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792B1 -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792B1
KR100238792B1 KR1019970052904A KR19970052904A KR100238792B1 KR 100238792 B1 KR100238792 B1 KR 100238792B1 KR 1019970052904 A KR1019970052904 A KR 1019970052904A KR 19970052904 A KR19970052904 A KR 19970052904A KR 100238792 B1 KR100238792 B1 KR 100238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propylene film
weight
shee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993A (ko
Inventor
김문선
장욱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7005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792B1/ko
Publication of KR1999003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차폐성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용융지수가 1 ~ 20 g/10분이고 융점이 140 ~ 180℃인 프로필렌계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50,0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 30,000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압출성형하여 용융쉬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용융시이트를 냉각 및 고화시켜 냉각고화된 쉬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각고화된 쉬트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기체차폐성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포장용 필름 등의 용도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차폐성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적어도 1축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필름 소재이다. 이중, 폴리프로필렌은 밀도가 0.90 ~ 0.92g/㎤으로서 범용 플라스틱중 가장 가볍고 투명하며, 내열강도, 전기절연성, 내약품성, 내굴곡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으나, 한편으로 내한 충격강도가 약하다는 결점도 지니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필렌 단량체에 에틸렌 및 기타 올레핀계의 공단량체를 첨가하여 공중합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공단량체의 유무 및 공중합체의 구조에 따라 호모 폴리머, 랜덤 코폴리머 및 임팩트 코폴리머로 대별된다. 개개의 특성을 살펴보면, 호모 폴리머는 결정성 및 용융점이 높고 강성이 우수하며, 랜덤 코폴리머는 투명도는 좋으나 결정성과 용융점이 낮고 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임팩트 코폴리머는 특히 내충격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가격이 저렴하고 인쇄 증착, 합지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가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색무취하고 환경친화성이 우수하여 포장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수지의 특성상 기체투과성이 커서 식품포장용으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장기간 보관을 요구하는 최근의 식품시장의 동향을 고려할 때 이러한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기체차폐성을 부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142250, 평 8-142251 등에서는 금속이온을 필름의 표면에 증착하는 방법을, 소 53-71182 등에서는 폴리프로필렌수지에 폴리아미드수지를 혼합하는 방법을, 소-58-213037, 소 60-90734, 소 61-203140, 소 61-225049, 소 63-280745 등에서는 폴리터벤수지를 사용하는 방법을 공개하였다. 또한, 평 3-164249 등에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계 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기체차폐성을 개선한 바 있다.
그러나, 필름의 표면에 금속이온을 증착하는 방법은 기체차폐성 효과가 가장 우수하나 공정이 추가되어 생산성의 저하가 예상되며, 특히 필름의 투명도를 해치는 문제가 있다. 폴리아미드수지를 혼합하는 방법은 폴리프로필렌과의 혼련성이 나빠 필름의 물성이 불량해지고, 폴리터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기체차폐성은 개선시키지만 슬립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기체차폐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융지수가 1 ~ 20 g/10분이고 용융온도가 140 ~ 180℃인 프로필렌계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50,0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 30,000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a) 용융지수가 1 ~ 20 g/10분이고 융점이 140 ~ 180℃인 프로필렌계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50,0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 30,000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압출성형하여 용융쉬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용융쉬트를 냉각 및 고화시켜 냉각고화된 쉬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각고화된 쉬트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중량 대비 0.1 ~ 10 중량%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중량 대비 0.01 ~ 0.1중량%의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나머지량의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0
다만,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중합도이고, 말단기 R은 하기 구조식
Figure kpo00001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락탐구조의 말단기에서 m값은 3 ~ 11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혼합물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 대비 0.1 ~ 10중량%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혼합물의 중량의 대비 0.01 ~ 0.1 중량%의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나머지량의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냉각은 20 ~ 60℃에서 실시하므로써, 상기 냉각고화된 쉬트의 밀도가 1.07g/㎤ 이하이고, 결정화도가 5 ~ 30%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이후에 상기 연신된 필름을 190 ~ 200℃에서 0.5 ~ 120초동안 열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프로필렌계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을 균일하게 혼합시킨 혼합물을 압출성형→냉각고화→1축 또는 2축 연신→열고정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로필렌계수지는 호모 폴리머, 랜덤 코폴리머 및 임팩트 코폴리머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용도에 따라서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연신필름에 요구되는 물성 및 기타 요구수준을 만족하기 위하여는 용융지수가 1 ~ 20(단위;g/10분)이고, 용융온도가 140 ~ 180℃인 프로필렌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적정 사용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 대비 0.1 ~ 10중량%이다. 만약 0.1 중량% 이하이면 기체차폐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 이상을 사용하면 혼련성이 불량해져 필름의 표면에 공극(void)이 발생하여 오히려 차폐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적정 분자량(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 50,000 g/mol이다. 만약 분자량이 10,000g/mol 이하이면 점도가 너무 작아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없고, 50,000g/mol 이상이면 점도가 너무 높아서 충분한 혼련이 어렵고 기타 가공성도 불량해진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프로필렌계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된 구조를 가지며, 분자량이 2,000 ~ 30,000 g/mol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첨가한다.
상기 화학식 1의 말단기(R)로는 에폭시기, 아미드결합중의 수소가 제거된 락탐 또는 옥사졸린 등이 있다.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반응하여 수산기(-OH) 또는 카르복실기(-COOH)를 형성함으로써 라디칼말단기를 가진 프로필렌계수지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타크릴레이트계수지의 첨가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 대비 0.01 ~ 0.1 중량%가 적당한데, 0.01 중량% 이하이면 상용성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0.1중량% 이상이면 연신파단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압출성형→냉각고화→1축 또는 2축 연신→열고정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데,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혼합물을 잘 혼련시킨 후 이를 압출하여 용융쉬트(sheet)를 만든다. 상기 압출성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가열용융은 통상적으로는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지를 가열용융하지 않고 연화시킨 상태로 성형을 실시해도 무방하다. 여기에 사용되는 압출성형기는 1축 압출성형기, 2축 동방향 또는 이방향 압출성형기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물성의 균일성을 위해 혼련성이 우수한 1축 직렬 랜덤형 압출성형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출성형기에서 상기 혼합물을 용융ㆍ혼련하여 얻은 용융물을 다이를 통하여 압출시키면 용융쉬트가 얻어진다. 사용되는 다이로는 티다이, 원고리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출기내에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용융물을 일정한 크기의 메시를 갖는 필터를 거치게 함으로써 혼련효과 및 이물질 제거효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필터는 100메시 (mesh)이상이면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로는 400메시 이상이다. 필터는 내압성이나 강도를 고려하여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 평판형, 원통형 등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또한, 압출온도는 경우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는데, 수지의 융점에서%터 분해온도+50℃까지, 즉 200 ~ 250℃의 온도범위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용융이 불가능하며, 분해온도보다 너무 높으면 분해현상이 현저해져 황화현상이 발생하고 압출기내에서 열화, 발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두번째 단계로서, 다이로부터 압출되는 용융쉬트를 급속냉각시킴으로써 고화쉬트를 제조한다. 이러한 냉각ㆍ고화과정은 기체 또는 액체 등의 냉매를 이용하는 금속롤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롤을 사용하는 경우 쉬트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고 표면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냉각온도는 쉬트의 유리전이온도 범위내에서, 바람직하기로는 20 ~ 60℃의 온도범위내에서 실시하며, 냉각속도는 3∼200℃/초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온도가 20℃ 미만이면 냉각속도가 너무 빨라서 쉬트의 강성이 순간적으로 증가하여 고화도중에 용융물이 물결치므로 안정된 성형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반면에, 냉각온도가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화된 성형물의 결정화도가 증가하여 연신적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냉각고화는 비교적 배향이 적은 상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쉬트의 밀도가 1.07g/㎤ 이하, 결정화도가 5 ~ 30%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번째 단계로서, 냉각고화된 쉬트를 적어도 1축으로 동시 또는 축차 연신시키는데, 두께의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서 축차연신을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최근 공정기술이 개선되어 동시이축연신된 필름의 물성도 상당히 개선된 상태이다. 특히, 다단연신을 하면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종방향의 연신, 즉 연속필름성형 라인방향으로의 1축연신을 하는 경우에는 쉬트의 표면을 가열하여야 한다. 연신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쉬트의 유리전이온도 내지 냉결정화온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연신온도가 쉬트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이면 시이트의 연화가 불충분하여 연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연신온도가 냉결정화온도를 초과하면 결정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균일한 기계적 물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롤의 속도차를 이용하는 1축연신은 종연신방법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생산성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신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2 ~ 5배가 바람직하다. 연신비가 2배 미만인 경우에는 연신효과를 얻을 수 없고 5배를 초과하면 이후에 실시하는 횡방향 연신이 어렵게 된다.
또한, 종방향으로의 연신은 연신된 필름의 복굴절율의 절대값|Δn|이 다음 조건을 만족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10-3≤ |Δn| ≤ 50 × 10-3
여기에서, 복굴절율의 절대값이 1×10-3미만이면 목적하는 연신효과를 얻을 수 없고, 50×10-3를 초과하면 다음 단계의 연신이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복굴절율의 절대값이 상기 범위내에 있을 수 있도록 연신온도, 연신비 등의 조건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복굴절율의 절대값은 종방향 굴절율과 횡방향 굴절율의 차이며, 편광현미경에 연결된 베렉 간섭계나 편광자를 조합시킨 레이저강도 측정 또는 아베굴절계로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방향으로 1차 연신된 필름은 필요할 경우 횡방향, 즉 필름주행방향에 대하여 90°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방법은 당해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텐터 횡연신은 가장 전형적인 연신방법인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행중인 필름의 양끝을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클립 등으로 고정하고 그 고정상태를 적당한 온도 분위기내에서 양끝의 클립사이의 거리를 점차 넓혀감으로써 실시하는 연신방법이다. 이때의 연신온도는 일정온도로 선택해도 무방하나 일반적으로 쉬트의 유리전이온도보다 5℃ 높은 온도에서 융점보다 30℃ 낮은 온도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연신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쉬트의 연화가 불충분하여 연신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표면이 일부 용해되어 균일한 두께의 필름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횡연신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3 ~ 10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연신비가 3배 미만이면 횡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10배를 초과하면 파단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연신속도는 통상적으로 1×10 ~ 1×105%/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횡방향의 연신을 통하여 연신된 필름의 복굴절율의 절대값이 40×10-3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굴절율의 절대값이 40×10-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횡의 강도의 균형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 사용되는 연신방법으로는 기체압력을 이용한 방법, 압연에 의한 방법 등 다양하며, 이들을 적당히 선택하거나 조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필름에 대해 치수안정성, 내열성, 강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고온상태에서 열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은 통상적으로 하는 방법이지만, 연신필름의 인장상태, 이완상태 또는 제한수축상태하에서 190 ~ 200℃에서 0.5 ~ 120초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열고정은 상기 범위내에서 조건을 변화시켜 2회 이상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일반공기 뿐만 아니라 아르곤가스나 질소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 분위기하에서 실시해도 무방하다. 열고정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특히 유리전이온도 부근에서 변형이 일어나기 쉬우며, 후가공성이나 사용성이 제한될 우려가 있다. 필름에 가장 적합한 열고정온도는 상기 분위기내를 통과하는 필름의 속도, 즉 처리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처리시간은 각종 조건에 따라 결정되나 통상적으로는 3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시간이 길면 성형중 필름이 늘어나는 등의 변형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각종 성능평가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1) 기체차폐성(gas barrier property)
미국 모콘(Mocon)사의 가스투과속도시험기(모델명;Oxtran Twin)를 이용하여 필름의 기체차폐성을 측정하였다.
(2) 복굴절
일본 아타고사의 굴절률 측정기(모델명: 4T)를 이용하여 종/횡 방향별 굴절률을 측정한 다음, 다음 식에 따라 복굴절률의 절대값(| Δn |)을 계산하였다.
| Δn | = αMD(종방향 굴절률) - αTD(횡방향 굴절률)
(3) 마찰계수
일본 헬돈사의 표면성시험기(모델명;Heldon-14)를 이용하여 하중 205g, 속도 150mm/min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용융지수가 2 g/10분이고 용융점이 160℃인 프로필렌계 수지 98.95kg에 PET 수지를 0.99kg을 첨가했다. 여기에서, 사용된 프로필렌계수지로는 한국 유공사의 H221제품을 사용하였으며, PET수지로는 안티몬중축합 촉매를 사용하고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2의 당량비로 반응시켜 중축합을 완료함으로써 얻은 극한점도가 0.62 ㎗/g인 중축합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와 PET 수지사이의 혼련을 개선하기 위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MA)를 0.06kg을 첨가하였다.
상기재료들을 동시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혼련성과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PET 수지와 GMA를 먼저 컴파운딩 마스터칩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길이/직경의 비가 40인 이축동방향컴파운더를 이용하여 마스터칩을 생산하였다. 이때, 컴파운더의 초기입구온도는 240℃, 최종출구온도는 280℃이며, 이때 스크루의 회전수는 350rpm, 토출되는 혼합용융물의 온도는 285℃였다. 이렇게 제조된 PET 마스터칩과 프로필렌계 수지칩을 다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건조공정을 거쳐 250℃의 압출온도와 스크루회전수 120rpm, 시간당토출량 270kg의 조건에서 압출한 후, 30℃의 캐스팅롤에서 급냉하여 고화쉬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급냉된 고화쉬트를 140℃의 온도에서 종방향으로 5배 일축연신하고 다시 150℃의 온도에서 횡방향으로 6배 연신함으로써 두께 20㎛의 필름으로 만들었다. 계속하여, 상기 필름을 200℃에서 열고정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의 복굴절율은 29×10-3으로 매우 균형적인 연신이 이루어졌으며 기체차단성과 마찰계수도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 5
필름의 제조조건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두께로 제조한 필름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굴절율의 절대값, 기체차폐성(기체투과도값이 크면 기체차폐성이 큰 것을 나타냄), 및 마찰계수가 모두 양호하였다.
비교예 1 ~ 5
필름의 제조조건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두께로 제조한 필름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굴절율의 절대값, 기체차폐성, 및 마찰계수가 모두 불량하였다. 특히, 기체투과도가 실시예 1 ~ 5의 경우와 비교할 때, 대체로 3 ~ 4배 큰 것으로 보아 기체차폐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Figure kpo00006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한 용융지수와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이들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혼합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기체차폐성과 물성이 우수하여 포장용 필름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의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용융지수가 1 ~ 20 g/10분이고 용융온도가 140 ~ 180℃인 프로필렌계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50,0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 30,000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중량 대비 0.1 ~ 10 중량%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중량 대비 0.01 ~ 0.1중량%의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나머지량의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화학식 1〉
    Figure kpo00002
    다만,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중합도, 말단기 R은 하기 구조식
    Figure kpo00003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락탐구조의 말단기에서 m값은 3 ~ 11이다.
  4. (a) 용융지수가 1 ~ 20 g/10분이고 융점이 140 ~ 180℃인 프로필렌계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50,00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 30,000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압출성형하여 용융쉬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용융쉬트를 냉각 및 고화시켜 냉각고화된 쉬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냉각고화된 쉬트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혼합물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 대비 0.1 ~ 10중량%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혼합물의 중량 대비 0.01 ~ 0.1 중량%의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나머지량의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kpo00004
    다만,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중합도, 말단기 R은 하기 구조식
    Figure kpo00005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여기서, 상기 락탐구조의 말단기에서 m값은 3 ~ 11이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냉각은 20 ~ 60℃에서 실시하므로써, 상기 냉각고화된 쉬트의 밀도가 1.07g/㎤ 이하이고, 결정화도가 5 ~ 30%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이후에 상기 연신된 필름을 190 ~ 200℃에서 0.5 ~ 120초동안 열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70052904A 1997-10-15 1997-10-15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3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904A KR100238792B1 (ko) 1997-10-15 1997-10-15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904A KR100238792B1 (ko) 1997-10-15 1997-10-15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993A KR19990031993A (ko) 1999-05-06
KR100238792B1 true KR100238792B1 (ko) 2000-01-15

Family

ID=1952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904A KR100238792B1 (ko) 1997-10-15 1997-10-15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242A (ko) 2022-08-05 2024-02-14 김현민 알코올 농도 측정 기반 모빌리티 인터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242A (ko) 2022-08-05 2024-02-14 김현민 알코올 농도 측정 기반 모빌리티 인터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993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8906B1 (en) Polylactic acid film
JPS6147234A (ja) 熱収縮性ポリプロピレン系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S5884821A (ja) コポリエステル繊維またはフイルムおよびそれらの製法
KR100238792B1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2104715A (ja) 立体規則性ポリスチレン繊維の製造方法
DE69926623T2 (de) Darstellung von polyalkylenterephthalatfilmen mit geringerer gasdurchlässigkeit durch spannungsinduzierte kristallisation
JPH09300892A (ja) 転写箔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38790B1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0326405A (ja) 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329763A (ja) 蛍光灯収縮包装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2204020A (ja) 成形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成形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成形容器用フィルム
KR100269876B1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832498B2 (ja) 転写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56557B1 (ko) 제전성 및 은폐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JP2611413B2 (ja) 高強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7196821A (ja) 深絞り成形同時転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15197549B (zh) 一种纳米凹凸棒土共聚peg的快速结晶pet树脂及其制备方法
KR100210236B1 (ko) 다층 고분자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H0657116A (ja) 延伸安定性に優れたチューブラ二軸延伸フィルム用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JPH089802B2 (ja) 超高分子量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の分子配向成形体
KR20050096602A (ko) 꼬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필름
JPS621732A (ja) ポリエステル発泡体の製造法
KR20010109407A (ko)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축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JPS62250224A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未延伸体の製造方法
KR20160002212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