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454B1 -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454B1
KR100891454B1 KR1020070083756A KR20070083756A KR100891454B1 KR 100891454 B1 KR100891454 B1 KR 100891454B1 KR 1020070083756 A KR1020070083756 A KR 1020070083756A KR 20070083756 A KR20070083756 A KR 20070083756A KR 100891454 B1 KR100891454 B1 KR 100891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soap
powdered
produc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380A (ko
Inventor
민용진
Original Assignee
민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용진 filed Critical 민용진
Priority to KR102007008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4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20Shaping in the form of small particles, e.g. powder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22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비누를 제조하고 이를 성형절단하여 복수개로 분할한후 각각의 분할된 것을 건조하여 그 수분함유율을 중량기준으로 5%이하로 한 후 이들 건조된 각각의 분할된 것을 모아 분쇄하여 가루화하여 제조하는 천연가루비누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Figure R1020070083756
천연비누, 성형절단, 건조, 가루

Description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Powdered natural soap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일체의 화학적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천연의 식물성유지를 사용하며 염석이 없어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천연비누로부터 더욱 나아가서 분말화 된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동물성 유지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한 후 가열하여 비누화한 후에 진한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염석하여 생성되는 콜로이드 용액을 추출하여 이것에 소정의 향료를 배합한 후 냉각하고 이후 일정한 크기 및 형상으로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일반적인 비누에 대하여 천연비누라고 통상 불리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일반비누와 비교하여, 천연의 순식물성 유지를 사용하고, 염석하는 과정이 없어 글리세린을 온전히 함유하며, 또한 그 공정과정 중에 방부제, 계면활성제, 응고제, 색소, 인조향 등과 같은 각종 화학 첨가물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제조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천연비누는 모두 천연의 식물성 재료만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므로 그 만큼 피부에 좋으며, 글리세린을 함유하여 사용 시 보습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한 제조공정에 따라 허브 등의 식물분말, 한방분말 등 여러 첨가제를 첨가하여 그 효과를 볼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비누에 비하여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천연비누는 그 보존에 있어 주의가 요망되며 또한 그 유통기간이 길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즉 천연비누는 글리세린을 함유하고 있어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건조한 상태에서 보존이 요망되는데 그렇지 않는 경우 주변의 습기를 흡수하여 비누가 녹아내릴 수 있다. 또한 방부제 등의 화학적 첨가제가 없는 관계로 그 유지성분이 쉽게 산화되어 적절하게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천연비누는 통상적으로 일정한 형상의 덩어리 크기로 만들어져 유통 및 판매가 되며 이때 그 전면적에 걸쳐 랩을 씌워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도 그 유통기간이 길지는 못하여 통상적으로 6개월 정도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히, 판매 후 사용자가 포장된 랩을 벗긴 후는 공기 및 수분에 그대로 노출되어 그 사용가능기간이 매우 짧게 된다.
이러한 천연비누는, 또한, 그 특성상 대량으로 기계적으로 생산되지는 못하고 수작업으로 만들어지게 되며 통상적으로 그 건조(숙성)과정 등으로 인하여 6주이상의 작업시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고객의 요청에 따라 특정의 기능성첨가제(예를 들어 특정 한방분말)가 첨가된 천연비누의 경우, 고객의 요청일로부터 6주이상의 기간이 경과된 후에야 고객에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천연비누에 대하여, 그 유통기간 및 판매 후 사용자의 사용개시 이후의 사용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또한, 고객의 특정 첨가제의 요청에 대하여 바로 이를 공급할 수 있다면 더욱 더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가루비누를 제공하여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천연비누와 비교하여 그 유통기간 및 판매 후 사용자의 사용개시 이후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또한, 고객의 특정 첨가제의 요청에 대하여 바로 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천연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비누제조단계와; 상기 천연비누제조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일정형상의 천연비누를 복수개의 것으로 분할되도록 성형절단하고 상기 성형절단된 각각의 것을 수분함유율이 5중량%이하로 떨어지도록 건조하는 천연비누의 성형절단 후 건조숙성단계와; 상기 성형절단 후 건조숙성된 각각의 천연비누를 모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성형절단 후 건조숙성된 천연비누의 분말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루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천연비누의 성형절단은 상기 일정 형상의 천연비 누를 채칼을 이용하여 채 형태로 성형절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천연비누의 성형절단은 상기 일정 형상의 천연비누를 국수가닥을 뽑는 기계를 이용하여 국수가닥 형태로 성형절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천연비누의 성형절단은 상기 일정형상의 천연비누를 평판 형태의 것으로 성형절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천연비누를 복수개로 분할하여 각각 채 형태 또는 국수가닥 형태 또는 평판형태로 성형절단하는 경우 이들은 그 두께가 0.1cm에서 1.5cm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별히, 0.2cm에서 1c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분쇄되어 분말화된 천연비누가루에 기능성첨가제를 혼합하는 첨가제 혼합단계를 더욱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분말화 된 천연비누를 일정량으로 계량하여 통에 담고 상기 통의 내부에 방습제 또는 산소제거팩을 투입 한 후 밀봉하는 계량 후 밀봉단계를 더욱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수분함유율이 5중량%이하인 천연가루비누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천연비누와 비교하여, 그 유통기간 및 판매 후 사용자의 사용개시 이후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또한, 고객의 특정 첨가제의 요청에 대하여 바로 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천연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천연가루비누를 제조하는 공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우선, 순식물성재료로 만들어진 순식물성 오일이 제공된다. (단계 S101) 예를 들어, 올리브오일이나 팜유. 코코넛유 또는 동백유 등으로 이루어진 순식물성 오일을 제공한다. 이 경우 이들 순식물성 오일을 5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 온도를 유지한다.
다음, 증류수(20)에 가성소다(30)를 용해하여 가성소다수용액을 제공한다. (단계 S102) 이 경우 만들어진 가성소다수용액을 5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 온도를 유지한다.
다음, 상기 순식물성 오일과 상기 가성소다수용액을 혼합하여 비누화하며(단계 S103), 이후 충분히 비누화된 비누액(60)을 성형틀(40)에 부어 일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단계 S104), 상기 성형틀(40)을 보온시켜 완전 비누화를 이룬다. (단계 S105)
이때, 예를 들어, 상기 비누액(60)을 함유한 성형틀(40)을 이불로 덮거나 또는 다른 보온재로 감싸 초기의 5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통상적으로 24시간정도 보온을 유지하면 숙성이 이루어져 완전비누화를 이루게 된다.
다음, 이렇게 보온 숙성되어 완전 비누화를 이룬 것(800)을 성형틀(40)로부터 빼내고 이를 냉각건조한다. (단계 S106) 이 경우 5시간정도의 건조로 냉각 및 건조 가 이루어져 상기 성형틀(40)의 틀의 형상을 가지는 천연비누(800)가 완성된다.
다음, 상기 천연비누(800)를 복수개의 것으로 분할되도록 성형절단한다. (단계 S107)
예를 들어 도 1의 단계 S107의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채칼(87)을 이용하여 상기 천연비누(800)를 채 형태(801)로 성형하여 절단할 수 있다.
다른 경우, 도 2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천연비누(800)를 국수가닥을 뽑는 성형기계(82)를 이용하여 국수가닥 형상(810)으로 성형하여 절단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다수개의 원형의 구멍(828)을 가지는 국수가닥성형기계(82)에 대하여 상기 천연비누(800)를 통과시켜 상기 원형의 구멍(828)의 형상을 따라 국수가닥 모양(810)으로 천연비누(800)는 복수개로 성형절단되어진다.
또 다른 경우, 도 2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천연비누(800)를 날(84)을 이용하여 얇게 자르고, 이렇게 얇게 자른 것을 다시 날(84)을 이용하여 분할하여, 상기 천연비누(800)는 복수개의 평판형상(818)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비누(800)를 복수개로 성형하여 절단하는 것은 연속되는 건조숙성단계에서 그 건조가 빠르고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복수개로 성형절단 된 것(801)(810)(818)은, 덩어리체의 천연비누(800)와 비교하여, 외부공간과 접촉하는 면적이 급속하게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속되는 건조숙성단계에서 그 수분의 건조가 충분하고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 상기 성형절단된 각각의 천연비누(801)(810)(818)를 건조하여 숙성을 이 룬다. (단계 S108) 이 경우 이들 상기 성형절단된 각각의 천연비누(801)(810)(818)가 그 수분함유율이 5중량%이하로 떨어질 정도로 건조를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채 형태(801), 국수가닥형태(810) 또는 평판형태(810)의 경우, 건조실에 배치하고 그 내부온도를 25℃ 이상으로 유지하고 내부습도를 45%이하로 하여 6주 정도를 유지하면 그 수분함유율이 5중량%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천연비누(800)로부터 성형절단되어 복수개로 분할된 각각의 것(801)(810)(818)은 그 두께가 0.1cm에서 1.5cm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별히, 0.2cm에서 1c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이 두께 범위를 넘을 경우는 그 내부의 수분이 건조되지 못하고 잔존하여 그 수분함유율을 5중량%이하로 떨어뜨리기가 어렵다.
또한 그 두께가 이 범위보다 작을 경우는 건조가 너무 급격히 일어나 충분한 숙성을 일으키기 어렵다.
상기 국수가닥형태(810)의 경우 그 단면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여러 다각형일 수 있으며 또한 평판(818)의 경우도 그 평면형상이 사각형 이외에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여러 다각형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이러한 천연비누(800)의 성형절단단계에 의하여 그 수분함유율을 5중량%이하로 떨어뜨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하여, 종래와 같이 성형틀(40)에서 뽑아진 덩어리의 천연비누(800)를 같은 조건에서 6주간 건조숙성하여도 그 수분함유율을 5중량%이하로 떨어뜨릴 수는 없으며 통상적으로 15중량%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게 된다.
다음, 이렇게 성형절단된 후 건조숙성되어 그 수분함유율이 5중량%이하로 떨어진 것들을 모아 분쇄하며 (단계 S109), 이에 따라 분말화 된 천연가루비누(80)가 생성된다. (단계 S110)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술한 천연비누의 성형절단단계 S107 및 이후의 건조숙성단계 S108에 의하여 그 수분함유율이 5중량%이하로 떨어져서 이들이 분쇄되어 가루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즉 종래와 같이 천연비누(800)의 형태로는 그 수분함유율이 높아 찐득한 상태로서 분쇄에 따라 가루형태가 되는 것이 어려운데, 본 발명에 따라 덩어리의 천연비누(800)를 복수개로 성형절단하여 분할하고 이들 분할된 것들을 건조숙성하여 그 수분함유률이 5중량%이하인 개개의 것(801)(810)(818)들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모아 분쇄를 이룸으로써 가루화된 천연가루비누(80)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라 가루화된 천연가루비누(80)는 그 수분함유율이 극히 낮은 것으로서 그 유통 및 사용기간이 그 만큼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가루화된 천연가루비누(80)에서 그 글리세린성분이 수분을 흡수하여도, 본래 수분함유율이 지극히 낮은 만큼 수분을 더 흡수할 수 있는 여력이 높으며 그 만큼 유통기간 및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분말화된 천연가루비누(80)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선택적으로, 기능성 첨가제(50)를 섞어 혼합할 수 있다. (단계 S111) 예를 들어, 허브분말과 같은 식물성분말이나 한방약재 등을 분말화한 한방분말 또는 황토분말이나 숯 분말 내지는 천연 에션셀오일 등을 상기 천연가루비누(80)에 섞어 혼합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기능성 첨가제(50)가 천연비누의 제조단계에서 첨가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천연비누(80)를 일정량으로 계량하여 통(100)에 담고 상기 통(100)의 내부에 방습제(76) 또는 산소제거팩(78)을 투입 한 후 밀봉하여 유통이 이루어진다. (도 3 참조)
도 3을 참고로, 통(100)의 내부에 상기 천연가루비누(80)가 충진되고 여기에 방습제(76) 또는 산소제거팩(78)이 투입되고 있으며 상기 통(100)의 상면은 구멍(108)이 뚫려 사용자가 상기 충진된 천연가루비누(80)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상부에서 뚜껑(130)이 덮혀 상기 통(100)은 밀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종래의 천연비누와 비교하여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우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의 천연비누(800)를 성형절단하여 복수개로 분할 한 후 개개의 것을 건조숙성하여, 각각의 것의 수분함유율이 5중량% 이하가 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을 모아 분쇄하여 가루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 본 발명에 따라 가루화된 천연가루비누(80)는 그 수분함유율이 5중량%이하로 낮고 그 만큼 유통 및 사용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루화된 천연가루비누(80)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천연가루비누(80)는 밀봉된 통(100)에 담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통(100)의 내부에 방습 제(76) 또는 산소제거(78)팩을 매우 쉽고 안정적으로 내장할 수 있어 그 유통시 또는 사용자가 구입 후 사용 시 방습과 산소제거가 용이하여 유통기간 및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천연가루비누(80)에는 기능성첨가제(50)를 바로 혼합함으로써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된 천연가루비누를 바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은 종래 고객의 요청에 따라 특정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 고객의 요청일로부터 6주이상의 기간이 경과된 후에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던 것과 비교하면 획기적인 것이라 할 것이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가루비누를 제조하는 공정을 보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천연가루비누를 절단하는 다른 형태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가루비누를 계량 후 통에 밀봉한 상태를 보이는 도면.

Claims (7)

  1. (a) 천연비누제조단계와;
    (b) 상기 천연비누제조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일정형상의 천연비누를 복수개의 것으로 분할되도록 성형절단하고 상기 성형절단된 각각의 것을 수분함유율이 5중량%이하로 떨어지도록 건조하는 천연비누의 성형절단 후 건조숙성단계와;
    (c) 상기 성형절단 후 건조숙성된 각각의 천연비누를 모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성형절단 후 건조숙성된 천연비누의 분말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루비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비누의 성형절단은 상기 일정 형상의 천연비누를 채칼을 이용하여 채 형태로 성형절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루비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비누의 성형절단은 상기 일정 형상의 천연비누를 국수가닥을 뽑는 기계를 이용하여 국수가닥 형태로 성형절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루비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비누의 성형절단은 상기 일정형상의 천연비누를 그 두께가 0.1cm에서 1.5cm인 평판 형태의 것으로 성형절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루비누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되어 분말화된 천연비누가루에 기능성첨가제를 혼합하는 첨가제 혼합단계를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루비누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화 된 천연비누를 일정량으로 계량하여 통에 담고 상기 통의 내부에 방습제 또는 산소제거팩을 투입 한 후 밀봉하는 계량 후 밀봉단계를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루비누의 제조방법.
  7. 삭제
KR1020070083756A 2007-08-21 2007-08-21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891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756A KR100891454B1 (ko) 2007-08-21 2007-08-21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756A KR100891454B1 (ko) 2007-08-21 2007-08-21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380A KR20090019380A (ko) 2009-02-25
KR100891454B1 true KR100891454B1 (ko) 2009-04-01

Family

ID=4068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756A KR100891454B1 (ko) 2007-08-21 2007-08-21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089B1 (ko) 2016-12-14 2018-10-05 손승호 다목적 가루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목적 가루비누
CN113186046A (zh) * 2021-04-26 2021-07-30 塞买提江 一种土肥皂粉的制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736A (ko) * 1996-12-30 1998-09-25 성재갑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66637A (ko) * 1999-04-19 2000-11-15 김은규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장치
KR20030030384A (ko) * 2001-10-10 2003-04-18 김수경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KR20030077518A (ko) * 2003-09-19 2003-10-01 이용수 폐식용유를 이용한 한방 액상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29779A (ko) * 2007-02-12 2007-03-14 이승민 기능성 때밀이 가루 비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736A (ko) * 1996-12-30 1998-09-25 성재갑 저공해 고밀도 세탁용 분말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66637A (ko) * 1999-04-19 2000-11-15 김은규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장치
KR20030030384A (ko) * 2001-10-10 2003-04-18 김수경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KR20030077518A (ko) * 2003-09-19 2003-10-01 이용수 폐식용유를 이용한 한방 액상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29779A (ko) * 2007-02-12 2007-03-14 이승민 기능성 때밀이 가루 비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380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6699B2 (ja) 化粧製品
CN104928080A (zh) 一种薄荷绿茶手工皂制作方法
KR100891454B1 (ko)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7737022A (zh) 固体美容组合物
KR20110052957A (ko) 숯이 함유된 미용스폰지 제조방법
JPH05271003A (ja) 渦巻形又は他の形状の防虫剤又は香の組成物及び前記防虫剤又は香の製造方法
KR100973248B1 (ko) 계피 비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08701B1 (ko) 천연오일이 함유된 폴리우레탄 재료를 이용한 화장용 시트 제조방법
KR101118414B1 (ko) 곤약스폰지 제조방법
KR20140130830A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세정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1713B1 (ko) 농축콩깍지잿물과 맥반석코어로 제조되는 브로콜리비누
WO2006079856A1 (en) Procedure of making of transparent soap from olive oil with essential-oil admixtures
KR101228498B1 (ko) 잣송이 겉껍질 미분을 이용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2726674A (zh) 玉米粉丝的制作方法
RU2002126567A (ru) Шипучее карамельное изделие
KR102579010B1 (ko) 쌀숙면 제조방법
JP2002020789A (ja) 竹炭入り洗浄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99006B1 (ko) 섬유형상곤약및그제조방법
KR102423732B1 (ko) 말티톨이 적용된 시트 형상의 수용성 고체 크랜징 폼 및 그 제조방법
KR101426543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JPWO2018038244A1 (ja) 凍結生イース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727335A (zh) 一种纯天然无添加的香材制作工艺
KR100613589B1 (ko) 카파-카라기난과 로커스트빈검을 이용한 부직포형 팩의제조방법
CN102451487A (zh) 一种冰箱除臭剂及其制备方法
JP3011318B2 (ja) フレーク状防虫剤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