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038B1 -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038B1
KR100247038B1 KR1019970061215A KR19970061215A KR100247038B1 KR 100247038 B1 KR100247038 B1 KR 100247038B1 KR 1019970061215 A KR1019970061215 A KR 1019970061215A KR 19970061215 A KR19970061215 A KR 19970061215A KR 100247038 B1 KR100247038 B1 KR 10024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mode
digital
digital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741A (ko
Inventor
신윤복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1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0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를 구비한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조하고, 소정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복조하는 변복조부와, 소정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한 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코덱부와, 음성메모리와, 자동 응답모드에서 상기 변복조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압축하여 상기 음성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메모리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독출하여 압축을 푼 후 상기 변복조부로 출력하고, 플레이 백모드에서는 상기 음성메모리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독출하여 압축을 푼 후 상기 코덱으로 출력하는 보코더와, 상기 자동 응답모드와 일반 통화모드와 상기 플레이 백모드등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보코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장치
본 발명은 GSM 단말기와 같은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하는 장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응답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도면 참조번호 10은 제어부로서,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11은 키입력부로서,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자동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 설정키등의 각종 기능키들로 구성되고, 외부의 조작에 따라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12는 메모리로서,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의 모든 수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램(RAM)과, 상기 단말기의 고유번호등을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으로 구성된다. 13은 액정표시장치(LCD)와 같은 표시부로서,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각종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16은 안테나를 나타낸 것이고, 17은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한다)부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16)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IF)로 변경한다. 18은 변복조부로서 상기 RF부(17)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복조하고, 소정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조한다. 그리고 19는 보코더로서,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RPT-LTP 음성 압축을 실행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코딩 및 디코딩한다. 여기서 상기 보코더(19)는 통상적으로 DSP(digital signalling processor)로 구현된다. 20은 코덱으로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21은 스피커/마이크를 나타낸 것이다. 22는 음성메모리를 나타낸 것이고, 15는 직병렬 변환부로서, 변복조부(18)에서 직렬로 입력되는 소정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병렬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메모리(22)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메모리(22)에서 독출된 병렬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14는 모드조절부로서, 멀티플렉서(MULTIPLEXOR: 이하 "MUX"라 한다)로 구현되며,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자동 응답모드에서는 변복조부(18)와 직병렬 변환부(15)를 연결하고, 일반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변복조부(18)와 보코더(19)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한 모드조절부(14)는 저장된 데이터를 복원하여 듣는 플레이 백(play back) 모드에서는 직병렬 변환부(15)와 보코더(19)를 연결해주어 음성메모리(22)에서 독출된 디지털 음성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복원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응답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는 데이터 패스(path)가 복잡하고, 모드조절부(14)나 직병렬 변환부(15)등이 필요하였다. 또한 직병렬 변환부에는 음성메모리(22)를 액세스하기 위한 별도의 어드레스 발생과 메모리 제어부가 포함되어 있어서, 하드웨어의 부담이 켰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구성이 간단한 자동 응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스피커를 구비한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조하고, 소정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복조하는 변복조부와, 소정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한 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코덱부와, 음성메모리와, 자동 응답모드에서 상기 변복조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압축하여 상기 음성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메모리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독출하여 압축을 푼 후 상기 변복조부로 출력하고, 플레이 백모드에서는 상기 음성메모리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독출하여 압축을 푼 후 상기 코덱으로 출력하는 보코더와, 상기 자동 응답모드와 일반 통화모드와 상기 플레이 백모드등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보코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응답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응답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응답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나타나듯이 안테나(16)와, RF부(17), 키입력부(11), 메모리(12), 표시부(13), 변복조부(18), 코덱(20), 마이크/스피커는 상기한 도 1의 종래의 자동 응답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의 구성과 같으므로 이것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는 다만 본 발명에 관련된 부분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모드조절부(14)와 직병렬 변환부(15)를 없애고, 보코더 기능을 수행하는 DSP내에 자동 응답모드를 판별하기 위한 모드조절 레지스터와 음성메모리의 리드/라이트를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종래와 동일하고 다만 종래에 모드조절부(14)로 출력하던 모드 판정 결과를 보코더(19)로 출력한다. 모드조절 레지스터는 자동 응답모드와 플레이 백모드를 구분하는 플래그(flag)를 가지고, 제어부(10)로부터 자동 응답모드와 플레이 백모드에 대한 제어를 받아 해당 플래그를 DSP(도시되지 않음)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DSP는 상기 프래그를 받아 자동 응답모드이면 변복조부(18)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압축하여 음성메모리(22)에 저장하고, 음성메모리(22)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독출하여 압축을 푼 후 변복조부(18)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DSP는 플레이 백모드에서는 음성메모리(22)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독출하여 압축을 푼 후 코덱(20)에 보낸다. 그러면 상기 코덱(20)은 이를 받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복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DSP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하드웨어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가격을 절감한다.

Claims (2)

  1. 스피커를 구비한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조하고, 소정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복조하는 변복조부와,
    소정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한 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코덱부와,
    음성메모리와,
    자동 응답모드에서 상기 변복조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압축하여 상기 음성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메모리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독출하여 압축을 푼 후 상기 변복조부로 출력하고, 플레이 백모드에서는 상기 음성메모리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독출하여 압축을 푼 후 상기 코덱으로 출력하는 보코더와,
    상기 자동 응답모드와 일반 통화모드와 상기 플레이 백모드등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보코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코더가,
    자동 응답모드와 플레이 백모드를 구분하는 플래그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해당 모드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조절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조절 레지스터에서 발생한 플래그가 상기 자동 응답모드이면 자동 응답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플래그가 플레이 백모드이면 플레이 백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70061215A 1997-11-19 1997-11-19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장치 KR10024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215A KR100247038B1 (ko) 1997-11-19 1997-11-19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215A KR100247038B1 (ko) 1997-11-19 1997-11-19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741A KR19990040741A (ko) 1999-06-05
KR100247038B1 true KR100247038B1 (ko) 2000-04-01

Family

ID=1952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215A KR100247038B1 (ko) 1997-11-19 1997-11-19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0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741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247B1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and data receiving method therewith
JPH1065597A (ja) 音声メッセージ送信装置、音声メッセージ受信装置及び携帯無線音声メッセージ通信装置
US5499286A (en) Digital radio telephone
KR19980080806A (ko) 오류 데이타를 음성 합성 데이타로 교체시키는음성 송수신 시스템
KR970072776A (ko) 전화 시스템 및 음성 부호화/복호화 방법
KR100247038B1 (ko) 디지털 무선 통신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장치
KR19990061649A (ko) 휴대폰의 문자 서비스방법
RU9612286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записанного телефонного сообщения/номера
WO1996019069A1 (en) Digital cellular telephone with voice feedback
JP3075067B2 (ja) デジタル移動無線装置
JPH11308321A (ja) 端末情報書換装置及び方法
KR10027409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데이터 압축장치 및 방법
KR100293925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사용자착신음녹음방법
KR10036580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시계표시방법
KR19980029216U (ko) 음성녹음/재생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JPH09149099A (ja) 無線電話機
JPH09233229A (ja) 携帯電話
JPH1013243A (ja) 音声録再方法、ディジタル携帯電話機
JP3119698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53231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수신된 음성 저장시간 표시방법
KR100327222B1 (ko) 착신용사운드데이터발생방법
KR940013021A (ko) 이동 무선전화기의 통화메세지 메모 장치 및 방법
JP3166208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483388B1 (ko) 셀룰라폰의전력소모감소방법
JP2005102283A (ja) 無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