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820B1 -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 Google Patents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820B1
KR100496820B1 KR10-2003-0007974A KR20030007974A KR100496820B1 KR 100496820 B1 KR100496820 B1 KR 100496820B1 KR 20030007974 A KR20030007974 A KR 20030007974A KR 100496820 B1 KR100496820 B1 KR 100496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ing
voice
telephone
text message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202A (ko
Inventor
배명진
Original Assignee
배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진 filed Critical 배명진
Priority to KR10-2003-000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820B1/ko
Publication of KR20030022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생활에서 목소리 전달용으로 아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 무선 응답전화기의 처리기능을 개선하는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키패드(101)와 송수화기(108)가 각기 접속된 기존 응답전화기회로(102)에는 표시장치(107)가 부착된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105) 및, 전화선로에 연결된 전전자교환기(103)가 각각 연결되는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답전화기회로(102)에 음성기록장치(109)가 연결되고, 상기 전전자교환기(103)는 전화선로의 전전자교환기(113)를 통해 저장장치(112)가 부착된 ARS 음성사서함 서버(11)가 연결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AN ANSWERING TELEPHONE UNIT FOR RESPONDING VOICE WITH ALPHANUMERIC MESSAGE}
본 발명은 응답전화기를 이용한 유선응답전화, 휴대응답전화 및 인터넷-폰 등에서 응답전화에 기록하는 방법을 새로이 개선하는 것으로 정보 통신분야에서 응답전화기의 데이터 처리기술로 분류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응답전화기를 통해서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할 때, 기존의 응답전화기로는 목소리 이외에 의사전달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방법이 거의 없었다. 응답전화 교환회선 망에 연결되는 기존의 응답전화기들은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할 때는 상대방의 응답전화기를 호출하여 목소리를 남기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특히, 응답전화기를 통해 의사를 전달하거나 다양한 호소를 남겨두고 싶어도 응답장치만 응답하거나 상대방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일방적인 전화응답에 만족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음성메시지를 남기는 중에는 목소리를 기록하는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의사표현을 할 수 있는 보조 방법을 사용자들이 요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응답전화에 목소리를 기록하면서도 상대방에게 키패드를 통한 문자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정보통신의 디지털 처리기술을 응답전화기 기능개선에 적용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패드(101)와 송수화기(108)가 각기 접속된 기존 응답전화기회로(102)에는 표시장치(107)가 부착된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105) 및, 전화선로에 연결된 전전자교환기(103)가 각각 연결되는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답전화기회로(102)에 음성기록장치(109)가 연결되고, 상기 전전자교환기(103)는 전화선로의 전전자교환기(113)를 통해 저장장치(112)가 부착된 ARS 음성사서함 서버(11)가 연결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문자메시지를 기록하는 목소리응답 전화시스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필요한 응답전화기로써 문자메시지 송수신 응답전화기는 상대방에게 목소리와 함께 문자 메시지정보를 보내고 싶을 때 또는 응답 중에 상대방의 경각심을 제고하고 싶을 때, 응답전화기회로(102)에 부착된 12자리 키패드(101)를 통해 문자-숫자 메시지의 조합을 누르거나 또는 특정 키보턴을 눌러서 상대방에게 또 다른 의미의 문자-숫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응답전화통신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응답전화기에서는 수신된 기록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상대방의 응답전화기, 음성응답 서버, 또는 자체의 응답기록장치등을 호출하여 통화 연결하게 된다. 이때, 응답전화라인을 통해서 기록된 상대방의 목소리와 함께 키보턴의 엔코딩(encoding) 톤의 소리가 기존 응답전화기회로(102)와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105)로 들어오면 먼저 송수화기(108)를 통해 이 엔코딩 톤의 소리를 듣고 문자메시지도 있음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응답전화기회로(102)에서는 톤의 디코딩(decoding)분석을 통해 특정 키보턴의 값을 파악하고서,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105)에 부착된 문자-숫자 메시지의 표시장치(107)에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열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기록 중에 상대방이 관심을 나타낼 수 있도록,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105)와 표시장치(107), ARS 음성사서함(111)과 저장장치(112)를 이용하여 목소리와 함께 키보턴의 엔코딩 톤의 소리와 문자숫자 메시지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게 되어 있어 좀더 다양한 형태의 응답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즉, 상대방의 키패드(101)와 송수화기(108)가 각기 접속된 기존 응답전화기회로(102)에는 음성기록장치(109), 표시장치(107)가 부착된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105) 및, 전화선로에 연결된 전전자교환기(103)가 각각 연결된다. 이 전전자교환기(103)는 전화선로의 전전자교환기(113)를 통해 저장장치(112)가 부착된 ARS 음성사서함 서버(11)가 연결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소리를 남기는 중에도 키패드의 특정 또는 일반 키보턴을 눌러서 상대방에게 키보턴의 엔코딩 소리와 함께 키보턴의 문자메시지를 남겨줌으로서, 응답하는 상대방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통신하는 것이다.
도시되지 않는 사용자의 응답전화기로부터 전화번호 다이얼링으로 원하는 상대방의 응답전화기에 교환이 전전자교환기(103, 113)를 통해 연결되면, 상대방의 기존 응답전화기회로(102)를 통해 응답전화의 음성기록장치(109)에 기록을 남길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 목소리의 음파신호는 디지털 신호처리기술로 압축되어, 응답전화중계기를 통해 상대방 응답전화기에 전달된다. 상대방 응답전화기에서는 디지털 신호로 저장장치에 기록하거나 또는 압축을 풀고 음파로 변환하여 저장매체에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대부분의 응답전화기에는 음성신호를 압축 또는 복원하는 고성능 컴퓨터 칩이 내장되어 있음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문자-숫자 메시지의 기록도 이러한 서비스 처리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자메시지 송수신 응답전화기는 키패드(101), 송수화기(108) 및 음성기록장치(109)가 각기 연결된 기존 응답전화기회로(102)에 표시장치(107)가 부착된 디코더 및 문자메시지 구동회로(105)를 구성하고, 전전자교환기(103, 113)를 통해 저장장치(112)가 부착된 ARS 음성사서함서버(111)를 구성한 것이다. 상대방의 음성기록장치(109)에 목소리 기록중에 별도의 문자메시지를 남기고 싶을 때는 사용자의 응답전화기에 부착된 키패드의 보턴을 누르게 된다. 문자메시지 송수신용 키보턴은 별도의 키보턴으로 장착되었거나 또는 일반적인 응답전화기의 12자리 숫자 키보턴의 누르는 조합으로 문자메시지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문자메시지의 키보턴을 누르면 전전자교환기(113, 103)를 통해 수신측(상대방) 응답전화기의 톤 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105)에서 키보턴의 엔코딩-톤을 검출하게 되고, 이 키패드 눌림의 순서조합에 따라 문자숫자 메시지를 구성하고 이를 표시장치의 글씨체로 변환하여 표시장치(107)에 나타내게 된다. 이때 키보턴의 엔코딩 톤의 소리는 수신측 응답전화기의 송수화기(108)와 음성기록장치(109)에 목소리와 함께 기록된다.
송신측(사용자) 송수화기에서도 엔코딩 톤의 소리가 들리게 되는데, 수신측에서는 키패드의 스토로브(strobe) 신호를 별도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측이나 송신 측에서도 키보턴의 조작내용을 자체의 표시장치(107)에 나타내어 문자메시지의 송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 표시장치(107)에 표시하지 않고 엔코딩 톤만 들으면서 문자메시지 기록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 또는 수신 측에서 목소리 기록 중에 문자메시지 송수신에 따르는 엔코딩 톤이 크게 들려서 목소리 재생에 방해를 받을 경우에는 문자메시지 송수신기능을 꺼(off)버리고 기존 응답전화기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목소리보다 가벼운(dim) 엔코딩 톤의 소리로 송, 수신되도록 엔코딩 톤의 소리음폭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응답전화기의 톤 디코더와 문자메시지 구동회로 블록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1 에 도시된 기존 응답전화기회로(102)는 본 발명에 관여하는 전화라인의 훅-스위치 통화상태검출부(203)와 엔코딩 톤발진기(202)등을 구성하고, 도 1 에 도시된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105)도 엔코딩 톤디코더(201), 키입력 순서조합회로(204), 표시장치 구동회로(205) 및 글자형태생성기(207)등을 구성하며, 키패드(101)와 표시장치(107)는 그대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는 목소리 기록중에 키보턴의 엔코딩 톤을 검출하여 표시장치(107)에 문자숫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첨단 처리기능을 기존 응답전화기에 내장된 컴퓨터 칩에서 실행하게 한 것이다. 응답전화기의 전화라인에 연결된 훅스위치 통화상태검출부(203)로부터 훅-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통화중인지 또는 아닌지를 검출한다. 즉,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화기(108)를 들면 오프(off) 훅-상태인 기록 중으로 검출되고, 전전자교환기(113, 103)를 통해 다이얼링을 하여 원하는 상대를 연결하면 응답전화기회로(102)의 음성기록장치(109)에 응답전화기록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통화중인 상태에서 상대방의 목소리와는 별도로 상대방의 관심을 끌거나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남기기 위해서 응답 전화기에 있는 12개(숫자,*,#)의 키패드(101) 보턴을 누르거나 또는 임의로 정한 키보턴을 누른다. 이 키보턴을 누르는 순서에 따라 엔코딩톤 발진기(202)에서 엔코딩 톤이 발생하고, 전화라인을 통해 목소리와 엔코딩 톤이 상대방의 응답전화기나 도 1 에 도시된 음성사서함 서버(111)의 저장장치(112)에 기록된다.
한편, 기록된 내용을 읽어낼 경우에는 상대방이 응답전화기를 통해 정해진 응답서버나 자신의 전화기에서 플레이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화라인을 통해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에 엔코딩 톤이 입력되어 엔코딩 톤디코더(201)가 동작하고, 이 엔코딩 톤디코더(201)에서 상대방이 기록한 키부호 값의 순서를 차례대로 파악하게 된다. 엔코딩 톤디코더(201)는 목소리나 잡음신호로부터 엔코딩 톤의 신호만을 분리하기 위해 대역통과여파기나 적응여파기를 주로 사용한다.
이렇게 분석된 부호 값은 순서대로 메모리에 저장되면서 문자-숫자 메시지를 구성하는 키입력 순서조합회로(204)를 통과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입력된 키부호 값이 " ㅇ l ㄹ ㅡ ㅁ" 순서로 저장되고 있다면 이 문자메시지열은 " 이름" 을 입력받은 것이 된다. 상기 키입력 순서조합회로(204)에서 문자메시지를 조합하고 나면, 이를 표시장치 구동회로(205)에 전달한다. 표시장치 구동회로(205)는 문자메시지에 일치하는 글자형(font)을 글자형태생성기(207)에서 가져와서 표시장치(107)가 충분한 전류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아날로그 형태의 목소리 신호와 키보턴의 엔코딩 신호를 입력 받아서 통화연결 중에도 문자숫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응답전화기의 하드웨어장치에 대한 구성의 일례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기존 응답전화기회로,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를 보다 구체적으로 하면서 키패드(101)와 표시장치 구동회로(205)에 연결된 표시장치(107)를 구성하고 있다.
입력/출력 주변장치(309)는 키패드(101), 표시장치 구동회로(205), 훅스위치(315) 및 I/O포트(311)가 각각 연결되는 바, 상기 I/O포트(311)와는 메모리(305), 디지털신호처리기(DSP) 또는 범용 CPU의 컴퓨터칩(304)을 통해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303), 저역통과여파기(302) 및 증폭기(301)의 송화기 아날로그입력 S(t)인 반면에,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308), 저역통과여파기(307) 및 증폭기(306)의 수화기 아날로그출력 U(t)인 것이다.
전화라인을 통해 아날로그 형태로 입력된 목소리와 키보턴의 엔코딩 톤의 신호파형은 증폭기(301)에서 증폭된 다음에 앨리어징(aliasing)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저역통과여파기(302)를 통과한다. 그리고, 양자화(quantization) 및 부호화(coding)를 수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3)를 통과함으로서 선형펄스부호변조(PCM) 형태의 디지털 신호로 바뀌어서, 범용 컴퓨터(CPU) 칩이나 디지털 신호처리기(DSP)의 컴퓨터 칩(304)에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입력된다.
컴퓨터 칩(304)에서 신호 또는 데이터 처리를 할 때는 컴퓨터 칩의 I/O포트(311)에 설치된 입력/출력주변장치(309)를 참고할 수도 있고, 또한 디지털 변환된 입력신호나 신호처리된 데이터의 결과 값을 저장하기 위해 내부의 메모리(305)나 주변의 저장장치(318)를 참고할 수도 있다. 특히, 문자-숫자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통화연결 중인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 데, 훅-스위치의 상태를 컴퓨터 칩(304)의 입력포트(311)를 통해 입력받아야 하고, 키패드(101)의 상태를 통해 문자-숫자 메시지의 타이핑 값을 입력포트로 받게 된다. 그리고 키보턴의 엔코딩 신호를 검출하여 조합된 문자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발생시킨 문자-숫자 메시지 값이나 그 글자형태(font)를 컴퓨터 칩(304)의 출력포트(311)를 통해 표시장치 구동회로(205)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 칩(304)에서 소프트웨어나 펌웨어에 의해 압축 및 복원 처리된 목소리의 디지털 신호와 키패드(101)의 엔코딩 톤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8)를 통해 표본화된 아날로그 신호형태로 변환된다. 이 신호를 저역통과 여파기(307)에 통과시키면 양자화 잡음이 제거된 아날로그 신호가 되고, 적당한 레벨이 되도록 증폭기(306)에서 증폭하면 응답전화 수화기나 스피커 등을 통해서 들을 수 있는 수화기 아날로그 신호가 된다.
본 발명의 응답전화기는 도 1 내지 도 3를 의거하여 기존 응답전화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칩에, 목소리기록 중에도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처리하는 도 4와 같은 소프트웨어나 펌웨어를 추가한 것을 통해 설명한다. 응답전화기에서 문자메시지의 송수신기능이 개시되면, 먼저 401 단계에서 훅-스위치의 상태를 입력받아서 통화연결중인지의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402 단계에서 통화중인 상태가 아니라면, 기존응답전화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415 단계). 상태포트 입력에서 훅-스위치는 평상시에 온(on) 훅-상태로 되어 있다가, 벨소리가 울려서 송수화기를 들면 오프(off) 훅-상태가 되므로, 처리과정에서는 일예로 훅스위치의 오프 훅-상태를 통화연결중인 상태로 인식하게 된다.
응답 수신중인 상태가 유지되면, 응답전화라인으로부터 목소리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404 단계). 입력받는 목소리 데이터는 한 프레임단위로 신호처리하기 위해 버퍼링이 채워질 때까지는 기존의 응답전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한 프레임의 크기는 일예로 30ms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한 프레임의 음성데이터가 버퍼에 채워지면, 이 데이터를 가지고 키보턴의 엔코딩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405 단계). 예컨데, 전자식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톤 응답전화기에서는 응답전화를 걸기위해 다이얼 키패드의 키보턴을 누르면, 개별 키보턴 마다 2개의 주파수로 엔코딩 톤이 발생하여 응답전화교환기에 전달한다. 교환기에서는 이 DTMF톤을 디코딩하여 원하는 응답전화번호를 검출하고 다른 상대방과의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전화교환이 이루어진 다음에도 특정 키보턴이 목소리와 함께 계속하여 수신되어 들어오면, 이때 교환기는 응답전화 기록한 목소리의 일부로 간주하여 소리를 그대로 전달하게 된다. 즉, 응답전화기에는 문자-숫자 메시지의 기록을 위해 상대가 키보턴을 눌러서 메모하여 두면, 응답확인 중에 키보턴의 엔코딩 톤이 그대로 전달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 키보드 엔코딩 톤을 이용하여 목소리와 함께 문자메시지 송수신매체로 사용하게 된다. 키보턴에 따르는 DTMF톤의 발생과 검출에 대해서는 정보통신공학 관련교재의 전화교환기 연결부문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음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엔코딩-톤 검출루틴에서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를 키보턴의 엔코딩-톤이 있는 구간으로 검출하게 되면(405 단계), 이 톤이 수신 측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응답전화기의 키패드로부터 스토로브신호를 검출하여 키보턴의 눌림을 파악하게 된다(406 단계). 즉, 응답전화기에서 엔코딩 톤의 검출과 함께 키패드의 눌림(스토로브신호 검출)이 있으면, 응답전화기는 현재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상태가 된다. 문자메시지의 송신 시에는 지금 타이핑 중인 키보턴의 엔코딩 톤을 발생하고(412 단계), 이 톤을 음성 메모하는 목소리와 함께 전화라인을 통해 송출한다.
응답전화기에서 문자메시지에 대한 키보턴의 엔코딩 톤이 들어오면, 이 톤으로부터 키부호 값을 취하고 나서, 이 값과 이전에 저장된 키부호 값의 순서조합을 실행한다. 여기서 문자-숫자 메시지의 열이 생성되고(408 단계), 메모리에 저장된다. 문자메시지 열은 표시장치에 알맞게 문자메시지 형태의 꼴로 변환되는데(409 단계), 일예로 문자메시지 형태를 보관하는 메모리에서 읽어보는 과정이 수행된다.
변환된 문자메시지 형태의 꼴을 표시장치에 출력하여 표시하기 전에 문자메시지 송수신모드의 선택스위치의 상태를 받아온다(410 단계). 411 단계에서 선택 스위치는 현재의 문자메시지 송수신 상황을 표시장치에 나타낼 수 없는 경우이거나 또는 목소리응답만을 위해서 문자메시지의 송수신기능을 꺼(off)놓은 상태인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정상적인 문자메시지 송수신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표시장치의 출력포트에 문자메시지 형태 꼴을 출력하여(414 단계), 표시장치 구동회로를 통해 표시장치에 나타내게 된다. 그런 다음에 일반적인 응답전화기능을 수행하고 나서(415 단계), 원위치되어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응답전화기를 사용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메모하거나 확인하는 음성사서함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상대방에게 목소리 이외의 다른 의미를 문자-숫자 메시지로 전달할 경우, 응답전화기의 키패드나 또는 특정 키보턴을 통해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을 병행하는 문자메시지와 음성응답기능을 기존 응답전화기에 있는 신호처리(DSP) 칩이나 컴퓨터 칩의 일부분에 구현하고, 응답전화기에서의 목소리 전달통신은 기존의 응답전화방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응답전화기의 키패드에 있는 키보턴의 눌림에 따라 키보턴의 엔코딩 톤의 소리가 목소리와 함께 기록 당사자 간에 들리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키보턴의 타이핑 열에 따르는 문자숫자 메시지가 상대방에게 전달되도록 표시장치를 구동하며, 음성기록 중에도 목소리와는 별도로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관심을 집중시키고, 또한 목소리로 상황을 알릴 수 없는 긴급한 상황에서도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발신하여 연락할 수 있는 등의 문자-숫자 메시지 송수신기능의 음성응답전화기인 것이다.
본 발명은 응답전화기를 통해 목소리로 음성을 기록할 때, 문자-숫자 메시지에 의해 의사전달을 하는 보조의 통신수단을 적용하는 기술의 하나이다. 응답전화기록 중에는 상대방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목소리로만 개인의 감정이나 의사전달을 수행해야 하고 있는데, 응답전화기를 통해 목소리로 의사전달을 기록하는 이외에 목소리의 메모 중에 문자-숫자메시지의 송수신을 함께 수행함으로서 또 다른 의사전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따라서, 음성메모 중에 목소리를 잘 파악할 수 없어서 문자메시지와 함께 의미를 전달함으로서 상대방의 관심을 집중시키거나, 청각장애가 있는 장애인에게 전화응답과 문자메시지 전달을 겸해줌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통신보조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복지통신기술로서도 그 응용성이 다양하다.
또한, 상대방에게 의사를 말로 전달할 수 없는 위기 상황에서 문자메시지 송수신을 시도함으로서 긴급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경보응답전화 시스템으로서도 그 용도가 특이하다.특히, 이 기술은 기존 응답전화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설치기준의 변경 없이도 그 구현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가 있으므로 기술 실행이 아주 용이하다. 또한, 이동응답전화시스템인 경우에는 다양한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부가서비스와 함께 음성사서함에 문자메시지를 다양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갖는 등의 실용적인 발명인 것이다. 따라서, 문자-숫자메시지의 송수신 음성응답전화기는 실생활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그 파급 효과가 아주 크다.
도 1 은 본 발명의 문자메시지를 기록하는 목소리응답 전화시스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톤 디코더 및 문자메시지 구동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문자-숫자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응답전화기를 도시해 놓은 하드웨어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문자-숫자 메시지 음성응답전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01 : 키패드 102 : 기존 응답전화기회로103, 113 : 전전자교환기 105 :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107 : 표시장치 109 : 음성기록111 : ARS 음성사서함 112 : 저장장치

Claims (3)

  1. 삭제
  2. 키패드(101)와 송수화기(108)가 각기 접속된 기존 응답전화기회로(102)에는 표시장치(107)가 부착된 톤디코더 및 문자구동회로(105) 및, 전화선로에 연결된 전전자교환기(103)가 각각 연결되는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답전화기회로(102)에 음성기록장치(109)가 연결되고, 상기 전전자교환기(103)는 전화선로의 전전자교환기(113)를 통해 저장장치(112)가 부착된 ARS 음성사서함 서버(11)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101)로부터 키보턴을 누르는 순서에 따라 엔코딩톤 발진기(202)에서 엔코딩 톤이 발생하고, 전화라인을 통해 목소리와 엔코딩 톤이 상대방의 응답전화기나 음성사서함 서버(111)의 저장장치(112)에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KR10-2003-0007974A 2003-02-08 2003-02-08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KR10049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974A KR100496820B1 (ko) 2003-02-08 2003-02-08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974A KR100496820B1 (ko) 2003-02-08 2003-02-08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202A KR20030022202A (ko) 2003-03-15
KR100496820B1 true KR100496820B1 (ko) 2005-06-22

Family

ID=2773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974A KR100496820B1 (ko) 2003-02-08 2003-02-08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133B1 (ko) * 2003-11-14 2010-08-04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키폰 시스템 내의 유럽형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에스엠에스 메시지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202A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5841A (en) In-line text display for telephone terminal employing data filtering
US5604786A (en) Telephone with unified features for hearing and deaf users
KR100496820B1 (ko)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KR100561611B1 (ko) 전화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전화기
JP2002204300A (ja) 携帯電話の対話式無音応答
JPH0630105A (ja) 携帯電話機
JP3090341U (ja) 会話ログ記録/表示機能付き携帯端末機器
KR100330081B1 (ko) 컴퓨터를 이용한 통화음 녹음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362526B1 (ko) 간접음성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기기용 단말기
JP3425899B2 (ja) 携帯音響機器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623435B1 (ko) 통화중에도 벨소리 호출이 가능한 전화기
JP2910240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H10271204A (ja) 留守応答装置及び留守番機能付き電話機
JP3046998U (ja) 携帯電話
CN1830153A (zh) 具有可选择语音消息发射的通信设备
KR20030015356A (ko) 목소리 통화중에 상대방의 진동기를 호출하는 전화기방식
JP2001077942A (ja) 留守番機能及び電子メール機能を有する電話機
JPH10229433A (ja) 携帯電話機
JPH11112644A (ja) 録音機能付通信端末装置
JPH02278947A (ja) 通信装置
JP200125141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0341368A (ja) ディジタル通信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通信方法ならびにその記録媒体
JPH03107252A (ja) メッセージ表示付留守番電話機
KR19980044025U (ko)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무선응답 전화기
KR19980056078A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