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598B1 - 전기접속체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598B1
KR100237598B1 KR1019950056245A KR19950056245A KR100237598B1 KR 100237598 B1 KR100237598 B1 KR 100237598B1 KR 1019950056245 A KR1019950056245 A KR 1019950056245A KR 19950056245 A KR19950056245 A KR 19950056245A KR 100237598 B1 KR100237598 B1 KR 100237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unit
casing
wiring board
component
flexibl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081A (ko
Inventor
히로유끼 요꼬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960027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7/00Instruments capable of converting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into a single mechanical displacement
    • G01R7/04Instruments capable of converting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into a single mechanical displacement for forming a quotient
    • G01R7/06Instruments capable of converting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into a single mechanical displacement for forming a quotient moving-iron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체는 코일(39)이 감긴 보빈(37) 그리고 이 보빈(37)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자석이 포함된 전기부품(29)과, 상기 전기부품(29)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싱(31)과, 상기 본체케이싱(31)에 배치되는 가요성 배선판(33)과, 상기 전기부품(29)에 형성되어 코일(3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51)를 수용하는 부품측 결합유니트(49)와, 상기 본체케이싱(31)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49)와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가요성 배선판(33)의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와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49)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배선판(33)의 단부에 형성된 도체부(69)를 직접 단자(51)에 접속하며,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에는 결합구멍(67)이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배선판(33)은 부품측 결합유니트(49)가 끼워지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본체케이싱(31)에 배치되며, 상기 가요성배선판(33)의 단부가 상기 결합구멍(67)을 통해 본체케이싱 내측으로 도입된다.

Description

전기접속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로서, 전기부품과 가요성배선판 사이의 전기접속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내부기구에 수용된 보빈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피메일 접속기측의 배선판 가압부재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배선판 가압부재를 결합구멍에 삽입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배선판 가압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배설판 가압부재가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8도는 내부기구를 계측기 케이싱에 장착하기 위한 종래의 교차코일형계측기의 구조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내부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본 발명은 전기부품과 이 전기부품이 장착된 본체 케이싱 측에 배치되는 가요성 배선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접속체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의 전기부품은 코일이 감긴 보빈과, 이 보빈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자석이 포함된 장치다.
종래, 자동차용 속도계 또는 타코메터로서 사용되는 교차코일형 계측기는 이와같은 전기부품의 일예라 할 수 있다. 제8도는 계측기 케이싱(3)에 전기부품으로서의 내부기구(1)가 장착된 교차코일형 계측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제9도는 내부기구(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8도에 있어서, 계측기 케이싱(3)의 하부면에는 가요성 배선판(4)이 장착되어 이 가요성 배선판(4)을 통해 입력된 구동신호가 내부기구(1)에 공급됨으로써 이 내부기구(1)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내부기구(1)에 있어서는 한쌍의 코일(7,9)이 보빈(5)에 상호 교차로 감기계되고, 포인터 샤프트(11)에 고정된 자석(13)이 이 보빈(5)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포인터(15)가 이 포인터 샤프트(11)의 첨단부(최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코일(7)에 의해 발생된 자속과 다른 코일(9)에 의해 발생된 자속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각도에 따라 자석(13)이 회전하며, 이 자석에 연결된 포인터(15)도 이때 함께 회전하게하여 다이얼 판(17)의 눈금을 지시하게 된다.
코일(7,9)이 감긴 보빈(5)은 상부가 개방된 전자(電磁)차폐 케이싱(19)에 고정적으로 수용되고, 보빈(5)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전자차폐 케이싱(19)의 상부로 돌출하는 한쌍의 보스(5a)에는 나사 등으로 다이얼 판(17)이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단자고정부(5b)는 전자차폐 케이싱(19)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한쌍의 보스(5a)로부터 하향 돌출하며, 각 단자고정부(5b)에는 2개의 핀 단자(21)가 부착되어 하향돌출한다. 즉, 2개의 핀 단자(21)가 각 좌우 단자고정부에 배치되므로 전체적으로 4개의 단자 핀이 존재하며, 2개의 코일(7,9)의 4개 단자가 단자고정부(5b)의 양측 4개의 핀 단자(21)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계측기 케이싱(3)에 있어서 4개의 핀 단자(21)와 대응하는 부위에 4개의 관통공(23)이 각각 형성되어 각 핀 단자(21)가 그 대응부분의 관통공(23)에 삽입되고, 각 접속부재(25)가 가요성 배선판(4) 측으로부터 그 대응 관통공에 삽입되어 핀단자와 가요성 배선판 사이의 전기전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접속부재(25)는 도면에서 볼 때 하측으로부터 관통공에 삽입되므로 가요성 배선판(4)의 배선패턴에 접속된 도체부(27)를 관통공 내에서 유지시킴으로써 도체부(27)는 관통공(23)의 내측벽과 접속부재(25) 사이에 협지된다. 각 접속부재(25)에는 도체부(27) 양측으로 돌츨하는 접속부(25a)가 배치되는 동시에 접속부재가 관통공(23)으로부터 하향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용 포올(25b)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케이싱(3)의 양측의 접속부재(25)에 핀 단자(21)가 삽입될 경우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전기부품(내부기구)(1)가 전기적으로 가요성 배선판(4)에 접속되는 한편, 기계적으로도 케이싱(3)에 고정된다. 내부기구(1)의 상부에 고정된 다이얼(17)은 나사 등을 통해 본체 케이싱(3)에 고정된다.
내부기구(1)의 각 핀 단자(21)와, 이와 대응하는 케이싱(3)의 각 접속부재(25) 사이의 위치편차를 고려할 때 전술한 종래의 전기접속체에 있어서는 이들 핀 단자(21)와 접속부재(25) 사이의 오차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전기접속체는 삽입해야 할 핀 단자의 수가 4개라는 점에서 그 삽입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내부기구(1)에 다이얼 판(17)이 장착된 상태에서 삽입작업을 행하면 삽입부분을 직접 볼 수가 없어 핀 단자를 접속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극히 어려우며, 이러한 이유로 그 삽입작업의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 핀 단자(21)가 가요성 배선판(4)의 도체부(27)에 직접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접속부재(25)를 통해서 접속되므로 그 전기적 접속에 대한 신뢰도가 낮고, 또 4개의 접속부재(25)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들 4개의 접속부재(25)를 다시 본체 케이싱(3)의 관통공(23)에 삽입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부품의 개수가 증대하며, 이러한 이유로 작업성의 저하와 계측기의 비용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및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주 목적은 전기부품과과 본체 간에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고, 이들 양자 간의 접속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여 전기접속체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 케이싱에 대해 전기부품의 장착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접속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구성에 따른 전기접속체는 코일이 잠긴 보빈 그리고 이 보빈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자석이 포함된 전기부품과, 상기 전기부품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에 배치되는 가요성 배선판과, 상기 전기부품에 형성되어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를 수용하는 부품측 결합유니트와 상기 본체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와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가요성 배선판의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싱측 결합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와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배선판의 단부에 형성된 도체부를 직접 단자에 접속하며,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배선판은 부품측 결합유니트가 끼워지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본체케이싱에 배치되며, 상기 가요성배선판의 단부가 상기 결합구멍을 통해 본체케이싱 내측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제2구성에 따르면, 제1구성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에는 상기 가요성 배선판의 단부를 상기 결합구멍의 내부벽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제3구성에 따르면, 제2구성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가 끼워지는 측과는 반대되는 측으로 상기 본체케이싱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구멍을 덮는 바닥부 및 바닥부로부터 직립하는 가압부 및 고정부(7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구성에 따르면, 제3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요성 배선판의 단부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제5구성에 따르면, 제3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외향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 만곡된 면에 적합하도록 상기 결합구멍의 일측벽이 만곡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6구성에 따르면, 제3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구멍의 일측벽의 상단에지부와 결합하는 결합용 포올을 가지며, 이 결합용 포올은 고정부의 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7구성에 따르면, 제1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품은 교차코일형 계측기를 가지며, 이 교차코일형 계측기에는 2개의 코일이 보빈 둘레에 상호 교차로 감겨 있고, 각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속 사이의 차이에 따라서 나타나는 각도에 대응하여 자석이 회전하며, 자석의 회전샤프트에 고정된 포인터가 이 자석의 회전각도의 결과 나타나는 값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제8구성에 따르면, 제1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보빈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본체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9구성에 따르면, 제1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와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 중 하나에 결합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측 결합 유니트와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용 돌출부와 결합하는 결합용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0구성에 따르면, 제1구성에 있어서,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에는 단자가 삽입.고정되는 단자구멍이 배치되고, 각 단자의 일단에는 코일의 단자가 접속되는 코일접속부가 배치되며, 각 단자의 타단에는 상기 가요성 배선판의 단부의 도체부를 탄성적으로 가입하기 위한 탄성부가 배치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전기부품과 가요성 배선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접속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전기부품은 교차코일형 계측기의 내부기구(29)가 되며, 이 내부기구(즉 전기부품)(29)는 계측기 케이싱인 본체케이싱(31)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전기부품(29)은 본체케이싱(31)의 뒷면에 장착된 가요성 배선판(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가요성 배선판(33)으로부터 도출된 구동신호가 전기부품(29)에 공급되어 이 전기부품(29)을 구동시킨다.
종래와 같이 내부기구 또는 전기부품(29)은 전자차폐 케이싱(35) 내에 고정된 보빈(37) 둘레에 한쌍의 코일(39)이 상호 교차로 감기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빈(37)에 대해 회전이 가능한 회전샤프트로서 작용하는 포인터 샤프트(41)에는 도시하지 않는 자석이 고정되어 있고, 이 자석은 회전자로서 보빈(37)내에 수용된다. 한쌍의 코일에 의해 자속이 발생할 때 이들 자속 간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유도되는 각도로 자석이 회전하는데 종래와 같이 포인터 샤프트(41)의 상단부에 부착된 포인터(도시하지 않음)는 자석과 함께 회전하여 다이얼판 위의 눈금을 지시하며, 포인터 샤프트(41)에는 복귀스프링(43)의 일단이 부착되어 이 포인터 샤프트(41)에 코일(39) 자계에 의한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포인터가 0을 지시하게 되고, 복귀스프링(43)의 타단은 보빈(37)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 부착부(44)에 연결되어 있다.
보빈(37)에는 전자차폐케이싱(35)의 상부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보스부(45)가 배치되고, 다이얼 판이 나사 등을 통해 이 보스부(45)에 고정되어 있다. 각 쌍의 보스부(45)에는 하향 돌출하여 전자차폐 케이싱(35)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하우징으로서의 부품측 결합유니트(49)로 형성된 메일접속기(47)가 배치되어 있으며, 부품측 결합유니트(49)에는 한쌍의 단자(51)가 끼워져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품측 결합유니트(49)와 보스부(45) 모두는 보빈(37)과 함게 일체로 수지에 의해 성형된다.
부품측 결합유니트(49) 쌍에는 보스부(45)로부터 하향돌출하는 삽입부(55)와 이 삽입부(55) 대응하는 베이스부(53)의 상부면으로부터 단자(51)를 삽입하기 위한 단자구멍(57)이 배치되며, 이 단자구멍(57)의 삽입부(55) 측면에는 개구부(57a)가 배치되어 있다. 단자(51)의 탄성부(51a)는 베이스부(53)로부터 단자구멍(57)에 삽입되어 개구부(57a)로 돌출하여 노출되고, 탄성부(51a)에 대향하는 4개의 단자(51) 상단이 코일(39)측으로 절곡되어 코일접속부(51b)를 이루고 있으며, 이 둘레로 2개 코일(39)의 4단자가 각각 감겨 접속된다.
계측기케이싱 (또는 본체 케이싱)(31)의 내측에 피메일접속기(59) 및 전기부품(29)이 배치되고, 이 전기부품(29)의 메일접속기(47)는 피메일접속기(59)에 삽입된다. 제3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각 피메일 접속기(59)의 바닥판(61)에는 개구(63)가 형성된다. 피메일접속기(59)의 하우징은 본체 케이싱(31)측 결합유니트(65)로서 바닥판(61)과 일체로 성형되어 개구(63)의 주변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측벽을 가지고 있다.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의 결합구멍(67)은 개구(63)와 연통한다. 제3도에 있어서 하측으로부터 결합구멍(67)으로 도입되는 가요성 배선판(33)의 스트립부(33a)에는 한쌍의 도체부(69)(제1도 참조)가 포함되며, 이 도체부(69)로 전기부품(29) 중 단자(21)의 탄성부(51a)가 가압되어 접속이 이루어진다. 배선판 가압부재(71)는 제3도에서 볼 때 하측으로부터 결합구멍(67) 내에 삽입고정되어 가요성 배선판(33)의 스트립부(33a)가 결합구멍(67)에 도입된 상태에서 결합구멍의 일측벽(67a)으로 스트립부(33a)를 가압한다.
제4도의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배선판 가압부재(71)는 개구(63)를 덮는 바닥부(73), 바닥부(73)로부터 직립하는 가압부(75) 및 고정부(77)로 구성되며, 가압부(75)는 2개의 다리부(75a)로 구성되어 이 2개의 다리부(75a)의 양쪽 상단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75b)로 구성되어 중앙에 개구부(75c)를 갖는 프레임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가압부(75)는 가요성 배선판(33)의 스트립부(33a)를 결합구멍(67)의 일측벽(67a)으로 가압할 수가 있다.
2개의 다리의 상단부와 연결부(75b) 사이 부분은 배선판 가압부재(71)가 결합구멍(67)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 결합구멍(67)의 상부개구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여 외측으로 만곡된 형태이며, 측벽(67a)의 상단부도 만곡된 형태로되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압부(75)의 막곡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선판 가압부재(71)가 결합구멍(67)에 삽입된 상태에서 2개 다리부(77a)의 상단부가 결합구멍(67)의 상부개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결합구멍의 타측벽(67b)의 상단에지와 결합하는 결합용 포올(77b)이 다리부(77a)의 돌출단부에 형성됨으로써 고정부(77)가 이루어진다.
가압부(75)의 개구부(75c)의 폭, 즉 양측 다리부(75a) 사이의 치수T는 고정부(77)의 양측다리부(77a) 사이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같고, 전기부품(29)의 메일접속기(47)의 부품측 결합유니트(49)의 폭의 치수t보다는 약간 크다. 따라서, 전기부품(29) 측의 메일접속기(47)의 삽입부(55)가 가압부(75)의 양측다리부(75a) 사이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고정부(77)의 양측다리부(77a) 사이에 위치하며, 이에따라 부품측 결합유니트(49)가 이 상태에서 본체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의 양측벽(67a,67b)에 접한다.
각 쌍의 메일접속기(47)의 삽입부 일측에는 슬릿(55a)이 형성되고, 피메일접속기(59) 측의 하우징, 즉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 내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삽입부(55)가 피메일접속기(59)에 삽입되면서 돌출부가 슬릿(55a)과 결합하며, 이에따라 한쌍의 메일접속기(47)가 한쌍의 피메일접속기(59)와 올바른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배선판 가압부재(71)는 결합구멍(67)의 하측으로부터 이 결합구멍(67)에 삽입되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요성 배선판(33)의 스트립부(33a)를 가압하며, 삽입이 완료되어 결합용 포올(77b)이 스트립부(33a)가 배치된 가압방향의 벽과는 반대로 타측벽(67b)의 상단에지와 접할 경우, 바닥부(73)로부터 배선판 가압부재의 측변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73a)는 계측기 케이싱(31)의 뒷면과 접하여 배선판 가압부재가 결합구멍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메일접속기(47)용 하우징인 부품측 결합유니트(49)의 각 양측면에는 결합용 돌출부(79)를 갖는 로크암이 형성되고, 이 돌출부(79)와 결합하는 결합용 구멍(81)이 피메일접속기(59)용 하우징이 되는 본체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의 양측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결합용 돌출부(79)가 형성된 로크암이 피메일접속기(59)의 하우징에 형성되고, 결합용 구멍(81)이 메일접속기(47)의 하우징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전기부품(29)을 케이싱(31)에 장착할 때 보빈(37)과 일체로 형성된 메일 접속기(47)를 계측기 케이싱(31)의 피메일 접속기(59)의 결합구멍(67)에 삽입한다. 이 경우 배선판 가압부재(71)의 가압부(75) 외측으로 절곡된 연결부(75b)에 의해 가요성 배선판(33)의 스트립부(33a)가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으므로 메일접속기(47)는 스트립부(33a)의 상단부분에 대해 방해를 받지않고 결합구멍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51)의 탄성부(51a)가 스트립부(33a)의 도체부(69)에 가압으로 접촉되므로 전기부품(29)측과 계측기 케이싱(31) 측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이 확실하게 실현되며, 이에따라 전기접속체에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이때 메일접속기(47)의 결합용 돌출부(79)가 피메일 접속기(59)의 결합용 구멍(81)에 삽입되므로 상호 고정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접속기를 통해 내부기구로서의 전기부품(29)이 2개의 부분에서 계측기 케이싱에 결합하므로 내부기구 측에 형성된 4개의 핀 단자가 계측기 케이싱 측의 각 접촉부재에 삽입되는 종래의 전기접속체에 비해 그 고정작업이 용이하다. 또, 전기부품(29)에 부착된 다이얼판과 함께 전기부품(29)을 본체케이싱(31)에 고정시킬 경우 고정 또는 접속작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접속작업의 효율성이 개선된다. 가요성 배선판(33)의 스트립부(33a)를 가압하기 위한 배선판 가압부재(71)가 하우징으로서의 본체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본체케이싱(31)의 피메일접속기(59)가 구성되므로 부품의 개수를 더욱 감소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내부기구측의 4개의 핀 단자와 대응하는 부위에서 계측기 케이싱에 4개의 접촉부재를 삽입해야하는 종래의 전기접속체와 비교할 때 커다른 비용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판 가압부재(71)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여기서 제4도와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시하였다. 제6도의 배선판 가압부재(71)에는 제4도의 것과 비교할 때 바닥부(73)의 가압부(75) 측에 확대부(73b)가 추가로 배치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 확대부(73b)는 배선판 가압부재(71)가 삽입되어 결합구멍(67)에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 케이싱(또는 계측기 케이싱)(31)과 함께 가요성 배선판(33)을 협지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메일접속기(47)를 피메일접속기(59)의 결합구멍(67)에 삽입할 경우 단자(51)의 탄성부(51a)에 의한 접촉압력이 부품의 정밀도 오차(스프링 힘의 변화를 포함함)에 의해 커지는 경우에서도 가요성 배선판(33)의 스트립부(33a)가 하향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제7도의 2점쇄선으로 도시한 가요성 배선판의 느슨함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부품측 결합유니트와 케이싱측 결합유니트가 상호 결합함으로써 전기부품측의 단자가 본체케이싱의 가요성 배선판의 도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부품측 결합유니트와 케이싱측 결합 유니트가 메일접속기의 하우징과 피메일 접속기의 하우징과 대응하므로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전기부품의 단자가 가요성 배선판의 도체부에 직접 접촉하므로 이들 간의 전기도체가 양호하게 유지되어 전기접속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둘째, 교차코일형 계측기의 메일 접속기용 하우징이 코일을 감은 보빈과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 케이싱측의 피메일 접속기용 하우징이 본체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전기접속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셋째, 가요성 배선판의 전기전도를 실현하기 위해 교차코일형 계측기를 본체 케이싱에 장착할 때 결합용 돌출부를 결합용 구멍에 삽입하여 메일 접속기용 하우징(부품측 결합유니트) 및 피메일접속기용 하우징(케이싱측 결합유니트)을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넷째, 메일 접속기용 하우징, 즉 부품측 결합유니트에 삽입되는 단자가 탄성부에 의해 고정되므로 가요성 배선판의 도체부에 대해 양호한 도전상태를 유지한다.
다섯째, 도체부가 노출되는 가요성 배선판의 스트립부가 피메일 접속기용 하우징의 결합구멍의 내면으로 도입되므로 메일접속기를 결합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단자를 용이하게 도체부에 접속시킬 수 있다.
여섯째, 가요성 배선판의 스트립부가 배선판 가압부재에 의해 피메일 접속기용 하우징의 결합구멍 내에 고정될 수 있다.

Claims (10)

  1. 코일(39)이 감긴 보빈(37) 그리고 이 보빈(37)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자석이 포함된 전기부품(29)과, 상기 전기부품(29)을 수용하는 본체케이싱(31)과, 상기 본체케이싱(31)에 배치되는 가요성 배선판(33)과, 상기 전기부품(29)에 형성되어 코일(3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51)를 수용하는 부품측 결합유니트(49)와, 상기 본체케이싱(31)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49)와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가요성 배선판(33)의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와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49)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배선판(33)의 단부에 형성된 도체부(69)를 직접 단자(51)에 접속하며,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에는 결합구멍(67)이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배선판(33)은 부품측 결합유니트(49)가 끼워지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31)에 배치되며, 상기 가요성배선판(33)의 단부가 상기 결합구멍(67)을 통해 본체케이싱 내측으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67)에는 상기 가요성 배선판(33)의 단부를 상기 결합구멍(67)의 내부벽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71)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체.
  3. 제2항에 있어서, 가압부재(71)는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29)가 끼워지는 측과는 반대되는 측으로 상기 본체케이싱(31)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구멍(67)을 덮는 바닥부(73) 그리고 바닥부(73)로부터 직립하는 가압부(75) 및 고정부(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75)는 상기 가요성 배선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75)는 외향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 만곡된 면에 적합하도록 상기 결합구멍(67)의 일측벽이 만곡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7)는 상기 결합구멍(67)의 일측벽의 상단에지부와 결합하는 결합용 포올(77b)을 가지며, 이 결합용 포올(77b)은 고정부(77)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품(29)은 교차코일형 계측기를 가지며, 이 교차코일형 계측기에는 2개의 코일(39)이 보빈(37) 둘레에 상호 교차로 감겨 있고, 각 코일(39)에 의해 발생된 자속 사이의 차이에 따라서 나타나는 각도에 대응하여 자석이 회전하며, 자석의 회전샤프트에 고정된 포인터가 이 자석의 회전각도의 결과 나타나는 값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49)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보빈(37)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본체케이싱(3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49)와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 중 하나에는 결합용 돌출부(79)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측 결합 유니트(49)와 상기 케이싱측 결합유니트(65)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용 돌출부(79)와 결합하는 결합용 구멍(8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측 결합유니트(49)에는 단자가 삽입.고정되는 단자구멍(57)이 배치되고, 각 단자의 일단에는 코일의 단자가 접속되는 코일접속부(51b)가 배치되며, 각 단자의 타단에는 상기 가요성 배선판(33)의 단부의 도체부(69)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51a)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체.
KR1019950056245A 1994-12-26 1995-12-26 전기접속체 KR100237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2588A JPH08180941A (ja) 1994-12-26 1994-12-26 電気部品とフレキシブル配線板との電気的接続構造
JP94-322588 1994-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081A KR960027081A (ko) 1996-07-22
KR100237598B1 true KR100237598B1 (ko) 2000-01-15

Family

ID=1814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6245A KR100237598B1 (ko) 1994-12-26 1995-12-26 전기접속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58165A (ko)
JP (1) JPH08180941A (ko)
KR (1) KR100237598B1 (ko)
DE (1) DE1954835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9904A (en) * 1999-04-16 2000-07-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FC connector
JP2000308135A (ja) * 1999-04-20 2000-11-02 Toyo Commun Equip Co Ltd 移動無線端末
DE10008932A1 (de) 2000-02-25 2001-09-06 Leoni Bordnetz Sys Gmbh & Co Elektrischer Stecker
DE102004014137A1 (de) * 2004-03-23 2005-10-20 Siemens Ag Anordnung mit einem Elektromotor und einer Hauptleiterplatte und Montageverfahren
US7077692B2 (en) * 2004-10-12 2006-07-1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mounting circuit elements
US7486240B2 (en) * 2004-10-12 2009-02-03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retaining an antenna
WO2012057427A1 (ko) * 2010-10-25 2012-05-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기판블록
CN105127738B (zh) * 2015-07-21 2017-05-17 杭州西力电能表制造有限公司 圆表底盘电流接线片装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0265A (en) * 1966-05-09 1968-02-20 Berg Electronics Inc Electrical connector
GB1346172A (en) * 1970-02-21 1974-02-06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US3915544A (en) * 1974-11-05 1975-10-28 Gen Motors Corp Electrical terminal
JPS56126280A (en) * 1980-03-10 1981-10-03 Nissan Motor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board
JPS5984773A (ja) * 1982-10-27 1984-05-16 加茂 守 卵容器
US4560231A (en) * 1983-03-10 1985-12-24 Elco International K.K. Electrical connector
JPS6091573A (ja) * 1983-10-26 1985-05-22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ワイヤ−ハ−ネス
US4640561A (en) * 1985-11-15 1987-02-03 Ford Motor Company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US4737118A (en) * 1985-12-20 1988-04-12 Amp Incorporated Hermaphroditic flat cable connector
JPH0633659Y2 (ja) * 1990-02-21 1994-08-31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金具
JPH0494275U (ko) * 1991-01-11 1992-08-17
DE4129983C2 (de) * 1991-09-10 1997-11-06 Vdo Schindling Verbindungsanordnung zwischen einem mit einer Kontaktbuchse versehenen Anzeigegerät und einer flexiblen Leiterplatte
US5217382A (en) * 1992-06-05 1993-06-08 Interlock Corporation Electric receptacle with shape memory spring member
DE4237496C2 (de) * 1992-11-06 2002-04-11 Mannesmann Vdo Ag Steckverbi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081A (ko) 1996-07-22
DE19548359C2 (de) 2001-12-20
DE19548359A1 (de) 1996-07-04
US5658165A (en) 1997-08-19
JPH08180941A (ja) 199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31346B2 (ja) シールドモジュラージャック
KR100237598B1 (ko) 전기접속체
US5883787A (en) Floating guided connector and method
KR950015876A (ko) 낮은 형상의 모서리 설치식 콘넥터
JP4084474B2 (ja) センサ装置
JP3123391B2 (ja) 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付け方法
JP3033208B2 (ja) 端子ピン保持用ハウジング付きモータ
JP2991160B2 (ja) 回路基板の固定構造
JP2510193Y2 (ja) 指示計器
JP3467427B2 (ja) コネクタの装着構造
JP3396598B2 (ja) 硬質回路基板用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736710B2 (ja) 接続構造を有する電子機器
JP2596686Y2 (ja) 外部接続端子付きケース基板
JP2910302B2 (ja) Fpc用コネクタ
JP3530039B2 (ja) 計器のムーブメント組付構造
JP3095125B2 (ja) 計器ムーブメントの電気接続構造
JPH09210735A (ja) 計器本体の取付構造
JPH0519990Y2 (ko)
JP2736711B2 (ja) 接続構造を有する電子機器
JPH07260831A (ja) 電流検出器
JPH0328539Y2 (ko)
JPH11167946A (ja) 接続端子
JP3296937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H07244075A (ja) クロスコイル型指示計器の取付構造
JP3060453B2 (ja) 計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