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232B1 - 자동차 백미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백미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232B1
KR100237232B1 KR1019920701659A KR920701659A KR100237232B1 KR 100237232 B1 KR100237232 B1 KR 100237232B1 KR 1019920701659 A KR1019920701659 A KR 1019920701659A KR 920701659 A KR920701659 A KR 920701659A KR 100237232 B1 KR100237232 B1 KR 100237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asing
assembly
integra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4171A (ko
Inventor
제이. 피셔 로버트
에이. 로링즈 도날드
Original Assignee
보디 아이안
로웰 엔지니어링 코포레이션
로버트 제이.피셔
도날드 에이.로링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디 아이안, 로웰 엔지니어링 코포레이션, 로버트 제이.피셔, 도날드 에이.로링즈 filed Critical 보디 아이안
Publication of KR92070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4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comprising means for aligning the optical axis
    • G02B7/1827Motorised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자동차 백미러 조립체는 두 개의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축에 대해 상대적인 중첩운동을 위해 제공되는 완전한 접속 구조와의 협력으로 제공되는 플라스틱 미러 홀딩부재와 플라스틱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접속 구조는 큰 상호접속 이중 평행 굽은 구형 표면을 제공하는 스냅-인 관계와 공통의 중심점을 갖는 작은 상호접속 절두구형면을 갖는다. 지지부재는 미러 홀딩부재의 중첩운동을 나타내기 위한 원격 제어된 전원 작동메카니즘 운반하는 케이싱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협력하는 케이싱 부재와 접속된다. 감지 메카니즘은 수동으로 제어되는 것보다 잘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전원이 메카니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케이싱 조립체내에 또한 수반된다. 동력 작동 메카니즘은 쌍의 작동기부재를 구비한 작동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이것의 하나는 케이싱 부재와 접속된 스냅-인 볼과 소켓과 관련된 피니언 부재와 접속된 러그와 노치를 갖는다. 감지부재는 단일 전기회로보드와상의 두 전위차계 회로와 관계하여 협력하는 전기접점으로 두 개의 공간된 감지부재를 설치하도록 케이싱 부재상에 일체적 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백미러 조립체
본 발명은 백미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에서 구현되는 유형의 백미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에서 구현되는 백미러 유형의 예는 미국 특허 제4,482,211호, 제4,678,295호 및 제4,740,068호에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678,295호에 개시된 백미러 조립체는 미러 홀딩부재와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이들 두 부재는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된다. 지지부재는 자동차상의 고정된 지지부에 고착되는 케이싱 조립체 또는 투피스하우징(two-piece housing)의 일부를 형성하고, 미러홀딩부재는 미러 자체를 지탱한다. 미러홀딩부재는 두 개의 교차하는 직각 축선을 따르는 피봇운동을 위한 지지부재상에 장착된다. 하우징조립체는 두 개의 교차하는 직각축을 따르는 지지부재에 대한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을 실행하는 원격제어 동력작동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하우징 조립체는 동력작동 메카니즘이 컴퓨터메모리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로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을 실행가능한 센서조립체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는 미러홀딩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피봇접속의 구조에 특히 관련되며, 이에 따라 원격제어되는 동력작동메커니즘에 의해 운동이 실행되는 미러조립체 뿐만아니라 세 개의 보우덴 와이어 조립체 등의 원격제어 수동작동 메커니즘에도 적용가능하고, 심지어 지지부재에 대한 미러 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이 미러 홀딩부재의 직접적인 수동접속에 의해 달성되는 미러조립체에도 적용가능하다.
미국 특허 제4,482,211호, 제4,678,295호 및 제4,750,068호에 개시된 미러 조립체에 제공된 피봇접속은 스냅-인 볼과 소켓형상의 형태이다. 스냅-인 볼과 소켓접속은 제공될 수 있는 접속형태에서 가장 간단한 형태를 구성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것은 쉽게 조립되고 자기 억제된다. 그러나 이 접속형태는 자체의 제한을 갖고 있다. 먼저 볼요소는 베이스부분을 관통하여 베이스부의 절두체(truncation)를 따라 볼과 교차하는 부재들중 하나에 고착되어야 한다. 절두체의 주위직경은 볼요소의 분쇄강도에 대한 한계를 나타낸다. 다른 문제점은 이 치수가 필요한 강도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어떤 바람직한 치수로 간단히 증가될 수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치수를 증가하면 미러홀딩부재가 바람직한 것보다 더 지지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으로 접속의 축방향 치수를 증가시키고, 성형하는 데에 필요한 플라스틱재료의 양은 사출성형단계를 뒤따르는 냉각중에 상호접속하는 구형표면의 정밀도를 왜곡하기에 충분한 변형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어려움은 미국특허 제4,585,20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쓰리피스 접속(three-piece connection)을 제공함으로써 제거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설명된 문제점을 피하는 다른 구조는 부재들중 하나상의 반구형 소켓과, 이 소켓과 맞물리는 별도의 쉘형상의 반구형 요소와, 이들 두 요소를 함께 탄력있게 밀어주는 투피스 스프링배열을 포함하는 포피스접속(four-piece connection)이다. 이런 타입의 접속에는 미국 특허 제4,555,166호, 제4,695,555호 및 제4,693,57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런 타입의 접속의 장점은 소켓내에 접속되는 볼이 별도의 쉘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소켓이 아주 크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순한 볼과 소켓접속의 장점이 사라진 다수 부품접속의 단점은 당연히 추가적인 부품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비용 뿐만아니라 조립에서 부가되는 어려움으로 인한 비용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별도의 요소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비용이다. 즉, 조립은 볼과 소켓의 일체적 접속의 간단한 스냅작용보다 더 많은 단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종래 형태의 접속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제거하는 미러홀딩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피봇접속을 갖는 미러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이 목적은 다음의 구조를 각각 갖는 플라스틱 미러 홀딩부재와 플라스틱 지지부재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협동하는 제1 및 제2접속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접속구조는 베이스부분의 돌출단부상에 확장부분을 갖는 돌출하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고, 확장부분은 한쌍의 제1평행한 절두체를 갖는 구형면내에 배치되는 제1볼록 접속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절두체중 하나는 베이스부분과 교차에 의해 한정된다. 확장부분은 (1) 제1구형면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과, (2) 제1구형면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제1구형 단편면내에 배치된 베이스부분으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제1오목한 접속표면을 구비한다. 제2접속구조는 (1)제1구형면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과, (2) 한쌍의 제2평행한 절두체를 갖는 제2구형면내에 배치된 제2오목한 접속표면을 갖는 돌출하는 환상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접속구조는 (1) 제2절두형면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과, (2) 제1구형 단편면의 반경에 동등한 반경을 갖는 제2구형단편면내에 배치된 환상벽의 돌출방향에서 대향하는 제2볼록한 접속표면을 갖는 환상벽내에서 돌출하는 중심부분을 포함한다. 환상벽의 구조와 플라스틱재료의 특성은 환상벽이 확장부분의 제1볼록 접속표면을 환상벽의 제2오목 접속표면과 맞물리게 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운동에 대하여 제1 및 제2일체 접속구조를 유지하고, 확장부분의 제1오목 접속표면을 돌출 중심부분의 제2볼록 접속표면과 맞물리게 하여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제1 및 제2일체적 접속구조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탄력있게 구부러지고 탄력있게 복귀하는 확장부분의 운동에 응답하여 작동하도록 되어있다. 접속표면의 맞물림은 이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운동을 허용하여 두 개의 교차하는 직각축을 따라 지지부재에 관하여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의 다수의 다른 위치에서 부재들을 협동관계로 유지한다. 본 발명이 일체의 접속구조로 제공되는 스냅-인 접속을 수반하기 때문에 종래의 볼과 소켓접속의 장점은 유지되는 동시에 고유한 한계는 제거된다. 따라서 일체로 베이스부분과 확장부분 사이에 있는 절두체의 크기의 증가는 제1접속구조의 확장부분의 벽크기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증가를 초래함이 없이 과거와 같이 2중방식으로 축방향의 접속의 정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형태는 지지부재에 관하여 미러홀딩부재의 운동을 실행하기 위하여 원격 제어되는 동력작동 메커니즘에 관련된다. 이런 타입의 전형적인 메커니즘은 전기모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하우징조립체에 의해 지탱되는 작동기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미국 특허 제4,498,738호에 나타낸 작동기조립체의 타입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작동기조립체는 관련된 전기모터에 구동가능하게 접속된 중공 피니언 부재와 제1 및 제2의 신축자재로 장착된 나사산모양으로 상호관련된 작동기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작동기부재는 스냅-인 볼과 소켓접속에 의해 미러 홀딩부재에 접속된다. 제2작동기부재는 하우징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길이방향으로의 제2작동기 부재의 운동을 제한하지 않는 하우징 또는 케이싱부재와 노브타입(knob-type)의 피봇접속을 갖는다.
아마도 이 방향으로의 제한은 제2작동기 부재와 중공 피니언부재 사이의 구동접속을 통하여 얻어진다. 실제로 이 세가지 부재 접속에 의해 발생되는 공차는 제2작동기부재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중공피니언 부재상에 작용하는 스프링 와셔에 의해 줄어든다. 그 결과 제2작동기 부재의 운동의 제어는 바람직하게 견고하거나 긍정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을 제거하는 개량된 작동기 조립체를 포함하여 기재된 타입의 원격 제어 동력작동 미러 이동 메커니즘을 갖는 타입의 미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이 목적은 (1) 중첩 축상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운동과 중첩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허용하고 (2) 중첩 축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의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냅-인 관계에 있을 때 작동가능한 각 제2작동기부재상에 일체 접속구조에 관하여 스냅-인 관계를 구비하는 일체적 접속구조를 갖는 케이싱부재와 한 단부상에서 일체의 접속구조를 갖는 각 제2작동기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더욱이 일체의 접속구조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피봇운동을 수용하는 반면에 중첩 축을 중심으로 관련된 제2작동기 부재의 대응하는 회전운동에 피니언부재의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제2작동기부재와 각 피니언부재상에 제공된다. 이런 방식으로 종래기술의 세가지 부재접속은 두가지 부재 접속으로 간단화된다.
본 발명의 제3형태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미국 특허 제4,678,29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센서조립체에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에 언급된 바와 같이 센서조립체는 그안에서 관련 감지부재에 고착된 전기접점이 회로보드상의 전위차계회로와 협동할 수 있는 구멍과 측면방향으로 연통하는 하우징내의 개구를 통하여 측면방향으로 노출된 별도의 하우징으로 지탱되는 별도의 회로보드와 관련 감지부재의 한 단부상에 구형 확장부를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는 구멍을 갖는 별도의 하우징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주하우징 또는 케이싱조립체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조립체의 성분들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비용면에서 효과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며 조립되는 타입의 미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 목적은 미러홀딩 부재가 두 개의 교차하는 축중 하나를 중심으로 이동할 때는 제1감지부재가 함께 이동하고 미러홀딩부재가 두 개의 교차하는 축중 다른 하나를 중심으로 이동할 때는 제2감지부재가 함께 이동하도록 미러홀딩부재에 접속된 제1 및 제2감지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케이싱부재는 미러홀딩부재와 함께 하는 단부의 이동에 대응하는 길이방향의 운동을 위한 제1 및 제2감지부재의 대향단부를 장착하는 이격된 제1 및 제2일체구조체를 갖는다. 단일의 전기회로보드는 제1 및 제2전위차계 회로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전기접점은 이동을 위해 각각 제1 및 제2감지부재의 대향단부에 의해 지탱된다. 단일 전기회로보드는 케이싱부재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전기접점이 단일의 전기회로보드상의 제1 및 제2전위차계회로와 협동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조비용면에서 효과적이고 작동이 효과적이며 구조가 간단한 타입의 미러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청구범위로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잘 이해될 것이다.
제1도는 조립체의 미러유리와 미러홀딩부재를 제거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미러조립체의 부분 정면도, 제2도는 제거된 미러홀딩부재와 미러유리의 부분배면도, 제3도는 케이싱조립체의 지지부재를 제거한 케이싱조립체의 정면도, 제4도는 전기모터와 절취되어 도시된 작동기조립체를 제거한, 제3도의 선 4-4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미러조립체의 케이싱부재와 제2작동기부재 사이에서 변형된 접속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면에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10으로 나타낸 백미러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 미러조립체(10)는 제2도에서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중심 미러홀딩부재(12)와 주위 미러홀딩부재(14)로 구성되는 미러케이스를 포함한다. 제4도에 부분적으로 도시한 유리미러(16)는 측면에서 미러케이스로 지탱된다. 미러홀딩부재(12)의 대향측면은 제1도에 부분적으로 도시한 지지구조체(20)에 교대로 접속되는 케이싱 조립체(18)에 접속된다. 지지구조체(20)는 자동차의 외측면 또는 중심내부에 제공되는 어떤 종래구조로 될 수 있다.
케이싱조립체(18)는 바람직하게 지지부재(22)와 케이싱부재(24)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로 된다. 지지부재(22)는, 일반적으로 동심관계로 미러 측면에서 대향하는 미러홀딩부재(12)의 측면에 형성된 일체의 접속구조체(28)에 협동하도록 된 일체의 접속구조체(26)를 포함한다. 두 개의 일체의 접속구조체(26),(28)의 구조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접속구조체(26),(28)는 스냅-인 타입으로 되고 두 개의 교차하는 직각축을 중심으로 피봇운동을 위해 제공되는 미러홀딩부재(12)와 지지부재(22)사이에서 피봇 상호접속을 설정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상에 있는 일체의 접속 구조체(26)는 베이스부(30)의 돌출단부상에 확장부(32)를 갖는 돌출하는 베이스부(30)를 포함한다. 확장부(32)는 한쌍의 제1절두체를 갖는 제1구형면 내에 배치된 제1볼록한 접속표면(34)을 구비하고, 절두체중 하나가 베이스부(30)와 교차에 의해 한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표면(34)은 제1이중 절두 구형면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이중절두구형면이다. 면내에 있는 표면(34)의 부분들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확장부(32)는 (1) 제1절두 구형면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과 (2) 제1절두 구형면의 반경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제1구형 단편면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30)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제1오목 접속표면(36)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표면(36)은 면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단편 구형표면이다. 그러나, 부분들은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추형인 환상 벽표면(38)은 외측으로 분기하는 관계로 구형 단편표면(36)에서 절두 구형표면(34)으로 신장한다.
미러홀딩부재(12)상의 일체적 접속 구조체(28)는 (1) 제1구형면의 반경과 동등한 반경과 (2) 한쌍의 제2평행 절두체를 갖는 제2구형면내에 배치되는 제2오목 접속표면(42)을 갖는 돌출하는 환상벽(4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42)은 부분들이 생략된다고 할지라도 제2이중 절두 구형면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이중 절두 구형표면이다.
일체적 접속구조체(28)는 (1) 제2절두 구형면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과 (2) 제1구형면 단편면의 반경에 동등한 반경을 갖는 제2구형 단편면내에 배치되는 환상벽이 돌출방향에서 대향하는 제2볼록 접속표면(46)으로 형성된 정점을 갖는 원추형의 형태로 되는 환상벽(40)내에 돌출하는 중심부(44)를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46)은 부분들이 생략된다고 할지라도 제2구형 단편면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구형 단편표면이다.
케이싱조립체의 지지부재(22)와 케이싱부재(24)는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되며, 미러홀딩부재(12),(14)도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된다는 것을 알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는 가령 델린 등과 같은 것이 이용되고, 환상벽(40)의 구조는 환상벽이 서로 이탈하려는 방향으로의 운동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일체의 접속구조체(26),(28)를 유지하기 위하여 확장부(32)의 제1볼록 접속표면(34)이 환상벽(40)의 제2오목 접속표면(42)에 접속되고 서로를 향하는 방향에서 제1 및 제2 접속구조체(26),(28)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확장부(32)의 제1오목 접속표면(36)이 돌출 중심부(44)의 제2볼록 접속표면(46)에 접속되도록 탄력있게 구부러지고 탄력있게 복원하기 위하여 확장부(32)의 운동에 응하여 작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표면의 맞물림은 상기 두 개의 교차하는 직각축을 따라 지지부재에 관하여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의 다수의 다른 위치에서 협동하는 관계로 부재들을 보유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한다.
이런 피봇운동은 절두표면(34),(42)의 범위까지 한정되고, 부분(32)의 원추형 표면(38)에 관한 부분(46)의 원추형 표면의 분기각의 차이가 이런 운동을 수용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교차하는 피봇축과 교차되고 수직인 제3축에 대하여 미러홀딩부재(12)와 지지부재(22)사이의 피봇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런 수단은 어떤 바람직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 바람직하다면 일체의 접속 구조체(26),(28)내에서 협동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수단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직립하는 일체의 두갈래운동을 제한하는 요소(48)가 접속구조체(26)의 대향측면상에 지지부재(22)의 외부로부터 상측으로 신장된다. 미러홀딩부재(12)는 두갈래진 요소(48)를 수용하기 위한 한쌍의 평행한 개구(50)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일체의 샤프트 또는 핀형상의 부분(52)이 각 개구(50)를 가로질러 신장하고, 핀형상의 부분(52)이 접속구조체의 피봇축을 통하여 지나는 공동의 일치축을 구비한다. 이런 방식으로 두갈래진 요소(48)중 하나 내에서 항상 핀부분(52)중 하나와 상호결합은 피봇운동의 두 개의 교차하는 직각축에 수직하고 교차하는 제3축에 대해 지지부재와 미러 홀딩부재 사이의 피봇운동을 방지하게 된다.
세 개의 보우덴 와이어(도시하지 않음)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작동가능한 세 개의 일체의 구조체(54)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러홀딩부재(12)는 상기의 세 개의 구조체(54)에 접속된 보우덴와이어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목적을 위하여 두 개의 교차하는 중첩축에 대한 미러홀딩부재(12)의 운동은 케이싱 조립체내에서 지탱되는 원격제어되는 동력 작동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근본적으로 시스템은 두 개의 동력구동 작동기조립체(56)와 이 작동기조립체를 구동하기 위한 두 개의 전기모터(58)를 포함한다.
특히, 제4도를 참조하여, 각 작동기 조립체(56)는 필수적으로 세 개의 부품, 중공 원주형 피니언부재(60), 및 일반적으로 62와 64로 나타낸 제1과 제2광학 작동기 부재로 이루어진다. 각 피니언부재(60)는 고정된 축에 관해 회전 운동을 위해 케이싱 조립체(18)내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설치는 미러홀딩부재(12)와 접속하기 위해 케이싱 조립체(18)를 외향 연장하는 제1작동기 조립체(62)와 관련된 개구를 한정하는 지지부재(22)에 일체적 원주형벽(66)으로 피니언부재(60)의 상측 종단의 내부에 베어링 표면을 포함한다. 각 피니언부재(60)의 회전적 설치는 중심부로부터 연장된 외부 환상 플랜지의 케이싱부재(24)에 일체로 형성된 적당한 돌출 환상벽(68)과의 맞물림을 또한 포함한다.
적당한 톱니(70)는 각 피니언부재(60)의 외부 중심부에 형성된다. 웜(worm)(72)은 각 톱니(70)의 위치와 접속되어 맞물리게 배치되고, 각 웜(72)은 관련된 전기모터(58)의 출력 샤프트에 접속된다.
각 전기모터(58)는 지지부재(22)와 케이싱부재(24) 양쪽에 일체로 형성된 적절한 웰(well)내에 결합되어 케이싱부재(18)내에 적당히 고정된다.
각 제1작동기 조립체(62)는 그것의 한 종단에 고정된 볼 요소(76)를 구비한 긴 로드(74) 형태에 있다. 각 볼 요소(76)는 축 정렬과, 직경과 대향된 관계로부터 연장된 짧은 쌍의 샤프트요소(78)을 갖는다. 미러홀딩부재(12)는 그것과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소켓구조체(80)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소켓 구조체(80)는 접속구조체(28)의 환상벽(40)의 일체 구조와는 다른 분할 구조이다. 이 관점에서, 환상벽(40)은 필요하다면 분할구조가 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분할구조는 그것으로부터 연장된 짧은 샤프트(78)를 구비한 형태의 볼요소(76)와의 접속에 필요하다. 이 배열로 관련된 소켓구조(80)와 스냅-인 관계에 있을 때 각 볼요소(76)는 두 개의 관련된 수직축선 주위로 관련된 제1작동기부재(62)의 피봇운동을 허락하여, 짧은 샤프트(78)는 수직이고 다른 두 개와 교차하는 제3축에 관해 피봇운동을 방지한다.
관련된 소켓 구조체(80)내에 제1작동기부재(62)의 하나의 볼 요소(76)의 피봇점은 접속구조체(26, 28)의 두 개의 피봇축의 하나와 일치하고 다른 하나와 관계하여 평행으로 이격된다. 유사하게, 다른 볼요소는 다른 축과 중심일치되고 한 축과 이격된다. 이 방식으로, 두 개의 제1작동기부재(62)는 미러홀딩부재(12)와 접속되어, 후자가 그것의 축중 하나에 대해 움직일 때 하나는 미러홀딩부재와 함께 움직이고, 다른 것은 미러홀딩부재가 제공된 두 축의 다른 것에 대해 움직일때만 미러홀딩부재와 함께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각 제2작동기부재(64)는 동심 관계에서 그것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볼 부분(84)을 구비한 디스크 형상부(82)와 동심관계에서 그 반대측으로부터 연장된 원주벽부분(86)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원주벽 부분(86)의 중공내부는 관련된 제1작동기부재(60)의 로드(74)의 반대 종단부를 접철식으로 받아들여, 두 개의 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첩축을 따라 하나와 다른것에 관해 접철관계로 움직인다.
각 제2작동기부재(64)의 중심벽부분(86)의 외부주변은 외부나사산(88)으로 형성된다. 각 관련된 제1작동기부재(60)는 그것의 중심부와 동심인 일체로 컵형상부(90)를 포함한다. 각 컵형상부(90)는 그로부터 연장된 직렬(3개)로 환상 이격된 아암부(92)를 갖는다. 아암부(92)의 자유단은 내향으로 회전하고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64)의 원주형 벽부(86)의 외부 나사산과 나사적으로 맞물리는 내부 나사산이 제공된다. 필요한 경우, 작동시 더 많은 경도가 제공되는 반면 조립시 아암의 후퇴를 허락하는 동시에 나사산(88)의 서로 맞물린 접속의 최고도에 후퇴를 허락하도록 스프링(94)은 원주방향으로 한정되는 관계로 아암부(92)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각 제2작동기부재(64)의 볼 요소(84)는 케이싱 부재(24)에 일체로 형성된 스냅-인 소켓부(96)와 협동한다. 각 스냅-인 볼과 소켓 접속(84-96)은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64)를 볼 요소(84)의 중심부에 대해 선회하도록 허용하나, 그것의 중첩축을 따라 제2 작동기 부재(64)의 전송 움직임을 방지한다. 관련된 소켓부(96)내에 각 볼요소(84)의 맞물림에 의해 제공된 피봇운동에 부가하여, 그것의 길이방향의 중첩축에 대한 회전운동을 위한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64)를 장착하도록 접속이 기능하고, 축은 볼요소(84)의 중심점과 교차한다.
각 제2작동기부재(62)와 케이싱부재(24)사이의 일체적 접속 요소(84, 96)에 추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각 제2작동기부재(64)의 디스크형부(82)의 외부주위에 형성된 한 쌍의 환상 이격 노치(98)와 이 노치(98)내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관련된 피니언 부재(60)의 종단에지로부터 종속되는 한쌍의 돌출부(100)를 포함하는 각 제2작동기부재(64)와 관련된 피니언부재(60)사이에 일체적 접속부가 또한 제공된다. 관련된 한 쌍의 노치(98)내에서 각 쌍의 돌출부(100)의 상호맞물림은 관련된 피니언부재(60)의 회전 운동을 중첩축을 중심으로 하는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64)의 대응하는 회전 운동으로 전달하도록 작용한다. 관련된 제1작동기부재(62)가 중첩축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관련된 피니언부재(60)에 의한 각 제2작동기 부재의 회전운동은 관련된 제1작동기부재(62)의 길이방향의 접철운동을 초래할 것이다. 이 방식으로, 원격제어에 의해 요구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기모터(58)의 작동은 작동기부재(56)의 작동을 통해 미러 홀딩부재(12)의 요구된 운동을 행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바람직한 미러조립체(10)는 두 개의 교차하는 축 주위로 지지부재(22)에 관해 미러홀딩부재(12)의 피봇운동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재가 또한 제공되어 동력작동수단이 수동으로 제어된 운동을 성취하는 것 뿐만아니라 감지수단의 위치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운동을 성취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내부에 사용된 감지수단의 형태는 앞에 언급한 미국 특허 제4,678,295호의 개시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밝혀져 있다.
본 목적을 위해, 감지수단이 미러홀딩부재(12)와 케이싱 부재(24) 사이의 운동을 위해 두 개의 제1작동기 부재(62)와 유사한 방법으로 장착된 두 개의 감지부재(102)를 포함하는 것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다. 즉, 각각은 관련된 감지부재(102)의 한 종단상의 완전한 볼부(104)와 미러홀딩 부재(12)와 연합하는 소켓부(106)로 구성되는 스냅-인 접속으로써 미러홀딩 부재(12)에 설치된다. 감지부재의 두 개의 교차하는 피봇축에 관한 소켓부재의 배열은 각각 두 개의 교차하는 피봇축에 관한 두 개의 관련된 피봇운동의 하나만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는 점에서 소켓부의 배열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케이싱부재(24)에 관한 각 감지부재(102)의 장착은 각 감지부재(104)를 위한 케이싱부재(24)상에 C-형상 단면형태의 일체적인 돌출벽부를(108)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각 감지부재(102)는 관련된 C-형상벽부(108)내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된 그것의 반대 종단에 일반적으로 구형의 확장부(110)를 갖는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감지부재(102)는 C-형상 벽부(108)의 관련된 측면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그것의 측면외향으로 마주보는 측의 전기 접점요소(114)를 운반하는 일체적인 측면돌출부(1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1 및 제2전위차계 회로(118)를 포함하는 단일 전기회로보드(116)가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전기회로보드(116)는 각각 C-형상벽부(108)의 대향하는 외부종단에 근접하여 형성된 한 쌍의 일체적인 U-형상 벽부(120)에 의해 케이싱부재(24)내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다른 C-형상벽부(108)가 전기회로보드와의 반대측에 개방되는 동안 한 C-형상벽부(108)의 개구는 전기회로보드와의 한 표면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전위차계회로(118)는 관련된 감지부재(102)의 전기접점요소(114)와 협력하도록 회로보드와의 반대측에 제공됨을 알 수 있다.
회로보드(116)는 이 보드(116)에 나란히 이격된 케이싱부재(24)의 에지부에 형성된 복수의 밀접하게 이격된 노치(124)를 통해 외향으로 보드(116)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전기 배선(122)으로 배선된다. 지지부재(22)는 지지부재(22)와 케이싱부재(24)가 조립관계에 있을 때 배선(122)을 노치(124)에 유지하도록 하는 협력 에지부를 갖는다.
전기모터(58)는 제2복수의 전기 배선(126)을 포함하도록 배선되고, 이것의 한쌍은 케이싱부재(24)의 내부주위를 따라 배치되고 노치(124)에 근접한 부가 노치(128)를 통해 통과한다. 유사하게, 제2쌍의 모터 배선(126)은 전기회로보드(116)와의 중심에지부에 형성된 리세스(130)(제4도)을 통한 후 전과 같이 부가 노치(12)를 통해 연장된다. 배열은 케이싱 조립체(18)내와 그것의 외향 직접환경내로 모두 연장된 배선의 바람직한 제어를 제공한다. 단일 회로보드(116)의 이용은 상기한 특허에서 기본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재의 기능특성 성취하는 비용 효율 방식을 구성한다.
일체의 접속구조(26, 28)의 구성은 제공된 볼과 소켓 조인트 대신에 이용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장소는 볼 요소(84)와 소켓부분(96)이 이용되는 위치이어야 할 것이며 그 이유는 이들 부분이 케이싱부재(24)의 최대외향 돌출부를 구성하는 것이 인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5도는 접속구조(26, 28)에 구현된 시사점을 구체화하도록 볼과 소켓 조인트(84-96)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요소(84) 대신에 접속구조(26)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일체적 접속구조(134)가 각 제2작동기부재(64)에 제공된다. 유사하게, 관련된 소켓부(96) 대신에 일체적 접속구조(136)는 접속구조(28)에 유사한 형태를 갖는 케이싱부재(24)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이 완전하고도 효과적으로 성취되었음을 알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작동 및 구조원리 설명을 위해 도시 및 기술되었고 이러한 원리로부터 이탈없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범위의 정신과 범위내에 포함된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32)

  1.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된 미러홀딩부재와, 상기 미러홀딩부재에 의해 지탱되는 미러와, 플라스틱재료로 성형된 지지부재와, 상기 미러홀딩부재를 두 개의 교차 수직축을 따라 피봇운동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접속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미러 조립체로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부재상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호 작동하는 제1 및 제2의 일체적 접속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일체적 접속구조체는 돌출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이 돌출베이스부의 돌출단부위에는 확대부가 있으며, 상기 확장부는 그 중 하나가 상기 베이스부와의 교차에 의해 한정되는 한쌍의 제1평행절두체를 갖는 제1구형면내에 배치된 제1볼록 접속표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1) 상기 제1구형면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과 (2) 제1구형면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제1구형 단편면내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제1오목 접속표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일체적 접속구조체는 (1) 상기 제1절두 구형면의 반경과 대체로 동일한 반경과 (2) 한쌍의 제2평행 절두체를 갖는 제2구형면내에 배치된 제2오목 접속표면부를 구비하는 돌출 환상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일체적 접속구조체는 (1) 상기 제2구형면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과 (2) 상기 제1구형 단편면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제2구형단편면내에 배치된 상기 환상벽의 돌출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볼록 접속표면부를 갖는 상기 환상벽내에 돌출중심부를 포함하며; 플라스틱 재료의 특성과 상기 환상벽의 구조는 환상벽이 서로 이탈하려는 방향으로의 운동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일체의 접속구조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확장부의 제1볼록 접속표면부가 환상벽의 제2오목 접속표면부에 접속되고 서로를 향하는 방향에서 제1 및 제2접속구조체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확장부의 제1오목 접속표면부가 돌출 중심부의 제2볼록 접속표면부에 접속되도록 탄력있게 구부러지고 탄력있게 복원하기 위하여 확장부의 운동에 응하여 작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속표면부의 접속은 상기 두 개의 교차하는 수직축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의 복수의 다른 위치에서 상호작동하는 관계로 상기 부재들을 유지하도록 상대적인 슬라이딩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목 접속표면부는 상기 제1구형 단편면의 전체면을 통해 연장하는 제1구형 단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볼록 접속표면부는 한쌍의 제1의 절두체 사이에서 상기 제1구형면 전체를 통해 연장하는 제1이중절두 구형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오목 접속표면부는 상기 제1구형 단편면을 통해 연장하는 제1구형 단편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일체적 접속구조체는 상기 제1구형 단편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이중 절두 구형표면으로 분기되어 외향하여 연장하는 환상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중심부는 정점상에 상기 제2볼록 접속표면부를 갖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볼록 접속표면부는 상기 제2구형 단편면의 전체를 통해 연장하는 제2구형 단편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의 분기각이 외측으로 향해 분기되는 상기 환상표면의 분기각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두 개의 교차축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3축에 대하여 상기 부재 사이의 피봇운동을 방지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된 케이싱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케이싱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싱조립체는 상기 두 개의 교차하는 수직축에 대하여 상기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을 행하도록 하기 위해 장착된 동력작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작동수단은 한쌍의 동력구동 작동기조립체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작동기조립체는 상기 미러홀딩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접속된 상기 케이싱조립체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단부를 갖는 제1작동기부재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첩축을 따라 상기 제1작동기부재와 접철관계로 배치된 제2작동기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작동기부재는 일단에 일체적 접속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부재는 일체적 접속구조체를 가지고 (1) 중첩축에 대한 회전운동 및 중첩축의 중심에 대한 피봇운동을 허용하고 (2) 중첩축의 다른 방향으로의 운동을 방지하도록 스냅-인 관계에 있을 때 각각의 제2작동기부재상의 일체적 접속구조체에 대하여 동작하는 스냅-인 관계를 가지며, 또한 각각의 작동기 조립체는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에 둘러싸여 배치되고 고정축에 대해 동력구동회전을 위한 상기 케이싱부재에 장착된 중공 피니언부재를 포함하고,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와 각 피니언부재상의 일체적 수단은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중심점에 대한 피봇운동을 수용하는 동안에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중첩축에 대하여 제2작동기부재의 대응 회전운동에 피니언부재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며, 각각의 제1작동기 부재의 피봇가능 장착은 중첩축에 대해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각 작동기조립체의 제1 및 제2작동기부재 사이의 후퇴가능 나사산 수단이 중첩축에 대한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회전운동에 응답하여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에 대하여 중첩축을 따라서 관련된 제1작동기 부재의 중첩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작동기부재상의 상기 일체적 수단은 상기 디스크부분의 외주부에 환상으로 이격된 복수의 노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피니언 부재상의 상기 일체적 수단은 상기 복수의 노치와 끼워맞추어지는 하부 에지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작동기부재는 디스크형상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작동기부재의 일체적 접속구조체는 그것과 동심관계에 있는 관련된 디스크부의 일측과 일체로 된 볼부를 포함하며, 각 디스크형상부는 그것과 동심관계에 있는 디스크형상부의 타측과 일체로된 원통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수단은 각 원통벽부의 외주부에 외부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작동기부재는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원통벽부재의 내주부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중첩되도록 장착되는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일체의 환상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아암부는 상기 샤프트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고, 상기 아암부는 제한된 자유단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산수단은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원통벽부상에서 외부나사산과 나사로 맞물리는 상기 제한된 자유단상에 형성된 내부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홀딩부재는 제1 및 제2감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미러홀딩부재가 상기 두 개의 교차축중의 하나에 대해 이동할때만 그것과 함께 상기 제1감지부재가 이동하고 상기 미러홀딩부재가 상기 두 개의 교차축중의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할때만 그것과 함께 상기 제2부재가 이동하며, 상기 케이싱 부재는 상기 미러홀딩부재의 단부의 이동에 대응하는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상기 제1 및 제2감지부재의 대향 단부를 장착하는 이격된 제1 및 제2일체적 구조체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전위차계 회로를 구비한 단일의 전기회로보드; 상기 제1 및 제2감지부재의 대향 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및 제2전기접점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전기접점수단이 제1 및 제2전위차계회로와 상호작동하도록 상기 케이싱부재의 상기 단일의 전기회로보드를 장착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는 근접하게 이격된 복수의 노치와 상기 회로보드의 제1 및 제2전위치계회로와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노치내에서 연장하는 전기 배선을 갖는 상기 회로보드에 나란히 이격된 외부 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기배선을 상기 노치에 유지하는 상호작동하는 외부 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작동수단은 그것과 접속된 복수의 전동모터 배선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 조립체내에 장착된 제1 및 제2전기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모터배선은 상기 케이싱부재의 상기 외부 에지부내의 복수의 제2노치내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호작동하는 외부 에지부에 의해 그 안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일체적 장착구조체는 관련된 감지부재의 대향 단부상의 절두 구형 볼록면이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는 C-형상 단면구조의 직립 일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재를 장착하는 C-형상벽은 상기 회로보드의 일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감지부재를 장착하는 C-형상벽은 상기 회로보드의 대향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두 개의 교차축에 수직 교차하는 제3축에 대한 상기 부재 사이의 피봇운동을 방지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케이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그것과 함께 케이싱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싱 조립체는 상기 두 개의 교차하는 수직축에 대하여 상기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장착된 동력작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작동수단은 한쌍의 동력 작동 작동기조립체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작동기조립체는 상기 미러홀딩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접속된 상기 케이싱조립체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단부를 갖는 제1작동기부재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첩축을 따라 상기 제1작동기부재와 접철관계로 배치된 제2작동기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작동기부재는 일단에 일체적 접속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부재는 일체적접속구조체를 가지고 (1) 중첩축에 대한 회전운동 및 중첩축의 중심에 대한 피봇운동을 허여하고 (2) 중첩축의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스냅-인 관계에 있을 때 각각의 제2작동기부재상의 일체적 접속구조체에 대하여 동작하는 스냅-인 관계를 가지며, 또한 각각의 작동기 조립체는 관련된 제2 작동기부재에 에워싸여 배치되고 고정된 축에 대해 동력회전을 위한 상기 케이싱부재에 장착된 중공 피니언부재를 포함하고,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와 각 피니언부재상의 일체적 수단은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중심점에 대한 피봇운동을 수용하는 동안에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중첩축에 대한 대응하는 회전운동에 피니언부재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며, 각각의 제1작동기부재의 피봇가능장착은 중첩축에 대해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각 작동기 조립체의 제1 및 제2작동기부재 사이의 후퇴가능나사산수단이 중첩축에 대한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회전운동에 응답하여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에 대하여 중첩축을 따라서 관련된 제1작동기부재의 접철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작동기부재상의 상기 일체적 수단은 상기 디스크부분의 외주부의 환상으로 이격된 복수의 노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피니언 부재상의 상기 일체적 수단은 상기 복수의 노치와 끼워맞추어지는 하부에지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작동기부재는 디스크형상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작동기부재의 일체적 접속구조체는 그것과 동심관계에 있는 디스크형상부의 일측과 일체로 된 볼부를 포함하며, 각 디스크형상부는 그것과 동심관계에 있는 디스크형상부의 타측과 일체로 된 원통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수단은 각 원통벽부의 외주부에 외부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작동기부재는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원통벽부재의 내주부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중첩되어 장착된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일체의 환상으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아암부는 상기 샤프트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향하여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고, 상기 아암부는 제한된 자유단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산수단은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원통벽부상에서 외부나사산과 나사로 맞물리는 상기 제한된 자유단상에 형성된 내부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홀딩부재는 제1 및 제2감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미러홀딩부재가 상기 두 개의 교차축중의 하나에 대해 이동할때만 그것과 함께 상기 제1감지부재가 이동하고 상기 미러홀딩부재가 상기 두 개의 교차축중의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할때만 그것과 함께 상기 제2감지부재가 이동하도록 그것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 부재는 상기 미러홀딩부재와 함께하는 단부의 이동에 대응하는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상기 제1 및 제2감지부재의 대향 단부를 장착하는 이격된 제1 및 제2일체적 구조체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전위차에 회로를 구비한 단일의 전기회로보드; 상기 제1 및 제2감지부재의 대향 단부에 의해 지탱되는 제1 및 제2전기접점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전기접점수단이 제1 및 제2전위차계회로와 상호작동하도록 상기 케이싱부재의 상기 단일의 전기회로보드를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19. 미러홀딩부재와, 상기 미러홀딩부재에 의해 지탱되는 미러와, 지지부재와, 두 개의 교차하는 수직축선을 따르는 피봇운동을 위한 상기 지지부재상에 상기 미러홀딩부재를 결합하고 제3의 교차하는 수직축에 대한 피봇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수단과,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케이싱 조립체를 형성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조립체는 동력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두 개의 교차하는 수직축에 대하여 상기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작동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동력작동수단은 한쌍의 동력 구동형 작동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작동기 조립체는 상기 미러홀딩부재에 접속된 부재와 상기 케이싱부재에 접속된 부재를 포함하며; 각 작동기조립체의 하나의 부재와 이에 접속된 부재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은 상기 하나의 접속부의 부재들상에 일체로 형성된 상호작동하는 제1 및 제2접속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일체적 접속구조체는 돌출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이 돌출베이스부의 돌출단부에는 확대부가 있으며, 상기 확장부는 그 중 하나가 상기 베이스부와의 교차에 의해 한정되는 한쌍의 제1평행절두체를 갖는 제1구형면내에 배치된 제1볼록 접속표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1) 상기 제1구형면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과 (1) 제1구형면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제1구형 단편면내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제1오목 접속표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일체적 접속구조체는 (1) 상기 제1 절두 구형면의 반경과 사실상 동일한 반경과 (2) 한쌍의 제2평행 절두체를 갖는 제2구형면내에 배치된 제2 오목 접속표면부를 구비하는 돌출 환상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일체적 접속구조체는 (1) 상기 제2구형면의 중심에 일치하는 중심과 (2) 상기 제1구형 단편면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제2구형단편면내에 배치된 상기 환상벽의 돌출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볼록 접속표면부를 갖는 상기 환상벽내에 돌출중심부를 포함하며; 플라스틱 재료의 특성과 상기 환상벽의 구조는 환상벽이 서로 이탈하려는 방향으로의 운동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일체의 접속구조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확장부의 제1볼록 접속표면부가 환상벽의 제2오목 접속표면부에 접속되고 서로를 향하는 방향에서 제1 및 제2접속구조체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확장부의 제1오목 접속표면부가 돌출 중심부의 제2볼록 접속표면부에 접속되도록 탄력있게 구부러지고 탄력있게 복원하기 위하여 확장부의 운동에 응하여 작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속표면부의 접속은 상기 두 개의 교차하는 수직축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의 복수의 다른 위치에서 상호작동하는 관계로 상기 부재들을 유지하도록 상대적인 슬라이딩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목 접속표면부는 상기 제1구형 단편면의 전체면을 통해 연장하는 제1구형 단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볼록 접속표면부는 한쌍의 제1의 절두체 사이에서 상기 제1구형면 전체를 통해 연장하는 제1이중 절두 구형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오목접속표면부는 상기 제1구형단편면을 통해 연장하는 제1구형 단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일체적 접속구조체는 상기 제1구형 단편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이중 절두 구형표면으로 분기되어 외향하여 연장하는 환상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중심부는 정점상에 상기 제2볼록 접속표면부를 갖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볼록 접속표면부는 상기 제2구형 단편면의 전체를 통해 연장하는 제2구형 단편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의 분기각이 외측으로 향해 분기되는 상기 환상표면의 분기각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3. 미러홀딩부재와, 상기 미러홀딩부재에 의해 지탱되는 미러와, 지지부재와, 두 개의 교차하는 수직축선을 따르는 피봇운동을 위한 상기 지지부재상에 상기 미러홀딩부재를 연결하고 제3의 교차 수직축에 대한 피봇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상에 고정되어 케이싱 조립체를 형성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조립체는 동력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두 개의 교차 수직축에 대하여 상기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동력작동수단은 한쌍의 동력구동 작동기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작동기조립체는 상기 미러홀딩부재에 피봇가능하게 접속된 상기 케이싱조립체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단부를 갖는 제1작동기부재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첩축을 따라 상기 제1작동기부재와 접철관계로 배치된 제2작동기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작동기부재는 일단에 일체적 접속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부재는 (1) 중첩축에 대한 회전운동 및 중첩축상의 중심점에 대한 피봇운동을 허용하고 (2) 중첩축의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냅-인 관계에 있을 때 작동가능한 각각의 제2작동기부재상의 일체적 접속구조체에 대하여 스냅-인 관계를 갖는 일체적 접속구조체를 가지며; 각각의 작동기 조립체는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에 에워싸워 배치되고 고정된 축에 대한 동력 구동 회전을 위한 상기 케이싱부재에 장착된 중공 피니언 부재를 포함하고;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와 각 피니언부재상의 일체적 수단은 중심점에 대한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피봇운동을 수용하는 동안, 피니언 부재의 회전운동을 중첩축에 대한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대응하는 회전운동에 전달하며; 각각의 제1작동기부재의 피봇가능한 장착은 중첩축에 대한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각 작동기조립체의 제1 및 제2작동기부재 사이의 후퇴가능 나사산은 중첩축에 대한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회전운동에 응답하여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에 대하여 중첩축을 따라서 관련된 제1작동기부재의 접철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각가의 제2작동기부재상의 상기 일체적 수단은 상기 디스크부분의 외주부에 환상으로 이격된 복수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노치와 끼워맞추어지는 에지상의 복수의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작동기부재는 디스크형상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작동자부재의 일체적 접속구조체는 동심관계에 있는 관련된 디스크형상부의 일측과 일체로 된 볼부를 포함하며, 각 디스크형상부는 동심관계에 있는 그의 타측에 일체로 된 원통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수단은 각 원통벽부의 외주부에 외부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작동기부재는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원통벽부재의 내주부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중첩되어 장착된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일체의 환상으로 이격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아암부는 상기 샤프트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외부쪽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고, 상기 아암부는 제한된 자유단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산 수단은 관련된 제2작동기부재의 원통벽부상에서 외부나사산을 나사로 맞물리게 하는 상기 제한된 자유단상에 형성된 내부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홀딩부재는 제1 및 제2감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미러홀딩부재가 상기 두 개의 교차축중의 하나에 대해 이동할때만 그것과 함께 상기 제1감지부재가 이동하고 상기 미러홀딩부재가 상기 두 개의 교차축중의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할때만 그것과 함께 상기 제2부재가 이동하며, 상기 케이싱 부재는 상기 미러홀딩부재의 단부의 이동에 대응하는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상기 제1 및 제2감지부재의 대향 단부를 장착하는 이격된 제1 및 제2일체적 구조체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전위차계 회로를 구비한 단일의 전기회로보드; 상기 제1 및 제2감지부재의 대향 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및 제2 전기접점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전기접점수단이 제1 및 제2전위차계회로와 상호작동하도록 상기 케이싱부재의 상기 단일의 전기회로보드를 장착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8. 미러홀딩부재와; 상기 미러홀딩부재에 의해 지탱되는 미러와; 지지부재와; 두 개의 교차하는 수직축을 따라 피봇운동을 위한 상기 지지부재상에 상기 미러홀딩부재를 결합하고 제3의 교차 수직축에 대한 피봇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케이싱 조립체를 형성하는 케이싱부재와; 동력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두 개의 교차하는 수직축에 대한 상기 미러홀딩부재의 피봇운동을 수행하는 상기 케이싱조립체와; 상기 미러홀딩부재가 상기 두 개의 교차하는 축중의 하나에 대하여 이동할때만 상기 제1감지부재가 이동하고, 상기 미러홀딩부재가 상기 두개의 교차하는 축중의 다른 하나에 의해 이동할때만 상기 제2감지부재가 이동하도록 , 상기 미러홀딩부재와 연결된 단부를 갖는 제1 및 제2감지부재와; 상기 미러홀딩부재와 함께하는 단부의 이동에 대응하는 길이방향의 이동을 위한 상기 제1 및 제2감지부재의 대향 단부를 장착하는 이격된 제1 및 제2일체적 구조체를 구비한 상기 케이싱부재와; 제1 및 제2전위차계 회로를 구비한 단일의 전기회로보드와; 상기 제1 및 제2감지부재의 대향 단부에 의해 지탱되는 제1 및 제2전기접점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전기접점수단이 제1 및 제2전위차계회로와 상호 작동 하도록 상기 케이싱부재의 상기 단일의 전기회로보드를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는 근접하게 이격된 복수의 노치를 갖는 상기 회로보드에 나란히 이격된 외부에지부와, 상기 회로보드의 제1 및 제2전위차계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노치로 연장하는 전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기배선을 상기 노치에 유지하는 상호작동하는 외부 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작동수단은 그에 접속된 복수개의 전기모터 배선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 조립체내에 장착된 제1 및 제2전기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모터 배선은 상기 케이싱부재의 상기 에지부내의 복수의 제2노치내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호작동하는 외부 에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1. 제3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일체적 장착구조체는 관련된 감지부재의 대향 단부상의 절두구형볼록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C-형상 단면구조의 직립하는 일체적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재를 장착하는 C-형상벽은 상기 회로보드의 일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감지부재를 장착하는 C-형상벽은 상기 회로보드의 대향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조립체.
KR1019920701659A 1989-01-04 1990-01-16 자동차 백미러 조립체 KR100237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93,459 US4915493A (en) 1989-01-04 1989-01-04 Automotive rear view mirror assembly
PCT/US1990/000148 WO1991010933A1 (en) 1989-01-04 1990-01-16 Automotive rearview mirr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4171A KR920704171A (ko) 1992-12-19
KR100237232B1 true KR100237232B1 (ko) 2000-01-15

Family

ID=2312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659A KR100237232B1 (ko) 1989-01-04 1990-01-16 자동차 백미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915493A (ko)
EP (1) EP0511203B1 (ko)
JP (1) JP3145395B2 (ko)
KR (1) KR100237232B1 (ko)
AU (1) AU647731B2 (ko)
BR (1) BR9007991A (ko)
CA (1) CA1325351C (ko)
DE (1) DE69030388T2 (ko)
ES (1) ES2103270T3 (ko)
WO (1) WO1991010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0752A (ja) * 1989-04-28 1990-11-30 Aisin Seiki Co Ltd ミラー装置
DE69113744T2 (de) * 1990-05-29 1996-03-21 Ichiko Industries Ltd Rückblickspiegel mit fernbedienung.
US5226034A (en) * 1990-06-19 1993-07-06 Ichikoh Industries, Ltd. Electrically remote-controlled type mirror assembly
DE4031716C2 (de) * 1990-10-06 1994-01-20 Buehler Gmbh Nachf Geb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Rückblickspiegel
US5116013A (en) * 1991-04-02 1992-05-26 Mirror Lite Co. Mirror mounting mechanism
JPH04118834U (ja) * 1991-04-09 1992-10-23 株式会社松山製作所 車両用ミラーのミラーホルダー支持構造
JPH0550881A (ja) * 1991-08-19 1993-03-02 Ichikoh Ind Ltd 電動式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ミラーおよびその制御回路
US5293784A (en) * 1991-09-06 1994-03-15 Gebruder Buhler Nachfolger Gmbh Drive device for a vehicle rear-view mirror
JPH05147471A (ja) * 1991-11-28 1993-06-15 Ichikoh Ind Ltd パワーユニツトのハーネス接続構造
US5864215A (en) * 1992-03-06 1999-01-26 Hughes Aircraft Company Steering apparatus for controllably displacing a structure relative to a frame member
US5477391A (en) * 1993-08-16 1995-12-19 Lowell Engineering Corp. Mirror assembly movable into rearwardly folded position with reversing spring bias
US5477390A (en) * 1993-08-16 1995-12-19 Lowell Engineering Corp. Mirror assembly powered into rearwardly folded position against reversing spring bias
US5467230A (en) * 1993-08-16 1995-11-14 Lowell Engineering Corp. Dual pivoted member mount for mirror
KR960007598B1 (ko) * 1994-08-09 1996-06-07 풍정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동식미러의 경사각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5684646A (en) * 1995-01-17 1997-11-04 Lowell Engineering Corporation Exterior mirror with single pivot power fold
US5703732A (en) * 1995-01-17 1997-12-30 Lowell Engineering Corporation Exterior mirror with indexing and control pivoting
US5703731A (en) * 1995-01-17 1997-12-30 Lowell Engineering Corporation Exterior mirror with indexing and control pivoting
US5701211A (en) * 1995-03-31 1997-12-23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Systems, Inc. Vehicle mirror adjustment gear train
DE29511817U1 (de) * 1995-07-21 1996-11-14 Robert Bosch Gmbh, 70469 Stuttgart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Kraftfahrzeugspiegels
DE29618937U1 (de) * 1996-10-31 1997-01-02 EM Kunststofftechnik GmbH, 07806 Neustadt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Kraftfahrzeuge
US5838507A (en) 1996-12-19 1998-11-17 Lowell Engineering Corporation Mirror assembly with friction drive
US5900999A (en) * 1997-01-09 1999-05-04 Donnelly Corporation Housing with integral electrical connectors for a rearview mirror actuator assembly
US6362548B1 (en) 1997-04-14 2002-03-26 Donnelly Corporation Housing with integral gasket components for a rearview mirror actuator assembly
US5986364A (en) * 1997-04-14 1999-11-16 Donnelly Corporation Housing with integral weather seals and noise dampeners for a rearview mirror actuator assembly
DE29711539U1 (de) 1997-07-03 1998-11-05 Donnelly Hohe GmbH & Co. KG, 97903 Collenberg Motorisch verstellbarer Fahrzeug-Rückspiegel
CA2318953A1 (en) 1998-01-22 1999-07-29 Ian Boddy Single pivot mirror assembly with security light
US6168279B1 (en) 1998-03-25 2001-01-02 Donnelly Corporation Pivot support for adjustable rearview mirror
DE19840004A1 (de) * 1998-09-02 2000-03-09 Mekra Lang Gmbh & Co Kg Auß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DE19904778C2 (de) 1999-02-05 2001-04-12 Mekra Lang Gmbh & Co Kg System zur automatischen Aussenspiegelverstellung bei Kurvenfahrten von Fahrzeugen
AU5755000A (en) 1999-06-21 2001-01-09 Magna Mirror Systems Inc. Extending and rotating rearview mirror assembly
US6474822B2 (en) * 1999-07-14 2002-11-05 David Swindon Potentiometer for motorized mirror
US6491402B1 (en) 1999-09-07 2002-12-10 Lang-Mekra North America, Llc Mirror mounting assembly with modular components
US6302549B1 (en) 1999-09-07 2001-10-16 Lang-Mekra North America, Llc Mirror mounting assembly with biaxial adjustability
US6412960B1 (en) 1999-09-14 2002-07-02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Mirror surface angle adjusting device and mirror surface angle detector for a vehicle
DE19951077C1 (de) * 1999-10-23 2001-05-10 Buhler Motor Gmbh Stellantrieb zum Verstellen eines Stellglieds in zumindest zwei Freiheitsgraden
DE10022017A1 (de) * 2000-05-05 2001-11-08 Mekra Lang Gmbh & Co Kg Rückblickspiegelanordnung, insbesondere als Außenspiegel für Nutzfahrzeuge
DE10022016A1 (de) 2000-05-05 2001-11-08 Mekra Lang Gmbh & Co Kg Rückblickspiegelanordnung, insbesondere als Außenspiegel für Nutzfahrzeuge
DE10022064A1 (de) * 2000-05-06 2001-11-0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ußenspiegels eines Kraftfahrzeuges
DE10026051C2 (de) * 2000-05-25 2002-04-18 Oechsler Ag Kraftfahrzeugspiegel-Verschwenkeinrichtung
DE10033088B4 (de) * 2000-07-07 2005-12-22 Bühler Motor GmbH Aufschnappen des Spiegelantriebes
DE10035178C1 (de) * 2000-07-20 2002-02-21 Buhler Motor Gmbh Messeinrichtung zur Erfassung der Lage eines Spiegelflächenträgers
DE10064647A1 (de) 2000-12-22 2002-07-11 Mekra Lang Gmbh & Co Kg Rückblickspiegel,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7357522B2 (en) * 2001-03-06 2008-04-15 Lang Mekra North America, Llc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4755392B2 (ja) * 2001-03-12 2011-08-24 エクスラ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特に自動車ミラーを取り付けるための支持体板のためのモータ駆動式の旋回装置
US6478436B1 (en) * 2001-05-22 2002-11-12 Eaton Corporation Sensing mirror position in a powered mirror positioning system
US7216996B2 (en) * 2001-06-15 2007-05-15 Schefenacker Vision Systems Uk Ltd. Mirror with interchangeable appearance covers
DE10148611B4 (de) 2001-10-02 2005-01-27 Mekra Lang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chwenkbeweglichen Lagern eines Tragarms für einen Aussenspiegel
US6793357B2 (en) 2001-12-26 2004-09-21 Lang Mekra North America, Llc Vehicle mirror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20040109249A1 (en) * 2002-11-12 2004-06-10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Mirror system with interlock attachment for reflective element
JP4012460B2 (ja) * 2002-11-28 2007-11-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アウタミラー装置
US7080914B1 (en) 2003-02-27 2006-07-25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Vehicular mirror with adjustable pivot connection
US7090363B1 (en) 2003-02-27 2006-08-15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Mirror actuator assembly with modular positional memory device
US7784953B2 (en) * 2003-04-07 2010-08-31 Gentex Corporation Quick-attach mirror mounting structure facilitating assembly
WO2005004817A2 (en) * 2003-06-30 2005-01-20 Redox Pharmaceutical Corporation Audubon Bio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Park Topical antiviral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treatment of adenoviruses and their associated diseases
DE602004020151D1 (de) * 2003-07-10 2009-05-07 Ichikoh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r Neigungsverstellung eines Aussenspiegels
JP2006007925A (ja) * 2004-06-24 2006-01-12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
JP2006044511A (ja) * 2004-08-05 2006-02-16 Murakami Corp ミラー及び角度検出装置
JP2006096147A (ja) * 2004-09-29 2006-04-13 Murakami Corp ミラー及び角度検出装置
JP2006096146A (ja) * 2004-09-29 2006-04-13 Murakami Corp ミラー及び角度検出装置
EP1805061B1 (en) * 2004-10-29 2010-06-16 SMR PATENTS S.à.r.l. A pivot connection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KR100799750B1 (ko) * 2007-04-25 2008-02-01 장재홍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JP5306050B2 (ja) 2008-06-20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
ES2374611T3 (es) * 2009-01-14 2012-02-20 Magna Auteca Ag Accionamiento para un componente que se ha de ajustar.
JP5479159B2 (ja) * 2009-03-10 2014-04-23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ミラー
JP5619403B2 (ja) * 2009-09-30 2014-11-05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ドアミラー
EP2433838B1 (de) * 2010-09-28 2014-04-23 SMR Patents S.à.r.l. Außenspiegel
DE102011101534B4 (de) * 2011-05-14 2014-12-11 Oechsler Aktiengesellschaft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 verschwenkbare Trägerplatte, insbesondere zur Aufnahme eines Kraftfahrzeugspiegels
JP5758251B2 (ja) * 2011-09-20 2015-08-05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ドアミラー
JP5758249B2 (ja) * 2011-09-20 2015-08-05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ドアミラー
JP5758250B2 (ja) * 2011-09-20 2015-08-05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ドアミラー
CN103516128B (zh) * 2012-06-26 2017-03-22 阿斯莫有限公司 电动机驱动器
DE102016108373A1 (de) 2016-05-04 2017-11-09 SMR Patents S.à.r.l. Positioniersystem für eine Rückblickanzeigevorrichtung
DE102016225293A1 (de) * 2016-12-16 2018-06-21 Mekra Lang Gmbh & Co. Kg Kugelgelenkvorrichtung, Befestigungsvorrichtung und indirektes Sichtsystem für Fahrzeuge
US11383645B2 (en) 2019-05-13 2022-07-12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with power extend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054B2 (ja) * 1981-02-24 1985-12-18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電動式ミラ−駆動装置
US4585200A (en) * 1982-01-25 1986-04-29 Magna International Inc. Mounting for remotely controlled rear-view mirror
JPS58136536A (ja) * 1982-02-08 1983-08-13 Ichikoh Ind Ltd 電動式リモ−トコントロ−ルミラ−
FR2526737B1 (fr) * 1982-05-13 1986-04-25 Manzoni Stephane Dispositif limiteur de couple pour mecanisme de commande d'un miroir de retroviseur
US4482211A (en) * 1982-12-13 1984-11-13 Robert J. Fisher Electrically operated remote control rearview mirror
US4636045A (en) * 1983-09-01 1987-01-13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Manual adjusting device for tiltable outer mirror
US4693571A (en) * 1984-01-24 1987-09-15 Kabushiki Kaisha Matsuyama Seisakusho Support and drive unit for mirror devices
US4678295A (en) * 1985-04-05 1987-07-07 Magna International Inc Memory positioning system for remote control rear-view mirror
US4696555A (en) * 1985-05-14 1987-09-29 Ichikoh Industries Limited Electric remote control mirror apparatus
IT1208243B (it) * 1987-02-11 1989-06-12 Nardino Righi Specchio retrovisore per autoveicoli
US4740068A (en) * 1987-04-28 1988-04-26 Magna International Inc.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mounting arrangement including integrally molded dual axis pivot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03270T3 (es) 1997-09-16
EP0511203A4 (en) 1993-02-03
BR9007991A (pt) 1992-10-27
KR920704171A (ko) 1992-12-19
AU647731B2 (en) 1994-03-31
CA1325351C (en) 1993-12-21
WO1991010933A1 (en) 1991-07-25
AU4948290A (en) 1991-08-05
EP0511203B1 (en) 1997-04-02
DE69030388T2 (de) 1997-08-28
DE69030388D1 (de) 1997-05-07
JPH05505357A (ja) 1993-08-12
US4915493A (en) 1990-04-10
EP0511203A1 (en) 1992-11-04
JP3145395B2 (ja) 200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232B1 (ko) 자동차 백미러 조립체
US6168279B1 (en) Pivot support for adjustable rearview mirror
KR100582936B1 (ko) 아우터미러 경동장치
JP4314550B2 (ja) 駆動システム
EP0177458B1 (en) External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EP1347890B1 (en) Movement mechanism
US6945682B2 (en) Headlight for motor vehicles
EP1084906B1 (en) Vehicle mirror with mirror surface angle detector
US4871246A (en) Device for transmitting, without vibrations, movements from an electric control to a mirror-holder plate of a rearview mirror
CN114364584B (zh) 曲柄销、球窝接头和相应的刮水器致动联动系统及其组装方法
JPH0536750Y2 (ko)
US7090364B1 (en) Movement mechanism
EP0880205A2 (en) Rotary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JPH11165589A (ja) 車両ミラー用ワイパー
JP3277737B2 (ja) 車両用後写鏡
JP4110723B2 (ja) 車両用ミラー駆動装置のホルダベース構造
JPH055083Y2 (ko)
EP0265973A1 (en) Adjusting device for rearview mirror
US20030179475A1 (en) Motion mechanism
JP4099935B2 (ja) 車両用ミラー駆動装置のロッド構造
JP4110722B2 (ja) 車両用ミラー駆動装置のモータ配置構造
JP4051869B2 (ja) 車両用ミラー駆動装置の回転抵抗軽減構造
JPS6233101B2 (ko)
JP2004523416A (ja) 特に自動車ミラーを取り付けるための支持体板のためのモータ駆動式の旋回装置
JP4026308B2 (ja) 車両用ミラー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