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817B1 -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817B1
KR100234817B1 KR1019960077036A KR19960077036A KR100234817B1 KR 100234817 B1 KR100234817 B1 KR 100234817B1 KR 1019960077036 A KR1019960077036 A KR 1019960077036A KR 19960077036 A KR19960077036 A KR 19960077036A KR 100234817 B1 KR100234817 B1 KR 10023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density
low
sodium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736A (ko
Inventor
곽상운
이상운
강윤석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6007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817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06Ether- or thioether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39Coated compositions or coated components in the compositions, (micro)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11D17/0065Solid detergents containing bui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계 유지로부터 추출된 지방알콜 또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및 알킬 술폰산나트륨, 알킬에테르 술폰산나트륨 및 지방산 비누중에서 선택된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혼합물을 수직의 교반축에 교반날개가 장착되어 있고 별도의 축에 단독 또는 그 이상의 분쇄장치가 장착된 고속회전조립기에 넣고, 빌더에 혼합, 흡수를 행하고 분쇄, 조립을 하여 입자를 만들고 입자의 표면에 수 불용성 표면개질제를 도포하고 첨가제를 혼합하여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명칭]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식물성 유지로부터 추출된 지방알콜 또는 지방산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및 알킬에테르 수폰산나트륨 및 알킬술폰산나트륨과 식물성 유지 또는 동물성 유지로부터 추출된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혼합물을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제에 혼합, 분쇄 및 입자화한 후 제올라이트 등의 표면개질제를 도포하여 제조된 생분해도가 우수하여 수질오염이 적고 세정력이 높은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의류 세탁용 분말세제에 사용되는 유효성분, 즉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등이 사용되며, 그 세정력 및 생분해도 등의 제반 물성은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및 무기 빌더의 종류, 조성물의 조성비율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르나, 통상적인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의 계면활성제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석유계 원료로부터 제조된 음이온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면활성제가 주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석유계원료부터 제조된 계면활성제는 세정력은 뛰어 나지만 생분해도가 낮아 상당기간 동안 분해되지 않은 채 하천에 방류되어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의류세탁용 분말세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으나 항류식 분무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저밀도의 세제 건조 분말을 제조한 후 별도의 분쇄 장치가 장착된 혼합 조립기를 사용하여 건조 분말을 분쇄하여 입자 내부의공극을 없앤 후 액상, 슬러리 또는 분말상의 결합체를 도포하여 분쇄된 미분을 입자화하고 액상, 슬러리 또는 분말상의 표면처리제를 표면에 도포하여 고밀도화 하거나 건조 분말을 압출 공정을 이용하여 내부의 공극을 없앤 후 적당한 입자 크기로 분쇄하여 액상, 슬러리 또는 분말상의 표면처리제를 표면에 도포하여 고밀도화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독일 특허 4243704 A1, 유럽 특허 390251 A2등).
일본 특허 제 92-5080호에는 석유계로부터 제조된 계면활성제를 항류식 분무 건조과정을 거쳐 저비중의 입자를 만든 후 이를 미세하게 분쇄한 후 적절한 액상 계면활성제 특히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와 혼합하여 재조립하고 그 입자의 표면에 제올라이트 등의 코팅 물질을 도포하여 고밀도의 세제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종래의 세탁 세제는 그 유효성분으로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알킬술폰산나트륨, 알파올레핀술폰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유효 성분에 관한 설명 및 예는 미국 특허 제3,929,678호 및 유럽 특허 제 0,241,984호에 잘 나타나 있다.
지방산과 지방알콜을 중간체로하여 제조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류세탁용 분말세제는 미국 특허 제 4,049,586호, 미국 특허 제 4,487,710호 등에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석유계로부터 제조된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과 천연 유지계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술폰산나트륨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였으나, 그러나 상기의 예는 석유로부터 유래된 알킬벤젠, 알파올레핀, 알킬기를 사용하여 제조된 계면활성제를 주 원료로 하고 있으므로 세정력은 우수하나 그 생분해 속도가 느려 공해 문제 특히 수질오염의 가능성이 높고 경수에서 세척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식물 및 동물로부터 유래된 천연계 원료로부터 제조된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알킬술폰산나트륨 및 알킬에테르 술폰산나트륨 등의 원료는 생분해도가 높아 저공해 세제의 원료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향류식 분무건조장치를 사용할 경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알킬 술폰산나트륨 및 알킬에테르 술폰산나트륨 등의 원료는 고온에서 분자 내부의 옥시에틸렌기가 열분해 되어 수 불용성 물질을 생성하여 세탁 후 의류에 흰색 분말이 남는 경우가 생기며, 건조시 유기물 함유량이 많을 경우 향류식 분무 건조 장치에서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향류식 분무건조 설비 및 부대 설비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설비 투자비가 많이 들고 원료의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식물 및 동물성 천연 원료로부터 제조된 계면활성제 단독 혹은 혼합물을 탄산 나트륨 등의 알칼리제에 혼합, 분쇄 및 입자화한 후 제올라이트 등의 표면개질제를 도포할 경우 향류식 분무건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생분해 속도가 빠르고 세정력이 우수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은 천연계 유지로부터 추출한 지방알콜로부터 제조된 하기 일반식(1)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및 천연계 유지에서 추출한 지방알콜 또는 지방산으로부터 제조된 하기 일반식(2)의 알킬 술폰산나트륨, 하기 일반식(3)의 알킬에테르 술폰산 나트륨 및 하기 일반식(4)의 지방산 비누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혼합물을 전체 세제 조성물에 대하여 10∼50중량%를 함유하며 또한 세제의 겉보기 비중이 0.55 내지 1.0g/cc임을 특징으로 하는함을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R1-CH2-CH2-O-(CH2-CH2-O)n-H (1)
R2-CH3-C-O-SO3Na (2)
R3-CH2-(CH2-CH2-O)n-SO3Na (3)
상기식에서 R1은 탄소 수 6 내지 18개의 알킬기이고, R2및 R3는 각각 탄소수 7 내지 19개의 알킬기이며, R4는 탄소수 9 내지 23개의 알킬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계 유지로부터 추출된 지방알콜 또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알킬 술폰사나트륨, 알킬에테르 술폰산나트륨 및 지방산 비누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의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혼합물을 수직의 교반축에 교반날개가 장착되어 있고 별도의 축에 단독 또는 그 이상의 분쇄장치가 장착된 고속회전조립기에 넣고 빌더에 혼합, 흡수를 행하고 분쇄, 조립을 하여 입자를 만들고 입자의 표면에 통상적인 수불용성 표면개질제를 도포하고 통상적인 세제용 첨가제를 혼합하여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30 내지 80℃의 온도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계면활성제 1종 혹은 2종 이상을 알킬리 빌더 10 내지 70중량%의 형광염료 0.1 내지 1중량%가 고속회전 조립기(Vertical High Speed Mixer 혹은 Lodige Mixer)에 의해 교반기 속도 50 내지 200rpm으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고속회전조립기에 투입, 분말상의 알칼리 빌더 10 내지 70중량%에 흡수시킨 후 교반기 속도 50 내지 200rpm, 분쇄기 속도 1000 내지 3000rpm으로 하여 분쇄 및 조립을 행하여 입자를 형성시킨 다음, 형성된 입자에 통상적인 표면개질제를 10 내지 60중량%를 넣고 교반기 속도 50 내지 200rpm, 분쇄기 속도 1000 내지 3000rpm으로 입자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제조된 조성물에 향, 효소 및 소포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통상적인 세제용 첨가제를 0.1 내지 10중량% 혼합함으로써 겉보기 비중 0.55 내지 1.2g/cc의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속회전조립기는 수직의 교반축에 교반날개가 장착되고, 별도의 분쇄 장치가 장착된 일본 푸케 사(Fukae)의 버티칼 하이 스피드 믹서(Vertical High Speed Mixer) 또는 수평의 교반축에 교반날개가 장착되고 별도의 분쇄장치가 장착된 독일 뢰디게 사(Lodige)의 뢰디게 믹서(Loeige Mixer)이지만 다른 조립기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계 유지로부터 추출된 지방알콜 또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하기의 일반식(1)의 폴리에틸렌 알킬에테르, 및 하기 일반식(2)의알킬 술폰산나트륨, 하기 일반식(3)의 알킬에테르 술폰산나트륨 및 하기 일반식(4)의 지방산 비누로부터 선택되는 1종 혹은 그 이상의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혼합물을 전체 세제 조성물에 대하여 10-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1-CH2-CH2-O-(CH2-CH2-O)n-H (1)
R2-CH3-C-O-SO3Na (2)
R3-CH2-(CH2-CH2-O)n-SO3Na (3)
상기식에서 R1은 탄소 수 6 내지 18개의 알킬기이고, R2및 R3는 각각 탄소수 7 내지 19개의 알킬기이며, R4는 탄소수 9 내지 23개의 알킬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이때 임계미셀농도(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가 다른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매우 낮아 뛰어난 세정력을 나타내는 일반식(1)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가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30중량%이상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세정력이 저하된다. 계면활성제 혼합물이 10중량%이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세정력이 저하되고 50중량%이상 사용되는 경우에는 액상 성분이 과다하게 많아져 세제 입자가 매우 농조(sticky)하게 되어 분말의 유동성이 떨어지고 입자 형성이 과다하게 진행되어 불량률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계면활성제 등은 함수율이 낮을수록 액상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함량을 높일 수가 있다. 함수율은 30중량% 미만의 경우가 바람직한데 30중량% 이상의 경우는 세제 내의 수분 함유량이 과도하게 높아져 세제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장기간 보관시 내용물이 굳어지는 현상(caking)이 발생할 수 있다.
알칼리 빌더로는 Na2CO3, K2CO3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세제 용액의 수소이온농도를 높여 세정력을 향상시키고,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흡수하여 입자화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알킬기 빌더의 함량은 10 내지 7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중량% 미만 사용할때는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흡수되지 않은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늘어나 액상 성분이 과다하게 많아져서 세제 입자가 매우 농조(sticky)하게 되어 분말의 유동성이 떨어지고 입자 형성이 과다하게 진행되어 불량률이 높아지게 되고, 70중량%이상 사용할때는 계면활성제 및 표면개질제 등의 다른 원료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므로 세정력이 나빠지고 입자의 형성이 어려워져 분진이 많이 발생하게 되면 겉보기 비중이 낮아지게 된다.
수불용성 표면개질제는 세제입자의 표면에 도포되어 각 입자간의 접착에 의해 세제를 장기간 보관시 생기는 덩어리짐 현상 및 세제 제조단계중 이송시 발생할 수 있는 이송라인에서의 세제의 접착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표면개질제로는 세제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올라이트, 탈크, 클레이, 실리카 등 불용성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올라이트는 세제 입자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세탁수 중의 칼슘 이온을 봉집하여 물을 연수화시켜 세척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표면개질제의 사용량은 총중량의 5 내지 50중량%가 적당하다. 표면개질제를 5중량% 미만 사용하는 경우 유동성이 양호한 분말을 얻기 어려우며, 5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미분이 발생하고 비중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사용감을 떨어뜨 수 있다. 또한 그 입경은 10㎛이하인 것이 5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며 입경이 큰 것이 많을 경우 의류에 흰가루로 잔존할 경우가 생긴다.
앞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향, 효소, 형광염료, 소포제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스텔벤계, 비페닐계, 쿠마린계, 피라졸린계 또는 퀴놀린계로부터 선택되는 형광증백제,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리파아제 또는 셀룰라아제로부터 선택되는 효소, 지바인계, 실리콘계, 또는 피라핀왁스계로부터 선택되는 소포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고분자 재부착방지제, 오염 제거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하기 표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을 가진 세제 조성물을 함유한 세제를 향류식 분무건조장치의 상부로부터 하향 분사하여 비이드상의 분말세제를 제조하였다.
1) 석유계 알킬벤진으로부터 제조.
2) 석유계 알파올레핀으로부터 제조.
3) 천연계 우지 지방산으로부터 제조.
4) Tinopal CBS-X(스위스 시바가이가사)
5) Savinase 12. OT(덴마크 노보노르디스크(Novo Nordisk)사)
6) LDC1215(한국 디씨실리콘(DC Silicon)사)
[실시예 1]
다음 표2에서와 같은 조성비로 균일하게 혼합된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알칼리 빌더와 형광염료가 고속회전조립기(Vertical High Speed Mixer 혹은 Lodige Mixer)에 의해 교반기 속도 50 내지 200rpm으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고속회전조립기 투입, 분말상의 알칼리 빌더에 흡수시킨 후 교반기 속도 50 내지 200rpm, 분쇄기 속도 1000 내지 3000rpm으로 하면 분쇄 및 조립을 행하여 입자를 형성시킨 다음, 형성된 입자를 표면개질제를 넣고 교반기 속도 50 내지 200rpm, 분쇄기 속도 1000 내지 3000rpm으로 입자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제조된 조성물에 향, 효소 및 소포제를 혼합하여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를 제조하였다.
전체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함량을 10 내지 50중량%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전체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대하여 30 내지 100중량%로 변화시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A-F를 제조하였다.
1) 천연계 지방알콜로부터 유도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알킬기의 탄소수 12-14,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7몰.
2) 천연계 지방알콜로부터 유도된 알킬술폰산나트륨; 알킬기의 탄소수 12-14,
3) 천연계 지방알콜로부터 유도된 알킬에테르술폰산나트륨; 알킬기의 탄소수 12-14,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3몰
4) 천연계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산나트륨; 알킬기의 탄소수 12-18.
5) 천연계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산칼륨; 알킬기의 탄소수 12-18.
6) Tinopal CBS-X(스위스 시바가이기사)
7) Savinase 12.OT(덴마크 노보노르디스크(Novo Nordisd)사)
8) LDC1215(한국 디씨실리콘(DC Silicon)사)
[실시예 2]
제올라이트의 함량을 10 내지 60중량%로,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륨의 함량을 10 내지 70중량%로 변화시켜 아래 표3에 나타낸 조성으로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G-L를 제조하였다.
1) 천연계 지방알콜로부터 유도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알킬기의 탄소수 12-14, 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7몰.
2) 천연계 지방알콜로부터 유도된 알킬술폰산나트륨; 알킬기의 탄소수 12-14.
3) 천연계 지방알콜로부터 유도된 알킬에테르술폰산나트륨; 알킬기의 탄소수 12-14, 에틸렌 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3몰.
4) 천연계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산나트륨; 알킬기의 탄소수 12-18.
5) 천연계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산칼륨; 알킬기의 탄소수 12-18.
6) Tionpal CBS-X(스위스 시바가이기사)
7) Savinase 12.OT(덴마크 노보노르디스크(Novo Nordisk)사)
8) LDC1215(한국 디씨실리콘(DC Silicon)사)
[실시예 3]
실시예1의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B의 조성으로 하기의 그림 1의 공정을 하기의 표 5와 같이 제조 조건을 변화시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소다회, 형광염료 혼합 공정에는 교반기 속도 50rpm, 분쇄기 속도 0rpm로 1분간 혼합하고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50℃로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로 고속회전 조립기에 투입하여 하기 표4에 나타낸 조건으로 분쇄, 입자화 한 다음 하기 표4에 나타낸 조건으로 표면개질을 행한 후에 교반기 속도 50rpm, 분쇄기 속도 1000rpm로 1분간 혼합하여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림 1]
1) 수직의 교반날개가 장착되고, 별도의 분쇄 장치가 장착된 일본의 푸케사(Fukae)의 버티칼 하이 스피드 믹서(Vertical High Speed Mixer)
2) 수평의 교반축에 교반날개가 장착되고, 별도의 분쇄 장치가 장착된 독일 뢰디게사(Lodige)의 뢰디게 믹서(Lodige Mixer)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를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시험을 행하였다.
(1) 세척력
상기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를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세척력 시험을 행하여 하기의 표5에 나타내었다.
세척기기 : Terg-O-Tometer
세척온도 : 20℃
세 척 수 : 경도 40ppm Ca , 10ppm Mg
욕 비 : 4.5g 오염포/1ℓ
오 염 포 : EMPA Art No. 101(올리브유, 카본블랙/면)
세제농도 : 0.67g/ℓ
세척력측정기기 : 표면반사율측정기(일본전색공업,∑80)
평 가 : 비교예 1을 100으로하여 세정력을 환산함.
(2) 겉보기 비중
상기 실시예1 내지 3으로부터 제조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의 겉보기 비중을 측정하여 하기의 표5에 나타내었다.
(3) 유동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100ml가 하부 직경 10mm의 깔때기를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하기의 표5에 나타내었다.
(4) 용해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10g을 이온 교환수 (1)에 넣고 5분간 교반하여 세제 용액을 200mesh의 표준망체에 통과시킨 후 남은 잔유물의 건조 중량%를 측정하여 하기의 표5에 나타내었다.
(5) 수율
상기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의 수율을 측정하여 표5에 나타내었다.
(6) 생분해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된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를 KSM 2714 및 KSM 2953에 의해, 그리고 비누분은 전유기탄소(TOC) 농도법에 준하여 측정하여 하기의 표5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표5 및 표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는 겉보기 밀도가 높고 유동성, 용해성, 수율 및 생분해성이 양호하고 세척력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천연계 유지로부터 추출한 지방알콜로부터 제조된 하기 일반식(1)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및 천연계 유지에서 추출한 지방알콜 또는 지방산으로부터 제조된 하기 일반식(2)의 알킬 술폰산나트륨, 하기 일반식(3)의 알킬에테르 술폰산나트륨 및 하기 일반식(4)의 지방산 비누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혼합물을 전체 세제 조성물에 대하여 10-50중량% 함유하며, 또한 세제의 겉보기 비중이 0.55 내지 1.2g/cc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R1-CH2-CH2-O-(CH2-CH2-O)n-H (1)
    R2-CH3-C-O-SO3Na (2)
    R3-CH2-(CH2-CH2-O)n-SO3Na (3)
    상기식에서 R1은 탄소 수 6 내지 18개의 알킬기이고, R2및 R3는 각각 탄소수 7 내지 19개의 알킬기이며, R4는 탄소수 9 내지 23개의 알킬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1)의 화합물의 양이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30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3. 제1항에 정의된 일반식(1) 내지(4)의 계면활성제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알칼리 빌더가 투입되어 있는 고속회전조립기에 넣고 혼합, 흡수를 행하고 분쇄, 조립을 하여 입자를 만들고 입자의 표면에 통상적인 수불용성 표면개질제를 도포하고 통상적인 세제용 첨가제를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고속회전조립기가 수직의 교반축에 교반날개가 장착되어 있고 별도의 축에 단독 또는 그 이상의 장치가 장착된 것 또는 수평의 교반축에 교반날개가 장착되어 있고 별도의 축에 단독 또는 그 이상의 분쇄 장치가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고밀도 의류세탁용 분말세제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알칼리 빌더가 Na2CO3, 또는 K2CO3로부터 선택되어지는 1종 혹은 그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의 제조방법.
KR1019960077036A 1996-12-30 1996-12-30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34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036A KR100234817B1 (ko) 1996-12-30 1996-12-30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036A KR100234817B1 (ko) 1996-12-30 1996-12-30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736A KR19980057736A (ko) 1998-09-25
KR100234817B1 true KR100234817B1 (ko) 1999-12-15

Family

ID=1949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036A KR100234817B1 (ko) 1996-12-30 1996-12-30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454B1 (ko) * 2007-08-21 2009-04-01 민용진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390A (ja) * 1993-09-20 1995-03-28 Teijin Ltd 写真感光材料用共重合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390A (ja) * 1993-09-20 1995-03-28 Teijin Ltd 写真感光材料用共重合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736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1911A (en) Phosphate-free detergent composition
KR100234817B1 (ko)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5041469B2 (ja) 洗剤組成物
CN101228258B (zh) 柔软洗净剂组合物
CN102858945A (zh) 粒状洗涤剂组合物
JP2802450B2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CN1140756A (zh) 高松密度洗涤剂组合物
KR100203738B1 (ko) 고밀도 분말 세제의 제조방법
JP3453587B2 (ja) 高嵩密度洗剤組成物
JP2800162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516488B1 (ko) 비이온성 흡수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섬유유연제함유 세제의 제조 방법
JPH08253800A (ja) 高嵩密度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361131B1 (ko) 고밀도세탁용분말세제의제조방법및그로부터제조한분말세제
KR960010807B1 (ko)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28263B1 (ko) 세탁용분말세제의제조방법
KR100613267B1 (ko) 세탁용 분말세제의 제조방법
JP2547629B2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KR970004982B1 (ko) 섬유유연제 함유세제의 제조방법
KR100249461B1 (ko) 세탁용 분말세제 제조방법
JP2531522B2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KR100855820B1 (ko) 산성형태의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저밀도 분말세제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0873888A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817687B1 (ko) 산성형태의 수용성 고분자와 유기산을 함유하는 저밀도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210812A (ja) 洗剤組成物
JPH06279799A (ja) タブレット洗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