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935B1 - 화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935B1
KR100232935B1 KR1019920015454A KR920015454A KR100232935B1 KR 100232935 B1 KR100232935 B1 KR 100232935B1 KR 1019920015454 A KR1019920015454 A KR 1019920015454A KR 920015454 A KR920015454 A KR 920015454A KR 100232935 B1 KR100232935 B1 KR 100232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key frame
signal processing
memor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477A (ko
Inventor
신이찌 후지따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0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5/275Generation of key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입력 화상 신호에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서 제1, 제2의 입력 화상 신호에 각각 게수 K, 1-K(0K1)을 승산하는 제1, 제2의 승산 수단과, 상기 제1, 제2의 승산 수단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제1의 가산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신호 처리부와, 상기 제1의 가산 수단의 출력 신호와, 제3의 입력 화상 신호에 각각 계수 K′, 1-K′(0K'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제1도는 키프레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의 키프레임 리스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제2도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의 키프레임 리스트의 작성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 신호 처리부 2 : CPU
3 : 메모리 4 : 콘솔 패널
11 : 계수 발생기 12 : 스위치 회로
13,14 : 승산기 15 : 가산기
본 발명은 화상 신호에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프레임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신호에 와이프, 페이드 등의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는 특수 효과 장치가 예컨대 USP4199788에 알려져 있다. 또, 이 종류의 특수 효과 장치에서 예컨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점 및 B점에서 원형상의 도형을 특정하므로서 이 원형상의 도형을 A점에서 B점으로 소정 시간을 들여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키프레임 기능을 갖는 특수 효과 장치가 알려져 있다. 키프레임은 도형의 이동이나 와이프, 페이드 등의 특수 효과에서의 어떤 2개의 상태간의 데이타를 내삽, 자동 보간으로 생성하는 기능이다.
또한, 복수의 신호 처리부에서 입력 화상 신호에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는 특수 효과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 이같은 특수 효과 장치에선 복수의 신호 처리부에 대해서 1개의 키프레임 리스트가 운용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신호처리부에 독립된 키프레임을 실행할 수 없고, 도형에 복잡한 움직임을을 시키기 위한 키프레임 리스트의 작성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형에 복잡한 움직임을 시키기 위한 키프레임 리스트의 작성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선 입력 화상 신호에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장치에서 제1, 제2의 입력 화상 신호에 각각 계수 k, 1-k(0K1)을 승산하는 제1, 제2의 승산 수단과 , 상기 제1, 제2의 승산 수단의 출력 수단을 가산하는 제1의 가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신호 처리부와, 상기 제1의 가산 수단의 출력 신호와 제3의 입력 화상 신호에 각각 계수 K′,1-K′(0K′1)을 승산하는 제3, 제4의 승산 수단과, 상기 제3, 제4의 승산 수단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제2의 가산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의 신호 처리부와, 제1, 제2의 키프레임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 제2의 키프레임 데이타에 의해서 상기 제1의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2의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제2의 키프레임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에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설치한다.
이하, 제2도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는 3개의 신호 처리부를 가진 예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1A~1C)는 신호 처리부이며, 각각 계수 K, 1-K(0K1)을 발생하는 계수 발생기(11), 입력 화상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12), 이 스위치 회로(12)에서 선택된 2개의 화상 신호에 계수 k, 1-K를 곱하기 위한 승산기(13,14)이 승산기(13,14)의 출력 신호를 가산해서 출력 화상 신호를 얻기 위한 가산기(15)를 갖도록 구성된다.
신호 처리부(1A)의 출력 화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1B)의 스위치 회로(12)에 공급되어 입력 화상 신호로서 선택될 수 있게 구성되며, 또한 신호 처리부(1B)의 출력 화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1C)의 스위치 회로(12)에 공급되어 입력 화상 신호로서 선택될 수 있게 구성된다.
신호 처리부(1A~1C)의 계수 발생기(11)는 CPU(2)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신호 처리부(1A~1C)의 스위치 회로(12)에서의 화상 신호의 선택도 CPU(2)의 제어에 의해서 행해진다.
CPU(2)에는 메모리(3)가 접속된다. 메모리(3)에는 신호 처리부(1A~1C)에서의 키프레임 효과 처리에 관련하는 데이타(키프레임 리스트)를 각각 기억하는 영역이 설치된다. 신호 처리부(1A~1C)의 키프레임 리스트는 각각 CPU(2)에 접속된 콘솔 패널(4)을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므로서 작성되고 각각 메모리(3)의 대응하는 영역에 기재된다.
키프레임 리스트는 예컨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성된다. 최초 ⓛ의 리스트에는 최초의 화상 데이타와 신호 처리부를 식별하는 ID와, 최초의 화상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이동시키는 초기 위상과, 키프레임 전체의 시간을 연장시키거나 줄이는 속도가 기술된다. 그리고, 2번째로 내려가서 이후 ②,③, …의 리스트에는 변화가 생기는 타이밍(실행시간)과, 그때의 변화 화상이 기술된다.
여기에서, 키프레임 효과 처리의 실행은 CPU(2)의 실행 리스트 제어부에 등록 후에 진행시키므로서 행해진다. 실행 리스트 제어부에선 키프레임 리스트에 기재된 정보에 따라서 처리를 실시한다. 또, 키프레임 리스트의 편집은 CPU(2)의 편집 리스트 제어부에서 행해진다. 이 편짐 리스트 제어부에서 작성된 키프레임 리스트가 CPU(2)의 호출 제어부로써 상술한 실행 리스트 제어부에 등록되고 나서 진행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호출 제어부에 의한 실행 리스트 제어부로의 등록을 제어하므로써 신호 처리부(1A~1C)에서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소망의 키프레임 효과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CPU(2)에 메모리(3)에 기억되어 있는 신호 처리부(1A~1C)의 키프레임 리스트를 각각 판독하여 제어하므로써 신호 처리부(1A~1C)에서 각각 독립해서 키프레임 효과 처리가 실행된다.
이경우, 신호 처리부(1B)의 스위치 회로(12)에서 신호 처리부(1A)의 출력 화상 신호를 선택하므로서 신호 처리부(1B)의 출력 화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1A,1B)에서의 키프레임 효과 처리가 합성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신호 처리부(1B)의 출력 화상 신호를 신호 처리부(1C)의 스위치 회로(12)에서 선택하므로서 신호 처리부(1C)의 출력 화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1A~1C)에서의 키프레임 효과 처리가 합성된 것으로 된다.
또한, 어떤 신호 처리부에 키프레임 효과 처리를 실행시킨 상태에서 콘솔 패널(4)을 조작하여 다른 신호 처리부의 키프레임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처리부(1A)에서 키프레임 효과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신호 처리부(1A)의 가산기(15)에서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모니터(도시 생략)에 공급하고 화상을 참조하며, 신호 처리부(1B)의 프레임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처리부(1A)에서의 키프레임 효과가 제4(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형 도형의 이동을 동반하는 것이며 신호 처리부(1B)에서의 키프레임 효과가 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성형(星形) 도형의 이동을 동반하는 것일 때, 제4(a)도의 원형도형의 이동을 모니터의 화면상에서 확인하면서 제4(b)도의 키프레임 효과의 발생 타이밍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같이 본 예에선 메모리(3)는 신호 처리부(1A~1C)의 키프레임 리스트를 각각 기억하는 영역을 갖고 있으며 신호 처리부(1A~1C)마다 키프레임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신호 처리부(1A~1C)마다 키프레임 효과 처리를 독립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또, 어떤 신호 처리부에서 키프레임 효과 처리를 실행시키고 이것을 참조하면서 다른 신호 처리부에서의 키프레임 리스트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각 신호 처리부마다 키프레임 리스트의 변경, 삭제를 할수 있고, 전체로서의 키프레임 리스트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 실시예에선 3개의 신호 처리부(1A~1C)를 구비하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신호 처리부를 2개 또는 4개 이상 구비하는 것으로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각 신호 처리부에서의 키프레임 효과 처리에 관련하는 데이타(키프레임 리스트)를 기억하는 복수의 기억부를 구비하므로 각 신호 처리부마다 키프레임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신호 처리부마다 키프레임 효과 처리를 독립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또, 어떤 신호 처리부에서 키프레임 효과 처리를 실행시키고 이것을 참조하면서 다른 신호 처리부에서의 키프레임 리스트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도 있다. 또, 각 신호 처리부마다 키프레임 리스트의 변경, 삭제를 할 수 있으므로 전체로서의 키 프레임 리스트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3)

  1. 입력 화상 신호에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가) 제1, 제2입력 화상 신호에 각각 계수 K, 1-K(0≤K≤1)를 승산하는 제1, 제2승산 수단과, 상기 제1, 제2승산 수단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제1가산 수단으로 이루어진 제1신호 처리부; 나) 상기 제1가산 수단의 출력 신호와 제3입력 화상 신호에 각각 계수 K′, 1-K′(0≤K′≤1)을 승산하는 제3, 제4승산 수단과, 상기 제3, 제4승산 수단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제2가산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신호 처리부; 다) 제1, 제2키 프레임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 라)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 제2키 프레임 데이타에 의해서 상기 제1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마) 상기 제1, 제2키 프레임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에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산 수단의 출력 신호를 표시하는 제1모니터, 상기 제2가산 수단의 출력 신호를 표시하는 제2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신호 처리부 또는 상기 제2신호 처리부에서 키 프레임 처리 동작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키 프레임 처리 동작을 실행하고 있지않는 쪽의 신호 처리부용의 키 프레임 데이타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수단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KR1019920015454A 1991-08-28 1992-08-27 화상 처리 장치 KR100232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17047 1991-08-28
JP3217047A JP3042062B2 (ja) 1991-08-28 1991-08-28 画像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477A KR930005477A (ko) 1993-03-23
KR100232935B1 true KR100232935B1 (ko) 1999-12-01

Family

ID=1669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454A KR100232935B1 (ko) 1991-08-28 1992-08-27 화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76506A (ko)
JP (1) JP3042062B2 (ko)
KR (1) KR100232935B1 (ko)
GB (1) GB22592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09999D0 (en) * 1991-05-09 1991-07-03 Quantel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key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levision image processing
JPH09101765A (ja) * 1995-07-31 1997-04-1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WO1998009443A1 (en) * 1996-08-26 1998-03-05 Philips Electronics N.V. Sharpness control
GB2356998A (en) * 1999-12-02 2001-06-06 Sony Uk Ltd Video signal processing
DE10236338A1 (de) * 2002-08-08 2004-02-19 Bts Media Solutions Gmbh Einrichtung zum Mischen von Videosignalen
CN102961050B (zh) * 2012-12-24 2015-03-11 厦门优尔电器有限公司 一种咖啡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1532A (en) * 1922-10-16 1924-02-18 Henry Cruse Improvements relating to apparatus for raising and conveying liquids and granular and like substances
US4205344A (en) * 1978-06-05 1980-05-27 The Grass Valley Group Special effects memory system
US4698666A (en) * 1985-07-12 1987-10-06 The Grass Valley Group, Inc. Video key glow and border generator
KR920001287B1 (ko) * 1988-02-12 1992-02-10 니혼 호오소오 고오카이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장치
EP0423681B1 (en) * 1989-10-16 1997-04-23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cross-f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59221B (en) 1995-04-05
JP3042062B2 (ja) 2000-05-15
JPH0556347A (ja) 1993-03-05
GB2259221A (en) 1993-03-03
US5276506A (en) 1994-01-04
GB9218201D0 (en) 1992-10-14
KR930005477A (ko)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133A (en) Method of creating video effects by use of keyframes
CA2036698A1 (en) Graphic on-screen display method
KR100246862B1 (ko) 툴 버튼의 설정 방법 및 편집 장치
KR100232935B1 (ko) 화상 처리 장치
JPH11213174A (ja) 動画像編集方法
JPS6162128A (ja) 階層型メニユ−表示制御方式
KR100232934B1 (ko) 화상 처리 시스템
JP4914446B2 (ja) 改善された映像効果リコール技術
JPH10150631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3348833B2 (ja) 動画像合成装置
JP3053049B2 (ja) 電子機器のパラメータ指示装置
JP3257107B2 (ja) グラフィックエディタ装置
JPH07219948A (ja) 文書処理装置
JPH08129553A (ja) 画像表示装置
JP2022180883A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JP3203620B2 (ja) アニメーション画像作成装置および方法
JPH02148118A (ja) 操作手順表示方式
JP3194284B2 (ja) 操作手順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JP3202435B2 (ja) 画像表示方法とその装置
JP3816177B2 (ja) 表示操作子の操作処理装置
JP3114883B2 (ja) 特殊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0099129A (ja) プラント操作盤模擬装置
JPH0799606A (ja) ビデオスイッチャー装置
JPS58166388A (ja) 画像処理装置
JPH0296824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