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734B1 -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734B1
KR100237734B1 KR1019970058107A KR19970058107A KR100237734B1 KR 100237734 B1 KR100237734 B1 KR 100237734B1 KR 1019970058107 A KR1019970058107 A KR 1019970058107A KR 19970058107 A KR19970058107 A KR 19970058107A KR 100237734 B1 KR100237734 B1 KR 10023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screen
mask
film
ster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404A (ko
Inventor
미노루 이나바
Original Assignee
미노루 이나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SE970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SE9703994L/
Priority to US08/964,804 priority patent/US5879064A/en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이나바 filed Critical 미노루 이나바
Priority to CA002220236A priority patent/CA2220236C/en
Priority to KR1019970058107A priority patent/KR100237734B1/ko
Priority to IT97TO000980A priority patent/IT1295959B1/it
Priority to DE19750141A priority patent/DE19750141C2/de
Priority to FR9714651A priority patent/FR2771516B1/fr
Priority to CN97122642A priority patent/CN1218915A/zh
Priority to GB9727268A priority patent/GB2332752B/en
Publication of KR1999003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02B27/024Viewing apparatus comprising a light source, e.g. for viewing photographic slides, X-ray transparancies
    • G02B27/025Viewing apparatus comprising a light source, e.g. for viewing photographic slides, X-ray transparancies and magnify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42Guiding, framing, or constraining film in desired position relative to lens syst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64Means for mounting individual pictures to be projected, e.g. frame for transparency

Abstract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 스트립을 관찰하여 적정한 마스크량을 검정할 수 있는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프레임(54)에 투영렌즈(13L, 13R)와 초점판(14L, 14R)을 설치하고, 그 후방에 필름 가이드(16)를 배치한다. 프레임의 가이드 슬롯(55L, 55R)에 각각 좌우의 렌즈 보드(52L, 52R)를 결합시킨다. 좌우의 가이드 슬롯은 광축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비스듬하게 움직이고 있어, 캠 샤프트(25)의 회전에 의해 렌즈 보드가 비스듬하게 움직이고, 투영배율에 관계없이 초점판의 내측 엣지와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가 항상 일치한다. 초점판의 화상을 관찰하면서 캠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화상이 초점판의 시준패턴과 동일한 평면 또는 패턴의 후방에서 보이는 상태로 하고, 캠 샤프트에 장착한 다이얼의 숫자를 보면, 최적의 화면 마스크율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알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Masking-Amount Guide Device for Stereo Slide}
본 발명은,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적정한 마스크량을 검정하기 위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하는 마스크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표시기능을 마련하여, 마운트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우 렌즈의 광축간격을 고정한 구조의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은 좌우 촬영렌즈의 시계차(視界差)에 의해 피사체 거리에 따라 좌측 화면의 좌측 엣지(edge)부와 우측 화면의 우측 엣지부에 각각 비중복 부분이 생긴다.
그 슬라이드 필름을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로 감상할 때에, 이 비중복 부분은 입체상이 형성되지 않고 눈에 거슬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의 한 화면폭보다도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화면창폭을 좁게 형성하여, 좌우 화면의 외측 비중복 부분을 마스크하고 있다.
또한, 자연스러운 입체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화면속에서 좌우 화상의 매칭(matching)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피사체(특히, 근경의 피사체의 영향이 크다)가 좌우 각각의 화면에서 거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좌우 필름의 화면 외측을 마스크하여 피사체 위치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즉, 산악사진 등과 같이 모든 피사체가 거의 무한원(無限遠)에 있는 경우는, 화면의 외측을 마스크할 필요는 거의 생기지 않으나, 피사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마스크해야 할 부분이 증가한다.
또한, 본원 출원인은, 좌우 촬영렌즈의 광축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제안하고 있는데, 이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하면, 촬영시에 피사체 거리에 따라 촬영렌즈의 광축간 거리를 자동조절 또는 수동조절함으로써 촬영시에 적절한 시차보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광축간 거리 조절식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의해 좌우 화면의 외측을 마스크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좌우 화상의 매칭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피사체가 합초(合焦)거리보다도 가까운 거리에 촬영되어 있는 경우는 좌우 화면의 외측을 간신히 마스크하여 원근감을 보정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은,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좌우 필름의 간격을 변화시켜 화면 외측의 마스크량을 조절하거나, 화면창의 폭이 다른 여러 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로부터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화면창폭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선택하여 마운트하게 되므로, 마운트 작업이 번잡하고 비능률적이다.
또한, 적절한 마스크량을 판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선택이나 필름간격의 조절을 실수하기 쉬우며, 최적의 입체효과 상태로 마운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정확한 마스크량의 결정 및 적합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생기게 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이고,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 스트립의 스테레오 사진을 입체로 관찰하여, 그 스테레오 사진에 대한 최적의 화면 마스크량을 판정하고, 판정한 마스크량에 적합한 화면 마스크율의 슬라이드 마운트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로서,
투영렌즈와, 시준(視準)패턴을 구비한 초점판과, 접안렌즈로 이루어진 광학계를 좌우로 2계통 배치하고, 필름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에 한쌍의 화면창을 가지는 필름 가이드를 상기 투영렌즈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필름 가이드의 좌우 한쌍의 화면창내로 노출되는 필름 스트립의 1조의 화면을 상기 좌우의 초점판에 개별적으로 투영하는 동시에,
좌우의 투영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와,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와의 연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초점판의 폭은 최소투영배율시에 있어서의 투영화면의 폭과 일치하고,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는 투영배율에 관계없이 상기 좌우 초점판의 내측 엣지(edge)와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가 일치하는 관계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동기구의 조작 노브(knob)에 조작량을 표시하는 다이얼을 마련하고, 각종 창폭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식별번호와 상기 다이얼의 조작량 지표를 대응시켜, 상기 지표가 초점판상의 투영화면의 화면 마스크율과 동일한 화면 마스크율의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표시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초점판의 간격을 고정하고, 좌우 투영렌즈만을 이동시켜 투영배율을 증감시키는 투영배율 조절기구를 가지고, 좌우 투영렌즈의 주점(主点)의 이동궤적은, 투영확대율에 관계없이 상기 좌우 초점판의 내측 엣지와 초점판상의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가 일치하는 곡선 또는 상기 곡선과 유사한 직선인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운트량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투영배율을 일정하게 하고, 투영화면의 폭보다도 상기 초점판의 폭을 좁게 형성하는 동시에, 좌우 초점판의 간격 조절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의 조작 노브에 조작량을 표시하는 다이얼을 설치하고, 각종의 필름부착위치 오프셋(offset)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식별번호와 상기 다이얼의 조작량 지표를 대응시켜, 초점판에 대한 투영화면의 오프셋율과 동일한 화면 오프셋율의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상기 지표가 표시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a), (b) 및 (c)는 각각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 및 6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의 단면도.
도 3의 (L) 및 (R)은 각각 초점판의 정면도.
도 4는 투영배율 조절기구의 조작부의 단면도.
도 5는 필름과 투영렌즈와 초점판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해설도.
도 6은 투영렌즈의 이동량의 해설도.
도 7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의 단면도.
도 8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 및 7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의 단면도.
도 9는 필름의 화면 피치와 초점판의 피치가 다른 경우의 필름과 투영렌즈와 초점판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해설도.
도 10은 도 9의 경우에 있어서의 투영렌즈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해설도.
도 11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a), (b) 및 (c)는 각각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 및 10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 및 11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의 단면도.
도 14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의 단면도.
도 15의 (a)는 컷팅 마크 노광기능을 겸비한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 스트립의 정면도, (b)는 필름 가이드의 정면도, (c)는 필름 가이드의 컷팅 마크 표시창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12: 프레임
13L, 13R: 투영렌즈 14L, 14R: 초점판
15L, 15R: 접안렌즈 16: 필름 가이드
16L, 16R: 화면창 17: 렌즈 보드
18: 슬라이더 19: 가이드 슬롯
20: 초점판 슬라이드 가이드 21L, 21R: 초점판 홀더
22L, 22R: 접안렌즈 홀더 23: 반사판
24: 사진 전구 25: 캠 샤프트
26: 렌즈 이동 캠 27: 푸시 로드
28: 압축 코일 스프링 29: 인장 코일 스프링
30: 초점판 이동 캠 34: 노브
35: 다이얼 36: 고정 링
41: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42L, 42R: 투영렌즈 홀더
43: 렌즈 보드 44: 압축 코일 스프링
45: 가이드 롤러 46: 캠 판
51: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52L, 52R: 렌즈 보드
53L, 53R: 슬라이더 55L, 55R: 가이드 슬롯
56L, 56R: 캠 57L, 57R: 압축 코일 스프링
58: 노브 59: 다이얼
71: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73: 렌즈 보드
74: 이송나사 75L, 75R: 초점판 홀더
77: 노브 78: 다이얼
79: 고정 링 81: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83L, 83R: 투영렌즈 홀더 85: 이송나사
86: 노브 87: 고정 링
91: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92: 고정 링
93: 다이얼 F: 필름 스트립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먼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 2 및 3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와 관련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을 나타내고, (a), (b) 및 (c)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는 화면창(1L, 1R)의 폭(W)이 다른 여러 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4, …, #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 화면폭 32.00 ㎜의 포맷의 스테레오 카메라에 대응시키는 시스템 예로서는, 화면창폭 W0= 32.00 ㎜(마스크량 = 0)의 #0으로부터 ±양방향으로 0.25 ㎜ 단위로 단계적으로 화면창폭(W)을 축소하여 마스크량을 증대시키고 있다(도 1은 화면창폭의 차이를 실제보다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4, …#0, …#8)의 좌우 화면창(1L, 1R)의 피치(pitch)(PW)는 동일하고, 필름의 구멍에 결합시키기 위해 화면창(1L, 1R)의 네모서리 근방에 설치한 위치결정 핀(2L, 2R)의 간격(P-4, …P8)은 번호순으로 0.25 ㎜ 단위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그리고, #0 이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4, …#0)에 있어서는, 장착한 필름의 화면 외측 엣지부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화면창(1L, 1R)의 외측 엣지부가 일치하고, #0 이상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0, …#8)에 있어서는, 장착한 필름의 화면 내측 엣지부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화면창(1L, 1R)의 내측 엣지부가 일치한다.
통상적으로는, #0 이상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의해 화면의 외측을 마스크하여 시차(視差)보정을 행하는 것이나, 수동식의 광축간거리 조절기구를 설치한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 오조작에 의해 광축간 거리가 너무 작은 보정 과잉 상태에서 촬영한 경우에는, 좌우 화면의 내측을 간신히 마스크하여 원근감을 보정하면, 시차보정 과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을 구제할 수 있다. #-1 이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는 이러한 보정 과잉의 촬영상태의 필름에 대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본원 출원인은, 도 1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화면의 마스크량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여러 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의한 시스템으로서, 화면창폭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고, 또한, 좌우 필름의 부착 피치 및 좌우 화면창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필름을 마운트할 때는, 이하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에 의해 필름 스트립상의 1조의 스테레오 사진의 적절한 화면 마스크량을 판정한 후에, 1 코마(coma) 단위로 절단한 필름을 판정한 마스크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장착하면, 1조의 필름은 위치결정 핀(2L, 2R)에 의해 위치결정되고, 또한, 좌우 화면의 마스크해야 할 부분이 마스크되어 정확한 입체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 및 6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11)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마스크량 가이드장치(11)는, 프레임(12)에 투영렌즈(13L, 13R)와 초점판(14L, 14R)과 접안렌즈(15L, 15R)로 이루어진 좌우 2계통의 광학계를 설치하고, 프레임의 뒷부분(도면에서 위)에 필름 가이드(16)를 고정하고, 필름 가이드(16)에 장전한 필름 스트립(F)을 관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좌우 투영렌즈(13L, 13R)를 장착한 렌즈 보드(17)의 하면 중앙에는 슬라이더(18)를 결합하고, 프레임(12)의 내부 밑면의 좌우 중앙에 형성한 전후방향의 가이드 슬롯(19)에 슬라이더(18)를 끼워, 렌즈 보드(17)를 전후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12)의 앞부분에는 좌우방향의 초점판 슬라이드 가이드(20L, 20R)를 좌우대칭으로 2개 설치하고, 좌우의 초점판 슬라이드 가이드(20L, 20R)에 각각 초점판 홀더(21L, 21R)를 끼우고 있으며, 초점판 홀더(21L, 21R)는 좌우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3은 초점판(14L, 14R)을 나타내고, 차광성 재료의 프레임(FL)으로 주위를 덮거나, 또는 화면의 주위를 흑색으로 도장하여 화면 이외의 부분을 마스크하고 있다. 초점판(14L, 14R)은 좌우가 동일하고, 다수의 세로선을 주체로 하여 구성한 좌우 동일의 시준(視準)패턴(CP)을 인쇄 또는 에칭(etching)에 의해 형성하고, 좌우 투영화면의 횡방향의 이동에 의한 매칭(matching)변화의 시인성(視認性)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도 2에서, 초점판(14L, 14R)에 대치하는 최전방부의 접안렌즈 홀더(22L, 22R) 사이에는 공지의 확축(擴縮)연동기구(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고, 그 연동기구는 수동에 의해 좌우대칭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으며, 접안렌즈 피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양안(兩眼)의 피치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광학기구와 마찬가지로, 앞부분의 경통(鏡筒)(22La, 22Ra)을 회전시킴으로써 시도(視度)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12)의 후단부에는 반원형의 반사판(23)을 설치하고, 반사판(23)과 필름 가이드(16)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사진전구(24)를 설치하여 산광(散光)광원을 구성하여, 필름 가이드(16)의 배면을 균일하게 조사(照射)한다.
필름 가이드(16)에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화면 포맷에 대응하는 종횡치수 및 피치로 좌우 화면창(16L, 16R)을 설치하고, 필름 스트립(F)의 1조의 스테레오 사진의 화면이 화면창(16L, 16R)내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필름 가이드(16)에 필름 스트립(F)을 장착할 때는, 필름 가이드(16)의 좌측 화면창(16L)에 1조의 스테레오 사진의 좌측 화면이 위치하고, 우측 화면창(16R)에 우측 화면이 위치하는 자세로, 감광유제면을 후방(광원측)으로 향하여 필름 가이드(16)에 삽입한다. 전방에서 보아 필름 가이드(16)의 화면창(16L, 16R)내의 상하좌우가 반전된 화면은 투영렌즈(13L, 13R)를 통하여 초점판(14L, 14R)에 정립상으로서 결상(結像)하여, 좌우의 접안렌즈(15L, 15R)를 통하여 정립상을 입체로 볼 수 있다.
좌우 초점판 홀더(21L, 21R)의 중간에는, 투영렌즈(13L, 13R) 및 초점판(14L, 14R)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 샤프트(25)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렌즈 보드(17)의 슬라이더(18)와, 캠 샤프트(25)의 렌즈 이동 캠(26)과의 사이에는 푸시 로드(27)가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더(18)를 캠 샤프트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스프링력에 의해 슬라이더(18)가 푸시 로드(27)를 눌러, 푸시 로드(27)가 렌즈 이동 캠(26)에 압접하여 있다.
좌우의 초점판 홀더(21L, 21R)는 인장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연결되고, 좌측 초점판 홀더(21L)는 캠 샤프트(25)의 좌측 초점판 이동 캠(30L)에 압접하고, 우측 초점판 홀더(21R)는 우측 초점판 이동 캠(30R)에 압접하여 있다. 초점판 이동 캠(30L, 30R)은 동일한 형상으로, 한쪽에 대하여 다른쪽의 위상이 180°어긋나게 부착되어 있고, 캠 샤프트(25)를 회전시킴으로써 좌우의 초점판 홀더(21L, 21R)는 좌우대칭으로 이동한다.
또한, 푸시 로드(27)에 마련한 조절나사(31)에 의해 투영렌즈(13L, 13R)의 전후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고, 초점판 홀더(21L, 21R)에도 초점판(14L, 14R)의 간격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조절나사(32)를 설치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샤프트(25)는 프레임의 밑판(12a)과 윗 커버(12b)에 설치한 베어링(33)에 삽입되어 통과하고, 하부에 렌즈 이동 캠(26)과 좌측 초점판 이동캠(30L)과 우측 초점판 이동 캠(30R)이 설치되어 있다. 캠 샤프트(25)의 상단부에는 노브(34)와 다이얼(35)이 부착되어 있고, 다이얼(35)에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의 각 마운트 번호(#-4∼#8)를 나타내는 숫자가 각인되어 있다. 다이얼(35)의 숫자는 고정 링(36)의 지표(M)와 일치한 것이나, 그때의 투영화면의 마스크율과 동일한 화면 마스크율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나타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이얼(35)의 숫자 #0을 고정 링(36)의 지표 M과 일치시킨 위치가 최소투영배율 위치이고, 이 위치로부터 노브(34)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리면, 렌즈 보드(17)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투영배율이 증대하는 동시에, 좌우의 초점판(14L, 14R)은 각각 접근하거나 멀어진다.
캠(26, 30L, 30R)에 의한 투영렌즈(13L, 13R)의 광축방향 이동량과 좌우 초점판(14L, 14R)의 광축직각방향 이동량과의 관계는, 노브(34)의 시계방향(+방향) 회전시에 있어서, 초점판(14L, 14R)이 좌우의 투영화면에 대하여 각각 내측으로 이동하고, 투영배율에 관계없이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와 좌우 초점판의 내측 엣지가 일치하는 관계를 이루고 있어, 투영배율의 증대에 수반하여 투영화면의 외측 엣지부는 초점판(14L, 14R) 밖으로 초과하고, 좌우 필름 화면 각각의 외측이 마스크된 투영화상이 관찰된다.
또한, 시계반대방향 회전시(-방향)에는, 초점판(14L, 14R)은 좌우의 투영화면에 대하여 각각 외측으로 이동하고, 투영배율에 관계없이 투영화면의 외측 엣지와 좌우 초점판의 외측 엣지가 일치하고, 투영배율의 증대에 수반하여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부는 초점판(14L, 14R)보다도 내측으로 초과하고, 좌우 필름 화면 각각의 내측이 마스크된다.
시계방향 회전시에는, 투영배율을 확대함에 따라, 초점판(14L, 14R)의 시준 패턴(CP)이 좌우의 투영화면에 대하여 각각 내측으로 이동하고, 시계반대방향 회전시에는, 시준패턴(CP)이 좌우의 투영화면에 대하여 각각 외측으로 이동하여, 시준패턴(CP)과 입체화상과의 원근감이 변동한다. 따라서, 접안렌즈(15L, 15R)를 들여다보아 초점판상의 화면을 관찰하면서 캠 샤프트(25)를 회전시키고, 화상이 시준패턴(CP)과 동일한 평면 또는 시준패턴(CP)의 후방에서 보이는 상태로 하여, 그때 고정지표(M)가 지시하는 다이얼(35)의 숫자를 보면, 그 스테레오 사진에 대하여 최적의 화면 마스크율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알 수 있다.
다음에,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의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를 설명한다. 도 5는 렌즈에 의한 투영의 일반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하기와 같은 관계를 이룬다.
△if = f2/(L-f) …… (1)
γ = △if/f = (△if+f)/L …… (2)
단, △if ‥‥ 결상위치의 변화량(투영배율에 의해 변동한다)
γ ‥‥ 투영배율
f ‥‥ 투영렌즈의 초점거리
L ‥‥ 투영렌즈의 주점(主点)으로부터 필름의 상면(像面)까지의 거리
따라서, 화면폭 32.00 ㎜의 포맷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에 대한 적절한 마스크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도 1에 나타낸 0.25 ㎜ 단위로 화면의 마스크량이 증감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으로부터 선택하는 경우에는, 초점판의 폭을 필름의 화면폭과 동일한 32.00 ㎜로 하면, 투영배율을 변화시켜 각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화면 마스크율과 동일한 화면 마스크율이 되는 투영배율(γ) 및 투영화면폭의 스텝 변화는,
투영배율(γ) = 필름의 실화면폭(32.00 ㎜)/마운트의 화면창폭
투영화면폭 = 필름의 실화면폭(32.00 ㎜) × γ
이므로, 표 1에 나타내는 값이 된다. 또한, 여기서는, #0∼#8에 관하여 설명하고, 일측(#-1 이하)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가이드 넘버 마운트의 창폭 투영배율(γ) 투영화면폭
#0 32.00 1.00 32.000
#1 31.75 1.00787 32.252
#2 31.50 1.01587 32.508
#3 31.25 1.02400 32.768
#4 31.00 1.03226 33.032
#5 30.75 1.04065 33.301
#6 30.50 1.04918 33.574
#7 30.25 1.05785 33.851
#8 30.00 1.06667 34.133
그리고, 각 투영배율(γ)에 있어서의 필름과 투영렌즈와 초점판의 위치관계는, 투영렌즈의 초점거리를 f = 50 ㎜로 하면 식(1) 및 (2)로부터,
△if = f×γ …… (3)
L = (△if+f)/γ …… (4)
로 되고, 식(3) 및 (4)에 의한 계산값이 표 2와 같이 된다.
가이드 넘버 γ △if+f L △if+f+L
#0 1.00 100.0000 100.0000 200.0000
#1 1.00787 100.3935 99.6096 200.0031
#2 1.01587 100.7935 99.2189 200.0124
#3 1.02400 101.2000 98.8281 200.0281
#4 1.03226 101.6130 98.4374 200.0504
#5 1.04065 102.0325 98.0469 200.0794
#6 1.04918 102.4590 97.6563 200.1153
#7 1.05785 102.8925 97.2657 200.1582
#8 1.06667 103.3335 96.8749 200.2084
여기서, △if+f 및 L의 값은 투영배율(γ)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당연하나, 필름의 상면(像面)으로부터 초점판까지의 거리(△if+f+L)의 변화량은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if+f+L은 투영배율 1에서 최소가 되고, 또한, 그의 변화율은 투영배율 1의 전후에서 가장 작아진다. 따라서, 투영배율 조절범위의 중간점의 투영배율이 1로 되도록 조절범위를 설정하면, 필름의 감광유제면으로부터 초점판까지의 거리(△if+f+L)를 고정시켜 필름과 초점판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투영렌즈만을 이동시키는 기구에 의해서도, 합초(合焦)상태를 유지한채 투영배율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추측된다.
예시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0∼#8)의 마스크량 조절범위의 중간인 #4의 투영배율(γ)은, 초점판의 폭이 필름의 화면폭과 동일한 32 ㎜인 경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γ = 1.03226이다. 여기서, 투영배율(γ)에 1/1.03226을 곱한 값으로 투영배율을 축소하면, #0에 있어서의 투영배율은 0.9688로 되고, #4의 투영배율이 1이 된다. 그리고, 초점판의 폭을 동일하게 1/1.03226으로 축소하면, 투영배율의 변경에 관계없이, 각 가이드 넘버(#0∼#8)에 있어서 표 1의 경우와 동일한 투영화면 마스크율이 된다. 따라서,
초점판의 폭 = 필름의 화면폭 × 투영배율
= 32 × 0.9688 = 31.002 (㎜)
로 하고, 각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0∼#8)에 대한 실제의 투영배율을,
γa = γ/1.03226 = 0.9688 · γ
로 하고, 식(3) 및 (4)의 γ에 γa를 대입하여, △if+f와 L 및 △if+f+L의 값을 계산한 것이 표 3이다.
가이드 넘버 γ γa △if+f L △if+f+L
#0 1.00 0.9688 98.440 101.610 200.050
#1 1.00787 0.9764 98.820 101.209 200.029
#2 1.01587 0.9842 99.210 100.803 200.013
#3 1.02400 0.9921 99.605 100.398 200.003
#4 1.03226 1.0001 100.005 99.995 200.000
#5 1.04065 1.0082 100.410 99.593 200.003
#6 1.04918 1.0164 100.820 99.193 200.013
#7 1.05785 1.0248 101.240 98.790 200.030
#8 1.06667 1.0334 101.670 98.384 200.054
또한, 표 3의 △if+f+L(필름의 상면(像面)으로부터 초점판까지의 거리)은, 최소가 200 ㎜이고 최대가 200.054 ㎜로 되며, 그의 평균은,
(200 + 200.054)/2 = 200.027 (㎜)
이 되므로, △if+f+L을 200.027 ㎜로 고정하여 가이드 넘버 #0부터 #8까지의 △if+f와 L을 실제의 투영배율 γa에 의해 다시 계산하면,
L = (△if+f+L)/(1+γa) ‥‥ (5)
△if+f = L×γa ‥‥ (6)
이므로 표 4와 같이 된다.
가이드 넘버 γa △if+f L △if+f+L
#0 0.9688 98.429 101.598 200.027
#1 0.9764 98.819 101.208 200.027
#2 0.9842 99.217 100.810 200.027
#3 0.9921 99.617 100.410 200.027
#4 1.0001 100.019 100.008 200.027
#5 1.0082 100.422 99.605 200.027
#6 1.0164 100.827 99.200 200.027
#7 1.0248 101.238 98.789 200.027
#8 1.0334 101.656 98.371 200.027
표 3의 이론값과 표 4의 실제값을 비교하면, △if+f 및 L의 값이 모두 최대로 0.014 ㎜의 차로 되고, 기계적인 공차(公差)나 렌즈의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필름의 전후위치의 오차 이하이고, 필름으로부터 초점판까지의 거리를 고정해도,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로서 충분한 광학적 정밀도가 얻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은, 각 가이드 넘버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대한 투영배율을 변화시키기 위한 투영렌즈의 이동량에 관한 설명이나, 투영렌즈의 이동에 연동하는 초점판의 광축직각방향 이동량은 하기와 같이 된다.
초점판의 내측 엣지와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를 항상 일치시키기 위한 초점판의 이동량은, (투영화면폭 - 초점판의 폭)/2가 된다.
표 5는 각 가이드 넘버(#0∼#8)에 대한 한쪽 초점판의 이동량을 나타내고, 상기의 표의 이동량에 의해 좌우 초점판을 각각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투영배율에 관계없이 초점판의 내측 엣지와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가 일치한다.
가이드 넘버 γa 투영화면폭 초점판의 이동량
#0 0.9688 31.002 0
#1 0.9764 31.245 0.122
#2 0.9842 31.494 0.246
#3 0.9921 31.747 0.373
#4 1.0001 32.003 0.501
#5 1.0082 32.262 0.630
#6 1.0164 32.525 0.762
#7 1.0248 32.794 0.896
#8 1.0334 33.069 1.034
또한, 상기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와는 달리, 초점판을 고정하여 투영렌즈를 광축방향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광축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작용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투영렌즈 이동량은 다음과 같이 된다.
투영렌즈의 이동량 ‥‥ S1
투영상(像)의 이동량 ‥‥ Si
로 하면, 도 6으로부터
S1/Si = L/(△if+f+L) ‥‥ (7)
S1 = Si/(1+γa) ‥‥ (8)
로 되고, 식(7) 및 (8)로부터, 초점판을 고정하여 투영렌즈를 이동할 경우의 이동량(S1)은 표 6과 같이 된다.
가이드 넘버 γa Si S1
#0 0.9688 0 0
#1 0.9764 0.122 0.062
#2 0.9842 0.246 0.124
#3 0.9921 0.373 0.187
#4 1.0001 0.501 0.250
#5 1.0082 0.630 0.314
#6 1.0164 0.762 0.378
#7 1.0248 0.896 0.443
#8 1.0334 1.034 0.509
그리고, 투영렌즈의 광축직각방향 이동량과 투영렌즈의 광축방향 이동량과의 관계는, 투영렌즈의 광축방향 이동량을 X1, 광축직각방향 이동량을 S1이라고 하면, 표 7과 같이 된다.
가이드 넘버 S1 X1 S1/X1 tan-1S1/X1 01=
Figure pat00001
#0 0 ―― ――― ―― ――
#1 0.062 0.390 0.158974 9 °02' 0.395
#2 0.124 0.788 0.157360 8 °57' 0.798
#3 0.187 1.188 0.157407 8 °57' 1.203
#4 0.250 1.590 0.157233 8 °56' 1.610
#5 0.314 1.993 0.157551 8 °57' 2.018
#6 0.378 2.398 0.157631 8 °57' 2.428
#7 0.443 2.809 0.157707 8 °58' 2.844
#8 0.509 3.227 0.157732 8 °58' 3.267
표 4의 가이드 넘버 #0에 있어서의 투영렌즈의 주점(主点)으로부터 필름의 상면(像面)까지의 거리(L)에 대한 광축방향 이동량(X1)의 값을 0으로 하면, 각 가이드 넘버에 대한 X1의 값은, 표 4의 가이드 넘버 #0에 대한 L의 값으로부터 각 가이드 넘버에 대한 L의 값을 뺀 것이 된다.
표 7의 tan-1S1/X1은, 광축에 대한 투영렌즈의 이동의 기울기이고, O1은 그때의 경사방향의 이동량이다. 투영배율의 확대에 수반하여, 상기의 곡선을 따라 투영렌즈의 광축간거리가 확대하도록 렌즈 이동기구를 설계함으로써, 초점판의 내측 프레임과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가 항상 일치한 상태에서 투영배율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상기 구성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41)를 나타내고, 도 2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11)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필름 가이드(16) 및 초점판(14L, 14R)은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어, 필름(F)의 감광유제면과 초점판의 결상면과의 거리(△if+f+L)는 표 4로부터 200.027로 되어 있다.
좌우의 투영렌즈 홀더(42L, 42R)는 렌즈 보드(43)에 형성한 슬라이드 가이드(도시 생략)에 각각 좌우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고, 좌우의 투영렌즈 홀더(42L, 42R)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44)을 배치하여 확장방향으로 밀어붙이고, 좌우의 투영렌즈 홀더(42L, 42R) 각각의 가이드 롤러(45L, 45R)가 프레임(12)에 고정한 좌우대칭의 캠판(46L, 46R)의 캠면에 각각 압접하여 있다.
캠판(46L, 46R)의 형상은 표 7의 값에 의거하여 성형되고, 캠 샤프트(25)를 회전시키면, 렌즈 보드(43)가 가이드 슬롯(19)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전후이동하고, 렌즈 보드(43)의 이동에 연동하여 좌우의 투영렌즈 홀더(42L, 42R)가 광축직각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도 3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11)와 마찬가지로, 투영배율의 변동에 관계없이 초점판(14L, 14R)의 내측 엣지와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가 항상 일치한다.
또한, 조작부의 구성은, 전술한 도 4의 캠 샤프트(25)로부터 초점판 이동 캠(30L, 30R)을 제외하고, 최소투영배율 위치(#0)로부터 시계방향(+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다이얼 숫자의 #-1 이하의 표시를 없앤 것으로, 초점판상의 투영화면에 적합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의 마운트 번호(#0∼#8)를 다이얼의 숫자가 지시하는 작용은 동일하다.
다음에,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를 설명한다. 표 7의 경우에 있어서, 투영렌즈의 사행(斜行)곡선은 광축에 대한 기울기가 약 8°57'인 직선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투영렌즈를 8°57'의 기울기의 직선을 따라 사행이동한 경우의 투영렌즈 위치를 다시 계산하면,
S1 = O1 × sin 8°57'
X1 = O1 × cos 8°57'
로, 표 8에 나타내는 값이 된다.
가이드 넘버 S1 X1
#0 0 0
#1 0.061 0.390
#2 0.124 0.788
#3 0.187 1.188
#4 0.250 1.590
#5 0.314 1.993
#6 0.378 2.398
#7 0.442 2.809
#8 0.508 3.227
표 7과 표8의 각각의 광축직각방향 이동량(S1) 및 광축방향 이동량(X1)을 비교하면, S1에서 최대 0.001 ㎜의 차가 있을 뿐, 투영렌즈를 직선사행시켜도 충분히 실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투영렌즈를 직선사행시킴으로써 이동기구가 단순화되고, 기계적인 오차도 감소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가 된다.
도 8은 투영렌즈를 직선사행시키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 및 7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51)의 구조도로서, 전술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41)와 동일하게, 필름 가이드(16)와 초점판(14L, 14R)의 위치는 고정되고, 필름의 감광유제면과 초점판의 결상면과의 거리 △if+f+L = 200.027 ㎜로 되어 있다.
렌즈 보드(52L, 52R)는 좌우로 분할되고, 각각 하면에 부착된 슬라이더(53L, 53R)가 프레임(54)에 형성한 2개의 가이드 슬롯(55L, 55R)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화면 피치 = 초점판 피치인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 가이드 슬롯(55L)은 투영렌즈(13L, 13R)의 광축에 대하여 -8°57'의 기울기이고, 우측 가이드 슬롯(55R)은 +8°57'의 기울기이며, 한쌍의 렌즈 보드(52L, 52R)를 필름 가이드(16)의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렌즈 보드(52L, 52R)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되어 있다.
좌우 가이드 슬롯(55L, 55R)의 중심선의 연장선이 렌즈 보드(52L, 52R)의 전방(도 8에서 아래)에서 교차하는 위치에 캠 샤프트(25)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캠 샤프트(25)에 2개의 캠(56L, 56R)을 끼워 설치하고 있다.
2개의 캠(56L, 56R)은 동일한 형상으로, 2개의 가이드 슬롯(55L, 55R)이 이루는 각도 = 8°57' × 2 = 17°54'와 동일하게 위상을 변위시켜 부착되어 있다. 좌우 2개의 슬라이더(53L, 53R)는 각각 압축 코일 스프링(57L, 57R)의 스프링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어붙여져 캠(56L, 56R)에 개별적으로 압접하여 있고, 캠 샤프트(25)의 회전에 수반하여, 좌우 렌즈 보드(52L, 52R)는 동기(同期)하여 전후로 이동하고, 투영배율에 관계없이 초점판(14L, 14R)의 내측 프레임과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가 항상 일치한다.
또한, 캠 샤프트(25)의 상단부에는 노브와 다이얼이 부착되고, 다이얼에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의 각 마운트 번호(#0∼#8)에 대응시킨 숫자가 각인되어 있는 것은 전술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41)와 마찬가지이고, 동작원리와 조작방법도 동일하기 때문에,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의 예는, 좌우 초점판의 피치와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의 화면 피치가 동일한 경우이나, 스테레오 카메라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면 피치의 것이 있다. 좌우의 접안렌즈 및 초점판의 피치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표준적인 양안간격인 약 63 ㎜ 전후로 설정되나, 일례를 들어 135 필름을 사용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좌우 촬영화면의 피치가 14 퍼포레이션(perforation) = 66.29 ㎜인 것에 적응하는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의 경우를 이하에 설명한다. 여기서, 좌우 초점판의 피치를 62 ㎜로 하면, 가이드 넘버가 #0일 때의 좌우 투영렌즈의 광축간거리는 도 9와 같이 되고, 화면 피치 P1= 66.29 (㎜), 초점판 피치 P2= 62.00 (㎜)이므로, 투영렌즈의 광축간거리 P3는,
P3= P1- (P1- P2)/(1 + γa)
= 66.29 - (66.29 - 62)/(1 + 0.9688) = 64.111 (㎜)
가 된다.
가이드 넘버가 #0인 표준위치에 있어서의 좌우 투영렌즈의 피치를 64.111 ㎜로 하여, 각 가이드 넘버(#0∼#8)에 있어서의 렌즈의 광축직각방향 이동량 S12는 도 10으로부터,
S12= ((P1- P3)/2) - (((P1- P2)/2) - Si)/(1 + γa)
= ((66.29 - 64.111)/2) - (((66.29 - 62)/2) - Si)/(1 + γa)
= 1.0895 - (2.145 - Si)/(1 + γa)
로 되고, 각 가이드 넘버(#0∼#8)에 대한 계산값은 표 9와 같이 된다.
가이드 넘버 γa Si S12
#0 0.9688 0 0
#1 0.9764 0.122 0.066
#2 0.9842 0.246 0.132
#3 0.9921 0.373 0.200
#4 1.0001 0.501 0.268
#5 1.0082 0.630 0.335
#6 1.0164 0.762 0.404
#7 1.0248 0.896 0.473
#8 1.0334 1.034 0.543
그리고, 표 9의 S12와 표 7의 X1과의 관계는 표 10과 같이 된다.
가이드 넘버 γa S12 X1 S12/X1 tan-1S12/X1 O12=
Figure pat00002
#0 0.9688 0 0 ―――― ――― ――
#1 0.9764 0.066 0.390 0.169231 9 °36' 0.396
#2 0.9842 0.132 0.788 0.167513 9 °31' 0.799
#3 0.9921 0.200 1.188 0.168350 9 °33' 1.205
#4 1.0001 0.268 1.590 0.168553 9 °34' 1.612
#5 1.0082 0.335 1.993 0.168088 9 °32' 2.021
#6 1.0164 0.404 2.398 0.168474 9 °34' 2.432
#7 1.0248 0.473 2.809 0.168387 9 °33' 2.849
#8 1.0334 0.543 3.227 0.168268 9 °33' 3.272
표 10으로부터, 이 경우는 투영렌즈를 광축에 대하여 약 9°33'의 기울기로 직선사행시키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9°33'의 기울기로 직선사행시킬 경우의 투영렌즈의 위치 S12및 X1을 다시 계산하면,
S12= O12× sin 9°33' ‥‥ (9)
X1 = O12× cos 9°33' ‥‥ (10)
상기 식으로부터 S12및 X1은 표 11의 값이 되고, 또한, 각 가이드 넘버(#0∼#8)에 대한 좌우 투영렌즈의 광축간거리는, P3n= P3+ 2S12로부터 표 11의 P3n이 된다.
가이드 넘버 O12 S12 X1 P3n
#0 ―― ―― ―― 64.111
#1 0.396 0.066 0.391 64.243
#2 0.799 0.133 0.788 64.377
#3 1.205 0.200 1.188 64.511
#4 1.612 0.267 1.590 64.645
#5 2.021 0.335 1.993 64.781
#6 2.432 0.403 2.398 64.917
#7 2.849 0.473 2.810 65.057
#8 3.272 0.543 3.227 65.197
표 11의 S12및 X1은 표 10의 이론값과 비교하여 0.001 (㎜)의 차밖에 없고, 기계적인 공차 이하이며, 정확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본원 출원인은 좌우 촬영렌즈의 광축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제안하고 있는데, 이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하면, 촬영시에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촬영렌즈의 광축간 거리를 자동조절 또는 수동조절함으로써 촬영시에 적절한 원근감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의해 좌우 화면의 외측을 마스크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좌우 화상의 매칭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피사체가 합초거리보다도 가까운 거리에 촬영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우 화면의 외측을 간신히 마스크하여 원근감을 보정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광축간거리 고정식의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한 스테레오 슬라이드보다도, 필요로 하는 마스크량이 극히 작기 때문에, 필름의 화면폭보다도 화면창폭이 약간 작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사용하여 필름의 좌우방향의 오프셋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좌우 화면의 일부를 마스크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의 마운트 방법에 대응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을 나타내고,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E, …#A, …#E)의 화면창(61L, 61R)의 폭(W)은 일정하고, 필름의 화면폭보다도 약간 좁으며, 예를 들어, 필름의 화면폭 = 32 ㎜에 대하여 화면창폭 W = 31 ㎜으로 설정하고 있다.
화면창(61L, 61R)의 피치(PW)도 모두 동일하나, 화면창(61L, 61R)의 네모서리 근방에 설치한 필름위치결정 핀(62L, 62R)의 피치(PP)가 #-E로부터 0.25 ㎜ 단위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도 11은 변화량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E에 있어서는 화면창(61L, 61R)에 대하여 필름이 내측으로 1 ㎜ 오프셋하나, #A에 있어서 필름의 화면 중심과 마운트의 화면창(61L, 61R)의 중심이 일치하고, #B, …#E의 순서로 화면창에 대하여 필름이 외측으로 오프셋하는 양이 증대하고, #E에 있어서는 필름의 화면 외측이 1 ㎜ 마스크된다.
또한, 도 1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과 동일하게, 마이너스측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는, 수동식의 광축간거리 조절기구를 구비한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 오조작에 의해 시차보정 과잉으로 촬영한 필름에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A 이상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의해 화면의 외측을 마스크하여 시차보정을 행한다.
도 12는 상기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E, …#A, …#E)에 대응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 및 10에 기재된 투영배율 고정식 마스크량 가이드장치(71)를 나타내고, 프레임(72)에 필름 가이드(16)와 렌즈 보드(73)를 고정하고 있다. 프레임(72)의 앞부분에는 이송나사(74)를 좌우방향으로 설치하고, 좌우 초점판 홀더(75L, 75R)에 설치한 아암(76L, 76R)에 암나사(도시 생략)를 성형하여, 이송나사(74)와 암나사와를 볼 나사 기구에 의해 결합하고 있다.
이송나사(74)는 중간부로부터 좌우대칭으로 우나사와 좌나사가 절삭되어 있고, 이송나사(74)의 단부의 노브(77)를 우회전시키면, 좌우의 초점판 홀더(75L, 75R)는 광축직각방향으로 접근하고, 노브(77)를 좌회전시키면, 좌우의 초점판 홀더(75L, 75R)는 광축직각방향으로 멀어져, 초점판(14L, 14R)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초점판(14L, 14R)의 폭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E∼#E)의 화면창폭 31 ㎜ × 투영배율(γ)이고, 투영배율(γ) = 1로서 초점판의 폭 = 31 × 1 = 31 ㎜로 하고 있다.
이송나사(74)의 단부에 노브(77)와 동축에 설치한 다이얼(78)에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의 각 마운트 번호(#-E∼#E)에 대응시킨 문자가 각인되어 있고, 보정량 0인 #A를 고정 링(79)의 지표(M)에 일치시킨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F)의 화면 중심과 투영렌즈(13L, 13R)의 주점을 지나는 직선상에 초점판(14L, 14R)의 중심이 위치한다.
다이얼(78)을 #A, #B, …#E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우 초점판(14L, 14R)이 접근하여 투영화면의 외측영역이 초점판 밖으로 초과하는 양이 증가하고, 투영화면의 외측 마스크량이 증가한다. 또한, 다이얼(78)을 #A로부터 #-B, …#-E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우 초점판(14L, 14R)이 접근하여 투영화면의 내측영역이 초점판의 내측으로 초과하여, 투영화면의 내측 마스크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초점판(14L, 14R)의 시준패턴과 입체화상과의 위치관계가 가장 양호한 상태로 되었을 때의 다이얼(78)의 번호를 보면, 최적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E, …#E)의 번호를 알 수 있다.
도 13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 및 11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81)를 나타내고, 초점판 이동기구를 대신하여 투영렌즈(13L, 13R)의 광축간거리 조절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도 12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71)와 동일한 작용을 이루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가이드(16)와 초점판(14L, 14R)은 프레임(82)에 고정되고, 좌우 별도의 투영렌즈 홀더(83L, 83R)에 설치한 아암(84L, 84R)에 각각 암나사(도시 생략)를 성형하고, 프레임(82)에 설치한 좌우방향의 이송나사(85)와, 좌우 투영렌즈 홀더(83L, 83R)의 암나사를 볼 나사 기구에 의해 결합하고 있다.
이송나사(85)는 중간부로부터 좌우대칭으로 좌나사와 우나사가 절삭되어 있고, 이송나사(85)의 단부의 노브(86)를 우회전시키면, 좌우 투영렌즈 홀더(83L, 83R)는 광축직각방향으로 멀어지고, 노브(86)를 좌회전시키면, 좌우 투영렌즈 홀더(83L, 83R)는 광축직각방향으로 접근한다.
초점판(14L, 14R)의 폭과 투영배율(γ)은 도 12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71)와 동일하고, 초점판의 폭 = 31 ㎜, 투영배율(γ) = 1이다. 또한, 노브(86)와 동축의 다이얼(87)에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의 각 마운트 번호(#-E∼#E)에 대응시킨 문자가 각인되어 있는 것도 동일하고, 보정량이 0인 #A를 고정 링(88)의 지표(M)에 일치시킨 경우에는, 필름(F)의 화면 중심과 초점판(14L, 14R)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투영렌즈(13L, 13R)의 주점이 위치한다.
그리고, 다이얼을 #A, #B, …#E로 회전시킴에 따라, 좌우 투영렌즈(13L, 13R)는 그의 간격을 확대하고, 투영화면의 외측영역이 초점판(14L, 14R) 밖으로 초과한다. 또한, 반대로 #A, #-B, …#-E로 회전시키면, 좌우 투영렌즈(13L, 13R)는 그의 간격을 축소하고, 투영화면의 내측영역이 초점판(14L, 14R)의 내측으로 초과하여, 시차보정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은 도 12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71)와 동일하다. 또한, 투영배율(γ) = 1이므로, 가이드 넘버 단위의 투영렌즈(13L, 13R)의 이동량은 도 12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71)에 있어서의 초점판 이동량의 1/2이다.
도 14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91)를 나타내고, 도 10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51)의 투영배율 조절기구에 도 12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71)의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를 부가하여, 도 1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과 도 11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의 쌍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의 기계적 구성은 이미 서술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나,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의 고정 링(92)에는, 투영배율 조절기구의 다이얼의 #0과 #4에 대응하는 #0과 #4의 2가지 고정지표(M1,M2)가 기록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의 다이얼(93)의 #A를 고정지표 M1(#0)에 맞추면, 초점판(14L, 14R)은 표 5의 #0란과 동일하게 오프셋 0인 기준위치로 조절되고, 다이얼의 #A를 고정지표 M2(#4)에 맞추면, 좌우 초점판은 표 5의 #4란의 초점판 이동량과 동량, 또한, 간격확장방향으로 0.5 ㎜ 오프셋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의 다이얼(93)의 #A를 고정 링(92)의 지표 M1의 #0에 맞춘 상태에서는, 도 10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51)와 완전히 동일하게, 투영배율 조절기구를 조작하여 마스크량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영배율을 고정하여 초점판(14L, 14R)의 간격을 조절하고, 좌우 화상과 시준패턴의 매칭을 관찰하는 것이나, 표 5의 #4의 투영배율은 γa = 1.0001로 실질적으로는 1이고, 투영화면폭 32.003 ㎜도 32 ㎜로 간주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이때의 초점판(14L, 14R)에 대한 투영화면의 외측 오프셋량 = 0.501 ㎜도 실질적으로 0.5 ㎜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투영배율 조작부와 마찬가지로, 캠 샤프트(25)에 부착한 다이얼(도시 생략)의 #4를 고정지표 M에 맞추면, 투영배율(γ) = 1, 투영화면폭 = 32 ㎜가 되고, 투영화면의 중심은, 폭 = 31 ㎜인 초점판(14L, 14R)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0.5 ㎜ 오프셋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의 다이얼(93)의 #A를 고정 링(92)의 지표 M2(#4)에 맞추면, 좌우 초점판(14L, 14R)은 각각 간격확장방향으로 0.5 ㎜ 오프셋하고, 투영배율(γ) = 1이며, 또한, 투영화면의 중심과 초점판의 중심이 일치하여, 도 12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71)와 동일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다이얼(93)을 플러스방향 또는 마이너스방향으로 회전하여, 초점판의 시준패턴과 입체화상과의 위치관계를 가장 양호한 상태로 조절하고, 그때 지표 M2(#4)에 일치하는 다이얼(93)의 문자를 보면, 도12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71)와 마찬가지로 최적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E∼#E)를 알 수 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은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F)의 화면 사이의 갭에 절단의 목표가 되는 컷팅 마크(CM)를 노광(露光)하고, 각 화면의 외측에 프레임 번호(nL, nR)를 노광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제안하고 있는데,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가이드(16)에 컷팅 마크 표시창(101)과 프레임번호 표시창(102)을 설치하면, 필름(F)의 화면과 필름 가이드(16)의 화면창(16L, 16R)과의 정확한 위치맞춤 및 프레임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5(c)는 컷팅 마크 표시창(101)의 확대도로서, 컷팅 마크 표시창(101)에는 투명창유리(103)를 부착하고 있다. 투명창유리(103)에는 도 15(a)에 도시한 필름(F)의 컷팅 마크(CM)와 유사한 지표선 LREF가 각인되어 있고, 필름의 컷팅 마크(CM)를 지표선(LREF)과 일치시키면 화면창(16L, 16R)과 필름(F)의 화면 위치가 일치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의 각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초점판 홀더는 초점판을 교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시준패턴을 가지는 초점판(14L, 14R)을, 시준패턴이 없는 전면 매트면의 초점판으로 교환함으로써, 고성능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경이 가능하고, 본 발명이 그들 개조 및 변경된 것에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는, 투영배율 또는 초점판의 피치와 투영화면의 피치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투영화상과 시준 패턴과의 전후위치관계를 관찰하여, 가장 양호한 상태로 되었을 때의 다이얼 숫자를 보면, 최적의 시차보정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마운트 방법에 있어서의 시차보정의 부정확함이 해소되고, 가장 양호한 시각효과의 상태를 가지는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간단히 작성할 수 있는 동시에 마운트 작업의 능률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Claims (14)

  1.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 스트립의 스테레오 사진을 입체로 관찰하여, 그 스테레오 사진에 대한 최적의 화면 마스크량을 판정하고, 판정한 마스크량에 적합한 화면 마스크율의 슬라이드 마운트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로서,
    투영렌즈와, 시준패턴을 구비한 초점판과, 접안렌즈로 이루어진 광학계를 좌우로 2계통 배치하고, 필름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로 한쌍의 화면창을 가지는 필름 가이드를 상기 투영렌즈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필름 가이드의 좌우 한쌍의 화면창내로 노출되는 필름 스트립의 1조의 화면을 상기 좌우의 초점판에 개별적으로 투영하는 동시에,
    좌우 투영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와,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와의 연동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초점판의 폭은 최소투영배율시에 있어서의 투영화면의 폭과 일치하고,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는, 투영배율에 관계없이 상기 좌우 초점판의 내측 엣지와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가 일치하는 관계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동기구의 조작 노브에 조작량을 표시하는 다이얼을 설치하고, 각종 창폭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식별번호와 상기 다이얼의 조작량 지표를 대응시켜, 상기지표가 초점판상의 투영화면의 화면 마스크율과 동일한 화면 마스크율의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2.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 스트립의 스테레오 사진을 입체로 관찰하여, 그 스테레오 사진에 대한 최적의 화면 마스크량을 판정하고, 판정한 마스크량에 적합한 화면 마스크율의 슬라이드 마운트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로서,
    투영렌즈와, 시준패턴을 구비한 초점판과, 접안렌즈로 이루어진 광학계를 좌우로 2계통 배치하고, 필름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로 한쌍의 화면창을 가지는 필름 가이드를 상기 투영렌즈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필름 가이드의 좌우 한쌍의 화면창내로 노출되는 필름 스트립의 1조의 화면을 상기 좌우의 초점판에 개별적으로 투영하는 동시에,
    좌우 투영렌즈를 이동시켜 투영배율을 증감시키는 투영배율 조절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초점판의 폭은 최소투영배율시에 있어서의 투영화면의 폭과 일치하고,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에 의한 좌우 투영렌즈의 주점(主点)의 이동궤적은, 투영확대율에 관계없이 상기 좌우 초점판의 내측 엣지와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가 일치하는 곡선이고,
    또한,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의 조작 노브에 조작량을 표시하는 다이얼을 설치하고, 각종 창폭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식별번호와 상기 다이얼의 조작량 지표를 대응시켜, 상기 지표가 초점판상의 투영화면의 화면 마스크율과 동일한 화면 마스크율의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3.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 스트립의 스테레오 사진을 입체로 관찰하여, 그 스테레오 사진에 대한 최적의 화면 마스크량을 판정하고, 판정한 마스크량에 적합한 화면 마스크율의 슬라이드 마운트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로서,
    투영렌즈와, 시준패턴을 구비한 초점판과, 접안렌즈로 이루어진 광학계를 좌우로 2계통 배치하고, 필름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로 한쌍의 화면창을 가지는 필름 가이드를 상기 투영렌즈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필름 가이드의 좌우 한쌍의 화면창내로 노출되는 필름 스트립의 1조의 화면을 상기 좌우의 초점판에 개별적으로 투영하는 동시에,
    좌우 투영렌즈를 이동시켜 투영배율을 증감시키는 투영배율 조절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초점판의 폭은 최소투영배율시에 있어서의 투영화면의 폭과 일치하고,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에 의한 좌우 투영렌즈의 주점의 이동궤적은, 투영확대율에 관계없이 상기 좌우 초점판의 내측 엣지와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가 일치하는 곡선과 유사한 직선이고,
    또한,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의 조작 노브에 조작량을 표시하는 다이얼을 설치하고, 각종 창폭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식별번호와 상기 다이얼의 조작량 지표를 대응시켜, 상기 지표가 초점판상의 투영화면의 화면 마스크율과 동일한 화면 마스크율의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4.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 스트립의 스테레오 사진을 입체로 관찰하여, 그 스테레오 사진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대한 최적의 필름 부착위치 오프셋량을 판정하고, 판정한 오프셋량에 적합한 필름 부착위치 오프셋량의 슬라이드 마운트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로서,
    투영렌즈와, 시준패턴을 구비한 초점판과, 접안렌즈로 이루어진 광학계를 좌우로 2계통 배치하고, 필름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로 한쌍의 화면창을 가지는 필름 가이드를 상기 투영렌즈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필름 가이드의 좌우 한쌍의 화면창내로 노출되는 필름 스트립의 1조의 화면을 상기 좌우의 초점판에 개별적으로 투영하는 동시에,
    투영화면의 폭보다도 상기 초점판의 폭을 좁게 형성하고, 좌우 초점판의 간격 조절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의 조작 노브에 조작량을 표시하는 다이얼을 설치하고, 각종 필름부착위치 오프셋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식별번호와 상기 다이얼의 조작량 지표를 대응시켜, 초점판에 대한 투영화면의 오프셋율과 동일한 화면 오프셋율의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상기 지표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5.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 스트립의 스테레오 사진을 입체로 관찰하여, 그 스테레오 사진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대한 최적의 필름부착위치 오프셋량을 판정하고, 판정한 오프셋량에 적합한 필름부착위치 오프셋량의 슬라이드 마운트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로서,
    투영렌즈와, 시준패턴을 구비한 초점판과, 접안렌즈로 이루어진 광학계를 좌우로 2계통 배치하고, 필름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로 한쌍의 화면창을 가지는 필름 가이드를 상기 투영렌즈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필름 가이드의 좌우 한쌍의 화면창내로 노출되는 필름 스트립의 1조의 화면을 상기 좌우의 초점판에 개별적으로 투영하는 동시에,
    투영화면의 폭보다도 상기 초점판의 폭을 좁게 형성하고, 좌우 투영렌즈의 간격 조절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투영렌즈 간격 조절기구의 조작 노브에 조작량을 표시하는 다이얼을 설치하고, 각종 필름부착위치 오프셋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식별번호와 상기 다이얼의 조작량 지표를 대응시켜, 초점판에 대한 투영화면의 오프셋율과 동일한 화면 오프셋율의 슬라이드 마운트의 번호를 상기 지표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와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는 캠기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의 캠은 최소투영배율 위치로부터 양 회전방향 모두가 투영배율을 확대하는 형상이고,
    상기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의 캠은, 상기 투영배율 조절기구의 캠의 최소투영배율 위치로부터 한쪽 회전방향에 있어서, 초점판의 간격을 축소하여, 투영배율에 관계없이 상기 좌우 초점판의 내측 엣지와 투영화면의 내측 엣지를 일치시키고, 상기 최소투영배율 위치로부터 다른 회전방향에서는, 초점판의 간격을 확대하여, 투영배율에 관계없이 상기 좌우 초점판의 외측 엣지와 투영화면의 외측 엣지를 일치시키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초점판의 중간을 지나고, 또한 좌우 투영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비스듬하게 움직이는 한쌍의 직선 슬라이드 가이드를 설치하고, 좌측 슬라이드 가이드에 좌측 투영렌즈 홀더를 결합하고, 우측 슬라이드 가이드에 우측 투영렌즈 홀더를 결합하며,
    상기 좌우 슬라이드 가이드의 연장선의 교차점에 캠 샤프트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캠 샤프트에 상기 다이얼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캠 샤프트에 2개의 동일한 형상의 캠을 설치하고, 상기 2개의 캠의 위상을 좌우 슬라이드 가이드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게 변위시키고,
    상기 좌우 투영렌즈 홀더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좌측 변위캠에 좌측 투영렌즈 홀더를 압접시키고, 우측 변위캠에 우측 투영렌즈 홀더를 압접시켜, 상기 캠에 의해 좌우 투영렌즈 홀더를 동기(同期)이동시키는 투영배율 조절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6 항,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영배율 조절범위의 최소투영배율 위치와 최대투영배율 위치와의 중간위치의 투영배율을 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9. 제 2 항, 제 3 항,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초점판의 간격 조절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판 간격 조절기구는, 투영화면의 피치와 초점판의 피치가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양방향으로 간격조절범위를 가지고, 투영화면의 피치에 대하여 초점판의 피치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초점판상의 투영화면의 외측 또는 내측의 마스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렌즈간격 조절기구는, 투영화면의 피치와 초점판의 피치가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양방향으로 간격조절범위를 가지고, 초점판의 피치에 대하여 투영화면의 피치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초점판상의 투영화면의 외측 또는 내측의 마스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12. 제 4 항, 제 5 항, 제 10 항,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영배율을 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영시에 필름의 엣지부에 절단위치지표를 노광하는 기능을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대응하는 마스크량 가이드장치로서,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필름의 절단위치지표에 대응하는 위치결정지표를 필름 가이드에 설치하고, 상기 절단위치지표와 위치결정지표를 일치시킴으로써, 필름 가이드의 화면창과 필름의 화면이 일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점판을 교환가능하게 형성하고, 시준패턴이 없는 초점판으로 교환함으로써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KR1019970058107A 1997-10-31 1997-11-05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KR10023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3994A SE9703994L (sv) 1997-10-31 1997-10-31 Maskeringsgradsstyrande anordning för stereodiabilder
CA002220236A CA2220236C (en) 1997-10-31 1997-11-05 Masking-amount guide device for stereo slide
KR1019970058107A KR100237734B1 (ko) 1997-10-31 1997-11-05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US08/964,804 US5879064A (en) 1997-10-31 1997-11-05 Masking-amount guide device for stereo slide
IT97TO000980A IT1295959B1 (it) 1997-10-31 1997-11-11 Dispositivo di guida dell'entita' di mascheratura per diapositive stereoscopiche
DE19750141A DE19750141C2 (de) 1997-10-31 1997-11-12 Abblendauswahlvorrichtung für Stereobildrahmen
FR9714651A FR2771516B1 (fr) 1997-10-31 1997-11-21 Dispositif formant guide de masquage pour dispositives stereoscopiques
CN97122642A CN1218915A (zh) 1997-10-31 1997-11-27 立体幻灯片用的遮蔽量引导装置
GB9727268A GB2332752B (en) 1997-10-31 1997-12-24 Masking-amount guide apparatus for stereo sl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3994A SE9703994L (sv) 1997-10-31 1997-10-31 Maskeringsgradsstyrande anordning för stereodiabilder
CA002220236A CA2220236C (en) 1997-10-31 1997-11-05 Masking-amount guide device for stereo slide
KR1019970058107A KR100237734B1 (ko) 1997-10-31 1997-11-05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US08/964,804 US5879064A (en) 1997-10-31 1997-11-05 Masking-amount guide device for stereo slide
IT97TO000980A IT1295959B1 (it) 1997-10-31 1997-11-11 Dispositivo di guida dell'entita' di mascheratura per diapositive stereoscopiche
DE19750141A DE19750141C2 (de) 1997-10-31 1997-11-12 Abblendauswahlvorrichtung für Stereobildrahmen
FR9714651A FR2771516B1 (fr) 1997-10-31 1997-11-21 Dispositif formant guide de masquage pour dispositives stereoscopiques
CN97122642A CN1218915A (zh) 1997-10-31 1997-11-27 立体幻灯片用的遮蔽量引导装置
GB9727268A GB2332752B (en) 1997-10-31 1997-12-24 Masking-amount guide apparatus for stereo sl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04A KR19990038404A (ko) 1999-06-05
KR100237734B1 true KR100237734B1 (ko) 2000-01-15

Family

ID=3343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107A KR100237734B1 (ko) 1997-10-31 1997-11-05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79064A (ko)
KR (1) KR100237734B1 (ko)
CN (1) CN1218915A (ko)
CA (1) CA2220236C (ko)
DE (1) DE19750141C2 (ko)
FR (1) FR2771516B1 (ko)
GB (1) GB2332752B (ko)
IT (1) IT1295959B1 (ko)
SE (1) SE9703994L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68B1 (ko) * 2001-04-26 2005-04-20 미노루 이나바 스테레오 카메라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9327A3 (en) * 1999-03-19 2002-05-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scope and its display unit
SE521735C2 (sv) 1999-06-11 2003-12-02 Minoru Inaba Stereokamera
US6296360B1 (en) * 1999-09-27 2001-10-02 Minoru Inaba Stereo slide mount, stereo slide viewer and collimation pattern mask
NL1013240C2 (nl) * 1999-10-05 2001-04-10 Minoru Inaba Stereoschuifsteun, stereoschuifviewer en richtpatroonmasker.
GB2366875B (en) * 1999-10-08 2003-06-25 Minoru Inaba Stereo slide mount,stereo slide viewer and collimation pattern mask
DE10025593A1 (de) 2000-05-24 2001-12-06 Minoru Inaba Stereokamera
US6547403B2 (en) 2001-03-16 2003-04-15 Minoru Inaba Stereo slide mount and stereo slide viewer
US20040151489A1 (en) * 2001-03-16 2004-08-05 Xianfeng Zhou Imaging system for producing double exposure composite images and application thereof
FR2839162B1 (fr) * 2002-04-24 2004-07-16 Minoru Inaba Appareil photographique stereoscopique et monture de diapositive stereoscopique
DE102005063503B4 (de) * 2005-03-10 2011-05-19 Inaba, Minoru, Oyama 3D-Display und 3D-Projektor
SG186947A1 (en) * 2010-07-13 2013-02-28 Ram Srikanth Mirlay Variable three-dimensional camera assembly for still photography
WO2012129770A1 (zh) * 2011-03-29 2012-10-04 Zhang Bingyi 立体观片观屏装置
RU2677932C1 (ru) * 2015-03-10 2019-01-22 Минору ИНАБА Средство стереопросмотр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5418A (en) * 1957-03-14 1960-07-19 Librairie Hachette Stereoscopic film strip viewer
US5101269A (en) * 1990-09-18 1992-03-31 Eastman Kodak Company Stereoscopic electronic slide and print viewer
JP3220538B2 (ja) * 1992-12-24 2001-10-2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立体視内視鏡及び立体視内視鏡装置
JP2721808B2 (ja) * 1994-10-18 1998-03-04 稔 稲葉 ステレオカメラ
US5685626A (en) * 1996-03-08 1997-11-11 Inaba; Minuro Stereo slide mount and masking-amount guide device
GB2312297B (en) * 1996-03-08 2000-07-12 Minoru Inaba Stereo slide mount
US5722751A (en) * 1996-03-08 1998-03-03 Inaba; Minuro Stereo slide mount and masking-amount guide device
CA2184037C (en) * 1996-08-23 2001-11-06 Minoru Inaba Stereo camera
US5720538A (en) * 1996-10-16 1998-02-24 Inaba; Minoru Stereo slide viewer and stereo slide mou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68B1 (ko) * 2001-04-26 2005-04-20 미노루 이나바 스테레오 카메라 및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0236A1 (en) 1999-05-05
ITTO970980A1 (it) 1999-05-11
GB2332752A (en) 1999-06-30
GB2332752B (en) 2002-03-20
FR2771516B1 (fr) 2001-12-14
GB9727268D0 (en) 1998-02-25
IT1295959B1 (it) 1999-05-28
DE19750141C2 (de) 2001-06-28
CN1218915A (zh) 1999-06-09
DE19750141A1 (de) 1999-06-10
ITTO970980A0 (it) 1997-11-11
FR2771516A1 (fr) 1999-05-28
SE9703994L (sv) 1999-05-01
KR19990038404A (ko) 1999-06-05
US5879064A (en) 1999-03-09
SE9703994D0 (sv) 1997-10-31
CA2220236C (en) 2001-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734B1 (ko)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JP2880131B2 (ja) ステレオカメラ
US6144809A (en) Stereoscopic camera
US4464028A (en) Motion picture system for single strip 3-D filming
US4494864A (en) Apparatus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US5685626A (en) Stereo slide mount and masking-amount guide device
US37703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USRE29194E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KR100235139B1 (ko)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US4478639A (en) Method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US4026631A (en) Image interpretation instrument
JP3046267B2 (ja) ステレオスライドのマスク量ガイド装置
US5722751A (en) Stereo slide mount and masking-amount guide device
JP3037248B2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
KR0182095B1 (ko) 스테레오 카메라
US40563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print of an object
JP3067774B1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並びにステレオカメラ
JP3253019B2 (ja) ステレオカメラ
KR100210873B1 (ko) 스테레오 스라이드 마운드 및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JP2951317B1 (ja) ステレオカメラ
JP2857362B2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及びマスク量ガイド装置
KR100272381B1 (ko) 스테레오카메라
ITTO960224A1 (it) Telaio per diapositive stereoscopiche e dispositivo di guida dell'enti ta' di mascheratura.
ITTO960717A1 (it) Macchina fotografica per stereoscopia
SE516687C2 (sv) Stereok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