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216U - 음성녹음/재생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성녹음/재생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216U
KR19980029216U KR2019960042277U KR19960042277U KR19980029216U KR 19980029216 U KR19980029216 U KR 19980029216U KR 2019960042277 U KR2019960042277 U KR 2019960042277U KR 19960042277 U KR19960042277 U KR 19960042277U KR 19980029216 U KR19980029216 U KR 199800292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igital
audio processor
analo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1042Y1 (ko
Inventor
강낙중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60042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04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2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26A/D conver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음성녹음/재생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는 안테나(11)와; 상기 안테나(11)에 접속된 무선주파수부(12)와; 상기 무선주파수부(12)에 접속된 오디오 처리부(13)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에 접속된 마이커(15)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에 접속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2)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2)에 접속된 음성메모리(24)와, 상기 음성메모리(24)에 접속하여 재생모드에서 음성메모리(2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3)를 포함하는 음성녹음부(21)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 및 음성녹음부(21)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3)에 접속하여 정상모드에서 오디오 처리부(13)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키고, 재생모드에서 음성녹음부(21)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3)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14)와; 단말기를 음성녹음모드로 전환하는 음성녹음버튼(32) 및 재생모드로 전환하는 음성재생버튼(33)을 포함하는 키이 패드(31)와; 상기 음성녹음부(21)의 음성메모리(24), 오디오 처리부(13) 및 키이 패드(31)에 접속된 중앙처리부(16)와; 상기 중앙처리부(16)에 접속된 액정표시화면(18)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성녹음/재생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
본 고안은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주파수공용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단말기의 부가기능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보면,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공간을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안테나(1)와; 상기 안테나(1)에 접속하여 신호의 주파수 변환, 변·복조 등을 수행하는 무선주파수부(2)와; 상기 무선주파수부(2)에 접속하여 신호의 필터링(Filtering), 증폭 등을 행하는 오디오 처리부(3)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3)에 접속하여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4)와; 사용자의 키이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이 패드(7)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3)에 접속하여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커(5)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3) 및 키이 패드(7)에 접속하여 키이 패드(7)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처리하고 오디오 처리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6)와; 상기 중앙처리부(6)에 접속하여 호출자에 대한 정보 및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화면(LCD : 8)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안테나(1)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는 무선주파수부(2), 오디오 처리부(3)를 거쳐 스피커(4)로 출력되고, 마이커(5)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는 오디오 처리부(3), 무선주파수부(2)를 거쳐 안테나(1)에서 방사된다.
주파수 공용통신시스템에는 휴대폰 시스템과는 달리 일 대 일 통화 뿐만 아니라 그룹호출기능이 있어 자신이 속한 그룹이 호출되면 바로 호출자의 음성이 호출된 그룹에 속하는 피호출자들의 단말기 스피커를 통하여 동시에 출력하게 된다.
종래의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에 따르면, 그룹통화시 피호출자가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로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일방적으로 호출자의 음성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므로 차후에 다시 개별통화를 통하여 메세지를 전달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성녹음/재생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2 : 무선주파수부3, 13 : 오디오처리부
6, 16 : 중앙처리부21 : 음성녹음부
A/D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D/A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M : 마이커SP : 스피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는 무선주파수 신호를 공간을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안테나(11)와; 상기 안테나(11)에 접속하여 신호의 주파수 변환, 변·복조 등을 수행하는 무선주파수부(12)와; 상기 무선주파수부(12)에 접속하여 신호의 필터링(Filtering), 증폭 등을 행하는 오디오 처리부(13)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에 접속하여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커(15)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에 접속하여 음성녹음모드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2)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2)에 접속하여 음성녹음모드에서 디지탈 변환된 음성신호를 저장하고 재생모드에서 저장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메모리(24)와, 상기 음성메모리(24)에 접속하여 재생모드에서 음성메모리(2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3)를 포함하는 음성녹음부(21)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 및 음성녹음부(21)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3)에 접속하여 정상모드에서 오디오 처리부(13)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키고, 재생모드에서 음성녹음부(21)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3)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14)와; 단말기를 음성녹음모드로 전환하는 음성녹음버튼(32) 및 재생모드로 전환하는 음성재생버튼(33)을 포함한 사용자의 키이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이 패드(31)와; 상기 음성녹음부(21)의 음성메모리(24), 오디오 처리부(13) 및 키이 패드(31)에 접속하여 키이 패드(3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처리하고, 음성메모리(24) 및 오디오 처리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6)와; 상기 중앙처리부(16)에 접속하여 호출자에 대한 정보 및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화면(18)으로 구성된다.
음성녹음버튼 및 음성재생버튼이 동작하지 않은 정상모드에서는 종래의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와 동일하게 수신된 신호는 처리된다.
본 고안에 따른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의 음성녹음 및 재생동작을 설명한다.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로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사용자는 키이 패드(31)의 음성녹음버튼(32)을 누른다.
중앙처리부(16)는 단말기를 음성녹음모드로 전환시킨다.
음성녹음모드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는 무선주파수부(12), 오디오 처리부(13)을 거친 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2)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후 음성메모리(24)에 저장된다.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로 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회복한 사용자는 키이 패드(31)의 음성재생버튼(33)을 누른다.
중앙처리부(16)는 단말기를 음성재생모드로 전환시킨다.
음성재생모드에서 음성메모리(24)에 저장된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3)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14)를 통하여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로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경우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스피커로 즉시 출력하지 아니하고 음성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로 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회복한 때 음성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

  1. 무선주파수 신호를 공간을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안테나(11)와; 상기 안테나(11)에 접속하여 신호의 주파수 변환, 변·복조 등을 수행하는 무선주파수부(12)와; 상기 무선주파수부(12)에 접속하여 신호의 필터링(Filtering), 증폭 등을 행하는 오디오 처리부(13)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에 접속하여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커(15)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에 접속하여 음성녹음모드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2)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2)에 접속하여 음성녹음모드에서 디지탈 변환된 음성신호를 저장하고 재생모드에서 저장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메모리(24)와, 상기 음성메모리(24)에 접속하여 재생모드에서 음성메모리(2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3)를 포함하는 음성녹음부(21)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 및 음성녹음부(21)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3)에 접속하여 정상모드에서 오디오 처리부(13)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키고, 재생모드에서 음성녹음부(21)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23)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키는 스피커(14)와; 단말기를 음성녹음모드로 전환하는 음성녹음버튼(32) 및 재생모드로 전환하는 음성재생버튼(33)을 포함한 사용자의 키이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이 패드(31)와; 상기 음성녹음부(21)의 음성메모리(24), 오디오 처리부(13) 및 키이 패드(31)에 접속하여 키이 패드(3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처리하고, 음성메모리(24) 및 오디오 처리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6)와; 상기 중앙처리부(16)에 접속하여 호출자에 대한 정보 및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화면(1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공용통신단말기.
KR2019960042277U 1996-11-27 1996-11-27 음성녹음/재생 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KR200171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277U KR200171042Y1 (ko) 1996-11-27 1996-11-27 음성녹음/재생 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277U KR200171042Y1 (ko) 1996-11-27 1996-11-27 음성녹음/재생 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216U true KR19980029216U (ko) 1998-08-17
KR200171042Y1 KR200171042Y1 (ko) 2000-04-01

Family

ID=1947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277U KR200171042Y1 (ko) 1996-11-27 1996-11-27 음성녹음/재생 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04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505B1 (ko) * 1999-06-29 2002-06-28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수개의 음성신호 동시송신 및 통화내용 녹음장치 및 방법
KR100606097B1 (ko) * 1999-07-05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음성 녹음 및 재생방법
KR20220001238U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Trs 단말을 이용한 음성 송수신 및 녹음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505B1 (ko) * 1999-06-29 2002-06-28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수개의 음성신호 동시송신 및 통화내용 녹음장치 및 방법
KR100606097B1 (ko) * 1999-07-05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음성 녹음 및 재생방법
KR20220001238U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Trs 단말을 이용한 음성 송수신 및 녹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042Y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425B1 (ko) 독립적인 오디오 경로가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단말기
KR19980029216U (ko) 음성녹음/재생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US5493603A (en) Radio telephone set for digital communication which alerts the user of incoming digital data signals
JP2875490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2818554B2 (ja) デジタルmca移動無線機
KR20010028584A (ko)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353797B1 (ko) 엠펙 음악 파일 플레이어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
JPH09247249A (ja) 携帯電話機
JPH1013243A (ja) 音声録再方法、ディジタル携帯電話機
KR100496820B1 (ko)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JP4227875B2 (ja) 通話録音用アダプタ装置
JPH11289361A (ja) 携帯電話装置
KR100632092B1 (ko) 스피커폰 음질이 개선된 이동통신 단말기
JPH1098562A (ja) 通信端末装置
KR20040058660A (ko)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KR2005001424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및방법
KR960020210A (ko) 개인 정보 단말기의 통신 모듈 신호 스위칭 장치
KR100229867B1 (ko) 무선자동응답전화기에서 녹음 메시지 재생 방법
KR20020066701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녹음/재생 장치
KR19990026009A (ko) 오디오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신호 송/수신장치
JPH05297900A (ja) 音声録音再生装置
JPH10200647A (ja) 無線電話機
KR2000001949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녹음 및 재생장치
JP2000069140A (ja) 音声認識機能付き電話機
KR20010054254A (ko) 녹음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녹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