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584A -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584A
KR20010028584A KR1019990040904A KR19990040904A KR20010028584A KR 20010028584 A KR20010028584 A KR 20010028584A KR 1019990040904 A KR1019990040904 A KR 1019990040904A KR 19990040904 A KR19990040904 A KR 19990040904A KR 20010028584 A KR20010028584 A KR 20010028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layer
unit
receives
m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현
조세형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4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8584A/ko
Publication of KR2001002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5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아날로그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igital-to-Analog Converter; 이하 DAC라 칭함.) 또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중앙처리장치를 이용하여 MP3 플레이어의 음악과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통화내용을 헤드폰을 사용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오디오 출력단자를 공유하고 동일한 헤드폰을 사용하여 음악과 전화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여, 그 결과 제작단가가 감소되고 사용자가 사용기능 전환시 이어폰과 헤드폰을 바꿔끼우지 않아도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STATION HAVING MP3 PLAYER FOR HOLDING EARPHONE AND HEADPHONE IN COMMON}
본 발명은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아날로그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igital-to-Analog Converter; 이하 DAC라 칭함.) 또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중앙처리장치를 이용하여 MP3 플레이어의 음악과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통화내용을 헤드폰을 사용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에는 MP3 플레이어의 음악재생방식과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재생방식이 틀려 MP3 플레이어용 헤드폰과 이동통신단말기용 이어폰을 각각 별개로 사용하고 단말기에도 이어폰잭(earphone jack)과 헤드폰잭(headphone jack)을 독립적으로 부착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로는, MP3 플레이어용 음악재생 헤드폰과 이동전화의 음성청취용 이어폰을 각각 별도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두가지를 모두 휴대하여야 하고 헤드폰과 이어폰을 번갈아 부착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작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출력단자를 공유하고 동일한 헤드폰을 사용하여 음악과 전화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여, 그 결과 제작단가가 감소되고 사용자가 사용기능 전환시 이어폰과 헤드폰을 바꿔끼우지 않아도 되는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는, RF부, MSM, LCD, 키패드, 메모리부, CODEC부, 스피커부, 및 마이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MSM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MP3 플레이어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제어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를 MSM으로 출력하는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와; MP3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출력함으로써 MP3 데이터의 단말기에 대한 통로를 제공하는 다운로드 포트와; 상기 다운로드 포트로부터 MP3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다운로드 인터페이스와; 상기 다운로드 인터페이스로부터 MP3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MP3 데이터를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직렬 통신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부호화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직렬 통신의 형태로 출력하는 MP3 디코더와; 상기 MP3 디코더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CODEC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DAC와; 상기 오디오 DAC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세한 신호를 외부 헤드폰을 구동시킬 정도로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 및 상기 오디오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로가 되는 헤드폰잭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는, RF부, MSM, LCD, 키패드, 메모리부, CODEC부, 스피커부, 및 마이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MSM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MP3 플레이어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제어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를 MSM으로 출력하며, MSM으로부터 음성데이터를 PCM 형식으로 입력받아 MP3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와; MP3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출력함으로써 MP3 데이터의 단말기에 대한 통로를 제공하는 다운로드 포트와; 상기 다운로드 포트로부터 MP3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다운로드 인터페이스와; 상기 다운로드 인터페이스로부터 MP3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MP3 데이터를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직렬 통신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부호화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직렬 통신의 형태로 출력하는 MP3 디코더와; 상기 MP3 디코더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DAC와; 상기 오디오 DAC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세한 신호를 외부 헤드폰을 구동시킬 정도로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 및 상기 오디오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로가 되는 헤드폰잭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RF부 20 : MSM
30 : LCD 40 : 키패드
50 : 메모리부 60 : CODEC부
70 : 스피커부 80 : 마이크부
100 :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
110 :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
200 : 다운로드 포트 300 : 다운로드 인터페이스
400 : 플래시 메모리 500 : MP3 디코더
600 : 오디오 DAC 610 : 오디오 DAC
700 : 오디오 증폭기 800 : 헤드폰잭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는 RF(Radio Frequency)부(10), MSM(Mobile Station Modem)(20), LCD(Liquid Crystal Display)(30), 키패드(40), 메모리부(50), CODEC부(60), 스피커부(70), 마이크부(80),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100), 다운로드 포트(200), 다운로드 인터페이스(300), 플래시 메모리(400), MP3 디코더(500), 오디오 DAC(600), 오디오 증폭기(700), 및 헤드폰잭(8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RF부(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RF 변조하여 적정 레벨로 조정한 후 상기 MSM(20)으로 출력하거나 MSM(20)으로부터 입력된 RF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MSM(20)은 상기 RF부(10)에서 출력한 RF신호를 입력받아 캐리어에 실린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복조 시키고, 이후 복조된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보코딩하여 상기 CODEC부(60)로 출력하고, 상기 RF부(10), LCD(30), 메모리부(50), 및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100)에 전반적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LCD(30)는 상기 MSM(2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40)는 숫자 버튼·기호 버튼 및 기타 기능 버튼으로 이루어져 필요한 정보를 통신 단말기에 입력해주기 위해 사용되고 MSM(20)과 신호를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LCD(30) 및 키패드(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며, MP3 플레이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겸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50)는 사용자 서비스를 위해 설정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상기 MSM(20)과 신호를 교환한다.
또한, 상기 CODEC부(60)는 상기 MSM(20)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스피커부(70)로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부(80)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MSM(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스피커부(70)는 상기 CODEC부(60)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부(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기계적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그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CODEC부(6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MSM(2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MP3 플레이어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제어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를 MSM(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100)는 MP3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지역 중앙처리장치로서 존재하므로 상기 MSM(20)의 부하를 줄이고 이동전화기능부와 MP3 플레이어 기능부의 인터페이스를 간단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포트(200)는 MP3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상기 다운로드 인터페이스(300)로 출력함으로써 MP3 데이터의 단말기에 대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다운로드 인터페이스(300)는 상기 다운로드 포트(200)로부터 MP3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플래시 메모리(4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플래시 메모리(400)는 상기 다운로드 인터페이스(300)로부터 MP3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MP3 데이터를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100)로 출력하는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MP3 디코더(500)는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100)로부터 직렬 통신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부호화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직렬 통신의 형태로 오디오 DAC(600)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DAC(600)는 상기 MP3 디코더(500)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 증폭기(700)로 출력하고, 상기 CODEC부(60)로부터 입력된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를 혼합하여 상기 오디오 증폭기(7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의 CODEC으로 사용되는 상용화된 IC 중 대부분은 전화기에 부착된 스피커에 연결하는 아날로그 출력단자와 이어폰에 사용되는 아날로그 출력단자 등 2개 이상의 출력단자를 제공하므로, 상기 CODEC부(60)로부터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오디오 DAC(600)로 연결하여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 증폭기(700)는 상기 오디오 DAC(60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세한 신호를 외부 헤드폰을 구동시킬 정도로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헤드폰잭(800)은 상기 오디오 증폭기로(700)부터 입력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로가 되는 역할을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는 RF(Radio Frequency)부(10), MSM(Mobile Station Modem)(20), LCD(Liquid Crystal Display)(30), 키패드(40), 메모리부(50), CODEC부(60), 스피커부(70), 마이크부(80),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110), 다운로드 포트(200), 다운로드 인터페이스(300), 플래시 메모리(400), MP3 디코더(500), 오디오 DAC(610), 오디오 증폭기(700), 및 헤드폰잭(8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RF(Radio Frequency)부(10), MSM(Mobile Station Modem)(20), LCD(Liquid Crystal Display)(30), 키패드(40), 메모리부(50), CODEC부(60), 스피커부(70), 마이크부(80), 다운로드 포트(200), 다운로드 인터페이스(300), 플래시 메모리(400), MP3 디코더(500), 오디오 증폭기(700), 및 헤드폰잭(800)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110)는 상기 MSM(2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MP3 플레이어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제어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를 MSM(20)으로 출력하며, MSM(20)으로부터 음성데이터를 PCM 형식으로 입력받아 MP3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MP3 디코더(5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DAC(610)는 상기 MP3 디코더(500)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 증폭기(7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오디오 출력단자를 공유하고 동일한 헤드폰을 사용하여 음악과 전화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여, 그 결과 제작단가가 감소되고 사용자가 사용기능 전환시 이어폰과 헤드폰을 바꿔끼우지 않아도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RF부, MSM, LCD, 키패드, 메모리부, CODEC부, 스피커부, 및 마이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MSM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MP3 플레이어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제어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를 MSM으로 출력하는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와; MP3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출력함으로써 MP3 데이터의 단말기에 대한 통로를 제공하는 다운로드 포트와; 상기 다운로드 포트로부터 MP3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다운로드 인터페이스와; 상기 다운로드 인터페이스로부터 MP3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MP3 데이터를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직렬 통신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부호화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직렬 통신의 형태로 출력하는 MP3 디코더와; 상기 MP3 디코더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CODEC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아날로그 데이터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DAC와; 상기 오디오 DAC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세한 신호를 외부 헤드폰을 구동시킬 정도로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 및 상기 오디오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로가 되는 헤드폰잭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2. RF부, MSM, LCD, 키패드, 메모리부, CODEC부, 스피커부, 및 마이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MSM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MP3 플레이어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제어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를 MSM으로 출력하며, MSM으로부터 음성데이터를 PCM 형식으로 입력받아 MP3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와; MP3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출력함으로써 MP3 데이터의 단말기에 대한 통로를 제공하는 다운로드 포트와; 상기 다운로드 포트로부터 MP3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다운로드 인터페이스와; 상기 다운로드 인터페이스로부터 MP3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MP3 데이터를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상기 MP3 플레이어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직렬 통신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부호화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직렬 통신의 형태로 출력하는 MP3 디코더와; 상기 MP3 디코더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DAC와; 상기 오디오 DAC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세한 신호를 외부 헤드폰을 구동시킬 정도로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기; 및 상기 오디오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로가 되는 헤드폰잭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9990040904A 1999-09-22 1999-09-22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10028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904A KR20010028584A (ko) 1999-09-22 1999-09-22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904A KR20010028584A (ko) 1999-09-22 1999-09-22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584A true KR20010028584A (ko) 2001-04-06

Family

ID=1961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904A KR20010028584A (ko) 1999-09-22 1999-09-22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858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90A (ko) * 2000-12-29 2002-07-12 이제준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 및 입출력 기능을 이용한디지털레코더
KR100587425B1 (ko) * 2003-10-08 2006-06-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독립적인 오디오 경로가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단말기
EP1886492A2 (en) * 2005-05-09 2008-02-13 James G. Wickstead Mp-me recorder
KR102251322B1 (ko) 2020-01-29 2021-05-12 (주)파트론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어폰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90A (ko) * 2000-12-29 2002-07-12 이제준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 및 입출력 기능을 이용한디지털레코더
KR100587425B1 (ko) * 2003-10-08 2006-06-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독립적인 오디오 경로가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단말기
EP1886492A2 (en) * 2005-05-09 2008-02-13 James G. Wickstead Mp-me recorder
EP1886492A4 (en) * 2005-05-09 2009-05-13 James G Wickstead MP-ME RECORDER
KR102251322B1 (ko) 2020-01-29 2021-05-12 (주)파트론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어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5003176A (es) Telefono multimodo inluyendo dos modems inalambricos y un procesador de modem.
KR20020013808A (ko)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
KR20000001562A (ko) 무선 단말기의 핸즈프리 장치 및 방법
KR200215114Y1 (ko) 엠피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28584A (ko)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14575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
KR20010053675A (ko) 이동 전화기에서 다수의 무선 이어폰을 사용한 멀티 통화장치 및 방법
KR200171042Y1 (ko) 음성녹음/재생 기능을 구비한 주파수 공용통신 단말기
KR20070080011A (ko)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폰구현 방법 및 회로
KR100353797B1 (ko) 엠펙 음악 파일 플레이어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00051391A (ko) 디지탈 음악데이터 처리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KR100195929B1 (ko) 수신전용 무선 키폰 단말기 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26136A (ko) 외부 메모리를 사용하여 기능 추가가 용이한 휴대폰
JP3981995B2 (ja) 通信端末装置
RU2171545C1 (ru) Бесшнуровой громкоговорящий телефон
KR20010017048A (ko) 이동전화를 이용한 듀얼모드 폰
KR100681187B1 (ko)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H09247249A (ja) 携帯電話機
JP2004254023A (ja) 音楽再生システム
EP0982914A2 (en) A telephone linked with an external audio set
KR20010002909A (ko) 보조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050055300A (ko) 외부 스피커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운드를 출력하는시스템
KR20040076910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JP2004120126A (ja) Bluetooth音声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