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806B1 -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806B1
KR100232806B1 KR1019970040398A KR19970040398A KR100232806B1 KR 100232806 B1 KR100232806 B1 KR 100232806B1 KR 1019970040398 A KR1019970040398 A KR 1019970040398A KR 19970040398 A KR19970040398 A KR 19970040398A KR 100232806 B1 KR100232806 B1 KR 10023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digital
digital voic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942A (ko
Inventor
히로시 오노
마사유끼 구시따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1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긴 음성 메세지가 전송되는 경우에도 무선 채널이 전송 용량의 증가를 억제하고, 분할 송신된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의 누락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음성 데이타가 듣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 장치 식별 코드, 메세지 식별 코드, 분할 번호,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 식별 코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 식별 코드,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 텍스트 메세지, 재생 시간 정보, 무선 송신이 실행되는지의 여부에 상관 없이 송신측에 보유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 음성 개시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포함하는 데이타가 전송된다. 음성 압축 데이타는 압축된 음성 데이타 단위의 길이에 정수배인 길이로 분할되어 무선 프레임에 할당된다.

Description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본 발명은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요청되는 음성 데이타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타가 선택되고 디지탈 음성 데이타가 압축 및 전송되는 한편 압축된 데이타가 신장되어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음성이 재생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서는, 음성 메세지가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이진 코드로 디지트화되어 전송된다. FLEX와 같은 페이징 프로토콜에서는, 이진 데이타 전달 기능을 갖기 때문에, 음성 메세지가 이진 데이타로서 전송된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되는 데이타는 수신측에서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식별용 ID 코드, 전송되는 데이타가 음성 압축 데이타인지의 식별을 위한 음성 압축 데이타 식별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포함한다.
음성 압축 데이타의 크기가 한번에 전송될 수 있는 양을 초과하면, 음성 압축은 분할되어 분할된 상태로 전송된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되는 데이타는 수신측에서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식별을 위한 ID 코드, 메세지의 식별을 위한 메세지 ID, 분할 순서대로 번호를 나타내는 분할 번호, 전송되는 데이타가 음성 압축 데이타인지의 식별을 위한 음성 압축 데이타 식별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의한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이 이하 설명된다.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은 디지탈 샘플링에 의해 성취된 L 바이트의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고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한번에 전송될 수 있는 양(여기에서는 M 바이트)의 단위로 압축하여 성취되는 K 바이트의 데이타를 분할하여 성취된다. 다음에, 분할 성취된 음성 압축 데이타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도 2에서 나타낸 데이타 포맷으로 전송된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가 설명된다.
본 종래 예의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120), 수신 안테나(120)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121), 수신 회로(121)에 의해 복조된 수신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이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무선 장치 자체를 향하는 신호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코더(122), 무선 장치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123),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RAM(124), CPU(128), CPU(128)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ROM(125), 음성 압축된 데이타를 음성 신장하기 위한 DSP(129), 디지탈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C; 131), 음성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AMP;132), 대역 통과 필터(BFP;133), 스피커(SPK; 134), 및 동작 스위치(SW; 13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구성을 갖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이 결락되고 있을 때의 음성 압축 데이타를 구성하는 동작이 설명된다.
종래의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이 결락되고 있을 때 음성 압축 데이타를 구성하는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수신된 음성 데이타가 장치 자체를 향하는 메세지인지에 대해서 판단된다(단계 S111).
단계 S111에서 수신 음성 데이타가 장치 자체를 향하는 메세지라고 판단되면, 수신된 분할 번호는 N에 대입된다(단계 S112).
다음에, 단계 S112에서 분할 번호가 대입되어 있는 N의 값이 1인지에 대해서 판단된다(단계 S113).
단계 S113에서 N이 1이라고 판단되면, 이것은 수신된 데이타가 신규 음성 압축 데이타란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단계 S114), 1은 M으로 대입되고(단계 S115), 수신된 분할 음성 압축 데이타 PartData는 VoiceData로 대입된다(단계 S116).
한편, 단계 S113에서 N이 1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현재의 전송이 전회에 수신된 마지막 분할 번호 M 다음의 분할의 전송인지에 대해서 판단되고, (N=M+1)이성립되면, 어떠한 분할도 결락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어(단계 S118), PartData가 VoiceData에 추가된다(단계 S119). 한편, (N=M+1)이 단계 S117에서 성립되지 않으면, 수신 에러로 판정되어 수신 동작이 종료된다(단계 S120).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장치의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단점을 갖는다.
(1) 음성 메세지의 송신자측에서 입력된 전체 음성 메세지가 디지탈 샘플링 후 음성 압축된 다음에 전송되기 때문에, 정보양은 음성 메세지의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여기에서, 페이징 서비스용 시스템과 같은 저 전송률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용량을 수용할 만큼의 충분한 용량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페이징 프로토콜중 하나인 FLEX 시스템 또는 ERMES 시스템에서는, 전송 용량이 거의 6,000 bps이다.
따라서, 수신자 측에 대한 긴 음성 메세지의 전송 또는 발신 회수의 증가는 시스템의 전송 용량을 초과할 때 까지 전송 데이타의 용량을 증가시킨다고 고려되어, 송신자 수의 감소나 전송 지연을 불가피하게 초래하게 된다.
(2) 무선 채널에 의한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전송시 데이타의 에러 또는 누락이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라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음성 압축 데이타는 이진 데이타로서 취급되기 때문에, 데이타의 누락이 발생되는 부분에 뒤이은 데이타를 음성으로 복귀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는 음성 메세지가 불연속적이 되어 버린다.
결과적으로, 음성 메세지가 수신자측에서 재생될 때, 음성이 불연속적으로 재생되어 용이하게 들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음성 압축 데이타의 전송의 개시를 나타내는 음성 데이타 개시 코드의 수신이 누락된 경우, 음성 압축 데이타의 수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목적은 긴 음성 메세지가 전송될 때에도 무선 채널의 전송 용량의 증가를 억제하며, 분할 송신된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의 누락이 발생할 때에도 음성 데이타가 듣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은: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송신자와 전화 회선에 의한 접속을 행하기 위한 전화 회선 접속 수단;
상기 전화 회선에 의해 전송된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상기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회로;
상기 전화 회선 접속 수단에 아날로그 음성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
디지탈 음성 데이타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음성 데이타 기억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 및 압축하여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전송될 데이타로서 생성하고 상기 전화 회선에 의한 수신자로부터의 억세스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데이타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에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무선 구간에서 전송되는 데이타로 엔코드화하기 위한 엔코더;
상기 엔코더에 의해 엔코드화된 데이타를 변조하기 위한 송신 회로;
상기 송신 회로에 의해 변조된 데이타를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
상기 전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 및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ROM을 포함한다.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의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가 행하여진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는,
상기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음성 재생 시간 정보;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선택 부분만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
상기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는,
상기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음성 재생 시간 정보;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선택 부분 만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
상기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는,
상기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음성 재생 시간 정보;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선택 부분 만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
상기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타가 소정 시간 보다 긴 경우, 상기 소정 시간 내의 음성 데이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선택된 음성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은: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전송되는 데이타 포맷은,
전송 목적지를 지정하기 위한 무선 장치 식별 코드,
메세지 번호를 나타내는 메세지 식별 코드,
메세지가 분할되어 송신될 때 분할 순서대로 번호를 나타내는 분할 번호,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전송을 나타내는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 식별 코드,
이어지는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
텍스트 메세지,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신장 이후의 음성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
무선 송신이 실행되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송신측에 의해 보유된 관련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개시를 나타내는 음성 개시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중에서 몇개 또는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는 미리 결정된 각 단위 시간 동안 디지탈 샘플된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여 성취되고, 무선 디지탈 음성 전송이 분할되어 행해지면, 상기 음성 압축 데이타는 압축된 음성 데이타 단위의 길이의 정수배와 동일한 길이로 분할되어 무선 프레임에 할당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타 포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데이타 포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은,
이어지는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상기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는 이어지는 텍스트 메세지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은,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신장 후의 음성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는 이어지는 음성 압축 데이타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은,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신장 후의 음성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는 이어지는 음성 압축 데이타가 존재하지만 음성 재생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은,
상기 무선 송신이 이용되는지의 여부에 상관 없이 송신측에 의해 보유된 관련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는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은,
상기 무선 송신이 이용되는지의 여부에 상관 없이 송신측에 의해 보유된 관련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는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가 존재하지만 시스템 보유 음성 재생 시간 정보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 대신에 무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몇개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무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몇개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의 무음 및 결락을 나타내는 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 결락이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상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음성 데이타의 결락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를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고;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된 경우 이 결락된 음성 데이타 대신에 무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이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를 나타내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음성 데이타의 결락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고;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몇개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관계 없이 일정 시간동안 무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과;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상기 음성 데이타의 결락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고;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몇개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관계 없이 일정 시간동안의 무음 및 결락을 나타내는 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과;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될 때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상기 음성 데이타의 결락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될 때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상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상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될 때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될 때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될 때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신장하여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고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정형 음성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정형 음성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자체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 재생용 스피커; 및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는 수단과;
상기 재생 시간 정보가 이어지는 음성 압축 데이타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스피커에 의해 상기 정형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신장하여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고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정형 음성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정형 음성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자체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는 수단; 및
상기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 또는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를 상기 표시기상에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의 동작 기능 선택용 동작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는 동작 파라미터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상기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에 기초한 표시 기능이 작동중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가 실행되지 않을 것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수단, 표시가 실행될 것이 선택되는 경우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에 응답하여 보유가 있거나 없는 두 시간 정보중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신장하여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고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 재생용 스피커;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상기 수신 데이타중에서 상기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가 상기 디코드의 실행으로 데이타 에러를 포함한다고 판단될 때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개시를 나타내는 음성 개시 코드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과 텍스트 메세지로서 음성 개시 코드 이전에 수신된 데이타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신장하여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자체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및
상기 수신 데이타중에서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개시를 나타내는 음성 개시 코드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한다고 판단된 경우 음성 개시 코드의 기억 위치에 뒤이은 수신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로서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신장하여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자체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및
상기 수신 데이타중에서 상기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하고 게다가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개시를 나타내는 음성 개시 코드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상기 전송 시스템의 허용 가능한 최대치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지정 개시 위치에 뒤이어 분할 송신된 수신 데이타를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로 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서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송신자로부터 전송 요청되는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공급하고, 이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와 함께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전송한다. 따라서, 송신자로부터 요청된 음성 데이타가 긴 경우에도, 음성 데이타는 무선부의 전송 용량을 제한하지 않는다. 요청된 음성 데이타가 짧은 경우, 모든 음성 데이타가 전송되지만, 음성 데이타가 긴 경우에는 모든 음성 데이타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를 억세스하여 추출될 수 있다.
한편,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서는, 약간의 음성 압축 데이타가 결락되면, 일정 시간동안의 무음이 결락된 음성 압축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음성의 불연속성으로 인한 디코딩의 어려움이 감소되게 된다.
또한,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서는, 음성 압축 데이타의 개시 코드가 검출될 수 없는 경우에도, 음성 압축 데이타와 중재하여 수신이 복귀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채널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송 데이타의 효과적인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무선 채널의 전송률은 음성 재생 시간을 "0"으로 설정함으로써 전송 용량을 초과할 수 있다고 가정되는 경우에는, 음성 데이타가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규 음성이 재생됨으로써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를 억세스하도록 수신자를 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다음의 효과가 있다.
(1)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에서는,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의 일부가 선택되어 전송되고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과 메세지 식별 번호가 전달된 다음에, 수신자가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표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를 억세스할 때, 음성 메세지가 수신자에게 전송된다. 따라서, 긴 음성 데이타가 송신자에 의해 전송될 때에도, 전송선의 전송 용량의 증가를 작게 억제하고 따라서, 허용 가능한 송신자의 수와 음성 데이타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2) 음성 압축 데이타가 분할 송신될 때, 분할을 나타내는 무음 데이타가 분할량에 상관 없이 분할의 각 위치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송된 음성 압축 데이타가 분할시 결락되는 경우에도, 음성 압축 데이타에 기초하여 재생된 음성은 여전히 잘 들을 수가 있다.
(3) 음성의 압축 단위의 정수배를 포함하는 블럭이 분할 송신 단위로 사용하기 때문에, 약간의 분할 송신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음의 분할 송신 데이타의 음성 신장시 수신 이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무선 채널에 전송된 음성 압축 데이타가 유효하게 수신될 수 있으며, 무선 채널의 상태의 영향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전송 데이타 포맷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분할 송신을 실행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전송 데이타 포맷의 구성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방법예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재생 라디오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분할의 전송 데이타의 수신이 결락될 때 종래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구성하는 음성 압축 데이타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에서 나타낸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6에서 나타낸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6에서 나타낸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6에서 나타낸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6에서 나타낸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전송 데이타 포맷의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의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재생 시간 정보의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의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의 전송 음성 데이타의 재생 동작의 형태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17은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전송 데이타의 분할 방법의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8은 분할된 전송 데이타의 수신이 결락되고 있을 때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음성 압축 데이타의 구성 동작의 형태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19는 분할된 전송 데이타의 수신이 결락되고 있을 때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음성 압축 데이타의 구성 동작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20은 분할된 전송 데이타의 수신이 결락되고 있을 때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음성 압축 데이타의 구성 동작의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21은 분할된 전송 데이타의 수신이 결락되고 있을 때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분할된 전송 데이타의 수신시의 결락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22는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음성 재생이 처리중임을 나타내는 표시 내용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3은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이 결락되고 있을 때의 결락을 표시하는 표시 내용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4는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이 결락되고 있을 때의 결락을 표시하는 표시 내용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5는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의 결락 시간을 표시하는 동작의 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26은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의 결락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내용의 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27은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의 결락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내용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28은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재생 시간 정보에 따라서 음성 압축 데이타의 구성을 위한 동작의 형태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29는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의 결락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30은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내용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1은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내용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2는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텍스트 메세지 길이의 데이타에 에러가 있는 경우 메세지 검출 동작의 형태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33은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텍스트 메세지 길이의 데이타에 에러가 있는 경우 음성 압축 데이타 검출 동작의 형태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2 :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4 : 송신자
6 : 전화 회선 접속부
7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회로
8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
9 :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10 : ROM
11 : CPU
12 : 음성 데이타 기억부
13 : 송신부
14 : 입력부
17 : 엔코더
18 : 송신 회로
19 : 송신 안테나
20 : 수신 안테나
21 : 수신 회로
22 : 디코더
23 : ID 메모리
24 : 수신 데이타 메모리
26 : 표시기 콘트롤러
27 : 표시기
29 :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31 :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32 : 음성 증폭 회로
33 : 음성 대역 통과 필터
34 : 스피커
35 : 동작 스위치
36 : 정형 음성 메모리
37 : 동작 파라미터 EEPROM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송신자(4)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시키고,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여,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를 선택된 부분에 부가하고,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와 함께 선택된 부분을 출력하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1),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1)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2), 및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2)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이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자(4)와의 전화 회선에 의한 접속을 행하는 전화 회선 접속부(6), 전화 회선에 의해 전송된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회로(7), 아날로그 음성 데이타를 전화 회선 접속부(6)에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8),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음성 데이타 기억부(12),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 및 압축하여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전송되는 데이타로서 생성하고 전화 회선에 의한 수신자로부터의 억세스에 응답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8)에 음성 데이타 기억부(12)의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9), 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11), CPU(11)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 프로그램 ROM(10), 및 데이타를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2)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1)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14), 입력부(14)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무선부의 전송용 데이타로 엔코드화하기 위한 엔코더(17), 엔코더(17)에 의해 엔코드화된 데이타를 변조하기 위한 송신 회로(18), 송신 회로(18)에 의해 변조된 데이타를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3)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19), 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16), 및 CPU(16)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 프로그램 ROM(1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2)로부터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0), 안테나(20)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21), 수신 회로(21)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장치 자체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22), 자체 장치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23),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24), 음성 압축 데이타를 신장하고 이 신장된 데이타를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31)에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29), 수신된 데이타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27), 표시기(2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26),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신호를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29)에 전송하기 위한 CPU(28), CPU(28)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 프로그램 메모리(25),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29)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31),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후의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음성 재생 수단(31)에 의해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32), 음성 증폭 회로(32)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33),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34), 및 CPU(28)의 동작을 스위칭 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35)를 포함한다.
도 10에서 나타낸 장치는 정형 음성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정형 음성 메모리(36)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9에서 나타낸 장치와 유사하다.
도 11에서 나타낸 장치는 음성 재생 무선 장치의 동작 기능의 선택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는 동작 파라미터 EEPROM(37)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9에서 나타낸 것과 유사하다.
본 실시예의 전송 포맷은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목적지를 지정하기 위한 무선 장치 식별 코드(ID 코드), 메세지 번호를 나타내는 메세지 ID 코드, 메세지가 분할되어 분할 송신될 때 분할 순서데로 번호를 나타내는 분할 번호,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전송을 나타내는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 식별 코드, 다음의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 텍스트 메세지,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신장 이후의 음성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 무선 송신이 이용되는 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전송측에 의해 보유된 관련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개시를 나타내는 음성 개시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는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 자리수의 ASCII 코드의 형태의 텍스트 메세지 길이 및 1 내지 999 자리수의 범위로 나타낼 수 있는 메세지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메세지가 없을 때에는 "0"이 전송된다.
본 형태의 재생 시간 정보는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자리수의 ASCII 코드의 형태로 음성 압축 데이타를 신장한 후의 재생 시간과, 1초 내지 99초의 범위로 나타낼 수 있는 메세지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음성 압축 데이타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0"이 전송된다.
본 형태의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는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 자리자의 ASCII 코드의 형태로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에 의해 보유된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과, 1초 내지 999초의 범위로 나타낼 수 있는 메세지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음성 데이타가 보유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0"이 전송되지만, 음성 데이타가 보유되어 있지만 재생 시간이 전송되지 않을 때에는, "xxx"이 전송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처리 동작이 이하 설명된다.
먼저,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의 전송 음성 데이타의 동작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의 전송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동작의 형태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먼저,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송신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세지의 길이와 전체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대해 미리 결정된 최대 허용 가능한 재생 시간 T초를 비교한다(단계 S1).
단계 S1에서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의 길이가 T초 보다 짧다고 판단되면,송신자로부터 요청된 모든 음성 메세지가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2)(도 6 참조)에 전송된다(단계 S2).
한편, 단계 S1에서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의 길이가 T초 보다 길다고 판단되면, 음성 메세지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T초간 음성 메세지의 데이타만이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2)(도 6 참조)에 전송된다(단계 S3).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의한 전송 데이타를 분할하는 방법이 이하 설명된다.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의한 전송 데이타를 분할하는 방법의 형태가 도 17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먼저, 도 16에서 설명된 동작에 의해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L 바이트)가 압축이 실행되는 단위인 음성 데이타 단위(M 바이트)로 분할된다.
다음에, 분할로 성취된 음성 데이타 단위는 음성 압축 데이타 단위로 개별적으로 압축된다. 전송 데이타가 음성 압축 데이타 단위의 정수(K)배를 각각 포함하는 블럭으로서 전송됨으로써 압축 데이타는 개별적인 분할 송신으로 신장될 수 있다. 분할 번호(J)는 다음의 표현식으로 나타낸다:
M × (N-1) < L ≤ M × N
K × (J-1) < N ≤ K × J
다음에,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음성 압축 데이타를 구성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음성 압축 데이타를 구성하는 동작 형태를 도 18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7에서 설명된 동작에 의해 분할된 음성 압축 데이타가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수신된 음성 압축 데이타가 장치 자체를 향하는 메세지인지의 여부가 먼저 판단된다(단계 S11).
단계 S11에서 수신된 음성 압축 데이타가 장치를 향하는 메세지라고 판단되면, 수신된 분할 번호가 N에 대입된다(단계 S12).
다음에, 분할 번호가 단계 S12에서 대입된 N의 값이 1인지가 판단된다(단계 S13).
단계 S13에서 N이 1이라고 판단되면, 이것은 신규 음성 압축 데이타가 수신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단계 S14), 1이 M에 대입되고(단계 S15), 수신된 분할 음성 압축 데이타 PartData가 VoiceData에 대입된다(단계 S16).
한편, 단계 S13에서 N이 1이라고 판단되지 않으면, 현재 전송이 전회에 수신된 마지막 분할 번호 M 다음의 분할 송신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N=M+1)가 성립되면, 어떠한 분할도 결락되지 않았다고 판단되고(단계 S18), PartData가 VoiceData에 추가된다(단계 S19).
한편, (N=M+1)이 단계 S17에서 성립하지 않으면, 분할이 결락된 것으로 판단되고(단계 S20), 무음 데이타 SilentData가 결락된 음성 데이타 대신에 추가된다(단계 S21).
무음 데이타의 추가가 결락된 분할에 대해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데에 주의해야 한다.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음성 압축 데이타의 구성 동작의 다른 형태가 도 19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18에 설명된 동작시 무음 데이타의 추가가 결락된 분할에 대해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한편, 도 19에서 설명된 동작시에는 고정양의 무음 데이타가 결락된 분할양에 상관 없이 추가된다. 다른 동작 부분은 도 18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에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음성 압축 데이타를 구성하는 동작의 다른 형태가 도 20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19에서 나타낸 동작시, 고정량의 무음 데이타가 결락 분할양에 관계 없이 추가되는 한편, 도 20에서 나타낸 동작시에는 무음 데이타 대신에 무음 주기내에 한번 토운이 삽입된다. 다른 동작 부부은 도 19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다음에,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결락 표시를 위한 동작이 설명된다.
분할 송신 데이타 수신 결락시에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결락 표시 동작의 형태를 도 21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한편, 도 22는 음성 재생이 진행중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표시 내용의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23 및 도 24는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결락을 표시하는 여러 형태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수신 데이타가 분할된 데이타인지의 여부가 도 18, 19 또는 20에서 설명된 동작에 의해 판단되는 음성 데이타가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재생될 때, 몇개의 분할 데이타가 결락되면, 도 23 또는 도 2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에러 마크가 분할 시간(0.5초) 동안 표시되지만, 수신 결락을 포함하지 않으며 음성이 재생될 수 있는 다른 분할 시간에는 도 22에서 나타낸 입 열림과 입 닫힘을 나타내는 마크가 스크린을 이용하여 교대로 표시되어 수신자에게 수신 정보를 알리도록 한다.
다음에, 분할 송신 데이타 수신 결락시의 결락 시간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동작이 설명된다.
분할 송신 데이타의 결락시 결락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동작 형태가 도 25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또한, 도 26과 도 27은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결락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표시 내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분할 송신의 결락을 포함한다고 판단된 음성 블럭에서는, 에러 마크의 표시와 함께 결락의 재생 시간을 "xx.x"과 같이 표시한다. 다른 동작은 도 21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재생 시간에 따른 음성 압축 데이타를 구성하는 동작이 이하 설명된다.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재생 시간 정보에 따른 음성 압축 데이타를 구성하는 동작의 형태가 도 28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먼저,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재생 시간 정보가 "0"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31).
단계 S31에서 재생 시간 정보가 "0"이라고 판단되면, 음성 압축 데이타가 전혀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정형 음성 메모리 내의 음성 압축 데이타가 신장을 위한 데이타로서 처리된다(단계 S32).
한편, 단계 S31에서 재생 시간 정보가 "0"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수신 음성 압축 데이타가 도 18, 19, 또는 20에서 설명된 동작에 의해 신장을 위한 데이타로서 처리된다(단계 S33).
그 후에, 음성 압축 데이타가 신장되고(단계 S34) 재생된다(단계 S35).
다음에,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분할 송신 데이타 수신시의 결락 시간의 표시 동작이 설명된다.
분할 송신 데이타의 수신 결락시 결락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동작 형태가 도 29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먼저,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 표시 파라미터가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동작 파라미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단계 S41).
다음에, 단계 S41에서 판독된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 표시 파라미터의 데이타의 유무가 판단된다(단계 S42).
단계 S42에서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에 재생 시간이 제공되고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 표시 파라미터가 온이라고 판단되면,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존재"의 표시, 재생 시간 및 메세지가 표시기에 표시된다(단계 S43).
한편, 단계 S42에서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 표시 파라미터가 오프이거나 재생 시간 정보가 수신된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에 제공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존재"의 표시 및 메세지 ID가 표시기에 표시된다(단계 S44).
또한, 단계 S42에서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에 의해 시스템 보유가 주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어떠한 표시도 표시기에 제공되지 않는다(단계 S45).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가 시간을 나타낼 때, 도 30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표시가 제공되지만,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보유하고 있는 것만을 나타낼 때, 도 3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표시가 제공된다.
데이타 에러가 텍스트 메세지 길이에 포함될 때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한 메세지를 검출하는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도 3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메세지 길이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하지 않을 때, 그 이후 수신된 데이타는 텍스트 메세지로서 텍스트 메세지 길이로 지정된 문자수 만큼 페치된다. 한편, 텍스트 메세지 길이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하면, 텍스트 메세지의 실재 길이는 불명이다. 이 경우, 음성 개시 코드가 그 이후 수신된 데이타 내로부터 검색되고, 이것이 검색되면, 그 전에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텍스트와 음성 개시 코드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 바이트수 만큼 제거되게 되는, 수신 데이타가 텍스트 메세지로서 처리된다.
음성 개시 코드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할 때 본 발명의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의 음성 압축 데이타 검출 동작이 이하 설명된다.
도 3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개시 코드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면, 그 이후의 데이타가 음성 압축 데이타로 페치된다. 그러나, 음성 개시 코드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하면 텍스트 메세지 길이로 결정된 음성 개시 코드의 수신 위치에 뒤이은 데이타가 음성 압축 데이타로 페치된다. 음성 개시 코드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하고 텍스트 메세지 길이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하면, 음성 개시 코드의 위치는 불명이기 때문에, 텍스트 메세지가 최대 길이를 가질 수 있다고 가정되고, 이에 의해 결정된 음성 개시 코드의 위치 이후에서 다음 분할 송신의 선두 데이타로 시작되는 데이타가 음성 압축 데이타로 페치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의 변형 및 수정이 본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모든 변형 및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의 영역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에서는,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의 일부가 선택되어 전송되고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과 메세지 식별 번호가 전달된 다음에, 수신자가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표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를 억세스할 때, 음성 메세지가 수신자에게 전송된다. 따라서, 긴 음성 데이타가 송신자에 의해 전송될 때에도, 전송선의 전송 용량의 증가를 작게 억제하고 따라서, 허용 가능한 송신자의 수와 음성 데이타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2) 음성 압축 데이타가 분할 송신될 때, 분할을 나타내는 무음 데이타가 분할량에 상관 없이 분할의 각 위치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송된 음성 압축 데이타가 분할시 결락되는 경우에도, 음성 압축 데이타에 기초하여 재생된 음성은 여전히 잘 들을 수가 있다.
(3) 음성의 압축 단위의 정수배를 포함하는 블럭이 분할 송신 단위로 사용하기 때문에, 약간의 분할 송신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음의 분할 송신 데이타의 음성 신장시 수신 이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무선 채널에 전송된 음성 압축 데이타가 유효하게 수신될 수 있으며, 무선 채널의 상태의 영향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3)

  1.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와 전화 회선에 의한 접속을 행하기 위한 전화 회선 접속 수단;
    상기 전화 회선에 의해 전송된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상기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회로;
    상기 전화 회선 접속 수단에 아날로그 음성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
    디지탈 음성 데이타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음성 데이타 기억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 및 압축하여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전송될 데이타로서 생성하고 상기 전화 회선에 의한 수신자로부터의 억세스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데이타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에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3. 제1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무선 구간에서 전송되는 데이타로 엔코드화하기 위한 엔코더;
    상기 엔코더에 의해 엔코드화된 데이타를 변조하기 위한 송신 회로;
    상기 송신 회로에 의해 변조된 데이타를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
    상기 전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 및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ROM
    을 포함하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4.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의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5. 제1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는,
    상기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음성 재생 시간 정보;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선택 부분만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
    상기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6. 제1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는,
    상기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음성 재생 시간 정보;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선택 부분 만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
    상기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7. 제1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타는,
    상기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음성 재생 시간 정보;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선택 부분 만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
    상기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포함하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8. 제1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에 있어서: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타가 소정 시간 보다 긴 경우, 상기 소정 시간 내의 음성 데이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선택된 음성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9.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전송되는 데이타 포맷은,
    전송 목적지를 지정하기 위한 무선 장치 식별 코드,
    메세지 번호를 나타내는 메세지 식별 코드,
    메세지가 분할되어 송신될 때 분할 순서대로 번호를 나타내는 분할 번호,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전송을 나타내는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 식별 코드,
    이어지는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
    텍스트 메세지,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신장 이후의 음성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
    무선 송신이 실행되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송신측에 의해 보유된 관련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개시를 나타내는 음성 개시 코드, 및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
    중에서 몇개 또는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는 미리 결정된 각 단위 시간 동안 디지탈 샘플된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여 성취되고, 무선 디지탈 음성 전송이 분할되어 행해지면, 상기 음성 압축 데이타는 압축된 음성 데이타 단위의 길이의 정수배와 동일한 길이로 분할되어 무선 프레임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10. 제9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포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11. 제9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포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이어지는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상기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는 이어지는 텍스트 메세지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신장 후의 음성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는 이어지는 음성 압축 데이타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신장 후의 음성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정보는 이어지는 음성 압축 데이타가 존재하지만 음성 재생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이 이용되는지의 여부에 상관 없이 송신측에 의해 보유된 관련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는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이 이용되는지의 여부에 상관 없이 송신측에 의해 보유된 관련 음성 데이타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는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가 존재하지만 시스템 보유 음성 재생 시간 정보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17. 제4항에 있어서,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 대신에 무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몇개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무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19. 제4항에 있어서,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몇개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의 무음 및 결락을 나타내는 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20. 제4항에 있어서,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 결락이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상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음성 데이타의 결락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21.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를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고;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된 경우 이 결락된 음성 데이타 대신에 무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이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를 나타내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음성 데이타의 결락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22.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고;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몇개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관계 없이 일정 시간동안 무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과;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상기 음성 데이타의 결락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23.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자로부터의 음성 메세지를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무선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및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일부만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선택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음성 축적형 전송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타와 시스템 보유 음성 데이타 식별 코드를 무선 변조하여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고;
    무선 송신에 의해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몇개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결락된 경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관계 없이 일정 시간동안의 무음 및 결락을 나타내는 음을 삽입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에 의해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과;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될 때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상기 음성 데이타의 결락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24. 제4항에 있어서,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될 때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상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상기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될 때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될 때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무선 송신으로 분할 송신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분할 무선 프레임이 결락될 때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타이밍에서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에 상관 없이 일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기상에 결락된 음성 데이타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28. 제9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신장하여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고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정형 음성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정형 음성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자체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 재생용 스피커; 및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는 수단과;
    상기 재생 시간 정보가 이어지는 음성 압축 데이타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스피커에 의해 상기 정형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29. 제9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신장하여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고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정형 음성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정형 음성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자체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상기 스피커에 의한 음성 재생중에는 상기 표시기에 의해 특정 표시를 행하는 수단; 및
    상기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 또는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를 상기 표시기상에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30. 제9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의 동작 기능 선택용 동작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는 동작 파라미터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파라미터는 상기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에 기초한 표시 기능이 작동중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가 실행되지 않을 것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수단, 표시가 실행될 것이 선택되는 경우 시스템 보유 재생 시간 정보에 응답하여 보유가 있거나 없는 두 시간 정보중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31. 제9항에 있어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신장하여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고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장치 자체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 재생용 스피커;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상기 수신 데이타중에서 상기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가 상기 디코드의 실행으로 데이타 에러를 포함한다고 판단될 때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개시를 나타내는 음성 개시 코드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과 텍스트 메세지로서 음성 개시 코드 이전에 수신된 데이타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32. 제9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신장하여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자체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및
    상기 수신 데이타중에서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개시를 나타내는 음성 개시 코드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한다고 판단된 경우 음성 개시 코드의 기억 위치에 뒤이은 수신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로서 처리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33. 제9항에 기재된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에 전송된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신장하여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복조하기 위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에 의해 복조된 데이타를 디코드화하여 상기 디코드화된 데이타가 이 장치를 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코더;
    상기 장치 자체의 식별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ID 메모리;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타 메모리;
    음성 압축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
    상기 표시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기 콘트롤러;
    상기 자체 장치를 향하는 데이타를 수신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CPU;
    상기 CPU의 운용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CPU용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
    상기 디지탈 음성 재생 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의 상기 음성 데이타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 회로;
    상기 음성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타를 대역 제한하기 위한 음성 대역 통과 필터;
    음성을 생성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CPU의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 및
    상기 수신 데이타중에서 상기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텍스트 메세지 길이 정보가 데이타 에러를 포함하고 게다가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개시를 나타내는 음성 개시 코드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메세지의 길이를 상기 전송 시스템의 허용 가능한 최대치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의 지정 개시 위치에 뒤이어 분할 송신된 수신 데이타를 디지탈 음성 압축 데이타로 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표시기 부착 디지탈 음성 재생 무선 수신 장치.
KR1019970040398A 1996-08-23 1997-08-23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KR100232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22089A JPH1065547A (ja) 1996-08-23 1996-08-23 デジタル音声伝送システム、デジタル音声蓄積型伝送装置、デジタル音声無線送信装置及び表示器付きデジタル音声再生無線受信装置
JP96-222089 1996-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42A KR19980018942A (ko) 1998-06-05
KR100232806B1 true KR100232806B1 (ko) 1999-12-01

Family

ID=1677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398A KR100232806B1 (ko) 1996-08-23 1997-08-23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84250A (ko)
JP (1) JPH1065547A (ko)
KR (1) KR100232806B1 (ko)
CN (1) CN110410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87A (ko) * 2001-02-16 2001-06-05 홍범기 대량 메시지의 분할 전송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271A (en) * 1997-07-07 2000-09-19 Motorola, Inc.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gral messaging and method therefor
KR100265864B1 (ko) * 1997-10-24 2000-09-15 조정남 고속무선호출시스템에서의데이터전송방법
US6543051B1 (en) * 1998-08-07 2003-04-01 Scientific-Atlanta, Inc. Emergency alert system
US6999759B2 (en) * 2003-03-14 2006-02-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eferrable data service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95261A1 (en) * 2004-10-30 2006-05-04 Ibm Corporation Voice packet identification based on celp compression parameters
KR101173264B1 (ko) * 2009-12-29 2012-08-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랜 기반의 무선 음향 시스템
US9824695B2 (en) * 2012-06-18 2017-1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ing comprehension in voice communications
JP6200449B2 (ja) * 2015-04-30 2017-09-20 シナノケンシ株式会社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7878A (en) * 1987-07-14 1989-01-20 Agency Ind Science Techn Production of electrode for accelerating heat transmission condensation
JPH0479654A (ja) * 1990-07-23 1992-03-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ポケットベルを利用した音声蓄積メール装置
US5659675A (en) * 1991-10-18 1997-08-19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backing up video data or image data
JPH05160773A (ja) * 1991-12-03 1993-06-25 Toshiba Corp 音声通信装置
US5412719A (en) * 1992-01-17 1995-05-02 Hitachi, Ltd. Radio paging system with voice transfer function and radio pager
JPH06112884A (ja) * 1992-09-25 1994-04-22 Hitachi Ltd 音声情報無線選択呼出し装置
JPH06164473A (ja) * 1992-11-24 1994-06-10 Seiko Epson Corp ページングシステム
JP3229407B2 (ja) * 1992-12-04 2001-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メールサービス装置
JPH06202692A (ja) * 1993-01-06 1994-07-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音声再生速度制御システム
JPH07203515A (ja) * 1993-12-28 1995-08-04 Casio Comput Co Ltd メッセージデータ変換装置
JP2583404B2 (ja) * 1993-12-28 1997-02-19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07283805A (ja) * 1994-04-04 1995-10-27 Hitachi Denshi Ltd 音声信号とデータ信号の多重伝送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0148896B1 (ko) * 1994-12-30 1998-11-02 정장호 디지탈 무선 pbx 시스템
JP2760311B2 (ja) * 1995-04-11 1998-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87A (ko) * 2001-02-16 2001-06-05 홍범기 대량 메시지의 분할 전송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103C (zh) 2003-03-26
JPH1065547A (ja) 1998-03-06
CN1182312A (zh) 1998-05-20
KR19980018942A (ko) 1998-06-05
US5884250A (en) 199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325A (en) Mobile telephone having continuous recording capability
KR100532274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장문 메시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US5697060A (en) Portable voice messag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pre-set text-based information
KR10073918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및 그 방법
EP0128192A1 (en) Digital voice storage system
KR100232806B1 (ko) 디지탈 음성 전송 시스템
KR100291155B1 (ko) 오류데이타를음성합성데이타로교체시키는음성송수신시스템
US993007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packet generation method,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packet
RU96113107A (ru) Полностью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радиопейджиринговая система, совместимая со звуковыми и цифровыми сигналами
US6324188B1 (en) Voice and data multiplex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a voice and data multiplexing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010101401A (ko) 패킷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CA2077084C (en) Hole placement and fill system based on category selection
US62525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voice messages as code over a wireless messaging network
US5825853A (en) Communication device
KR19990028774A (ko)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수신기
KR100203599B1 (ko) 스피치 신호의 재생 속도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한무선 수신기
JP3166319B2 (ja) 音声信号伝送方式
US200501013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reproducing voice in a wireless terminal
JPH06164473A (ja) ページングシステム
KR100203601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수신기의 메시지 통지 수단 제어 방법
JPS5840963A (ja) 無音圧縮方式
KR20010010458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JP202004360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機、無線通信方法、パケットの生成方法およびパケットからのデータ再生方法
JPH04237226A (ja) 音声コード放送受信機
JPH0618905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