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187B1 -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187B1
KR100681187B1 KR1020040086218A KR20040086218A KR100681187B1 KR 100681187 B1 KR100681187 B1 KR 100681187B1 KR 1020040086218 A KR1020040086218 A KR 1020040086218A KR 20040086218 A KR20040086218 A KR 20040086218A KR 100681187 B1 KR100681187 B1 KR 10068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unit
analog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079A (ko
Inventor
민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1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선전화통신 또는 무선이동통신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유선전화의 국선과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커넥터 케이블; 상기 커넥터 케이블을 통하여 국선신호를 단말기에 입출력시키는 단말기측 데이터 입출력단자;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와 USB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고 이 신호의 특성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선택에 따라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아날로그부; 상기 스위칭부의 선택에 따라 USB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USB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달받아 그 데이터의 특성을 판단하고, 각각의 해당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부 또는 상기 USB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가능지역과 거리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든 유선전화통신과 무선이동통신 기능을 겸용해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이용의 다양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유선전화통신, 무선이동통신, 국선, 아날로그, USB, 커넥터, 케이블

Description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 HAVING WIRED TELEPHONE TELECOMMUNICATION FUNCTION}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케이블을 상세히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선전화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RF부 120 : 제어부
130 : 표시부 140 : 키패드
150 : 메모리 160 : 코덱부
170 : 오디오부 180 : 커넥터 케이블
181 : 국선연결단자 182 : 연결선
183 : 단말기연결단자 190 : 단말기측 데이터 입출력단자
200 : 스위칭부 210 : 아날로그부
220 : USB부 MIC : 마이크
SPK : 스피커 ANT : 안테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선전화통신과 무선이동통신 기능을 겸용해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RF 변조하여 적정 레벨로 조정한 후 출력하는 RF부(10)와; 상기 RF부(10)에서 출력한 RF신호를 입력받아 캐리어에 실린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복조 시키고, 이후 복조된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보코딩하여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MSM)(20)와;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30)와; 숫자 버튼, 기호 버튼 및 기타 기능 버튼으로 이루어져 필요한 정보를 통신 단말기에 입력해주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어부(20)와 신호를 교환하는 키패드(40)와; 사용자 서비스를 위해 설정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20)와 신호를 교환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코덱부(60)와; 상기 코덱부(60)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부(70)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이동통신만을 전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영지역에 들어갔을 때나, 유선전화를 위한 국선이 설치되어 있는 사무실이나 주택내에서 특별히 비싼 무선이동통신료를 지불 하지 않고 유선전화로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유선전화통신을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불루투스 기능을 통하여 주택내에서 유선전화통신과 무선이동통신을 겸용하는 단말기도 개발된 바 있으나, 이 또한 사용가능지역이 억세스포인트로부터 소정 거리의 반경 이내로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가능지역과 거리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든 유선전화통신과 무선이동통신 기능을 겸용해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커넥터 케이블을 통하여 유선전화의 국선신호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출력단자;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 세기를 확인한 후, 상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또는 USB 신호로 분리하여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부; 및 상기 아날로그부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케이블은 유선전화의 국선과 연결되어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는 국선연결단자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단말기연결단자와, 상기 국선연결단자 및 상기 단말기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국선연결단자의 TIP신호단자는 상기 단말기연결단자의 USB+신호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국선연결단자의 RING신호단자는 상기 단말기연결단자의 USB-신호단자와 각각 연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RF부(110), 제어부(120), 표시부(130), 키패드(140), 메모리(150), 코덱부(160), 오디오부(170), 커넥터 케이블(180), 단말기측 데이터 입출력단자(190), 스위칭부(200), 아날로그부(210), USB(Universal Serial Bus)부(220)를 구비한다.
RF부(110)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RF 변조하여 적정 레벨로 조정한 후 출력한다.
제어부(120)는 상기 RF부(100)에서 출력한 RF신호를 입력받아 캐리어에 실린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복조 시키고, 이후 복조된 오디오 데이터 및 각종 정보 데이터 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보코딩하여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통상의 MSM(Mobile Station Modem)칩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SM은 컴퓨터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유사한 중앙 처리 기능을 갖는 소자로서 휴대폰에서는 상기 MSM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키패드(140)는 숫자 버튼, 기호 버튼 및 기타 기능 버튼으로 이루어져 필요한 정보를 통신 단말기에 입력해주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어부(120)와 신호를 교환하며, 메모리(150)는 사용자 서비스를 위해 설정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20)와 신호를 교환한다.
코덱부(160)는 상기 제어부(120)에서 출력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고, 오디오부(170)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포함하며, 상기 코덱부(160)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커넥터 케이블(180)은 유선전화의 국선과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고, 단말기측 데이터 입출력단자(190)는 상기 커넥터 케이블(180)을 통하여 국선신호를 단말기에 입출력시킨다.
스위칭부(200)는 아날로그 신호와 USB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고, 아날로그부(210)는 상기 스위칭부(200)의 선택에 따라 국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하고, USB부(220)는 상기 스위칭부(200)의 선택에 따라 USB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케이블을 상세히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선전화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케이블(180)은 유선전화의 국선과 연결되어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는 국선연결단자(181)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출력단자(190)와 연결되는 단말기연결단자(183)와, 상기 국선연결단자(181) 및 상기 단말기연결단자(18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선(182)으로 구성된다.
상기 국선연결단자(181)는 통상의 RJ-11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연결단자(183)는 24핀 I/O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국선연결단자(181)의 TIP신호단자는 상기 단말기연결단자(183)의 USB+신호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국선연결단자(181)의 RING신호단자는 상기 단말기연결단자(183)의 USB-신호단자와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음영지역에 들어갔을 때나, 유선전화를 위한 국선이 설치되어 있는 사무실이나 주택내에서 특별히 비싼 무선이동통신료를 지불 하지 않고 유선전화로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본 발명의 커넥터 케이블(180)을 이용하여 국선과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시킨다.
즉, 국선연결단자(181)는 유선전화의 국선과 연결되어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고, 단말기연결단자(183)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출력단자(190)와 연결된다. 아울러, 연결선(182)은 상기 국선연결단자(181) 및 상기 단말기연결단자(18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호 접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RJ-11 국선연결단자(181)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는 -12V의 데이터들이 단말기연결단자(183) I/O의 USB+와 USB-단자를 통해 인가된다. 이때, 이렇게 인가된 데이터를 스위칭부(200)에서는 -12V가 인가됨을 인지하여 그 데이터 종류를 TIP 또는 RING신호로 인지하여 이를 제어부(120)에 알리는 동시에 아날로그부(210) 또는 USB부(220)에 스위칭시킨다.
한편, USB+와 USB-에 +5V 인가되면 스위칭부(200)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USB 데이터임을 인지하고, 이를 제어부(120)에 알리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USB부(220)로 보내지도록 스위칭하게 된다.
이렇게 스위칭부(200)를 통해 입력 데이터가 분리되면, 제어부(120)는 각각의 해당 기능에 맞게 연결된 기능을 수행을 하게 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출력단자(190)를 통해 인가된 데이터는 스위칭부(200)를 통해 데이터가 분 리가 되어 데이터 특성을 제어부(120)에 알리고 분리한 데이터를 각각의 해당되는 기능을 하는 아날로그부(210) 또는 USB부(220)로 보냄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선택적으로 수행되어진다.
이때, 만일 유선전화통신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스위칭부(200)를 통해서 인가된 데이터는 아날로그부(210)로 데이터를 넘겨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한 후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부(120)로 데이터를 보내고, 다시 이를 받아서 아날로그부(210)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경한 후 전화국으로 데이터를 보냄으로써 양자간의 유선전화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내에 Tip/Ring신호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는 아날로그부(210)를 두어, 전화국에서 전송되는 아날로그정보를 제어부(120)에 디지털정보로 변경해주거나 반대로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정보로 변경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연결단자(183)의 24핀 I/O에는 이미 많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핀(pin)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기내에 Ring/Tip신호가 인가됨을 알 수 있는 스위칭부(200)를 입출력측에 두어 입력되는 정보를 스위칭(switching)하는 역할과 정보의 특징을 제어부(120)에 알려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가능지역과 거리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든 유선전화통신과 무선이동통신 기능을 겸용해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이용의 다양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통신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커넥터 케이블을 통하여 유선전화의 국선신호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출력단자;
    상기 데이터 입출력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 세기를 확인한 후, 상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또는 USB 신호로 분리하여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부; 및
    상기 아날로그부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케이블은
    유선전화의 국선과 연결되어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받는 국선연결단자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단말기연결단자와,
    상기 국선연결단자 및 상기 단말기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국선연결단자의 TIP신호단자는 상기 단말기연결단자의 USB+신호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국선연결단자의 RING신호단자는 상기 단말기연결단자의 USB-신호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86218A 2004-10-27 2004-10-27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1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18A KR100681187B1 (ko) 2004-10-27 2004-10-27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18A KR100681187B1 (ko) 2004-10-27 2004-10-27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079A KR20060037079A (ko) 2006-05-03
KR100681187B1 true KR100681187B1 (ko) 2007-02-09

Family

ID=3714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218A KR100681187B1 (ko) 2004-10-27 2004-10-27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1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440A (ja) * 1998-02-25 1999-09-07 Nec Eng Ltd 有線電話機能を有する移動体電話機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200329371Y1 (ko) 2003-06-16 2003-10-10 공태호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440A (ja) * 1998-02-25 1999-09-07 Nec Eng Ltd 有線電話機能を有する移動体電話機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200329371Y1 (ko) 2003-06-16 2003-10-10 공태호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079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3108C2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ин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двух режимах связи
US6366784B1 (en) Mobile phone extension set
US7328043B2 (en) Telephony apparatus for PBX system
US20050119014A1 (en) Home cellular phone system
CN101159452B (zh) 多卡终端的主被叫处理方法、处理模块及终端系统
CN101310507B (zh) 一种适于提供通信连接的基本单元和提供通信连接的方法
KR100681187B1 (ko) 유선전화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WO2003075543A2 (en) Mobile telephone having a plurality of sim cards allocated to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KR100593608B1 (ko) 무선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핸드셋과 전화기 본체간의연결 방법
CN201869269U (zh) 一种高端多模无线系统终端
KR100421929B1 (ko)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KR20010028584A (ko) 이어폰 및 헤드폰을 공유하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
CN201332415Y (zh) 一种双网电话机
KR100195929B1 (ko) 수신전용 무선 키폰 단말기 장치
JP2003289365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機
KR100374261B1 (ko) 일반전화기를 인터넷전화기로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KR200193536Y1 (ko) 인터넷 전화를 위한 컴퓨터와 전화기간의 연결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WO1992017988A1 (en) Telephone set
KR200262235Y1 (ko) 전화가 용이한 정보 단말기 케이스 시스템
KR100631283B1 (ko) 다중경로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핸즈프리 킷
KR1004167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KR200295057Y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화장치
KR20000047193A (ko) 이동단말기의 유선통신을 위한 공중통신방법 및 그 장치
KR100357686B1 (ko) 핸즈프리용 유선전화기의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