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697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697B1
KR100238697B1 KR1019920010957A KR920010957A KR100238697B1 KR 100238697 B1 KR100238697 B1 KR 100238697B1 KR 1019920010957 A KR1019920010957 A KR 1019920010957A KR 920010957 A KR920010957 A KR 920010957A KR 100238697 B1 KR100238697 B1 KR 100238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display screen
black
signa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681A (ko
Inventor
유다까 가마구찌
세이이찌 니시야마
히사오 사꾸라이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1380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386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01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6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display unit)에 있어서 제1의 애스펙트비(aspect ratio)를 가진 제1표시 화면 내의 흑레벨(black level)과, 제2의 애스펙트비를 가진 제2표시 화면 내의 흑레벨을 소정 레벨로 설정한다. 영상신호의 가장 어두운 신호를 제2표시 화면에 대응하는 영상 영역으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가장 어두운 신호를 제1표시 화면에 대응하는 영상 영역에 있어서 소정 레벨로 낮춘다. 이로써, 본래 낮추어져야 할 제2표시 화면의 영상신호가 낮추어지지 않을 염려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DISPLAY UNI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 화면 상에 상이한 애스펙트비를 가진 영상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화면의 애스펙트비(aspect ratio)가 4:3으로 이루어지는 NTSC 방식용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밝은 배경과 머리카락과의 경계와 같이 평균휘도 레벨이 높은 영상에 대해 약간의 흑신호(black signal)가 포함되는 경우, 시각상 머리카락의 흑색이 떠보이기 때문에 흑신호의 신호 레벨을 낮추어서 보다 검게 보이게 하는 흑신호 보정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 흑신호 보정 방식은 영상신호 중의 가장 검은 신호 레벨을 검출하여, 흑신호 레벨을 기초 레벨(pedestal level)까지 낮추어서 보다 검게 보이게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흑신호 보정 방식을 하이비젼용의 수상기에 적용하여 영상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면 한층 더 고화질의 영상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동일화면 상에 표시영역이 상이한 2개의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흑신호를 보정함으로써 한층 더 화질이 높은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일실시예의 회로 구성도.
제2도는 흑레벨 검출신호 및 블랭킹 펄스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제3도는 평균휘도 레벨이 높은 영상신호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제4도는 전영상표시 영역에 동등한 신호 레벨을 가진 영상신호가 입력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흑레벨 보정회로 3 : 흑레벨 홀드회로
6 : 흑레벨 신장회로 S1 : 흑레벨 검출신호
S2 : 블랭킹 펄스신호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1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제1표시화면 영역; 제2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제2표시화면 영역; 상기 제2표시화면 영역을 부분적으로 경계를 형성하는 흑테두리 영역; 영상이 상기 제1표시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표시 장치의 영상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소정 레벨로 낮추는 신호 레벨 신장 수단; 및 상기 영상이 제2표시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2표시화면 내의 영상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흑테두리 영역을 무시하는 신호 레벨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레벨 신장 수단은 상기 영상이 상기 신호 레벨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화면표시 영역 상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표시장치의 영상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소정 레벨로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발명에서는, 제1의 애스펙트비 16:9를 가진 제1표시 화면(ARA) 중에 종방향의 화면 길이가 제1표시 화면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횡방향의 화면 길이가 제1표시 화면 길이에 대해 짧은 제2애스펙트비 4:3를 가진 제2표시 화면(ARN)을 표시하고, 당해 제2표시 화면(ARN)의 잉여 화면(ARB)에 흑레벨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1)에 있어서, 제1표시 화면(ARA) 중에 영상을 표시할 때, 당해 표시 화면 전체에 걸쳐서 영상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소정 레벨로 낮추는 신호 레벨 신장수단(6)을 구비하도록 한다.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제1표시 화면(ARA) 중에 영상을 표시할 때, 신호 레벨 신장수단(6)은 제1표시 화면(ARA) 중에 표시되는 영상의 흑신호를 흑레벨보다 낮추어서 출력함으로써, 제2표시 화면(ARN)과 잉여 화면(ARB)에 동일한 신호 레벨의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에 당해 영역의 경계가 시각상 감지될 우려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1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제1표시화면 영역; 제2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제2표시화면 영역; 상기 제2표시화면 영역을 부분적으로 경계를 형성하는 흑테두리 영역; 영상이 제2표시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2표시화면 내의 영상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신호 레벨 검출 수단; 및 상기 신호 레벨 검출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레벨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소정 레벨로 낮추는 상기 신호 레벨 신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에서는, 제1의 애스펙트비 16:9를 가진 제1표시 화면(ARA) 중에 종방향의 화면 길이가 제1표시 화면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횡방향의 화면 길이가 제1표시 화면 길이에 대해 짧은 제2의 애스펙트비 4:3를 가진 제2표시 화면(ARN)을 표시하고, 당해 제2표시 화면(ARN)의 잉여 화면(ARB)에 흑레벨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1)에 있어서, 제2표시 화면(ARA)에 영상을 표시할 때, 흑테두리 화면(ARB)을 제외한 제2표시 화면(ARN)내에서만 영상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신호 레벨 검출수단(3)과, 신호 레벨 검출수단(3)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신호 레벨을 소정 레벨로 낮추는 신호 레벨 신장수단(6)을 구비하도록 한다.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제1표시 화면(ARA) 중 제2표시 화면(ARN)에 영상을 표시할 때, 당해 제2표시 화면(ARN)내에서만 신호 레벨 검출수단(3)에 의해 영상 신호(VIN)의 흑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흑신호를 신호 레벨 신장수단(6)으로 흑레벨보다 낮춤으로써, 신호 레벨 검출수단(6)이 잉여 화면(ARB)의 영상을 가장 어둡다고 오검출함으로써, 본래 낮추어야 할 제2표시 화면(ARN)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이 소정 레벨로 낮추어지지 않을 우려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전체로서 흑레벨 보정회로를 표시하고, 소정의 기준전압(VREF)으로 중첩된 입력 영상신호(VIN)를 저항(R1) 및 영상증폭기로 구성되는 증폭회로(2)를 통해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 영상신호(VIN)는 저항(R1)과 증폭회로(2)와의 접속 중점(P1)에 접속된 연상증폭기로 구성되는 흑레벨 홀드회로(3)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흑레벨 홀드회로(3)는 흑검출펄스 입력단자(4)로부터 입력되는 흑레벨 검출신호(S1)가 하강하고 있을 때, 입력 영상신호(VIN)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검출하여 유지하고, 흑레벨 검출신호(S1)가 상승하고 있을 때, 입력 영상신호(VIN)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의 검출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흑레벨 검출신호(S1)는 16:9의 애스펙트비로 표시되는 하이비전 영상신호의 표시 영역(ARA; 이른바 와이드 화면)에 대해 4:3의 애스펙트비로 표시되는 NTSC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ARN; 이하 NTSC 영상표시 영역이라고 함)에서 하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화면 양단의 흑테두리 영역(ARB)에서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도 2b).
여기서, 흑테두리 영역(ARB)은 NTSC 영상표시 영역(ARN)의 외측의 영역이고, 흑테두리 영역(ARB)에 있어서의 영상신호(VIN)는 대략 흑레벨의 신호 레벨을 가지고 있다.
이때, 흑레벨 홀드회로(3)는 NTSC 영상표시 영역(ARN) 내에서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좌우의 흑테두리 영역(ARB)에 있어서의 대략 흑레벨의 신호가 검출되어서 NTSC 영상표시 영역(ARN) 내에서 가장 어두운 신호 부분이 검출되지 않을 우려를 회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흑레벨 홀드회로(3)의 출력단(出力段)은 저항(R2)을 통해 입력단(入力段)에 귀환되는 동시에, 핀(5)을 통해 병렬 접속되어 있는 외부 저항(R3) 및 콘덴서(C1)에 접속되어 소정 전원전압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흑레벨 보정회로(1)는 저항(R3) 및 콘덴서(C1)의 저항치 및 용량을 가변함으로써, 시정수를 변화시켜서 흑레벨 홀드회로(3)가 입력 영상신호(VIN)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가장 어두운 신호의 펄스 폭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흑레벨 신장회로(6)는 연산증폭기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입력 영상신호(VIN)를 저항(R1) 및 증폭회로(2)와의 접속 중점(P2)으로부터 입력단에 인가하는 동시에, 흑레벨 홀드회로(3) 및 핀(5)과의 접속 중점(P3)에 있어서의 전압을 입력단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흑레벨 신장회로(6)는 블랭킹 펄스 입력단자(7)로부터 입력되는 블랭킹 펄스 신호(S2)가 하강하고 있는 동안, 즉 블랭킹 기간 이외의 동안 검출된 흑신호 레벨을 기초 레벨까지 낮추도록 되어 있다(도 2c).
여기서, 블랭킹 펄스신호(S2)는 전화면 표시기간에 걸쳐서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NTSC 영상표시 영역(ARN) 내의 평균휘도 레벨이 높고, 화면이 밝을 때 검출되는 가장 어두운 영상신호(VIN)의 신호 레벨을 기초 레벨까지 낮출 수 있고, 흑신호가 극히 적은 경우에도 흑신호 부분이 떠보일 우려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화면 전체에 걸쳐서 입력 영상신호(VIN)의 휘도 레벨을 낮출 수 있고, NTSC 영상표시 영역(ARN)과 흑테두리 영역(ARB)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이 동일한 경우에 당해 표시 영역(ARA,ARB)의 경계가 감지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이른바 하이비전 방식에 의한 영상신호(VINH) 대신에 NTSC 방식의 영상신호(VINN)가 입력되는 경우, 흑레벨 홀드회로(3)는 NTSC 영상표시장치(ARN)의 기간에 대응하여 하강하는 흑레벨 검출신호(S1)에 의해 당해 표시 영역(ARN) 내에서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검출한다.
여기서, 영상신호(VIN)의 평균휘도 레벨이 높고 흑신호가 적을 때, 흑레벨 홀드회로(3)는 NTSC 영상표시 영역(ARN) 내의 흑신호(도 3a의 NTSC 영상표시 영역(ARN)에 있어서 사선으로 표시함)의 면적이 입력되는 영상신호(VIN)의 면적에 대해 적기 때문에 흑신호 부분을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로서 유지하지 않고, 백레벨(white level)의 신호를 흑레벨(black level)로서 홀드한다.
이때, 흑레벨 신장회로(6)는 블랭킹 펄스신호(S2)가 하강하고 있음으로써 NTSC 방식에 의한 영상신호(VIN)의 흑신호 부분만 기초 레벨까지 신장하여 영상신호(VIN)를 시각상 보다 검게 보이도록 보정한다.
이에 대해, 종래의 NTSC 방식용의 텔레비전 수상장치와 마찬가지로 흑레벨 검출기간 및 흑레벨 신장기간을 전체 표시 화면 영역(ARA)에 걸쳐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표시 영역(ARA) 양단의 흑테두리 영역(ARB)을 흑레벨이라고 오판하여, 본래 신장되어야 할 흑신호 부분이 신장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흑레벨 검출신호(S1)가 NTSC 영상표시 영역(ARN)에서만 동작하고, 흑테두리 영역(ARB)에서 동작하지 않도록 흑레벨 검출신호(S1)를 하강시킴으로써, 흑레벨 보정회로(1)는 이른바 하이비전 영상신호 대응형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NTSC 방식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NTSC 방식의 영상신호(VIN)의 흑신호 부분을 한층 더 검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흑테두리 영역(ARB) 및 NTSC 영상표시 영역(ARN)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VIN)의 흑레벨이 같을 경우, NTSC 영상표시 영역(ARN)에서 흑레벨 홀드회로(3)가 동작한다.
이때, 흑레벨 신장회로(6)는 블랭킹 펄스신호(S2)가 전영상표시 영역(ARA)에 걸쳐서 하강하고 있음으로써, 흑테두리 영역(ARB)을 포함한 전영상표시 영역(ARA)전체에서 흑신호를 신장하여 증폭회로(2)로부터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 영상신호(VOUT)의 전압 레벨은 흑의 기준 레벨에 대해 Δx0[mv] 낮게 되어서, 전영상표시 영역(ARA) 전체의 휘도 레벨이 약간 낮아진 것처럼 보임으로써, 흑테두리 영역(ARB)과 NTSC 방식에 의한 영상 영역(ARN)과의 영역 경계 부분에 시각상의 단차(段差)는 감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 4c).
이것에 대해, NTSC 영상표시 영역(ARN)에서 흑레벨 검출신호(S1) 및 블랭킹 펄스신호(S2)를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전영상표시 영역(ARA)에 대해서가 아니라 영상표시 영역(ARN)에만 흑레벨 신장회로(6)가 동작하므로, 흑레벨 홀드회로(3)에 발생하는 수[mv]의 오프셋(offset)이나 흑레벨 신장회로(6)에 발생하는 수[mv]의 오프셋에 의해 흑테두리 영역(ARB)과 영상표시 영역(ARN)과의 경계 부분에 Δx1[mv]의 단차가 시각상 감지되게 된다(도 4b).
이와 같이, 흑레벨 신장회로(6)가 NTSC 방식에 의한 영상표시 영역(ARN) 전체에서 동작하고, 화면 중앙 부분의 NTSC 영상표시 영역(ARN)에서 동작하지 않도록 블랭킹 펄스(S2)를 하강시킴으로써, 흑레벨 보정회로(1)는 이른바 하이비전 영상신호 대응형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NTSC 방식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흑테두리 영역(ARB)과 NTSC 방식에 의한 영상표시 영역(ARA)의 경계 부분을 시각상 감지되지 않도록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하이비전 영상신호 대응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동일화면 상에 애스펙트비가 상이한 NTSC 방식의 영상신호를 표시할 때, NTSC 방식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ARN)내에서 영상신호(VIN)의 흑레벨을 검출하고, 전영상표시 영역(ARA) 내에서 흑레벨을 신장시킴으로써, NTSC 방식에 의한 영상을 표시할 때는 영상 영역(ARN) 내에서 영상신호(VIN)의 흑레벨을 검출하는 동시에 흑레벨을 신장할 수 있고, 흑테두리 영역(ARB)이 흑레벨이라고 오검출되어서 NTSC 방식에 의한 영상 영역(ARN)의 흑레벨이 신장되지 않을 우려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전영상표시 영역(ARA)에 영상을 표시할 때, 전영상표시 영역(ARA)에 걸쳐서 흑레벨을 신장시킴으로써, 영상 영역(ARA) 양단의 흑테두리 영역(ARB)과 NTSC 영상표시 영역(ARN)과의 경계 부분이 시각상 감지될 우려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른바 하이비전 영상신호 대응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애스펙트비가 상이한 NTSC 방식에 의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PAL 방식 등 하이비전 방식과 애스펙트비가 다른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NTSC 영상 영역(ARN)의 양측에 흑테두리 영역(ARB)이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쪽에만 흑테두리 영역(ARB)이 표시되는 경우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 영역(ARN) 내에서 가장 어두운 신호를 기초 레벨로 낮추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소정 레벨로 낮추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의 애스펙트비를 가진 제1표시 화면 중에 영상을 표시할 때, 전체 표시 화면에 걸쳐서 영상신호의 흑레벨을 소정 레벨로 낮춤으로써, 제2표시 화면과 당해 제2표시 화면 외측의 잉여 화면과의 경계가 시각상 감지될 우려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애스펙트비를 가진 제2표시 화면 중에 영상을 표시할 때, 당해 제2표시 화면 내에서만 영상신호에 있어서의 흑신호를 검출하고, 잉여 화면에서는 흑신호를 검출하지 않음으로써, 제2표시 화면 내의 흑레벨을 소정 레벨로 낮출 수 있다.

Claims (2)

  1. a) 제1의 애스펙트비(aspect ratio)를 갖는 제1표시화면 영역; b) 제2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제2표시화면 영역; c) 상기 제2표시화면 영역을 부분적으로 경계를 형성하는 흑테두리 영역; d) 영상이 상기 제1표시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표시 장치의 영상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소정 레벨로 낮추는 신호 레벨 신장 수단; 및 e) 상기 영상이 제2표시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2표시화면 내의 영상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검출하고,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흑테두리 영역을 무시하는 신호 레벨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레벨 신장 수단은 상기 영상이 상기 신호 레벨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화면표시 영역 상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표시장치의 영상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소정 레벨로 낮추는 표시장치.
  2. a) 제1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제1표시화면 영역; b) 제2의 애스펙트비를 갖는 제2표시화면 영역; c) 상기 제2표시화면 영역을 부분적으로 경계를 형성하는 흑테두리 영역; d) 영상이 상기 제2표시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2표시화면 내의 영상 중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신호 레벨 검출 수단; 및 e) 상기 신호 레벨 검출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레벨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가장 어두운 신호 레벨을 소정 레벨로 낮추는 상기 신호 레벨 신장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9920010957A 1991-06-27 1992-06-24 표시장치 KR100238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356691A JP3211969B2 (ja) 1991-06-27 1991-06-27 表示装置
JP91-183,566 1991-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681A KR930001681A (ko) 1993-01-16
KR100238697B1 true KR100238697B1 (ko) 2000-01-15

Family

ID=1613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957A KR100238697B1 (ko) 1991-06-27 1992-06-2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39425A (ko)
EP (1) EP0520339B1 (ko)
JP (1) JP3211969B2 (ko)
KR (1) KR100238697B1 (ko)
DE (1) DE69210312T2 (ko)
SG (1) SG84485A1 (ko)
TW (1) TW30313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1843B2 (ja) * 1993-07-05 2002-06-17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の黒レベル再生装置
JP3429842B2 (ja) * 1994-04-15 2003-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の画像情報検出装置
JP3508119B2 (ja) * 1995-06-20 2004-03-22 ソニー株式会社 画面表示領域判別装置
JP2001022331A (ja) * 1999-07-05 2001-01-26 Alps Electric Co Ltd 画像表示装置
KR100346840B1 (ko) * 1999-11-04 2002-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의 펄럭거림을 최소화하는 흑신장 장치 및 그 방법
US7002605B1 (en) * 2000-07-03 2006-02-21 Alps Electric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for fixing luminance of blank area and varying only luminance of image
US9631265B2 (en) 2011-05-25 2017-04-25 Nippon Steel Hot-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L2738274T3 (pl) 2011-07-27 2019-05-3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Blacha stalowa cienka walcowana na zimno o dużej wytrzymałości z doskonałą zdolnością do wywijania kołnierza i podatnością na precyzyjne przebijanie oraz sposób jej wytwarzania
TW201316761A (zh) * 2011-10-14 2013-04-16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影像畫面的黑邊偵測方法與影像處理裝置
CN113487989B (zh) * 2021-06-30 2022-08-23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led显示模组检测方法及其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9462A (en) * 1962-08-09 1967-03-14 Hazeltine Research Inc Television receiver circuit means for stabilizing black level on scenes of low average brightness and for suppressing black level on high brightness scenes
GB1435696A (en) * 1972-09-01 1976-05-12 Kodak Ltd Amplifier circuits
US4091419A (en) * 1976-06-22 1978-05-23 Rhee Dennis W Combination contrast/brightness control for a television receiver
JPS5427720A (en) * 1977-08-03 1979-03-02 Nec Corp Process amplifier of color pickup unit
US4277798A (en) * 1979-04-18 1981-07-07 Rca Corporation Automatic kinescope biasing system with increased interference immunity
JPS608509B2 (ja) * 1979-09-28 1985-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ーデイスプレイ駆動回路
JPS5675780A (en) * 1979-11-26 1981-06-23 Sony Corp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JPS59125177A (ja) * 1982-12-29 1984-07-19 Sony Corp 撮像出力のクランプ回路
JPS59134967U (ja) * 1983-02-25 1984-09-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4670784A (en) * 1985-04-15 1987-06-02 Cbs, Inc. Methods for coping with non-uniform phosphor aging in dual mode television receivers
DE3852215T2 (de) * 1987-06-19 1995-04-06 Toshiba Kawasaki Kk System zum Steuern der Anzeigezone für ein Plasmaanzeigegerät.
DE68917162T2 (de) * 1988-01-29 1994-11-24 Hitachi Ltd Videowiedergabevorrichtung für Bilder mit unterschiedlichen Bildformaten.
DE3834865C2 (de) * 1988-10-13 1995-11-16 Broadcast Television Syst Verfahren und Schaltung zur Ableitung von H- und V-frequenten Synchronimpulsen
GB2228643B (en) * 1989-02-28 1993-05-19 Sony Corp Video signal clamping
US5008749A (en) * 1989-03-25 1991-04-16 Bts Broadcast Television Systems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uxiliary timing signal in the horizontal blanking interval of a video signal
JP2517005Y2 (ja) * 1989-07-21 1996-11-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映像信号伸張回路
US5223936A (en) * 1989-08-22 1993-06-29 U.S. Philips Corporation Picture display and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JP2861213B2 (ja) * 1990-03-13 1999-02-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20339A2 (en) 1992-12-30
TW303132U (en) 1997-04-11
JPH0514764A (ja) 1993-01-22
DE69210312D1 (de) 1996-06-05
JP3211969B2 (ja) 2001-09-25
EP0520339A3 (en) 1993-03-03
DE69210312T2 (de) 1996-12-05
EP0520339B1 (en) 1996-05-01
US5539425A (en) 1996-07-23
KR930001681A (ko) 1993-01-16
SG84485A1 (en) 200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1101A (en) Black level correction circuit for correcting black level of a video signal
JP3370770B2 (ja) 映像信号の肌色再生回路
JP3429842B2 (ja) 映像信号の画像情報検出装置
JP4340821B2 (ja) 映像機器および映像表示方法
KR100238697B1 (ko) 표시장치
KR0124387B1 (ko) 픽쳐인픽쳐기능을 구비한 영상디스플레이기기의 화면상태안정화 방법 및 그 장치
CA2317790C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different display mode and method thereof
JP2002351442A (ja) 映像表示装置における焼付け防止装置
JP3136850B2 (ja) 映像信号の階調補正装置
KR100347776B1 (ko) 다중화상비디오신호를디스플레이하는동안선택적으로비선형처리기능이억제되는텔레비젼수상기및다중화상텔레비젼신호처리방법
KR100204430B1 (ko)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 장치
JP2969408B2 (ja) 映像表示装置
JPH09219830A (ja) 映像処理装置
JP291088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US4891700A (en) System for inserting a test signal in a video image scanning line
JP2522739Y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147455Y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씨.알.티 잔상방지회로
KR19990040249A (ko) 자동컨버전스조정장치
JP2680731B2 (ja) 2画面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944385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2108377A (ja) 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JPH04277987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02214383A (ja) 画像表示装置
JP2597294Y2 (ja) 二画面機能付映像回路
JPH031781A (ja) 映像信号再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