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790B1 -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790B1
KR100238790B1 KR1019970048559A KR19970048559A KR100238790B1 KR 100238790 B1 KR100238790 B1 KR 100238790B1 KR 1019970048559 A KR1019970048559 A KR 1019970048559A KR 19970048559 A KR19970048559 A KR 19970048559A KR 100238790 B1 KR100238790 B1 KR 10023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ing
polypropylene film
sheet
film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446A (ko
Inventor
장욱
김문선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7004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7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26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3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polyenes, i.e. containing more than one unsaturated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분이고 융점이 140 내지 180℃인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및 에틸렌과 부틸렌의 공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을 압출성형하여 용융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융시이트를 냉각, 고화시켜 냉각고화된 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고화된 시이트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저온접착성 및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포장용 필름 등에 사용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접착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적어도 1축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필름 소재이다. 이 중, 폴리프로필렌은 밀도가 0.90 내지 0.92g/㎤으로서 범용 플라스틱중 가장 가볍고 투명하며, 내열강도, 전기절연성, 내약품성, 내굴곡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으나, 한편으로 내한 충격강도가 약하다는 결점도 지니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필렌 모노머에 에틸렌 및 기타 올레핀계의 모노머를 첨가하여 공중합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저분자량 모노머의 유무 및 공중합체의 구조에 따라 호모 폴리머, 랜덤 코폴리머 및 임팩트 코폴리머로 대별된다. 개개의 특성을 살펴보면, 호모 폴리머는 결정성 및 용융점이 높고 강성이 우수하며, 랜덤 코폴리머는 투명도는 좋으나 결정성과 용융점이 낮고 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임팩트 코폴리머는 특히 내충격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가격이 저렴하고 인쇄 증착, 합지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가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색 무취하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서 포장용 필름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표면결정화도가 높고 결정크기가 커서 필름간의 접착개시온도가 높기 때문에, 포장용 필름이 갖추어야 할 조건 중의 하나인 저온접착성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 경우, 저온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저분자량 수지로 코팅하거나 접착제로 일차가공을 실시해야 하는데, 이렇게 별도의 전처리 공정이 추가되면 필름제조에 있어서 경제성이 확보될 수 없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치수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별도의 전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필름의 저온접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2-109580, 소52-125586, 소53-86780, 평7-166024 및 평8-11271 등에서는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 공중합체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최종필름의 접착성 개선을 이루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49-89775에서는 폴리프로필렌에 신디오텍틱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사용하여 접착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66006에서는 폴리프로필렌에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최종필름의 접착온도를 낮출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에틸렌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저온접착성 개선에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연신상태의 불량으로 치수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신디오텍틱 폴리프로필렌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접착효과를 높일 수는 있으나, 신디오텍틱 폴리프로필렌은 다량생산이 곤란하여 그 공급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고,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균일한 혼련이 어려운 관계로 혼련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필름간의 블로킹 현상이 심해서 권취작업이 어렵고 필름의 신도(늘어남 현상)가 커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온접착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분이고 융점이 140 내지 180℃인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및 에틸렌과 부틸렌의 공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을 압출성형하여 용융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융시이트를 냉각, 고화시켜 냉각고화된 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고화된 시이트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는 호모폴리머, 랜덤 코폴리머 또는 임팩트 코폴리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단, 치수안정성 및 저온접착성의 개선을 위하여 용융지수 및 융점을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과 부틸렌의 공중합체 수지는 그 함량이 전체 폴리프로필렌 필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이고, 에틸렌과 부틸렌의 중합몰비가 1:1 내지 1: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과 부틸렌을 공중합한 상기 공중합체 수지는 부틸렌 모노머의 우수한 접착성과 에틸렌 모노머의 우수한 혼련성이 적절히 결합된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동시에 사용됨으로써 최종필름의 저온접착성 및 치수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중합반응시 두 개의 무노머를 투입하여 공중합하는 것이 필요하나, 컴파운딩에 의한 용융혼련을 통해서도 소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틸렌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필름의 접착성은 상당히 개선되나 필름간의 블로킹현상이 심해 권취작업이 어려워지고 또한 필름표면에 얼룩무늬가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부틸렌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저온접착성 및 치수안정성을 목적하는 수준까지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즉, 에틸렌과 부틸렌의 공중합체를 전체 폴리프로필렌 필름 100중량부 기준으로 1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연신공정에서 파단이 발생하여 권취가 어렵고,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소정의 물성 개선효과를 성취할 수 없다.
이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원료수지(들)를 압출성형하여 시이트로 제조한 다음, 상기 시이트를 연신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첫 번째로, 압출성형공정에 있어서 상기 원료수지의 가열용융은 통상적으로는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지를 가열용융하지 않고 연화시킨 상태로 성형을 실시해도 무방하다. 여기에 사용되는 압출 성형기는 1축 압출 성형기, 2축 동방향 또는 이방향 압출 성형기를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물성의 균일성을 위해 1축 직렬 랜덤형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출기에서, 용융 프로필렌계 수지를 용융, 혼련한 다음, 다이를 통하여 압출시키면 용융시이트가 얻어진다. 사용되는 다이로는 티-다이, 원고리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출기내에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용융 수지로 하여금 일정 크기의 메시를 갖는 필터를 거치게 함으로써 혼련 효과 및 이물질 제거 효과를 동시에 얻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필터는 100메시 이상이면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로는 400메시 이상이다. 필터는 내압성이나 강도를 고려하여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평판형, 원통형 등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또한, 압출 온도는 경우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으며, 수지의 융점에서부터 분해 온도+50℃까지, 즉 200 내지 250℃의 온도범위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용융이 불가능하며, 분해 온도보다 너무 높으면 분해 현상이 현저해져 황화 현상이 발생하고 압출기내에서 열화, 발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단계로서, 다이로부터 압출되는 용융시이트를 급속 냉각, 고화시켜 냉각고화된 시이트를 제조한다. 이러한 냉각, 고화과정은 기체나 액체 등의 냉매를 이용하는 금속롤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롤을 이용하는 경우 시이트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거나 표면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냉각은 시이트의 유리전이온도 범위내,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60℃의 온도범위에서 실시하며, 3∼200(℃/초)의 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온도가 20℃ 미만인 경우에는 냉각 속도가 너무 빨라서 시이트의 강성이 순간적으로 증가하여 고화도중에 용융물이 물결치므로, 안정된 성형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반면에,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화된 성형물의 결정화도가 증가하여 연신 적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냉각고화의 조건으로는 비교적 배향이 적은 상태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시이트의 밀도가 1.07g/㎤ 이하, 결정화도가 5 내지 30%가 되도록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고화된 시이트를 적어도 1축으로 동시 또는 축차 연신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두께의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서 축차연신을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다단연신을 하면 기계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종방향의 연신, 즉 연속 필름 성형 라인방향으로의 1축연신을 하는 경우에는 시이트 표면을 가열하여야 한다. 연신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시이트의 유리전이온도 내지 냉결정화 온도 범위, 즉 100 내지 1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시이트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이면 시이트의 연화가 불충분하여 연신이 용이하게 이루지지 않으며, 냉결정화 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결정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균일한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연신방법으로서는, 롤의 속도차를 이용하는 1축 종연신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생산성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신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2 내지 5배가 바람직하다. 연신비가 2배 미만인 경우에는 연신효과를 얻을 수 없고 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후에 실시하는 횡방향 연신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방향으로의 연신은 연신된 필름의 복굴절율의 절대값|Δn|이 다음 조건을 만족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10-3≤ |Δn| ≤ 50 × 10-3
여기에서, 복굴절율의 절대값이 10-3미만이면 목적하는 연신효과를 얻을 수 없고, 50×10-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의 연신이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복굴절율의 절대값이 상기 범위내에 올 수 있도록 연신온도, 연신비 등의 조건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복굴절율의 절대값은 종방향 굴절율과 횡방향 굴절율의 차이며, 편경 현미경에 연결된 베렉 간섭계나 편광자를 조합시킨 레이저 강도 측정 또는 아베 굴절계로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방향으로 1차 연신된 필름은 필요할 경우 횡방향, 즉 필름 연속방향의 90°의 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방법은 당해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텐터 횡연신은 가장 전형적인 연신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행중의 필름 양끝을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클립 등으로 고정하고 그 고정상태를 적당한 온도 분위기내에서 양끝의 클립간 거리를 점차 넓혀감으로써 실시하는 연신방법이다. 이 때의 연신온도는 일정온도로 선택해도 무방하나 일반적으로 시이트의 유리전이온도보다 5℃ 높은 온도에서 융점보다 30℃ 낮은 온도 범위로, 바람직하기로는 140 내지 170℃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연신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시이트의 연화가 불충분하여 연신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표면이 일부 용해되어 균일한 두께의 필름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횡연신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3 내지 10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연신비가 3배 미만이면 횡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10배를 초과하면 파단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연신 속도는 통상적으로 1×10 내지 1×105%/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횡방향의 연신을 통하여 연신된 필름의 복굴절율의 절대값이 40×10-3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굴절율의 절대값이 40×10-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횡의 강도 균형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 사용되는 연신방법으로는 기체압력을 이용한 방법, 압연에 의한 방법 등 다양하며, 이들을 적당히 선택하거나 조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필름에 대해 치수안정성, 내열성, 강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고온상태에서 열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은 통상적으로 하는 방법이지만, 연신필름의 인장상태, 이완상태 또는 제한 수축상태하에서 180 내지 200℃에서 0.5 내지 120초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열고정은 상기 범위내에서 조건을 변화시켜 2회 이상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일반 공기 뿐만 아니라 아르곤 가스나 질소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 분위기하에서 실시해도 무방하다. 열고정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특히 유리전이온도 부근에서 변형이 일어나기 쉬우며, 후가공성이나 사용성이 제한될 우려가 있다. 필름에 가장 적합한 열고정온도는 상기 분위기내를 통과하는 필름의 속도, 즉 처리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처리시간은 각종 조건에 따라 결정되나 통상적으로는 3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시간이 길면 성형중 필름이 늘어나는등의 변형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렇게 연신된 필름은 50 내지 90%의 결정화도를 갖고 흡습팽창계수가 10-6내지 10×10-6%/RH, 흡열팽창계수 10-6내지 10×10-6%/℃로 치수안정성이 특히 우수한 필름이 된다. 결정화도가 50% 이하가 되면 비연신부분이 상존하는 관계로 기계적특성이 떨어지며 90% 이상이 되면 지나치게 결정이 이루어져 접착특성이 불량해진다. 흡열팽창계수와 흡습팽창계수가 1×10-6% 이하가 되면 기계적 특성이 떨어지고 10×10-6% 이상이 되면 외부환경에 따라 지나치게 민감하게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관중이나 후가공 공정중에 필름의 변형이 이루어져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따라 제조된 필름의 각종 성능평가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1) 흡습팽창계수(αB)
울박(ULVAC)사(일본)의 열적기계특성 평가기(TMA, 모델명: TM-7000)를 이용하여 하중 5g, 상대습도 20 내지 50%의 조건하에서 필름의 변형상태를 평가하였다.
(2) 흡열팽창계수(αT)
울박(ULVAC)사(일본)의 열적기계특성 평가기(TMA, 모델명: TM-7000)를 이용하여 하중 5g, 상대습도 20 내지 100%의 조건하에서 필름의 변형상태를 평가하였다.
(3) 복굴절
아타고사(일본)의 굴절률 측정기(모델명: 4T)를 이용하여 종/횡 방향별 굴절률을 측정한 다음, 다음 식에 따라 복굴절률의 절대값(| Δn |)을 계산하였다.
| Δn | = αMD(종방향 굴절률) - αTD(횡방향 굴절률)
(4) 결정화도
사염화탄소와 노르말헵탄으로 이루어진 밀도구배관을 25℃로 유지하고 부침법에 의해 필름의 비중(X)을 측정한 다음, 아래와 같은 관계식에 의해 결정화도를 계산하였다.
결정화도(%) = 0.936/X × (X-0.850)/(0.936-0.850) × 100
여기서, α형 결정체의 비중 : 0.936
잔류된 무정형의 비중 : 0.850
(5) 접착온도 평가
도요 세이키사(일본)의 열경사 시험기(모델명: HG-100)를 이용하여 3㎏/㎠의 압력으로 2초동안 봉합시킨후, 일정 봉합강도를 나타낼 때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초기봉합온도로 정하였다.
<실시예 1>
용융지수가 2g/10분이고 용융점이 160℃인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에틸렌 모노머와 부틸렌 모노머를 1:2의 몰비로 공중합한 공중합체를 최종 필름 100중량부 기준으로 2중량부 첨가한 후, 혼합된 수지를 245℃, 스크류 rpm 120의 압출조건하에서 시간당 279㎏을 토출시킨 후, 30℃의 캐스팅 롤에서 급냉시켜 투명한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급냉된 상기 시이트를 이용하여 150℃의 온도에서 종방향으로 3배 1축연신하였다. 이렇게 1축연신된 필름은 다시 160℃ 온도에서 횡방향으로 7배 연신후, 200℃에서 열고정시켰다. 이러한 단계별 공정을 거쳐 권취된 20㎛ 두께를 가진 최종 필름은 흡습팽창계수 3×10-6%/RH, 흡열팽창계수 2×10-3%/℃로 치수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또 필름의 결정 및 배향상태를 평가하는 복굴절의 절대값이 25×10-3으로 매우 균형적인 연신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이렇게 만들어진 필름은 결정화도가 85%이며 초기봉합온도도 95℃로 저온접착성이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필름의 제조조건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필름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
필름의 제조조건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필름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필름의 경우, 하나 이상의 물성이 불량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 공정온도 연신비(종/횡) 필름물성
용융지수 용융온도 조성비(mol) 첨가량 압출 냉각 연신
에틸렌 부틸렌 흡습팽창계수 흡열팽창계수 |Δn| 결정화도 초기봉합온도
단위 g/10분 - - 중량부 - %/RH %/℃ - %
실시예 1 2.0 160 1 2 2 245 30 150 169 3/7 3×10-6 2×10-5 25×10-3 85 95
2 5.9 160 1 1 1.1 220 25 148 155 3/6 4×10-6 3×10-5 16×10-3 80 92
3 3.3 150 1 3 3.2 242 32 149 156 4/8 2×10-6 6×10-5 32×10-3 75 89
4 9.6 168 1 4.2 2.9 230 40 152 162 5/6 1×10-6 3×10-5 20×10-3 81 91
5 16.2 152 1 2.9 5.6 245 45 156 160 3/9 5×10-6 3×10-5 23×10-3 76 90
비교예 1 3.3 162 1 8.2 2.3 241 25 152 164 4/8 16×10-6 13×10-5 22×10-3 79 85
2 4.2 158 1 3.2 15 250 35 155 160 4/7 19×10-6 21×10-5 19×10-3 82 91
3 3.5 165 1 3.6 2.3 280 65 152 162 4/6 2×10-6 3×10-5 16×10-3 92 135
4 6.2 162 1 1.7 1.6 270 30 142 160 2/8 12×10-6 11×10-5 65×10-3 86 125
5 4.1 156 1 2.5 3.2 262 42 152 162 6/2 9×10-6 15×10-5 52×10-3 91 133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용융지수와 용융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특정 몰비로 조성된 에틸렌과 부틸렌의 공중합체를 특정량 첨가한 후, 공정조건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저온접착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여 포장용 필름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의 필름으로 사용적합하다.

Claims (10)

  1.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분이고 융점이 140 내지 180℃인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및 에틸렌과 부틸렌의 공중합체 수지의 혼합물을 압출성형하여 용융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융시이트를 냉각,고화시켜 냉각고화된 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고화된 시이트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는 호모 폴리머, 랜덤 코폴리머 및 임팩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과 부틸렌의 공중합체 수지는 그 함량이 전체 폴리프로필렌 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이고, 에틸렌과 부틸렌의 중합몰비가 1: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은 200 내지 250℃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은 20 내지 60℃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은 시이트의 밀도가 1.07g/㎤ 이하이고 결정화도가 5 내지 30%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종방향 연신으로서, 연신된 필름의 복굴절률 절대값이 1×10-3≤ | Δn | ≤ 50×10-3이 되도록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종방향 연신 후에 횡방향 연신을 실시하는 2축연신으로서, 연신된 필름의 복굴절률 절대값이 | Δn | ≤ 40×10-3이 되도록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연신된 필름에 대하여 180 내지 200℃에서 0.5 내지 120초동안 추가로 열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19970048559A 1997-09-24 1997-09-24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3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559A KR100238790B1 (ko) 1997-09-24 1997-09-24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559A KR100238790B1 (ko) 1997-09-24 1997-09-24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446A KR19990026446A (ko) 1999-04-15
KR100238790B1 true KR100238790B1 (ko) 2000-01-15

Family

ID=1952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559A KR100238790B1 (ko) 1997-09-24 1997-09-24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288B1 (ko) * 2000-12-14 2003-05-09 주식회사 인텍코리아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US20220064388A1 (en) * 2018-12-28 2022-03-03 Toyobo Co., Lt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446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07549B2 (en) Stretched styrene-based resin moldings and a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N108137897B (zh) 光学材料用树脂组合物和包含其的光学膜
KR100238790B1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52824B1 (ko) 포장재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38792B1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S5941310A (ja) 弗化ビニリデン樹脂成形物
JPH0250817A (ja) プラスチック連続体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0252825B1 (ko) 포장재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0248731B1 (ko) 포장재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0256557B1 (ko) 제전성 및 은폐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100269876B1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52827B1 (ko) 백색의 이축배향된 삼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JPH09295344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215480B1 (ko) 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100210236B1 (ko) 다층 고분자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80075559A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2175228A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系配向成形品
KR100274181B1 (ko) 방청 특성이 우수한 고분자 필름
JP2022116820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560163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59457A (ja) 二軸延伸フィルム用プロピレン−エチレンランダム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軸延伸フィルム
KR19990038919A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03338A (ko)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방법
KR0157089B1 (ko)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13861627A (zh) 光学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