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078A -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078A
KR19980056078A KR1019960075341A KR19960075341A KR19980056078A KR 19980056078 A KR19980056078 A KR 19980056078A KR 1019960075341 A KR1019960075341 A KR 1019960075341A KR 19960075341 A KR19960075341 A KR 19960075341A KR 19980056078 A KR19980056078 A KR 19980056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tmf
telephone number
received
input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7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078A/ko
Publication of KR1998005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078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통화중 상대방이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전화번호를 기억하도록 된 전화기에서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대방으로부터 인가되는 DTMF 톤을 검지하는 DTMF 수신수단; 장치 전반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DTMF 수신수단으로부터 특정 DTMF 톤이 수신되면 이후 수신되는 DTMF 톤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DTMF 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신 디지트 저장수단; 상기 수신 디지트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메모리 확인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수단; 및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 및 특정 DTMF 톤이 수신됨에 따라 입력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렘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대방이 특정버튼과 함께 전화번호버튼을 눌러주면 이를 자동으로 기억하므로써 통화중에 메모를 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인간의 대화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상대방과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통화중 상대방이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전화번호를 기억하도록 된 전화기에서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 가정 및 회사를 비롯하여 우리의 생활공간 도처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화기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한 현대인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바, 최근에는 이러한 역할에 걸맞게 종래 제공되던 단순한 통화장비로서의 전화기 기능에서 벗어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기능들이 전화기에 부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된 일반적인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외부 국선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포트이고, 2는 이 국선접속포트(1)를 통해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 감지부이며, 3은 인가된 링신호를 근거로 전화벨소리를 출력하는 링 발생부, 4는 상대 단말기[이하, 대국(對局)이라 칭함]와의 임피던스 매칭 및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이다.
또한, 참조번호 5는 송수화기이고, 6은 훅크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온/오프 구동됨에 따라 연동되어 통화로의 연결여부를 단속하는 통화로단속부, 7은 상기 인터페이스회로(4)와 통화로단속부(6)를 거쳐 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송신자의 음성신호 및 송수화기(5)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함은 물론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network)회로이다.
참조번호 8은 사용자가 상기 송수화기(5)의 송화부(5a)를 통하지 않고 전화기 케이스 표면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8a)을 통해 음성을 곧바로 입력시키기 위한 음성입력부인 바, 이 음성입력부(8)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폰(8a)과 이 마이크로 폰(8a)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장치 내부로 인터페이스시키기 위한 마이크 인터페이스회로(8b)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참조번호 9는 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음성신호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송수화기(5)의 수화부(5b)를 거치지 않고 스피커를 통해 직접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이 음성출력부(9)는 이후에 설명할 스피커 폰 구동부(15)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스피커 증폭 인터페이스회로(9c)와 이 인터페이스회로(9c)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버퍼(9b), 및 이 버퍼(9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레벨의 가청음성으로 변환출력하는 스피커(9a)로 구성된 것이다.
참조번호 12는 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고, 10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2)의 제어에 따라 전화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된 표시부, 11은 단축다이얼기능등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15는 상기 네트워크회로(7)와 상기 음성 입·출력부(8)(9)간에 서로 주고 받게 되는 음성신호를 입출력형태에 맞게 처리하는 스피커 폰 구동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3은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숫자키 및 기능키가 설치된 키패드이고, 14는 이 키패드(13)를 통해 입력된 소정 키 입력에 대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를 출력하는 DTMF발생회로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일반적인 전화기는 사용자가 송수화기(5)를 든 상태에서 키패드(13)에 구비된 버튼키를 눌러 다이얼링을 실행함에 따라, 상기 국선접속포트(1)를 통해 해당 DTMF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상대 가입자를 호출하게 되고, 이어 피호출 가입자와의 통화선로가 형성되게 되면 상기 송화부(5a) 또는 마이크(8a)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네트워크회로(7)에서 처리하여 국선접속포트(1)를 통해 상대 가입자측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대 가입자로부터 송출되어 온 음성신호를 수화부(5b) 또는 스피커(9a)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가입자간의 통화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술된 대국 교신자와의 통상적인 통화기능 이외에도 사전에 입력해 놓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기능,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근거로 사용자의 특정키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다이얼링을 실행하는 단축 다이얼기능, 및 송수화기를 들지 않고도 마이크로 폰(8a)과 스피커(9a)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폰 기능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전화기는 발신 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어 발신음을 확인한 후, 착신 전화번호를 다이얼하여 DTMF 톤을 교환국으로 송출하면 교환국은 수신한 DTMF 톤을 번호 번역하여 착신 가입자로 링백 톤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착신 가입자가 송수화기를 들어 착신, 발신간의 통화로가 형성된 후에는 상호 발생되는 가청 주파수대의 음성신호에 대해서만 전기신호로 변환하므로써 음성 통화 이외의 다른 기능은 있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대방과 전화 통화중 상대방이 # 또는 *와 같은 특정 버튼을 누른 뒤 전화번호를 누르면 현재 통화중인 전화기에서 이를 인식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된 일반적인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도 4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시부1 : 국선접속포트
2 : 링신호 감지부 3 : 링발생부
4 : 인터페이스회로5 : 송수화기
6 : 통화로단속부7 : 네트워크회로
8 : 음성입력부9 : 음성출력부
10 : 표시부14 : DTMF 발생회로
15 : 스피커폰 구동부21 : DTMF 수신회로
12,22 : 마이크로 프로세서23 : 수신 디지트 저장부
13,24 : 키패드11,25 : 메모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은 제어부가 상대방과 통화중이면 DTMF 수신수단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 스캐닝(scanning)하는 DTMF 수신 확인 단계; 특정 DTMF 톤이 수신되면 전화번호 기억 모드로 전환되어 상대방이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전화번호 수신 단계; 및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번호 입력의 완료를 의미하는 특정 버튼이 눌려지거나 일정시간 동안 아무런 입력이 없으면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의 DTMF 톤을 저장하고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수신 전화번호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장치는 상대방으로부터 인가되는 DTMF 톤을 검지하는 DTMF 수신수단; 장치 전반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DTMF 수신수단으로부터 특정 DTMF 톤이 수신되면 이후 수신되는 DTMF 톤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DTMF 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신 디지트 저장수단; 상기 수신 디지트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메모리 확인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수단; 및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 및 특정 DTMF 톤이 수신됨에 따라 입력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렘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상대방과 통화중일 경우에는 DTMF 톤 입력여부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 스캐닝(scanning)함으로써 상대방이 특정 버튼과 함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그 전화번호 디지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고, 이후에도 확인버튼을 누르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참조번호 21은 상기 국선접속포트(1)를 통해 인가되는 DTMF 톤을 검지하는 DTMF 수신회로이고, 참조번호 22는 장치 전반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DTMF 수신회로(21)로부터 특정 DTMF 톤(예컨대, # 또는 *)이 수신되면 이후 수신되는 DTMF 톤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23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에 의해 수신되는 DTMF 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신 디지트 저장부이고, 24는 상기 수신 디지트 저장부(23)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메모리 확인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이며, 25는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 및 특정 DTMF 톤이 수신됨에 따라 입력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이어, 도 3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도 2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22)가 상대방과 통화중이면(ST 31), DTMF 수신회로(21)를 일정시간(약 20ms) 간격으로 계속 스캐닝(scanning)한다(ST 32). 이때, 상대방으로부터 특정 버튼이 눌려져(ST 33), 상기 DTMF 수신회로(21)에 특정 DTMF 톤이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는 전화번호 기억 모드로 전환되어(ST 34), 상대방이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수신한다(ST 35).
그리고,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번호 입력의 완료를 의미하는 특정 버튼이 눌려지거나 일정시간 동안 아무런 입력이 없으면(ST 36,37),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의 DTMF 톤을 수신 디지트 저장부(23)에 저장하고(ST 38),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표시부(10)에 표시한다(ST 39).
또한, 이후에 메모리 확인 버튼에 의해 수신 디지트 저장부(23)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부(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참조번호 41은 상기 국선접속포트(1)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이고, 42는 상기 코덱(4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받아 그 의미를 분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이며, 참조번호 44는 장치 전반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42)로부터 특정 DTMF 톤(예컨대, # 또는 *)이 수신됨을 통보받으면 이후 수신되는 DTMF 톤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참조번호 43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4)의 명령에 따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42)가 수신되는 DTMF 톤을 저장하기 위한 수신 디지트 저장부이고, 45는 상기 수신 디지트 저장부(43)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메모리 확인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이며, 46은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 및 특정 DTMF 톤이 수신됨에 따라 입력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이어, 도 5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44)가 상대방과 통화중이면(ST 51), 디지털 신호 처리부(42)를 일정시간(약 20ms) 간격으로 계속 스캐닝(scanning)한다(ST 52). 이때, 상대방으로부터 특정 버튼이 눌려져(ST 53), 상기 코덱(41)을 통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42)에 특정 DTMF 톤이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전화번호 기억 모드로 전환되어(ST 54), 상대방이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수신한다(ST 55).
그리고,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번호 입력의 완료를 의미하는 특정 버튼이 눌려지거나 일정시간 동안 아무런 입력이 없으면(ST 56,57),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의 DTMF 톤을 수신 디지트 저장부(43)에 저장하고(ST 58),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표시부(10)에 표시한다(ST 59).
또한, 이후에 메모리 확인 버튼에 의해 수신 디지트 저장부(43)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부(1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통화중이거나 이동중에 상대방으로부터 얻는 전화번호 정보를 메모지를 준비하여 적을 필요없이 상대방이 특정버튼과 함께 번호버튼을 눌러주면 이를 자동으로 기억하므로써 통화중에 메모를 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대방으로부터 인가되는 DTMF 톤을 검지하는 DTMF 수신수단;
    장치 전반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DTMF 수신수단으로부터 특정 DTMF 톤이 수신되면 이후 수신되는 DTMF 톤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DTMF 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신 디지트 저장수단;
    상기 수신 디지트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메모리 확인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수단; 및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 및 특정 DTMF 톤이 수신됨에 따라 입력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렘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TMF 수신수단은,
    상대방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중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인식하는 DTMF 수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TMF 수신수단은,
    상대방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 및
    상기 코덱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받아 그 의미를 분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장치.
  4. 제어부가 상대방과 통화중이면 DTMF 수신수단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 스캐닝(scanning)하는 DTMF 수신 확인 단계;
    특정 DTMF 톤이 수신되면 전화번호 기억 모드로 전환되어 상대방이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전화번호 수신 단계; 및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번호 입력의 완료를 의미하는 특정 버튼이 눌려지거나 일정시간 동안 아무런 입력이 없으면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의 DTMF 톤을 저장하고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수신 전화번호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메모리 확인 버튼에 의해 저장된 전화번호를 표시부(10)에 표시하는 전화번호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KR1019960075341A 1996-12-28 1996-12-28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KR19980056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341A KR19980056078A (ko) 1996-12-28 1996-12-28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341A KR19980056078A (ko) 1996-12-28 1996-12-28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78A true KR19980056078A (ko) 1998-09-25

Family

ID=6648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341A KR19980056078A (ko) 1996-12-28 1996-12-28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0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986B1 (ko) * 2000-06-29 2003-03-06 주식회사 아이디어파크 전화번호저장 및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986B1 (ko) * 2000-06-29 2003-03-06 주식회사 아이디어파크 전화번호저장 및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372B1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US5638437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get access to an automated call processing from a central station operating on pulse dialling mode
KR100215722B1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US6055309A (en)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utting off a speech path and converting to a standby state upon completion of speakerphone speech in a cordless telephone
KR19980056078A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KR19980035372A (ko) 자동 연속 재다이얼 기능을 갖춘 통신단말기
KR100561611B1 (ko) 전화통화중 문자메시지 송수신전화기
JP3232640B2 (ja) 電話交換機
JP2550056B2 (ja) 音声ダイアル電話機
JP2809651B2 (ja) 通信装置
KR100270163B1 (ko) 전화기에 결합해서 사용하는 인터폰을 구비한유/무선 송수신장치
JPH07131550A (ja) 電子手帳及び電話機
JP4075032B2 (ja) 留守番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244717B1 (ko) 자동응답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00218692B1 (ko) 훅크 스위치 자동 온/오프 전환기능을 갖춘 전화기
JP5010779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及び入電通話処理方法
KR19980052725A (ko) 전화단말기의 긴급 다이얼링 방법
KR20000030396A (ko) 일반전화기로 pc를 통한 인터넷 폰을 하기 위한 교환기
JPH10173804A (ja) 電話機及び電話機を組み込んだ電話通信システム
JPS61281656A (ja) 電話機システム
JP2894188B2 (ja) 電話機
KR19990041243A (ko) 긴급 자동 신고 기능을 갖는 전화기 및 그 방법
KR20000049342A (ko)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JPH0777397B2 (ja) 音声ダイアル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