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139B1 -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139B1
KR100235139B1 KR1019980003381A KR19980003381A KR100235139B1 KR 100235139 B1 KR100235139 B1 KR 100235139B1 KR 1019980003381 A KR1019980003381 A KR 1019980003381A KR 19980003381 A KR19980003381 A KR 19980003381A KR 100235139 B1 KR100235139 B1 KR 10023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ereo slide
stereo
slide mount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252A (ko
Inventor
미노루 이나바
Original Assignee
미노루 이나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09/014,457 priority Critical patent/US6036320A/en
Priority to SE9800257D priority patent/SE9800257L/xx
Priority to SE9800257A priority patent/SE512075C2/sv
Priority to CA002228951A priority patent/CA2228951C/en
Priority to DE19804313A priority patent/DE19804313C2/de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이나바 filed Critical 미노루 이나바
Priority to FR9801414A priority patent/FR2774779B1/fr
Priority to KR1019980003381A priority patent/KR100235139B1/ko
Priority to CN98100537A priority patent/CN1074885C/zh
Priority to CN98105370A priority patent/CN1227353A/zh
Priority to GB9809333A priority patent/GB2336917A/en
Publication of KR1999006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64Means for mounting individual pictures to be projected, e.g. frame for transparenc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53/00Optics: image projectors
    • Y10S353/05Transparency holder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는 슬라이드 필름의 마운트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는, 좌우 창이 동일한 폭(W)과 동일한 피치(Pw)를 가지고, 베이스 프레임(2)상에 형성된 필름 위치결정 핀(6L, 6R)과 커버 프레임(3)에 형성된 핀 구멍(7L, 7R)이 단계적으로 상이한 피치(Pp)를 가지는 다수 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E, …, #E)의 시스템을 구성한다. 베이스 프레임(2) 및 커버 프레임(3)은, 베이스 프레임(2)의 위치결정 핀(6L, 6R)에 필름의 퍼포레이션을 맞추고 커버 프레임(3)의 핀 구멍(7L, 7R)에 상기 위치결정 핀을 끼워 맞춤으로써 결합된다. 각각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는,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옵셋량을 갖는 마운트상에 필름을 마운팅함으로써 정확한 입체화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차(視差)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이한 필름 옵셋을 갖는다.

Description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본 발명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의 일부를 마스크하여 정확한 입체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좌우 렌즈의 광축 간격이 고정된 구조의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에서는, 좌우 촬영렌즈의 시계차(視界差)에 의해 피사체 거리에 따라 좌측 화면의 좌측 엣지(edge)부와 우측 화면의 우측 엣지부에 각각 비중복 부분이 생긴다.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로 감상할 때, 이 비중복 부분은 입체상이 형성되지 않고 눈에 거슬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의 한 화면폭보다도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화면창폭을 좁게 형성하여, 좌우 화면의 비중복 부분을 마스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마스크해야 할 비중복 부분의 폭은, 좌우 화상의 매칭(matching)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피사체(크기, 위치, 색채, 콘트라스트 등에 따라 영향도가 다르다)의 촬영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증대하므로, 창폭이 단계적으로 상이한 다수 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로부터,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마다 적절한 화면 마스크량을 가지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선택하여 필름을 마운트하고 있다. 따라서, 광축간격 고정형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필름은, 화면을 마스크하는 것에 의한 화면의 손실을 피할 수 없고, 특히, 근거리 촬영시에 화면의 손실이 증대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한편, 좌우 렌즈의 광축간 거리 조절기구를 설치한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우 렌즈의 시계(視界)를 조절할 수 있고, 피사체 거리에 따른 시차(視差) 보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슬라이드 마운트에 의해 좌우 화면의 외측 엣지부를 마스크할 필요가 없게 되고, 필름을 필름의 화면폭과 동일한 창폭을 가지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획일적으로 마운트하면, 적절한 입체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자동 광축간거리 조절식 또는 수동 광축간거리 조절식의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필름일지라도, 이하와 같은 경우에는 좌우 화면을 마스크하여 원근감을 보정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좌우 화상의 매칭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피사체가 주요 피사체보다도 가까운 거리에 촬영되어 있는 경우는, 좌우 화면의 외측 엣지부를 마스크하여 원근감을 보정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수동 조작식의 광축간거리 조절식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 광축간거리 조절 조작을 잘못하여 시차(視差)보정 과잉(광축간거리가 과소한 경우)의 상태에서 촬영한 경우는, 상기의 경우와는 반대로 좌우 화면의 내측 엣지부를 마스크하여 원근감을 보정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광축간거리 조절식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은, 시차(視差)를 어느 정도 보정한 상태에서 촬영되어 있으므로, 필요로 하는 마스크량이 매우 적다. 따라서, 필름의 화면폭보다도 창폭이 약간 좁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사용하여, 창에 대한 필름의 옵셋(offset)량을 조절함으로써 화면의 일부를 마스크하는 방법이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있어서, 마운트의 창에 대한 필름의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는, 필름을 마운트의 베이스 프레임에 접착하여 위치를 결정하게 되므로 위치결정이 어렵고 부정확한 동시에 작업이 번잡하며 비능률적이다.
그래서, 마운트 작업의 용이성과 위치결정의 정확함을 구비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제공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생기게 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 구멍이 있는 필름의 퍼포레이션(perforation)과 좌우 한쌍의 촬영화면 각각과의 상대적 위치가 동일한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을 마운트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로서,
각각 2개의 사각형 창을 병설한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필름 배치면에, 고정시킬 슬라이드 필름의 퍼포레이션에 결합하여 2장의 슬라이드 필름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핀을 설치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필름 누름면에 상기 위치결정 핀에 대응하는 핀 구멍을 마련하여, 상기 위치결정 핀과 핀 구멍을 끼워맞춰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을 접합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있어서,
좌우 창의 피치 및 창폭이 일정하고, 창폭은 필름의 화면폭보다도 약간 좁으며, 또한, 좌측 필름의 위치결정 핀 및 핀 구멍과 우측 필름의 위치결정 핀 및 핀 구멍과의 피치가 단계적으로 상이한 다수 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의해 마운트 시스템을 구성하고, 각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필름 부착 피치의 상위(相違)에 따라 좌우 필름의 옵셋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 (d)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 (d)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 (d)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필름이 내측으로 옵셋(offset)된 #-E의 마운트의 정면도, (b)는 필름 옵셋량이 0인 #A의 마운트의 정면도, (c)는 필름이 외측으로 옵셋된 #E의 마운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도, (b)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도, (c)는 커버 프레임의 정면도, (d)는 커버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도, (b)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7은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의 평면단면도.
도 8의 (L)과 (R)은 각각 초점판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2: 커버 프레임
3: 베이스 프레임 4L, 4R: 창
5L, 5R: 창 6L, 6R: 위치결정 핀
7L, 7R: 핀 구멍 8: 세로 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중 필름 옵셋량이 0인 #A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를 나타내고, 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2)과, 베이스 프레임(2)의 표면에 중첩시킨 커버 프레임(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2)과 커버 프레임(3)은 외형이 동일하고, 좌우 한쌍의 창(4L, 4R)(5L, 5R)이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에는, 필름의 퍼포레이션을 결합시키는 원주 형상의 위치결정 핀(6L, 6R)이 좌우 창(4L, 4R)의 상하좌우 4개소에 설치되고, 도 3에 나타낸 커버 프레임(3)에는, 베이스 프레임(2)의 위치결정 핀(6L, 6R)과 동일한 위치에 핀 구멍(7L, 7R)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의 뒷면 중앙에는 세로 홈(8)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세로 홈(8)의 부분을 힌지로 하여 베이스 프레임(2)을 반으로 접을 수 있다.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는, 필름의 퍼포레이션과 화면의 상대적 위치가 좌우에서 동일해지도록 구성된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필름을 마운트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 핀(6L, 6R)의 위치는 퍼포레이션의 중심위치에서 절단한 1코마(coma)의 슬라이드 필름(F)의 좌우 단부(端部)의 퍼포레이션을 베이스 프레임(2)의 위치결정 핀(6L, 6R)에 결합시키면, 필름이 창(4L, 4R)에 대하여 소정의 옵셋 위치에 세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필름의 가로방향의 옵셋량이 단계적으로 상이한 9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E, …, #A, …, #E)에 의해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 도면은, 9종류중에서 3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E, #A, #E)를 나타내고 있으나, 마운트의 단계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부터 #E까지의 각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의 화면창(4L, 4R)(5L, 5R)의 폭(W)은 일정하고, 필름의 화면폭보다도 약간 좁으며, 예를 들어, 필름의 화면폭 = 32 ㎜에 대하여 화면창폭(W) = 31 ㎜로 설정되어 있다. 좌우 화면창(4L, 4R)(5L, 5R)의 피치(pitch)(Pw)도 일정하나, 화면창의 네모서리 근방에 설치한 좌측 필름 위치결정 핀(6L) 및 핀 구멍(7L)과 우측 필름 위치결정 핀(6R) 및 핀 구멍(7R)의 간격(Pp)은, 마운트 넘버마다 0.125 ㎜ 단위로 증감한다. 또한, 좌우 창의 피치(Pw)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뷰어를 사용하여 감상할 때의 관찰의 편의를 고려하면, 사람의 양안(兩眼) 간격의 표준값인 63.5 ㎜ 또는 63.5 ㎜보다 약간 좁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에 나타낸 #A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에 있어서는, 필름의 부착 피치와 화면창(4L, 4R)(5L, 5R)의 피치(Pw)가 일치하여 필름 옵셋은 0이고, 화면창(4L, 4R)(5L, 5R)에 의해 필름의 화면 외측 단부와 내측 단부가 각각 0.5 ㎜ 마스크된다. 그리고, 플러스(+) 방향으로 #8, …, #E의 순서로 화면창(4L, 4R) (5L, 5R)에 대하여 필름이 외측으로 옵셋하는 양이 증대하고, #E에서는 필름의 화면 외측 단부가 1 ㎜ 마스크된다. 또한, #-8, …, #-E의 순서로 화면창(4L, 4R) (5L, 5R)에 대하여 필름이 내측으로 옵셋하고, #-E에서는 화면창(4L, 4R)(5L, 5R)에 대하여 필름이 내측으로 1 ㎜ 옵셋하여 필름의 화면 내측 단부가 1 ㎜ 마스크된다.
또한, 마이너스(-) 넘버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8, …, #-E)는, 수동식의 광축간거리 조절기구를 설치한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 오조작에 의해 시차(視差)보정 과잉으로 촬영한 필름에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은, #A ∼ #E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의해 화면 외측 단부의 마스크량을 조절하여 시차보정을 행한다.
스테레오 슬라이드를 마운트할 때는, 후술하는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및 다른 마스크량 판정수단에 의해 필름의 마스크량을 결정하고, 그 마스크량에 해당하는 옵셋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베이스 프레임(2)의 좌우 창(4L, 4R)에 필름을 장착하고, 베이스 프레임(2)에 커버 프레임(3)을 올려 놓고, 위치결정 핀(6L, 6R)과 핀 구멍(7L, 7R)을 끼워맞춰 커버 프레임(2)과 베이스 프레임(3)을 접합한다.
베이스 프레임(2)은 세로 홈(8) 부분을 힌지로 하여 반으로 접을 수 있으므로, 좌측 반쪽이나 우측 반쪽을 먼저 끼워맞출 수 있고, 위치결정 핀(6L, 6R)과 핀 구멍(7L, 7R)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마운트작업의 능률이 양호하다. 한편, 커버 프레임(3)의 표면에는 절곡홈이 없이 평탄하게 성형되어 있으므로, 커버 프레임(3)에 타이틀 또는 촬영 메모를 기입할 경우에 편리하다. 또한, 커버 프레임(3)의 좌우 창(5L, 5R) 사이의 간격부에 홈부분을 형성하여, 이 홈부분에 타이틀 등을 기입하거나 타이틀 레벨을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필름의 퍼포레이션의 형상이 원형 또는 좌우방향으로 긴 장원형의 필름인 경우에는, 원주 형상의 위치결정 핀(6L, 6R)의 직경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위치결정 핀(6L, 6R)만으로 필름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되나, 135 필름 등과 같이 상하로 가늘고 긴 형상의 퍼포레이션을 가지는 필름의 경우는, 위치결정 핀(6L, 6R)의 직경이나 형상에 따라서는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이 애매해지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필름의 상하방향 위치결정의 정확함을 향상시킨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에 필름의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결정 핀(6L, 6R)과 필름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결정 핀(11L, 11R)을 설치하고, 도 5(c) 및 (d)에 나타낸 커버 프레임(3)에 위치결정 핀(6L, 6R)(11L, 11R)과 결합하는 핀 구멍(7L, 7R)(12L, 12R)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베이스 프레임(2)은 그의 상하 중간에 가로방향으로 필름의 상하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홈부(13)를 가지고 있고, 그 홈부(13)에 필름을 배치시킴으로써, 도 5와 마찬가지로 필름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에 필름을 마운트할 때는,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에 의해 필름 스트립상의 1조의 스테레오 사진의 적절한 화면 마스크량을 판정한 후에, 판정한 마스크량에 해당하는 필름 옵셋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1코마 단위로 절단한 필름을 장착하면, 좌우 1조의 필름은 위치결정 핀(6L, 6R)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고, 또한, 좌우 화면의 마스크해야 할 부분이 마스크되어 정확한 입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1)의 선택에 적합한 마스크량 가이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7에 나타낸 마스크량 가이드장치(21)는, 프레임(22)에 투영렌즈(23L, 23R)와 초점판(24L, 24R)과 접안렌즈(25L, 25R)로 이루어진 좌우 2계통의 광학계를 설치하고, 프레임(22)의 뒷부분(도면에서 위)에 필름 가이드(26)를 고정하여, 그 필름 가이드(26)에 장전(裝塡)한 필름 스트립(F)을 관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투영렌즈(23L, 23R)를 장착한 렌즈 보드(27)는 프레임(22)의 전후 중간부에 고정되고, 프레임(22)의 앞부분에는 이송나사(28)를 좌우방향으로 설치하며, 좌우 초점판 홀더(29L, 29R)에 설치한 아암(arm)(30L, 30R)에 암나사(도시 생략)를 성형하여, 이송나사(28)와 암나사를 볼-나사 기구에 의해 결합하고 있다.
이송나사(28)는 중간부로부터 좌우대칭으로 우나사와 좌나사가 절삭되어 있고, 이송나사(28)의 단부의 노브(31)를 우회전시키면 좌우의 초점판 홀더(29L, 29R)는 광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접근하고, 노브(31)를 좌회전시키면 좌우의 초점판 홀더(29L, 29R)는 반대로 멀어져, 초점판(24L, 24R)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초점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좌우의 초점판(24L, 24R)은 동일하며, 차광성 재료의 프레임(FL)으로 화면의 주위를 덮거나 또는 화면의 주위를 흑색으로 도장하여 화면 이외의 부분을 마스크하고 있다. 초점판(24L, 24R)의 화면폭은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E ∼ #E)의 화면창폭(31 ㎜) × 투영배율(γ)이며, 여기서는 투영배율(γ) = 1로서 초점판의 폭 = 31 × 1 = 31 ㎜로 하고 있다. 초점판(24L, 24R)의 화면에는 다수의 세로선을 주체로 하여 구성한 좌우 동일의 시준(視準)패턴(CP)을 인쇄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하여, 좌우 투영화면의 가로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한 매칭 변화의 시인성(視認性)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초점판(24L, 24R)에 대치하는 최전방부의 접안렌즈 홀더(32L, 32R)에는, 공지의 확축(擴縮) 연동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그 기구는 수동에 의해 좌우대칭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어, 접안렌즈 피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양안(兩眼)의 피치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일반 광학기기와 같이, 앞부분 경통(32La, 32Ra)을 회전시킴으로써, 시도(視度)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22)의 후단부에는 반원형의 반사판(33)이 고정설치되고, 반사판(33)과 필름 가이드(26)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사진 전구(34)를 설치하여 산광(散光) 광원을 구성하여, 필름 가이드(26)의 배면을 균일하게 조사(照射)한다.
필름 가이드(26)에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화면 포맷에 대응하는 세로 홈의 치수 및 피치로 좌우 화면창(26L, 26R)을 설치하고, 필름 스트립(F)의 1조의 스테레오 사진의 화면이 화면창(26L, 26R)내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필름 가이드(26)에 필름 스트립(F)을 장착할 때는, 필름 가이드(26)의 좌측 화면창(26L)에 1조의 스테레오 사진의 좌측 화면이 위치하고, 우측 화면창(26R)에 우측 화면이 위치하는 자세로, 감광유제면을 뒤쪽(광원측)으로 향하여 필름 가이드(26)에 삽입한다. 전방으로부터 보아 필름 가이드(26)의 화면창(26L, 26R)내의 상하좌우 반전 화면은 투영렌즈(23L, 23R)를 통하여 초점판(24L, 24R)에 정립상(正立像)으로서 결상(結像)하여, 좌우 접안렌즈(25L, 25R)를 통하여 정립상을 입체로 볼 수 있다.
이송나사(28)의 단부에 노브(31)와 동축으로 설치한 다이얼(35)에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시스템의 각 마운트 번호(#-E ∼ #E)에 대응시킨 문자가 각인되어 있어, 옵셋량이 0인 #A를 고정 링(36)의 지표 M에 일치시킨 경우에는, 필름(F)의 화면 중심과 투영렌즈(23L, 23R)의 주점(主点)을 지나는 직선상에 초점판(24L, 24R)의 중심이 위치한다.
다이얼(35)을 #A로부터 #B, …, #E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우 초점판(24L, 24R)이 접근방향으로 옵셋하고, 투영화면의 외측 영역이 초점판(24L, 24R)의 필름(FL)에 의해 마스크된다. 그리고, #E와 지표 M이 일치했을 때의 초점판(24L, 24R)의 옵셋량은 각각 내측으로 0.5 ㎜이다.
또한, 다이얼(35)을 #A로부터 #-B, …, #-E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우 초점판(24L, 24R)이 멀어져 투영화면의 내측 영역이 초점판(24L, 24R)의 필름(FL)에 의해 마스크되고, #-E와 지표 M이 일치했을 때의 초점판(24L, 24R)은 각각 외측으로 0.5 ㎜ 옵셋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 조작시에는, 마스크량의 변화에 수반하여 시준(視準)패턴(CP)에 대한 입체화상의 원근감이 변동한다. 따라서, 입체화상을 관찰하면서 다이얼(35)을 회전시켜, 입체화상이 시준패턴(CP)과 동일한 평면, 또는 시준패턴(CP)의 후방에서 보이는 상태로 하여 그때 고정지표 M이 지시하는 다이얼(35)의 숫자를 보면, 그 스테레오 사진에 대해 최적의 시차(視差)보정상태가 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E, …, #E)의 번호가 판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개조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그들의 개조변경된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는, 화면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등에 의해 결정한 필름 옵셋량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선택하여 필름을 마운트하면, 피사체의 정확한 시차보정이 이루어져, 고품위의 입체화상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마운트마다 필름의 옵셋량이 상이해도 좌우의 화면 피치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필름의 옵셋량이 상이한 다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를 빈번히 교환하여 감상할 경우에도, 좌우 눈의 시선의 광학 각도가 일정하여, 눈의 피로가 적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구멍이 있는 필름의 퍼포레이션(perforation)과 좌우 한쌍의 촬영화면 각각과의 상대적 위치가 동일한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스테레오 슬라이드 필름을 마운트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로서, 각각 2개의 사각형 창을 병설한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필름 배치면에, 고정시킬 슬라이드 필름의 퍼포레이션에 결합하여 2장의 슬라이드 필름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핀을 설치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필름 누름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핀에 대응하는 핀 구멍을 마련하여, 상기 위치결정 핀과 핀 구멍을 끼워맞춰 베이스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을 접합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있어서,
    좌우 창의 피치 및 창폭이 일정하고, 창폭은 필름의 화면폭보다도 약간 좁으며, 또한, 좌측 필름의 위치결정 핀 및 핀 구멍과 우측 필름의 위치결절 핀 및 핀 구멍과의 피치가 단계적으로 상이한 다수 종류의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에 의해 마운트 시스템을 구성하여, 각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의 필름 부착 피치의 상위(相違)에 따라 좌우 필름의 옵셋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 중앙부에 힌지부를 형성하여 자유롭게 굴곡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KR1019980003381A 1998-01-28 1998-02-06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KR10023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14,457 US6036320A (en) 1998-01-28 1998-01-28 Stereo slide mount
SE9800257A SE512075C2 (sv) 1998-01-28 1998-01-29 Stereodiabildshållare
SE9800257D SE9800257L (sv) 1998-01-28 1998-01-29 Stereodiabildshållare
CA002228951A CA2228951C (en) 1998-01-28 1998-02-03 Stereo slide mount
DE19804313A DE19804313C2 (de) 1998-01-28 1998-02-04 Stereobildrahmensystem
FR9801414A FR2774779B1 (fr) 1998-01-28 1998-02-06 Monture de diapositive stereoscopique
KR1019980003381A KR100235139B1 (ko) 1998-01-28 1998-02-06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CN98100537A CN1074885C (zh) 1998-01-28 1998-02-17 影像亮度误差补偿方法及装置
CN98105370A CN1227353A (zh) 1998-01-28 1998-02-25 立体幻灯框
GB9809333A GB2336917A (en) 1998-01-28 1998-04-30 Stereo slide mou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14,457 US6036320A (en) 1998-01-28 1998-01-28 Stereo slide mount
SE9800257A SE512075C2 (sv) 1998-01-28 1998-01-29 Stereodiabildshållare
CA002228951A CA2228951C (en) 1998-01-28 1998-02-03 Stereo slide mount
DE19804313A DE19804313C2 (de) 1998-01-28 1998-02-04 Stereobildrahmensystem
FR9801414A FR2774779B1 (fr) 1998-01-28 1998-02-06 Monture de diapositive stereoscopique
KR1019980003381A KR100235139B1 (ko) 1998-01-28 1998-02-06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CN98100537A CN1074885C (zh) 1998-01-28 1998-02-17 影像亮度误差补偿方法及装置
GB9809333A GB2336917A (en) 1998-01-28 1998-04-30 Stereo slide mou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252A KR19990069252A (ko) 1999-09-06
KR100235139B1 true KR100235139B1 (ko) 1999-12-15

Family

ID=3313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381A KR100235139B1 (ko) 1998-01-28 1998-02-06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36320A (ko)
KR (1) KR100235139B1 (ko)
CN (1) CN1074885C (ko)
CA (1) CA2228951C (ko)
DE (1) DE19804313C2 (ko)
FR (1) FR2774779B1 (ko)
GB (1) GB2336917A (ko)
SE (2) SE9800257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6360B1 (en) * 1999-09-27 2001-10-02 Minoru Inaba Stereo slide mount, stereo slide viewer and collimation pattern mask
GB2366875B (en) * 1999-10-08 2003-06-25 Minoru Inaba Stereo slide mount,stereo slide viewer and collimation pattern mask
JP3394764B2 (ja) * 2001-04-09 2003-04-07 稔 稲葉 ステレオスライドビューワ
CN1332551C (zh) * 2004-02-05 2007-08-15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扫描装置
CN101352102B (zh) * 2005-12-29 2012-06-27 夏普株式会社 光源装置、显示装置及电视接收机
CN101557455B (zh) * 2008-04-10 2011-06-15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补偿图像数据亮度的方法及应用此方法的馈纸式扫描装置
EP2319016A4 (en) * 2008-08-14 2012-02-01 Reald Inc STEREOSCOPIC DEPTH MAPPING
JP5891714B2 (ja) 2011-11-02 2016-03-23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ジェクタおよび台形歪み補正方法
CN103856682B (zh) * 2012-11-30 2016-07-13 崴强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校正方法
CN103697812B (zh) * 2013-12-18 2016-08-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关键尺寸测量装置的光量强度调整系统及调整方法
CN106791737B (zh) * 2015-11-25 202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投影画面的颜色校正方法及装置
CN106125480B (zh) * 2016-08-26 2021-06-01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图像色温的调节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2312A (en) * 1940-06-18 1942-08-04 Eastman Kodak Co Stereoscopic film mount
US2739401A (en) * 1952-10-30 1956-03-27 Jack I Ellerstein Co Stereopticon film mount
US2823478A (en) * 1953-11-28 1958-02-18 Ostergaard Bent Hogsbro Film strip mount
GB756655A (en) * 1953-12-08 1956-09-05 Stereofilms Bruguier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ereoscopic slides
US2842883A (en) * 1956-05-10 1958-07-15 Eastman Kodak Co Paper mount for transparencies
US3133368A (en) * 1961-09-27 1964-05-19 Perrot Arnold Slide mounting for transparencies
DE1303504B (ko) * 1962-07-06 1972-01-13 Seary Manufacturing Co
US3235991A (en) * 1965-03-29 1966-02-22 Eastman Kodak Co Paper mount for photographic transparencies
US3389485A (en) * 1966-03-02 1968-06-25 Joseph J. Roubal Film strip mount
US3808722A (en) * 1973-07-13 1974-05-07 Byers Photo Equipment Co Punch-out film mount
AT341243B (de) * 1976-09-02 1978-01-25 Hetzmannseder Bonum Werk Diarahmchen
US4132480A (en) * 1977-07-05 1979-01-02 Reed Robert A Photographic mask structure
DE2927109A1 (de) * 1979-07-05 1981-01-08 Johannes Loersch Diarahmen
DE3021138C2 (de) * 1980-06-04 1983-07-28 geb.Böser Liesel 6336 Solms Martin Diaband
DE3313935A1 (de) * 1983-04-15 1984-10-25 Gerd 1000 Berlin Schulte Normalfilm-stereo-system
DE3726157A1 (de) * 1987-08-06 1989-02-16 Eckhart Oehmichen Diaraehmchen fuer filme nach din 4536
US5392548A (en) * 1991-08-01 1995-02-28 Pakon, Inc. Slide mount with pin lock registration
JP3067610B2 (ja) * 1995-10-03 2000-07-17 稔 稲葉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
US5836665A (en) * 1995-10-26 1998-11-17 Inaba; Minoru Stereo-slide mount
DE19654880C2 (de) * 1996-03-08 1999-10-28 Minoru Inaba Auswahlvorrichtung für eine Rahmenvorderseite oder Blende eines Stereobildrahmens
GB2312297B (en) * 1996-03-08 2000-07-12 Minoru Inaba Stereo slide mount
US5685626A (en) * 1996-03-08 1997-11-11 Inaba; Minuro Stereo slide mount and masking-amount guid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512075C2 (sv) 2000-01-24
KR19990069252A (ko) 1999-09-06
DE19804313C2 (de) 2000-02-03
SE9800257D0 (sv) 1998-01-29
CN1226685A (zh) 1999-08-25
CA2228951C (en) 2000-12-19
FR2774779B1 (fr) 2000-04-14
FR2774779A1 (fr) 1999-08-13
DE19804313A1 (de) 1999-08-12
GB9809333D0 (en) 1998-07-01
SE9800257L (sv) 1999-07-30
US6036320A (en) 2000-03-14
CN1074885C (zh) 2001-11-14
GB2336917A (en) 199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80131B2 (ja) ステレオカメラ
KR0174324B1 (ko) 스테레오 카메라
KR100235139B1 (ko) 스테레오 슬라이드 마운트
US4464028A (en) Motion picture system for single strip 3-D filming
US5737655A (en) Stereo camera
KR100237734B1 (ko) 스테레오 슬라이드의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JP3037248B2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
US424590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film images
JPH0623826B2 (ja) 小形ステレオシステム
JP3067774B1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並びにステレオカメラ
US5070350A (en) Field curvature effects minimized in tele/pan camera
KR100210873B1 (ko) 스테레오 스라이드 마운드 및 마스크량 가이드장치
US6494580B2 (en) Stereo slide mount
JP3253019B2 (ja) ステレオカメラ
JP3046267B2 (ja) ステレオスライドのマスク量ガイド装置
GB2064145A (en) Apparatus for making stereoscopic photograph pairs
JP3179450B2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並びにステレオスライドビューワ並びに視準パターンマスク
JP2857362B2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及びマスク量ガイド装置
JP4079015B2 (ja) 補助光投影装置
JP3370074B2 (ja) ステレオスライドマウント
CN1227353A (zh) 立体幻灯框
ITTO980107A1 (it) Telaio per diapositive stereoscopiche
JPH05341356A (ja) リレー式ttlファインダー
JPH05107601A (ja) フアインダー装置
JPH05107603A (ja) 一眼レフカメラ用ズームフアイン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