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774A -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수신기 - Google Patents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774A
KR19990028774A KR1019980700073A KR19980700073A KR19990028774A KR 19990028774 A KR19990028774 A KR 19990028774A KR 1019980700073 A KR1019980700073 A KR 1019980700073A KR 19980700073 A KR19980700073 A KR 19980700073A KR 19990028774 A KR19990028774 A KR 19990028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gital
traffic
data
tm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543B1 (ko
Inventor
울리히 케르스켄
카린 헴펠
토마스 라우터라바흐
Original Assignee
랄프 홀거 베렌스; 위르겐 프리도만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홀거 베렌스; 위르겐 프리도만,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랄프 홀거 베렌스; 위르겐 프리도만
Publication of KR1999002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MC-코드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무선 방송(DAB)에 의해 트래픽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에 의해서 오디오 신호를 TMC-데이터로 간단하게 좌표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표화는 상기 디지털 송신기의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그리고 그에 속한 데이터 프로토콜에 의해 프리셋트 되어 있다.

Description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수신기
트래픽이용자들에게서 발생하는 트래픽중 통화는 순간적으로 말로 전해지는 정보라서 아날로그 송신기(방송국)를 통해 중계된다. 다른 개선된 모델은 트래픽 메시지 채널(TMC)가 달린 디지털 트래픽 정보 서비스 무선-정보-시스템(Radio Data System)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한 디지털 트래픽 정보들을 구성하고 부호화하는 작업은 RDS ATT Alert Consortium에서 발췌하여 1990년 11월에 Alert C. 시험 규정안에 기초한 CEM Draft pr. ENV/278/4/1/0011에 규정되었다. 트래픽 정보에서 중요한 요소들은 사고 발생지(위치) 및 사고(사건)이다. 부수적인 사항들은 카탈로그화된다. 즉 각 트래픽 관련 지점 및 트래픽 관련 사고에 명확한 코드를 지정하여 카탈로그화한다. 현재 위치한 도로를 따라가면서 사건 발생 위치테이블에 각 지점들을 끼워 넣는 작업이 계속 반복된다. 복호화기가 달린 일반적인 수신기 장치 외에도, 트래픽 정보 채널(TMC)을 이용하는 데에는 트래픽 정보를 복호화, 저장, 재처리하고 출력하기 위한 장치들이 필요하다. 이 디지털 부호화된 트래픽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말로 전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 작업에 드는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사용 인구가 적은 각국 즉 언어 지역에서는 조속한 시일내의 TMC-시스템의 도입에 대해서는 고려할 수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구어 정보로서의 트래픽 정보들은-아래 트래픽 통화에서 언급한 바대로- 상기 TMC-시스템의 트래픽 정보와는 반대로 지역적인 좌표와 관련된 사항들을 선택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도입 추세의 증가 문제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구형 아날로그 방법과 비교해 볼 때 수신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으며, CD에 버금가는 음질을 갖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디지털 무선장치의 특수성들은 ETS 300401에서 1995년 2월에 규정된 바 있다. TMC-정보를 전달하는데는 디지털 무선 방송 프로토콜에 있어 빠른 정보 채널(FIC)를 갖춘 채널이 있다. 그러나 실시간 작동되는 디지털 무선 방송용 단말기에는 TMC-정보용 복호화기가 없다. 따라서 근래 디지털 무선 방송국은 단지 무선 방송 프로그램에 통합된 트래픽 정보만을 보낸다. 그러나 이 정보 역시 아날로그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선택가능하지도 않으며 어떤 기술로서도 관리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트래픽 정보 서비스 통화(통신)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을 이용하여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통화(통신)를 수신하고 선택적으로 재생시키기 위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무선방송의 기본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FIB(고속 정보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병행식 중계의 시작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오디오세그먼트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수신기의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수신기 메모리 내의 목적 문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독립 청구항의 특징적인 요지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래기술과는 반대로 디지털 트래픽 정보 시스템 정보를 간단한 방법으로 좌표화(할당)함으로써 무선 방송국의 디지털 중계를 가능케 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하나의 장점은 디지털 방법에서는 수신 상의 어려움이 별로 없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국에서 TMC-정보를 중계하는 기술 역시 매우 향상되었다는 점이다. 이 방법은 특히 다중 노선 수신(산맥, 대도시의 고층 건물) 지역에서 및/또는 동시에 ARI 전송이 가능한 송신기가 공급된 지역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종속항에서 실시된 방법을 통하여 독립항에 제시된 방법을 효율적으로 재구성하고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효과적인 점은 상기 데이터 채널 FIC상의 TMC-정보와 디지털 무선 상의 트래픽 통신(트래픽 통화)을 데이터블록, 이른바 링크-대상(object)을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상기한 장치의 정확성은 이러한 경우에는 병행(parallel) 송신과 더불어 송신기와의 연결로 인해 더욱 더 보장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트래픽 통신이 시작되고 끝날 때에 디지털 라디오에 있는 버튼을 통화자가 누르기만 하면 신호화된다는 점이 효율적이다. 이 때 이 신호화가 상기 TMC-중계의 제어를 담당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트래픽 통신 데이터는 고유한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으로 중계되는 것이 아니고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오디오 세그먼트로 이용된다. 이로써 다른 언어로 통화를 중계할 수 있게 되어 수신기 상에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통화 수신을 가능케 하는 수신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DAB-복호화기와 아울러 TMC-복호화기를 포함하며 그에 속한 관리 방법까지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제시되어 있으며 아래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TMC-정보, 트래픽 통화 및 예를 들어 도로 상황판과 같은 다른 선택적 정보를 디지털 무선 방송 트래픽 정보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디지털 무선 방송(DAB)은 텍스트, 오디오 또는 비디오 절차에 따른 병렬(병행) 중계를 가능케한다. DAB-송신기로부터는 각각 DAB-앙상블이 방사된다. 도 1에는 그러한 앙상블이 A면에서 "규정"이라는 개념으로써 나타나있다. 개별적인 프로그램, 예를 들면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은 서비스로서 나타나 있다(B면 참조). 도 1에는 서비스들로서 예를 들어 NDR1, FFN 등이 나타나 있다. 하나의 서비스는 복수개의 부품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를 예를 들어 오디오 부품, 데이터 부품, 비디오 부품 등과 같은 서비스 부품이라 부른다. 이러한 부품들은 C면에 도시되어 있다. 가능한 부품들 중 하나는 TMC이다. D면에, 디지털 무선 방송의 데이터프레임에 개별적인 서비스 부품에 하위 채널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ETS 300 401에 따른 디지털 무선 방송의 특징은 상기 TMC-정보를 위하여 특수 채널 FIC(고속 정보 채널)을 마련해 놓고 있다는 점이다. 여러 개의 하위 채널들은 MSC(본 서비스 채널)의 개념 하에서 요약된다. 전체 데이터블록에는 송신기에 의해 프레임구조가 주어지는데, 이 때 상기 데이터들에 동기언어 Sync가 미리 언급된다. 상기 디지털 트래픽 방송에 관련된 상기 고속 정보 채널 영역은 여러 개의 고속 정보 블록(FIB)으로 나뉜다. 상기 FIB들은 여러 데이터 유형과 내선(extension)들로 구분된다. 하나의 고속 정보 블록은 도 2에서 E면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유한 데이터 대역은 30byte를 갖는다. 반면 조절 대역 CRC(Cyclic redundancy check)은 오류 방지 코드로서 2byte를 갖는다. 상기 고유한 데이터대역은 F면 위에 여러개의 내선들을 구비하고 있다. 특수 내선은 헤더 및 내선데이터로 구성된다(G를 참조). G면의 이러한 구조는 고속 정보 데이터 채널(FIDC)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속 정보 데이터 채널은 크게 제안된 프로토콜 ETS 300 401의 데이터 유형 5에 해당한다. 상기 FIDC의 헤더는 H면에 따르면 유형 5, 길이상 내선 길이에 해당하는 정보, Rfu 0(미래를 위해 예약해 둠), Tcld(유형 부품 인식기)과 아울러 FIB의 제 1 내선으로서의 Ext 1의 표시를 갖고 있다. 상기 고유한 정보들은 내선 데이터 영역 내에서 형성되는데, 이 때 6 TMC-그룹들까지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그룹들은 37bit로 부호화된 트래픽소식을 담고 있다. FIB가 완벽하게 내선으로 이용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맨 마지막 내선, 데이터 종료 표시기, 나머지 길이 순으로 패딩바이트가 채워진다.
송신기에 의해 규정된 데이터프레임 구조 안에서의 중계는 팩킹 모드 데이터용(예를 들어 멀티미디어대상) 및 스트림 모드의 무선 방송 프로그램용으로 이루어진다. 멀티미디어상은 10byte 길이의 대표헤더와 아울러 다양한 길이의 선택헤더 및 고유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대상보디로 구성된다(도 3 참조). 고속 정보 채널의 TMC-정보와 오디오스트림의 트래픽 통화의 연결은 특수 미디어 대상에 의해 링크-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대상들은 한편으로는 트래픽 통화를 담고있는(대표 헤더 및 보디) 상기 오디오스트림의 일부분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TMC-정보(선택적 헤더)를 참조한다. 이 때 상기 고속 정보 데이터 채널은 참조하지 않으며 C면의 서비스부품은 참조한다. 상기 C면으로부터 상기 TMC-정보가 나온다. 명료성은 상기 전송의 평행성 및 서비스의 연결로 인하여 확실하게 보장된다. 송신기에는 트래픽 통화의 시작 및 종료 시에 통화자가 또는 기술자가 단지 버튼을 누름으로서 신호화된다. 트래픽 통신의 시작을 신호화할 경우에 고속 정보 데이터 채널 내에 해당 TMC-정보는 일회 전송된다. 그와 병행하여 동일한 디지털 무선-데이터프레임에서 링크대상이 발생되는데, 그 동안 오디오스트림의 시작점에, 다시 말하면 트래픽 통신의 시작을 언급하고 TMC-정보로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트래픽 통신 종료를 신호화할 경우에 후속 데이터프레임안의 다른 헤더가 형성되는데, 이 헤더는 상기 오디오스트림의 종료 지점을 알려준다. 수신기내에서 상기 오디오스트림의 특징적인 부분은 부속 TMC-정보와 함께 저장되고 다음 적용 단계에서 예를 들어 선택 단계에서 사용된다. 상기 디지털 무선-데이터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대상이 전송되는 동안에는 고속 정보 채널 내에서는 단지 TMC-정보만 중계될 수 있다. 다른 데이터프레임 내의 상기 TMC-정보들은 상기 오디오스트림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이에 대해서는 상기 링크 대상을 사용한다해도 참조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동기화는 단지 하나의 프로그램에서만 수행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단지 오디오스트림을 상기 TMC-정보와 결합하는 것만이 허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여러 서비스들이 하나 내지는 이와 같은 서비스부품을 이용할 수는 있으나, 그러나 단지 하나의 서비스만이 상기 서비스부품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 대상이 다른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TMC-정보는 더 이상 FIC-채널을 통해 전송되지 않고 상기 링크 대상의 선택적 헤더가 상기 TMC-정보를 스스로 처리한다. 오디오스트림은 도 3에서와 같이 이상에서 차폐된 것으로 나타난다. 트래픽 통신이 시작될 때에 해당 TMC-정보는 상기 링크 대상의 선택적 헤더 안으로 유입된다. 이와 병행하여 상기 링크 대상이 상기 오디오스트림의 시작점을 다시 말하여 트래픽 통신의 시작을 참조한다. 상기 트래픽 통신의 종료를 신호화할 경우에 데이터프레임 내의 다른 헤더가 형성되는데, 이 헤더는 상기 오디오스트림의 종료점을 알려준다. 수신기 내에 상기 오디오스트림의 특징 부분이 부속 TMC-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차후의 적용 시에 이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 프로그램들은 선택될 수 있는 고유한 개별 트래픽 통신용으로만 동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래픽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 상기 병렬 오디오스트림 및 역시 무선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진술들은 독립적으로 중계하는 오디오세그먼트에 좌표화된다(할당된다). 이 때 오디오세그먼트가 트래픽 통신에 해당된다면 더더욱 바람직하다. 프로그램에 의해서 상기 트래픽 통신은 오디오세그먼트로서 그리고 TMC-정보로 사용된다. 상기 TMC-정보들은 도 4에 따라 멀티미디어대상의 선택적 헤더에서 중계된다. 대상보디 영역에서 상기 오디오세그먼트를 조절한다.
대안으로서 대상보디 내의 TMC-정보를 그리고 선택적 헤더 내의 상기 오디오세그먼트를 중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법의 다른 구성예는 여러 오디오세그먼트들, 비디오세그먼트들, 선택적 헤더내의 본문표시등을 중계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중계함으로써 상기 트래픽 통신을 여러 언어로 그리고 트래픽 장애 그래픽 도면으로 하나의 도로 상황판에 그리고 상기 정보의 본문 설명이 수신기에 직접 가시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 수신세그먼트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송신기(1)로부터 상기 무선 방송 프로그램, TMC-정보들 및 특수한 데이터들이 디지털 무선방송에 의해 중계된다. 자동차내 DAB-복호화기(2)의 일측에서 스스로 방영되는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로 복호화하고 발생시키며 재생부(8)로 인가된다. 타측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대상 및 데이터 채널들이 복호화된다. 상기 TMC-정보들은 TMC-복호화기(3)로 인가되며 상기 오디오세그먼트, 비디오세그먼트 및 본문 표시들이 관리부(4)로 인가된다. 상기 TMC-복호화기는 상기 TMC-정보들을 결정하고 이 정보들을 마찬가지로 상기 관리부(4)로 재전송한다. 관리부(4)에서 상기 DAB-복호화기로부터 나온 대상들은 TMC-정보에 의해 관리된다. 상기 대상들의 대향하도록 한 올바른 좌표화, 아울러 메모리(5) 내에 저장 및 구동 및 상기 메모리(5) 내에 있는 대상의 실제적인 해제들은 관리부에서 제어된다. 입력 장치(7)에 의해 이용자가 선택기준을 예를 들면 도로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은 TMC-정보 내에 포함된 진술과 도 6에서 비교되고 때에 따라서는 출력된다. 도 6은 TMC-정보를 대상 문장으로, 여러 오디오세그먼트로, 비디오세그먼트로, 그리고 본문정보로 만들기 위해 가능한 좌표화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정보들은 마찬가지로 선택에 의해 호출가능하다.

Claims (11)

  1. 디지털 무선 방송(DAB)에 의해 트래픽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트래픽 정보 시스템의 정보 데이터들을 디지털 라디오의 통신 데이터로 좌표화하는 것이 송신기의 데이터프레임 구조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지털 통신데이터와 직접적인 시간적인 관련하에서 중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로서의 트래픽 메시지 채널 정보들은 프로토콜 Allert C에 따라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4. 제 1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와 통화 내용은 멀티미디어대상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5. 제 1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헤더 및 데이터 영역(보디)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6. 제 1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래픽 통신의 시작과 종료는 링크대상에 의해 특수한 헤더로써 특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7. 제 1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대상은 선택적 헤더내의 디지털 정보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고 있으며 오디오스트림 내의 상기 트래픽 통신의 시작을 헤더와 보디를 합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8. 제 1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대상은 헤더내의 디지털 정보를 스스로 중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9. 제 1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대상은 상기 디지털 정보와 아울러 오디오세그먼트로서의 상기 트래픽 통신을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10. 디지털 정보와의 관련하에서 수신되는 통화를 수신하고 선택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디지털 정보 및 트래픽 통신용 특수 복호화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1. 제 1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디오 정보, 디지털 정보들을 좌표화하는 관리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1998-0700073A 1996-05-08 1997-04-26 교통안내송신방법및그에이용되는수신기 KR100478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8341 1996-05-08
DE19618341.3 1996-05-08
DE19630195A DE19630195A1 (de) 1996-05-08 1996-07-26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urchsagen mit Empfäng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630195.5 1996-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774A true KR19990028774A (ko) 1999-04-15
KR100478543B1 KR100478543B1 (ko) 2005-08-12

Family

ID=779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073A KR100478543B1 (ko) 1996-05-08 1997-04-26 교통안내송신방법및그에이용되는수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78543B1 (ko)
DE (1) DE19630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4082B1 (en) 1997-11-17 2001-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roadcast network selection techniques for radiocommunication systems
DE19858568A1 (de) * 1998-12-18 2000-06-21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Fahrtroutenempfehlungen und Empfänger
DE19930780A1 (de) * 1999-07-03 2001-01-1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Empfang von digitalen Signalen über ein Funknetz und Empfangsvorrichtung für über Funkkanäle übertragene digitale Signale
DE10007814A1 (de) * 2000-02-21 2001-09-06 Beck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Verkehrsinformationen
DE10111131A1 (de) 2001-03-08 2002-10-0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System und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Verkehrsinformatio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30195A1 (de) 1997-11-13
KR100478543B1 (ko) 200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4138B2 (en) Process for transmitting messages by digital sound broadcasting and receiver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JP4388031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チャネルの管理方法、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を受信可能な端末機
CN1897653B (zh) 广播发送机和接收机、发送广播信号和执行其预约的方法
US200601057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CA2192958C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and digital complementary data, and a method for playing back digital data and digital complementary data
EP0999666A2 (en) System for transmission of Digital Audio Broadcast (DAB) programmes comprising local information
KR100735372B1 (ko) 지상파 dmb 수신 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통한 업그레이드 방법
CN101359917B (zh) 提供广播业务的方法以及使用其的广播接收机
US5956628A (en) Receiving for receiving FM text-based multiplex broadcasts
KR19990028774A (ko)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수신기
US5722047A (en) Receiver for receiving multiplexed text broadcasts
KR101265604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62755A (ko) 한시적으로 ca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방법
JP3729213B2 (ja) 受信機
JP3642087B2 (ja) 受信機
KR101259110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0504418B1 (ko) 무선수신기에서의데이터처리방법
KR100854408B1 (ko)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3509A (ko) 재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재난 정보 수신 장치
JP3538062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JP3671987B2 (ja) Fm文字多重放送受信機
WO2001059943A1 (fr) Recepteur de radiodiffusion numerique
JPH08191253A (ja) 多重放送用受信装置
JPH08204593A (ja) 多重放送用受信装置
JPH08186510A (ja) 多重放送用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