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155B1 - 오류데이타를음성합성데이타로교체시키는음성송수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류데이타를음성합성데이타로교체시키는음성송수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155B1
KR100291155B1 KR1019980010784A KR19980010784A KR100291155B1 KR 100291155 B1 KR100291155 B1 KR 100291155B1 KR 1019980010784 A KR1019980010784 A KR 1019980010784A KR 19980010784 A KR19980010784 A KR 19980010784A KR 100291155 B1 KR100291155 B1 KR 10029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peech
voice
voice data
syn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806A (ko
Inventor
히로시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8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4/00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4/02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 H04B14/04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B14/046Systems or methods for reducing noise or bandwid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4Details of speech synthesis systems, e.g. synthesiser structure or memor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음성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데이타 송신 장치는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여, 이 압축된 음성 데이타와, 음성 데이타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를 송신한다.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는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여, 이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특정 오류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는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오류 부분이 존재한다고 판정될 경우, 이 오류 부분을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의 부분에 기초하여 합성된 음성 합성 데이타로 교체시킨 음성 데이타를,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재생시킨다.

Description

오류 데이타를 음성 합성 데이타로 교체시키는 음성 송수신 시스템{SPEECH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IN WHICH ERROR DATA IS REPLACED BY SPEECH SYNTHESIZED DATA}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지탈 음성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디지탈 음성 송신 장치와 디지탈 음성 수신/재생 장치로 구성되며, 무선 신호 송신 경로를 통하여 송신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오류 데이타 부분을 음성 합성 데이타로 교체할 수 있는 디지탈 음성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성 송신 시스템으로는, 예를 들면, ADPCM 및 V-SELP 방식과 같은 음성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페이딩(fading) 효과로 인해 발생된 음성 데이타의 오류 부분을 정정하기 위하여, 음성 데이타의 오류 부분을 이 음성 데이타의 오류 부분 직전에 위치된 음성 데이타의 부분으로 치환한다. 또한, 다른 오류 정정 방법에 있어서는, 음성 데이타의 오류 부분이 재생되는 동안에는 음량을 낮게 하여 음성 데이타를 재생시킨다. 이러한 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JP-A-95-24071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무선 신호 송신 경로의 상태가 나쁜 장소, 즉 무선 신호용 전계 강도가 낮거나, 전계 강도의 변동이 큰 장소, 즉 건물들을 관통하여 운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디지탈 음성 송신을 행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손실없이 완벽한 상태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송신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곤란하다. 그러한 악조건에서도,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타 재송신 요구를 행하고 음성 데이타를 재수신하여 완벽한 디지탈 데이타가 실질적으로 완벽한 상태로 수신될 수 있게 한다.
이와는 반대로, 편방향성 무선 송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타 재송신 요구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전화선과 같은 유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타 재송신 요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정확한 정보를 입수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음성 송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내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을 때, 즉각적인 음성 송신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전술된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수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방향성 음성 송신 시스템에서 데이타 재송신 요구를 행하지 않고도 음성 데이타를 정확하게 송신할 수 있는 디지탈 음성 송수신 시스템과 그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성 송수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여 이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음성 데이타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와 함께 송신하기 위한 음성 데이타 송신 장치와,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특정 오류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오류 부분이 존재한다고 판정될 경우, 오류 부분을 이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일부 문자 데이타에 기초하여 합성된 음성 합성 데이타로 교체시킨 음성 데이타를,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재생하기 위한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를 포함한다.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는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특정 오류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오류 표시 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오류 검출부와, 음성 데이타가 재생될 수 있도록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의 부분에 기초하여 오류 부분용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여 이 음성 합성 데이타로 오류 부분을 교체하는 음성 합성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는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압축 해제된 음성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 및 이 재생부에 공급할 음성 데이타를 판독하여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도록 하고, 오류 표시 데이타에 응답하여 음성 합성부를 제어하여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게 하며, 이 음성 합성 데이타를 재생부에 공급하여 음성 합성 데이타가 오류 부분의 대용으로서 재생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는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압축 해제된 음성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 및 오류 표시 데이타에 응답하여 음성 합성부를 제어하여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게 하고, 메모리 내에 오류 부분의 대용으로서 음성 합성 데이타를 저장하며, 재생부에 공급된 음성 데이타를 판독하여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성 데이타 송신 장치는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선정된 단위로 압축 음성 데이타 절편들로 분할하여, 매 2개의 압축 음성 데이타 절편들마다 그 사이에 분할 플래그를 부가시키기 위한 분할부를 포함한다. 이 선정된 단위는 음성 데이타의 문자, 단어, 구, 및 문장 중 하나이다. 이 경우,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 내의 제어부는 분할 플래그들에 기초하여 오류 부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선정된 단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선정된 단위용 음성 합성부를 제어하여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데이타 송신 장치는 문자 데이타를 가진 압축 음성 데이타 이외에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를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에 송신한다. 이 경우, 음성 합성부는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의 부분과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에 기초하여 오류 부분용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한다. 이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는 바람직하게는 음성 데이타의 언어를 나타내는 데이타, 음성 데이타의 화자의 성별을 나타내는 데이타, 언어의 방언을 나타내는 데이타, 음성 데이타의 톤을 나타내는 데이타, 및 음성 데이타의 음성 데이타 속도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음성 합성부는 복수 개의 합성 데이타 세트들을 저장하기 위한 합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때,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는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합성 데이타 세트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성 데이타를 송신하는 방법은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는 단계와;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음성 데이타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와 함께 송신하는 단계와; 이 압축된 음성 데이타가 수신되었을 때, 이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특정 오류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단계와;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압축 해제하여 음성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와;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오류 부분이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의 부분에 기초하여 합성된 음성 합성 데이타로 오류 부분을 치환한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성 데이타 수신기는 음성 데이타가 압축된 압축 음성 데이타와, 음성 데이타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특정 오류 데이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오류 부분이 존재할 경우 오류 표시 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오류 검출부와, 오류 표시 데이타에 응답하여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의 부분에 기초하여 오류 부분용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 합성부와, 오류 부분이 존재한다는 것이 판정될 경우 오류 부분을 음성 합성 데이타로 치환한 음성 데이타를,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의 (a)와 도 2의 (b)는 각기 도 1의 디지탈 음성 송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신호의 포맷과, 이 무선 신호의 포맷의 헤더 정보의 포맷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의 (a)와 도 3의 (b)는 각기 도 1의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신호의 압축된 디지탈 데이타 블럭과, 이 압축된 디지탈 데이타 블럭의 내부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e는 각기 음성 데이타의 단위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신호의 언어 코드를 나타낸 도면.
도 6의 (a)와 도 6의 (b)는 각기 도 1의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신호의 음성 특성 코드와, 특성 코드들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도 7의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사용되는 송신 데이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도 7의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사용되는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 블럭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는 도 10의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 장치에 사용되는 재생용 음성 데이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12는 도 10의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 장치에 사용되는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 블럭의 수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음성 무선 송수신 장치에 사용되는 재생된 음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도 13의 디지탈 음성 무선 송수신 장치에 사용되는 문자 데이타의 수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
2 :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재생 장치
3 : 마이크로폰
4 : 음성 데이타 샘플링 및 디지탈 회로
5 : 음성 데이타 처리부
6 : 문자 데이타 입력 장치
7 : CPU
8 : 송신용 데이타 메모리
9 : 데이타 엔코더
10 : 무선 변조 회로
11 : 송신 안테나
본 발명의 디지탈 음성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A(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PHS 및 휴대용 전화기의 시스템과 같은 디지탈 음성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1)에는, 송신될 음성 데이타뿐만 아니라 이 음성 데이타에 해당되는 문자 데이타가 입력된다. 입력된 음성과 문자 데이타 둘다를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1)에 의해 무선 신호 경로용 송신 신호로 변환하여, 이 송신 신호를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재생 장치(2)로 송신시킨다. 이 때, 무선 신호 경로의 상태에 따라, 송신된 송신 신호에 잡음이 부가된다.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재생 장치(2)에 의해 수신된 신호 내에 오류가 포함되었을 경우,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잡음으로 인한 잘못된 영향을 최소화하고 나서,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재생 장치(2)에서 음성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잡음으로 인한 잘못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송신될 데이타는 도 2의 (a)와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은 포맷(format)을 가진다. 송신지를 나타내는 10 비트의 송신지 ID에 이어서 메세지가 음성 데이타라는 것을 가리키는 6 비트의 음성 데이타 플래그가 송신된다. 헤더 정보는 후속하여 송신되는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헤더 정보는 송신될 음성 데이타의 언어를 나타내는 언어 코드, 음성 데이타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성 특성 코드, 및 음성 데이타에 사용된 단어들과 완전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문자 데이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음성이 "Tanaka, please call me. From Satoh"일 경우, 문자 데이타는 "Tanaka, please call me. From Satoh"와 완전 동일한 내용을 가지며 헤더 정보의 일부로서 송신된다.
도 3의 (a)와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신될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타 블럭은 선정된 단위, 예를 들면 구(phrase)의 단위로 분할 플래그에 의해 분할된다. 전술된 음성 데이타의 경우, 첫번째 섹터에는 "Tanaka"를, 두번째 섹터에는 "please"를, 세번째 섹터에는 "call me"를, 네번째 섹터에는 "From Satoh"를 입력시킨다. D 비트로 이루어진 분할 플래그는 매 2개의 각 섹터들간에 개재된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타는 매 문자, 매 단어, 매 구, 또는 매 문장마다 분할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b)에 나타난 헤더 정보 내에 포함된 4 비트의 언어 코드는 도 5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어 및 일본어와 같은 음성 언어를 나타낸다.
도 6의 (a)와 도 6의 (b)는 음성 특성 코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음성 특성 코드는 화자의 성별을 나타내는 데이타로서의 1 비트의 성별 코드, 억양 등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방언 코드, 음성 데이타의 톤의 고저를 나타내는 톤 코드, 및 음성 속도의 고저를 나타내는 음성 속도 코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음성 무선 송수신 장치를 구성하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와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될 음성 데이타는 마이크로폰(3)으로 입력되고 나서, 음성 데이타 샘플링 및 디지탈 회로(4)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된다. 이후, 이 디지탈 데이타는 버퍼 A 내지 E를 가지는 음성 데이타 처리부(5)에 의해 압축된다. 분할 플래그는 도 3의 (a)와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축된 음성 데이타의 매 2개의 섹터들 간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최종 디지탈 데이타는 CPU(7)로 송신된다. 이 CPU(7)은 이 데이타를 송신용 데이타 메모리(8)에 저장한다.
한편, 음성 데이타에 해당되는 문자 데이타는 문자 데이타 입력 장치(6)로부터 입력되어 유사하게 CPU(7)로 송신된다. 이 CPU(7)은 문자 데이타를 송신용 데이타 메모리(8)에 저장한다.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가 송신되면, 이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문자 데이타는 CPU에 의해 송신용 데이타 메모리(8)로부터 판독되어 데이타 엔코더(9)로 공급된다. 이 데이타 엔코더(9)는 이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문자 데이타를 무선 송신용 데이타 포맷, 예를 들면, 무선 신호 경로에서 특정 데이타 오류를 검출하는데 사용된 데이타 코드에 대응되는 BCH 코드로 변환시킨다. 또한, 이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주파수는 무선 변조 회로(10)에 의해 무선 주파수로 변환/변조된다. 따라서, 상기 문자 데이타를 가진 최종 압축된 디지탈음성 데이타는 송신 안테나(11)를 통하여 도 2의 (a)에 나타난 포맷으로 송신된다.
도 8과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에 의한 송신 데이타의 형성 동작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신될 음성 데이타가 녹음된 후(단계 S101), 녹음된 음성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가진 문자 데이타가 입력된다(단계 S102). 이후, 녹음된 화자의 음성 언어와 그 특성은 언어 코드와 음성 특성 코드로서 입력된다(단계 S103, S104). 언어 코드와 음성 특성 코드는 송신용 데이타 메모리(8) 등 내에 미리 등록되어 있어, CPU(7)가 메모리(8) 등으로부터 언어 코드와 음성 특성 코드를 판독하고 이 언어 코드와 음성 특성 코드를 송신 데이타의 헤더 정보에 부가하게 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9는 입력된 음성 데이타를 디지탈화하여 압축할 때 분할 플래그를 삽입하기 위하여 음성 데이타 처리부(5)에 의해 실행된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 단계 S201에서, 음성 데이타 처리부(5)내의 음성 데이타 처리의 버퍼 A, B, E의 내용은 소거된다. 다음으로, 샘플화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는 단계 S202에서 버퍼 A에 저장된다.
버퍼 C와 D의 내용들을 소거한 후(단계 S203), 음성 단위, 즉 여기서는 단어를 판정하는 동작으로 들어간다.
우선, 버퍼 A 내에 저장된 데이타를 복수 개의 데이타 부분들로 세분하여 버퍼 B로 송신할 것이다(단계 S204). 송신된 데이타 부분은 버퍼 A로부터 제거된다(단계 S205). 데이타 부분은 버퍼 C에 저장되어 미리 저장된 데이타에 부가되며, 이 부가된 결과치는 단계 S206에서 단어(음성 단위로서 기능함)를 구성하게 된다.
단어의 분할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예를 들면, 단어가 형성되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체크가 이루어진다(단계 S207). 단어의 분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제어는 단계 S204로 복귀한다. 그 결과, 데이타 부분들은 뒤이어 버퍼 B를 경유하여 버퍼 C에 저장되고, 이 데이타 부분의 저장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타가 버퍼 A로부터 송신되어, 세분화된 데이타 부분들의 결합이 단어를 구성하게 할 수 있다. 단어의 일부들이 나타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은 다음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모든 단어들은 음성 데이타 처리부(5) 내에 미리 등록되며, 세분화된 데이타 부분들의 조합이 특정의 등록 단어들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문자, 단어, 구 및 문장이 한 단위로서 사용되는 것은 문자 데이타 입력 장치(6)에 의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 C 내에 저장된 세분화된 데이타 부분들이 단어로 구성될 때, 이 버퍼 C내에 저장된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여, 이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버퍼 D에 저장시킨다(단계 S208).
다음으로, 버퍼 A가 공백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다른 체크가 수행된다(단계 S209). 버퍼 A가 공백 상태에 있지 않다면, 버퍼 D의 데이타는 버퍼 E에 부가적으로 저장되며, 뒤이어 분할 플래그가 저장된다(단계 S210).
이후, 그 제어는 단계 S203으로 복귀하며 세분화된 데이타 부분들은 버퍼 A로부터 송신된다.
이와는 반대로, 버퍼 A가 공백 상태에 있을 때에는, 버퍼 D에 저장된 데이타가 버퍼 E에 부가적으로 저장되어 이 동작은 종료하게 된다(단계 S211). 그 결과, 압축된 음성 데이타는 음성 데이타가 압축되었던 그 상태로 버퍼 E에 저장되고, 분할 플래그들은 매 2개의 각 단어들 간에 개재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재생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재생 장치에서는, 디지탈 음성 무선 송신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가 수신 안테나(12)로 수신되어, 무선 복조 회로(13)에 의해 복조된다. 오류 검출기를 구비한 데이타 디코더(14)는 특정 오류가 복조된 데이타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 오류 검출은 BCH 코드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이 디코드된 데이타는 CPU(16)으로 보내진다. 또한, 특정 오류 데이타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오류 표시 데이타는 CPU(16)으로 보내진다.
CPU(16)은 수신 음성 데이타 메모리(15) 내에서 헤더 정보인 언어 코드, 음성 특성 코드, 및 문자 데이타의 조합 이외에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와 문자 데이타를 한 세트로서 저장한다.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하여, CPU(16)은 수신 음성 데이타 메모리(15)로부터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판독하여 음성 데이타 처리부(19)에 공급한다. 음성 데이타 처리부(19)는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압축 해제한다. 이 압축해제된 음성 데이타는 D/A 변환부(20)에 공급된다. 이 압축 해제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증폭 회로(21)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22)로 출력되게 된다. 그 결과, 음성이 재생될 수 있다.
압축된 음성 데이타 내에 특정 오류 데이타 부분이 존재할 경우, CPU(16)은 오류 표시 데이타에 응답하여 음성 데이타 합성부(17)를 활성화시킨다. 음성 합성부(17)는 음성 합성 데이타 메모리(18) 내에 저장된 음성 데이타에 기초하여, 헤더 내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타, 언어 코드, 및 음성 특성 코드를 참조함으로써 음성 합성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복수의 음성 합성 데이타 세트들은 메모리(18) 내에 미리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성 데이타 합성부(17)는 언어 코드와 음성 특성 코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음성 합성 데이타 세트들 중 하나를 지정한다. 다음으로, 음성 데이타 합성부(17)는 지정된 음성 합성 데이타를 사용하는 음성 데이타의 오류 데이타 부분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의 부분에 기초하여 음성 합성을 수행한다. 최종의 음성 합성 데이타는 음성 데이타 처리부(19)로 공급된다.
음성 데이타 처리부(19)는 오류 데이타 부분에 대한 음성 데이타의 압축 해제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음성 데이타 처리부(19)는 음성 데이타 합성부(17)로부터 입력된 음성 합성 데이타를 D/A 변환부(20)에 공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축 해제된 음성 데이타 내에 포함된 오류 데이타 부분은 음성 합성 데이타로 교체된다. 이 경우에, 음성 합성은 문자, 단어, 구, 또는 문장의 단위로 수행된다. 이 단위는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할 플래그들간에 위치된 단위와 동일하다.
전술된 설명에 있어서, 음성 합성 데이타로의 교체는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동안 수행된다. 그러나, 음성 합성 데이타를 수신 음성 데이타 메모리(15)에 저장하여 오류 데이타 부분을 음성 합성 데이타로 교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모든 오류 데이타 부분들을 교체하여 정정된 음성 데이타를 생성한 후, 이 정정된 음성 데이타를 CPU(16)에 의해 메모리(15)로부터 판독하고 나서 재생을 수행한다.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를 참조하여, 압축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압축 해제되는 음성 데이타의 재생 동작과 음성 합성 데이타가 요약 설명될 것이다. 메세지 "Tanaka, please call me. From Satoh"가 음성 메세지로서 입력된다고 가정한다. 이 음성 메세지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가지는 문자 데이타가 등록된다. BCH 에러가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타 내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는, 단어와 같은 선정된 섹터들의 단위로 음성 데이타를 음성 합성 데이타로 부분적으로 교체시킨다. 이 경우에, 음성 데이타 교체는 단어 단위로 수행된다. BCH 에러들이 검출되는 음성 데이타 부분들에 대응되는 단어들 "please"와 "me"는 음성 합성 동작을 통해 재생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재생 장치에 의한 수신 데이타로부터의 음성 데이타의 재생 동작이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즉, 도 12는 디지탈 음성 무선 수신/재생 장치(2)에 의해 수신된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타 내에 포함된 데이타 오류 부분이 오류 검출기를 구비한 데이타 디코더(14)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대한 흐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때, 검출된 데이타 오류 부분은 수신 음성 데이타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다.
도 12의 흐름도에서는, 변수 "N"에 "0"을 대입하여(단계 S301), 이 변수 "N"을 1씩 증가시킨다(단계 S301).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한 부분을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된 음성 데이타 부분을 블럭 단위 (이 경우에는 BCH 프레임)로 버퍼 "Compressed Voice"에 저장시킨다. BCH 에러가 검출될 경우에는(단계 S304에서 "예"), 변수 "Error"에 "1"이 대입된다. 반면에, BCH 에러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단계 S304에서 "아니오"), 변수 "Error"에 "0"이 대입된다(단계 S306).
버퍼 "Compressed Voice" 내에 저장된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수신 음성 데이타 메모리(15) 내에 배열된 메모리 "Voice Memory(N)"로 송신하여 변수 "Error"의 값을 메모리 "Error Memory"에 저장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타가 수신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308과 S309).
도 13은 도 12의 흐름도에서 정의된 수신 음성 데이타 메모리(15) 내에 저장된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부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데이타 형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변수 "N"과 다른 변수 "L"에 "0"을 대입한다(단계 S401). 또한, 버퍼 "Voice"를 클리어하여 변수 "Error"에 "0"을 대입한다. 변수 "L"을 1씩 증가시키면서, 음성 데이타를 선정된 단위, 즉 단어의 단위로 카운트한다(단계 S402). 변수 "N"을 1씩 증가시키면서(단계 S403), 메모리 "Voice Memory(N)" 내에 저장된 압축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압축 해제하여, 이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단어들의 단위로 버퍼 "Voice"에 저장한다.
메모리 "Error 메모리(N)"의 내용이 "1"인 경우에는(단계 S405에서 "예"), 변수 "Error"에 "1"을 대입한다(단계 S406).
최종적으로, BCH 에러를 가진 데이타가 버퍼 "Voice" 내에 저장된 디지탈 음성 데이타의 한 부분에 포함되는 경우에, 변수 "Error"는 "1"로 설정된다.
버퍼 "Voice" 내에 저장된 음성 데이타가 실제적으로 재생될 경우에(단계 S407), 변수 "Error"가 "1"이라면(단계 S408에서 "예"), 버퍼 "Voice" 내에 저장된 음성 데이타는 재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 대신에, 후술될 도 14의 흐름도에 사용된 메모리 "Word Memory(L)" 내에 저장된 문자 데이타는 음성 데이타 합성부(17)에서의 음성 합성에 사용된다. 그 결과, 음성 합성 데이타가 재생된다(단계 S409와 S410). 이 동작은 메모리 "Voice Memory" 내에 저장된 최종 데이타가 판독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411).
도 14는 수신된 데이타로부터의 음성 합성 동작에 사용된 문자 데이타를 선정된 단위,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단어의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 단계(S501)에서, 변수 M에 "0"을 대입하여 이 변수 M을 1씩 증가시킨다(단계 S502). 버퍼 W는 클리어하여(단계 S503), 수신된 문자 데이타를 1문자씩 버퍼 W에 저장시킨다(단계 S504와 S505). 문자 데이타의 문자 획득은 버퍼 W의 내용이 단어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506). 버퍼 W의 내용이 단어가될 때, 버퍼 W 내에 저장된 데이타는 메모리 "Word Memory(M)"로 송신된다(단계 S507). 문자 데이타의 데이타 획득과 메모리 "Word Memory(M)"로의 문자 송신 동작은 문자 데이타의 수신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들 S508과 S509).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편방향성 음성 데이타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타 재송신 명령없이도 음성 데이타가 즉시 송신될 수 있는 안정된 송신 시스템을 구현 가능하다. 이로 인해, 음성을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이 편방향성 무선 송신 시스템과 같은 개별 선택 호출 시스템 등의 단순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7)

  1. 음성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여, 상기 음성 데이타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와 함께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한 음성 데이타 송신 장치; 및
    상기 압축 음성 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특정 오류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상기 오류 부분이 존재한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문자 데이타의 부분에 기초하여 합성된 음성 합성 데이타로 상기 오류 부분을 교체한 상기 음성 데이타를,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재생하기 위한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는,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특정 오류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오류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오류 검출부와,
    상기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문자 데이타의 부분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부분용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여,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로 교체시킨 상기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도록 하는 음성 합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는,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압축 해제된 상기 음성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에 공급할 상기 음성 데이타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도록 하고, 상기 오류 표시 데이타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합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게 하며,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상기 재생부에 공급하여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가 상기 오류 부분 대신에 재생게 하기 위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는,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압축 해제된 상기 음성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 및
    상기 오류 표시 데이타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합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게 하고,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상기 오류 부분 대신에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하며, 상기 재생부에 공급할 상기 음성 데이타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게 하기 위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4. 제1항,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타 송신 장치는, 상기 압축 음성 데이타를 선정된 단위들의 압축된 음성 데이타 절편들로 분할하여, 매 2개의 상기 압축 음성 데이타 절편들 간에 분할 플래그(partition flag)를 부가시키기 위한 분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단위는 상기 음성 데이타의 문자, 단어, 구, 및 문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 내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 플래그들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부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선정된 단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정된 단위에 대한 상기 음성 합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7. 제1항,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타 송신 장치는 상기 문자 데이타를 가진 상기 압축 음성 데이터와 함께,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를 상기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음성 합성부는 상기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문자 데이타의 상기 부분과 상기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부분에 대한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는, 상기 음성 데이타의 언어를 나타내는 데이타, 상기 음성 데이타의 화자의 성별을 나타내는 데이타, 상기 언어의 방언을 나타내는 데이타, 상기 음성 데이타의 톤을 나타내는 데이타, 및 상기 음성 데이타의 음성 데이타 속도를 나타내는 데이타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부는 복수의 합성 데이타 세트들을 저장하기 위한 합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타 수신/재생 장치는 상기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합성 데이타 세트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10. 음성 데이타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성 데이타를 압축하는 단계;
    상기 음성 데이타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와 함께,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압축 음성 데이타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특정 오류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압축 음성 데이타를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압축 음성 데이타를 압축 해제하여 상기 음성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상기 오류 부분이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문자 데이타의 부분에 기초하여 합성된 음성 합성 데이타로 상기 오류 부분을 교체시킨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는,
    상기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문자 데이타의 상기 부분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부분에 대한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여,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로 교체시킨 상기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타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상기 오류 부분 대신에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는,
    상기 오류 부분에 대한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여,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상기 오류 부분 대신에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단계는,
    상기 압축 음성 데이타를 선정된 단위의 음성 데이타 절편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매 2개의 상기 압축 음성 데이타 절편들 간에 분할 플래그를 부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단위는 상기 음성 데이타의 문자, 단어, 구, 및 문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분할 플래그들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부분들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선정된 단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단계는, 상기 검출된 선정된 단위에 대한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문자 데이타를 가진 상기 압축 음성 데이터와 함께,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단계는, 상기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문자 데이타의 상기 부분과 상기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부분에 대한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는, 상기 음성 데이타의 언어를 나타내는 데이타, 상기 음성 데이타의 화자의 성별을 나타내는 데이타, 상기 언어의 방언을 나타내는 데이타, 상기 음성 데이타의 톤을 나타내는 데이타, 및 상기 음성 데이타의 음성 데이타 속도를 나타내는 데이타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는,
    상기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에 기초하여 복수의 합성 데이타 세트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합성 데이타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문자 데이터의 상기 부분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부분에 대한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송신 방법.
  20. 음성 데이타 수신기에 있어서,
    음성 데이타가 압축된 음성 데이타와, 상기 음성 데이타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 내에 특정 오류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오류 부분이 존재할 경우 오류 표시 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오류 검출부;
    상기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문자 데이타의 상기 부분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표시 데이타에 응답하여 상기 오류 부분에 대한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 합성부; 및
    상기 오류 부분이 존재한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오류 부분을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로 교체시킨 상기 음성 데이타를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수신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압축 해제된 상기 음성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음성 재생부; 및
    상기 음성 재생부에 공급할 상기 음성 데이타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게 하고, 상기 오류 표시 데이타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합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게 하며,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상기 음성 재생부에 공급하여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가 상기 오류 부분 대신에 재생되게 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수신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수신된 압축 음성 데이타로부터 압축 해제된 상기 음성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음성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한 음성 재생부; 및
    상기 오류 표시 데이타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합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게 하고,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상기 오류 부분 대신에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하며, 상기 음성 재생부에 공급할 상기 음성 데이타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데이타가 재생되게 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수신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단위는 상기 음성 데이타의 문자, 단어, 구, 및 문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수신기.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부는 선정된 단위에 대한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선정된 단위는 상기 음성 데이타의 문자, 단어, 구, 및 문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수신기.
  25.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타 합성부는, 상기 오류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문자 데이타의 상기 부분 및 음성 데이타 합성 제어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 부분에 대한 상기 음성 합성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압축 음성 데이타와 상기 문자 데이타 이외에 상기 음성 데이타 합성 제어 데이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수신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타 합성 제어 데이타는, 상기 음성 데이타의 언어를 나타내는 데이타, 상기 음성 데이타의 화자의 성별을 나타내는 데이타, 상기 언어의 방언을 나타내는 데이타, 상기 음성 데이타의 톤을 나타내는 데이타,및 상기 음성 데이타의 음성 데이타 속도를 나타내는 데이타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수신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부는 복수의 합성 데이타 세트들을 저장하기 위한 합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음성 합성 제어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합성 데이타 세트들 중 하나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데이타 수신기.
KR1019980010784A 1997-03-28 1998-03-27 오류데이타를음성합성데이타로교체시키는음성송수신시스템 KR100291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816997A JP3198969B2 (ja) 1997-03-28 1997-03-28 デジタル音声無線伝送システム、デジタル音声無線送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音声無線受信再生装置
JP97-078169 1997-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806A KR19980080806A (ko) 1998-11-25
KR100291155B1 true KR100291155B1 (ko) 2001-07-12

Family

ID=1365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784A KR100291155B1 (ko) 1997-03-28 1998-03-27 오류데이타를음성합성데이타로교체시키는음성송수신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26360A (ko)
JP (1) JP3198969B2 (ko)
KR (1) KR100291155B1 (ko)
CN (1) CN1093340C (ko)
GB (1) GB23237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1576A (en) * 1998-08-11 2000-11-21 Adobe Systems Incorporated Mixing digitized speech and text using reliability indices
US6490550B1 (en) * 1998-11-30 2002-12-03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IP-based communication transmitting speech and speech-generated text
US6329670B1 (en) * 1999-04-06 2001-12-11 Micron Technology, Inc. Conductive material for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US6442517B1 (en) * 2000-02-18 2002-08-27 First International Digital, Inc. Methods and system for encoding an audio sequence with synchronized data and outputting the same
US7917390B2 (en) * 2000-06-09 2011-03-29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s over a network
US6470180B1 (en) 2000-07-31 2002-10-22 Motorola, Inc. Exploiting a broadcast system to enhance a wireless gaming experience
US6453160B1 (en) 2000-07-31 2002-09-17 Motorola, Inc. Exploiting a broadcast system to enhance a wireless gaming experience using position holders to replace data
JP2002330233A (ja) * 2001-05-07 2002-11-15 Sony Corp 通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120255B2 (en) * 2002-04-04 2006-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Java applications for secured palm held cellular communications
US7275032B2 (en) 2003-04-25 2007-09-25 Bvoice Corporation Telephone call handling center where operators utilize synthesized voices generated or modified to exhibit or omit prescribed speech characteristics
JP2005148152A (ja) * 2003-11-11 2005-06-09 Mitsubishi Electric Corp メディア送信装置、メディア受信装置、メディア通信装置及びメディア再生装置
WO2006008871A1 (ja) * 2004-07-21 2006-0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音声合成装置
JP4127274B2 (ja) * 2005-03-22 2008-07-3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話音声認識システム
ATE456130T1 (de) * 2007-10-29 2010-02-15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Partielle sprachrekonstruktion
US9666204B2 (en) 2014-04-30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Voice profile management and speech signal generation
CN104735461B (zh) * 2015-03-31 2018-11-02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视频中语音关键词广告的更换方法及装置
CN105006367B (zh) * 2015-05-25 2017-05-31 厦门大学 电解电容器用低压阳极铝箔阶梯非正弦波变频腐蚀方法
US10332520B2 (en) 2017-02-13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speech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3711A (en) * 1977-01-24 1978-10-31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 Synchronized compressor and expander voice processing system for radio telephone
US4271499A (en) * 1978-07-12 1981-06-02 H.F.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ly implementing a linked compressor-expander telecommunications system
IT1179803B (it) * 1984-10-30 1987-09-16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Metodo e dispositivo per la correzione di errori causati da rumore di tipo impulsivo su segnali vocali codificati con bassa velocita di ci fra e trasmessi su canali di comunicazione radio
JPH02288520A (ja) * 1989-04-28 1990-11-28 Hitachi Ltd 背景音再生機能付き音声符号復号方式
FI94810C (fi) * 1993-10-11 1995-10-2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huonon GSM-puhekehyksen tunnistamiseksi
FI98164C (fi) * 1994-01-24 1997-04-25 Nokia Mobile Phones Ltd Puhekooderin parametrien käsittely tietoliikennejärjestelmän vastaanottimessa
JP3302160B2 (ja) * 1994-03-02 2002-07-15 株式会社東芝 ディジタル移動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23760A (en) 1998-09-30
CN1196612A (zh) 1998-10-21
JPH10268896A (ja) 1998-10-09
US6026360A (en) 2000-02-15
CN1093340C (zh) 2002-10-23
KR19980080806A (ko) 1998-11-25
GB9806517D0 (en) 1998-05-27
JP3198969B2 (ja) 2001-08-13
GB2323760B (en) 199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155B1 (ko) 오류데이타를음성합성데이타로교체시키는음성송수신시스템
KR100532274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장문 메시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US5724410A (en) Two-way voice messaging terminal having a speech to text converter
JP3890108B2 (ja) 音声メッセージ送信装置、音声メッセージ受信装置及び携帯無線音声メッセージ通信装置
JPH0463578B2 (ko)
US6459910B1 (en) Use of speech recognition in pager and mobile telephone applications
JPH0927757A (ja) 消去中の音の復元の方法と装置
US993007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packet generation method,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packet
KR20010041802A (ko) 통신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0332526B1 (ko) 통신 매체를 통한 필요 오디오 정보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H1065547A (ja) デジタル音声伝送システム、デジタル音声蓄積型伝送装置、デジタル音声無線送信装置及び表示器付きデジタル音声再生無線受信装置
US6502071B1 (en) Comfort noise generation in a radio receiver, using stored, previously-decoded noise after deactivating decoder during no-speech periods
JP3058064B2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JPH0981199A (ja) 音声帯域情報伝送装置
JPH11252280A (ja) 通信装置
KR102548618B1 (ko)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을 이용한 무선통신장치
KR100244217B1 (ko)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9990045553A (ko) 전화장치 및 음성 기록방법
US200501013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reproducing voice in a wireless terminal
JP3113455B2 (ja) 音声復号装置
JP3318784B2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KR100247038B1 (ko)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장치
JPH09135313A (ja) 無線通信機の音声データ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JP2002171176A (ja) 送信機、受信機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JPH0974377A (ja) Adpcm補正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