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983B1 -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983B1
KR100279983B1 KR1019970067330A KR19970067330A KR100279983B1 KR 100279983 B1 KR100279983 B1 KR 100279983B1 KR 1019970067330 A KR1019970067330 A KR 1019970067330A KR 19970067330 A KR19970067330 A KR 19970067330A KR 100279983 B1 KR100279983 B1 KR 100279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er
ring
synchro
coupling structure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588A (ko
Inventor
김명헌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98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98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에 구비되는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로 아우터 링과 싱크로 이너 링의 결합 구조를 변경시킨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클러치 기어의 콘부 외측에 위치되고 내주 방향으로 연장되게 러그부가 형성된 싱크로 아우터 링과, 상기 콘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싱크로 아우터 링의 러그부가 삽입되게 홈부가 형성된 싱크로 이너 링이 포함된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에 있어서, 상기 러그부와 홈부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호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변속 중립 위치시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싱크로 아우터 링과 싱크로 이너 링이 콘부로부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에 구비되는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로 아우터 링과 싱크로 이너 링의 결합 구조를 변경시킨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동 변속기의 더블콘 싱크로나이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의 작동으로 상기 슬리이브(14)가 허브 기어(12)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싱크로 아우터 링(16)(이하 '아우터 링'이라 함) 및 싱크로 이너 링(18)(이하 '이너 링'이라 함)이 클러치 기어(20)에 내외 방향에서 클러치 작용을 함으로써 주축(11)의 회전 속도와 상기 스피드 기어(15)의 회전 속도를 동기시켜 점진적인 변속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변속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변속 포오크(13)에 의해 상기 슬리이브(14)가 이동하면 상기 싱크로 키(19)가 상기 슬리이브(14) 내면에 밀착된 돌기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싱크로 키(19)의 끝단이 상기 아우터 링(16)을 상기 클러치 기어(20) 방향으로 밀게 된다.
상기 아우터 링(16)이 이동되면서 상기 클러치 기어(20)에 결합된 콘부(17)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콘부(17)의 내측에서 이너 링(18)이 접촉되면서 내외 방향의 마찰력에 의해 클러치 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스피드 기어(15)의 회전 속도를 주축(11)의 회전 속도로 동기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 링(16) 및 이너 링(1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부(16a)와 홈부(18a)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동시에 회전하게 되나, 기어 변속시 슬리이브(14)가 상기 클러치 기어(20)와 치합될 때를 제외하고는 클러치 기어(20)의 콘부(17)에서 상기 아우터 링(16) 및 이너 링(18)이 확실하게 분리되어야 접촉부의 마모 발생이 줄어들고, 주축(11)의 회전력이 스피드 기어(15)측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아우터 링과 이너 링의 결합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 전달되는 힘(F)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슬리이브(14)가 클러치 기어(20)와 치합된 후 중립 상태로 변화될 때 도 4와 같이 아우터 링(16) 및 이너 링(18)이 클러치 기어(20)와 결합된 콘부(17)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은 아우터 링(16)과 이너 링(18)이 콘부(17)에서 확실하게 분리되지 않고 상호 마찰을 일으키게 되므로 마찰면의 마모가 증대됨은 물론 미끌림에 의한 소음도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싱크로 아우터 링과 싱크로 이너 링의 결합부를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호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중립시 콘부와 싱크로 아우터 링 및 싱크로 이너 링의 유격을 확보하여 내마모성이 증대되도록 한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는, 클러치 기어의 콘부 외측에 위치되고 내주 방향으로 연장되게 러그부가 형성된 싱크로 아우터 링과, 상기 콘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싱크로 아우터 링의 러그부가 삽입되게 홈부가 형성된 싱크로 이너 링이 포함된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에 있어서, 상기 러그부와 홈부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호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변속 중립 위치시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싱크로 아우터 링과 싱크로 이너 링이 콘부로부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더블콘 싱크로나이저가 도시된 구성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방향의 사시도로서, 종래 기술의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3a 도 2의 "B"방향 투시도,
도 3b는 종래 기술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서 싱크로 링이 이격되지 않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싱크로 링이 이격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6 : 싱크로 아우터 링 56a : 러그부
57 : 콘부 58 : 싱크로 이너 링
58a : 홈부 C,C' : 경사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기어의 콘부(57) 외측에 위치된 싱크로 아우터 링(56)은 내주 방향으로 연장되게 러그부(56a)가 형성되어, 이 러그부(56a)가 상기 콘부(57)의 내측에 위치된 싱크로 이너 링(58)의 홈부(58a)에 삽입되어 있다.
특히 상기 러그부(56a)와 홈부(58a)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호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변속 중립 위치시 상기 경사면(C)에 의해 상기 싱크로 아우터 링(56)과 싱크로 이너 링(58)이 콘부(57)로부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게 이루어져 있다.
즉 도 6에서는 3개의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 데, 먼저 도 6a 에서는 상기한 러그부(56a)만 상기 홈부(58a)에 접촉되는 측면(C)이 홈부(58a)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도 6b에서는 상기한 홈부(58a)의 내측면(C')만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c에서는 상기 러그부(56a) 및 홈부(58a)의 상호 접촉면(C,C')이 모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싱크로 아우터 링(56)과 싱크로 이너 링(58)의 결합부가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호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6에서와 같이 변속 중립 위치시 상호 접촉면(C,C')에 회전 방향의 힘(F)이 작용하면 싱크로 이너 링(58)과 싱크로 아우터 링(56)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미는 힘(F')이 발생하게 되어 콘부(57)로부터 일정하게 유격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싱크로 이너 링(58)과 싱크로 아우터 링(56)이 콘부(57)로부터 일정하게 유격됨에 따라 미끌림 마찰이 줄어 내마모성이 증대되고 윤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내구성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상기 싱크로 이너 링(58)과 싱크로 아우터 (56)링의 상호 관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며, 특히 콘부(57)와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는 변속 중립 위치시 싱크로 아우터 링과 싱크로 이너 링이 콘부로부터 일정한 유격이 유지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부의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결국 내구성 및 변속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클러치 기어의 콘부 외측에 위치되고 내주 방향으로 연장되게 러그부가 형성된 싱크로 아우터 링과, 상기 콘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싱크로 아우터 링의 러그부가 삽입되게 홈부가 형성된 싱크로 이너 링이 포함된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에 있어서,
    상기 러그부와 홈부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호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변속 중립 위치시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싱크로 아우터 링과 싱크로 이너 링이 콘부로부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부는 상기 홈부에 접촉되는 측면이 홈부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부 및 홈부의 상호 접촉면이 모두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KR1019970067330A 1997-12-10 1997-12-10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KR10027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330A KR100279983B1 (ko) 1997-12-10 1997-12-10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330A KR100279983B1 (ko) 1997-12-10 1997-12-10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588A KR19990048588A (ko) 1999-07-05
KR100279983B1 true KR100279983B1 (ko) 2001-02-01

Family

ID=6608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330A KR100279983B1 (ko) 1997-12-10 1997-12-10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010B1 (ko) * 2002-07-16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58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7374B2 (ja) クラッチ
KR100753900B1 (ko) 동기 스프링 및 동기 기구
KR100391650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이중 동기장치
KR100279983B1 (ko) 더블콘 싱크로나이저의 싱크로 링 결합 구조
KR100300727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CN113557371A (zh) 同步环
KR100422526B1 (ko) 수동 변속기의 더블 콘형 동기 장치
KR200297312Y1 (ko) 수동변속기의더블콘싱크로나이저
KR200210459Y1 (ko) 수동 변속기의 더블콘 싱크로나이저
KR100279995B1 (ko) 키리스 동기 장치의 싱크로나이저 스프링
KR100418958B1 (ko) 수동변속기의싱크로나이저
KR100337558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동기 치합장치
KR100522874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
KR100220474B1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스프링
KR200148197Y1 (ko) 클러치슬리브와변속포크의결합구조
KR100395024B1 (ko) 수동 변속기의 싱글 더블 복합식 싱크로나이저
KR200285107Y1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KR100240463B1 (ko) 싱크로나이즈어셈블리
KR100229930B1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키와 링의 접촉 구조
KR0138369Y1 (ko) 동기변속장치
KR100535055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95000120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동기제어방법 및 장치
KR100435635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JP2903701B2 (ja) 車両用手動変速機の同期装置
KR20050054562A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