음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에어백이 상기 음판에 밀착되도록 공기를 충전시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음판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공기를 방출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부를 통해 끄집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KR1019960701335A 1994-07-26 1995-07-19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KR100241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74203 1994-07-26
JP17420394 1994-07-26
PCT/JP1995/001436 WO1996003739A1 (fr) 1994-07-26 1995-07-19 Systeme pour ajuster le volume sonore de pianos a que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300A KR960705300A (ko) 1996-10-09
KR100241584B1 true KR100241584B1 (ko) 2000-02-01

Family

ID=1597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335A KR100241584B1 (ko) 1994-07-26 1995-07-19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04745A (ko)
JP (1) JP3265396B2 (ko)
KR (1) KR100241584B1 (ko)
DE (1) DE19581045C2 (ko)
WO (1) WO1996003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2510A1 (de) * 1998-01-23 1999-07-29 Seiler Ed Pianofortefab Gmbh Pianogehäuse
JP2001195055A (ja) * 1999-10-28 2001-07-1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大屋根開閉装置
US6720489B2 (en) * 2002-06-10 2004-04-13 Daniell Revenaugh Piano muter
FR2990044A1 (fr) * 2012-04-27 2013-11-01 Boris Antoine Bruno Vallas Pianos d'exterieur, pouvant rester sans abri autre que lui meme accompagne d'un siege d'exterieur egalement, capable de proteger le pianiste des intemperies ou du climat en toute saison, et de retransmettre le jeu du pianiste par video sur internet
JP6785608B2 (ja) * 2016-09-30 2020-11-1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楽器のストローク調整装置
CN107393520B (zh) * 2017-08-15 2023-08-29 北京库客音乐股份有限公司 可调音质的钢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5048A (en) * 1927-10-11 Tone control operable successively in a predetermined manner
DE140895C (ko) *
US1722978A (en) * 1924-12-03 1929-07-30 Jr John Hays Hammond Piano shutter
US2178214A (en) * 1938-02-02 1939-10-31 Story & Clark Piano Company Grand piano casing construction
JPS4524290Y1 (ko) * 1967-02-27 1970-09-24
JPS51131312A (en) * 1975-05-08 1976-11-15 Chisso Corp Sound decreasing method for a piano
JPS5647668Y2 (ko) * 1975-10-03 1981-11-07
JPS5858521B2 (ja) * 1975-10-16 1983-12-26 富士電機株式会社 ピストンガタアキユムレ−タ
DE2623208A1 (de) * 1976-05-24 1977-12-15 Martin Philipp Einrichtung an einem als klangraum dienenden gehaeuse von musikinstrumenten, insbesondere am fluegel bzw. klavier, zur beeinflussung der lautstaerke, der tondauer und der klangfarbe waehrend des spielens
JPS56110481U (ko) * 1980-01-29 1981-08-26
JPS56110481A (en) * 1980-01-31 1981-09-01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Pwm controlled power converter
JPS62184593A (ja) * 1986-02-10 1987-08-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入出金機
JPS62184593U (ko) * 1986-05-16 1987-11-24
JPH0352793A (ja) * 1989-07-19 1991-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ザ加工機
JP3052793U (ja) * 1998-03-30 1998-10-09 ニチレイマグネット株式会社 印刷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03739A1 (fr) 1996-02-08
US5804745A (en) 1998-09-08
KR960705300A (ko) 1996-10-09
DE19581045C2 (de) 2003-08-14
JP3265396B2 (ja) 2002-03-11
DE19581045T1 (de) 199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2522B2 (en) Cajon incorporating a snare carpet
JP3767106B2 (ja) 鍵盤楽器
KR100241584B1 (ko) 그랜드 피아노의 음량조절장치
KR100545953B1 (ko) 자동 상부 보드 스페이서를 구비한 건반 악기
US5165126A (en) Bed with concealed entertainment center
KR20040045310A (ko) 페달 기구를 갖는 건반 악기
US3969970A (en) Transparent grand piano tops
JPH06102861A (ja) 鍵盤楽器
US20090165628A1 (en) Upright piano
KR100594765B1 (ko) 손가락홈이 형성된 건반덮개를 구비한 키보드 음악기구
JP2500421B2 (ja) 移動間仕切
JP2004302419A (ja) 電子鍵盤楽器
JP4158035B2 (ja) 電子楽器
JPS5846469Y2 (ja) ピアノの防音板開閉機構
KR200307202Y1 (ko)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JPH06280454A (ja) 防音扉
JP3620988B2 (ja) 鍵盤楽器の鍵盤蓋装置
CN217741846U (zh) 一种音响支架
JPS5825421Y2 (ja) アツプライト型ピアノ
JPH09212155A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音量調整装置
WO2018060059A1 (de) Schallschutzhaube für musiker und büroangestellte
JP7182272B2 (ja) マイクロホン固定台
KR101325510B1 (ko) 길이조절식 패달보드가 구비된 수납케이스
JP3506843B2 (ja) 鍵盤楽器の鍵盤蓋開閉機構
US2679781A (en) Combined fallboard and stop mou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