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463B1 -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463B1
KR100240463B1 KR1019950053728A KR19950053728A KR100240463B1 KR 100240463 B1 KR100240463 B1 KR 100240463B1 KR 1019950053728 A KR1019950053728 A KR 1019950053728A KR 19950053728 A KR19950053728 A KR 19950053728A KR 100240463 B1 KR100240463 B1 KR 10024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fer
teeth
synchronizer ring
assembly
synchro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267A (ko
Inventor
김명헌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5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463B1/ko
Publication of KR97004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using gears that can be moved out of gear
    • F16H3/3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using gears that can be moved out of gear with synchro-me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403Synchronisation before shif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로나이즈링(11)의 일부의 치를 단면챔퍼치(11b)로 형성하여, 양면챔퍼치(11a)와 단면챔퍼치(11b)가 교대로 형성되어, 중립에서 1속으로의 변속시 클러치슬리브(14)의 치(14a)와 싱크로나이즈링(11)의 치(11a, 11b)의 일부(11a)만이 인덱스시 접하게 한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에따라, 중립에서 1속으로의 변속시 변속조작을 원활하게 하고 걸림감을 줄여 변속감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
제1(a)도 및 제1(b)도는 각기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종래의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의 중립에서 1속으로의 작동과정을 도시하는 부분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로나이즈링의 부분사시도이다.
제4(a)도와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의 인덱스상태와 체결되려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싱크로나이즈링 11a : 양면챔퍼치
11b : 단면챔퍼치 12 : 클러치허브
13 : 싱크로나이즈핀 14 : 클러치슬리브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수동변속기중 변속이 정숙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채용되는 관성형의 키형식의 싱크로메시기구는 제1(a)도의 사시도 및 제1(b)도의 반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측 구동기어(10)와 클러치 구동기어(20)를 동기시켜 맞물리게 하기 위해, 각기 주축(1)의 구동기어(10)와 클러치구동기어(20)의 코운에 설치된 한 쌍의 싱크로나이즈링(11)이 주축에 끼워진 클러치허브(12)의 홈에 삽입된 키이(13)의 양편에 간극을 두어 설치되며, 클러치허브(12)를 둘러싸는 클러치슬리브(14)의 전,후방향의 섭동에 의해 클러치슬리브(14)를 싱크로나이즈링(11)과 결합하여 변속을 수행하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클리치슬리브(14)의 내면에는 싱크로나이즈링과 맞물릴 기어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클러치슬리브(14)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슬리브(14)의 기어챔퍼와 싱크로나이즈링(11)의 기어챔퍼가 맞닿아 회전이 동기된 후 싱크로나이즈링(11)이 클러치슬리브(14)의 기어홈에 감합되어 기어가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제2(a)도 내지 제2(c)도에 종래의 중립에서 1단으로의 변속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상태에서 클러치슬리브(14)는 싱크로나이즈링(11)과 간극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이어 시프트레버(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여 1속으로 변속하면,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인덱스(index)되어 클러치슬리브(14)의 치(14a)의 챔퍼가 싱크로나이즈링(11)의 치(11a)의 챔퍼와 접촉한다. 이어 회전이 동기되면,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로나이즈링(11)이 회전감합되어 싱크로나이즈링(11)과 클러치슬리브(14)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는 클러치슬리브(14)의 치(14a)의 챔퍼와 싱크로나이즈링(11)의 치(11a)의 챔퍼가 인덱스시 모두 접하게되어 마찰에 따른 걸림감을 주게되며 이에따라 변속감이 좋지 않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변속시의 걸림감은 중립에서 1속으로의 변속에서 특히 심하다.
본 발명은 중립에서 1속으로의 변속시 걸림감을 극소화시키는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싱크로나이즈링의 챔퍼의 일부를 삭제하여 인덱스시 마찰을 감소시킨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본 발명에 따른 싱크로나이즈링의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싱크로나이즈링(11)은 일부의 치(11b)를 길이방향으로 절반을 삭제하여 형성된 것이다. 치의 삭제는 예컨데 하나 걸러 삭제 하던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걸러 두 개씩 삭제하던가 하여 전체의 치를 양면캠퍼치(11a)와 단면캠퍼치(11b)로 교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a)도 및 제4(b)도에 제3도의 싱크로나이즈링(11)을 사용한 중립에서 1속으로의 기어변속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즉 제2(b)도에 대응하는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조작에 따른 클러치슬리브(14)의 이동시 클러치슬리브(14)의 치(14a)의 챔퍼부는 싱크로나이즈링(11)의 양면챔퍼 치(11a)와 접촉하지만, 단면챔퍼치(11b)와는 접촉하지 않은 채 인덱스되게 된다. 그리고, 그런 상태로 동기된 후,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여 클러치슬리브(14)와 싱크로나이즈링(11)이 맞물리게 된다.
그러나, 1속에서 2속으로의 변속은 도면상 상부의 챔퍼부에 접촉하므로 본 발명의 단면챔퍼치(11b)는 중립에서 1속으로의 변속시에만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중립에서 1속으로의 클러치슬리브(14)의 이동시 클러치슬리브(14)는 싱크로나이즈링(11)의 소수의 치에서만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마찰이 감소하여 변속레버의 작동이 보다 원할하여지며, 그 결과 시프트레버의 조작이 편해지고 걸림감이 감소하여 변속감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양면챔퍼 치의 챔퍼각도나 인덱스율을 적절히 선택하여 본 발명과 조합한다면, 보다 우수한 변속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클러치 허브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 동력이 전달되도록 결합되고 다수의 치가 배열된 클러치 슬리브와, 상기한 클러치 슬리브의 치와 치합되도록 다수의 양면 챔퍼치가 순차 배치된 싱크로나이즈 링을 포함하는 싱크로나이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한 싱크로나이즈 링의 치중에서 일부를 단면 챔퍼치로 형성하여, 중립에서 1단으로의 변속 시 양면 챔퍼치만 슬리이브의 치와 맞물리고 단면 챔퍼치는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로나이즈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싱크로나이즈링의 치를 형성할 때 양면 챔퍼치와 단면 챔퍼치가 교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로나이즈 어셈블리.
KR1019950053728A 1995-12-21 1995-12-21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 KR10024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728A KR100240463B1 (ko) 1995-12-21 1995-12-21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728A KR100240463B1 (ko) 1995-12-21 1995-12-21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267A KR970046267A (ko) 1997-07-26
KR100240463B1 true KR100240463B1 (ko) 2000-03-02

Family

ID=1944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728A KR100240463B1 (ko) 1995-12-21 1995-12-21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4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267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2272Y2 (ko)
US4573371A (en) Auxiliary power transmission having synchronizing mechanism
JPS6346758Y2 (ko)
KR20010003081A (ko) 수동 변속기의 역회전 울림 방지를 위한 동기 장치 및 방법
JP2002061669A (ja) 自動車用手動変速機の同期装置
US5711186A (en) Reverse synchronizer mechanism of manual transmission for a vehicle
KR960016601B1 (ko) 변속기의 리버어스브레이크구조
KR100240463B1 (ko)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
JPH07190092A (ja) 歯車変速機の噛合装置
JP4246606B2 (ja) 変速機のシンクロ機構
JPH06159389A (ja) 変速機の同期装置
JPH0610968A (ja) クラッチ用同期装置
JPH06173971A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100418958B1 (ko) 수동변속기의싱크로나이저
KR100279983B1 (ko)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KR0149348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동기 치합장치
JPH04125318A (ja) シンクロ機構
KR20000045753A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장치
KR100337558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동기 치합장치
JPH05263835A (ja) 回転同期装置
JP2501506Y2 (ja) 変速操作装置
KR19980056861A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JPS594181Y2 (ja) 高速↓−低速段切換用変速機の同期噛合装置
JPH05215151A (ja) 変速機のシンクロメッシュ装置
KR0128591Y1 (ko) 핀타입 싱크로 나이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